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225A -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 Google Patents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225A
KR20200105225A KR1020190024101A KR20190024101A KR20200105225A KR 20200105225 A KR20200105225 A KR 20200105225A KR 1020190024101 A KR1020190024101 A KR 1020190024101A KR 20190024101 A KR20190024101 A KR 20190024101A KR 20200105225 A KR20200105225 A KR 2020010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mote control
mode
electric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8391B1 (en
Inventor
김준호
노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젠
노승은
김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젠, 노승은, 김준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젠
Priority to KR102019002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391B1/en
Publication of KR2020010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2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kickboard usable as a skateboard comprising: a board body; an operating handle stored in the board body in a skateboard mode, and erected and fixed on the board body in a kickboard mode; and a handle-type remote control inserted into one handle of the operating handle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he board body includes: a driving unit to operate the electric wheel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input of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n accordance with a running mode;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riv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wirelessl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of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A magnet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unit into which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s inserted.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ncludes a magnetic force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wirelessly transmit a remote control operation signal. When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s fastened to the handle, the magnetic forc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 body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set to the kickboard mode.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agnetic force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oard body to set the driving unit to an electric skate mode when the handle is detected. Accordingly, the skateboard mode or the electric kickboard mode can be easily and simply set depending on whether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s coupled to the operating handle in the electric kickboard usable as a skateboard.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Electric skateboard combined with skateboard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skate board)와 킥보드(kick board)를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s needed by combining a skateboard and a kickboard.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발판과, 그 발판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륜과 후륜, 및 조향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쪽의 발로 지면을 차면서 앞으로 나아가도록 한 무동력 방식과 전원 공급을 통한 모터(motor)의 회전력으로 휠(wheel)을 구동하여 주행할 수 있는 전동식(electric motion type)의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kickboard is composed of a footrest, front and rear wheel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ootrest, and a steering handle, so that the user raises one foot on the footrest and moves forward while kicking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It is used in two ways: a non-powered method and an electric motion type that can drive a wheel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a motor through power supply.

또한, 스케이트보드는 킥보드와 달리, 발판과 이 발판에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만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조향 핸들이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킥보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오로지 두 발만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한 무동력 방식과 전동식의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unlike a kickboard, a skateboard consists of a footrest and only the front and rear wheels installed on the footrest, and does not have a separate steering wheel. Like a kickboard, a skateboard is a non-powered vehicle that allows the user to travel using only two feet. Two types of methods are used, the electric type and the electric type.

이하, 도 1,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방식으로서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kickboard and an electric skateboard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ic metho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킥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Here,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 skateboard.

종래의 전동 킥보드(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510), 복수의 전동휠(520), 조향 핸들(530) 외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 부재로서 전동 모터와 풀리(pulley) 및 벨트(belt) 등이 구비된 구동 장치와, 제어 장치, 배터리(battery) 등이 발판(510)의 하부 또는 조향 핸들(530) 등에 부설되어 있다.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 500, as shown in Figure 1, in addition to the footrest 510, a plurality of electric wheels 520, steering handle 530, but not shown in detail, as a drive member, an electric motor and pulley A drive device including a pulley and a belt, a control device, a battery, and the like are installed under the footrest 510 or the steering handle 530.

또한, 종래의 전동 스케이트보드(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610)과 복수의 전동휠(620)로 구성되며,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핸들형 리모콘(리모콘;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됨과 아울러, 전동 킥보드(500)와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배터리 등이 발판(6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ic skateboard 600, as shown in Fig. 2, is composed of a footrest 610 and a plurality of electric wheels 620, a portable handle typ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not shown) for adjusting the running speed.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a control device, and a battery are installed under the footrest 610, similar to the electric kickboard 500.

한편, 전동 킥보드(500)는 조향 핸들(530)을 이용하여 주행 방향을 조절하게 되지만, 전동 스케이트보드(600)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주행 방향이 조정된다.Meanwhile, the electric kickboard 500 adjusts the driving direction using the steering handle 530, but the electric skateboard 600 adjusts the dri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center of gravity.

즉, 전동 스케이트보드(600)에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 이동에 대응하여 전동횔(6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트럭(truck)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electric skateboard 600 is provided with a truck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wheel 62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center of gravity.

일반적인 트럭 장치는, 사용자가 주행 방향에 대해 발판(610)의 좌,우측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면, 전동휠(620)을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축 회동시킴으로써, 회전 반경의 안쪽에 위치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작아지게 함과 동시에, 회전 반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은 반대로 커지게 하여, 보드의 주행 방향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 general truck apparatus, when the user moves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left or right of the footrest 610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electric wheel 620 is axially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reby the front wheel located inside the turning radiu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is made small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located outside the turning radius is made opposite, so that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board is adjusted.

이러한 종래의 전동 킥보드(500)와 전동 스케이트보드(600)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제작됨과 아울러, 제동 장치 외에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편의 장비가 부가됨으로써, 통상적인 레저 활동은 물론, 개인 이동 수단으로서, 출퇴근, 통학, 또는 대학 캠퍼스나 공장 내에서의 근거리 이동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These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s 500 and electric skateboards 600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and various convenient equipment necessary for driving in addition to a braking device are added, as well as for general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for personal transportation.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mmuting to work, commuting to school, or short-distance travel within a university campus or factory.

