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931A -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931A
KR20200103931A KR1020190022087A KR20190022087A KR20200103931A KR 20200103931 A KR20200103931 A KR 20200103931A KR 1020190022087 A KR1020190022087 A KR 1020190022087A KR 20190022087 A KR20190022087 A KR 20190022087A KR 20200103931 A KR20200103931 A KR 20200103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unit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ylinder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232B1 (ko
Inventor
임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라크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라크리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라크리닉
Priority to KR102019002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2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08B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 포트와,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2 포트와, 상기 세척수와 상기 에어가 혼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는 기액 혼합 유체(이하 세척액)가 배출되는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제1 유닛;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작동축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작동축과 연동하는 브러시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가 대상면에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유닛; 및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작동축 및 상기 브러시 어레이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세척액이 소용돌이치며 상기 대상면측에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WASHING SYSTEM FOR SOLAR PANEL WITH MICROBUBBLE 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태양광 집광 패널의 표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확실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 설비의 집광 패널은 그 표면이 저탄소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유리의 표면 형태는 햇빛을 최대한 집광시키기 위하여 산란되도록 하는 등고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작은 크기의 미세먼지(예를 들어 PM2.5 이하)가 집광 패널 표면에 침투하게 되면서 태양광 발전량이 감소되거나 저하되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340039호의 "태양광 모듈 세척 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태양광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스프링클러와, 적설 제거용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 콤프레셔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태양광 모듈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와, 적설 여부 감지를 위한 적설 센서와, 용수 회수 장치와, 제어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 감독이 필요한 개소가 너무 많으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특히 대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의 설치에 적합한 관리 시스템이라 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시공에 넓은 공간과 면적이 필요함은 물론,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일반적인 먼지나 토사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는 유용할 수 있겠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제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본 출원인이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400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태양광 집광 패널의 표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확실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 포트와,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2 포트와, 상기 세척수와 상기 에어가 혼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는 기액 혼합 유체(이하 세척액)가 배출되는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제1 유닛;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작동축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작동축과 연동하는 브러시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가 대상면에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유닛; 및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작동축 및 상기 브러시 어레이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세척액이 소용돌이치며 상기 대상면측에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과 배관 연결되는 물 공급원과, 상기 물 공급원과 상기 제1 유닛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상기 제1 유닛측으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유닛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이송되는 물의 불순물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제1 유닛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물 속 이온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한 이온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일단부에 제1 직경의 상기 제1 포트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포트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상기 제3 포트가 형성된 양단 관통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단차홈에 장착되며,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포트와 마주보는 일단부측 면은 폐쇄되며 상기 제3 포트와 마주보는 타단부측 면은 개방된 내통과, 상기 세척수가 일시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단차홈의 내주면에 상기 제1 포트측으로부터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홈과, 상기 외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으로 형성되는 시작부와, 상기 내통의 외주면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내주면을 통하여 상기 제3 직경보다 작은 제4 직경으로 관통된 종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부로부터 상기 종료부를 통하여 상기 에어가 유입되는 상기 제2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내통의 일단부측 면과, 상기 제2 단차홈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노출된 상기 내통의 외주면 일부 사이에서 형성된 혼합공간과,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에어와, 상기 혼합 공간에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혼합된 상기 세척액이 상기 제3 포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혼합부와, 상기 내통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에 의하여 유도된 상기 세척액이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와류를 형성하며 이동함에 따라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생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통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생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통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으로 이루어지는 와류형성 어레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와류형성 어레이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생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통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으로 