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000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000A
KR20200103000A KR1020207017464A KR20207017464A KR20200103000A KR 20200103000 A KR20200103000 A KR 20200103000A KR 1020207017464 A KR1020207017464 A KR 1020207017464A KR 20207017464 A KR20207017464 A KR 20207017464A KR 20200103000 A KR20200103000 A KR 2020010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mber
absorbent article
wearer
back shee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이 이시카와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61F2013/5512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a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61F2013/5515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sanitary nap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02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including dispos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는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과, 전후 방향(L)에 직교하는 폭방향(W)과,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20)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체(30)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고정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흡수체(30)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다. It provides a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tape member capable of suppressing discomfort.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 front-rear direction (L), a width direction (W)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L), a surface sheet 20 facing the wearer's skin, and toward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A body portion including a true back sheet 22, an absorber 30 between the top sheet 20 and the back sheet 22, and a tape member 60 for post-treatment fixed to the body portio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60 is lower than that of the portion where the top sheet 20, the back sheet 22, and the absorber 30 are overlapped.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후처리용의 테이프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tape for post-treatment.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어른용 요실금 패드 또는 분변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사용시에,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은, 착용 물품에 대한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부를 갖는다. 이 점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과는 반대측의 면에 마련된다.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panty liners, adult incontinence pads or fecal pads, ar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orn article worn by the wearer when in use. In general, the absorbent articl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orn article has an adhesive portion for preventing the absorbent article from shifting from the worn article. This adhesive port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opposite to the skin side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특허문헌 1은, 후처리용의 고착 테이프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 고착 테이프는, 백시트에 고착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이어서 마련된 신장(伸張) 가능한 신장부를 구비한다. 고착 테이프는, 고착 테이프의 긴 방향으로 고착 테이프를 대략 삼등분하는 2개의 절곡부를 갖는다. 고착 테이프는, 이 절곡부에서 3개로 접혀 절첩되어 있다. 신장부는, 약한 점착면에 의해 베이스부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다. 신장부의 접착 부분은, 강한 점착면에 의해,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의 백시트에 접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disposable diaper or sanitary napkin provided with a fixing tape for post-treatment. This fixing tape includes a base portion fixed to the back sheet, and an elongated portion that can be stretched next to the base portion. The fixing tape has two bent portions that roughly divide the fixing tape into three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tape. The fixing tape is folded in three at this bent portion and folded. The stretched portion is adhered to the base portion so as to be peelable by a weak adhesive surface. The bonding portion of the stretched portion is made to be bonded to the back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at the time of disposal due to the strong adhesive surface.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9901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9-99010

본원 발명자는, 예의 검토의 결과,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관해 이하와 같은 과제를 발견했다. 즉, 종래,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가 착용자에게 착용의 위화감을 준다는 것은 상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의 착용중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 부근의 시트의 단부가 말리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의 일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As a result of intensive examinatio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discovered the following problems regarding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That is, conventionally, it is not assumed that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gives the wearer a feeling of incongruity in wearing.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during the wearing of the absorbent article, a part of the tape member may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skin due to the curling of the end of the sheet near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또한,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어른용 요실금 패드 또는 분변 패드와 같이 착용자의 착의에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착의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압박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에 의한 위화감이 생길 수 있다. In addition, in absorbent articles that are adhered to the wearer's clothing, such as sanitary napkins, panty liners, adult incontinence pads, or fecal pads, the absorbent article is in a stat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wearer's skin by wearing the tape member. This may cause discomfort.

특히, 팬티와 같은 속옷에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둥근 둔부를 따라서 둥글게 만곡된 상태가 된다.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는 테이프 부재를 이와 같이 만곡된 영역에 배치하면, 착용자에 대하여 더욱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In particular, in an absorbent article attached to an undergarment such as underpants, the absorbent article is in a rounded state along the round buttocks. If a tape member having a relatively high rigidity is disposed in such a curved area, the wearer may feel more uncomfortable.

따라서,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는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tape member capable of suppressing a sense of discomfort.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다.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front-rear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 top sheet facing the wearer's skin, a back sheet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the top sheet and the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n absorber between back sheets, and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is of a portion overlapping the top sheet, the back sheet, and the absorber. Low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도 1은, 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후 방향으로 감은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skin surface side.
2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ou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4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1) 실시형태의 개요 (1) Summary of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clear from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ttached drawings.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다.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front-rear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 top sheet facing the wearer's skin, a back sheet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the top sheet and the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n absorber between back sheets, and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is of a portion overlapping the top sheet, the back sheet, and the absorber. Low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흡수성 물품의 착용중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 부근의 시트의 단부가 말리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의 일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흡수체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기 때문에, 착용자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흡수체를 중첩한 부분보다 테이프 부재에 관한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During wearing of the absorbent article, a part of the tape member may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skin due to curling of the end of the sheet near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Here, since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is low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top sheet, the back sheet, and the absorber are overlapped, the wearer is less likely to feel discomfort with the tape memb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top sheet, the back sheet, and the absorber are overlapped .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흡수체의 굽힘 강성보다 낮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is lower than that of the absorber.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가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Thereby, the feeling of discomfort given by the tape member to the wearer can be further suppress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이면 시트의 굽힘 강성보다 낮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is provid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an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is lower than that of the back sheet.

