KR20200105345A -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45A
KR20200105345A KR1020190024402A KR20190024402A KR20200105345A KR 20200105345 A KR20200105345 A KR 20200105345A KR 1020190024402 A KR1020190024402 A KR 1020190024402A KR 20190024402 A KR20190024402 A KR 20190024402A KR 20200105345 A KR20200105345 A KR 2020010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evacuation route
floor
door
peo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은
이철규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광인터내셔날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인터내셔날,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filed Critical (주)광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9002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345A/ko
Publication of KR2020010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는 실내 또는 실외의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된 두 계단이 만나는 대피 경로 지점에 설치되어 있어 있고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앙 감시 장치, 그리고 대피 경로 안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감시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물을 최종 대피 출입문을 정하여, 상기 최종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복수의 대피안내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면, 상기 대피 층의 상기 제1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상기 현재 층에서 상기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이동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물을 최종 대피 출입문을 정한다.

Description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simulator and simulation method for disaster management of skyscraper}
본 발명은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층 빌딩과 같은 빌딩 내에서 재난이 발생 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극장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나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 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기 위한 표시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구 표시등은 대부분 화재나 정전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로 하여금 비상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상구 표시등은 내부에 내장된 형광등과 같은 발광부의 동작 여부만을 제어하여 비상구의 위치만을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비상구 표시등이 설치된 장소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비상구 표시등을 따라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위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상구 표시등에 따라 이동한 사람들로 인해 해당 장소에 한꺼번에 많은 인파가 몰리는 현상으로 인해 효율적인 대피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843호(공개일: 2007.05.08, 발명의 명칭: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1496호 (공개일: 2004.10.28, 발명의 명칭: 시청각 인지수단을 갖는 비상등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재난 발생 시 건물 내의 대피 경로를 빌딩 내의 상황에 맞게 안내하여 안전한 대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재난이 발생한 건물 내의 직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직원들의 대피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는 실내 또는 실외의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된 두 계단이 만나는 대피 경로 지점에 설치되어 있어 있고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과 각각 통신하는 중앙 감시 장치, 그리고 상기 중앙 감시 장치와 통신하는 대피 경로 안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감시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물을 최종 대피 출입문을 정하여, 상기 최종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복수의 대피안내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면, 상기 대피 층의 상기 제1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상기 현재 층에서 상기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이동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물을 최종 대피 출입문을 정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현재 층에 존재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대피 층으로의 대피 경로를 정하므로, 특정 지역에 사람이 몰려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든다.
정해진 대피 경로 상에 위험물이 발생한 상태로 판단될 경우, 다른 대피 경고를 정하므로, 좀더 안정적인 경로를 통해 사람의 대피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감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 안내 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대상 건물에 설치된 출입문, 카메라 모듈, 대피경로 표시부의 설치 위치에 대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대피 경로 지점 인원수 파악 루틴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에서 대피 경로 판정 루틴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정해진 대피 경로에 다른 대피경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중앙 감시 장치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는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 모듈부(10), 카메라 모듈부(10)의 각 카메라 모듈(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중앙 감시 장치(200), 중앙 감시 장치(200)와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복수 개의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을 구비하는 대피경로 안내 모듈부(30)를 구비한다.
본 예의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는 건물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빌딩 내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빌딩은 대략 50층 이상 또는 200미터 이상의 높이를 갖는 초고층 건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카메라 모듈(100)은 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계단에서 서로 다른 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서로 두 계단이 만나는 지점(이하, 이 지점을 '대피 경로 지점'이라 함)에 설치되어 있고, 각 층에 위치한 복수의 출입문 각각에 적어도 하나 위치하여, 각 층에 복수 개의 대피 경로 지점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층에 위치하는 대피 경로 지점은 각 층의 해당 출입문과 연결되어 해당 출입문을 열면 해당 층과 서로 통하게 된다.
또한,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 역시 각 층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각 층의 실내에서 각 출입문을 통과해 이동하는 경로에 정해진 간격마다 또는 지정 위치에 복수 개 위치한다. 따라서, 같은 층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100)과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은 위치에 따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이들 카메라 모듈(100)과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은 각각 고유의 식별번호를 갖고 있고, 중앙 감시 장치(20)와의 통신 시 전송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자신의 식별 번호도 함께 전송한다.
