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120A -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120A
KR20200104120A KR1020190022648A KR20190022648A KR20200104120A KR 20200104120 A KR20200104120 A KR 20200104120A KR 1020190022648 A KR1020190022648 A KR 1020190022648A KR 20190022648 A KR20190022648 A KR 20190022648A KR 20200104120 A KR20200104120 A KR 20200104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sensor unit
senso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955B1 (ko
Inventor
장낙원
이동찬
황승주
김재원
조영승
김창희
유대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9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osition of specific human body parts, e.g. face, eyes or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6Threshold set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가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3센서부를 포함한 다수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모든 센서에 일정시간이상 감지되어야 알람부를 동작하게 하여 센서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센싱을 할 수 있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림부; 감지공간의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 및 제어부로부터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는 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림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Smart alarm system for detecting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가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3센서부를 포함한 다수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모든 센서에 일정시간이상 감지되어야 알람부를 동작하게 하여 센서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센싱을 할 수 있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이집의 유아 차량 방치 사고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커지고 있으나, 다수의 원아를 관리하는 교사와 운전사의 노력으로는 사고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미취학 아동이나 유아는 위험 인지능력이 낮으며 행동을 예측하기 어려워 안전사고에 취약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직접 감시하여 사고를 예방해야 하는데 청소 및 설거지, 빨래와 같은 집안일을 할 때 잠시라도 신경을 못 써주면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다른 용무를 하기 어려우며, 특히 유아가 2명 이상일 경우 동시에 신경 쓰기가 어려워 잠시라도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곳에 신경 쓸 여력이 없어 보호자의 육체적 및 정신적인 피로도가 높아지고, 이렇게 보호자가 마음 편히 쉬지 못하고 긴장상태가 지속되면 수면부족으로 이어지고 육아 스트레스 및 우울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기억력 감퇴에 따른 치매와 같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주위를 보호자가 항상 지키고 있어야 하여 보호자가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 없고, 항상 주위를 지키며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베이비 모니터가 개발되어있지만 피보호자가 카메라가 촬영하는 장소를 이탈하게 되면 관찰할 수 없고 제어가 자유롭지 못하며, 보호자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므로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여 관찰과 동시에 다른 용무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한가지의 센싱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센서를 가지고 있어 신뢰도를 높이고 딜레이타임을 설정할 수 있어 센서의 오류를 줄일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2929655호(2018.12.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부가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3센서부를 포함한 다수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딜레이타임이 설정되어 있어, 센서부의 센서에 모두 센싱되고, 딜레이타임동안 센싱이 되어야 알림부를 통하여 알림을 함으로서 센서의 오류를 줄이고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림시스템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림부; 감지공간의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 및 제어부로부터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는 관제센터를 포함한다.
또한,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림부; 감지공간의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 및 제어부로부터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는 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운트시간이상 인체감지신호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만 신호송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센서의 오작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딜레이연산부, 각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조작부, 제1센서부, 제2센서부 및 제3센서부를 포함한 인체감지센싱모듈에 포함된 센서 모두에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알림부 및 관제센터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센서부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딜레이연산부에서 스위칭조작부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는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센서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것; 제2센서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센싱을 시작하며, 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속도 이내의 물체의 움직임이 확인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딜레이연산부에서 스위칭조작부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는 제2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3센서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것; 제3센서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센싱을 시작하며, 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스위칭조작부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는 제3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부, 촬영부 및 신호송신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시작하며, 촬영된 영상 및 사진은 신호송신부를 통하여 관제센터로 전송되는 것; 알림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스피커 또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알림수단을 동작시키는 것; 및 신호송신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사진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 모두에 감지되고, 설정된 카운트시간동안 계속 감지되는 경우에만 알람을 동작시켜 센서의 오류를 방지하고 센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림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림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림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림시스템의 