특히,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이 이면 시트의 굽힘 강성보다 낮기 때문에, 착용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성 물품과 피부가 마찰되었다 하더라도, 착용자는 테이프 부재가 존재한다는 감촉을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게 주는 위화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is lower than that of the back sheet, even i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skin are rubbed by the movement while wearing, the wearer recognizes the feeling that the tape member is present. Difficult to do. Therefore, the feeling of discomfort given to the wearer can be more suppress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점착재를 갖지 않는 비고정부를 갖는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non-fixing portion that is not fixed to the main body and does not have an adhesive material.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착용중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 부근의 시트의 단부가 말리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의 일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에 점착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가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에 점착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중에 테이프 부재가 테이프 부재 자신의 점착재에 달라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during wearing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end of the sheet near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is curled, so that a part of the tape member may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skin. Even in this case, since the adhesive material is not provided in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pe member from adhering to the wearer's skin. Further, since the adhesive material is not provided in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ape member adheres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tape member itself during wearing.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상기 비고정부는, 연신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비고정부가 연신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은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 부재로 고정할 때에, 테이프 부재로 흡수성 물품을 고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Since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when fixing the wound absorbent article with the tape member,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absorbent article with the tape member.

또한,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를 연신 방향으로 신장시킨 경우,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네크인하게 된다. 여기서, 비고정부가 점착재를 갖는 경우, 점착재와 테이프 부재의 신축성의 차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는 폭방향으로 뒤집히기 쉬워진다.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가 뒤집히면, 테이프 부재 자신이 테이프 부재의 점착재에 달라붙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비고정부가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비고정부는 점착재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when the non-fixed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stretch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non-fixed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necked i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Here, when the non-fixing portion has an adhesive material,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adhesive material and the tape member,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tends to turn over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turned over, the tape member itself may stick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tape member. Therefore, when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fixing portion does not have an adhesive material.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절첩되지 않은 단일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that is not folded.

이것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절첩된 테이프 부재와 비교하면,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Thereby, compared with the tape member fold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 feeling of discomfort to the wearer can be suppressed more.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정전기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is made of a film that does not contain an antistatic agent.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는, 정전기에 의해 본체부에 달라붙기 쉬워진다. 테이프 부재가 본체부에 달라붙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착용중에 테이프 부재가 말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ape member tends to stick to the body portion by static electricity. When the tape member adheres to the body portion, curling of the tape member during wearing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점착부를 갖는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it has an adhesive portion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점착부에 의해, 예컨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어른용 요실금 패드 또는 분변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팬티와 같은 착의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테이프 부재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에 기인하는 착용자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a panty liner, an adult incontinence pad, or a fecal pad can be fixed to the wearer's clothing such as pants by the adhesive portion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Also in this case, since the rigidity of the tape member is low,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earer's discomfort caused by the tape member.

또한, 흡수성 물품의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을 감는 경우,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고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착부는, 착의에 고정하는 용도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고착하는 용도의 2개로 겸용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ound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tape member can be fixed to the adhesive portion. Accordingly, the adhesive portion can be used both for fixing to the clothing and for fixing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속옷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nt article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wearer's underwear when in use, and the tape member is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t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는, 착용자의 둔부의 갈라진 곳(둔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의 움푹 팬 개소에 테이프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에 기인하는 착용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Thereby,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rack (blunt heat) of the buttocks of the wearer. In this way,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the dent in the wearer's skin, the feeling of incongruity in wearing due to the tape member can be reduc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5%의 길이의 범위 내에 마련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is provided within a range of 1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는, 착용자의 둔부의 갈라진 곳(둔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의 움푹 팬 개소에 테이프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에 기인하는 착용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Thereby,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rack (blunt heat) of the buttocks of the wearer. In this way,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the dent in the wearer's skin, the feeling of incongruity in wearing due to the tape member can be reduced.

(2) 흡수성 물품의 구성 (2) Composition of absorbent artic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어른용 요실금 패드, 분변 패드 또는 땀흡수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특히,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 Hereinafte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a panty liner, a breast milk pad, an adult incontinence pad, a fecal pad, or a sweat absorbing sheet. In particular,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rticle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orn article such as an undergarment of a user and used.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atio of each dimension may be different from that in reality.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parts in which the relationship and ratio of the dimens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included in the drawings.

도 1은, 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쪽에 상당한다. 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skin surface side. 2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Here, the "skin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during use. "Non-skin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during use.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L) 및 폭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앞쪽(배쪽)으로부터 뒤쪽(등쪽)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The absorbent article has a front-rear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L is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abdominal side) of the wearer to the rear (dorsal side) or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wearer to the front. The width direction W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L.

흡수성 물품(10)은,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20)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체(3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갖는다. 표면 시트(20)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한다. 이면 시트(22)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The absorbent article 10 includes a top sheet 20 facing the wearer's skin, a back sheet 22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and an absorber between the top sheet 20 and the back sheet 22 It has a main body including 30. The top sheet 20 faces toward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back sheet 22 is direc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absorbent body 30 ext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흡수성 물품(10)은, 윙(40) 및 힙플랩(50)을 갖고 있어도 좋다. 윙(40)은, 사용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접힌다. 힙플랩(50)은, 윙(40)보다 후방에서 폭방향(W)으로 팽창된 부분이다. 힙플랩(50)은, 폭방향(W)에서의 흡수체(3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팽창된 부분이다. The absorbent article 10 may have a wing 40 and a hip flap 50. The wing 40 is folded to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worn article when in use. The hip flap 50 is a portion that is expande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rear of the wing 40. The hip flap 50 is a portion that expands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30 in the width direction W.

