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079A -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079A
KR20200104079A KR1020190022524A KR20190022524A KR20200104079A KR 20200104079 A KR20200104079 A KR 20200104079A KR 1020190022524 A KR1020190022524 A KR 1020190022524A KR 20190022524 A KR20190022524 A KR 20190022524A KR 20200104079 A KR20200104079 A KR 2020010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ctronic ordering
ordering device
electronic
beac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민기
Original Assignee
백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민기 filed Critical 백민기
Priority to KR102019002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079A/ko
Publication of KR2020010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주문 장치는,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의 외곽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을 이용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버튼을 이용하여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비컨(Beacon)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전자 주문 장치를 이용하면, 편의성과 보안성을 보장하여 전자 주문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ELECTRONIC ORDERING DEVICE USING NEAR-FIELD BLUET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로 블루투스 태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버튼과 RFID를 통한 전자 주문을 지원하는 버튼을 동시에 구비한 전자 주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은 디지털 통신 기기를 위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산업 표준으로서, ISM 대역에 포함되는 2.4~2.485 GHz의 단파 UHF 전파를 이용하여 전자 장비간의 짧은 데이터 통신을 규정한다.
블루투스 통신은 1999년 1.0 버전이 발표된 이후로 지속적인 개선을 진행하오고 있다. 예를 들어, 2010년 채택된 블루투스 4.0에서는 Bluetooth low energy(BLE)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종래에 비해 소비전력이 대폭 낮아졌으며, 가장 최근인 2016년 발표된 블루투스 5.0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도달거리와 전송 속도가 향상되었다.
블루투스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0m 이상의 도달거리를 갖는 것이 보통인데, 두 기기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임의의 문자나 암호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된다.
그런데, 이 같은 블루투스 통신은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보안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데이터 교환이 요구되기 때문에 결제나 전자 주문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약 10 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기술로서, 신분증이나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NFC의 보급속도는 다소 더딘 편이고, 결제나 주문에 사용되는 포스 단말 장치들 중에는 NFC가 내장되지 않거나 고가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 모바일 장치는 NFC 모듈이 장착되어 있더라도 외부에서 사용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지 않아 외부 앱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에 주문을 위해 테이블에 설치되는 장치는 단일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버튼을 누르면 호출벨이 울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단순히 호출벨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실제 주문을 위해서는 종업원이 와서 직접 주문을 받거나 메뉴판을 제공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는,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의 외곽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을 이용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버튼을 이용하여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비컨(Beac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주문 장치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버튼과 제1 버튼 사이에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노출되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컨 신호는 근거리 태깅으로 수신되도록 수십 센티미터 이내의 도달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RFID 신호에는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유 식별 기호는 상기 전자 주문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번호, 상기 전자 주문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의 외곽 방향으로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버튼과 제1 버튼 사이에 차폐부를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컨(beacon)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노출되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컨 신호는 근거리 태깅으로 수신되도록 수십 센티미터 이내의 도달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RFID 신호에는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유 식별 기호는 상기 전자 주문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번호, 상기 전자 주문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NFC가 없는 사용자 단말이라고 하더라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주문을 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서 호출과 주문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전자 주문 장치에 근거리 태깅함으로써 전자 주문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서 PCB 위에 위치한 스위치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버튼은 눌리는 깊이에 따른 동작점이 있을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튼이 동작점 이상으로 눌리면서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스위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on 상태로, 동작점을 넘지 않거나 눌리지 않을 때를 off 상태로 표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주문 장치는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10), 상기 제1 버튼(10)의 외곽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20) 및 상기 제2 버튼(20)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부와 하부의 면적과 대비할 때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버튼(10)은 전자 주문 장치의 중앙에서 원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버튼(20)은 상기 제1 버튼(10)의 외곽을 감싸는 원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버튼(20)은 중앙에 원형 홈이 있는 원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10)과 제2 버튼(20)은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노출되며, 제1 버튼(10)과 제2 버튼(20)이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90%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주문 장치는, 제1 버튼(10)과 제2 버튼(20)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버튼(10)과 제1 버튼(10) 사이에 차폐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1 버튼(10)을 이용하여 외부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버튼(10)이 눌리면(더 정확하게 on 상태가 되면) RFID 신호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신호에는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식별 기호는 전자 주문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번호, 전자 주문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신호는 약 900 MHz 대역 또는 약 440 MHz 대역의 주파수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RFID 신호의 전송거리는 최대 약 50m 내지 70m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2 버튼(20)을 이용하여 외부에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비컨(Beac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 버튼(20)이 눌리면(또는 on 상태가 되면),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비컨 신호가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비컨 신호는 1m 부터 최대 100m 내지 400m까지(블루투스 5.0에서 지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비컨 신호의 도달 거리가 긴 경우 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신호는 NFC의 근거리 태깅을 대체할 수 있도록 수십 센티미터 이내의 도달 거리를 갖도록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컨 신호의 도달 거리는 10 Cm 이내 또는 5 내지 3 Cm 이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컨 신호가 5 Cm 이내의 도달 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블루투스 안테나의 R은 5mm이고, 길이는 3 Cm 이며, 모양은 'ㄹ'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버튼(20)이 눌릴 경우(더 정확하게 on 상태인 경우) 비컨 신호의 Tx Power는 약 +20 dBm 일 수 있고, 제2 버튼(20)이 떨어지는 경우(더 정확하게 off 상태인 경우) 비컨 신호의 Tx Power는 약 +4 dBm 일 수 있다. 