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664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664A
KR20200103664A KR1020207017504A KR20207017504A KR20200103664A KR 20200103664 A KR20200103664 A KR 20200103664A KR 1020207017504 A KR1020207017504 A KR 1020207017504A KR 20207017504 A KR20207017504 A KR 20207017504A KR 20200103664 A KR20200103664 A KR 2020010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tape member
skin
region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이 이시카와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6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Abstract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또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인식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표면 시트(21), 이면 시트(22) 및 흡수 코어(23)를 갖는 본체부(20)와,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은,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에서,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RB)과,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 영역(RA)의 색차 ΔE는, 3.0 이상이다.There is provided an absorbent article that is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and is easy to recognize a tape member for post treatment. The absorbent article 10 includes a body portion 20 having a top sheet 21, a back sheet 22, and an absorbent core 23, and a tape member 60 for post-treatment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ody portion. ). The absorbent article is us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worn article. In a plan view from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adjacent area RB adjacent to the tape member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an identification area of at least a part of the tape member ( The color difference ΔE of RA) is 3.0 or more.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such as underwear.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 테이프 부재의 일단은, 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테이프 부재의 타단은, 사용 시에 잡히는 부분이다. 이러한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때에는,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의 타단을 파지(把持)한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고정한다.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provided with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One end of this tape member is fixed to the back sheet, and the other end of the tape member is a part that is caught during use. When disposing of such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ape member, the user holds the other end of the tape member and fixes the absorbent article in a bundled state by the tape member.

또한, 특허문헌 3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생리용 냅킨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 시에,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된다. 테이프 부재는, 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착용 시에 착용 물품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Further,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provided with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worn,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orn article worn by the user. The tape member is fixed to the back sheet, and is disposed to face the worn article when worn.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412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244127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893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258938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 제2-94533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Hei 2-94533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의 외측에 이면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부터 테이프 부재를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고, 폐기 시에 테이프 부재를 이용하여 원활히 뭉쳐 폐기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when worn, the back sheet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tape member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ly, the user is easy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tape member, and when discarding, the tape member can be used to smoothly aggregate and discard.

그러나, 특허문헌 3과 같이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은, 착용 시에, 착용 물품의 내측에 이면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 착용 물품의 외측으로부터 테이프 부재를 시인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However, as in Patent Literature 3, the absorbent article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such as underwear, when worn, has a back sheet disposed inside the worn article, so that the tape member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f the worn article. none. Therefore, there have bee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따라서,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인식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이 요망된다.Accordingly, as an absorbent article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can be easily recognized is desired.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고,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과,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 영역의 색차 ΔE는, 3.0 이상이다.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front-rear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 top sheet, a back sheet, and an absorbent core, and for post-treatment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ody portio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ape member and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wherein in a plan view from a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djacent to the tape member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adjacent region and the identification reg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tape member is 3.0 or more.

도 1은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변형예 3 및 변형예 4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2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non-skin facing sid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ro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G. 5 shows a part of the plan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s 1 and 2 as viewed from the non-skin side.
6 shows a part of the plan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s 3 and 4 as viewed from the non-skin side.

(1) 실시형태의 개요(1) Summary of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clear from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고,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과,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 영역의 색차 ΔE는, 3.0 이상이다.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front-rear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 top sheet, a back sheet, and an absorbent core, and for post-treatment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ody portio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ape member and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wherein in a plan view from a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adjacent region adjacent to the tape member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 The color difference ΔE of at least a part of the identification area of the tape member is 3.0 or more.

본체부의 인접 영역과 테이프 부재의 식별 영역의 색차 ΔE가 3.0 이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체부와 테이프 부재를 별체(別體)로서 인식하기 쉽고, 테이프 부재의 존재를 인식하기 쉬워진다.Since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adjacent area of the main body and the identification area of the tape member is 3.0 or more, the user is easy to recognize the main body and the tape member as separate pieces, and the existence of the tape member is easily recogniz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접기 위한 접음선이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접음선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absorbent article, a fold line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facing the skin inward, and the tape member comprises: It is arranged outside the direction.

