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479A -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479A
KR20200103479A KR1020190022049A KR20190022049A KR20200103479A KR 20200103479 A KR20200103479 A KR 20200103479A KR 1020190022049 A KR1020190022049 A KR 1020190022049A KR 20190022049 A KR20190022049 A KR 20190022049A KR 20200103479 A KR20200103479 A KR 2020010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ston
cylinder
damper uni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155B1 (ko
Inventor
남기덕
서병준
Original Assignee
남기덕
서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덕, 서병준 filed Critical 남기덕
Priority to KR102019002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1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어 차단하는 제1차단부와, 실린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차단부와,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및 일단은 피스톤부에 결합되고 제2차단부를 관통하여 실린더의 타단으로 출몰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의 작동구간은 피스톤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작동구간과, 제1작동구간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제2작동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A DOOR DAMPER UNIT AND DOOR AUTOMATIC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닫힘시 서서히 닫히도록 하면서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일방향으로 도어를 밀어서 개폐하는 미닫이식 개폐방식으로 이루어진 도어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장치는 도어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롤러가 설치되고, 도어 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을 상기 롤러가 가이드 이동하면서 도어를 일방향으로 밀어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서 개폐동작을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장치는 도어를 닫을 때, 도어를 끝까지 밀지 않으면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즉, 도어를 미는 힘이 약하면 끝까지 이동하지 못하여 열린 상태가 되거나, 도어를 강한 힘으로 밀게 되면, 도어가 도어틀에 충돌한 뒤 반발력에 의해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열리게 되면, 의도하지 않게 도어가 열린 상태로 방치될 수 있으며, 특히 도어를 강하게 밀어서 닫을 경우에는 도어와 도어틀과의 강한 충격에 의해서 도어와 도어틀의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51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를 충격 없이 안전하게 닫을 수 있으며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는 도어 댐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댐퍼유닛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어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차단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및 일단은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차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타단으로 출몰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의 작동구간은 상기 피스톤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작동구간과, 제1작동구간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제2작동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실린더 내부에서의 피스톤부의 이동시 작용하는 부하가 제2작동구간에서 급격하게 해소되도록 하여 피스톤부의 초기 위치로의 이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작동로드 몸체; 상기 작동로드 몸체의 일단에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작동로드 몸체의 일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작동로드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작동로드 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작동로드 몸체를 압축 변형시켜서 비원형으로 가공 형성된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작동로드에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피스톤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댐핑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작동유체 통과유로와, 상기 작동로드 몸체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구간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피스톤부재; 상기 통과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통과유로 상에 설치되는 볼 밸브; 상기 피스톤부재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피스톤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피스톤부를 작동로드에 결합하여 안정된 상태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댐핑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 통과유로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되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고, 상기 볼 밸브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에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되는 면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밸브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유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볼 밸브의 작동으로 인하여 피스톤부에 의한 댐핑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작동로드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피스톤부재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자동 닫힘 장치는, 상기 도어 댐퍼유닛; 상기 도어 댐퍼유닛이 장착되어 결합되며, 도어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 댐퍼부재의 작동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칭부재; 및 상기 스위칭부재가 상기 도어 댐퍼유닛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 댐퍼유닛 쪽으로 위치 복원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재는,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걸려서 상기 도어 댐퍼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세 변경되어 상기 하우징에 걸려서 자세 고정되어 상기 도어와 분리되고,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도어를 닫을 때 충격을 방지하면서도,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댐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에 따르면, 도어를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댐퍼유닛에서 흡수하여 충격으로 인한 안전사고나, 파손,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댐퍼유닛의 작동로드가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피스톤부의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댐퍼유닛의 내구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 동작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쇄한 후, 자동으로 천천히 닫히도록 하여 도어의 완전한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 닫힘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 각각은 도 1의 상태에서 도어 자동 닫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 닫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 각각은 도어 댐퍼유닛의 도의 작동위치별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댐퍼유닛의 피스톤부와 작동로드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댐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 닫힘 장치는, 도어 댐퍼유닛(100), 상기 도어 댐퍼유닛(100)이 장착되어 결합되며 도어틀(10)에 설치되는 하우징(200), 상기 도어 댐퍼유닛(100)의 작동 로드(150)에 연결되며 하우징(200)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칭부재(300) 및 스위칭부재(300)가 도어 댐퍼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도어 댐퍼유닛(100) 쪽으로 위치 복원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200)은 도어틀(10)에 고정 설치된다. 즉, 도어틀(10)과 도어(20)사이에 하우징(200)이 고정 설치된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도어 댐퍼유닛(100)이 수용되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00)에는 스위칭부재(300)가 왕복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홀(210)이 형성된다. 가이드홀(210)을 일정 거리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도어 댐퍼유닛(100)에서 멀어진 위치에서 도어(2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걸림홈(220)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양단에는 앤드캡(230)이 결합된다.
