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094A -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 Google Patents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094A
KR20200105094A KR1020190023773A KR20190023773A KR20200105094A KR 20200105094 A KR20200105094 A KR 20200105094A KR 1020190023773 A KR1020190023773 A KR 1020190023773A KR 20190023773 A KR20190023773 A KR 20190023773A KR 20200105094 A KR20200105094 A KR 2020010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unit
support
implant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434B1 (ko
Inventor
박상필
홍수병
류경완
윤성욱
Original Assignee
박상필
류경완
윤성욱
홍수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필, 류경완, 윤성욱, 홍수병 filed Critical 박상필
Priority to KR102019002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4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6Control means;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8Motors;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2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netration dep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한다. 임플란트 드릴은 절삭날을 구비한 드릴부, 상기 드릴부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드릴몸체, 상기 드릴몸체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드릴몸체의 상하이동과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고정부는 수직단면 형상이 역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릴부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접촉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IMPLANT DRILL FOR FIXTURE PLACEMENT FOR DENTAL IMPLANTS TO MINIMIZE ALVEOLAR BONE DAMAGE}
본 발명은 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은 환자의 치조골을 임플란트용 드릴로 천공한 후 임플란트용 픽스쳐를 식립한 후 인공적인 치아를 심는 과정을 거치는데, 임플란트용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치조골이 필요 이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염증이 유발되거나, 치조골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치조골의 경우 환자의 잇몸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시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드릴이 어느 위치까지 파고들어갔는지 알 수 없고, 위치를 설정한다 해도 장치의 오차에 의해 정확한 위치까지 드릴이 환자의 치조골을 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임플란트 드릴을 사용하는 시술자의 특성에 따라 원하는 천공정도를 제어하기가 힘들어, 원하는 정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과도하게 천공하게 되어 치조골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정확한 위치까지 환자 치조골에 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교한 임플란트가 가능하도록 하고,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플란트 드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8521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치조골에 정확한 깊이로 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시술하는 환자(피시술자)나 시술부위에 따라 천공 깊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은 절삭날을 구비한 드릴부, 상기 드릴부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드릴몸체, 상기 드릴몸체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드릴몸체의 상하이동과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고정부는 수직단면 형상이 역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릴부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접촉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캐비티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제 1지지부,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제 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2지지부는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부는 말단에 제 1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정부는 제 2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검출부와 상기 제 2검출부 간의 센싱에 의해 상기 드릴몸체와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검출부는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검출부는 상기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2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자성체 및 상기 제 2자성체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자성체 및 상기 제 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자성체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제 2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고정부의 외측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제 1지지부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창에 의해 타측에 위치한 상기 제 2지지부 또는 상기 제 1지지부가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외부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라인의 주변부에는 상기 외부단자가 특정 수치 단위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량눈금자에 맞춰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특정 수치 단위로 이동 및 정지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의 상기 캐비티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근방의 물질을 내측으로 흡입하는 석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은 환자의 치조골에 시술자가 원하는 정확한 깊이로 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은 시술하는 환자(피시술자)나 시술부위에 따라 천공 깊이를 쉽게 변경하면서도 정교한 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드릴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잇몸에 임플란트 드릴을 시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하부면", "하측", "위(above)", "상부(upper)", "상부면", "상측"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구성들간의 상대적인 크기 등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임플란트 드릴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드릴은 절삭날을 구비한 드릴부(300), 상기 드릴부(30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400), 상기 동력부(400)와 연결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드릴몸체(200), 상기 드릴몸체(200)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되는 지지고정부(100) 및 상기 드릴몸체(200)의 상하이동과 상기 동력부(300)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100)는 수직단면 형상이 역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릴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접촉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릴부(300)는 절삭날을 구비하고 있어, 환자(피시술자)의 치조골을 천공할 수 있다. 