흡수성 물품의 접음선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의 영역은, 접음 자국에 의해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피부 대향면측으로 부상하기 쉽다. 접음선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의 영역이 접음 자국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흡수성 물품 전체가 평탄한 형상인 경우보다, 흡수성 물품의 측방 등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을 시인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을 착용 물품으로부터 벗긴 상태에서,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테이프 부재를 시인하기 쉬워진다.The area outside the fold 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ikely to float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with the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by the fold mark. Since the area outside the fold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loated by the fold marks, it becomes easier to visually recognize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from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or the like than when the entire absorbent article has a flat shape. Accordingly, it becomes easy for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locat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absorbent article is removed from the worn article.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접음선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제1 접음선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제2 접음선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전단 가장자리 사이의 전측 영역과, 상기 제2 접음선과 상기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후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plurality of fold line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irst fold line closest to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 second fold line closest to the rear end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formed. And the tape member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a front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front edge, and a rear region between the second fold line and the rear end edge.

복수의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는, 접음 자국에 의해, 가장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접음선 및 제2 접음선을 기점으로 부상하기 쉽다.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테이프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접음 자국에 의해 전측 영역 및 후측 영역이 부상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를 인식하기 쉬워진다.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old lines are formed, the front edge and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likely to float from the first fold line and the second fold line located on the outermost front and rear sides by fold marks. .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gion and the rear reg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when the front region and the rear region are raised by the fold marks.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착용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별 영역은, 상기 점착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n the non-skin surface of the back sheet, an adhesive portion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to the worn article is formed, and the identification region is the front and rear than the outer edg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It is arranged outside the direction.

점착부가 형성된 영역은, 착용 시에,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어,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어렵다. 한편, 점착부가 형성된 영역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의 영역은, 착용 시에,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흡수성 물품이 말리거나 부상하거나 함으로써,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식별 영역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 시에 테이프 부재를 시인하여, 테이프 부재의 존재를 인식하기 쉬워진다.The area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is fixed to the worn article when worn, and is difficult to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facing the skin. On the other hand, the area outside the area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area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is not fixed to the worn article when worn, and the absorbent article is curled or floated, which may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Since the identification area is dispos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when wearing it, and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is easily recogniz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갖고, 상기 식별 영역은, 상기 파지부에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has a gripping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the identification area is disposed in the gripping portion.

착용자는, 테이프 부재의 파지부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사용자는, 폐기하는 조작 시에 잡는 개소를 파악함으로써, 폐기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It becomes easy for the wearer to recognize the gripp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The user can perform the disposal operation smoothly by grasping the location to be held at the time of the disposal operation.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파지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일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부재의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가장자리에 의해 끼워진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 영역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일단에 인접하는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측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영역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ipping portion extends to a region including one end of the tape member and sandwiched by a pair of side edges extending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tape member, and the adjacent region, And a region adjacent to the one en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edge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main body.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파지부를 둘러싸서 배치되는 3개의 영역과 파지부의 색차 ΔE가 3.0 이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파지부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지고, 원활한 폐기 조작을 행할 수 있다.Since the color difference ΔE of the gripping part and the three areas arranged surrounding the gripping part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ody part is 3.0 or more,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e gripping part and perform a smooth disposal operation.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식별 영역 및 상기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는, 착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colored por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area and the adjacent area, and the colored por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 form viewed through the body portion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착색부가 시인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착용 시에 테이프 부재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Since the colored por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facing the skin, the user can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upon wearing.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베이스층과,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에 겹치는 인쇄층을 갖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tape member has a base layer and a printing layer overlapping the base layer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the prin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and the absorbent article Visual recognition is possible in the form of viewing through the base layer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kin.

인쇄층이 베이스층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에, 베이스층을 통하지 않고 인쇄층을 시인할 수 있고, 착용 시에 테이프 부재의 존재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인쇄층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베이스층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층이 착용 물품에 스치기 어려워, 의도하지 않게 인쇄층이 보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prin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when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printing layer can be visually recogniz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ase layer, and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is easily recognized when worn. Lose. Further, since the base layer is dispos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printing lay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at the printing layer is less likely to rub against the worn article, and that the printing layer is unintentionally difficult to see.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식별 영역 및 상기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는, 착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색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조작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 colored por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area and the adjacent area, and the colored portion ha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tape member.