또한, 종래의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그 구조적 특성상, 주행 방식, 조작 방식 등의 차이는 물론, 안전성, 편의성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고, 또한, 각각의 사용 특성에 따라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 거리나 지역 특성에 따른 사용 환경 등의 다양한 사용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s and electric skateboards have many differences in safety and convenience, as well as differences in driving methods and operation methods, due to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lso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ccording to each use characterist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select and us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of use, such as a travel distance or a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따라서, 종래의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상기와 같은 사용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 and electric skateboard have the follow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usage conditions.

첫째, 이동 거리가 길어지거나 다양한 조건의 지역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동 킥보드 또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중 어느 하나의 주행 방식만으로는, 이러한 사용 환경이나 지역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First, in the case of a long travel distance or a need to move an area under various condi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such changes in the use environment or area with only the driving method of an electric kickboard or an electric skateboard. There was a high risk of an accident.

둘째,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두를 구매하여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in consideration of this, users can purchase both electric kickboards and electric skateboards and use them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but since these electric kickboards and electric skateboards are expens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

셋째,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모두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을 동시에 휴대하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이 가중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보드만을 선택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그 활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rd, even if a user has both an electric kickboard and an electric skateboard,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m at the same time increases, so the user has to select only one board, which significantly decreases its utility. There was this.

넷째, 종래의 전동 킥보드 또는 스케이트 보드는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가 보드 본체내에 구성되어 있어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제품 전체를 집안으로 가져와 충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동 킥보드 또는 스케이트 보드의 전원회로가 고장난 경우, 본체를 직접 들고 A/S센터로 가져가야만 했다.Fourth, in a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 or skateboard,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is configured in the board body, so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the entire product must be brought into the house and charged. Accordingly, when the power circuit of the electric kickboard or skateboard is broken, it was necessary to take the main body directly to the A/S cen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하나로 결합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개인의 취향 또는 선호도 등에 따라 전동 킥보드 모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n electric kickboard and an electric skateboard into one, so that the electric kickboard mode and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or personal preference or preference, etc.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s that can be used sel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일 때, 안정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최고속도를 제한하여 주행하도록 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in which the maximum speed is limited so as to be able to run stably in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충전회로를 갖도록 구성하고, 배터리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충전회로의 고장시 배터리만을 휴대하여 수리가능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and electric kickboard that can be repaired by carrying only the battery when the charging circuit breaks in the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s by configuring the battery to have a charging circuit and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로서, 상기 보드 본체는 주행 모드에 따른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이 끼워지는 핸들부의 일면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은 상기 핸들부를 구성하는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서 착탈되며,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리모콘 조작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고, 리모콘의 마이컴이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보드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잡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oard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wheels are mounted at a lower portion; An operation handle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ard body, accommodated in the board body in a skateboard mode, and vertically fixed to the board body in a kickboard mode;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equipped with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that is fitted to and detached from one of the handle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handle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board main body, wherein the board main body is an operation input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electric whee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A magn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into which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is inserted, and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one of the handles on both sides constituting the handle unit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magnetic force sensing for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ensor and a remote control operation signal, and when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is connected to the handle,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installed on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and the micom of the remote control unit is A remote control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set the kickboard mode, and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board main body to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and the control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is set to the electric skating mode when the handle is sensed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이렇게 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사용 환경이나 선호도 등에 따라 전동 킥보드 모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electric kickboard and the electric skateboard into one, and thus, the electric kickboard mode and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various use environments or preferenc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when a detection signal from a magnetic force detection sensor of the main body is inpu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mode to a driving impossible mode.

상기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상기 리모콘은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른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 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speed control button for controlling the speed in steps of low speed/medium speed/high speed, and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speed control button to a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is the electric skate In the state set to the mode, when the spe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high-spee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riving unit below a preset speed lim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으로서,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마이콤이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보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드 본체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oard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wheels are mounted at a lower portion; An operation handle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ard body, accommodated in the board body in a skateboard mode, and vertically fixed to the board body in a kickboard mode; A method for setting a mode of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equipped with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that is fitted to one of the handle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handle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board body, wherein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is connected to the handle,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installed on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detecting magnetic force of a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A step in which the micom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set the kickboard mode; Sensing magnetic force of a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by a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board body; And setting, by the controller of the board main body,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agnetic force sensor and setting the driving unit to an electric skate mod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driving impossible mode when a detection signal of a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main body is input while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상기 리모콘이 상기 리모콘에 설치된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to a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peed control button for controlling the speed in steps of low/medium/high speed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and the control unit is in the electric skate mode. In the set state, when the spe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is at high speed, it is effective to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be less than a preset speed lim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의 사용 환경이나 지역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select and use the modes of the electric kickboard and the electric skatebo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use environment or regional changes under various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일 때, 안정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최고속도를 제한하여 주행하게 함으로써,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increasing driving safety by limiting the maximum speed so as to stably travel.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충전회로의 고장시 배터리만을 휴대하여 수리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t is possible to carry and repair only the battery in case of a failure of the charging circuit in the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킥보드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의,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의,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 있어서,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의 보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구비된 조작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작 핸들의 핸들부 일측에 핸들형 리모콘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스케이트모드의 모드 설정을 위한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의 내부 구성 회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킥보드 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스케이트보드 모드 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도 7의 핸들형 리모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ic skateboar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kickboard mode state in the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kateboard mode state in the electric skateboard combined use of the ska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board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is removed in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state of FIG.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handle provided in the electric kickboard combined skate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a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operation handle shown in FIG. 6;
8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for setting a mode of a skate mode of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ircuit diagram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used in the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s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setting a kickboard mode in an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flow chart of the skateboard mode method in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of FIG. 7.

