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149A -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149A
KR20200104149A KR1020190022732A KR20190022732A KR20200104149A KR 20200104149 A KR20200104149 A KR 20200104149A KR 1020190022732 A KR1020190022732 A KR 1020190022732A KR 20190022732 A KR20190022732 A KR 20190022732A KR 20200104149 A KR20200104149 A KR 2020010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leeve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0137B1 (en
Inventor
김선기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102019002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137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wire connecting connector. The wire connecting connector, which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wires, comprises: a sleeve having an insertion space in which a connection wire is inserted and fix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unit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sleev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main wir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eeve and a connection wire.

Description

전선 결합 커넥터{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Wire coupling connector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본 발명은 누전이 방지된 상태로 전선들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고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한 전선 결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upling connector capable of easily coupling wires in a state in which a short circuit is prevented and improving workability.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여러 갈래로 연장하려면,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일부 벗겨내고 그 내부의 심선(core wire)을 꼬아서 서로 연결한 다음, 빗물이나 습기 등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 등으로 감아(테이핑)서 마무리한다.In general,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wo or more wires or extend them into several branches, peel off part of the sheath (insulation) of the wires, twist the core wires inside the wires, and connect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it, wrap it with insulating tape, etc. to finish.

그런데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전선 연결 방법은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과정과 테이핑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데다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피복을 벗기다가 자칫 전선이 끊어질 수도 있고, 또 연결 도중에 감전 등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anual wire connection method is inefficient in terms of workability because the process of stripping the sheath of the wire and the taping process are quit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and the wire may be cut off while removing the sheath due to carelessness or mistake of the worker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of electric shock during connection.

또한, 절연테이프로 감긴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보기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절연테이프가 열화 및 접착력의 약화로 인해 쉽게 벗겨져서 전선의 심선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rt wound with the insulation tape is exposed as it is, the appearance is not good,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sulation tape is easily peeled off due to deterioration and weakening of the adhesive force, and the core wire of the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a risk of electric shock. There is this big problem.

공개특허공보 10-2018-0119097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10-2018-011909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누전이 방지된 상태로 전선들을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결합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coupling connector that stably connects wires without using an insulating tape and preventing a short circu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연결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슬리브와, 슬리브의 측면에 연결되며 슬리브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메인 전선과 연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a sleeve having an insertion space in which a connection wire is inserted and fixed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a sleev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leeve and spaced apart from the sleeve. And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rranged main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슬리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공간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슬리브 바디와, 슬리브 바디의 표면에 피복되는 폴리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재질의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eeve may include a sleeve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an insertion spac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covering portion made of polyvinyl chloride that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leeve body.

연결부는, 슬리브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며 메인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전선의 일측면에 탄성 접촉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연결 돌부와, 슬리브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며 메인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전선의 타측면에 탄성 접촉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제2 연결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leeve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wire, and formed with a first concave portion that elastically contacts one side of the main wire,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leev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wire. And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formed with a second concave portion elastically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main wire.

삽입 공간의 내벽면에는 가압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A pressing protrusion may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선들의 전도체 재질의 슬리브와 연결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 전선들의 사이를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보다 용이한 전선들의 연결로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r is stably electrically connected by a sleeve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of a plurality of wires and a connection part, and the wires are stably connected in a state of improved durability,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s is easie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선 결합 커넥터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선 결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wire coupling connector of FIG. 1.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coupling connector of FIG. 1.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선 결합 커넥터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선 결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wire coupling connector of FIG. 1, and FIG. 3 is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coupling connector,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100)는, 복수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 to 4, the wire coupling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100)는, 복수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연결 전선(13)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공간(12a)이 형성된 슬리브(10)와, 슬리브(10)의 측면에 연결되며 슬리브(10)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메인 전선(15)과 연결 전선(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한다. The wire coupling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and a sleeve 10 having an insertion space 12a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13 is inserted and fixed therein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form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leeve 10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2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wire 15 and the connection wire 13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eeve 10.

슬리브(10)는 양측이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결 전선(13)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공간(12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leeve 10 may have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insertion space 12a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13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therein.

보가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리브(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삽입 공간(12a)이 형성된 슬리브 바디(12)와, 슬리브 바디(12)의 표면에 피복되는 피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beam describes in detail, the sleeve 10 includes a sleeve body 12 having an insertion space 12a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vering portion 14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leeve body 12. I can.

슬리브 바디(12)는 내부에 삽입 공간(12a)이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 전선(13)이 삽입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12)는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굴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eeve body 12 has an insertion space 12a formed therei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connection wires 13 to be connected to be connected are inserted at both sides. The sleeve body 12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sleeve body 12 is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슬리브 바디(12)는 연결 전선(13)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leeve body 1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wire 13.

이러한 슬리브 바디(12)에는 연결 전선(13)이 양측 또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Connection wires 13 may be fixed to the sleeve body 12 in a state inserted into both sides or either side.

연결 전선(13)은 부하 출력측(미도시)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외표면에는 절연 재질로 피복되며 슬리브 바디(12)에 연결되는 부분이 피복 절개된 상태로 슬리브 바디(12)에 전기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wire 13 may be connected to the load output side (not shown) to supply power, and th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leeve body 12 is covered with the sleeve body 12 ) Can be inserted and fixed electrically.