흡수성 물품(10)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갖는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며,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또, 윙(40)을 갖는 흡수성 물품(10)에서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윙(40)끼리의 사이에 있으며,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n excretory mouth facing region S1 that faces an excretory mouth (eg, vaginal mouth) of the wearer during use. The excretory mouth facing region S1 is a region disposed between the wearer's crotch, that is, the wearer's both legs, and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the absorbent body 30 is present. In addi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10 having the wings 40, the excretory facing region S1 is between the wings 40 and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the absorbent body 30 exists.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점착부(42, 52, 70)를 갖는다. 점착부(42, 52, 70)는,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가 마련된 영역이다. 점착부는, 본체 점착부(70)와, 윙 점착부(42)와, 플랩 점착부(5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Th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are regions provided with an adhesive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o the worn article. The adhesive portion includes a body adhesive portion 70, a wing adhesive portion 42, and a flap adhesive portion 52.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점착부(42, 52, 70)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팬티와 같은 착의에 고정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을 감는 경우,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42, 52, 70)에 고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착부(42, 52, 70)는, 착의에 고정하는 용도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고착하는 용도의 2개로 겸용할 수 있다. With th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fixed to the wearer's clothing such as underpants.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ound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tape member 60 for post-treatment can be fixed to the adhesive portions 42, 52, 70. Accordingly, th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can be used both for fixing to a garment and for fixing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와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적어도 배설구 대향 영역(S1)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후방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s provid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body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extend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to the rear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t least from the excretory port facing region S1.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윙 점착부(42)는 윙(40)에 마련되어 있다. 윙(40)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착용 물품에 접히고, 윙 점착부(42)에 의해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에 부착된다. 플랩 점착부(52)는 힙플랩(50)에 마련되어 있다.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wing 40. The wing 40 is folded to the wearer's worn article during use, and is attached to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worn article by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is provided on the hip flap 50.

흡수성 물품(10)은, 폭방향(W)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절곡선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은 3개의 절곡선(F1∼F3)을 갖고 있다. 이들 절곡선(F1∼F3)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시에 흡수성 물품을 절첩하기 위한 라인이다. The absorbent article 10 may have at least two bending line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three bending lines F1 to F3. These bending lines F1 to F3 are lines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during packaging of the absorbent article.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60)를 더 갖는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는, 피부면측에서 보면, 흡수성 물품(10)에 가려진 상태가 된다. The absorbent article 10 further includes a tape member 60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on the inner side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ccordingly, the tape member 60 is in a state covered by the absorbent article 10 when viewed from the skin surface side.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신장」이란,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한 신장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테이프 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소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테이프 부재(60)는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so as to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10. Here, "elongation" includes elongation by "elastic deformation" or "plastic deform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ape member 6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lastically deformable. As an example, the tape member 6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sheet. In this case, by the wearer pulling the tape member 60, the tape member 60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테이프 부재(60)는 후처리용의 테이프이며,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은 상태로 본체 점착부(70)에 부착될 정도로 연장 가능하면 된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본체 점착부(70)에 부착 가능한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부재(60)는, 표면 시트(20)보다 본체 점착부(70)에 점착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The tape member 60 is a tape for post-treatment, and may be extended enough to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Further, the tape member 6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Preferably, the tape member 6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er to adhere to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than the top sheet 20.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본체부, 특히 흡수성 물품(10)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62)를 갖고 있다. 즉,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 특히 이면 시트(22)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64)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의 표면은 점착재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The tape member 60 has a fixing portion 62 fixed to a body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particular a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at is, the fixing part 62 of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ack sheet 22. Further, the tape member 60 has a non-fixing portion 64 that is not fixed to the body portion, particularly the back sheet 22. The surface of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may not have an adhesive material.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감긴 상태의 본체부에 고착하여, 흡수성 물품(10)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본체부에 대하여 고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고정부(64)가 본체부에 고착되는 구성은, 본체부(20)의 점착부이어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마련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착 수단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본체부에 대하여 고착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부(62)가 본체부에 고착되는 구성은, 본체부의 점착부이어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마련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착 수단이어도 좋다.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disposed,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adhere to the body portion in a wound state with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nwardly to maintain the wound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non-fixing portion 64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may be an adhesiv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or may be a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or a hook member provided on the tape member 60. Further,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ing part 62 is fixed to the main body may be an adhesive part of the main body, or may be a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provided on the tape member 60 or a hook member.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면 시트는, 단위 면적당 중량 30 g/㎡의 에어스루 부직포(PE/PET)로 구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의 사이에 세컨드 시트가 마련되어도 좋다. 세컨드 시트로는, 표면 시트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부의 폭방향의 외측에는, 표면 시트가 배치되지 않고,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로는, 단위 면적당 중량 13 g/㎡의 SMS 부직포(PP)로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코어의 흡수 재료는,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와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재료 전체의 중량에 대한 고흡수 폴리머의 중량의 비율은 10%이어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주위의 흡수 코어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950 g/㎡이어도 좋고, 주위의 흡수 코어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300 g/㎡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는, 단위 면적당 중량 2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비통기 타입)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7 g/㎡이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마련되어도 좋다. 각 본체 점착부의 폭방향의 길이는 5 mm, 각 본체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320 mm이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420 mm,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의 길이는 200 mm이어도 좋다.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단위 면적당 중량 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긴 방향의 길이는 45 mm, 테이프 부재의 짧은 방향의 길이는 25 mm이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는, 단위 면적당 중량 100 g/㎡의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접착제는 폭 21 mm, 길이 5 mm의 범위로 도포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이면 시트측의 면은 인쇄되어도 좋다. 인쇄는 핑크계의 우레탄계 잉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신장하는 테이프 부재로는, 단위 면적당 중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 단위 면적당 중량 10 g/㎡의 스티렌계 고무층 및 단위 면적당 중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is shown. The top sheet may be composed of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PE/PET)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30 g/m 2. A second she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absorbent core. The second shee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sheet. A top sheet may not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but a side sheet may be disposed. The side sheet may be composed of an SMS nonwoven fabric (PP)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13 g/m 2. The absorbent material of the absorbent core may be composed of softwood kraft pulp and a super absorbent polymer. The ratio of the weigh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to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may be 10%.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region including the excretory facing region S1 may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region including the excretory facing region S1 may be 950 g/m 2, and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may be 300 g/m 2. The back sheet may be composed of a polyethylene film (non-ventilated type)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23.5 g/m 2. The absorbent article may have a pressing portion formed by pressing the top sheet and the absorbent co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body adhesive portion may be made of a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body adhesive portion may be 27 g/m 2. Six main body adhesive portions may b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length of each body adhesiv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5 mm, and the length of each body adhesiv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320 mm.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420 mm, and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200 mm.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may be composed of a polyethylene film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35 g/m 2.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45 mm, and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short direction may be 25 mm. The tape member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by a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100 g/m 2. The adhesive may be applied in a range of 21 mm in width and 5 mm in length. The side of the tape member on the back sheet side may be printed. Pink urethane ink may be used for printing. In addition, the elongated tape member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polypropylene layer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10 g/m2, a styrene rubber layer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10 g/m2, and a polypropylene layer having a weight of 10 g/m2 per unit area. good.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비고정부(64)는 연신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비고정부(64)가 연신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은 흡수성 물품(10)을 테이프 부재(60)로 고정할 때에, 테이프 부재(60)로 흡수성 물품(10)을 고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도 4 참조).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Since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when fixing the wound absorbent article 10 with the tape member 60, the absorbent article ( 10) can be easily fixed (see Fig. 4).