사용 지역이나 주변 환경 또는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도 등에 따라 스케이트보드 모드(skate board mode)와 킥보드 모드(kick board mode)의 두 가지 주행 모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보드로 전동 스케이트보드와 전동 킥보드 모두를 활용할 수 있게 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switch between two driving modes, such as skate board mode and kick board mode, depending on the region of use, surrounding environment, or personal preferences or preferences. This section explains how to set the mode of a skateboard and electric kickboard that allows you to use both a skateboard and an electric kickboard.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전체 구성도를 설명한다.First,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의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 있어서,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의 보드 본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Her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n electric kickboard mode in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n electric skateboard mode in the electric kickboard combined with a ska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board body with the cover plate removed in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state of FIG. 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는 보드 본체(10), 조작 핸들(100), 핸들형 리모콘(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ard body 10, an operation handle 100,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and a control unit 300.

보드 본체(10)는 사용자가 올라탈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부의 전, 후방에는 한 쌍의 전동횔(electric wheel)(3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발판으로 이용됨과 아울러, 보드 본체(10)의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는 덮개판(15)이 장착되어 있다.The board main body 10 serves as a support for the user to climb, and a pair of electric wheels 30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part, respectively, and used as a scaffolding on the upper surface. , A cover plate 15 that can serve as a cover of the board body 10 is mounted.

여기서, 덮개판(15)은 다수의 체결용 나사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보드 본체(10)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Here, the cover plate 1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ard body 10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screws or bolts.

한편, 보드 본체(10)의 전단부에는 힌지 결합홈(20)(도 11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제어부(300)와 근거리 통신부(31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hinge coupling groove 20 (see FIG. 1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ard main body 10, and a control unit 300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are installed at the rear end.

힌지 결합홈(20)은 조작 핸들(100)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hinge coupling groove 20 is a part in which the operation handle 10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provided in an open shape in the front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또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드 본체(10)의 하부에는 전동휠(30)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로서, 전동 모터와 기어 박스 또는 벨트와 풀리 등이 구비되는 구동 장치, 제동 장치, 및 전동휠(30)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트럭(truck)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s a driving member for driving the electric wheel 30 under the board main body 10, a driv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and a gear box or a belt and a pulley, a braking device, and an electric wheel It is provided with a truck (truck) device, etc.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of (30).

상기와 같은 구동 장치와 제동 장치 및 트럭 장치 등과 같은 부속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킥보드 또는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부속 장치 또는 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부속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rive device, the brake device, and the accessory device such as a truck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accessory devices or members applied to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ic kickboard or electric skateboard, each configur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of it will be omitted.

한편, 보드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00)을 수납시킬 수 있는 핸들 수납부(11, 12)가 일정 깊이의 홈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 핸들 수납부(11, 12)에 인접하여 배터리팩(400)이 수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ior of the board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5, handle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peration handle 100 are provided in a groo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 battery pack 400 is accommodated adjacent to the storage units 11 and 12.

배터리팩(400)은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로서, 제어부(300)를 통해 전동휠(30)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The battery pack 400 is a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an electric motor that drives the electric wheel 30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여기서, 배터리팩(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드 본체(10)의 구조나 형상 등에 따라 그 크기나 형태 또는 개수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pack 4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s shown in FIG. 5, and the size, shape, or number may be variously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oard body 10.

핸들 수납부(11, 12)는 조작 핸들(100)의 조작 로드(150)와, 접혀진 상태에서의 핸들부(160)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직사각형 홈과 상대적으로 폭이 큰 직사각형 홈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handle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have a relatively wide width with a narrow and long rectangular groove so that the operation rod 150 of the operation handle 100 and the handle unit 160 in a folded state can be respectively accommodated. These large rectangular grooves are formed in a connected form.

한편, 제어부(300)는 보드 본체(10)의 후방에 별도로 내장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로 기판과 전자 부품 등으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외부와 격리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0 is separately built in the rear of the board body 10, and although not shown, is composed of a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to be isolated from.

제어부(300)는 배터리팩(400)과 전동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핸들형 리모콘(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주행 명령 신호에 따라, 전동 모터를 제어하여, 각각의 전동 주행 모드가 실행되도록 한다. 이 제어부(300)는 종래의 전동 킥보드나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400 and the electric motor, thereby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driving command signal input from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200 to execute each electric driving mode. Since the control unit 300 may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control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 or electric skateboar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method will be omitted.

