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391A - 카트리지 및 e-베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e-베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391A
KR20200104391A KR1020207022256A KR20207022256A KR20200104391A KR 20200104391 A KR20200104391 A KR 20200104391A KR 1020207022256 A KR1020207022256 A KR 1020207022256A KR 20207022256 A KR20207022256 A KR 20207022256A KR 20200104391 A KR20200104391 A KR 20200104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heater
housing
exemplary embodim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111B1 (ko
Inventor
모쉬 엘리야후
셰무엘 가브리엘로브
유발 말카
데이비드 루블
란가라지 에스. 순다르
크리스토퍼 에스. 터커
아리 베이겐스베르그
이삭 베이겐스베르그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862,823 external-priority patent/US10143239B2/en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0010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e-베이핑 장치(10)의 카트리지(1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50), 하우징(50) 내의 저장부(5), 하우징(50) 내의 히터(115'), 및 흡수성 물질(1960)을 포함하고 있다. 저장부(5)는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히터(115')는 타원 형상에 대해 병진하여 그것을 통하는 채널을 정의하는 사인파 형상 부재(1620)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물질(1960)은 사인파 형상 부재(16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흡수성 물질(1960)은 저장부(5)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E-베이핑 장치
본 발명은 기화기에 증기-전 제제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베이핑 장치 또는 e-베이핑 장치의 서펜타인 히터 및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e-베이핑 장치는 히터 요소를 포함하며, 히터 요소는 증기-전 제제를 기화시켜 "증기"를 생성한다.
e-베이핑 장치는 재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장치 내에 배열되어 있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배터리는 히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증기-전 제제를 증기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히터가 가열되도록 한다. 증기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e-베이핑 장치를 빠져나간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하우징 내의 저장부로,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부; 제1 연결기 피스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1 채널을 정의하는 제1 연결기 피스; 제1 채널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포스트(post)로, 상기 포스트를 통하는 제2 채널을 정의하는, 상기 포스트; 하우징 내의 히터; 및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히터는 히터의 제1 말단에서의 제1 링, 히터의 제2 말단에서의 제2 링, 및 제1 링과 제2 링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사인파 형상 부재(sinusoidal shaped member)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링, 사인파 형상 부재, 및 제2 링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관형 히터의 제2 말단은 사인파 형상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포스트의 일부분 내에 있고 그에 연결되어 있다. 흡수성 물질은 사인파 형상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흡수성 물질은 저장부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는 내부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sheath)를 더 포함하고 있다. 덮개는 흡수성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덮개는 말단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말단 벽면은 말단 벽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배수(weep)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흡수성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통해 저장부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덮개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의 제1 말단은 상기 덮개의 일부분과 접촉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덮개는 포스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말단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말단 벽면은 그것을 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채널은 내부 관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는 하우징의 제1 말단 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고 있다. 마우스피스는 말단 벽면의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는 제1 연결기 피스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원통형 부재는 포스트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원통형 부재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이고, 원통형 부재는 덮개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핀(fin)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 벽면에 부착된 지지 관을 포함하고 있다. 핀들 사이의 공간은 저장부의 일부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내부 관의 제1 말단은 지지 관의 말단부와 끼워맞춰져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흡수성 물질의 중공형 원통을 포함하고 있다. 흡수성 물질은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저장부로서,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부; 외부 하우징 내의 내부 관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상기 내부 관의 외부 표면 사이에 있으며, 상기 내부 관은 그 내부에 공기 채널을 정의하고 있는, 상기 내부 관; 상기 내부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서, 상기 덮개는 말단 벽면 및 측방향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그 내부에 가열실을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말단 벽면을 통하는 공기 통로를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상기 덮개; 상기 덮개 내의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베이스 부분 및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덮개 내에 마찰 끼워맞춤되어 있고 상기 세장형 부분은 상기 덮개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 상기 가열실 내의 가열 코일; 상기 가열 코일과 접촉하고 있는 심지; 및 상기 개스킷의 세장형 부분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상기 덮개 내에 있고, 상기 심지는 상기 흡수성 물질과 접촉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개스킷은 베이스 부분을 통해 2개의 구멍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또한 제1 전기 리드(electrical lead); 및 제2 전기 리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전기 리드와 상기 제2 전기 리드의 각각은 상기 개스킷의 베이스 부분을 통해 상기 2개의 구멍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개스킷은 상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세장형 부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흐름 통로를 정의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공기 통로 및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베이스 부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정의하고 있고 상기 심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개스킷은 연결기 피스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저장부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저장부로서,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부; 외부 하우징 내의 내부 관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상기 내부 관의 외부 표면 사이에 있으며, 상기 내부 관은 그 내부에 공기 채널을 정의하고 있는, 상기 내부 관; 상기 내부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서, 상기 덮개는 말단 벽면 및 측방향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그 내부에 가열실을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말단 벽면을 통하는 공기 통로를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측방향 벽면 내부에 챔버를 정의하고 있는, 상기 덮개; 상기 가열실 내의 히터; 및 상기 개스킷의 세장형 부분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상기 덮개의 일부분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의 제1 말단에 있는 제1 링, 상기 히터의 제2 말단에 있는 제2 링, 및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사인파 형상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링, 상기 사인파 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링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는 코일형 히터이다.
본원의 비-한정적인 구현예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청구항들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첨부 도면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도면의 다양한 치수는, 명료성을 위해 과장되었을 수 있다.
도 1a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e-베이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a의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a의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의 II-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의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의 제3 사시도이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 및 내부 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편평한 형태인 도 7의 히터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편평한 형태인 히터의 확대도이다.
도 10a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0b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 및 전기 리드의 도면이다.
도 1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 및 전기 리드의 도면이다.
도 13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e-베이핑 장치의 배터리 부분의 도면이다.