이로 인해, 중앙 감시 장치(200)는 각 카메라 모듈(100)과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의 설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각 카메라 모듈(100),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 및 중앙 감시 장치(200)는 주로 비상 계단 등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용 전원인 1차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 건물에 화재 등이 발생하여 전원 시스템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정해진 시간 동안 이들 장치(100-300)는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대상 건물의 재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부(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100)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카메라 모듈(100)은 예를 들어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10), 중앙 감지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20), 영상 촬영부(110)와 통신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30), 그리고 동작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영상 촬영부(110)는 카메라(camera)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중앙 감시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통신부(1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중앙 감시 장치(200)와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일컫는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30)는 각 카메라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영상 촬영부(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해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RFID 판독기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장비, 예,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원 번호)를 판독하여 해당 데이터와 데이터 수신 시간 등의 저장을 제어한다.
저장부(140)는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 및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100)은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감시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210), 통신부(220), 주변상황 감지부(230), 사용자 입력부(210), 통신부(220) 및 주변상황 감지부(230)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 제어부(240), 감시 제어부(24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250) 및 정보 출력부(260)를 구비한다.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부(40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탐색해 읽어올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400) 역시 저장부(25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고,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감시 제어부(240)에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중앙 감시 장치(200)가 감시하고 있는 대상 건물의 상황 등에 관한 정보의 입력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관리자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폐쇄된 출입문의 위치 정보, 막힌 이동 경로, 화재 등이 발생한 층과 같은 위험 위치, 방화벽 위치 등과 같은 대상 건물의 실시간 상황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상황 정보는 해당 지점의 유해 가스 농도, 연기 농도, 출입문 폐쇄 여부, 방화벽 동작 여부를 구비할 수 있고, 추가적을 감시 제어부(240)의 동작에 따라 해당 출입문을 통해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층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대피 불가 상태로 판정된 해당 출입문의 상태 정보 역시 구비된다.
통신부(220)는 각 카메라 모듈(100) 및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 간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추가로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때,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상황 감지부(230)는 대상 건물의 지정된 위치에 장착되어 해당 위치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산화물(oxidant), 탄화수소, 불소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을 감지하는 유해가스 센서, 이산화탄소(CO2) 등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정도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방화벽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화벽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주변상황 감지부(230)의 대상 건물의 각 층마다 위치하면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주변상황 감지부(230)의 설치 위치는 이미 데이터베이스부(400)나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판정된 주변 상황이 어느 층의 어느 지점에서 발생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상황 감지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방화벽의 동작 여부, 발생되는 연기의 농도, 유해 가스 발생 여부 등과 해당 층의 환경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상황 감지부(230)를 이용한 판정 결과를 주변 상황 정보로서 각 층별로 해당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감시 제어부(240)는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입문 중 어느 출입문을 통과하여 사람을 안내할지를 판정한다.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판정된 출입문 쪽으로 사람의 대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당 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의 동작에 따라 표시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도착한 대피 경로 지점이 해당 출입문에서의 최적의 대피 지점일 수 있다.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 상황 감지부(210)와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판단된 각 층의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 즉, 판정된 대피 경로에 유해 가스가 발생하거나 연기가 설정 농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출입문이 잠겨 있거나 방화벽이 동작된 경우 등과 같이, 해당 대피 경로를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다른 출입문을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저장부(250)는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저장 매체이다.