한편,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보드 본체(10)의 핸들 수납부(11, 12)에, 조작 핸들(100)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조작 핸들(100)의 수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자력 감지 센서(362)가 설치되고 자력 감지 센서(362)는 제어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whether the operation handle 100 is accommodated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in the operation handle 100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of the board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force detection sensor 362 capable of detecting the is installed, and the magnetic force detection sensor 3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이에 따라, 제어부(300)가 자력 감지 센서(362)의 감지신호에 의해 조작 핸들(100)의 수납이 확인되면,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로 주행 모드를 전환함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300 confirms the storage of the operation handle 100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362, it is preferable to switch the driving mode to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and to enable driving at the same time. Do.

이때, 자력 감지 센서(362)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등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일반적인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magnetic force sensor 362, various types of general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an object such as a magnetic sensor may be used.

또한, 보드 본체(20)에는 리모콘(20)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제어부(300)에 연결된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0 is installed on the board body 20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한편, 핸들형 리모콘(200)은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 모드(도 3 참조) 또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도 4 참조) 상태에서, 보드의 전진, 후진, 주행 속도 등의 주행 조건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allows the user to input driving conditions such as forward, backward, and running speed of the board in an electric kickboard mode (see Fig. 3) or an electric skateboard mode (see Fig. 4). will be.

그리고, 핸들형 리코몬(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에서는 기립 설치된 조작 핸들(100)의 핸들부(160) 일측에 끼워서 사용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100)이 보드 본체(10)에 수납되므로, 이때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3, as shown in Figure 3, in the electric kickboard mode state, it i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handle unit 160 of the operating handle 100 installed upright, as shown in FIG. In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state, since the operation handle 100 is accommodated in the board main body 10, in this case, it is used in a state carried by the user by hand.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터리가 내장된다. 그리고,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전진 버튼, 후진 버튼,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한 속도 조절 버튼, E/N/F의 속도 모드 버튼 등의 기능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주행 속도나 배터리 잔여 용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부설되어 있다.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200 us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and a battery is embedded therein. And, as shown in Figure 11,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is provided with function buttons such as a forward button, a reverse button, a speed control button for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nd a speed mode button of E/N/F. ,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driving speed or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is provided.

이러한 핸들형 리모콘(200)은 종래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사용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의 핸들형 리모콘을 적용할 수 있다.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can be applied to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of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ed in conventional electric skateboards.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핸들형 리모콘(200)은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에서 조작 핸들(100)의 핸들부(160)에 끼워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조작 핸들(100)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설명한다.However, since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2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andle unit 160 of the operation handle 100 in the electric kickboard mode state, a specific coupling structure for this will describe the operation handle 100 This will be explained again in the section.

한편, 도 3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나 도 4에 도시된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서의 회전 주행은, 사용자가 보드 본체(10) 위에서 무게 중심을 주행 방향에 대해 좌측부 또는 우측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전동휠(30)의 회전축 상에 구비된 트럭 장치에 의해 한 쌍의 전동휠(30)이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rotational driving in the electric kickboard mode state shown in FIG. 3 or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state shown in FIG. 4 is performed by the user selectivel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n the board body 10 to the left o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By doing so, the pair of electric wheels 30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a truck device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electric wheel 30.

즉, 사용자가 주행 방향에 대해 보드 본체(10)의 좌측부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면, 보드 본체(10)의 좌측 전,후방에 위치한 전동휠(30)은 트럭 장치에 의해 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 보드 본체(10)의 우측의 전,후방에 위치한 전동휠(30)은 반대로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됨으로써, 보드 본체(10)가 좌측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moves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left side of the board body 10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electric wheel 30 located at the left front and rear of the board body 10 becomes clo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y the truck device. , The electric wheel 30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ight side of the board main body 10 is opposi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oard main body 10 can rotate to the left.

이러한 트럭 장치는 종래의 스케이트보드 등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such a truck device is used for a conventional skateboard or the lik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is omitted.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조작 핸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hand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구비된 조작 핸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작 핸들의 일측 손잡이에 리모콘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Her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handle provided on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mote control is coupled to one handle of the operation handle shown in FIG. 6.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작 핸들(100)에서 힌지 유닛(110)(도 3 참조)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Here, FIGS. 6 and 7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hinge unit 110 (refer to FIG. 3) is removed from the operation handle 1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조작 핸들(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유닛(110)과 조작 로드(150) 및 핸들부(16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스케이트보드 주행 모드(도 4 참조)시에는 보드 본체(10)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주행 모드(도 3 참조)시에는 보드 본체(10)에 세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operation handle 100 is composed of a hinge unit 110, an operation rod 150, and a handle unit 160, and in the skateboard driving mode (see Fig. 4), the board main body ( 10) is housed in, and in the kickboard driving mode (refer to FIG. 3), it is provided so as to be vertically fixed to the board main body 10.

한편, 조작 로드(15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힌지 유닛(110)에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152)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핸들부(160)가 결합되는 지지체(155)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rod 150 is provided in a pipe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diameter,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a rod coupling part 152 coupled to the hinge unit 11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a support body 155 to which the handle unit 160 is coupled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로드 결합부(1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관체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힌지 유닛(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홈(121)(도 10 참조)에 수납되어 고정됨으로써, 조작 로드(150)의 제자리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The rod coupling part 152, as shown in FIG. 6, has a rectangular tubular structure, and is accommodated and fixed in a fixing groove 121 (see FIG. 10) installed inside the hinge unit 110, thereby operating This prevents the rod 150 from rotating in place.