일반적인 비컨 발신 장치는 지속적으로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큰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는 제2 버튼(20)이 눌릴 때만 비컨 신호를 유효하게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전자 주문 장치를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컨 신호는 범용 고유 식별자인 UUID(Universally Unique dentifier), 전자 주문 장치가 속한 그룹이나 영역을 나타내는 major와 minor,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major와 minor 값, UUID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은,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상점에 대한 식별기호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수신된 비컨 신호를 통해 상점을 확인하고 상점에 대하여 주문을 위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RL 주소는 상기 상점에 대한 접속 주소이거나, 상기 상점에 주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지원하는 웹페이지 주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수신된 비컨 신호를 통해 URL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URL 주소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주문 장치에 근거리 태깅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접촉시키면(또는 사용자 단말을 전자 주문 장치에 올려놓으면), 제2 버튼(20)이 온 상태에 진입하여 비컨 신호가 초근거리(예를 들어 10 Cm 이내)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상기 초근거리 내에서 비컨 신호를 수신하여 상점을 식별하고, 식별한 상점과 대응되는 접속 주소로 접속하여 상점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제2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RFID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제1 버튼과 비컨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제2 버튼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비컨 신호를 초근접거리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전자 주문 장치 위에 올려놓으면(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2 버튼을 누르면) 제2 버튼이 On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제1 버튼은 눌리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전자 주문 장치 위에 놓인 물체의 무게에 의해 제1 버튼이 On 상태로 진입하지 않도록 할 제한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한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제1 버튼은 차폐부 또는 제2 버튼보다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은 상기 차폐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제2 버튼도 상기 차폐부보다 낮은 높이는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버튼은 상기 차폐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제2 버튼은 상기 차폐부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튼 위에 물건이나 사용자 단말 등을 올릴 때, 제2 버튼이 눌리더라도 차폐부에 의해 물건이나 사용자 단말 등이 지지됨으로써, 제1 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한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제1 버튼이 눌리는 깊이(또는 on 상태로 진입하는 깊이)는 제2 버튼이 눌리는 깊이(또는 on 상태로 진입하는 깊이)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 물건이나 사용자 단말 등을 올리더라도, 제1 버튼은 거의 눌리지 않게 되므로 유효하게 온 상태가 되지 않고, 제2 버튼만 눌리도록(또는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한조건을 만족하도록 구현된 전자 주문 장치의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버튼이 유효하게 온 상태가 되기 위해 필요한 깊이를 화살표의 길이로 표현하였는데, 중앙부에 있는 제1 버튼이 제2 버튼보다 더 깊게 눌려야 동작하도록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중앙부에 있는 제1 버튼이 차폐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제2 버튼도 차폐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2 버튼의 상부에 사용자 단말이나 물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는 제1 버튼이 눌리지 않도록 제2 버튼의 상부에 한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를 통해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 사용자 단말 등을 거치함과 동시에, 제1 버튼이 눌리지 않고 제2 버튼만 온 상태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대(51)의 형상은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호(ar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대(51)가 호의 형상일 때 지지대(51)는 적어도 2개 이상 제2 버튼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대(52)는 제2 버튼의 상부에서 제1 버튼을 외부에서 감싸고,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원형(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지지대(50)는 물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구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대(51, 52)의 높이는 지지되는 물체에 의해 제1 버튼이 눌리지 않고, 제2 버튼만 동작점에 따라 온 상태가 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51, 52)의 높이는 제2 버튼이 동작점에 도달하는(또는 제2 버튼이 온 상태에 진입하는)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의 세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주문 장치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10), 상기 제1 버튼(10)의 외곽 방향으로 상기 제1 버튼(10)과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20) 및 상기 제2 버튼(20)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1 버튼(10)과 상기 제2 버튼(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버튼(10)과 상기 제2 버튼(20)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차폐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40)는 전자 주문 장치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LED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버튼(10)은,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의 제2 버튼(20)은, 상기 제2 버튼(20)의 안쪽에서 하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1 버튼(10)과 접촉되도록(더 상세하게는 제1 버튼에서 하부로 돌출된 부분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제1 스위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2 버튼(20)과 접촉되도록(더 상세하게는 제2 버튼에서 하부로 돌출된 부분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 스위치(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2 버튼(20)의 바깥쪽 하부에서 하우징부(30)와 제2 버튼(20)을 결착시키는 스크류(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21) 및/또는 제2 스위치(21)는 텍트 스위치(tact switch)일 수 있다.