도 14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면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7의 카트리지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결기의 제1 말단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9의 연결기의 제2 말단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일부 상세한 예시적인 구현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세부 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일 뿐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구현예는 많은 대안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구현예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지만, 그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며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그와 반대로, 예시적인 구현예는 예시적인 구현예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의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위에", "연결된", "결합된" 또는 "덮는" 것으로 지칭될 때, 이는 다른 요소 또는 층 직접 위에 있거나,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덮거나, 또는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 위에", "직접 연결된" 또는 "직접 결합된"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일한 번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 열거된 항목들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용어 제1, 제2, 제3 등이 본원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은 이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은 예시적인 구현예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예를 들어, "밑에", "아래", "하부", "위에", "상부" 등)는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의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에 대한 관계를 기술함에 있어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뿐만 아니라 사용 또는 작동 시 장치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 내의 장치가 뒤집혀 있다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아래" 또는 "밑"으로 기재된 요소는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위"에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용어 "아래"는 위와 아래의 배향 둘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장치는 달리 배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 본원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기술어는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예시적인 구현예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형 부정관사 "a", "an" 및 정관사 "the"는 문맥상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다(includes,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 comprising)"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기술된 특징, 수치, 단계, 작동,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규정하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수치, 단계, 작동,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구현예는 예시적인 구현예의 이상적인 구현예(및 중간 구조)의 개략도인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이처럼, 예를 들어 제조 기술 및 공차와 같은 결과물로서의 도면들의 형상으로부터의 변형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구현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를 들어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형상의 편차를 포함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예시적인 구현예가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것을 포함하는 용어는, 관련 분야의 맥락에서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도 1a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e-베이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베이핑 장치(10)는 카트리지(또는 제1 부분)(15) 및 배터리 부분(또는 제2 부분)(20)를 포함하며, 이들은 연결기(30)에서 함께 결합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5) 및 배터리 부분(20)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50, 50')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50, 50')은 대체로 원통형 횡단면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50) 및/또는 하우징(50')은 카트리지(15) 및 배터리 부분(20) 중 하나 이상을 따라 대체로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50) 및/또는 하우징(50')은 e-베이핑 장치의 제2 말단(45)에서보다 e-베이핑 장치(10)의 제1 말단(40)에서 더 큰 원주 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50)의 원주 및/또는 치수는 하우징(50')의 원주 및/또는 치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10)는 e-베이핑 장치의 제2 말단(45)에서의 말단 캡(55) 및 e-베이핑 장치의 제1 말단(40)에서의 마우스-말단 삽입부(60)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연결기(30)는 나사산, 꼭끼워 맞춤(snug-fit), 디텐트(detent), 클램프, 바요넷(bayonet), 및/또는 클래스프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연결기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5)는 연결기 바디부(30)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5)는 하우징(50, 5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2개 초과의 공기 유입구(35)는 하우징(50, 50')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의 공기 유입구(35)는 하우징(50, 50')에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5)는 외부 하우징(50, 50') 내에 연결기(3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어, 성인 베이퍼(vaper)의 손가락이 공기 유입구(35)를 폐색할 기회를 최소화하고/또는 감소시키고 흡인 저항(resistance -to-draw)(RTD)을 제어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구(35)는 실질적으로 일관된 RTD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구(35)는 e-베이핑 장치(10)가 약 30 mm 수위 내지 약 180 mm 수위(예를 들어, 약 60 mm 수위 내지 약 150 mm 수위 또는 약 80 mm 수위 내지 약 120 mm 수위)의 범위인 RTD를 갖도록 크기 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10)는 약 80mm 내지 약 140mm 길이 및 약 7mm 내지 약 15mm 직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한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는 약 84mm의 길이일 수 있고, 약 7.8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10)는 Tucker 등이 2013년 1월 31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192623호에 설명된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이에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도 1b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a의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5)의 하우징(50)은 맑고 그리고/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래퍼 또는 라벨(112)은 하우징(50)의 적어도 일부분을 에워쌀 수 있다. 래퍼 또는 라벨(112)은 그 안에 절개부(114)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114)는 저장부(5)에 저장되는 증기-전 제제의 레벨이 시각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저장부(5) 위에 놓일 수 있다. 절개부(114)는 약 2mm 내지 약 10mm 폭 및 약 5mm 내지 약 20mm 길이일 수 있다. 절개부(114)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카트리지(15)의 원주 및/또는 길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래퍼 또는 라벨(112)은 저장부(5)에 남아 있는 증기-전 제제의 부피를 표시하는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아래에 논의됨).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래퍼 또는 라벨(112)은 스티커일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래퍼 또는 라벨(112)은 습기에 대해 카트리지(15)를 보호하기 위해 적층될 수 있다. 래퍼 또는 라벨(112)은 임의의 컬러일 수 있고 그 위에 인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래퍼 또는 라벨(112)은 부드럽거나 거칠 수 있다.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a의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의 II-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5)는 하우징(50)의 제2 말단에서의 제1 연결기 피스(70), 및 하우징(50)의 제1 말단 내의 마우스-말단 삽입부(60)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연결기 피스(70)는 베이스(75) 및 노우즈 부분(80)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75)는 단면이 대체로 원통형이고 그것의 내부 표면 상에 나사산 부분(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기 피스(70)의 나사산 부분(72)은 e-베이핑 장치(미도시함)의 배터리 부분(20)의 암형 연결기 피스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75)는 그것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오리피스를 정의하는 플랜지(85)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연결기 피스(70)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연결기 피스(7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기 피스(7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도성 금속 삽입부(77)는 제1 연결기 피스(70)로 삽입될 수 있다. 전도성 금속 삽입부(77)는 음극 접촉부일 수 있다. 전도성 금속 삽입부(77)는 대체로 링 형상일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리드(140)를 포함할 수 있어, 리드(140)는 베이스(75)의 플랜지(85) 내의 슬롯(90)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연결기 피스(70)는 연결기 바디부(70)의 제1 말단에서 노우즈 부분(80)을 포함하고 있다. 노우즈 부분(80)은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노우즈 부분(80)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채널(100)을 정의하는 제1 측벽면(95)을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기 전도성 포스트(105)는 베이스(75), 전도성 금속 삽입부(77), 및 제1 연결기 피스(70)의 노우즈 부분(80)의 제1 채널(100)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포스트(105)는 그것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채널(110)을 가질 수 있다. 제2 채널(110)은 제1 채널(100) 내에 네스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포스트(105) 상에 지지되고, 포스트(105)를 통해 제1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베이스(75)는 노우즈 부분(8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제1 연결기 피스(70)는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연결기 피스(70)는 다른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는 히터(115)로 증기-전 제제의 흐름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흡수성 패드(150) 및 인접한 제2 흡수성 패드(155)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흡수성 패드(150)는 포스트(105)를 둘러싸고 제2 흡수성 패드(155)는 포스트(105) 및 히터(115)를 둘러싼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5)는 단일의 흡수성 패드 또는 2 초과의 흡수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는 전체 포스트(105) 및/또는 전체 히터(115)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는 포스트(105) 및/또는 히터(115) 중 하나 이상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는 절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또는 히터(115)의 원주 주위에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부가적 흡수성 패드는 또한 히터(115)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미도시함).