테이프 부재(60)는, 절첩되어 있지 않은 단일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절첩된 테이프 부재와 비교하면,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촉감의 저하)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stituted by a single sheet that is not folded. Thereby, as compared with the tape member fol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the feeling of discomfort (deterioration of the touch) given to the wearer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attached can be further suppressed.

흡수성 물품(10)의 착용중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 부근의 시트의 단부가 말리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일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에 점착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가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worn, a part of the tape member 60 may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by curling the end of the sheet near the tape member 60 for post-treatment. Even in this case, since the adhesive material is not provided in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pe member 60 from adhering to the wearer's skin.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에 점착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중에 테이프 부재가, 테이프 부재 자신의 점착재에 달라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adhesive material is not provided in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the problem that the tape member adheres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tape member itself can be prevented during wearing.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를 연신 방향으로 신장시킨 경우,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네크인하게 된다. 여기서, 비고정부(64)가 점착재를 갖는 경우, 점착재와 테이프 부재(60)의 신축성의 차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폭방향으로 뒤집히기 쉬워진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가 뒤집히면, 테이프 부재 자신이 테이프 부재(60)의 점착재에 달라붙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의 표면이 점착재를 갖지 않는 경우, 테이프 부재(60) 자신이 테이프 부재(60)의 점착재에 달라붙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stretch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necked i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Here, when the non-fixing part 64 has an adhesive material, the non-fixing part 64 of the tape member 60 becomes easy to turn over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adhesive material and the tape member 60. When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turned over, the tape member itself may stick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tape member 60. When the surface of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does not have an adhesive material, the tape member 60 itself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tape member 60.