드릴부(300)의 절삭날은 금속, 합금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드릴부(300)는 회전운동에 의해 단단한 치조골을 천공하며 동력부(400)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절삭날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400)는 상기 드릴부(3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후술할 제어부(500)에 의해 회전력(즉, 회전 rpm)이 제어되거나, 온오프(on/off)가 제어될 수 있다. 동력부(400)의 회전동력이 상기 드릴부(300)에 전달되기 위해 동력부(400)와 드릴부(300)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는 동력부(400)와 드릴부(300) 사이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이며, 동력부(400)의 회전동력에 의해 드릴부(30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드릴몸체(200)는 상기 동력부(400)와 연결되면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하"라는 의미는 환자(피시술자)의 잇몸을 기준으로 드릴부(300)가 환자의 잇몸을 향해 가는 방향이나 환자의 잇몸과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드릴몸체(200)는 상기 동력부(400)과 고정 및 연결되면서 시술시 상기 동력부(400)가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술자가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전공할 때, 치조골이 필요 이상으로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몸체(200)의 일단과 상기 지지고정부(100)가 연결됨으로써, 후술할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할 때,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릴몸체(200)와 지지고정부(100)는 드릴몸체(200)가 상하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고정부(100)는 움직이지 않도록 드릴몸체(200)와 지지고정부(100) 사이에 유압과 같은 방식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거나 슬리이딩 방식에 의해 상하운동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고정부(100)는 수직단면 형상이 역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릴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접촉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9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고정부(100)의 수직단면이 역U자형으로 형성됨에 의해 환자의 드러난 잇몸에 상기 지지고정부(100)의 일부를 안착함으로써 임플란트용 드릴이 천공과정 중에 원치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은 지지고정부(100)의 수직단면이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이를 환자의 천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잇몸 상에 올려놓고, 지지고정부와 연결되면서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드릴몸체(200), 그리고, 드릴몸체(200)에 연결된 동력부(400)와 드릴부(300)가 드릴몸체(200)의 상하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함으로써, 하나의 임플란트 드릴만으로 움직이지 않고 지지를 하면서도 상하방향으로 드릴부(300)를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에 천공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고정부(100)는 드릴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접촉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90)를 포함함으로써, 드릴부(300)가 환자의 치조골에 천공을 함에 있어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고정부(100)는 상기 캐비티(9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비티(90)의 일측면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제 1지지부(110), 상기 캐비티(90)의 타측면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제 2지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지지부(110) 및 상기 제 2지지부(120)는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지지고정부(100)의 역U자형 부분 즉, 환자의 잇몸에 닿는 제 1지지부(110)와 제 2지지부(120)의 하측부분은 환자의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 등으로 구성되거나, 위생을 위해 이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드릴몸체(200)의 상하이동과 상기 동력부(300)의 동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기 설정된 특정 거리까지만 드릴몸체(200)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특정 거리로 드릴몸체(200)가 이동을 완료한 경우 다시 상측방향으로 올라가도록 제어하거나, 동력부(300)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드릴몸체(200)가 특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만 하측으로 이동하고, 특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다시 드릴몸체(200)를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거나, 동력부(300)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드릴몸체(200)의 상하이동과 동력부(300)의 회전률(회전속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며, 상기 드릴부(300)는 말단에 제 1검출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정부(100)는 제 2검출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검출부(310)와 상기 제 2검출부(150) 간의 센싱에 의해 상기 드릴몸체(200)와 상기 동력부(4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검출부(310)와 상기 제 2검출부(150)는 상호 연동하여 서로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의해 드릴부(300)의 말단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에서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치조골에 천공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상기 제 1검출부(310)는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검출부(150)는 상기 제 1지지부(110) 및 상기 제 2지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자성체 및 상기 제 2자성체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드릴부가 환자의 잇몸(10)에 천공을 시작하면 드릴부가 어느 위치까지 진행하였는지 육안 등으로 외부에서 확인하기가 힘든데,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자성체로 형성되는 제 1검출부(310)와 제 2자성체로 형성되는 제 2검출부(150)가 자력에 의해 서로간의 거리를 인지하여 어느 정도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알 수 있고,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에서는 이를 토대로 몸체부(200)의 상하이동과, 동력부(400)의 회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자성체 및 상기 제 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50)에 의해 상기 제 1지지부(110) 및 상기 제 2지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2자성체로 구성되는 제 2검출부(15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환자나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특성에 맞게 천공의 깊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검출부(150)의 경우 외부의 시인되는 공간에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천공의 깊이를 미리 설정하고, 드릴부(300)의 제 1검출부(310)가 원하는 위치까지 천공을 한 경우 상기 제 2검출부(150)와의 상호간 자력에 의해 드릴부(300)가 원하는 위치까지 도달하였다는 것을 제어부(500)에서 인식하게 되고, 천공을 끝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제 1검출부(310)와 제 2검출부(150) 사이의 자력에 의해 드릴부가 정확한 깊이까지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드릴에 의하면 자성체(예를 들어 자석)를 드릴부의 말단과 제 1지지부(110) 및 상기 제 2지지부(120) 중 하나에 형성하는 간단한 공정만으로 드릴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임플란트 드릴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비용, 제조방법이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검출부(310)와 상기 제 2검출부(150)는 각각 상기 드릴부(300)의 말단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 1지지부(110) 