제1 흡수성 패드(150)는 저장부(5) 내의 증기-전 제제(아래에 논의됨)가 히터(115)를 향해 더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액체에 더 전도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섬유 크기 및 재료의 밀도는 증기-전 제제의 원하는 흐름 속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섬유 크기는 약 5 미크론 내지 약 30μm(예를 들어, 약 8μm 내지 약 15μm)의 범위일 수 있다. 재료의 밀도 또는 세공 용적은 약 0.08g/cm3 내지 약 0.3g/cm3(예를 들어, 약 0.14g/cm3 내지 약 0.19g/cm3)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수성 패드(150)는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섬유의 조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섬유의 조합, 및/또는 PET 및 PP 섬유의 조합과 같은 고분자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수성 패드(150)는 PET 및 PP 섬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는 섬유의 대부분이 증기-전 제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 흡수성 패드(155)는 전도성보다 더 유지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실질적인 유지성 패드이다. 제2 흡수성 패드(155)는 제1 흡수성 패드(150)보다 히터(115)에 더 가깝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흡수성 패드(150)는 제2 흡수성 패드(155)보다 히터(115)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 흡수성 패드(155)는 비교적 높은 온도 안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재료는 섬유 유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수성 패드(155)의 두께는 열식 질량(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가열될 필요가 있는 액체의 양)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흡수성 패드(155)의 두께는 약 0.3mm 내지 약 2.0mm(예를 들어, 약 0.6mm 내지 약 0.8mm)의 범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흡수성 패드(150, 155)의 길이는 약 2mm 내지 약 10mm(예를 들어, 약 3mm 내지 약 9mm 또는 약 4mm 내지 약 8mm)의 범위일 수 있다. 제1 흡수성 패드(150)의 길이는 제2 흡수성 패드(155)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흡수성 패드(150)는 증기-전 제제가 제2 흡수성 패드(155) 및 히터(115)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증기-전 제제의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성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흡수성 패드(15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제1 흡수성 패드(150)가 히터(115)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내열성이 아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흡수성 패드(15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내열성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0)는 또한 덮개(165)를 포함하고 있다. 덮개(165)는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를 둘러싼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덮개(165)는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 중 하나 이상의 일부분 만을 둘러쌀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덮개(165)는 그 안에 배출구(180)를 갖는 말단 벽면(170)을 포함하고 있다. 배출구(180)는 포스트(105)의 제1 채널(100)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덮개(165)는 대체로 컵 형상일 수 있고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 및 히터(115) 위에 끼워맞춰지도록 크기 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덮개(165)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덮개(165)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165)는 저장부(5)로부터 히터(115) 및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를 격리시킨다(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됨). 상이한 전도성 및/또는 유지성 및/또는 열적 및/또는 기타 특성을 갖는 흡수성 패드 및 덮개의 임의의 조합은 원하는 레벨의 증기 질량, 온도, 누출, 면제 등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0)는 또한 그것을 통하는 내부 관 공기 통로(200)를 갖는 내부 관(190)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관 공기 통로(200)는 덮개(165) 내의 배출구(180) 및 포스트(105) 내의 제2 채널(110)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내부 관(190)은 금속 또는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내부 관(19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50)은 제1 연결기 피스(70)의 베이스(75)에 인접하고 있다. 하우징(50)은 덮개(165) 및 내부 관(19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5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하우징(50)은 성인 베이퍼가 저장부(5)에서 증기-전 제제의 레벨을 시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개스킷(12)은 내부 관(190)과 하우징(50) 사이에 있다. 개스킷(12)의 외부 둘레는 하우징(50)의 내부 표면과 밀봉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부(5)는 내부 관(190), 외부 하우징(50), 개스킷(12), 및 제1 연결기 피스(70)의 베이스(7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저장부(5)는 개스킷(12)을 통한 주입을 통해 증기-전 제제로 충진되며, 개스킷은 격막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부(5)는 e-베이핑 장치(10)가 적어도 약 200초 동안 베이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증기-전 제제를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e-베이핑 장치(10)는 각 퍼프가 약 10초 이하간 지속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증기-전 제제는 증기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전 제제는 물, 비드, 용매, 활성 성분, 에탄올, 식물 추출물, 천연 또는 인공 향미, 및/또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증기 형성제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액체, 고체, 및/또는 겔 제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부분(70)은 교체식일 수 있다. 즉, 카트리지(15)의 증기-전 제제가 고갈되면, 카트리지(15)가 교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부(5)는 또한 그 안에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저장 매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질은 내부 관(190) 주위에 면 가아제 또는 기타 섬유 재료의 와인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질은 면,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상 재료일 수 있다. 섬유는 약 6μm 내지 약 15μm(예를 들어, 약 8μm 내지 약 12μm 또는 약 9μm 내지 약 11μm) 크기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저장 매질은 소결형이거나, 다공성이거나 혹은 발포체형 재료일 수 있다. 또한, 섬유는 흡입할 수 없는 크기일 수 있고 Y자 형상, 십자 형상, 클로버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대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부(5)는 임의의 저장 매질이 없고 증기-전 제제만을 담는 충진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마우스-말단 삽입부(60)는 하우징(50)의 말단에 삽입된다. 마우스-말단 삽입부(60)는 마우스-말단 삽입부의 말단 표면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65)를 포함하고 있다. 배출구(65)는 내부 관(190)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내부 관 공기 통로(200)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말단 삽입부(60)는 적어도 2개의 배출구(65)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e-베이핑 장치(10)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비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배출구(65)는 e-베이핑 장치(10)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외향각을 이룰 수 있다. 