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11) 및 상기 두개 이상의 제2 스위치(21)가 배치된 PCB(PRINTED CIRCUIT BOARD, 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60)는 상기 제1 스위치가 동작함에 따라 비컨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두개 이상의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함에 따라 RFID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RFI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제어에 따라 비컨 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안테나 및 상기 PCB(60)의 하부에 상기 전자 주문 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에서 PCB 위에 위치한 스위치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주문 장치의 제1 버튼과 접촉되는 제1 스위치(11)는 PCB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의 제2 버튼과 접촉되는 제2 스위치(21)는 상기 제1 스위치(11)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스위치(21)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4개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제1 스위치(11)를 중심으로 6개 또는 8개까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주문 장치의 PCB는 가장 자리에 4개의 스크류 유도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유도부(81)는 도 4에 따른 스크류(80)가 인입되는 홀로서, PCB(60)와 도 5의 하우징부(30) 및/또는 제2 버튼(20)을 서로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 유도부(81)의 개수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4개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강도를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의 외곽 방향으로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버튼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S100) 이후에, 상기 제2 버튼과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상기 제1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버튼과 접촉된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진입할 때까지 상기 비컨 신호를 브로캐스트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버튼의 동작이 있을 때는 상기 제2 버튼에 따른 비컨 신호 전송을 대기함으로써,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시에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S110)에 따른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온 상태에 있기만 하면, 상기 전자 주문 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상기 전자 주문 장치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면, RFID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전자 주문 장치에 내장된 PCB 회로의 구성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PCB 회로에 별도의 MCU(Micro Circuit Unit)가 내장되고, 내장된 MCU에 의해 상기 동작 방법이 정의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이 실행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 주문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설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로서,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의 외곽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을 이용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버튼을 이용하여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비컨(Beacon)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주문 장치.
  2. 청구항 1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버튼과 제1 버튼 사이에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
  3. 청구항 1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노출되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90% 이상인, 전자 주문 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비컨 신호는 근거리 태깅으로 수신되도록 수십 센티미터 이내의 도달 거리로 제한되는, 전자 주문 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RFID 신호에는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 기호가 포함되고,
    상기 고유 식별 기호는 상기 전자 주문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번호, 상기 전자 주문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
  6. 중앙에 위치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의 외곽 방향으로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의 바깥쪽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버튼과 제1 버튼 사이에 차폐부를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상기 제2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컨(beacon)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버튼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 진입하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6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노출되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상기 전자 주문 장치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90% 이상인,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6에서,
    상기 비컨 신호는 근거리 태깅으로 수신되도록 수십 센티미터 이내의 도달 거리로 제한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7에서,
    상기 RFID 신호에는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 기호가 포함되고,
    상기 고유 식별 기호는 상기 전자 주문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번호, 상기 전자 주문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주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22524A 2019-02-26 2019-02-26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KR20200104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24A KR20200104079A (ko) 2019-02-26 2019-02-26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24A KR20200104079A (ko) 2019-02-26 2019-02-26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79A true KR20200104079A (ko) 2020-09-03

Family

ID=7245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24A KR20200104079A (ko) 2019-02-26 2019-02-26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88U (ko) * 2020-11-09 2022-05-17 윤배해 다수의 표출기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 표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88U (ko) * 2020-11-09 2022-05-17 윤배해 다수의 표출기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 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60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invol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9294871B2 (en) Electronic mobile device
CN101263732B (zh) 实现射频识别(rfid)子系统和无线通信子系统的调度操作的方法、模块、终端和系统
US8099045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1265234B1 (ko) Nfc 장치
EP22219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
TW200516802A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15198369A1 (en) Configuring user equipment to display information through a cover window
EP2364004A1 (en) Communications device responsive to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to enter locked or unlocked operating modes
WO2014185687A1 (ko) Nfc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US9697396B2 (en) Interactiv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739829A (zh) 一种智能终端以及智能终端与外置天线的连接方法和装置
KR20200104079A (ko)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주문 장치
KR20110037110A (ko)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236662B2 (en)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KR20150112640A (ko) 조명 제어 장치, 무선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2041962U (zh) 一种多频段读卡器
CN104811282B (zh) 一种通信方法及电子设备
JP2007072706A (ja) Simホルダー
KR20200104085A (ko) 전자 주문 장치를 이용한 상점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0226273A (ja) 無線通信管理装置、無線通信管理方法、及び無線通信管理プログラム等
KR20100016754A (ko)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rfid 리더
EP3509161B1 (en) Terminal
KR20030093866A (ko) 무선주파수 안테나를 내장한 이동 단말기용 베터리 팩
WO2017107202A1 (zh) 一种用户识别模块卡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