이루어지는 와류형성 어레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와류형성 어레이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와류형성 어레이 각각은 이웃한 와류형성 어레이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유닛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거나 자체 전원으로 가동되도록 상기 커버에 내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상기 작동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 헤어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브러시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원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커버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집광 패널에 적층되는 마이크로나노 규모의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미세한 입자 등의 이물질 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태양광 발전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마이크로버블이 형성되는 세척수의 이동 방향을, 점선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 관계를 각각 나타내며, 도 4 및 도 5에서 실선 화살표는 세척수의 이동 방향을, 점선은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방향을, 그리고 일점쇄선은 세척수와 에어가 혼합된 기액 혼합 유체, 즉 세척액의 이동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 포트(101)와,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2 포트(102)와, 세척수와 에어가 혼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는 기액 혼합 유체(이하 세척액)가 배출되는 제3 포트(10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작동축(201)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작동축(201)과 연동하는 브러시 어레이(210)를 포함하며, 브러시 어레이(210)가 대상면(400)에 접촉 회전하면서 대상면(40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일면이 개방되고 작동축(201) 및 브러시 어레이(210)를 수용하는 커버(310)를 포함하며, 브러시 어레이(210)의 회전과 함께 세척액이 소용돌이치며 대상면(400)측에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2와 같이 제1 유닛(100)과 배관 연결되는 물 공급원(600)과, 물 공급원(600)과 제1 유닛(100)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물 공급원(600)으로부터 물을 제1 유닛(100)측으로 이송시키는 펌프(610)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펌프(610)와 제1 유닛(100)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물 공급원(600)으로부터 이송되는 물의 불순물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마이크로필터(700)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필터(700)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이동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필터(700)는 막 형태의 필터를 사용하며, 세척수가 수돗물일 경우 이미 정화된 물이지만 혹시나 있을지도 모르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필터(700)와 제1 유닛(100)의 제1 유닛(100)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물 속 이온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810)를 포함한 이온교환기(8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온교환기(800)는 물 속의 이온을 99% 이상 제거하여 만들어진 초순수로부터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후술할 분사노즐(340)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브러시 어레이(210)로 접촉 회전시키며 세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온교환기(800)는 세척수로 수돗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수돗물에도 물때, 이른바 스케일을 발생시키는 성분, 예를들어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이온이나 이온상 실리카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이온성분을 제거해줘여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온교환기(800)에는 이온교환수지(810)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하여 물때가 발생할 수 있는 전술한 이온 성분들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제2 포트(102)가 형성된 외통(110)과 내통(120)과 제2 단차홈(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통(110)은 일단부에 제1 직경의 제1 포트(10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포트(101)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도록 점차 좁아지게 노즐 형태로 형성된 제3 포트(103)가 형성된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내통(120)은 외통(110)의 내주면에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단차홈(111)에 장착되며, 외통(11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고, 제1 포트(101)와 마주보는 일단부측 면은 폐쇄되며 제3 포트(103)와 마주보는 타단부측 면은 개방된 것이다.
제2 단차홈(112)은 세척수가 일시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단차홈(111)의 내주면에 제1 포트(101)측으로부터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2 포트(102)는 외통(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으로 형성되는 시작부(102a)와, 내통(120)의 외주면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고 외통(110)의 내주면을 통하여 제3 직경보다 작은 제4 직경으로 관통된 종료부(102b)를 포함하며, 시작부(102a)로부터 종료부(102b)를 통하여 에어가 유입된다.
또한, 제1 유닛(100)은, 내통(120)의 일단부측 면과, 제2 단차홈(112)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노출된 내통(120)의 외주면 일부 사이에서 형성된 혼합공간(115)과, 내통(12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며, 제2 포트(102)를 통하여 유입된 에어와, 혼합공간(115)에 유입된 세척수가 혼합된 세척액이 제3 포트(103)측으로 향하도록 내통(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혼합부(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내통(1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혼합부(130)에 의하여 유도된 세척액이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와류를 형성하며 이동함에 따라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발생부(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혼합부(130)는, 내통(12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내통(1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고, 혼합공간(115)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관체(131, 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유도관체(131, 132)는, 내통(120)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되, 내통(120)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유도관(131)과, 제1 유도관(131)이 배치된 내통(120)의 내주면과 맞은편 내주면상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유도관(132)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발생부(140)는, 내통(120)의 내주면을 따라 내통(120)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1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부(140)는, 복수의 형성봉(141)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형성봉(141) 각각의 직경보다 큰 폭 또는 외경을 가지는 돌편(142)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돌편(142)은 복수의 형성봉(141)과 함께 세척액이 제3 포트(103)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부딪히며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더욱더 미세한 입경의 마이크로버블을 형성시킴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하겠다.