배출구(65)는 증기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마우스-말단 삽입부(60)의 둘레 주변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베이핑 동안, 증기-전 제제는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의 모세관 작용을 통해 저장부(5) 및/또는 저장 매질(미도시함)로부터 히터(115)의 근거리로 전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5)는 증기-전 제제를 기화시키며, 증기-전 제제는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에 의해 저장부(5)로부터 흡인될 수 있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연결기 피스(70), 포스트(105), 및 히터(115)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제1 연결기 피스(70)는 제1 측벽면(95)의 외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채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채널(120)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채널(120)은 증기-전 제제가 저장부(5)로부터, 덮개(165) 아래로 그리고 및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 및 히터(115)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채널(120)은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의 제2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조립체는 도 3에서와 동일하지만, 히터(115)로부터 그리고 제1 흡수성 패드(150) 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2 히터 전기 리드(130)를 가지고 도시된다.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의 제3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조립체는 도 3 및 도 4에서와 동일하지만, 히터와 제2 전기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리드(140) 및 제2 히터 전기 리드(130)와 접촉하는 덮개(165)를 가지고 도시된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제1 히터 전기 리드(125)는 제1 전기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포스트(105)와 접촉하고 있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 조립체 및 내부 관의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조립체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동일하지만, 내부 관(190)과 결합되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관(190)은 제1 말단에서 덮개(165)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내부 관 베이스 부분(192)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관 베이스 부분(192)은 크기 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어, 덮개(165)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내부 관 베이스 부분(192) 내에서 유지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내부 관 베이스 부분(192)은 스냅 끼워맞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연결에 의해, 나사를 가진 덮개(165) 위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내부 관(190)은 약 2mm 내지 약 6mm(예를 들어, 약 4mm) 범위의 내경을 갖는다. 내부 관(190)은 그것을 통하는 내부 관 공기 통로(200)를 정의한다. 내부 관 공기 통로(200)는 포스트(105)를 통해 제2 채널(110)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의 히터의 확대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하지만,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5)는 복수의 로브(202)를 포함하고 있다. 히터(115)는 로브(202)의 제1 세트(205) 및 로브(202)의 제2 세트(210)를 포함할 수 있어, 히터(115)는 그것의 원주를 따라 대체로 서펜타인 또는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는다. 히터(115)은 대체로 서펜타인 또는 구불구불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의 시트와 같은 편평한 금속 시트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로브(202)는 대체로 편평할 수 있다. 히터(115)는 대체로 관형 및/또는 타원형(예를 들어, 원형) 히터를 형성하기 위해 컬링 및/또는 롤링된 것이다. 컬링 및/또는 롤링되면, 히터(115)는 히터(115)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공기 통로(300)를 정의한다. 로브(202)의 제1 세트(205)는 로브(202)의 제2 세트(210)보다 카트리지(15)의 제1 말단(40)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히터(115)는 카트리지(15) 및/또는 e-베이핑 장치(10)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공기 통로(300)는 제2 채널(110) 및 내부 관 공기 통로(200)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레이저 커팅, 광화학적 에칭, 전기화학적 밀링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히터(115)는 니켈-크롬 합금 또는 니켈-크롬-철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의 예는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륨 및 백금 군으로부터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금속 합금의 예는 스테인리스강, 니켈,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티타늄-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및 철-함유 합금, 그리고 니켈, 철, 코발트, 스테인리스강에 기반한 초합금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15)는 니켈 알루미나이드, 표면 상의 알루미나의 층을 갖는 물질, 철 알루미나이드 및 다른 복합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전기 저항성 재료는 요구되는 외부 물리화학적 특성과 에너지 전달 동역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연 물질에 매립되거나, 절연 물질로 캡슐화되거나 코팅되거나,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히터(115)는 전기화학적 에칭을 통해 완전히 제거되는 버(burr)를 가질 수 있다. 히터(115)는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구리 합금, 니켈-크롬 합금, 초합금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니켈-크롬 합금 또는 철-크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그것의 외측 표면 상에 전기 저항성 층을 갖는 세라믹 히터일 수 있다. 히터(115)는 약 3.1 옴 내지 약 3.5 옴(예를 들어, 약 3.2 옴 내지 약 3.4 옴)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활성화될 때, 히터(115)는 약 15초 미만 동안 히터(115)를 둘러싸는 제2 흡수성 패드(155)의 일부를 가열한다. 따라서, 전력 사이클(또는 최대 펌핑 길이)은 약 2초 내지 약 12초(예를 들어, 약 3초 내지 약 10초, 약 4초 내지 약 8초 또는 약 5초 내지 약 7초)의 기안의 범위일 수 있다.
히터(115)가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형상이 대체로 서펜타인이기 때문에, 제2 흡수성 패드(155)의 더 큰 양의 표면적은 와이어 또는 와이어 코일 히터와 비교하여 커버된다.
또한, 히터(115)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1 공기 통로(300)가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제2 흡수성 패드(155)가 히터(115)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므로, 증기는 카트리지(15)의 임의의 부분이 히터(115)로부터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 없이 형성됨에 따라 제1 공기 통로(300)로 흐른다.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편평한 형태인 도 7의 히터의 확대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5)는 도 2, 도 3, 및 도 7에서와 동일하지만, 제1 전기 리드(125) 및 제2 전기 리드(130)를 가지고 도시된다. 제1 전기 리드(125) 및 제2 전기 리드(130)는 로브(202)를 형성하는 히터(115)의 부분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리드(125) 및 제2 전기 리드(130)는 약 0.25mm 내지 약 1.0mm(예를 들어, 약 0.3mm 내지 약 0.9mm 또는 약 0.4mm 내지 약 0.7mm)의 범위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125, 130)의 폭은 약 0.5mm일 수 있다.
더욱이, 히터(115)는 히터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로질러 저항 분포를 제어하도록 디자인된다. 로브(202)의 폭(D2)은 히터(115)의 수직 부분의 폭(D1)보다 더 넓다. 그 결과, 로브(202)의 전기 저항이 더 낮아서, 로브(202)는 히터(115)의 수직 부분보다 덜 뜨거우며 그것에 의해 열의 대부분이 히터(115)의 수직 부분을 가로질러 있는 것을 허용한다. 폭(D1)은 약 0.1mm 내지 약 0.3mm(예를 들어, 약 0.15mm 내지 약 0.25mm)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폭(D1)은 약 0.13mm일 수 있다. 각각의 로브(202)의 폭(D3)은 약 0.2mm 내지 약 0.4mm의 범위일 수 있다.
도 9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편평한 형태인 히터의 확대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또한 제어된 저항 분포를 허용하는 다른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는 사인파 형상 대신에 화살표 형상을 형성하는 로브 및 가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대향 로브 사이의 중심 부분(132)은 로브와 일치하지 않는 정점을 형성할 수 있다. 정점은 대향 로브 각각으로부터 약 10도 내지 약 90도의 각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브 및 중심 부분(143)은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한 중심 부분(132) 및/또는 로브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인접한 중심 부분(132) 및/또는 로브 사이의 거리는 히터(115)를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인접한 중심 부분(132) 및/또는 로브 사이의 거리는 약 0.05mm 내지 약 1.0mm(예를 들어, 약 0.1mm 내지 약 0.9mm, 약 0.2mm 내지 약 0.8mm, 약 0.7mm 내지 약 0.6mm, 또는 약 0.4mm 내지 약 0.5mm)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중심 부분 사이의 거리는 약 0.09mm일 수 있다.