상기 도어 댐퍼유닛(100)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차단하는 제1차단부(120), 실린더(1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차단부(130), 실린더(11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140) 및 일단은 상기 피스톤부(140)에 결합되고 제2차단부(130)를 관통하여 실린더(110)의 타단으로 출몰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작동로드(15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110)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우징(200) 내에 수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에서 피스톤부(140)가 왕복 이동되는 작동구간으로는 제1 및 제2작동구간(a1)(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작동구간(a1)은 피스톤부(14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작동구간이고, 제2작동구간(a2)은 제1작동구간(a1)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제1작동구간(a1)에서는 피스톤부(140)가 댐핑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천천히 이동되고, 제2작동구간(a2)에서는 댐핑압력이 해제되어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작동구간(a1)에서는 탄성 가압부재(400)에 큰 부하가 작용하게 되고, 제2작동구간(a2)에서는 탄성 가압부재(400)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하가 작용하게 됨으로써, 피스톤부(140)가 제1작동구간(a1)에서 제2작동구간(a2)으로 진입하는 순간 피스톤부(140)는 빠르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어(20)가 탄성 가압부재(4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자동 닫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차단부(120)는 실린더(110)의 일단부에 압입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린더(110)의 일단부 외측을 코킹 가공하여 제1차단부(120)가 실린더(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차단부(120)는 차단부 몸체(121)와, 차단부 몸체(12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링부재(123)를 구비한다.
상기 제2차단부(130)는 실린더(110)의 차단부에 압입 결합되며, 중심에 작동로드(150)가 관통하는 중공을 가진다. 이러한 제2차단부(130)는 서로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차단부 몸체(131,132)와, 제2차단부 몸체(131,132)의 외측 또는 제2차단부 몸체들(131,132)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링부재(133)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로드(15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작동로드 몸체(151)와, 작동로드 몸체(151)의 일단에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부(140)가 상기 작동로드 몸체(151)의 일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스토퍼(153), 및 작동로드 몸체(151)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스토퍼(153)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피스톤부(140)가 작동로드 몸체(151)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스토퍼(155)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로드 몸체(151)는 길이가 기록 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에 피스톤부(140)가 고정 결합된다. 작동로드 몸체(151)의 차단은 상기 제2차단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스위칭부재(3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작동로드 몸체(15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153,155)는 작동로드 몸체(151)를 도 8 및 도 9와 같이 압축 변형시켜서 비원형으로 가공 형성된다. 즉, 제1스토퍼부(153)를 먼저 가공하여 형성한 후에, 피스톤부(140)를 작동로드 몸체(151)의 일단부 쪽에 결합한다. 그런 다음에, 작동로드 몸체(151)의 일단부를 압축 가공하여 제2스토퍼(155)를 형성하게 되면, 피스톤부(140)가 작동로드 몸체(151)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20)를 닫는 과정에서 작동로드(150)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스토퍼(153)가 변형되지 않고 피스톤부(140)를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피스톤부(140)가 작동로드(150)에서의 고정상태가 풀리게 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140)는 피스톤부재(141), 볼 밸브(143), 제1지지부재(145) 및 제2지지부재(147)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부재(141)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작동유체 통과유로(141a)와, 상기 작동로드 몸체(151)가 결합되는 결합홀(141b)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153,155)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피스톤부재(141)는 실린더(110)의 제1작동구간(a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상기 작동유체 통과유로(141a)는, 상기 제1지지부재(134)에 대응되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고 상기 볼 밸브(143)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h1) 및 제1유로(h1)에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147)에 대응되는 면으로 관통 형성되며 볼 밸브(143)가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유로(h2)를 가진다. 피스톤부(14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작동유체 통과유로(141a)를 통해 실린더 (110)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면서 댐핑 작용을 하게 되며, 이동 방향에 따라서 볼 밸브(143)의 위치가 변경되어 제1유로(h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볼 밸브(143)는 상기 작동유체 통과유로(14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2유로(h2)에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된다. 