또한, 발생부(140)는, 내통(120)의 내주면을 따라 내통(120)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141)으로 이루어지는 와류형성 어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와류형성 어레이(150)는 내통(120)의 내주면을 따라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와류형성 어레이(150) 각각은 이웃한 와류형성 어레이(150)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와 같이 복수의 와류형성 어레이(150)중 제3 포트(103)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와류형성 어레이(150)를 제1 어레이(151)로 설정하고 제3 포트(103)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제2 어레이(152)와 제3 어레이(153) 및 제4 어레이(154)라 설정한다.
여기서, 제1 어레이(151)에 대하여 이웃한 제2 어레이(152)는 내통(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가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어레이(152)에 대하여 이웃한 제3 어레이(153)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어레이(153)에 대하여 이웃한 제4 어레이(154)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2 각도보다 큰 제3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제1 각도와 제2 각도 및 제3 각도의 상관 관계는 반드시 점차 커지는 관계로 설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1 어레이(151)와 제2 어레이(152) 및 제3 어레이(153)를 통과하는 세척액이 곧바로 관통하여 흐르지 않게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면 서로 다른 각도로 설정하여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거나 자체 전원으로 가동되도록 커버(310)에 내장되는 구동모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어레이(210)는 이러한 구동모터(220)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작동축(20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 헤어들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브러시 어레이(210)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원의 외주면 일부, 즉 브러시 어레이(210)의 외측 가장자리 일부는 커버(310)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도 1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동축(201)은, 반원통 형상인 커버(310)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삽입 안착되어 커버(310)의 중심부에 배치된 구동모터(2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축(201a)과, 구동모터(22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축(20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축(201a)과 제2 축(201b)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브러시 어레이(210)가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제1 포트(101)와 연결되는 호스(500)와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호스(500)를 수용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관(320)을 더 포함하며, 커버(310)는, 지지관(320)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3 포트(103)와 연결되며 양단이 밀폐된 반원통 형상인 커버(31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메인배출 배관(330)과, 메인분사 배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커버(310)의 개방된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31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연장 배관(331)과, 연장 배관(331)을 따라 복수로 분기되어 배치되는 분기관(3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340)은 복수의 분기관(332) 각각의 단부에 장착되어 기액 혼합 유체인 세척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태양광 집광 패널의 표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확실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포트
102...제2 포트
102a...시작부
102b...종료부
103...제3 포트
110...외통
111...제1 단차홈
112...제2 단차홈
115...혼합공간
120...내통
130...혼합부
131, 132...유도관체
131...제1 유도관
132...제2 유도관
140...발생부
141...형성봉
142...돌편
150...와류형성 어레이
151...제1 어레이
152...제2 어레이
153...제3 어레이
154...제4 어레이
200...제2 유닛
201...작동축
201a...제1 축
201b...제2 축
210...브러시 어레이
220...구동모터
300...제3 유닛
310...커버
320...지지관
330...메인배출 배관
331...연장 배관
332...분기관
340...분사노즐
400...대상면
500...호스
600...물 공급원
610...펌프
700...마이크로필터
800...이온교환기
810...이온교환수지

Claims (8)

  1.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 포트와,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2 포트와, 상기 세척수와 상기 에어가 혼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는 기액 혼합 유체(이하 세척액)가 배출되는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제1 유닛;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작동축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작동축과 연동하는 브러시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가 대상면에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유닛; 및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작동축 및 상기 브러시 어레이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세척액이 소용돌이치며 상기 대상면측에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배관 연결되는 물 공급원과,
    상기 물 공급원과 상기 제1 유닛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상기 제1 유닛측으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유닛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이송되는 물의 불순물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제1 유닛 사이의 배관상에 장착되어 물 속 이온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한 이온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일단부에 제1 직경의 상기 제1 포트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포트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상기 제3 포트가 형성된 양단 관통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단차홈에 장착되며,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포트와 마주보는 일단부측 면은 폐쇄되며 상기 제3 포트와 마주보는 타단부측 면은 개방된 내통과,
    상기 세척수가 일시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단차홈의 내주면에 상기 제1 포트측으로부터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홈과,