연결 전선(13)은 슬리브 바디(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가압기에 의해 압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wire 13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in by a predetermined pressuriz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eeve body 12.

연결 전선(13)은 슬리브 바디(12)에 가압기에 의해 압입 고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가압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고정도 가능하다. The connection wire 13 is exemplarily described as being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sleeve body 12 by a pres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ixed in a stat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pressurizing connector.

슬리브(1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 전선(13)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길이 방향의 일부분이 일정 각도로 굴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leeve 10 is formed in a linear shape to illustrate that the connection wires 13 are inserted and fixed to both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art of the length direction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슬리브(10)는 길이 방향의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굴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굴곡된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leeve 10 may be bent while a part of the lengthwise direction is fixed, and may be formed to be variable in a curved ang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여기서, 슬리브(10)의 굴곡된 각도를 가변시키는 것은 굴곡 위치에 소정의 가변 커넥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굴곡된 각도를 적절하게 가변할 수 있다. Here, to change the bent angle of the sleeve 10, a predetermined variable connect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bent position to appropriately change the bent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러한 슬리브(10)의 표면에는 피복부(14)가 피복될 수 있다.The covering portion 14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leeve 10.

피복부(14)는 슬리브(10)의 전체 표면을 덮도록 피복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ing portion 14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leeve 10.

이러한 피복부(14)는 폴리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피복부(14)는 폴리 염화비닐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 염화 비닐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 강도를 갖는 소정의 절연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vering portion 14 may be formed of a polyvinyl chloride material. However, the covering portion 1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olyvinyl chloride material,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to a predetermined insulating material having the same or similar strength as the polyvinyl chloride material.

한편 슬리브(10)에는 메인 전선(1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0)가 돌출될 수 있다. Meanwhile, a connection part 2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wire 15 may protrude from the sleeve 10.

연결부(20)는 슬리브(10)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슬리브(10)의 길이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0 is formed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sleeve 10, and may protrud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leeve 10 at a central position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leeve 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20)는, 슬리브(1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 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art 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leeve 10.

여기서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는 각각의 일측이 슬리브(10)에 전기적을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may b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ea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eeve 10 and facing each other.

즉,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는 서로 대면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 전선(13)이 대면하는 위치에 탄성력에 의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by an elastic force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wire 13 to be connected faces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o face each other.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연결돌부(21)는, 슬리브 바디(12)의 측면에 연결되며 메인 전선(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전선(15)의 일측면에 탄성 접촉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leeve body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wire 15, and may elastically contact one side of the main wire 15.

이러한 제1 연결돌부(21)에는 메인 전선(15)의 일측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오목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may have a first concave portion 21a electrically contacting one side of the main wire 15.

그리고, 제2 연결돌부(23)는 슬리브 바디(12)의 측면에 연결되며 메인 전선(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전선(15)의 타측면에 탄성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leeve body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wire 15, and may elastically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main wire 15.

이러한 제2 연결돌부(23)에는 메인 전선(15)의 타측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오목부(23a)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may have a second concave portion 23a electrically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main wire 15.

따라서, 메인 전선(15)은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의 사이에서 제1 오목부(21a)와 제2 오목부(23a)에 양측이 접촉된 상태로 탄성력에 의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wire 15 is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cave portion 21a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3a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Can be fixed by inserting.

메인 전선(15)은,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절연 재질로 피복되며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의 피복이 절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main wire 15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o supply power,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3. The sheath can be fixed in an incised state.

이러한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의 표면은 절연 재질로 피복될 수 있다.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21 and 23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즉,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의 표면은 폴리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재질의 피복부(14)에 의해 피복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3 may be covered by the covering portion 14 made of polyvinyl chloride.

물론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의 표면은 폴리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재질에 의해 피복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 염화 비닐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 강도를 갖는 소정의 절연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3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covered by a polyvinyl chloride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trength having the same or similar strength as the polyvinyl chloride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and apply appropriately to the insulating material of.

이와 같이,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는 슬리브(10)의 슬리브 바디(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슬리브 바디(12)의 표면의 외부로 탄성력을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urface of the sleeve body 12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eeve body 12 of the sleeve 10 to have elastic force. Can be.

따라서, 메인 전선(15)은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의 사이에서,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의 금속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 바, 메인 전선(15)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wire 15 is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tal material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As the bar is fixed in a fixed state,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main wire 15 can be made.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는, 서로 동일한 두께와 크기로 형성되어 슬리브(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연결돌부(21)와 제2 연결돌부(23)는 서로 상이한 두께와 형상으로 슬리브(10)의 측면에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size and protrud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eeve 10. However,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3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leeve 10 with different thicknesses and shapes.

즉, 종래 전선들의 연결은 절연 재질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하여 테이핑 과정의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성이 저하된다. That is, the conventional wir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fixed using an insulating tape, so that the taping process is cumbersome, and thus workability is deteriorated.