도 10a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5)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서와 동일하지만, 또한 탭(215)을 포함하고 있다.
도 10b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15)은 제1 공기 통로(300)로부터 밖으로 접혀질 수 있다. 탭(215)은 히터(115)와 제2 흡수성 패드(155) 사이에 더 단단한 접촉을 생성할 수 있고/또는 히터(115)와 제2 흡수성 패드(155) 사이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 및 전기 리드의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5)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서와 동일하지만, 제1 공기 통로(300) 내에서 안으로 굽혀지는 제2 전기 리드(130)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기 리드(130)는 제1 공기 통로(300)를 통해 공기 흐름을 지향시키고 원하는 방식으로 RTD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 전기 리드(130)는 절반으로 커팅될 수 있으며(미도시함), 하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절반은 히터(115)와 전력 공급부(225) 사이에 전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덮개(165)의 개별적인 부분 과 접촉하고 있다(도 13에 도시됨).
도 1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히터 및 전기 리드의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 리드(130)는 그 안에 복수의 오리피스(167)를 정의하는 말단 표면(16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167)는 카트리지(15)를 통해 공기 흐름을 변경할 수 있고 e-베이핑 장치(10)의 RTD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e-베이핑 장치의 배터리 부분의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20)은 제2 연결기 피스(220), 공기 유입구 포트(35)(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제2 부분(20)으로 흡인되는 공기에 응답하는 센서(230), 전력 공급부(225), 제어 회로(235), 라이트(240), 및 말단 캡(55)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연결기 피스(220)는 카트리지(15)(도 2에 도시됨)의 제1 연결기 피스(70)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연결기(220)는 수형 나사산 부분(222) 및 내부 접촉부(2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것은 카트리지(15)의 전도성 금속 삽입부(77) 및 포스트(105) 각각과 접촉하고 있다. 수형 나사산 부분(222)은 내부 접촉부(224)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수형 나사산 부분(222)은 전도성 금속 삽입부(77)와 접촉하며, 이 금속 삽입부는 덮개(165)와 접촉하는 리드(140)를 포함하고, 덮개(165)는 히터(115)의 제2 전기 리드(130)와 접촉하고 있다. 내부 접촉부(224)는 포스트(105)와 접촉하며, 포스트는 히터(115)의 제1 전기 리드(125)와 접촉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225)의 제1 단자는 포스트(105)에 연결되고 전원(225)의 제2 단자는 리드(330)를 통해 제어 회로(235)에 연결된다. 제어 회로(235)는 리드 와이어(320)를 통해 센서(230) 및 전도성 금속 삽입부(77)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225)는 e-베이핑 장치(10)에 배열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25)는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그것의 변형들 중 하나, 예를 들어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력 공급부(225)는 니켈-금속 하이브리드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리튬-망간 배터리, 리튬-코발트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e-베이핑 장치(10)는 전력 공급부(225) 내의 에너지가 고갈되거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경우에 최소 전압 차단 레벨이 달성될 때까지 성인 베이퍼에 의하여 베이핑 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225)는 전력이 히터에 인가되기 전에 배터리 전지의 출력이 감쇠, "쵸핑" 등이 될 수 있도록 배터리 및 히터에 인가되는 전력의 파형을 형상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225)는 재충전가능할 수 있다. 제2 부분(20)은 배터리가 외부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e-베이핑 장치(10)를 재충전하기 위해서는, USB 충전기 또는 다른 적합한 충전기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센서(230)는 e-베이핑 장치(10)에서 공기 흐름의 크기 및 방향을 나타내는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235)는 센서(230)의 출력을 수신하고, (1) 공기 흐름의 방향이 마우스-말단 삽입부(60) 상의 흡인(대 블로잉)을 표시하는지 및 (2) 흡인의 크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제어 회로(235)는 전력 공급부(225)를 히터(115)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대안 구현예에서, 센서(230)는 압력 강하를 표시할 수 있고, 제어 회로(235)는 이에 응답하여 히터(115)를 활성화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35)는 또한 히터(115)가 활성화될 때, 및/또는 배터리가 재충전되고 있을 때 빛나도록 구성되어 있는 라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활성화 라이트(240)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터 활성화 라이트(240)는 베이핑 동안 성인 베이퍼에게 시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히터 활성화 라이트(240)는 e-베이핑 시스템 진단을 위해 또는 재충전이 진행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히터 활성화 라이트(240)는 프라이버시를 위해 성인 베이퍼가 히터 활성화 라이트(240)를 활성화시키고/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히터 활성화 라이트(240)는 e-베이핑 장치(10)의 제2 말단(45) 상에 또는 하우징(50, 50')의 측면을 따라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35)는 최대, 기간 리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35)는 성인 베이퍼가 e-베이핑 장치(10)를 활성하기 위한 수동 조작가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15)로의 전류 공급의 시한은 증발되기 원하는 증기-전 제제의 양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35)는 히터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기만 하면 히터(11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5)와 제2 부분(20) 사이의 연결을 완료하면, 전력 공급부(225)는 카트리지(15)의 히터(115)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할 수 있다.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5)를 통해 주로 카트리지(15)로 흡인되며, 이 공기 유입구는 하우징(50, 50')을 따라 또는 연결기(30)에 위치될 수 있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 14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연결기 바디부 내의 오리피스를 통해 포스트를 삽입하는 단계(1000), 히터의 제1 리드를 포스트에 부착하는 단계(1010), 히터를 컬링하여 실질적인 관형 히터를 형성하는 단계(1020), 히터 주위에 흡수성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1030), 흡수성 물질 주위에 덮개를 배치하는 단계(1040), 및 히터의 제2 리드를 덮개에 부착하는 단계(1050)를 포함하고 있다. 부착 단계(1010)는 포스트에 제1 리드의 용접 및/또는 권축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단계(1050)는 덮개에 제2 리드의 용접 및/또는 권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컬링 단계(1020)는 부착 단계(1010)에 선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덮개의 개구부에서 내부 관을 위치시키는 단계(1060), 및 덮개 및 내부 관 주위에 외부 하우징을 위치시키는 단계(107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연결기 피스와 하우징을 마찰 끼워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제1 연결기 피스, 내부 관, 외부 하우징, 및 개스킷 사이에 저장부를 확립하기 위해 내부 관과 외부 관 사이에 개스킷을 삽입하는 단계(10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외부 하우징의 제1 말단에 마우스-말단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10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2의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음극 접촉부(전도성 금속 삽입부(77))를 연결기 피스(70)로 삽입하는 단계(2000), 밀봉제를 전도성 금속 삽입부(77)의 리드에 도포하는 단계(2010), 포스트(105)를 제1 연결기 피스(70)로 삽입하는 단계(2020), 포스트(105)의 제1 말단에 걸쳐 제1 흡수성 패드(150)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2030), 히터(115)의 제1 전기 리드(125)를 포스트(105)에 부착하는 단계, 및 히터(115)를 롤링 및/또는 컬링하여 실질적인 관형 히터(11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히터(115)의 대향 부분은 약 0.05mm 내지 약 0.25mm(예를 들어, 약 0.1mm 내지 약 0.2mm)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히터(115)의 대향 부분은 약 0.17mm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대향 부분은 직접적으로 물리적 접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히터(115) 주위에 제2 흡수성 패드(150)를 래핑하는 단계(2060),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에 걸쳐 덮개(165)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2080), 히터(115)의 제2 전기 리드(130)를 덮개(165)에 부착하는 단계, 및 배출구(160)가 개방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단계(209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덮개(165) 위로 내부 관(190)을 프레스 끼워맞추는 단계(2400), 전도성 금속 삽입부(77)의 리드(140)를 덮개(165)에 연결하는 단계(2110), 및 하위조립체로부터 임의의 잔해를 진공 청소하는 단계(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계(2110)는 스폿 용접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하위조립체의 저항을 체크하는 단계(2130), 배럴을 연결기 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2140), 및 조립체의 저항을 체크하는 단계(2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계(2140)는 초음파 용접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저장부(5)에 증기-전 제제를 충진하는 단계(2160), 개스킷(12)을 하우징(50)으로 삽입하는 단계(2170), 마우스-말단 삽입부(60)를 하우징(50)으로 삽입하는 단계(2180), 및 퍼핑 장치 상에서 카트리지(15)를 테스트하는 단계(2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스티커를 하우징(50)의 외측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2200), 카트리지(15)를 패키지로 배치하는 단계(2210), 및/또는 패키지 상에 증기-전 제제의 만료일 및/또는 향미를 표시하는 단계(2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는 포일 파우치일 수 있다. 