사용자는, 안내부에 의해 테이프 부재의 조작을 파악할 수 있고, 원활한 폐기 조작을 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grasp the operation of the tape member by means of the guide unit, and smooth dispos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2) 흡수성 물품의 구성(2) Composition of absorbent artic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실금 패드, 대변 패드 또는 땀받이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Hereinafter,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a panty liner, a breast milk pad, an adult incontinence pad, a feces pad, or a sweat sheet.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rticle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orn article such as an undergarment and used.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at the ratio of each dimension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ctual one.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parts having different dimensional relationships and ratios between the drawings are also included.

도 1은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피부 대향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피부 비대향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2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non-skin facing side. Here,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skin non-facing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during us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ro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 front-rear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L is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abdominal side) of the wearer to the rear side (back side), or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wearer to the front side. The width direction W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L.

흡수성 물품(10)은, 본체부(20)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본체부(20)는, 착용자의 피부로 향해지는 표면 시트(21)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23)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1)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 쪽으로 향한다. 이면 시트(22)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흡수 코어(23)는,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 재료를 포함하고,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0 includes a body portion 20 and a tape member 60 for post-treatment. The body portion 20 is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21 facing the wearer's skin, the back sheet 22 facing the opposite side from the wearer's skin, and the top sheet 21 and the back sheet 22 Absorbent core (23). The surface sheet 21 is directed toward the wearer's skin during use. During use, the back sheet 22 is direc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The absorbent core 23 contains an absorbent material that absorbs body fluid, and ext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본체부(20)는, 윙(40) 및 히프 플랩(50)을 갖고 있어도 좋다. 윙(40)은,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되접혀진다. 히프 플랩(50)은, 윙(40)보다 후방에서, 폭 방향(W)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 히프 플랩(50)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23)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The main body 20 may have a wing 40 and a hip flap 50. The wing 40 is folded back to the non-skin sid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worn article in use. The hip flap 50 is a portion that is bulge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rear of the wing 40. The hip flap 50 is a portion bulging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23 in the width direction W.

본체부(20)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갖는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흡수 코어(23)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한편, 윙(40)을 갖는 흡수성 물품(10)에서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윙(40)끼리의 사이이고, 흡수 코어(23)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The body portion 20 has an excretory mouth facing region S1 that faces an excretory mouth (eg, vaginal mouth) of the wearer during use. The excretory mouth facing region S1 is a region disposed between the wearer's crotch, that is, both legs of the wearer, and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the absorbent core 23 is present. On the other hand, in the absorbent article 10 having the wings 40, the area S1 facing the excretory port is between the wings 40 and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the absorbent core 23 is pres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된 점착부(42, 52, 70)를 가져도 좋다. 점착부(42, 52, 70)는,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영역이다. 점착부는, 본체 점착부(70)와, 윙 점착부(42)와, 플랩 점착부(52)를 포함해도 좋다.As shown in FIG. 2, the body portion 20 may hav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form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Th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are regions in which an adhesive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o the worn article is formed. The adhesive portion may include a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a wing adhesive portion 42, and a flap adhesive portion 52.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된 점착부(42, 52, 70)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부(42, 52, 70)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흡수성 물품(10)을 만 상태로 테이프 부재(60)를 고정시켜, 만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점착부(42, 52, 70)는, 착의에 고정하는 용도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고정하는 용도의 2가지로 겸용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0 can be fixed to a worn article such as underwear by th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form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In addition,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by the adhesive portions 42, 52, 70, the tape member 60 can be fixed with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full state to maintain the full state. Accordingly, the adhesive portions 42, 52, and 70 can be used both for fixing to a garment and for fixing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 코어(23)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적어도 배설구 대향 영역(S1)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후방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70)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s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core 23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extend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to the rear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t least from the excretory port facing region S1.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may be formed in plural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In another aspect,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may be formed in plural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윙 점착부(42)는, 윙(40)에 형성되어 있다. 윙(40)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착용 물품으로 되접혀지고, 윙 점착부(42)에 의해 착용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부착된다. 플랩 점착부(52)는, 히프 플랩(50)에 형성되어 있다.The wing adhesive portion 42 is formed on the wing 40. The wing 40 is folded back into an article worn by the wearer during use, and is attached to the non-skin side of the wearing article by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is formed on the bottom flap 50.