그러나, 본 실시에의 전선 결합 커넥터(100)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들을 슬리브(10)와 연결부(20)에 삽입 고정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하며 전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내구성이 향상이 가능하다. However, the wire coupling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easil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s to be connect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and fixed in the sleeve 10 and the connection part 20,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electrical wir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connected with it.

본 실시예의 전선 결합 커넥터(100)는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연결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전선들을 1p(전선 1개), 2p, 3p, 4p 등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a plurality of wire coupling connector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nect a plurality of wires to be connected in 1p (one wire), 2p, 3p, 4p,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합 커넥터(200)는, 슬리브(10)의 내부에는 연결 전선(13)이 연결되는 위치에 가압 돌기(110)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ure 5, the wire coupling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sleeve 10, the pressure protrusion 110 protrudes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wire 13 is connected. It is also possible.

따라서 연결 전선(13)이 연결되는 위치에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가압 돌기(110)가 연결 전선(13)을 더욱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Therefore, when the pressing force acts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wire 13 is connected, the pressing protrusion 110 can further press the connection wire 13, thereby enabling a more stable connection.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슬리브 12...슬리브 바디
12a..삽입 공간 13...연결 전선
14...피복부 15...메인 전선
20...연결부 21...제1 연결돌부
21a..제1 오목부 23...제2 연결돌부
23a..제2 오목부 110..가압 돌기
10...Sleeve 12...Sleeve body
12a..insertion space 13...connection wire
14...Skin 15...Main wire
20...connecting part 21...first connecting protrusion
21a..1st concave 23...2nd connecting protrusion
23a..2nd concave 110..pressing protrusion

Claims (4)

복수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연결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메인 전선과 상기 연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전선 결합 커넥터.
As a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wires,
A sleeve having an insertion space in which a connection wire is inserted and fixed therein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leev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eeve;
Wire coupling connec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 공간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슬리브 바디; 및
상기 슬리브 바디의 표면에 피복되는 폴리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재질의 피복부;
를 포함하는 전선 결합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leeve,
A sleeve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is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A covering part made of polyvinyl chloride materia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leeve body;
Wire coupling connecto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리브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전선의 일측면에 탄성 접촉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연결 돌부; 및
상기 슬리브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전선의 타측면에 탄성 접촉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제2 연결 돌부;
를 포함하는 전선 결합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part,
A first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sleeve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wire, and having a first concave portion elastically contacting one side of the main wire; And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sleeve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wire, and having a second concave portion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main wire;
Wire coupling connec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의 내벽면에는 가압 돌기가 돌출되는 전선 결합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ic wire coupling connector in which a pressur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KR1020190022732A 2019-02-26 2019-02-26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KR102180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32A KR102180137B1 (en) 2019-02-26 2019-02-26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32A KR102180137B1 (en) 2019-02-26 2019-02-26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49A true KR20200104149A (en) 2020-09-03
KR102180137B1 KR102180137B1 (en) 2020-11-17

Family

ID=7246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732A KR102180137B1 (en) 2019-02-26 2019-02-26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13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087Y2 (en) * 1992-06-22 1997-10-27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Wire connection sleeve
JP2009266505A (en) * 2008-04-24 2009-11-12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Coating penetrating type compression connector
KR20170103302A (en) * 2016-03-03 2017-09-13 (주)대림엠이씨 Cover for insulating branch connector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
KR101869974B1 (en) * 2017-12-08 2018-06-21 (주)세명엔지니어링 Split Connector for Power Line
KR20180119097A (en) 2017-04-24 2018-11-01 탑라이트 주식회사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087Y2 (en) * 1992-06-22 1997-10-27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Wire connection sleeve
JP2009266505A (en) * 2008-04-24 2009-11-12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Coating penetrating type compression connector
KR20170103302A (en) * 2016-03-03 2017-09-13 (주)대림엠이씨 Cover for insulating branch connector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
KR20180119097A (en) 2017-04-24 2018-11-01 탑라이트 주식회사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KR101869974B1 (en) * 2017-12-08 2018-06-21 (주)세명엔지니어링 Split Connector for Power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137B1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0930A1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JP2015056209A (en)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JPH04280084A (en) Plug/cable splicing device witout solder
US2439947A (en) Solderless connector for attachment to electrical conductors
JPH04319275A (en) Plug connector
JP6594777B2 (en) Connection device, assembly thereof,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KR102180137B1 (en) 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JP4864340B2 (en) Coaxial c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07059304A (en) Wire with termin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070442B2 (en) Structure for press-connecting sheathe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JP2009021148A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EP1012920A1 (en) Cable connector
JP2008077952A (en) Connector
JP5483273B2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to male terminal
US6168457B1 (en) Electric wire connecting structure
EP1533870B1 (en) Piercing terminal for coaxial cable
KR200363546Y1 (en) electric wire connector
KR200354312Y1 (en) electric wire coupling device
US11336035B2 (en) Clamping spring for a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
KR102067588B1 (en) a connector for connection electric wire
JP2002334615A (en) Complex wire and connector with wire
KR101169408B1 (en) A connector terminal
US20020072278A1 (en) Electric jack
KR20150118403A (en) A terminal for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flexible flat cable to the terminal
KR20170136979A (en) Stator assembling method for motor, stator structure for motor, and crimp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