정보 출력부(260)는 감시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촬영 영상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정보 출력부(260)로 출력하여 촬영 영상을 출력하며, 각 층에 관련된 주변 상황이나 각 층의 현재 정해진 대피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직원정보를 이용하여 각 직원의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26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가요성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및 3차원 표시 장치(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감시 제어부(240)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 직원정보 데이터베이스(420),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 대피경로 안내 모듈 데이터베이스(440) 및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를 구비한다.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는 대상 건물의 각 층에 관련된 설계도가 저장되어 있고, 직원정보 데이터베이스(420)는 대상 건물에 근무하거나 상주하는 사람(이하, 이 사람을 '직원'이라 함)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는 각 카메라 모듈(100)에 관련된 정보와 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이 각 층별 그리고 각 카메라 모듈(100) 별로 저장되어 있으며, 대피경로 안내 모듈 데이터베이스(440)는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에 관련된 정보 등이 각 층별 그리고 각 카메라 모듈(100) 별로 저장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는 각 층의 주변 상황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와 주변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주변 상황에 관한 주변 상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신을 위한 통신부(310), 통신 제어부(310)에 연결되어 잇는 안내 제어부(320), 저장부(330) 및 대피경로 표시부(340)를 구비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통신부(310)는 인터넷 모듈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저장부(330)는 데이터나 명령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또한, 대피경로 표시부(340)는 안내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가요성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피경로 표시부(340)에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의 방향을 표시하며, 대패 경로의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화살표의 모양은 왼쪽방향 화살표(←), 오른쪽방향 화살표(→), 위쪽방향 화살표(↑) 또는 아래쪽방향 화살표(↓)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의 동작 설명에 대한 편의성을 위하여, 하나의 예로서, 도 5와 같이, 각 층에 출입문, 카메라 모듈 및 대피 경로 지점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도 5과 도 1 내지 도 4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니,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고로 하면, 대상 건물의 각 층에는 모두 네 개의 출입문(D41-D44, D31-D34)이 존재하고, 각 출입문(D41-D44, D31-D34)와 연결되어 있고 각 해당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네 개의 대피 경로 지점(R41-R44, R31-R34)이 존재한다.
또한, 한 예로서, 각 층에는 해당 출입문(D41-D44, D31-D34) 쪽으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해, 인접한 두 출입문 사이에는 두 개씩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421-L424, L431-L434, L441-L414, L311-L314, L321-L324, L331-L334, L341-L314)이 설치되어 있어, 각 출입문(D41-D44, D31-D34)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421-L424, L431-L434, L441-L414, L311-L314, L321-L324, L331-L334, L341-L314)의 개수는 네 개이다.
즉, 각 층의 제1 출입문(D41, D3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는 제1 출입문(D41, D3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311-L314)이고, 제2 출입문(D42, D32)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는 제2 출입문(D42, D3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21-L424, L321-L324)이며, 제3 출입문(D43, D33)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 역시 제3 출입문(D43, D3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31-L434, L331-L334)이고, 제4 출입문(D44, D34)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 역시 제4 출입문(D44, D3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41-L444, L341-L344)이다.
또한, 각 대피 경로 지점(R41-R44)에도 적어도 하나의 대피경로 표시부가 존재하면, 도 5의 경우, 각 대피 경로 지점(R41-R44)에는 하나의 대피경로 표시부(L415, L425, L435, L445 L315, L325, L335, L345)가 존재한다.
따라서, 각 출입문(예, D41)을 중심으로 할 때, 해당 출입문(D41에 관련된 대피 경로 지점(R41)과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가 존재한다. 서로 인접한 두 층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및 대피경로 표시부는 서로 대응 관계를 갖는다.
이처럼 각 층에 배치된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및 대피경로 표시부에 관한 정보(예, 설치 위치 정보)는 이미 데이터베이스부(400)의 해당 데이터베이스(430, 44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감지 제어부(240)는 이들 데이터베이스(430, 440)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층의 설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설계도에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대피경로 표시부의 설치 위치를 정보 출력부(260)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4층과 3층에 각각 배치된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및 대피경로 표시부를 도시하였지만, 이외의 다른 층 역시 도 5에 도시한 구조로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각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대피경로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미 기재한 것처럼, 도 5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대상 건물의 층 수, 각 층의 구조 또는 면적 등에 따라 각 층에 배치되는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및 대피경로 표시부의 개수는 변하게 된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 감시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중앙 감시 장치(200)는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이 설치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하는 것으로서,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서 촬영된 영상은 모두 동일한 동작에 따라 처리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대상 건물의 재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중앙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대상 건물에 화재나 테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10-S12).