볼 밸브(143)의 직경은 제2유로(h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45)는 피스톤부재(141)와 제1스토퍼(153) 사이에 위치하도록 작동로드 몸체(151)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지부재(145)는 피스톤부재(14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로(h1)를 차단하지 않도록 이격되거나, 마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제2지지부재(147)는 피스톤부재(141)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도록 작동로드 몸체(15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147)는 피스톤부재(141)의 제2유로(h2)에 마주하도록 위치하되, 피스톤부재(141)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간격을 주기 위해 일면으로 돌출 형성된 스페이스부(147a)를 가진다. 제2지지부재(147)는 피스톤부재(141)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피스톤부재(141)와는 스페이스부(147a)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볼 밸브(143)가 제2유로(h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유로(h2)가 제2지지부재(147)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재(300)는 하우징(200)의 가이드홀(21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위칭부재(300)는 가이드홀(21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11,312)와, 제1 및 제2걸림턱부(321,32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320)를 가진다. 스위칭부재(300)는 작동로드(150)의 타단이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부재(300)에는 탄성 가압부재(400)의 타단이 연결된다. 탄성 가압부재(400)의 일단은 하우징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스위칭부재(300)가 작동로드(150)와 함께 실린더(11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 팽창 변형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311,312)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가이드홀(210)을 따라서 이동하나가, 제1가이드돌기(311)가 도 2와 같이 걸림홀(220)에 위치하여 걸리면, 스위칭부재(300)는 실린더(110)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되어 탄성 가압부재(400)를 최대한 팽창시킨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0)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며, 스위칭부재(3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걸림턱부(321,322)를 가진다. 제1 및 제2걸림턱부(321,322)는 스위칭부재(300)가 가이드홀(210)에 위치할 때는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걸림턱부(321,322) 사이에 도어(20)에 설치되는 돌출부(21)가 위치하여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댐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의 작용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에는 탄성 가압부재(400)는 압축된 상태이고, 스위칭부재(300)는 도어(20)의 돌출부(210)에 걸린 상태로 가이드홀(210)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어 댐퍼유닛(100)은 도 5와 같이, 피스톤부(140)가 제2작동구간(a1)에 위치한다.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0)를 열기 위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돌출부(210)에 걸린 스위칭부재(300)가 도어(20)와 함께 이동된다. 그리고 스위칭부재(300)의 제1가이드돌기(321)가 가이드홀(210)을 벗어나서 걸림홀(220)로 이동하게 되면 스위칭부재(30)의 자세가 기울어지게 되어 제1걸림턱부(321)는 하우징(200)의 내부로 진입된다. 따라서 도어(20)의 돌출부(210)는 제1걸림턱부(321)를 벗어나게 되어 도어(20)는 계속해서 이동하여 열릴 수 있게 된다. 도 2의 상태에서는 제1가이드돌기(321)가 걸림홀(220)에 걸린 상태가 되어 스위칭부재(300)의 자세가 고정되고, 탄성 가압부재(400)는 최대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 댐퍼유닛(100)의 피스톤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구간(a1)으로 이동되어 제2차단부(130)쪽에 가깝게 위치된다.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도어(20)를 닫기 위해서 닫힘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도어(20)를 미는 힘에 의해 돌출부(210)가 제2걸림턱부(322)를 밀어서 함께 걸림홀(220)로부터 제1가이드돌기(311)가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러면, 스위칭부재(300)를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도어(20)의 밀리는 힘과 탄성 가압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어느 정도 거리까지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리까지는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도 도 6과 같이, 피스톤부(140)가 제2작동구간(a2)으로 진입하기 직전 단계에서는 제2작동구간(a2)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도어(20)의 슬라이딩 이동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순간적으로 멈춤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탄성 가압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부(140)가 확장 형성된 제2작동구간(a2)으로 진입하는 순간, 압축공기가 피스톤부(140)과 실린더(110) 내면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댐핑력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면, 탄성 가압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걸려 있던 부하가 해제되면서 스위칭부재(300)를 강하게 당겨 주게 됨으로써, 도어(20)가 끝까지 이동하여 자동으로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댐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에 의하면, 실린더(110)의 내부를 피스톤부(140)의 작동시 걸리는 부하가 차이 나도록 제1 및 제2작동구간(a1, a2)으로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도어(20)의 자동 닫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어(20)를 강하게 밀어서 닫는 동작시, 도어(20)가 스위칭부재(300)에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이 작동로드(150)에 걸리더라도, 작동로드(15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충격을 견딜 수 있게 됨으로써, 피스톤부(14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댐퍼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고장이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도어틀 20..도어
21..돌출부 100..도어 댐퍼유닛
110...실린더 120..제1차단부
130..제2차단부 140..피스톤부