이때, 고정홈(121)의 내측면은 로드 결합부(1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로드 결합부(121)의 회전이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coupling portion 121 to block rotation or movement of the rod coupling portion 121.

여기서, 로드 결합부(152)는 직사각형 관체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각형이나 육각형 구조 등 면 접촉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구조라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rod coupling portion 152 has been described as a rectangular tubular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at least one plan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so that rotation may be prevented by surface contact, such as a pentagonal or hexagonal structure,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form.

또한, 지지체(155)는 조작 로드(150)의 상단에 결합되어 핸들부(160)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부에는 가이드홈(15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156)에는 핸들부(160)가 축 결합되는 회동축(158)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15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150 to support rotation of the handle unit 160, and guide grooves 156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guide groove 156 has A rotation shaft 158 to which the handle unit 160 is axially coupled is provided.

이 가이드홈(156)의 선단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삽입 돌기(157)가 설치되어 있다.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157 protruding forward so as to face each other are install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56.

한편, 핸들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제1 손잡이(161)와 제2 손잡이(162)로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handle unit 160 includes a first handle 161 and a second handle 162 that can be held by a user.

이들 제1,2 손잡이(161, 162)는, 지지체(155)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56)에 구비된 회동축(158)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됨으로써, 직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선단부에는 삽입 돌기(157)가 끼워질 수 있는 홀더(165)가 각각 설치된다.Thes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and 162 are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58 provided in the guide grooves 156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155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axially coupled, so that it can be folded at a right angle or It is provided so as to be unfolde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bar shape, and a holder 165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157 can be fitted is installed at the tip end thereof.

이때, 제2 손잡이(162)는 핸들형 리모콘(200)을 길이 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손잡이(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handle 162 is formed relatively shorter than the first handle 161 so that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홀더(165)는 제1,2 손잡이(161, 162)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이 개방된 중공형 관체 구조로 형성하되, 내측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2 손잡이(161, 1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165 is coupled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and 162, and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tructure with an empty inside and an open front, and has a spring on the inner side. 2 It is provided to elastically advance or retrea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andles 161 and 162.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60)를 수평 방향으로 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2 손잡이(161, 162)가 접혀진 상태(도 6 참조)에서, 홀더(165)를 지지체(15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켜, 홀더(165)가 회동시 삽입 돌기(157)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 후, 제1,2 손잡이(161, 162)를 회동시켜 홀더(165)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 돌기(157)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handle unit 160 is to be un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and 162 are folded (refer to FIG. 6), and the holder 165 is After retre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body 155 so that the holder 16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157 when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and 162 are rotated so that the holder 165 is It is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protrusion 157 by the elastic forc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손잡이(161, 162)를 다시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더(165)를 후퇴시켜 홀더(165)가 고정 돌기(157)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제1,2 손잡이(161, 162)를 다시 직각으로 각각 접으면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and 162 again, the holder 165 is retracted so that the holder 165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157 ,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162) can be folded back at right angles, respectively.

이러한 제1,2 손잡이(161, 162)의 홀더(165)의 회동 구조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The rotational structure of the holder 165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61 and 162 may be applied to those conventionally used.

한편, 제2 손잡이(16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이 끼워지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ler 2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andle 162.

즉,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100)이 보드 본체(10)에 수납되고, 전동 킥보드 모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가 제2 손잡이(162)에 끼워져 손잡이 역할을 겸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electric skateboard mode, 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handle 100 is accommodated in the board main body 10 while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200 is removed, and in the electric kickboard mode,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andle 162 to serve as a handle.

이때, 제2 손잡이(1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된 고정볼(168)이 설치되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handle 162 has a fixing ball 168 that elastically protrudes outwardly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한편,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제2 손잡이(162)가 끼워질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홈에는 고정볼(168)이 끼워질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ler 200 has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to which the second handle 162 can be insert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ball 168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여기서, 고정볼(168)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Here, the fixing ball 168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따라서, 핸들형 리모콘(200)의 결합은, 제2 손잡이(162)가 리모콘(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손잡이(162)의 길이 방향에서 리모콘(200)를 가압하여 제2 손잡이(162)에 끼우거나 또는 후방으로 잡아당겨 분리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200, so that the second handle 162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emote control 200, the remote control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dle 162 It can be push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handle 162 or pulled back to separate.

이러한 리모콘(200)과 제2 손잡이(162)의 결합 구조는,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다양한 삽입 결합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emote control 200 and the second handle 162 is not limited to the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general insert coupling structures may be applied.

한편, 제2 손잡이(162)에는 자석(160a)이 설치된다. Meanwhile, a magnet 160a is installed on the second handle 162.

이에 따라,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제2손잡이(162)의 자석(160a)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203)와, 근거리통신부(204)와, 자력감지센서(20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근거리통신부(204)를 통해 보드 본체(10)로 전송하는 마이컴(205)이 설치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200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203 for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60a of the second handle 162,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04, and magnetic force sensing. A microcomputer 205 is installed that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or 203 and transmits it to the board main body 1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04.