이때, 재난 발생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부(210)에 관리자에 의해 동작되는 비상 스위치가 구비되어,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켜 중앙 감시 장치(200)로 재난 발생 상황을 입력한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이러한 비상 스위치를 이용하는 대신, 화재 감지나 지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재난 감지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재난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신호의 상태가 정해진 재난 상태일 때,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을 위해, 각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제어부(130)는 영상 촬영부(110)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을 촬영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때, 동작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함께 해당 카메라 모듈(100)에 대한 식별번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 감시 제어부(240)는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되는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 대응되게 시간별로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해 놓는다.
이와 같이, 판단된 상태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가 아니면, 감시 제어부(240)는 중앙 감시 장치(200)를 일반 모드로 제어한다(S13).
하지만, 판단된 현재 상태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되면(S12), 감시 제어부(240)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재난 상황 모드로 전환한다(S14).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각 카메라 모듈(C41-C44)이 장착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파악하는 대피 경로 지점 인원수 파악 루틴(S15), 파악된 각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주변 상황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되는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악된 각 층의 상황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하여, 해당 층에 존재하는 복수의 대피경로 표시부 중에서 판정된 대피 경로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를 선택하여 점등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 판정 루틴(S16)를 구비한다.
이미 기재한 것처럼,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재난 발생 모드로 전환되면, 중앙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40)는 먼저, 대피 경로지점 인원수 파악 루틴(S14)으로 넘어간다.
본 예의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복수 개(n개)의 출입문(D41-D44) 중에서 정해진 순서에 해당하는 번째(n번째)의 출입문을 통해 이동하는 대피 경과를 순차적으로 판정하고 각 해당 번째의 출입문을 통과하여 사람을 대피시킬 수 있는지 판단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단계(S15)에는 n번째의 출입문에 관련된 n번째 카메라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n번째 출입문과 관련된 n번째의 대피 경로 지점의 위치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파악하게 된다.
감시 제어부(240)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카메라 모듈에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와(S151) 촬영된 영상 속에서 사람을 선별한다(S152).
촬영된 피사체 중에서 사람을 선별하기 위해, 감시 제어부(240)는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별로 비교하여 위치 이동이 해당 속도로 발생하고 있는 대상물을 사람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를 이용한 열추적 방식 등과 같이,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에 위치하는 피사체 중에서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판독된 영상 데이터에서 사람이 선별되면, 감시 제어부(240)는 사람으로 선별된 피사체를 계수하여, 각 카메라 모듈(C41-C44)과 관련된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R44)에 현재 위치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한다(S153).
그런 다음, 산출된 인원수를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R44)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서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R44, R31-R34)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수가 파악되면,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경로 판정 루틴(S16)으로 넘어가 각 대피 경로 지점(R41-R44, R31-R34)에 위치한 인원수와 각 층의 주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의 동작이 대피 경로 판정 루틴(S16)으로 넘어가면, 감시 제어부(240)는 먼저, 저장부(250)나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 상황 정보를 판독하여(S161), 대상 건물에 현재 대피 불가능한 층이 존재하는 지 판단한다(S162).
예를 들어, 층 전체가 불길에 완전히 휩싸여 사람의 대피가 불가능한 층이나 층 주변의 많은 부분이 파손되거나 없어져 계단 등이 파손되어 해당 층으로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한 층 등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대피 불가능한 층에 관한 정보를 이미 설명한 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예를 들어, 제2층 접근 금지, 제3층 완전 소실 등과 같은 정보 입력에 따라 해당 층을 대피 불가능한 층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유해 가스 농도, 연기 농도, 출입문 폐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주변 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판단된 각 층의 주변 상황에 따라 공기질의 상태, 출입문 폐쇄, 방화벽 동작 상태 등과 같이 사람 이동이 불가능한 환경인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해당 층을 대피 불가능한 층으로 판정해 해당 층의 상태를 대피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대상 건물에 대피 불가능한 층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대피 층을 판정한다(S163),
본 예의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대피 경로를 판정하기 위한 해당 층(이하, 이 층을 '현재 층' 이라 함)이 대피 불가능한 층보다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를 판단해 대피 층을 판정한다(S163).