순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100), 제어부(200), 알림부(300), 촬영부(400) 및 관제센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부(100)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110),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120),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130) 및 설정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센서부(110)는 초음파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제2센서부(120)는 도플러센서를 포함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제3센서부(130)은 적외선모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설정모듈(140)은 거리설정부(142), 속도설정부(144), 온도설정부(146)로 구성되며, 거리설정부(142)는 제1센서부(110)의 감지할 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속도설정부(144)는 제2센서부(120)의 감지할 물체의 움직이는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온도설정부(146)는 제3센서부(130)의 감지할 물체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설치되는 것을 가정하면, 설정모듈(140)의 거리설정부(142)를 통하여 차량의 크기에 따라 제1센서부(110)의 감지할 거리를 설정하고, 작은 벌레를 포함한 사람이 아닌 물체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모듈(140)의 속도설정부(144)를 통하여 제2센서부(120)의 감지할 물체의 움직이는 속도를 사람의 움직임을 통해서 낼 수 있는 속도의 상한 및 하한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또한, 설정모듈(140)의 온도설정부(146)를 통하여 제3센서부(130)의 감지할 물체의 온도를 사람의 체온에 근접하게 30℃ 내지 40℃로 설정하여 사람이 아닌 다른 물체의 움직임에 의한 센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딜레이연산부(210), 스위칭조작부(220), 신호송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위칭조작부(220)를 통하여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딜레이연산부(210)는 설정된 카운트시간 이상 인체감지신호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만 신호송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센서의 오작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스위칭조작부(220)는 각 구성과 연결되어, 각 구성을 동작을 on/off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송신부(230)는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20) 및 제3센서부(130)를 포함한 센서부(100)에 포함된 센서 모두에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알림부(300) 및 관제센터(500)에 신호를 송신한다.
알림부(300)는 스피커 또는 발광수단을 포함한 알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수단을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킨다.
촬영부(400)는 카메라를 포함한 촬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감지공간의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관제센터(500)는 제어부(200)로부터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고, 감지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센서부(100)의 설정모듈(140)을 통하여 감지할 구역의 거리, 감지할 물체의 속도, 감지할 물체의 온도를 설정하고, 제어부(200)의 딜레이연산부(210)에 딜레이타임을 설정한다.
센서부(100)의 제1센서부(110)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00)의 딜레이연산부(210)로 감지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210)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딜레이연산부(210)에서 스위칭조작부(220)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220)는 딜레이연산부(210)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센서부(12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센서부(100)의 제2센서부(120)를 동작시킨다.
센서부(100)의 제2센서부(120)는 제어부(200)의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센싱을 시작하며, 센서부(100)의 설정모듈(140)에서 설정된 속도 이내의 물체의 움직임이 확인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210)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210)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후,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딜레이연산부(210)에서 스위칭조작부(220)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220)는 제2센서부(120)로부터 딜레이연산부(210)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3센서부(13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센서부(100)의 제3센서부(130)를 동작시킨다.
센서부(100)의 제3센서부(130)는 제어부(200)의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센싱을 시작하며, 센서부(100)의 설정모듈(140)에서 설정된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210)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210)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스위칭조작부(220)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220)는 딜레이연산부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부(300), 촬영부(400) 및 신호송신부(23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촬영부(400) 및 신호송신부(230)를 동작시킨다.
촬영부(400)는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으며,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시작하며, 촬영된 영상 및 사진은 신호송신부(230)를 통하여 관제센터(500)로 전송된다.
알림부(300)는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으며,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스피커 또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알림수단을 동작시켜 소리 또는 빛으로 주위에 감지영역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릴수 있다.
제어부(200)의 신호송신부(230)는 스위칭조작부(2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감지신호 및 촬영부(400)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사진을 관제센터(5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센터(500)는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사진을 제어부의 신호송신부로부터 전송받아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연락할 수 있고, 알림부를 원격에서 제어하여 알림부를 끄거나 켤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린이통학용차량, 어린이집, 병원 및 노인시설을 포함하여 어린이, 환자 및 노인을 포함하여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에 알림으로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110 - 제1센서부
120 - 제2센서부 130 - 제3센서부
140 - 설정모듈 200 - 제어부
210 - 딜레이연산부 220 - 스위칭조작부
230 - 신호송신부 300 - 알림부
400 - 촬영부 500 - 관제센터

Claims (4)

  1.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림부;
    감지공간의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 및
    제어부로부터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는 관제센터
    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용 스마트 알람시스템.