연장 방향에서의 테이프 부재(60)의 선단부는, 고정부(62)와는 반대측으로 향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시킬 때에,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에는 연장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62)에 가해지는 힘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의 고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tip end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extending direction may be direc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fixing part 62. In this case, when the tape member 60 is extended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 force acts on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only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by,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rt 62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the fixing strength of the tape member 60 can be maintained.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10)을 전후 방향(L)으로 감은 후,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사용중에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서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후에,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시트(22)의 별도의 부분에 마련된 점착부(70)에 부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와 점착부(70)의 접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작게 둥글게 말은 상태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After us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may wind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then extend the tape member 60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see FIG. 4). ). During use,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bod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are not adhered to the tape member 60. After th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attaches the tape member 60 extending outward to the adhesive portion 70 provided in a separate portion of the back sheet 22 to round the absorbent article 10. Horses can remain in state. Here, since a body fluid such as acupuncture points does not adhere to the tape member 60, a decrease i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ape member 60 and the adhesive portion 70 can be prevented, thereby making the absorbent article 10 small and round. Horses can be made easy to keep in state.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사용중에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되고,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during th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tape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22 and does not extend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so that the tape member ( 60) do not directly touch the wearer's sk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dis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use.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폭방향(W)에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둔부의 갈라진 곳(둔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의 움푹 팬 개소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에 기인하는 착용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The tape member 60 is in the width direction (W) within a range of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reby,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rack (blunt heat) of the buttocks of the wearer. In this way,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in the dent in the wearer's skin, the feeling of incongruity in wearing caused by the tape member 60 can be reduced.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15% 길이의 범위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둔부의 갈라진 곳(둔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의 움푹 팬 개소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에 기인하는 착용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provided within a range of 1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reby,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rack (blunt heat) of the buttocks of the wearer. In this way,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in the dent in the wearer's skin, the feeling of incongruity in wearing caused by the tape member 60 can be reduced.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60)는, 절곡선(F1∼F3) 중의 가장 후측의 절곡선(F3)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전측으로부터 감기 시작한다.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많은 사용자는, 권취 방향을 따라 테이프 부재(60)를 연장시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부착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to the rear side than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ending line F1 to F3 at the rearmost side of the bending line F3. About 80% of users start winding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from the front side. Since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to the rear side than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many users extend the tape member 60 along the winding direction so that the tape member 60 It can be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70.

바람직하게는, 본체 점착부(70)는, 테이프 부재(60)를 전후 방향(L)으로 연장한 가상선상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점착부(70)는, 테이프 부재(60)를 연신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E2)보다 후측으로 연장시켜, 감긴 흡수성 물품(10)에 똑바로 테이프 부재(60)를 따르게 하면, 테이프 부재(60)에 본체 점착부(70)가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의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인장하지 않고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s provided o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the tape member 60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More preferably,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s provided o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the tape member 6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hereby, when the tape member 60 is extended rearward than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tape member 60 is straight along the wound absorbent article 10, the tape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s attach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intain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rolled state without stretching the tape member 60 obliquely toward the position of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상기 가상선상에 마련된 본체 점착부(70)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은, 테이프 부재(60)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감은 상태로 테이프 부재(60)를 연신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똑바르지 않고 다소 구부러져 인출되었다 하더라도,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가 본체 점착부(70)의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provided on the virtual lin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tape member 60. Accordingly, when the tape member 60 is stretch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wound, even if the tape member 60 is not straight and is slightly bent and pulled out, the unfixed portion of the tape member 60 ( 64) is located at the point of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dhere the tape member to the adhesive portion.

본체 점착부(70)는,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폭방향(W)에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은, 폭방향(W)에서의 본체 점착부(70)끼리의 간격(W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인출한 끝에 본체 점착부(70)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7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body adhesive portions 70 may b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is case,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width direction W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stance W2 between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s 70 in the width direction W.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at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does not exist at the end of the user pulling out the tape member 6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60 to the adhesive portion 70.

테이프 부재(60)의 본체 점착부(70)에 접촉시키는 쪽의 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테이프 부재(60)의 본체 점착부(70)에 접촉시키는 쪽의 면의 KES의 표면 거칠기는, 0.5∼1.5 정도의 범위이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본체 점착부(70)에 접촉시키는 쪽의 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본체 점착부(70)에 대한 테이프 부재(6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은 상태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점착시켰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본체 점착부(70)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tape member 60 on the side of contact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s smooth. For example, the KES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tape member 60 on the sid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0.5 to 1.5. Since the surface of the tape member 60 on the side of contact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s smooth, the contact area of the tape member 60 with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can be increased. Thereby, when the tape member 60 is adhered to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6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 can.

또, KES의 표면 거칠기는, 예컨대 카토 테크 주식회사(Kato Tekko Co., LTD.) 제조의 표면 시험 장치(KES-FB4-AUTO-A)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측정 대상인 테이프 부재(시험편)를 표면 시험 장치의 측정 테이블 위에 얹는다. 그리고 나서, 시험편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시험편을 고정한 상태로, 표면 시험 장치의 측정 단자를 시험편에 접촉시키면서 측정 단자를 측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시험편은, 측정 방향에서의 길이가 100 mm, 측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50 mm의 사이즈로 컷트되어도 좋다. 전술한 KES의 표면 거칠기는, 이 측정에 의해 얻어진 거칠기(SMD)의 값에 의해 규정된다. 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of KES can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surface testing apparatus (KES-FB4-AUTO-A) manufactured by Kato Tekko Co., Ltd. Specifically, first, a tape member (test piece) as a measurement object is placed on a measurement table of a surface testing apparatus. Then, while the test piece is fixed so as not to cause wrinkles on the test piece, the measurement terminal is moved in the measurement direction while bringing the measurement terminal of the surface test apparatus into contact with the test piece. Further, the test piece may be cut to a size of 100 mm in length in the measurement direction and 50 mm in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easurement directi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KES described above is defined by the value of the roughness (SMD) obtained by this measurement.

