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792A -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792A
KR20200104792A KR1020190179496A KR20190179496A KR20200104792A KR 20200104792 A KR20200104792 A KR 20200104792A KR 1020190179496 A KR1020190179496 A KR 1020190179496A KR 20190179496 A KR20190179496 A KR 20190179496A KR 20200104792 A KR20200104792 A KR 20200104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seller
electronic
user
confi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785B1 (ko
Inventor
임지훈
정민석
오제형
김형년
Original Assignee
두나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나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나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기재된 실시예는 사용자 사이에서 비상장주식이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비상장주식이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의 체결에 따라,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거래 계약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비상장주식의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OF SUPPORTING TRANSACTIONS OF UNLISTED SECURITIES}
기재된 실시예는 사용자 사이에서 비상장주식이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식 투자자는 증권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다. 주식 투자자는 거래 중개사(intermediary)가 제공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증권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주식 투자자는 개설된 증권계좌에 현금을 입금함으로써 증권계좌에 보유된 예수금의 액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주식 투자자는 증권계좌에 보유된 예수금을 이용하여 특정한 주식에 대한 매수 주문을 할 수 있다.
주식 투자자는 코스피 시장 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지 않은 비상장주식에 대하여도 거래할 수 있다. 그러나, 비상장주식에 대하여는 공개적인 단일 시장이 준비되어 있지 않아서 거래 과정 및 거래 결과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상장주식의 거래에 대하여는 증권거래소와 같은 공인된 시장 관리자가 중개를 하고 있지 않으므로, 비상장주식이 거래되는 과정이 불편할 수 있고 비상장주식을 거래하는 주식 투자자는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사이에서 비상장주식이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비상장주식에 대해서 중복된 매도 주문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하여, 비상장주식이 이중 양도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전자문서를 기초로 한 매도 주문으로서 상기 주식에 대한 매도 주문을 거래 중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상기 매도 주문을 기초로 한 거래가 체결된 후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이전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가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주식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상기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주식을 보유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주식을 보유한다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중개 서버가 접근할 수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계정에 상기 제1 전자문서가 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 언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이전받는 단계는, 상기 제2 계정으로부터 상기 제1 전자문서가 언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 및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가 모두 상기 제1 사용자임이 인증되면, 상기 제2 계정에 상기 제1 전자문서가 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 언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단말 또는 상기 기업의 명의개서 대리인의 단말에 명의개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명의개서가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2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전자문서를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는 상기 주식의 일부를 대상으로 한 거래이고, 상기 제2 전자문서는 상기 거래의 대상인 상기 주식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주식 중에서 상기 거래의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응하는 제3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3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는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대상으로 한 거래이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의 대상인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4 전자문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를 기초로 한 매도 주문으로서 상기 주식에 대한 매도 주문을 거래 중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상기 매도 주문을 기초로 한 거래가 체결된 후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이전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에 이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를 제1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를 기초로 한 매도 주문으로서 상기 주식에 대한 매도 주문을 제2 거래 중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문서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이전됨으로써 상기 전자문서가 상기 제2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된 후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상기 매도 주문을 기초로 한 거래가 체결되면 상기 제2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문서를 이전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상기 비상장주식이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의 체결에 따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 계약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비상장주식의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를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생성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주식이 어느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거래 중개사에 의해서만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전송한 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한 뒤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삭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고,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를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폐기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후,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응하는 기업 사용자 단말에,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명의를 상기 매수자로 변경하기 위한 명의개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명의개서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전, 상기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응하는 기업 사용자 단말에, 상기 매도자에 대한 주주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주확인 결과 및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명의자인 상기 매도자가 계정 소유자라고 인증된 매도자 계정에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거래 지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중개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 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상기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검증용 정보는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 중 사용자 검증 코드의 산출에 이용하기로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거래 지원사 및 거래 중개사가 접근 가능한 상기 제1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정보는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이고, 상기 거래 중개사는 접근 불가능한 제2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저장소 및 상기 제2 저장소는 서로 분리된 저장소들일 수 있다.