  2.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림부;
    감지공간의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 및
    제어부로부터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는 관제센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운트시간이상 인체감지신호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만 신호송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센서의 오작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딜레이연산부;
    각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조작부
    제1센서부, 제2센서부 및 제3센서부를 포함한 인체감지센싱모듈에 포함된 센서 모두에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알림부 및 관제센터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센서부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딜레이연산부에서 스위칭조작부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는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센서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것;
    제2센서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센싱을 시작하며, 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속도 이내의 물체의 움직임이 확인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딜레이연산부에서 스위칭조작부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는 제2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3센서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것;
    제3센서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센싱을 시작하며, 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딜레이연산부로 신호를 보내고, 딜레이연산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후,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스위칭조작부로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칭조작부는 제3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부, 촬영부 및 신호송신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촬영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시작하며, 촬영된 영상 및 사진은 신호송신부를 통하여 관제센터로 전송되는 것;
    알림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스피커 또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알림수단을 동작시키는 것; 및
    신호송신부는 스위칭조작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아 감지신호 및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사진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KR1020190022648A 2019-02-26 2019-02-26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KR10215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48A KR102155955B1 (ko) 2019-02-26 2019-02-26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48A KR102155955B1 (ko) 2019-02-26 2019-02-26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20A true KR20200104120A (ko) 2020-09-03
KR102155955B1 KR102155955B1 (ko) 2020-09-14

Family

ID=7245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648A KR102155955B1 (ko) 2019-02-26 2019-02-26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325A (ko) * 2020-02-06 2021-08-1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알람 장치
CN114915713A (zh) * 2022-05-11 2022-08-16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书桌翻转提醒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39B1 (ko) * 2016-11-24 2018-02-08 (주)에이텍티앤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9024B1 (ko) * 2017-06-13 2018-10-22 주식회사 센서웨이 다기능 복합펜스센서를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39B1 (ko) * 2016-11-24 2018-02-08 (주)에이텍티앤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9024B1 (ko) * 2017-06-13 2018-10-22 주식회사 센서웨이 다기능 복합펜스센서를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325A (ko) * 2020-02-06 2021-08-1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알람 장치
CN114915713A (zh) * 2022-05-11 2022-08-16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书桌翻转提醒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955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1371A1 (ja) 行動検知システム、行動検知装置、行動検知方法、および行動検知プログラム
KR102155955B1 (ko)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JP6680336B2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端末ユニット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181218A (ja) 乳幼児の状況監視システムおよび状況監視方法
JP2009077908A (ja) 被介護者動作検出装置と被介護者動作検出方法
JP6123971B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被監視者監視方法
KR20190088686A (ko)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7172972A1 (en) Personal medical device
KR101196973B1 (ko) 로봇을 이용한 영유아 돌보기 방법
KR101916631B1 (ko)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GB2571125A (en) Infant monitor apparatus
JP2023554174A (ja) スマートウェアラブルパーソナルセーフティ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M529907U (zh) 嬰幼兒安全監控裝置及設備
JP5517285B2 (ja) 起床監視装置
JP202100520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umar et al. Smart Monitoring System for Physically Handicapped Infants using IoT
JP7095870B2 (ja) 情報処理装置
TWM557892U (zh) 生理參數雲端看護系統
CN115209800A (zh) 呼吸检测设备和用于检测呼吸的方法
TW201324447A (zh) 互動式監控看護系統
JP3215201U (ja) 監視装置
JP6286756B2 (ja) 離床センサおよび離床検知方法
WO2021024691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737089B2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及び被監視者監視方法
KR102588478B1 (ko) 영유아용 긴급 구조시스템 및 영유아용 긴급 구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