예를 들어, 현재 층이 4층이고 대피 불가능한 층이 3층이나 2층인 경우, 아래 방향으로의 완전한 대피는 불가능한 경우이다. 이런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방향을 위쪽 방향으로 정하여 현재 층에서 현재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하는 층으로의 대피 경로를 하게 된다.
하지만, 반대로 현재 층이 4층이고 대피 불가능한 층이 5층인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방향을 아래쪽 방향으로 정하여 현재 층에서부터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층으로의 대피 방향을 정하게 된다.
또한, 대피 불가능한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방향을 아래쪽 방향으로 정한다.
하지만, 현재 층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위쪽에 위치하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피 불가능 층이 존재할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옥상이 존재하는 위쪽 방향으로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층에서부터 바로 위쪽에 존재한 위층으로의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로 하여 대피 경로를 정하는 감시 제어부(240)의 동작은 대피 방향이 아래쪽 방향인 경우를 설명한다. 대피 방향이 위쪽 방향인 경우에 비교 대상의 층(즉 대피 층)이 현재 층의 바로 아래층이 아니라 바로 위층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대피 경로를 정하는 동작은 도 8a 내지 도 8c와 동일하다.
따라서, 단계(S163)에서 대피 층이 정해지면,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층인 4층에 존재하는 복수 개 4층 출입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출입문(D41-D42) 중에서 정해진 순서(n번째)에 따라 현재 순서에 해당하는 출입문[예, 4층 제1 출입문(D41)]을 예비 대피 출입문으로 정한다(S)(도 5의 경우, n=1, 2, 3, 4임).
다음,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비 대피 출입문[예, 4층 제1 출입문(D41)]에 관련된, 즉 연결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인 4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에서 파악된 현재 인원수를 판정한다(S164).
다음, 대피 층인 바로 아래층인 3층에서, 4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에 대응되는 지점인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에서 파악된 인원수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250)에서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의 현재 인원수를 판정한다(S165).
그런 다음, 4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과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에서 각각 파악된 인원수를 합산한 후(S166), 합산된 인원수를 설정 인원수와 비교한다(S167).
합산된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4층 및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 R31)에 각각 위치한 인원수가 모두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에 모여 있어도 추가적인 대피 인원을 수용한 공간적인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과하여 4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을 경유해 가장 빠른 이동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지점인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한다(S168).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관련 층인 현재 층과 대피 층인 4층과 3층에 관련된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4층과 3층에 관련된 주변환경 정보를 읽어와(S169), 4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에 연결된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의 폐쇄 여부 및 4층 제1 출입문(D41) 주변의 주변상황, 그리고 제 3층이 대피 불가능한 층인지 판단하여, 예비 목표대기 경로 지점으로 이동 시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610).
4층 제1 출입문(D41)이 잠겨 있지 않고, 4층 제1 출입문(D41) 주변의 연기 농도나 유해가스 농도가 설정치 이하로서 사람이 이동하여도 생명이 위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대피 층인 제 3층이 대피 불가능한 층이 아닌 경우(S1610),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해 안전하게 제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3층 대피 경로 지점(R31)을 최종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현재 감시 대상 카메라 모듈인 제1 카메라 모듈(R41)과 관련된 출입문인 예비 대피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을 최종 대피 출입문으로 정한다(S1611).
이에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4층에 존재하는 복수의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 L421-L425, L431-L435, L441-L445) 중에서, 최종 대피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및 현재 대피경로 지점인 4층 제1 대피경로 지점(R4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5)를 선택한다(S1612).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경로 안내 모듈부(30)의 해당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로 구동 신호와 관련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S1613). 이로 인해, 선택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는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4층 출입문(D41) 쪽으로 대피 경로를 표시한다.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출입문(D41)의 왼쪽에 위치하는 대피경로 표시부(L411, L412)에는 오른쪽방향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하고, 출입문(D4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대피경로 표시부(L413, L414)에는 왼쪽방향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하며, 현재 대피경로 지점(R41)에 위치한 대피경로 표시부(L415)는 아래쪽방향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하여, 각 해당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는 해당 상태의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대피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화살표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이미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어, 감시 제어부(240)는 원하는 화살표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읽어와 해당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로 출력한다.