이면 시트(22)와 테이프 부재(60)의 양쪽이 필름, 예컨대 합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이면 시트(22)에 접하는 면과, 이면 시트(22)의 테이프 부재(60)에 접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이, 정전기 방지 처리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Both the back sheet 22 and the tape member 60 may be made of a film,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il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referably both of the surface of the tape member 60 in contact with the back sheet 22 and the surface of the back sheet 22 in contact with the tape member 60 are not treated with antistatic treatment. .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정전기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는, 정전기에 의해 본체부에 달라붙기 쉬워진다. 테이프 부재(60)가 본체부에 달라붙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의 착용중에 테이프 부재(60)가 말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the tape member 60 may be formed of a film that does not contain an antistatic agent. Thereby, the tape member 60 becomes easy to stick to the body part by static electricity. When the tape member 60 adheres to the main body, curling of the tape member 60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worn can be suppressed.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체(3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은, 흡수성 물품(10) 중에서 특히 강성이 높은 영역이 된다.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흡수체(3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을 감았을 때에, 강성이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는, 흡수성 물품(10)과 함께 확실하게 만곡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확실하게 만곡됨으로써, 테이프 부재(60)의 자유단이 보다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손으로 잡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overlaps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region in which the absorber 30 is present is a reg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0 with particularly high rigidity. Since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overlaps the absorbent body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wound,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60 located in a region with high rigidity ( 62) is reliably curved together with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is way, since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is reliably curved, the free end of the tape member 60 is more likely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hold and operate the tape member 60 by hand.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흡수체(30)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다. 여기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중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 부근의 시트의 단부가 말리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일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흡수체(30)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기 때문에, 착용자는,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흡수체(30)를 중첩한 부분보다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60 is lower than that of the portion where the top sheet 20, the back sheet 22, and the absorber 30 are overlapped. Here, during wearing of the absorbent article, a part of the tape member 60 may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skin by curling the end of the sheet near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Here,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60 is low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top sheet 20, the back sheet 22, and the absorber 30 are overlapped, so that the wearer is the top sheet 20 and the back sheet. It is more difficult to feel the sense of incongruity than the overlapping portion 22 and the absorber 30.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은, 흡수체(30)의 굽힘 강성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은, 흡수체(30)의 굽힘 강성의 바람직하게는 10분의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의 1 이하이어도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ape member 60 is lower than that of the absorber 30. Thereby, the feeling of discomfort that the tape member 60 gives to the wearer can be further suppressed.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ape member 60 may be preferably 1/1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30 or less of the bending rigidity of the absorber 30.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되어 있고,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은 이면 시트(22)의 굽힘 강성보다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urther, the tape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22,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ape member 60 is lower than that of the back sheet 22.

특히,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이 이면 시트(22)의 굽힘 강성보다 낮기 때문에, 착용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성 물품(10)과 피부가 마찰되었다 하더라도, 착용자는 테이프 부재(60)가 존재한다고 하는 감촉을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60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is low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back sheet 22, the absorbent article 10 and the skin rubbed by the operation while wearing. Even so, it is difficult for the wearer to recognize the feeling that the tape member 60 is present. Therefore, the feeling of discomfort given to the wearer can be further suppressed.

즉, 테이프 부재(60)는, 보다 강성이 높은 이면 시트(22)에 의해 덮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착용자는 착용중에 테이프 부재(60)의 강성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That is, since the tape member 60 is covered with the back sheet 22 having higher rigidity, the wearer hardly feels the rigidity of the tape member 60 during wearing.

본건의 발명자는, 시장에 유통하는 여러가지 흡수성 물품의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관해 강성을 측정했지만, 테이프 부재(60)의 굽힘 강성이, 이면 시트(22), 흡수체(30),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흡수체(30)를 중첩한 부분의 각각의 강성보다 낮은 것은 발견하지 못했다.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d the rigidity of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of various absorbent articles distributed in the market, but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ape member 60 was found to be the back sheet 22, the absorber 30, and the top sheet ( 20), and the back sheet 22 and the absorber 30 were not found to be lower than the respective rigidity of the overlapping portion.

또, 테이프 부재(60), 이면 시트(22), 흡수체(30),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흡수체(30)를 중첩한 부분의 각각의 강성은, 표준규격 JIS P-8125에 의해 규정되는 테이버법에 의해 측정된다. In addition, the rigidity of each of the portions where the tape member 60, the back sheet 22, the absorber 30, the top sheet 20, the back sheet 22 and the absorber 30 are overlapped is the standard JIS P- It is measured by the Taber method defined by 8125.