및 상기 제 2지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검출부(31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을 이용하여 피시술자(환자)의 잇몸에 임플란트 드릴을 시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 드릴의 작동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이, 제어부(500)에 의해 몸체부가 하측의 환자의 잇몸(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드릴부(300)는 회전을 시작할 수 있고, 도 4와 같이, 드릴부(300)의 말단부분에서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1자성체를 포함하는 제 1검출부(310)가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2자성체를 포함하는 제 2검출부(150)가 형성된 위치(H)에 도달하게 되면 서로의 위치를 센싱하여 제어부(500)에서 이를 인식하고, 천공을 중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드릴부(300)의 회전을 중지하고 드릴몸체를 상단으로 이동시켜 드릴부(300)가 환자의 잇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천공(20)을 마무리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드릴은 상기 지지고정부(100)의 상기 캐비티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근방의 물질을 내측으로 흡입하는 석션부(131, 1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석션부(131, 141)는 지지고정부의 제 1지지부(110)와 제 2지지부(120)의 상기 캐비티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부(131, 141)는 상기 캐비티 근방에서 상기 드릴부(300)가 천공을 수행할 때, 나오는 이물, 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류물, 분쇄된 치조골 등을 흡입함으로써, 천공을 수행하는 위치를 보다 깨끗하게 하여 천공이 정밀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드릴은 지지고정부가 사용자의 잇몸에 지지되어 천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드릴부의 불필요한 진동을 방지하면서도 잇몸과 닿는 지지고정부 부근에 석션부(131, 141)를 형성하여, 천공과정에서 이물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석션부(131, 141)는 다른 구성들과 연결되어 상기 석션부(131, 141)로부터 흡입한 이물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드릴은 상기 제 2자성체(15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제 2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고정부의 외측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단자(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외부단자(170)에 의해 외부에서 사용자가 제 2자성체(1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는 드릴부(300)가 천공하여야 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외부단자(170)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투명창(18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180)은 상기 제 1지지부(110) 또는 상기 제 2지지부(120)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창(180)에 의해 타측에 위치한 상기 제 2지지부(120) 또는 상기 제 1지지부(110)가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창(180)에 의해 내측에 위치한 제 2검출부(150)가 시인될 뿐만 아니라,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시인되어 임플란트 드릴을 사용할 경우, 투명창(180)에 의해 환자의 잇몸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잇몸을 보면서 상기 외부단자(170)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자성체(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임플란트 드릴을 사용하는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 2자성체(15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 2자성체(150)는 드릴부(300)의 제 1자성체(310)와 자력에 의해 드릴부(300)의 천공 깊이 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천공의 깊이 정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결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천공정도의 설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라인(160)의 주변부에는 상기 외부단자(170)가 특정 수치 단위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눈금자(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수치만큼 외부단자(170)를 이동시켜 보다 정밀하게 제 2자성체(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드릴부(300)의 이동을 제어하여 천공정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보다 정밀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계량눈금자(미도시)에 맞춰 상기 외부단자(170)가 상기 특정 수치 단위로 이동 및 정지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미도시)는 특정 미세 단위별로 상하로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여 천공정도의 조절이 매우 정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피시술자의 잇몸
20: 천공
50: 제 2위치조절부
100: 지지고정부
110, 111: 제 1지지부
120, 121: 제 2지지부
131, 141: 석션부
150: 제 2자성체
160: 가이드라인
170: 외부단자
180: 투명창
200: 드릴몸체
300: 드릴부
310: 제 1자성체
400: 동력부
500: 제어부

Claims (11)

  1. 절삭날을 구비한 드릴부;
    상기 드릴부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드릴몸체;
    상기 드릴몸체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되는 지지고정부; 및
    상기 드릴몸체의 상하이동과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고정부는 수직단면 형상이 역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릴부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접촉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캐비티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제 1지지부,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제 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2지지부는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는 말단에 제 1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정부는 제 2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검출부와 상기 제 2검출부 간의 센싱에 의해 상기 드릴몸체와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검출부는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검출부는 상기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2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된 제 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자성체 및 상기 제 2자성체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성체 및 상기 제 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자성체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제 2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고정부의 외측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제 1지지부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창에 의해 타측에 위치한 상기 제 2지지부 또는 상기 제 1지지부가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외부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라인의 주변부에는 상기 외부단자가 특정 수치 단위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눈금자에 맞춰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특정 수치 단위로 이동 및 정지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의 상기 캐비티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근방의 물질을 내측으로 흡입하는 석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드릴.