150..작동로드 200..하우징
300..스위칭부 400..탄성 가압부재

Claims (6)

  1.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어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차단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및
    일단은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차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타단으로 출몰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의 작동구간은 상기 피스톤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작동구간과, 제1작동구간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제2작동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작동로드 몸체;
    상기 작동로드 몸체의 일단에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작동로드 몸체의 일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작동로드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작동로드 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상기 작동로드 몸체를 압축 변형시켜서 비원형으로 가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작동유체 통과유로와, 상기 작동로드 몸체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구간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피스톤부재;
    상기 통과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통과유로 상에 설치되는 볼밸브;
    상기 피스톤부재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피스톤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 통과유로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되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고, 상기 볼 밸브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에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되는 면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 밸브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유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작동로드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 댐퍼유닛;
    상기 도어 댐퍼유닛이 장착되어 결합되며, 도어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 댐퍼부재의 작동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칭부재; 및
    상기 스위칭부재가 상기 도어 댐퍼유닛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 댐퍼유닛 쪽으로 위치 복원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재는,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걸려서 상기 도어 댐퍼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세 변경되어 상기 하우징에 걸려서 자세 고정되어 상기 도어와 분리되고,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KR1020190022049A 2019-02-25 2019-02-25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KR10216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049A KR102168155B1 (ko) 2019-02-25 2019-02-25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049A KR102168155B1 (ko) 2019-02-25 2019-02-25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79A true KR20200103479A (ko) 2020-09-02
KR102168155B1 KR102168155B1 (ko) 2020-10-20

Family

ID=7244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049A KR102168155B1 (ko) 2019-02-25 2019-02-25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1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851A (ja) * 2006-12-21 2008-07-10 Kuriki Manufacture Co Ltd 引戸クローザー
KR20090118006A (ko) * 2008-05-12 2009-11-17 미와 로끄 가부시끼가이샤 실린더 장치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7-08-04 박영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851A (ja) * 2006-12-21 2008-07-10 Kuriki Manufacture Co Ltd 引戸クローザー
KR20090118006A (ko) * 2008-05-12 2009-11-17 미와 로끄 가부시끼가이샤 실린더 장치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7-08-04 박영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155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525B1 (en) Self-closing buffer and automatic rebound mechanism for slide rail
US8857014B2 (en) Damp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US7350774B2 (en) Long travel, high force combination spring
US6799663B2 (en) Damping means, in particular for furniture
US20060118371A1 (en) Pneumatic damper for slowing down movable furniture parts
JP4875592B2 (ja) 引戸の閉じ支援装置
KR20130100750A (ko) 초과이동 안전 장치를 갖는 가스 실린더 액추에이터
US10094157B2 (en) Variable shock-absorbing damper for furniture hinge, with built-in pressure control means
KR102168155B1 (ko)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AU2013205247A1 (en) Damper for hinges
KR880002482A (ko) 1쌍의 의류 파스터 요소들 조립 장치
CN110552935B (zh) 一种液压操动机构
US6776320B2 (en) Setting tool
KR101991947B1 (ko) 유압 체크밸브
KR101442186B1 (ko) 도어 완충장치
US9290978B2 (en) Gate closer
KR101387642B1 (ko) 완충기
JP4859066B2 (ja) 流体ダンパ
KR101947735B1 (ko) 유압 실린더의 완충용 쿠션 장치
KR101762806B1 (ko) 소프트 다단 댐퍼장치
KR101783546B1 (ko) 창호용 에어 댐퍼
KR200285159Y1 (ko) 소화기용 밸브 개방장치
CN105650066B (zh) 一种新型弹性紧固装置
KR20140024488A (ko) 완충기
US3960023A (en) Stored energy ejecto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