예컨대, 우선, 측정 대상이 되어야 하는 부재(시트)로부터 폭 38.1 mm, 길이 70 mm의 시험편을 채취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의 두께를 두께계(예컨대, PEACOCK 제조 44 mmφ 3 g/㎡)에 의해 계측한다. 다음으로, 야스다 정기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에 시험편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의 롤러 사이에 넣고, 손잡이 간격을 시험편의 두께에 맞춰 끼운다. 또, 시험편의 상단과 손잡이 상면을 맞춘다. 롤러는 시험편을 누르지 않도록 시험편과의 간격을 약 0.5 mm로 조정한다.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 시험편 굽힘 장치를 회전시키고, 시험편 굽힘 장치의 15도를 나타내는 각선(刻線)과 하중 진자의 지침이 일치한 점에서 굽힘 장치의 회전을 정지하고, 이 때 진자의 지침이 지시하는 하중 눈금을 읽는다. 하중 진자를 즉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마찬가지로 하중 눈금을 읽어, 좌우 양방향의 하중 눈금의 평균치를 구한다. 또,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 추를 임의로 선정한다. 그리고 나서, 시험편의 굽힘 강성(강연도(gㆍcm))은, 「강연도(gㆍcm)=하중 눈금의 평균치×10×추의 수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For example, first, a specimen having a width of 38.1 mm and a length of 70 mm is taken from a member (sheet) to be measured. Next, the thickness of the test piece is measured with a thickness meter (eg, 44 mmφ 3 g/m 2 manufactured by PEACOCK). Next, the test piece is installed in a Taber stiffness tester manufactured by Yasuda Seiki. Next, put the test piece between the rollers of the Taber stiffness tester, and insert the handle gap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est piece. Also, align the top of the test piece with the top of the handle.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 and the test piece to about 0.5 mm so as not to press the test piece. Taber stiffness tester Rotate the specimen bending device, stop the rotation of the bending device at the point where the angle line representing 15 degrees of the specimen bending device matches the guideline of the load pendulum. Read the load scale. The load pendulum is immediat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load scale is similarly read, and the average of the left and right load scales is obtained. In addition, an auxiliary weight is arbitrarily selected so that the indicated load scale falls within the range of 15 to 85% of the maximum scale. Then, the bending stiffness (strength strength (g·cm)) of the test piece is calculated by an equation of “strength strength (g·cm) = average value of load scale × 10 × value of weight”.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부(62)의 폭은,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를 인장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60)의 폭 전체보다 짧은 고정부(62)의 폭의 지점에, 신장 방향으로 강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를 신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인장력을 작게 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6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pulled, a strong force is appli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to the point of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62 shorter than the entire width of the tape member 60. Accordingly, the tensile force required to elongate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can be reduced.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부(62)의 폭은,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의 절반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부(62)의 폭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가, 폭방향(W)으로 말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가 평면적으로 넓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테이프 부재(60)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은 상태로 고정하기 쉬워진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6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s not less than half of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6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curling of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width direction W can be suppressed. Thereby, it becomes easy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non-fixing part 64 of the tape member 60 is flatly wide, and it becomes easy to fix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rolled state by the tape member 60.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흡수체(3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흡수체(30)로부터 50 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가 착용자의 체액과 같은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흡수체(3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이면 시트(22)는 비틀리고, 이면 시트(22)에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가령, 테이프 부재(60)가 이와 같은 주름이 생기는 개소에 존재하면, 주름의 발생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와 이면 시트(22) 사이에 부분적으로 공간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이면 시트(22)에 밀착할 수 없게 되고,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착용중에 이면 시트(22)에 대하여 마찰되어 움직이기 쉬워진다. 그 결과, 테이프 부재(60)가 폭방향으로 말리거나 절곡되거나 하여, 테이프 부재(60)를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본 양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흡수체(30)가 액체를 흡수했다 하더라도 이면 시트(22)에 주름이 생기기 어려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가, 착용중에 폭방향으로 말리거나 절곡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absorber 30. For example,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50 mm or more away from the absorber 30. As the absorber 30 absorbs a liquid such as the wearer's body fluid, the back sheet 22 overlapping with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twisted, and wrinkles occur in the back sheet 22. For example, if the tape member 60 is present in such a wrinkled location, a space is partially created between the tape member 60 and the back sheet 22 due to the occurrence of wrinkles. As a result, the tape member 60 can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heet 22, and the tape member 60 rubs against the back sheet 22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being worn, making it easier to move. . As a result, the tape member 60 is rolled or bent in the width direction,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 tape member 60. In this embodiment,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t is, a position where wrinkles are unlikely to occur in the back sheet 22 even if the absorber 30 absorbs liquid. There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ape member 60 from being curled or bent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wearing.

흡수체(30)에는, 소정 패턴의 엠보스(압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30)는, 주위의 흡수체(30)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저단위 면적당 중량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체(30)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흡수체(30)에 마련된 저단위 면적당 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체(30)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흡수체(30)에 마련된 저단위 면적당 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면, 테이프 부재(60)와 이면 시트(22)(흡수체(30))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을 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보다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지고,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손으로 잡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The absorber 30 may be provided with an emboss (compression portion) of a predetermined pattern. Further, the absorber 30 may have a low weight per unit area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lower than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surrounding absorber 3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overlaps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an emboss formed on the absorbent body 30 or a low unit weight area provided on the absorbent body 30. When the tape member 60 overlaps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an emboss formed on the absorbent body 30 or a low unit area weight area provided on the absorber 30, the tape member 60 and the back sheet 22 (absorber 30) ) It is easy to have a gap between them. Therefor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wound, the tape member 60 is more likely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and the user can more easily hold the tape member 60 by hand and operate it.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고정부(62)를 제외한 영역은, 윙 점착부(42), 플랩 점착부(52) 및 본체 점착부(7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손으로 잡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region of the tape member 60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62 is provided at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and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Thereby,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wound, the tape member 60 is liable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hold and operate the tape member 60 by hand.