KR1020190023773A 2019-02-28 2019-02-28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2157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773A KR102157434B1 (ko) 2019-02-28 2019-02-28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773A KR102157434B1 (ko) 2019-02-28 2019-02-28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94A true KR20200105094A (ko) 2020-09-07
KR102157434B1 KR102157434B1 (ko) 2020-09-17

Family

ID=7247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73A KR102157434B1 (ko) 2019-02-28 2019-02-28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4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21B1 (ko) 2010-01-14 2011-08-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130046289A1 (en) * 2011-08-17 2013-02-21 Symmetry Medical Manufacturing, Inc. Grommet Device with Flexible Bowed Member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US20130209953A1 (en) * 2010-03-28 2013-08-15 Igs Dental Ltd.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ental treatment tools
US20140199650A1 (en) * 2011-07-14 2014-07-17 Precision Through Imaging, Inc. Dental implan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agnetic sensors
KR101518171B1 (ko) * 2014-04-17 2015-05-07 정유진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시에 사용되는 수술용구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KR101705871B1 (ko) * 2015-09-18 2017-02-10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21B1 (ko) 2010-01-14 2011-08-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130209953A1 (en) * 2010-03-28 2013-08-15 Igs Dental Ltd.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ental treatment tools
US20140199650A1 (en) * 2011-07-14 2014-07-17 Precision Through Imaging, Inc. Dental implan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agnetic sensors
US20130046289A1 (en) * 2011-08-17 2013-02-21 Symmetry Medical Manufacturing, Inc. Grommet Device with Flexible Bowed Member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KR101518171B1 (ko) * 2014-04-17 2015-05-07 정유진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시에 사용되는 수술용구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KR101705871B1 (ko) * 2015-09-18 2017-02-10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434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46B1 (ko) 치과 공구 제조 방법
US20100266984A1 (en) Bur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US2019005387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ES234893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realizar operaciones oftalmológicas.
EP2774543A1 (en) Dental image display device, dental surgical operation device, and dental image display method
US9877810B2 (en) Method for conducting a guided sinus lift procedure
US11135013B2 (en) Root canal treating display device, root canal treating unit, and dental image display method
BRPI0712893A2 (pt) processo de fabricação de uma prótese óssea ou de uma simulação de pré-implante e aparelhagem para essa fabricação
KR20140039336A (ko) 인간 눈의 수술 준비를 지원하는 장치
KR101978669B1 (ko) 뼈 조직 밀링용의, 특히 서머스 기술에 따라 상악동을 거상하거나, 엑스트라 쇼트 임플란트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도구
CN105992561B (zh) 具有效应器的人工引导的材料和组织切割工具的移除率的可控调节方法和系统及效应器
TWI563986B (zh) 植牙手術導引裝置組
US6506198B1 (en) Corneal surgical apparatus
KR102157434B1 (ko)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2105200B1 (ko) 임플란트 시스템
KR101481305B1 (ko) 임플란트 수술용 수술가이드 제작방법
JP6593180B2 (ja) 医療支援装置
EP2995285A1 (en) Trephine guide
KR102009404B1 (ko)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20130034315A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KR101219150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 가이드 제작 방법
KR102187164B1 (ko) 근관장 측정장치
KR100852572B1 (ko) 치과용 의료 기기
JP2006122654A (ja) 角膜手術装置及び角膜手術用ブレード
KR20160017996A (ko) 시야 확보가 용이한 캐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