상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후,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의 일부인 제1 수량에 대해 거래 계약이 체결된 경우,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기 거래 계약이 체결된 상기 제1 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인 제2 수량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상기 비상장주식이 제1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주식을 매물로 등록한 거래 중개사를 상기 제1 거래 중개사에서 제2 거래 중개사로 변경하기 위한 거래 중개사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및 상기 비상장주식이 상기 제2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상기 비상장주식이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의 체결에 따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 계약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비상장주식의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를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생성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주식이 어느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거래 중개사에 의해서만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전송한 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한 뒤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삭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고,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를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폐기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후,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응하는 기업 사용자 단말에,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명의를 상기 매수자로 변경하기 위한 명의개서를 요청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명의개서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전, 상기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응하는 기업 사용자 단말에, 상기 매도자에 대한 주주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주확인 결과 및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명의자인 상기 매도자가 계정 소유자라고 인증된 매도자 계정에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대응하는 거래 지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중개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 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사이에서 비상장주식이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비상장주식에 대해서 중복된 매도 주문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하여 비상장주식이 이중 양도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른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된 초기 화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회원 가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매도자의 단말에 표시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접속 화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매도자의 단말에 표시된 거래 중개사 서버 접속 화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매수자의 단말에 표시된 매물 정보 화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 및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른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 기업 사용자 단말(130) 및 거래 중개사 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을 매도하고자 하는 매도자의 단말 또는 비상장주식을 매수하고자하는 매수자의 단말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할 수 있다. 기업의 비상장주식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은 도 1의 기업 사용자 단말(130)에 대응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의 서버는 도 1의 거래 중개사 서버(140)에 대응할 수 있다.
매도자 또는 매수자의 사용자 단말(110)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에 매도자가 소유한 비상장주식의 전자확인서를 생성 요청하거나, 거래 중개사 서버(140)에 매도 주문 또는 매수 주문이 생성되도록 요청하고,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 또는 거래 중개사 서버(140)로부터 요청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매도자 또는 매수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 기업 사용자 단말(130) 및 거래 중개사 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기업의 주주명부, 비상장주식의 전자확인서 및 거래 중개사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거래 내역이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는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기업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전자확인서 생성에 대해 승인을 받아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고,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140)에 이전하고, 거래 중개사 서버(14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거래 내역에 따라 매도자의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아 폐기하고, 매수자의 전자확인서를 새로이 생성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확인서의 생성은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고, 전자확인서가 생성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전자확인서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자확인서의 폐기는 전자확인서를 삭제하고, 전자확인서가 폐기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전자확인서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자확인서의 이전은 전자확인서를 다른 주체로 전송한 후, 또는 전자확인서를 다른 주체로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에 저장된 전자확인서를 삭제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주체는 다른 주체로부터 전자확인서를 수신한 뒤, 해당 다른 주체에 저장된 전자확인서의 삭제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확인서는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으로부터 발급되는 전자주권미발행확인서, 또는 상기 기업으로부터 수행되는 주주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발급되는 별도의 확인서 등의 매도자가 상기 비상장주식의 소유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전자문서 형식의 확인서를 망라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확인서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 또는 거래 중개사 서버(140)에 등록된 매도자 또는 매수자의 신원 확인이 수행된 계정에 저장되고, 어느 특정 사용자의 전자확인서는 해당 사용자의 신원 확인이 수행된 계정을 통해서만 복사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신원 확인은 사용자의 실명에 대한 확인 절차, 또는 상기 실명에 대한 확인 외에 고객신원확인(KYC, Know Your Customers) 제도에 따른 추가 정보 확인을 통한 절차, 사용자의 자금세탁 위험도 평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한 강화된 확인 절차를 망라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전자확인서는 블록체인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서비스들에 대해 등록된 매도자 계정들 사이에서의 상기 전자확인서의 모든 이동에 대한 기록 역시 상기 블록체인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 상기 전자확인서가 이동하였음을 의미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하나의 블록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확인서의 생성은 전자확인서에 대응하는 토큰(token)이 매도자의 제1 계정에 대응하는 제1 토큰 지갑 주소에서 생성(create)되도록, 토큰 발급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토큰 지갑 주소에 상기 토큰을 생성한 뒤, 상기 토큰이 상기 제1 토큰 지갑 주소에 전송(transfer)되도록, 토큰 전송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확인서의 이전은 상기 제1 토큰 지갑 주소에 저장된 상기 토큰이 매도자의 제2 계정에 대응하는 제2 토큰 지갑 주소로 전송되도록, 토큰 전송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확인서의 폐기는 상기 제1 토큰 지갑 주소 또는 상기 제2 토큰 지갑 주소에 저장된 상기 토큰이 소각(burn)되도록, 토큰 소각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확인서에 대응하는 토큰은 전송 가능한 최소 단위의 토큰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큰은 어느 하나의 시점에 어느 하나의 토큰 지갑 주소에만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확인서에 대응하는 토큰은 어느 하나의 토큰을 다른 하나의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은 공개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또는 