윙 점착부(42), 플랩 점착부(52) 및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10)의 전개 상태에서, 비고정부(64)의 연신을 수반하지 않는 비고정부(64)의 가동 범위(도 2의 영역(S)) 내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테이프 부재(60)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윙 점착부(42), 플랩 점착부(52) 또는 본체 점착부(7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의 착용중에, 테이프 부재(60)가 윙 점착부(42), 플랩 점착부(52) 및 본체 점착부(70)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and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move the non-fixed portion 64 not accompanied by stretching of the non-fixed portion 64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outside the range (region S of FIG. 2). That is, the tape member 60 does not adhere to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or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stretched.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pe member 60 from adhering to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and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being worn.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외연을 따라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엠보스는, 예컨대 표면 시트(20) 및 이면 시트(22)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엠보스의 일부는, 테이프 부재(60)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Further, an emboss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is emboss may be formed on the top sheet 20 and the back sheet 22, for example. In this case, part of the emboss may also be formed on the tape member 60.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modified and changed aspec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ve description and does not have any limiting meaning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201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52488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252488 for which it applied on December 27, 2017 is incorporated into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는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tape member capable of suppressing discomfort.

10 : 흡수성 물품
20 : 표면 시트
22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40 : 윙
42 : 윙 점착부
50 : 힙플랩
52 : 플랩 점착부
60 : 테이프 부재
62 : 고정부
64 : 비고정부
70 : 본체 점착부
S1 : 배설구 대향 영역
L : 전후 방향
W : 폭방향
10: absorbent article
20: surface sheet
22: back sheet
30: absorber
40: wing
42: wing adhesive part
50: hip flap
52: flap adhesive portion
60: tape member
62: fixed part
64: non-government
70: body adhesive part
S1: area opposite the excretory tract
L: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 width direction

Claims (10)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중첩한 부분의 굽힘 강성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urface sheet facing the wearer's skin,
A back sheet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A body portion including an absorber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It has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fixed to the main body,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a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lower than that of a portion where the top sheet, the back sheet, and the absorber are overla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흡수체의 굽힘 강성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is lower than that of the absor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의 굽힘 강성은 상기 이면 시트의 굽힘 강성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ape member is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wer bending stiffness of the tape member than that of the back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점착재를 갖지 않는 비고정부
를 갖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ape member
A fixing part fixed to the main body,
Non-fixed part that is not fixed to the main body and does not have an adhesive material
An absorbent article hav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상기 비고정부는 연신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a stretching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절첩되어 있지 않은 단일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ape member is formed of a single sheet that is not fol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정전기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ape member is formed of a film that does not contain an antistatic ag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having an adhesive portion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속옷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wearer's underwear when in use,
The tape member is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in a range of a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5%의 길이의 범위 내에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ape member is provided within a range of 1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KR1020207017464A 2017-12-27 2018-12-11 Absorbent article KR2020010300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2488 2017-12-27
JP2017252488A JP7133921B2 (en) 2017-12-27 2017-12-27 absorbent article
PCT/JP2018/045472 WO2019131107A1 (en) 2017-12-27 2018-12-11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000A true KR20200103000A (en) 2020-09-01

Family

ID=6706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464A KR20200103000A (en) 2017-12-27 2018-12-11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33921B2 (en)
KR (1) KR20200103000A (en)
CN (1) CN111511331B (en)
TW (1) TW201936150A (en)
WO (1) WO2019131107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10A (en) 1995-03-17 1997-04-15 Kao Corp Extension tape and absorptive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422U (en) * 1984-07-30 1986-02-25 理恵子 川鶴 sanitary napkin with string
JPS63124924U (en) * 1987-02-05 1988-08-15
JP3566461B2 (en) * 1996-06-28 2004-09-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s
JP3754333B2 (en) * 2001-06-29 2006-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s
US8801687B2 (en) * 2009-03-06 2014-08-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stiffening element and a device for disposal
WO2010117314A1 (en) 2009-04-09 2010-10-14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tab in order to facilitate disposal
JP6168855B2 (en) 2013-06-03 2017-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items
JP6086398B2 (en) * 2014-09-26 2017-03-01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10A (en) 1995-03-17 1997-04-15 Kao Corp Extension tape and absorptive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11331A (en) 2020-08-07
WO2019131107A1 (en) 2019-07-04
CN111511331B (en) 2023-03-21
JP7133921B2 (en) 2022-09-09
TW201936150A (en) 2019-09-16
JP2019115581A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9377B2 (en) Dynamic fitting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926578B2 (en) Male incontinence protector
EP2958556B1 (en) Three dimensional structural support for female pelvic organs in thong underwear
JP7170388B2 (en) absorbent article
JP2017086388A (en) Absorbent article
KR20200103664A (en) Absorbent article
RU2770852C2 (en) Absorbing product
KR20200103000A (en) Absorbent article
JP6226947B2 (en) Absorbent articles
JP6051285B1 (en) Absorbent articles
JP3237902U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30B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28B (en) Absorbent article
JP3237449U (en) Absorbent article
JP7244353B2 (en) absorbent article
JP7288748B2 (en) absorbent article
JP2019115584A (en) Absorbent article
JP7083640B2 (en) Absorbent article
JP6395763B2 (en) Absorbent articles
JP2023016250A (en) absorbent article
TW201936149A (en) Absorbent article
JP2017225902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