그런 다음,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상태가 판정된 출입문이 마지막 번째인 n번째 출입문(D44)인지 판단하여(S1614), 마지막 출입문(D44)이 아닌 경우, 감시 제어부(240)은 n의 값을 '1' 증가시킨 후 단계(S163)로 넘어가, 다음 번째의 출입문(D42)를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S1615). 하지만, 현재 상태가 판정된 출입문이 마지막 번째인 출입문(D44)인 경우 초기 단계로 넘어간다(S100).
따라서, 4층 제1 출입문(D41) 근처에 위치하는 사람은 해당 대피경로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과해 3층 제1 대피경로 지점(R31)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게 된다.
하지만, 단계(S1610)에서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이동하는데 장애물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제1 출입문(R41)을 통해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 상태를 4층 제1 출입문(D41)을 이용하여 대피가 불가능한 상태인 '4층 제1 출입문 이용 대피 불가 상태'로 판정하여 판정된 상태를 저장부(140)와 데이터베이스부(400)의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한다(S1616).
그런 다음, 현재 상태가 판정된 출입문이 마지막 번째인 n번째 출입문(D44)인지 판단하여, 마지막 출입문(D44)이 아닌 경우, 감시 제어부(240)은 n의 값을 '1' 증가시켜 다음 번째의 출입문(D42)를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S1617, S1618, S163), 그렇지 않는 경우, 초기 단계로 넘어간다(S100).
다시 단계(S167)로 넘어가, 산출된 합산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할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의 상황이 더 이상 대피 인원을 수용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한다.
이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예비 대피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해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사람의 대피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D41)이 아닌 다음 순서의 4층 출입문인 4층 제2 출입문(D42)을 통해 예비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고 현재의 예비 대피 출입문을 통해 대피하는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619).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4층 제2 출입문(D42)에 관련된 대피 경로 지점인 4층 제2 대피 경로 지점(R42)에 설치된 제4층 제2 카메라 모듈(C42)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판정된 인원수를 판정한다(S164).
그런 다음, 이미 단계(S165-S167)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게, 서로 4층 제2 대피 경로 지점(R42)과 연결된 3층 제2 대피경로 지점(R32)의 인원수를 파악하여 두 인원수를 합치고, 합산된 인원수와 설정 인원수를 비교한다.
합산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 이하인 경우, 단계(S168 내지 S1611)의 동작과 동일하게, 3층 제2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4층 제2 출입문(D42)을 통과하여 3층 제2 대피 경로 지점을 통과하는 이동 경로에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고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층 제2 대피 경로 지점을 최종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한다.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4층 제2 출입문(D42)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21-L424)뿐만 아니라, 4층 제1 출입문(D4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의 선택하여, 선택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421-L424)의 표시 상태를 4층 제2 출입문(D42)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4층 제1 대피경로 지점(R41)에 존재하는 대피경로 표시부(L415)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S1612, S1613).