흡수성 물품(10)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 접음선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 2에 도시된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의 접음선은, 제1 접음선(F1)과, 제2 접음선(F2)과, 제3 접음선(F3)을 갖고 있다. 제1 접음선(F1)은,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에 가장 가까운 접음선이다. 제2 접음선(F2)은, 흡수성 물품(10)의 후단 가장자리(E2)에 가장 가까운 접음선이다. 제3 접음선(F3)은, 제1 접음선(F1)과 제2 접음선(F2)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접음선은, 4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음선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 시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0)을 접기 위한 라인이다.The absorbent article 10 may have a fold lin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the fold 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 first fold line F1, a second fold line F2, and a third fold line F3. The first fold line F1 is a fold line closest to the shear edge E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second fold line F2 is a fold line closest to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third fold line F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1 and the second fold line F2. In addition, four or more folding lines may be formed. The fold line is a line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10 with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nt article inward when packaging the absorbent article.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에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에 고정된 고정부(62)를 가져도 좋다. 고정부(62)는, 테이프 부재(60)의 일단에 형성되어도 좋다. 고정부(62)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본체부(20)에 고정되어도 좋다. 고정부(62)는,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을 구성하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되어도 좋다.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The tape member 60 may have a fixing portion 62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part 6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tape member 60. The fixing portion 62 may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by means of an adhesive or the like. The fixing portion 62 may be fixed to the back sheet 22 constituting the non-skin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64)를 가져도 좋다. 비고정부(64)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조작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사용할 때에, 비고정부를 파지하여 비고정부(64)를 인장하거나, 비고정부(64)를 본체부(20)에 고정하거나 한다. 비고정부(64)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65)를 구성한다. 파지부(65)는, 비고정부(64) 전역이어도 좋고, 비고정부(64) 중, 고정부(62)와는 반대측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는, 고정부와는 반대측의 일단(60A)과, 고정부측의 타단(60C)과, 일단(60A)으로부터 타단(60C)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측가장자리(60B)를 갖는다. 파지부(65)는, 테이프 부재(60)의 일단(60A)을 포함하고, 또한 일단(60A)으로부터 테이프 부재의 타단(60C)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가장자리(60B)에 의해 끼워진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파지부(65)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Further, the tape member 60 may have a non-fixing portion 64 that is not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The non-fixing portion 64 is not fixed to the back sheet 22, but is a portion for which the user operates the tape member 60. More specifically, when using the tape member 60, the user grips the non-fixed portion to pull the non-fixed portion 64 or fixes the non-fixed portion 64 to the body portion 20.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fixing portion 64 constitutes a gripping portion 65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ping portion 65 may be all over the non-fixing portion 64, or may be formed on one end of the non-fixing portion 64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xed portion 62. The tape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end 60A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xed part, the other end 60C on the fixed part side, and a pair of side edges 60B extending from one end 60A toward the other end 60C. Has. The gripping portion 65 is a region sandwiched by a pair of side edges 60B including one end 60A of the tape member 60 and extending from one end 60A toward the other end 60C of the tape member. It is extended. On the other hand, the gripping portion 65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비고정부(64)는, 신장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비고정부(64)의 신장 방향(D)은, 고정부(62)로부터 비고정부(64)로 향하는 방향이어도 좋다.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가 전후 방향(L)으로 인접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신장 방향(D)은, 전후 방향(L)이어도 좋다.The non-fixing portion 64 may be configured to be extend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extension direction D of the non-fixing portion 64 may be a direction from the fixed portion 62 to the non-fixing portion 64.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ed portion 62 and the non-fixing portion 64 are adjac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extension direction D may be the front-rear direction L.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폐기 시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말린 상태의 본체부(20)에 고정하여, 흡수성 물품(10)이 말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본체부(20)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고정부(64)가 본체부(20)에 고정되는 구성은, 본체부(20)의 점착부여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형성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정 수단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본체부(20)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부(62)가 본체부(20)에 고정되는 구성은, 본체부(20)의 점착부여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형성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정 수단이어도 좋다.When disposing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ody part 20 in a dried state with the side facing the skin of the absorbent article inwardly, so that the absorbent article 10 is kept in a roll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fixable to the body portion 20.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non-fixing portion 64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may be a bonding means of the body portion 20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med on the tape member 60 or a fixing means such as a hook member. Further,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art 62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may be a bonding means of the main body 20 or a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formed on the tape member 60 or a hook member.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본체 점착부(70)를 통해 폐기 시에 본체부(20)에 고정된다. 