이에 따라, 핸들형 리모콘(200)은 자력감지센서(203)를 통해 핸들형 리모콘(200)이 핸들부(160)에 결합된 상태를 인지했을 때, 주행 모드를 전동 킥보드 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전동 킥보드 모드 신호를 근거리통신부(204)를 통해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Accordingly, when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recognize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is coupled to the handle unit 160 through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03,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o the electric kickboard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kickboard mod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board main body 1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04.

이때, 제어부(300)가 주행 모드를 전동 킥보드 모드임을 메모리(304)에 저장하여, 이후에 전동 킥보드 모드로 주행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stores the driving mode in the memory 304 that the driving mode is the electric kickboard mode, and then drives in the electric kickboard mode.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보드 본체(1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보드 본체(10)는 제2손잡이(162)의 자석(160a)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예를 들어, 리드스위치)(362)와, 리모콘(200)과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부(310)와, 제어부(300),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회로부(350)를 갖는 배터리팩(400), 배터리팩(4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동모터(320)와, 전동휠(3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30)를 포함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as a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board main body 10, the board main body 10 is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that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60a of the second handle 162 (for example, A battery pack having a reed switch) 362,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200, a control unit 300, and a battery charging circuit unit 350 for charging the batte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400, an electric motor 320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400,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33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electric wheel 30.

본 발명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충전회로부(350)는 배터리팩(400)내에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unit 350 is configured in the battery pack 400.

배터리팩 내의 충전회로부(350)는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circuit unit 350 in the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9.

이러한, 배터리 충전회로부(350)는 전자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회로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unit 350 is a charging circuit commonly used in the electronic fiel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배터리팩(400)은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의 구동을 위하여 전동모터(3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300)의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302)의 제어를 토대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한다. The battery pack 400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 motor 320 to drive the electric scooter 1 for both skateboarding, and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based on the control of the battery management controller 302 of the controller 300. .

전동모터(320)는 배터리팩(400)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구동바퀴(340)로 동력을 전달한다. 전동모터(320)는 리모콘(200)의 후술할 스로틀 버튼(201b)의 조작신호에 따라, 주행중에 E/N/F의 속도 모드로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E모드는 전동모터(320)의 RPM을 25%으로 동작시키고, N모드는 전동모터(320)의 RPM을 50%로 동작시키고, F모드는 전동모터(320)의 RPM을 100%로 동작시킨다. The electric motor 320 is driven by power from the battery pack 400 and transmits power to the driving wheels 340. The electric motor 320 may change the speed to the E/N/F speed mode while driv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throttle button 201b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remote control 200. E mode operates the RPM of the electric motor 320 at 25%, the N mode operates the RPM of the electric motor 320 at 50%, and the F mode operates the RPM of the electric motor 320 at 100%. .

이때 전동모터(320)는 소음이나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종류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ic motor 320 is used in consideration of noise or performance.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use a brushless direct current (BLDC) moto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types of known motors may be used.

사용자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모콘(200)을 사용하여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구동을 제어할 때, 리모콘(200)으로부터 구동바퀴(340)의 전진 구동 또는 브레이킹 및 후진 구동에 대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skateboard and electric kickboard using the remote control 200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s autonomy,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or braking and revers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340 from the remote control 200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300.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등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and includes, for example, Bluetooth, NFC, beacon, RFID, and the like.

제어부(300)는 리모콘(200)의 동작 제어에 따른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300 checks an operation signal for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320 based on the confirmed operation signal.

또한, 제어부(300)는 초보자의 경우 안전을 고려하여 최대 속도에 제한을 둘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place a limit on the maximum spe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for beginners.

제어부(300)은, 리모콘(200)으로부터 입력되는 가속 또는 감속 조작 또는 E/N/F 속도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301)와, 배터리팩(4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302)와, 배터리팩(400)의 충방전 상태와,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의 운행 상태의 확인과 운행 모드 상태를 메모리(304)에 저장을 수행하고,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의 모드 상태를 메모리(304)에 설정하는 모드 관리 컨트롤러(303)로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main controller 30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320 based on an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peration or an E/N/F speed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200, and a battery pack 400 The battery management controller 302 that control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the charging/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pack 400, the operation state of the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1, and the operation mode state are stored in the memory 304 And a mode management controller 303 that sets the mode state of the skateboard and electric kickboard 1 in the memory 304.

전원스위치가 온 되면, 제어부(300)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에 배터리팩(400)의 전원공급을 수행하여 대기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즉 리모콘(200)의 조작을 통해 언제라도 구동할 준비를 한다.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300 converts the standby mode to the operation mode by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pack 400 to the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1. That is, it is ready to be driven at any tim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200.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스케이트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킥보드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10A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setting a skate mode of an electric scooter for use with a ska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tting a mode for an electric scooter for use with a ska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킥보드모드의 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0a에 보인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을 조작대의 짧은 핸들에 결합한다(S1). 핸들형 리모콘(200)이 조작대의 짧은 핸들에 설치된 자석(160a)의 자력을 감지한다(S2). 리모콘(200)이 자력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킥보드 모드 신호를 형성하여, 무선으로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에 전송한다(S3). The setting of the kickboard mode of the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 10A,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is coupled to the short handle of the operation table (S1).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200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60a installed on the short handle of the operation table (S2). The remote control 200 receives the magnetic force detection signal, forms a kickboard mod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board main body 10 wirelessly (S3).