이로 인해, 4층 제1 출입문(D41)으로의 대피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4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은 4층 제2 출입문(D42)을 통해서 3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단계(S1619)에서, 산출된 합산수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할 때,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번째의 출입문이 현재 층에 존재하는 마지막 번째의 출입문(D44)인지 판단하여, 마지막 번째의 출입문(D44)인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다른 대안적인 출입문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합산된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더라도 도 11과 같이 현재의 예비 대피 출입문(D44)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41-L444)를 점등 제어한다, 이 경우, 이전에 판단된 출입문(D41-D43)의 상태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한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출입문(D41-D43)에 관련된 각 대피경로 표시부(LL411-L414, L421-L424, L431-L434)은 자신과 관련된 출입문(D41-D43)을 향하도록 점등될 수 있다(도 11 참고). 이때, 출입문의 상태가 대피 불가 상태인 출입문이 존재할 경우, 이 대피 불가 상태의 출입문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는 소등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다른 예인 카메라 모듈(100)을 이용한 직원 이동 경로 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카메라 모듈(100)의 통신부(120)는 이미 근거리 무선 모듈을 구비하고 있고, 대상 건물에 근무하거나 상주하는 직원은 근거리 무선 모듈과 통신하는 직원 통신 카드(예, RFID 태그)를 주로 목걸이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직원이 각 카메라 모듈(100)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직원이 소유하고 있는 통신 카드와 카메라 모듈(100)의 통신부(120) 간의 통신 동작이 행해져, 해당 통신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식별번호, 즉 직원 식별번호가 통신부(120)를 통해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전송된 직원 식별번호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며, 또한, 통신부(120)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 즉 자신이 속해 있는 해당 카메라 모듈(100)의 식별번호와 함께 직원 식별번호를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중앙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40)는 전송된 직원 식별번호를 전송된 해당 카메라 모듈(100)의 식별번호와 대응되게 시간대별로 직원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한다.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각 층에 대한 설계도를 불러와 정보 출력부(260)로 출력하고 출력된 각 층의 설계도 위에 시간 변화에 따른 직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시자는 현재 대상 건물 안에 존재하고 있는 직원의 수, 직원 정보를 확인 수 있으며 안전하게 대상 건물을 빠져나온 직원과 현재 대상 건물에 갇혀 있는 직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원의 이동 경로가 중간에 끊긴 경우, 해당 직원이 실종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색 작업 시 이동이 사라진 위치에서부터 수색 작업을 시작하여 구출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411-C44, C31-C34, 100: 카메라 모듈 200: 중앙 감시 장치
240: 감시 제어부 120, 220: 통신부
250, 400: 저장매체 300: 대피 경로 안내 모듈
340: 대피경로 표시부

Claims (1)

  1. 실내 또는 실외의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된 두 계단이 만나는 대피 경로 지점에 설치되어 있어 있고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과 각각 통신하는 중앙 감시 장치, 그리고
    상기 중앙 감시 장치와 통신하는 대피 경로 안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감시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물을 최종 대피 출입문을 정하여, 상기 최종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복수의 대피안내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면, 상기 대피 층의 상기 제1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상기 현재 층에서 상기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이동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물을 최종 대피 출입문을 정하는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KR1020190024402A 2019-02-28 2019-02-28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20200105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02A KR20200105345A (ko) 2019-02-28 2019-02-28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02A KR20200105345A (ko) 2019-02-28 2019-02-28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45A true KR20200105345A (ko) 2020-09-07

Family

ID=7247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02A KR20200105345A (ko) 2019-02-28 2019-02-28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34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96A (ko) 2003-04-22 2004-10-28 장석연 시청각 인지수단을 갖는 비상등 장치
KR100715843B1 (ko) 2006-02-14 2007-05-08 김강옥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96A (ko) 2003-04-22 2004-10-28 장석연 시청각 인지수단을 갖는 비상등 장치
KR100715843B1 (ko) 2006-02-14 2007-05-08 김강옥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883B1 (ko) 피난 유도를 위한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1771579B1 (ko)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US20170345265A1 (en) Dynamic acquisition terminal for behavior statistic information of people,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AU2021100902A4 (en) A control system for optimising emergency multi-storey building stairwell evacuation
WO20151834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79735B1 (ko)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102164449B1 (ko) Ai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25565B1 (ko)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
KR20190061974A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CN111028745A (zh) 一种多功能智能消防应急系统
KR2010002530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KR102095986B1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10114699A (ko) 복합 재난 대응 시스템
KR20200069464A (ko) 재난 대응 로봇 및 관제 장치와 그 초동 대응 방법
KR20200105345A (ko) 초고층건물 재난관리용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102618950B1 (ko)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KR102542129B1 (ko) 재난대피 통제 방법
KR102592101B1 (ko) 인공지능 기반 건축구조물 내의 최적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JP2019212020A (ja) 避難誘導サーバ、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避難誘導方法
CN109785567B (zh) 防火门集中提示装置与防火门系统
KR20210073102A (ko) 2차원의 건물 평면도를 활용한 건물 재난 상황 발생 시 대응 시스템
KR101864443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지능형 비상유도라인시스템
KR20210080145A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