본체부(20)의 점착부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본체부(20)에 고정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비고정부(64)에는, 점착제 등의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at the time of disposal via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by the adhesiv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the non-fixing portion 64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비고정부(64)는, 신장 방향(D)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비고정부(64)가 신장 방향(D)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 흡수성 물품(10)을 테이프 부재(60)로 고정할 때에, 테이프 부재(60)로 흡수성 물품(10)을 고정하기 쉬워진다(도 4 참조). 테이프 부재(60)는, 고정부(62)를 포함하는 전체가 신장 방향(D)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고, 비고정부(64)만이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신장」이란,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한 신장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테이프 부재(60)는, 신축성 시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D. Since at least the non-fixing portion 64 of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D, only when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0 with the tape member 60, the tape member 60 It becomes easy to fix the absorbent article 10 (see Fig. 4).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ntirety including the fixing portion 62 can be stretch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D, or only the non-fixing portion 64 may be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Here, "elongation" includes elongation by "elastic deformation" or "plastic deformation". As an example, the tape member 6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sheet and a fil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60)는, 신장하고 있지 않은 상태(자연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E)보다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는, 피부 대향면측에서 보면, 본체부(20)에 숨은 상태여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60)는, 신장한 상태(신장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E)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만 후, 테이프 부재(60)를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E)보다 외측으로 연장시켜, 본체부(20)에 테이프 부재(60)를 고정할 수 있다(도 4 참조).As shown in FIG. 2, the tape member 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20E of the main body 20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stretched (natural state). The tape member 60 may be in a state hidden in the body portion 20 when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As shown in FIG. 4, the tape member 6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20E of the main body 20 in an extended state (stretched state).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makes the body part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then extends the tape member 60 outward than the outer edge 20E of the body part 20, The tape member 60 can be fixed to the part 20 (see FIG. 4).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E)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 등에 고정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을 뭉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와 본체 점착부(70)의 접합력의 저하, 또는 테이프 부재의 고정 수단의 접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되고,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E)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in us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20E of the main body 20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Therefore, body fluids such as acupuncture points do not adhere.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can hold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bundled state by fixing the tape member 60 extending outward to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or the like. Here, since body fluids such as acupuncture points are not adhered to the tape member 60, a decrease i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ape member 60 and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or a decrease i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ape member fixing means can be prevented. . In addition, during th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ack sheet 22, and does not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20E of the body portion 20. Therefore, the tape member 6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skin. Therefore, the feeling of discomfort or discomfort during use can be reduced.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는, 신장하고 있지 않은 상태(자연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E)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는, 피부 대향면측에서 보면, 시인 가능한 상태여도 좋다.In addition, in another form, the tape member 6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20E of the main body 20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stretched (natural state). The tape member 60 may be in a stat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when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다른 예로서, 테이프 부재(60)는, Z형으로 접혀진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Z형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60)에 있어서의 본체부(20)와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부(20)에 고정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를 구성하는 시트끼리가 겹치는 영역에서는, 시트끼리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테이프 부재(60)의 선단을 인장함으로써, 접혀진 테이프 부재(60)가 전개되고, 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본체부(2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As another example, the tape member 60 may be composed of a sheet folded in a Z-shape. In the state of being folded in a Z-shape,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ape member 60 facing the body portion 20 may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In a region where the sheets constituting the tape member 60 overlap each other, the sheets may be bonded so as to be peelable. In this case, by the wearer pulling the tip end of the tape member 60, the folded tape member 60 is unfolded, whereby the tape member 60 extends outward than the outer edge of the body portion 20.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통상 흡수성 물품(10)을 뭉칠 때에,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 또는 후단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뭉치기 시작한다. 그 중, 약 8할의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로부터 뭉치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의 중심에 대해 후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23)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쳐 있거나, 또는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behind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main body 20. When a user normally bundles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starts to bundle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from the front edge E1 or the rear edge E2. Among them, about 80% of users start to bundle up from the shear edge E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in a region located at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L. At least a part of the tape member 60 may extend over the trailing edge of the absorbent core 23 or may be disposed behind the trailing edge of the absorbent core.