폐쇄형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은 채굴(mining)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체인은 폐쇄형 블록체인이고,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은 각각의 거래 중개사들이 운용하는 노드(node)에 의해 생성되고 검증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노드는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권한증명(PoA, Proof of Authority)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확인서 및 전자확인서의 모든 이동에 대한 기록이 블록체인 상에 저장됨으로써, 전자확인서의 내용 및 전자확인서의 이동에 대한 기록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기업 사용자 단말(130)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에 기업이 발행한 비상장주식의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로부터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업의 비상장주식을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기업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기업 사용자 단말들(130-1, 130-2, … 130-N)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복수의 기업 사용자 단말들(130-1, 130-2, … 130-N)을 하나의 기업 사용자 단말(130)로 취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거래 중개사 서버(140)는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을 매물로 등록하고,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상기 매물에 대한 거래 합의가 이뤄진 경우, 상기 합의 내용에 대응하는 매도자의 매도 주문 및 매수자의 매수 주문에 기초하여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을 체결시키고, 거래 정보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도자의 매도 주문 및 매수자의 매수 주문에 기초하여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을 체결시키는 것을 통해 매도 주문 및 매수 주문이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거래 중개사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거래 중개사 서버들(140-1, 140-2, … 140-N)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거래 중개사 서버(140-1)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전자확인서를 제2 거래 중개사 서버(140-2)에 이전할 수 있다.
제1 거래 중개사 서버(140-1)는 제2 거래 중개사 서버(140-2)에 직접 전자확인서를 이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거래 중개사 서버(140-1)는 전자확인서의 이전에 대한 확인 과정을 위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를 경유하여 제2 거래 중개사 서버(140-2)에 전자확인서를 이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복수의 거래 중개사 서버들(140-1, 140-2, … 140-N)을 하나의 거래 중개사 서버(140)로 취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10),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 기업 사용자 단말(130) 및 거래 중개사 서버(140)는 통신망(15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150)은 사용자 단말(110),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 기업 사용자 단말(130) 및 거래 중개사 서버(14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접속 경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150)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먼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전자확인서는 매도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일 수 있다.
전자확인서의 생성은, 특정 비상장주식에 대한 전자문서 형태의 전자확인서의 생성과 더불어,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상태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전자확인서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도록 갱신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전자확인서 생성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가 '생성됨'인 경우,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해 생성된 전자확인서가 폐기되어 상태 정보가 '폐기됨'으로 갱신되기 전까지는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해 추가적인 전자확인서의 생성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는 특정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가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특정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단말에 매도자가 상기 특정 주식을 보유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매도자가 상기 특정 주식을 보유한다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확인서는 전자확인서의 명의자가 계정 소유자라고 인증된 계정에만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명의자인 매도자가 계정 소유자라고 인증된 매도자 계정에만 저장될 수 있고, 거래 지원 서비스의 예를 들면, 상기 매도자가 계정 소유자라고 인증된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대응하는 거래 지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지원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매도자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는, 매도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에 매핑(ma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 및 상기 전자 문서 간에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또는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에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내용 조회, 이전 및 폐기 등을 위한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비상장주식이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할 수 있다(S220).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다른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존의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확인서는 어느 하나의 계정에만 저장되도록 어느 하나의 계정에서 다른 하나의 계정으로 전송된 후에는 기존 계정에 저장된 전자확인서가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서 거래 중개사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먼저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되고,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저장될 수 있으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저장되어 있던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다른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존의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는 단계는, 매도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매도자의 거래 중개 서비스 계정에 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문서를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으로부터 언매핑(unma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매핑하는 단계는,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 및 상기 전자문서의 연결 관계를 해제하는 단계 또는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에 부여된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권한 일체를 박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는 매도자 계정에 저장되어 있고 동시에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이전 중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매도자 전자확인서에 대응하는 비상장주식을 매물로 등록할 수 있다. 