이때, 제어부(300)가 보드본체의 자력감지센서(362)에서 자력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체크한다(S4). 체크결과, 자력감지센서(3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킥보드 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주행모드를 킥보드 모드로 설정한다(S6). 이후에는, 제어부(300)는 핸들형 리모콘(200)의 조작입력에 따라 킥보드 모드 상태에서 전동모터(320)를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checks whether a magnetic force sen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362 of the board body (S4).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detection signal is not output from the magnetic sensor 362, the control unit 300 of the board main body 10 receives the kickboard mod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sets the driving mode to the kickboard mode (S6). Thereafter,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electric motor 320 in a kickboard mode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200.

S4단계의 체크결과 보드 본체(10)의 자력감지센서(362)가 자력을 감지한 경우에는 주행불가로 설정한다(S5).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4, when the magnetic force sensor 362 of the board main body 10 detects the magnetic force, it is set to not be able to drive (S5).

한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스케이트보드 모드의 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of the skateboard mode of the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is as follows.

도 10b에 보인 바와 같이, 먼저 조작대를 보드 본체(10)의 수납부에 삽입한다(T1). 조작대의 짧은 핸들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보드 본체(10)의 자력감지센서(리드스위치)가 감지한다(T2). As shown in FIG. 10B, first, the operation tab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oard main body 10 (T1).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on the short handle of the operation table is sens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lead switch) of the board body 10 (T2).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가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스케이트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리모콘(200)에 스케이트모드 모드 설정 신호를 전송한다(T3). The controller 300 of the board main body 1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agnetic sensor and sets the skateboard mode, and transmits a skate mode mode setting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T3).

이때, 본드 본체(10)의 제어부(300)는 리모콘(200)의 자력감지센서가 자력을 감지하여 리모콘(2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는지 체크한다(T4). 체크결과 제어부(300)는 리모콘(200)으로부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리모콘(200)은 스케이트모드 모드로 설정된다(T6).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of the bond body 10 check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200 by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200 (T4).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control unit 300 does not receive a detection signal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from the remote control 200, the remote control 200 is set to the skating mode mode (T6).

T4단계의 체크결과, 제어부(300)가 리모콘(200)의 자력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주행불가로 설정한다(T5).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T4, when a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control unit 300 sets it to be unable to drive (T5).

이후 핸들형 리모콘(200)의 조작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00)는 스케이트보드의 설정 모드에 따라 구동부를 구동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operation input signal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200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300 drives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of the skateboard.

도 11은 도 7의 리모콘(200)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리모콘(200)의 상부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2)가 설치되고, 리모콘(200)의 일측면에는 조작버튼으로서, 전원스위치(201a)와 주행중 E/N/F 모드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 버튼(201b)이 마련되고, 리모콘(200)의 타측면에는 가속/감속 스위치(201c)가 마련된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mote control 200 of FIG. 7. As shown in Fig. 11, a display unit 20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200, and as an operation button on one side of the remote control 200, the power switch 201a and the E/N/F mode while driving are operated. A throttle button 201b for controlling the speed is provided, and an acceleration/deceleration switch 201c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mote control 2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스케이트보드 모드로 주행중에는 리모콘(200)의 스로틀 버튼(201b)으로 최고 속도인 F모드로 설정하여도, 안전한 주행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로 주행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hrottle button 201b of the remote control 200 is set to the F mode, while driving in the skateboarding mode, driving at a preset speed limit for safe driving do.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as exampl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claims are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10 : 보드 본체 11,12 : 핸들 수납부
15 : 덮개판 20 : 힌지 결합홈
21 : 축삽입공 22, 23 : 체결구
25 : 삽입홈 26 : 보강 브래킷
30 : 전동휠 100 : 조작 핸들
110 : 힌지 유닛 112 : 조작 로드 결합구
113 : 핀공 115 : 레버 결합구
117 : 축공 120 : 커버
121 : 고정홈 122 : 보강 부재
125 : 체결공 126 : 슬라이드홈
127 : 가이드부 130 : 록킹 부재
131 : 핀 부재 132 : 고정핀
133 : 경사면 134 : 지지핀
140 : 가압 레버 143 : 가압 경사면
144 : 도피홈 145 : 걸림턱
150 : 조작 로드 152 : 로드 결합부
155 : 지지체 156 : 가이드홈
157 : 삽입 돌기 158 : 회동축
160 : 핸들부 161 : 제1 손잡이
162 : 제2 손잡이 165 : 홀더
168 : 고정볼 200 : 핸들형 리모콘
300 : 제어부 400 : 배터리팩
500 : 전동 킥보드 600 : 전동 스케이트보드
1: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10: board body 11, 12: handle compartment
15: cover plate 20: hinge coupling groove
21: shaft insertion hole 22, 23: fastener
25: insertion groove 26: reinforcement bracket
30: electric wheel 100: operation handle
110: hinge unit 112: operation rod coupling
113: pin hole 115: lever coupling
117: shaft hole 120: cover
121: fixing groove 122: reinforcing member
125: fastening hole 126: slide groove
127: guide part 130: locking member
131: pin member 132: fixing pin
133: inclined surface 134: support pin
140: pressure lever 143: pressure slope
144: escape groove 145: locking jaw
150: operation rod 152: rod coupling portion
155: support 156: guide groove
157: insertion protrusion 158: rotation shaft
160: handle portion 161: first handle
162: second handle 165: holder
168: fixed ball 200: handle type remote control
300: control unit 400: battery pack
500: electric kickboard 600: electric skateboard