테이프 부재(60)는, 제1 접음선(F1)∼제3 접음선(F3)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의 접음선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의 영역은, 접음 자국에 의해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피부 대향면측으로 부상하기 쉽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접음선과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접음선보다 전측의 영역을 파지하여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하면, 접음선과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은, 접음선을 기점으로 피부 대향면측으로 부상한다. 접음선과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이 부상함으로써, 흡수성 물품 전체가 평탄한 형상인 경우보다, 흡수성 물품의 측방 등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을 시인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을 착용 물품으로부터 벗긴 상태에서,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테이프 부재(60)를 시인하기 쉬워진다.The tape member 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fold line F1 to the third fold line F3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area outside the fold 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ikely to float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with the fold line as a starting point by the fold mark.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between the fold line and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fold line and the absorbent property ar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kin-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by gripping the area in front of the fold line. The area between the trailing edge of the article floats on the side facing the skin from the fold line. Since the area between the fold line and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floats, it becomes easier to visually recognize the skin no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from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or the like than when the entire absorbent article has a flat shape. Accordingly, it becomes easy for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 locat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absorbent article is removed from the worn article.

구체적으로는, 접음선이 1개인 구성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접음선 상이 아니라, 접음선과 전후 방향(L)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접음선이 복수 개인 구성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제1 접음선(F1)과 전단 가장자리(E1) 사이의 전측 영역(R1)과, 제2 접음선(F2)과 후단 가장자리(E2) 사이의 후측 영역(R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60)는, 제2 접음선(F2)과 후단 가장자리(E2) 사이의 후측 영역(R2)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 및 후단 가장자리(E2)는, 접음 자국에 의해, 가장 전후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접음선(F1) 및 제2 접음선(F2)을 기점으로 부상하기 쉽다. 전측 영역(R1) 및 후측 영역(R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접음 자국에 의해 전측 영역(R1) 및 후측 영역(R2)이 부상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60)를 인식하기 쉬워진다.Specifically, in a configuration having one fold line, the tape member 60 may be disposed not on the fold line but spaced apart from the fold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In addition, in a configuration having a plurality of fold lines, the tape member 60 includes a front region R1 between the first fold line F1 and the front edge E1, and the second fold line F2 and the rear end edge. It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rear regions R2 between (E2). The tape member 60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rear region R2 between the second folding line F2 and the trailing edge E2.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old lines are formed, the front edge E1 and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re first folded outside the most front-rear direction L by a crease. It is easy to float from the line F1 and the second fold line F2.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gion R1 and the rear region R2, the user can use the tape when the front region R1 and the rear region R2 are floated by the fold marks. The member 60 becomes easy to recognize.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제1 접음선(F1)∼제3 접음선(F3) 중 가장 후측의 제2 접음선(F2)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전측으로부터 말기 시작한다. 테이프 부재(60)가 제2 접음선(F2)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많은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로부터 뭉치기 시작하고, 만 끝 부분을 테이프 부재(60)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2 at the rearmost of the first fold lines F1 to the third fold lines F3. About 80% of users start rolling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from the front side. Since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old line F2, many users start to bundle up from the front edge E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nd the end of the tape member 60 Can be fixed by