즉, 거래 중개사는 매도자 계정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이전 중인 매도자 전자확인서에 대응되는 비상장주식의 경우에는 매물로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장주식이 어느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거래 중개사에 의해서만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하여, 비상장주식이 이중 양도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뒤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전자확인서를 주고받는 두 계정들이 동일한 사용자의 소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확인서를 주고받는 두 계정들이 동일한 사용자의 소유인 경우에만 전자확인서가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거래 중개사 서버에 식별자가 지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 코드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소유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신원 확인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신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검증 코드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신원 확인은 사용자의 실명에 대한 확인 절차, 또는 상기 실명에 대한 확인 외에 고객신원확인 제도에 따른 추가 정보 확인을 통한 절차, 사용자의 자금세탁 위험도 평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한 강화된 확인 절차를 망라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가 보유한 주식의 전자문서를 이전할 계정의 사용자 및 상기 전자문서를 이전 받을 계정의 사용자가 모두 매도자에 해당함이 인증되는 경우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고,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 검증 코드를 수신하고, 두 사용자 검증 코드들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검증 코드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의 소유자와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소유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으로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계정 소유자가 동일한 두 계정들 사이에서만 전자확인서가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복수의 주체들이 접근 가능한 저장소를 이용하여 전자확인서를 주고받는 두 계정들이 동일한 사용자의 소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거래 중개사 서버 각각은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 중 사용자 검증 코드의 산출에 이용하기로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구성된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제1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상기 제1 저장소와 분리된 제2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으며, 거래 중개사 서버는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저장소와 분리된 제3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소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거래 중개사 서버가 접근 가능한 저장소이고, 상기 제2 저장소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만이 접근 가능하고 거래 중개사 서버는 접근 불가능한 저장소이고, 상기 제3 저장소는 거래 중개사 서버만이 접근 가능하고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접근 불가능한 저장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소는 블록체인이고, 제2 저장소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의 로컬 저장소이고, 제3 저장소는 거래 중개사 서버의 로컬 저장소일 수 있다.
복수의 거래 중개사 서버들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거래 중개사 서버들 각각은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자신만이 접근 가능한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검증용 정보는 제1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거래 중개사 서버들이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용 정보가 제1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제2 저장소에 저장된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고,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기초로 제2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고 두 사용자 검증 코드들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용 정보에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기초로하여 산출된 사용자 검증 코드와 동일한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익명(pseudonym)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익명 정보는 상기 익명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신원 정보를 도출할 수 없도록 상기 사용자 신원 정보에 대해 소정의 비가역적인 연산이 수행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의 소유자와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소유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주체들이 접근 가능한 저장소를 통해 사용자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면서도, 특정 주체에 의해 사용자 신원 정보가 제한 없이 획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의 체결에 따라,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거래 계약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을 수 있다(S230).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다른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다른 계정에 저장된 기존의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삭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는, 매도자의 거래 중개 서비스 계정으로부터 매도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가 언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문서를 매도자의 거래 지원 서비스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된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다른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된 후 매도자 및 매수자 사이에 거래가 체결되면 상기 다른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받을 수 있다.
어느 제1 중개사(증권사)를 통해 거래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매도자는 다른 중개사(증권사)에서 거래를 시도하길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매도자는 중개사(증권사) 또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요청하여 상기 제1 중개사(증권사)에서 제2 중개사(증권사)로 전자확인서가 이전되도록 하고 제2 중개사(증권사)를 통해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할 수 있다(S240).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하는 단계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와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한 뒤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거나,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한 뒤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거나,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것과 동시에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단말 또는 상기 기업의 명의개서 대리인의 단말에 명의개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명의개서가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확인서의 폐기는, 특정 비상장주식에 대한 전자문서 형태의 전자확인서의 삭제와 더불어,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상태 정보의 갱신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전자확인서가 폐기되었음을 나타내도록 갱신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전자확인서 생성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가 '폐기됨'인 경우,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해 전자확인서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가 상기 비상장주식을 매수자에게 양도한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양도 통지서가 기업에 확정일자 있는 증서(예를 들어, 내용 증명 우편)로 송부되었음을 나타내는 양도 사실 통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양도 사실 통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 없이 상기 양도 사실 통지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여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의 일부인 제1 수량에 대해서만 거래 계약이 체결된 경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비상장주식의 거래 계약이 체결된 제1 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인 제2 수량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고, 제1 수량에 대해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대상으로 한 거래가 체결된 경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주식 전체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의 대상인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주식 전체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후에,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를 매수자의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거래는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대상으로 한 거래이고,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는 상기 거래의 대상인 상기 주식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상기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주식 중에서 상기 거래의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를 매도자의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도 3의 거래 지원사(320)에 대응할 수 있다. 기업 사용자 단말은 도 3의 기업(330)에 대응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도 3의 거래 중개사(340)에 대응할 수 있다.