포일 파우치는 열 밀봉되고/또는 실질적으로 기밀일 수 있다. 표시 단계(2220)는 레이저 에칭 또는 인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원에 설명되는 카트리지는 부분의 감소된 후, 권취되는 히터 코일의 결핍, 및 스냅 끼워맞춤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의 사용 때문에 자동화된 제조를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는 몰딩된 연결기 및/또는 플라스틱 연결기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임의의 금속 부분은 기계 가공, 깊은 흡인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는 증기-전 제제가 히터에 도달하도록 이동해야 하는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덮개 아래에 연장되어 있는 채널에 더 가깝게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흡수성 물질 두께는 열식 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순환은 공기 채널의 중심에 핀 또는 분배기 구조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증가 및/또는 개선될 수 있어, 고속 공기는 공기 채널의 벽면 근방에 흐르고/또는 히터를 넘어가도록 강요된다.
도 16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면서 부분 단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5)는, 덮개(165)가 내부 관(19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15)는 지지 관(1650)을 포함하고, 히터(115')는 관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는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2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전도성 금속 삽입부(77) 대신에,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1670)는 제1 연결기 피스(70)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덮개(165)와 접촉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5')는 제1 말단 링(1600) 및 제2 말단 링(1610)을 포함하고 있다. 사인파 형상 부재(1620)는 제1 말단 링(1600)과 제2 말단 링(1610)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히터(115')는 사인파 형상 부재(1620)를 관 내로 에칭 및/또는 레이저 절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사인파 형상 부재(1620)는 도 2의 히터(1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덮개(165)는 내부 관(19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165)는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1630)을 정의하는 말단 벽면(1640)을 갖는다. 따라서, 도 16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전 제제가 흐르는 외부 채널(120)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증기-전 제제는 저장부(5)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1630)을 통해, 제1 및 제2 흡수성 패드(150, 155)로 흐른다. 배수 구멍(1630)의 크기와 개수는 이를 통하는 증기-전 제제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관(1650)은 하우징(50)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다. 핀(1660)은 지지 관(1650)을 하우징(50) 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지지 관(1650) 및 핀(1660)은 하우징(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지지 관(1650) 및 핀(1660)은 하우징(50) 내로 삽입되어 있다. 지지 관(1650)은 내부 관(190)의 제1 말단과 접경하고/하거나 그와 결합하는 말단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115')의 제1 링(1600)은 일체로 형성된 내부 관(190) 및 덮개(165)의 일부분과 접촉 및/또는 맞물려 있다. 제2 링(1610)은, 제1 연결기 피스(70)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전도성 포스트(105)의 제1 말단과 접촉하고/하거나 삽입되어 있다. 원통형 부재(1670) 또한 제1 연결기 피스(70)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연결기 피스(70)의 일부분에 의해 전도성 포스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원통형 부재(1670)는 덮개(165)와 접촉하고 있다. 원통형 부재(1670)의 적어도 일부분 및 덮개(165)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수 부재(150, 155)를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히터(115')의 제1 말단은 덮개(165) 및 원통형 부재(1670)를 통해 배터리 부분(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 히터(115')의 제2 말단은 전도성 포스트(105)를 통해 배터리 부분(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7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5)는, 카트리지(15)가 덮개(165)의 측벽면에 정의된 배출구(1725)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심지(1720)를 포함하고, 카트리지(15)가 베이스 부분(1800), 및 덮개(165)와 접하고/또는 연결되어 있는 연장부(1810)를 포함하는 연결기(173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카트리지와 동일하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관(190)은 내부 관(19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핀(1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핀(1700)은 내부 관(190)을 카트리지(15)의 하우징(50) 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핀(1700), 및 선택적으로 내부 관(190)은 하우징(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개스킷(1775)은 덮개(165)의 일부분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개스킷(1775)은 덮개(165) 둘레에 압력 지점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덮개(165)를 내부 관(190)에 맞서 제 위치에 및/또는 내부에 고정하고/또는 덮개(165)와 내부 관(190)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 덮개(165)와 내부 관(190)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한다. 개스킷(1775)은 실리콘 디스크 또는 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65)는 연결기 피스(1730)의 연장부(1810)의 개스킷 부분(1830) 주위에서 접경하고/또는 연장되어 있다. 개스킷 부분(183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단면을 가지며, 연결기 피스(1730)는 바벨 또는 "I" 형상을 갖는다. 개스킷 부분(1830)은 연장부(1810)의 중심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개스킷 부분(1830)은 덮개(165)의 제2 말단을 밀봉하여, 증기-전 제제가 덮개(165)의 내부 영역에 진입할 수 없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연결기 피스(1730)는 또한 내부 나사를 갖는 베이스(1800)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베이스(1800)는 외부 나사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800) 및 연장부(1810)는 이를 통하는 공기 채널(1780)을 정의한다. 공기 채널(1780)은 덮개(165)를 통해 내부 관(190) 내의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베이스(1800)는 전기 리드가 연장되어 있는 채널(1750)을 추가로 정의한다. 채널(1750)은 개스킷 부분(1830)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전기 리드(1742, 1742')는 히터의 말단과 배터리 부분(20)에 부착되어 히터와 전력 공급부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리드(1742, 1742')는 연장부(18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그리고 개스킷 부분(1830) 및 베이스(1800) 내의 채널(1750)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기 리드는 2016년 11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5/349,377호(Patil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 피스(1730)를 통해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은 그 내부에 슬라이드(177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홈(1740)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홈(1740)은 일반적으로 "L" 형상일 수 있지만, 홈(1740)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드(1770)는 연결기 피스(173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1770) 및 홈(1740)은 협력해서 연결기 피스(1730)를 하우징(50)에 고정한다. 슬라이드(1770)가 홈(1740)의 개구와 정렬된 다음, 연결기 피스(1730)가 회전되어 홈(1740) 내에 슬라이드(1770)를 잠근다.