비고정부(64)는, 도시하지 않은 가고정부에 의해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가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테이프 부재(60)의 사용 전(제조 시, 착용 시)에 비고정부(64)가 말리거나, 비고정부(64)가 접히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고정부의 접합력은, 고정부(62)의 접합력보다 낮아도 좋다. 가고정부의 접합력이 고정부(62)의 접합력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의 사용 시에 용이하게 가고정부를 박리하고, 비고정부(64)를 잡아 테이프 부재(60)를 조작할 수 있다. 가고정부의 고정 수단으로서는, 접착제, 엠보스 가공, 열용착, 초음파 용착을 예시할 수 있고, 고정부(62)보다 접착제의 도포량(면적, 단위 중량)을 적게 하거나, 고정부(62)보다 엠보스 가공의 압착을 약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가고정부는,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엠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non-fixing portion 64 may be detachably bond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y a temporary portion (not shown). By forming the temporary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non-fixing portion 64 from curling or folding of the non-fixing portion 64 before use (at the time of manufacture or wearing) of the tape member 60. The bonding force of the temporary portion may be lower than the bonding force of the fixing portion 62. Since the bonding force of the temporary portion is lower than the bonding force of the fixing portion 62, the user easily peels the temporary portion when using the tape member 60, and manipulates the tape member 60 by holding the non-fixing portion 64. can do. As the fixing means of the temporary part, adhesive, embossing, heat welding, ultrasonic welding can be exemplified, and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area, unit weight) is less than that of the fixing part 62, or embossing is less than that of the fixing part 62. It is possible to weaken the compression of boss processing. Further, the temporary portion may be formed by embossing the outer edge of the body portion.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면 시트는, 단위 중량 30 g/㎡의 에어스루 부직포(PE/PE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 사이에 세컨드 시트가 형성되어도 좋다. 세컨드 시트로서는, 표면 시트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부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표면 시트가 배치되지 않고,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로서는, 단위 중량 13 g/㎡의 SMS 부직포(PP)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코어의 흡수 재료는,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와 고흡수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재료 전체의 중량에 대한 고흡수 폴리머의 중량의 비율은, 10%여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은, 주위의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은, 950 g/㎡여도 좋고, 주위의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은, 300 g/㎡여도 좋다. 이면 시트는, 단위 중량 2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비통기 타입)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의 단위 중량은, 27 g/㎡여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되어도 좋다. 각 본체 점착부의 폭 방향의 길이는, 5 ㎜, 각 본체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320 ㎜여도 좋다.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420 ㎜,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길이는, 200 ㎜여도 좋다.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단위 중량 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45 ㎜, 테이프 부재의 폭 방향의 길이는, 25 ㎜여도 좋다. 테이프 부재는, 단위 중량 100 g/㎡의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접착제는, 폭 21 ㎜, 또한 길이 5 ㎜의 범위에서 도포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이면 시트측의 면에는, 인쇄가 실시되어도 좋다. 인쇄는, 핑크계의 우레탄계 잉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신장하는 테이프 부재로서는, 단위 중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 단위 중량 10 g/㎡의 스티렌계 고무층, 및 단위 중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is shown. The top sheet may be formed of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PE/PET) having a unit weight of 30 g/m 2. A second sheet may be form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absorbent core. As the second sheet, i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sheet. Outside of the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top sheet may not be disposed, but a side sheet may be disposed. As a side sheet, you may comprise SMS nonwoven fabric (PP) with a unit weight of 13 g/m 2. The absorbent material of the absorbent core may be composed of softwood kraft pulp and a super absorbent polymer. The ratio of the weigh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to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may be 10%.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region including the excretory facing region S1 may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e unit weight of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region including the excretory facing region S1 may be 950 g/m 2, and the unit weight of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may be 300 g/m 2. The back sheet may be formed of a polyethylene film (non-ventilated type) having a unit weight of 23.5 g/m 2. The absorbent article may have a pressing portion formed by pressing the top sheet and the absorbent co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body adhesive portion may be formed of a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The unit weight of the body adhesive portion may be 27 g/m 2. Six main body adhesive portions may be form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length of each body adhesiv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5 mm, and the length of each body adhesiv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320 mm.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420 mm, and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200 mm.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may be formed of a polyethylene film having a unit weight of 35 g/m 2.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45 mm, and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25 mm. The tape member may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by a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having a unit weight of 100 g/m 2. The adhesive may be applied in a range of 21 mm in width and 5 mm in length. Printing may be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back sheet side of the tape member. For printing, a pink urethane-based ink may be used. Further, as the elongated tape member, a polypropylene layer having a unit weight of 10 g/m 2, a styrene rubber layer having a unit weight of 10 g/m 2, and a polypropylene layer having a unit weight of 10 g/m 2 may be laminated.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부재(60)의 식별 영역(RA)과 인접 영역(RB)에 관해 설명한다. 식별 영역(RA) 및 인접 영역(RB)은, 사용자가 본체부(20)와 테이프 부재(60)를 별체로서 인식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인식하지 않으면, 테이프 부재(60)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청결히 폐기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려우면, 사용자는, 사용이 끝난 흡수성 물품 전체를 구석구석까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 불쾌감이 생기거나, 체액에 의해 손 등이 더러워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사용자가 본체부(20)와 테이프 부재(60)를 별체로서 인식하기 쉬워짐으로써,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테이프 부재(60)에 의해 청결히 흡수성 물품(10)을 폐기할 수 있다.Next, the identification area RA and the adjacent area RB of the tape member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identification area RA and the adjacent area RB have a function of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main body 20 and the tape member 60 as separate bodies. For example, if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60, the absorbent article cannot be disposed of cleanly using the tape member 60. In addition, if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60, the user needs to check the entire used absorbent article to every corner, causing discomfort or getting his hands dirty due to body fluids.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main body 20 and the tape member 60 as separate bodie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tape member 60 and clean the absorbent article 10 by the tape member 60 Can be discarded.