거래 지원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매도자 계정은 도 3의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311a)에 대응하고, 거래 중개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매도자 계정은 도 3의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312a)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계정들(311a, 312a)은 매도자의 신원 확인이 수행된 계정들일 수 있다.
거래 지원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매수자 계정은 도 3의 매수자@지원서비스 계정(311b)에 대응하고, 거래 중개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매수자 계정은 도 3의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312b)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매수자 계정들(311b, 312b)은 매수자의 신원 확인이 수행된 계정들일 수 있다.
기업(330)은 비상장주식을 발행하고, 비상장주식의 거래를 거래 지원사(320)에 위탁할 수 있다.
거래 지원사(320)는 매도자의 요청에 따라 기업(330)에 매도자에 대한 주주확인을 요청하고, 매도자가 주주임이 확인되면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311a)에 매도자 명의의 전자확인서(325a)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확인서(325a)의 일 예로 전자주권미발행확인서가 발급될 수 있으며, 전자주권미발행확인서에는 상호, 주식의 종류, 1주의 액면금액, 주식수, 주주명, 발행일 또는 대표이사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매도자의 요청에 따라 거래 지원사(320)는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311a)에 저장된 전자확인서(325a)를 거래 중개사(340)에 이전할 수 있으며, 전자확인서(325a)는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312a)에 저장될 수 있다.
거래 중개사(340)는 전자확인서(325a)의 내용에 기초하여 비상장주식을 매물로 등록하여 사용자들이 해당 매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매물에 대한 매수자의 매수 주문이 있는 경우, 거래 계약을 체결시키고, 거래 내역을 거래 지원사(320)에 실시간 보고할 수 있다.
거래 지원사(320)는 매도자로부터 매수자로 비상장주식의 소유권이 이전될 수 있도록,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312a)에 저장된 전자확인서(325a)를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311a)으로 이전 받은 뒤, 기업(330)에 명의개서를 요청하고, 명의개서가 완료되면 전자확인서(325a)를 폐기하고, 매수자@지원서비스 계정(311b)에 매수자 명의의 전자확인서(325b)를 생성할 수 있다.
거래 지원사(320)는 매수자@지원서비스 계정(311b)에 저장된 전자확인서(325b)를 거래 중개사(340)에 이전할 수 있으며, 전자확인서(325b)는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312b)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은 도 4의 매도자(310a)에 대응할 수 있다. 매수자의 사용자 단말은 도 4의 매수자(310b)에 대응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도 4의 거래 지원사(320)에 대응할 수 있다. 기업 사용자 단말은 도 4의 기업(330)에 대응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도 4의 거래 중개사(340)에 대응할 수 있다.
매도자(310a)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거래 지원사(320)에 자신이 소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한 전자확인서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410).
전자확인서의 내용은 주식의 종류에 대한 정보, 주식의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주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기업(330)에 매도자(310a)의 주주확인 및 매도자 명의로 된 전자확인서 생성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411).
기업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매도자(310a)가 주주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420),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생성을 승인할 수 있다. 기업 사용자의 단말은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421).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거래 지원사(320)의 매도자 계정인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에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생성 사실을 기업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할 수 있다(S431).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에서, 거래 중개사(34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인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으로 이전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와 동일한 내용의 사본이 다른 사용자 계정에 남아있지 않도록 관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매도자(310a)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거래 지원사(320)에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거래 중개사 서버로의 전송을 요청하고,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310a)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이 존재하는 경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고(S431),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S432).
한편, 매수자(310b)는 거래 중개사(34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포함하는 회원 가입을 수행하여,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포함된 예수금 계좌로 예수금이 입금되는 경우, 예수금을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연결하고, 매수자(310b)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연결된 예수금 금액을 확인할 수 있고, 예수금을 비상장주식 등의 거래 시의 대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34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매수자 계정에는 예수금이 연결되기 위한 예수금 계좌와 전자확인서가 저장되기 위한 주주확인주소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즉,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포함된 예수금 계좌에 매수자(310b)로부터 입금된 예수금이 연결되고,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포함된 주주확인주소에 매수자(310b)가 매수한 비상장주식에 대해 새로이 생성된 전자확인서가 저장될 수 있다.
매도자(310a)로부터 비상장주식에 대한 매도주문이 있는 경우, 거래 중개사 서버는 해당 비상장주식을 매물로서 등록하고, 매수자(310b)로부터 매도 주문에 대응하는 매수 주문이 있는 경우,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도자(310a) 및 매수자(310b) 간의 해당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S440).