도 18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7의 카트리지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구현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815)는 심지(1720)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히터 코일일 수 있다. 심지(1720)의 말단은 덮개(165)의 측벽면에 정의된 배출구(1725)를 통해 저장부(5) 내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기 피스의 연장부(1810)는 외부 표면(1835)과 일반적으로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 개스킷 부분(1830)을 포함하고 있다. 개스킷 부분(1830)의 외부 표면(1835)은 덮개(165)의 말단을 실질적으로 밀봉하고 그리고/또는 심지(1720)를 통과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증기-전 제제가 덮개(165)로 진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덮개(165)의 일부분 내에 꼭 끼워맞춤 되도록 크기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히터(1815) 및 심지(1720)는 2013년 1월 31일에 출원된 Tucker 등에 의한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0192623호에서 제시된 특징 및/또는 2016년 4월 22일에 출원된 Holtz 등에 의한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15/135,930호에서 제시된 특징과 같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는 2016년 4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135,923호 및/또는 2016년 3월 22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번호 제9,289,014호에서 제시된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도 19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결기의 제1 말단의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 피스(1730)는 베이스(1800) 및 연장부(1810)를 포함하고 있다. 연장부(1810)는 개스킷 부분(1830) 및 중심 부분(1805)을 포함하고 있다. 채널(1750)은 베이스(1800), 연장부(1810), 및 연결기 피스(1730)의 개스킷 부분(1830)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연결기 피스(1730)는 심지(1720)의 말단을 고정하도록 크기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개스킷 부분(1830) 내에 노치(19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노치(1900)는 연결기 피스(1730)의 대향 측면에 있을 수 있다.
도 20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9의 연결기의 제2 말단의 사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 피스(1730)는 하우징(50)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연결기 피스(1730)는 임의의 적합한 중합체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도 21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단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5)는 도 2에서와 동일할 수 있지만, 마우스 말단 삽입부 대신에, 카트리지는 하우징(50)의 말단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마우스피스(1950)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50)과 마우스피스(1950)의 내부 표면은 그들 사이에 마찰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크기를 갖고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우징(50) 및 마우스피스(1950)는 나사, 접착제 및/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기구를 통해 함께 접착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도 2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5)는, 덮개(165)가 연결기 피스(1730)의 연장부(1810)의 중심 부분(1805) 위로 연장되어 있고 흡수성 물질(1960)이 덮개(165)의 내부 벽면과 연결기 피스(1730)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7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전기 리드(1742, 1742')는 연결기 피스(1730)의 중심 부분(1805)의 측벽면을 통해, 공기 채널(1780) 내로, 그리고 배터리 부분(미도시함)으로 연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흡수성 물질(1960)은 저장부(5)로부터 심지(1720)로 증기-전 제제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밀도 흡수성 물질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5)는 하우징(50)의 내부 표면과 연결기 피스(1730)의 베이스(1800)의 외부 표면 사이에 O-링과 같은, 밀봉부(1970)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지만, 다른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의 취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과 같은 모든 이러한 변형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3)

  1.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저장부로서,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부;
    제1 연결기 피스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1 채널을 정의하는 제1 연결기 피스;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포스트로서, 상기 포스트를 통해 제2 채널을 정의하는, 상기 포스트;
    상기 하우징 내의 히터로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의 제1 말단에 있는 제1 링,
    상기 히터의 제2 말단에 있는 제2 링, 및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사인파 형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 상기 사인파 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링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 히터의 제2 말단은 상기 포스트의 일부분 내부 및 상기 일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히터; 및
    상기 사인파 형상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흡수성 물질로서, 상기 저장부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상기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흡수성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고, 상기 덮개는 말단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말단 벽면은 상기 말단 벽면을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물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통해 상기 저장부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인,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제1 말단은 상기 덮개의 일부분과 접촉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포스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말단 벽면을 포함하되, 상기 말단 벽면은 이를 통하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내부 관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말단 위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말단 벽면 내의 상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 피스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포스트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덮개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핀(fin)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벽면에 부착된 지지 관을 포함하되, 상기 핀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저장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의 제1 말단은 상기 지지 관의 말단 부분과 끼워맞춰지는 것인, 카트리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흡수성 물질의 중공형 원통을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13.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저장부로서,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부;
    외부 하우징 내의 내부 관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상기 내부 관의 외부 표면 사이에 있으며, 상기 내부 관은 그 내부에 공기 채널을 정의하고 있는, 상기 내부 관;
    상기 내부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서, 상기 덮개는 말단 벽면 및 측방향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그 내부에 가열실(heating chamber)을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말단 벽면을 통하는 공기 통로를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상기 덮개;
    상기 덮개 내의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베이스 부분 및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덮개 내에 마찰 끼워맞춤되어 있고 상기 세장형 부분은 상기 덮개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
    상기 가열실 내의 가열 코일;
    상기 가열 코일과 접촉하고 있는 심지; 및
    상기 개스킷의 세장형 부분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상기 덮개 내에 있고, 상기 심지는 상기 흡수성 물질과 접촉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베이스 부분을 통해 2개의 구멍을 정의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제1 전기 리드; 및
    제2 전기 리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기 리드와 상기 제2 전기 리드의 각각은 상기 개스킷의 베이스 부분을 통해 상기 2개의 구멍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세장형 부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흐름 통로를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상기 공기 통로 및 상기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베이스 부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정의하고 있고, 상기 심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연결기 피스와 일체로 성형된 것인, 카트리지.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상기 저장부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것인, 카트리지.