Claims (7)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로서,
상기 보드 본체는 주행 모드에 따른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이 끼워지는 핸들부의 일면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은 상기 핸들부를 구성하는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서 착탈되며,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리모콘 조작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고, 리모콘의 마이컴이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보드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잡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A board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wheels are mounted at the lower portion; An operation handle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ard body, accommodated in the board body in a skateboard mode, and vertically fixed to the board body in a kickboard mode; As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provided with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that is fitted to any one of the handle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handle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board body,
The board main body includes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electric wheel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driving mo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unit;
A magn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into which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is inserted,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one of the handles of both sides constituting the han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for sensing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signal,
When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is connected to the handle,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installed in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and the micom of 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et it to kickboard mode,
The board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that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and the control unit is set to the electric skate mode when sensing the handle b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magnetic force sensing sensor. Electric kickboard for both skateboar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nd when a detection signal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main body is input, sets the mode to a driving impossible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The method of claim 1,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른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 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speed control button for controlling the speed in steps of low speed/medium speed/high speed, and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speed control button to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The control unit is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pe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is high in a state set to the electric skate mode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a preset speed limit or less.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마이콤이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보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드 본체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
A board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wheels are mounted at the lower portion; An operation handle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ard body, accommodated in the board body in a skateboard mode, and vertically fixed to the board body in a kickboard mode; A method for setting a mode of a skateboard combined electric kickboard equipped with a handle type remote control that is fitted to and detached from one of the handle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handle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board body,
When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is fastened to the handle, a magnetic force sensor installed in the handle-type remote control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a magnet installed in the handle;
A step in which the micom of the handle type remote control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set the kickboard mode;
Sensing magnetic force of a magnet installed on the handle by a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board body;
And setting the driving unit to an electric skate mode by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agnetic force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driving impossible mode when a detection signal of a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main body is input while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detection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이 상기 리모콘에 설치된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ransmitting, by the remote control, a speed control signal to a control unit of the board main bod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peed control button for controlling the speed in steps of low/medium/high speed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set to the electric skate mode, when the spe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is at a high spee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be less than a preset speed limit. How to set the kickboard mode.
KR1020190024101A 2019-02-28 2019-02-28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KR102208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01A KR102208391B1 (en) 2019-02-28 2019-02-28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01A KR102208391B1 (en) 2019-02-28 2019-02-28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25A true KR20200105225A (en) 2020-09-07
KR102208391B1 KR102208391B1 (en) 2021-01-27

Family

ID=7247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01A KR102208391B1 (en) 2019-02-28 2019-02-28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39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60A (en) * 2001-02-06 2002-08-13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A motor-driven board
KR200442895Y1 (en) * 2008-08-13 2008-12-19 김도권 kickboard
JP2014520701A (en) * 2010-07-07 2014-08-25 パリエンティ,ラウル Ultralight, foldable, tricycle with electric motor
KR101837296B1 (en)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Electric kick board
CN109131662A (en) * 2018-09-04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A kind of folding dual-purpose scoo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60A (en) * 2001-02-06 2002-08-13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A motor-driven board
KR200442895Y1 (en) * 2008-08-13 2008-12-19 김도권 kickboard
JP2014520701A (en) * 2010-07-07 2014-08-25 パリエンティ,ラウル Ultralight, foldable, tricycle with electric motor
KR101837296B1 (en)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Electric kick board
CN109131662A (en) * 2018-09-04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A kind of folding dual-purpose sco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391B1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7047A1 (en) Gear Drive Two-Wheel Scooter
US10507376B2 (en) Electrically powered ride-on vehicle with intuitive control
US9855489B2 (en) Wearable mobility device
US20190070486A1 (en) Electric skateboard
JPWO2003101547A1 (en) Powered manual propulsion vehicle
US20070034424A1 (en) Power-assisted transport device
CN105346643B (en) Electric balance car
KR101703940B1 (en)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6892039B (en) Self-balanc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KR20210136185A (en) Handle assemblies and carts for carts with power assist function
KR102228514B1 (en) Handle assembly having power assist function for cart and cart having thereit
KR20170045066A (en) Smart golf cart
KR102208391B1 (en)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KR102475828B1 (en) A vehicl-linked smart mobility
JP2004024614A (en) Electr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motive vehicle
US20230391389A1 (en) Power-assisted trolley
US20230189704A1 (en) Hand-pushed power tool and handle device thereof
KR102206149B1 (en) 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US11198052B2 (en) Cross skat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30054026A (en) Detachable electric equipment for wheelchair
US20140332296A1 (en) Wheel assembly for a golf trolley
KR20200085964A (en) Electric kickboard
KR101837297B1 (en) Kick board case
CN220193948U (en) Electric skateboard structure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human body posture
KR20120027916A (en) Electric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