거래 계약의 이행을 위해, 거래 중개사 서버는 먼저,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연결된 예수금에서 비상장주식의 거래대금에 기초한 증거금을 차감할 수 있다(S441). 거래 중개사 서버는 거래 정보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하고, '매도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이전할 수 있다(S442).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저장할 수 있다(S443).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기업(330)에 비상장주식의 소유주를 매도인(310a)에서 매수인(310b)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의개서 및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응하여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 생성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444).
기업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거래 내역에 기초하여 명의개서를 수행하고(S450),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의 생성을 승인할 수 있다. 기업 사용자의 단말은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451).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고, 거래 지원사(320)의 매수자 계정인 '매수자@지원서비스' 계정에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할 수 있다(S460).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수자 전자확인서의 생성 사실 또는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폐기 사실을 기업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할 수 있다(S461).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저장하고(S462), '매수자@중개서비스' 계정에 연결된 예수금에서 기 차감된 증거금을 제외한 나머지 거래대금을 차감하여 거래대금 정산을 완료할 수 있다(S470).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은 도 5의 매도자(310a)에 대응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도 5의 거래 지원사(32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는 도 5의 제1 거래 중개사(340a)에, 제2 거래 중개사 서버는 도 5의 제2 거래 중개사(340b)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매도자(310a)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자신이 소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한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제2 거래 중개사 서버로 이전되도록 거래 중개사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S510).
즉, 매도자(310a)는 제1 거래 중개사(340a)가 제공하는 제1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인 '매도자@제1중개서비스' 계정에 저장된 기존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제2 거래 중개사(340b)가 제공하는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인 '매도자@제2중개서비스' 계정으로 이전할 것을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도자(310a)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거래 중개사 변경 요청 정보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하고, '매도자@제1중개서비스' 계정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이전할 수 있다(S520).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매도자@지원서비스'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S521).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거래 중개사 변경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을 대상인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할 수 있다(S530).
제2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매도자@제2중개서비스' 계정에 저장하여 거래 중개사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S531).
선택적 실시예로서, 매도자(310a)는 거래 지원사(320)에 거래 중개사 변경을 요청하고,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310a)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은 뒤, 이를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이전하여 거래 중개사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된 초기 화면이다.
비상장주식을 매도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접속에 대한 결과로서, 사용자의 단말은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정보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제공하고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의 회원으로서 가입하거나, 사용자가 이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의 회원으로서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 초기 화면에는 주주 확인이 가능한 업체들의 목록(51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주 확인이 가능한 업체들 중 어느 하나의 업체의 비상장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주주 확인을 거쳐, 해당 비상장주식을 거래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 초기 화면에는 비상장주식 매물을 중개할 수 있는 거래 중개사들의 목록(52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해 주주 확인을 거친 뒤, 자신이 원하는 거래 중개사에 해당 비상장 주식을 매물로 등록하여 거래할 수 있다.
비록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거래 중개사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정보를 거래 중개사의 서버에 제공하고 거래 중개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회원으로서 가입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회원 가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사용자가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서비스에 회원으로서 가입할 때,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사용자의 실명에 대한 확인을 포함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회원 가입 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사용자의 실명, 생년월일 및 휴대전화 번호의 입력을 통한 휴대전화 실명 인증(610) 및 사용자의 신분증 입력(620) 절차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및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명의의 전자확인서를 저장하기 위한 계정을 생성(630)할 수 있다.