    상기 외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으로 형성되는 시작부와, 상기 내통의 외주면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내주면을 통하여 상기 제3 직경보다 작은 제4 직경으로 관통된 종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부로부터 상기 종료부를 통하여 상기 에어가 유입되는 상기 제2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내통의 일단부측 면과, 상기 제2 단차홈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노출된 상기 내통의 외주면 일부 사이에서 형성된 혼합공간과,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에어와, 상기 혼합 공간에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혼합된 상기 세척액이 상기 제3 포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혼합부와,
    상기 내통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에 의하여 유도된 상기 세척액이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와류를 형성하며 이동함에 따라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통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통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으로 이루어지는 와류형성 어레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와류형성 어레이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통의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형성봉으로 이루어지는 와류형성 어레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와류형성 어레이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3 포트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와류형성 어레이 각각은 이웃한 와류형성 어레이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거나 자체 전원으로 가동되도록 상기 커버에 내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상기 작동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 헤어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브러시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어레이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원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커버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KR1020190022087A 2019-02-25 2019-02-25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KR10224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087A KR102246232B1 (ko) 2019-02-25 2019-02-25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087A KR102246232B1 (ko) 2019-02-25 2019-02-25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31A true KR20200103931A (ko) 2020-09-03
KR102246232B1 KR102246232B1 (ko) 2021-04-30

Family

ID=7245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087A KR102246232B1 (ko) 2019-02-25 2019-02-25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7346A1 (zh) * 2020-09-15 2022-03-24 苏州翼博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扫机器人及清扫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39B1 (ko) 2013-10-21 2013-12-10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 모듈 세척 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395048B1 (ko) * 2013-03-13 2014-05-30 (주)하이레벤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CN106733786A (zh) * 2016-11-16 2017-05-31 上海安轩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驱动手持式太阳能电池板的清洗设备
CN107661873A (zh) * 2016-07-29 2018-02-06 大唐新能源沭阳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太阳能电池板清洁机
KR20180039296A (ko) * 2016-10-09 2018-04-18 주식회사 에스에스이 태양광 전지판의 냉각과 세척을 위한 마이크로버블 분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48B1 (ko) * 2013-03-13 2014-05-30 (주)하이레벤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1340039B1 (ko) 2013-10-21 2013-12-10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 모듈 세척 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7661873A (zh) * 2016-07-29 2018-02-06 大唐新能源沭阳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太阳能电池板清洁机
KR20180039296A (ko) * 2016-10-09 2018-04-18 주식회사 에스에스이 태양광 전지판의 냉각과 세척을 위한 마이크로버블 분무 시스템
CN106733786A (zh) * 2016-11-16 2017-05-31 上海安轩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驱动手持式太阳能电池板的清洗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7346A1 (zh) * 2020-09-15 2022-03-24 苏州翼博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扫机器人及清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232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43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and mass exchange between gas and liquid
KR10178707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기포 수질개선장치
KR102246232B1 (ko)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 패널용 세척 시스템
CN100528287C (zh) 除雾器
CN203495769U (zh) 一种型钢的多角度抛丸除鳞装置
CN110374159A (zh) 适用于水下清淤机器人的自清洗绞龙吸淤装置
CA2504594C (en) Scrubbing ionized rain tunnel (s.i.r.t.)
CN104556276B (zh) 一种强化自然蒸发嵌套系统
CN104307286B (zh) 高效复合型除尘装置
CN103949349A (zh) 油烟净化器中净化箱体内的清洗及排液装置
US20070081924A1 (en) Scrubbing "ionized" rainstorm tunnel (S.I.R.T)
CN115888363A (zh) 一种塔内喷淋的废气净化系统
CN108837657A (zh) 一种喷淋水雾除尘器
CN206642472U (zh) 清洗机
PT1216189E (pt) Unidade de propulsao por jacto de agua
CN105664637B (zh) 一种发电厂用空气处理装置
RU10290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CN211585976U (zh) 一种方便拆卸清洗的烟气脱硫吸收塔
CN209094079U (zh) 一种用于钢筋的机械除磷设备
RU2568982C1 (ru) Гидромагнитный газоочиститель
CN205461555U (zh) 一种用于烟气脱硫除尘的洗涤装置
CN117065571B (zh) 一种利用旋流提高净化效率的烟气过滤智能净化装置
CN105254089B (zh) 工业污废水超声波降解净化处理设备
CN107051006A (zh) 清洗机及清洗方法
CN211358197U (zh) 一种具有高速剪切力的液气尘对撞综合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