  20. e-베이핑 장치의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저장부로서, 증기-전 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부;
    외부 하우징 내의 내부 관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상기 내부 관의 외부 표면 사이에 있으며, 상기 내부 관은 그 내부에 공기 채널을 정의하고 있는, 상기 내부 관;
    상기 내부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서, 상기 덮개는 말단 벽면 및 측방향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그 내부에 가열실을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말단 벽면을 통하는 공기 통로를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공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측방향 벽면 내부에 챔버를 정의하고 있는, 상기 덮개;
    상기 가열실 내의 히터; 및
    상기 개스킷의 세장형 부분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상기 덮개의 일부분 내에 있는 것인, 카트리지.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의 제1 말단에 있는 제1 링,
    상기 히터의 제2 말단에 있는 제2 링, 및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사인파 형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 상기 사인파 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링은 일체로 형성된 것인, 카트리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코일형 히터인 것인, 카트리지.
KR1020207022256A 2018-01-05 2018-12-31 카트리지 및 e-베이핑 장치 KR102653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62,823 2018-01-05
US15/862,823 US10143239B2 (en) 2016-08-01 2018-01-05 Cartridge and e-vaping device
PCT/EP2018/086901 WO2019134883A2 (en) 2018-01-05 2018-12-31 Cartridge and e-va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391A true KR20200104391A (ko) 2020-09-03
KR102653111B1 KR102653111B1 (ko) 2024-04-01

Family

ID=6501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256A KR102653111B1 (ko) 2018-01-05 2018-12-31 카트리지 및 e-베이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35141A2 (ko)
JP (1) JP7482026B2 (ko)
KR (1) KR102653111B1 (ko)
CN (1) CN111479479B (ko)
BR (1) BR112020011222A2 (ko)
WO (1) WO20191348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588A (zh) * 2019-12-19 2022-08-0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筒、包括筒的气溶胶生成系统以及制造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加热器组件和筒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5153A1 (en) * 2009-12-30 2011-06-30 Philip Morris Usa Inc. Heater for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US20150305408A1 (en) * 2014-04-24 2015-10-29 Kimree Hi-Tech Inc.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150335073A1 (en) * 2014-05-23 2015-11-26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JP2016511008A (ja) * 2013-03-15 2016-04-14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材料のシートから形成される加熱素子、アトマイザーの生産用のインプット及び方法、エアロゾル送達装置用のカートリッジ、並びに喫煙具用のカートリッジ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547B2 (en) 2012-01-31 2016-05-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article
EP3473119A1 (en) 2012-02-22 2019-04-24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improved heater element
US9277770B2 (en) * 2013-03-14 2016-03-0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tomize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formed from a continuously extending wire and related input, cartridge, and method
US10098381B2 (en) * 2013-03-15 2018-10-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WO2015009863A1 (en) * 2013-07-19 2015-01-22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10390562B2 (en) 2013-07-23 2019-08-27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MY193506A (en) * 2013-07-25 2022-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CN105592736B (zh) 2013-09-30 2018-10-16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型香味吸取器
EP3193643B2 (en) 2014-09-17 2023-10-18 Fontem Holdings 4 B.V. Device for storing and vaporizing liquid media
EA201790759A1 (ru) * 2014-10-03 2017-07-31 Олтриа Клайент Сервисиз Ллк Электронное вейпин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его компоненты
CN207444271U (zh) * 2015-01-26 2018-06-05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雾化组件及电子烟
CN204653779U (zh) * 2015-03-17 2015-09-23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雾化器和电子烟
US10368399B2 (en) * 2015-06-10 2019-07-30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ing device
US10021910B2 (en) * 2015-11-13 2018-07-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ing section and e-vap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0412995B2 (en) 2015-12-01 2019-09-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or device including puncture device and sealed packet of pre-vapor formulation
CN107455798A (zh) * 2017-07-28 2017-12-12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5153A1 (en) * 2009-12-30 2011-06-30 Philip Morris Usa Inc. Heater for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JP2016511008A (ja) * 2013-03-15 2016-04-14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材料のシートから形成される加熱素子、アトマイザーの生産用のインプット及び方法、エアロゾル送達装置用のカートリッジ、並びに喫煙具用のカートリッジ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US20150305408A1 (en) * 2014-04-24 2015-10-29 Kimree Hi-Tech Inc.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150335073A1 (en) * 2014-05-23 2015-11-26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111B1 (ko) 2024-04-01
RU2020125854A (ru) 2022-02-07
WO2019134883A3 (en) 2019-08-15
CN111479479B (zh) 2023-12-01
EP3735141A2 (en) 2020-11-11
JP7482026B2 (ja) 2024-05-13
RU2020125854A3 (ko) 2022-02-07
JP2021509810A (ja) 2021-04-08
WO2019134883A2 (en) 2019-07-11
BR112020011222A2 (pt) 2021-02-02
CN111479479A (zh)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2167B2 (en) Cartridge and e-vaping device with serpentine heater
US11602017B2 (en) Cartridge and e-vaping device
KR102653111B1 (ko) 카트리지 및 e-베이핑 장치
RU2776501C2 (ru) Картридж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ейпинг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