비록 도 7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거래 중개사의 서버에 접속하고, 거래 중개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인증이 포함된 회원 가입 절차를 밟을 수 있고, 거래 중개사 서버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명의의 전자확인서를 저장하기 위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매도자의 단말에 표시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접속 화면이다.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고, 매도자의 단말은 매도자가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주식의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의 관리 화면에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 주소(710), 예를 들어 주주확인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매도자가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주식에 대해 생성된 매도자 명의의 전자확인서는 상기 매도자 계정 주소(71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매도자 계정 주소(710)에 복수의 전자확인서들이 저장된 결과로 비상장주식의 관리 화면에는 상기 매도자 계정 주소(710)에 저장된 전자확인서들에 대응하는 비상장주식 목록(720)이 표시될 수 있다.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목록(720)에서 어느 한 종목을 전송 대상으로 선택(730)하고, 해당 종목에 대응하는 전자확인서가 전송될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 주소를 입력(750)함으로써, 상기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하라는 요청을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 주소는 매도자가 거래 중개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인증이 포함된 회원 가입 절차를 밟아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생성된 계정의 주소일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 주소가 매도자에 대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고, 매도자의 단말로부터 전송 요청된 전자확인서를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확인서가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 주소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목록(720)에서 어느 한 종목을 전자확인서 폐기 대상으로 선택(740)함으로써, 해당 종목에 대응하는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라는 요청을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는 매도자의 단말로부터 폐기 요청된 전자확인서를 폐기하고, 비상장주식의 관리 화면에는 폐기된 전자확인서에 대응하는 종목이 제거된 비상장주식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매도자의 단말에 표시된 거래 중개사 서버 접속 화면이다.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고, 매도자의 단말은 매도자가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한 비상장주식의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의 관리 화면에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 주소(810) 및 상기 매도자 계정 주소(810)에 저장된 전자확인서들에 대응하는 비상장주식 목록(820)이 표시될 수 있다.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목록(820)에서 어느 한 종목을 매도 대상으로 선택(830)하고, 매도 수량 및 주당 희망 가격을 입력(852)함으로써, 매도 주문을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상기 매도 주문을 수신하고, 상기 매도 주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목록(820)에서 어느 한 종목을 전송 대상으로 선택(840)하고, 해당 종목에 대응하는 전자확인서가 전송될 다른 거래 중개사의 매도자 계정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전자확인서를 다른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하라는 요청을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먼저, 제2 거래 중개사 서버가 제공하는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는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매도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거래 중개사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이 존재하는 경우,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는 매도자의 전자확인서를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는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전자확인서를 삭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확인서는 제1 거래 중개사 서버가 제공하는 제1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부터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전자확인서와 동일한 내용의 사본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자확인서가 제1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부터 제2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 이동하면, 상기 매도 주문은 취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저장된 상기 매도 주문에 대한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도자의 전자확인서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에 대해 등록된 매도자 계정들 사이에서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확인서와 동일한 내용의 사본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되고 중복된 매도 주문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됨으로써, 상기 전자확인서에 대응하는 비상장주식이 이중으로 양도될 위험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매수자의 단말에 표시된 매물 정보 화면이다.
매수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거래 중개사 서버에 판매 대상으로 등록된 비상장주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매수자의 단말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매도자의 매도 주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매수자의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매수가능한 비상장주식 목록(910)을 표시할 수 있다.
매수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장주식 목록(910)에서 어느 한 종목을 매수 대상으로 선택(920)하여, 매수 주문을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상기 매수 주문을 수신하고, 상기 매도 주문 및 상기 매수 주문을 체결할 수 있다. 거래 중개사 서버는 상기 체결에 대한 결과로서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상기 체결에 대응하는 비상장주식에 대응하는 전자확인서를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거래 중개사 서버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전자확인서를 삭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확인서는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부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전자확인서와 동일한 내용의 사본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거래 중개사 서버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에 상기 전송된 전자확인서의 폐기 요청 및 매수자를 위한 새로운 전자확인서의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12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매체, 비분리형 매체, 통신 매체, 또는 정보 전달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30)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사이에서 비상장주식이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130: 기업 사용자 단말 140: 거래 중개사 서버

Claims (22)

  1.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전자문서를 기초로 한 매도 주문으로서 상기 주식에 대한 매도 주문을 거래 중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상기 매도 주문을 기초로 한 거래가 체결된 후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이전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가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주식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상기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주식을 보유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주식을 보유한다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중개 서버가 접근할 수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계정에 상기 제1 전자문서가 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 언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이전받는 단계는,
    상기 제2 계정으로부터 상기 제1 전자문서가 언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 및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가 모두 상기 제1 사용자임이 인증되면, 상기 제2 계정에 상기 제1 전자문서가 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 언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단말 또는 상기 기업의 명의개서 대리인의 단말에 명의개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명의개서가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2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전자문서를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는 상기 주식의 일부를 대상으로 한 거래이고,
    상기 제2 전자문서는 상기 거래의 대상인 상기 주식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주식 중에서 상기 거래의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응하는 제3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3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는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대상으로 한 거래이고,
    상기 제1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의 대상인 상기 주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4 전자문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9.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를 기초로 한 매도 주문으로서 상기 주식에 대한 매도 주문을 거래 중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상기 매도 주문을 기초로 한 거래가 체결된 후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이전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에 이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0.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를 제1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를 기초로 한 매도 주문으로서 상기 주식에 대한 매도 주문을 제2 거래 중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문서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이전됨으로써 상기 전자문서가 상기 제2 거래 중개 서버에 이전된 후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상기 매도 주문을 기초로 한 거래가 체결되면 상기 제2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체결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거래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문서를 이전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1.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상기 비상장주식이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의 체결에 따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 계약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비상장주식의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를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생성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주식이 어느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거래 중개사에 의해서만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전송한 뒤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한 뒤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저장된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삭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삭제하고,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를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폐기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후,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응하는 기업 사용자 단말에,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명의를 상기 매수자로 변경하기 위한 명의개서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명의개서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수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전,
    상기 비상장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응하는 기업 사용자 단말에, 상기 매도자에 대한 주주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주확인 결과 및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는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의 명의자인 상기 매도자가 계정 소유자라고 인증된 매도자 계정에만 저장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거래 지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중개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가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검증 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는
    상기 매도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수신할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검증용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검증 코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검증 코드 및 상기 제2 사용자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검증용 정보는
    상기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거래 중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 중 사용자 검증 코드의 산출에 이용하기로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거래 지원사 및 거래 중개사가 접근 가능한 상기 제1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정보는
    상기 거래 지원 서비스의 매도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이고, 상기 거래 중개사가 접근 불가능한 제2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저장소 및 상기 제2 저장소는 서로 분리된 저장소들인,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후,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장주식의 일부인 제1 수량에 대해 거래 계약이 체결된 경우, 상기 비상장주식의 상기 거래 계약이 체결된 상기 제1 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인 제2 수량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21.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상기 비상장주식이 제1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제1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주식을 매물로 등록한 거래 중개사를 상기 제1 거래 중개사에서 제2 거래 중개사로 변경하기 위한 거래 중개사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및
    상기 비상장주식이 상기 제2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제2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방법.
  22.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매도자 소유의 비상장주식에 대해 매도자 명의로 된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기초로 상기 비상장주식이 거래 중개사에 의해 매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중개사에 대응하는 거래 중개사 서버에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주식에 대한 거래 계약의 체결에 따라,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 계약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 중개사 서버로부터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이전 받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 전자확인서를 상기 비상장주식의 매수자 명의로 된 매수자 전자확인서로 변경하는 단계
    의 수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KR1020190179496A 2019-02-27 2019-12-31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368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18 2019-02-27
KR20190023518 2019-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92A true KR20200104792A (ko) 2020-09-04
KR102368785B1 KR102368785B1 (ko) 2022-03-03

Family

ID=7247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96A KR102368785B1 (ko) 2019-02-27 2019-12-31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358B1 (ko) * 2022-02-28 2023-07-17 주식회사 트루테크놀로지스 다수 네트워크 간의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152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주주명부를 등록하고 주식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70099155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주식을 발행하여 분배하고 발행된 주식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152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주주명부를 등록하고 주식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70099155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주식을 발행하여 분배하고 발행된 주식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358B1 (ko) * 2022-02-28 2023-07-17 주식회사 트루테크놀로지스 다수 네트워크 간의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85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JP6364132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取引記録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1391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clearing and settling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US8275636B2 (en) Identity insurance transaction method
JP2002117361A (ja) 電子決済方法及び電子決済システム
KR20130141718A (ko) 온라인 인증 서비스 방법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098252A1 (zh) 基于区块链的资金数字化流转支付清算方法及装置和介质
JP2023518923A (ja) デジタル資産交換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20190119906A (ko) 블록체인 기반 중개 시스템
KR102146134B1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선물 거래방법
KR20200116042A (ko) 가상자산에 의한 제1 결제수단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스템과 연동하여 비-가상자산에 의한 제2 결제수단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결제대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대행 방법
KR102368785B1 (ko) 비상장주식 거래 지원 장치 및 방법
WO2023201359A2 (en) Method, controll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etecting expiration of a unique cryptographic identifier on a distributed transfer network
KR20210043278A (ko)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관리 방법
JP2007047999A (ja) 証券決済残高管理システム及び証券決済残高管理プログラム
JP2020024668A (ja) 資産管理システム及び資産管理方法
KR20190090520A (ko) 암호 화폐 지갑 기반의 암호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1768A (ko) 부동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46133B1 (ko)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선물 거래소 운영 시스템
KR101519097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50022948A (ko)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54041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데이터 거래 방법 및 데이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645868B1 (ko)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