식별 영역(RA)은,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RB)에 대해 눈에 띄기 쉽게 구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식별 영역(RA)과, 인접 영역(RB)의 색차 ΔE는, 3.0 이상이어도 좋다. 출원인이 여러 가지로 검토를 거듭한 결과,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색차 ΔE가 3.0 이상이면, 2개의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서 인식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체부(20)의 인접 영역(RB)과 테이프 부재(60)의 식별 영역(RA)의 색차 ΔE가 3.0 이상임으로써, 사용자는, 본체부(20)와 테이프 부재(60)를 별체로서 인식하기 쉽고,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한편, 인접 영역(RB)은,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의 외측 가장자리(일단(60A), 측가장자리(60B), 및 타단(60C)을 포함함)에 인접하는 영역이면 된다. 테이프 부재(60)의 어느 하나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테이프 부재(60)의 외측을 향해 일정 범위를 갖는 영역이다. 도 2에 있어서, 인접 영역(RB)에 사선을 그어 도시한다. 테이프 부재의 사방에 인접 영역이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RB)과 식별 영역(RA)의 색차 ΔE가 3.0 이상이면 된다.The identification area RA may be configured to be conspicuous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area RB adjacent to the tape member 60 on the non-skin surface of the main body 20. Specifically,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identification area RA and the adjacent area RB may be 3.0 or more. As a result of repeated examinations by the applicant in various ways, it has been found that generally, when the color difference ΔE is 3.0 or more, it is easy to recognize the two areas as different areas. Since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adjacent area RB of the main body 20 and the identification area RA of the tape member 60 is 3.0 or more, the user can recognize the main body 20 and the tape member 60 as separate bodies. It is easy, and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60 becomes easy to recognize. On the other hand, the adjacent region RB is the outer edge of the tape member 60 on the non-skin surface of the main body 20 (including one end 60A, a side edge 60B, and the other end 60C) It may be an area adjacent to. It is an area having a certain range toward the outside of the tape member 60 from one outer edge of the tape member 60. In Fig. 2, the adjacent region RB is illustrated by drawing an oblique line. In a configuration in which adjacent regions are formed on all sides of the tape member,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at least one adjacent region RB and the identification region RA may be 3.0 or more.

식별 영역(RA)과, 인접 영역(RB)의 색차 ΔE는, 측정 대상이 되는 2점(2개의 영역)에 대해 시판의 측색기(測色器)를 이용하여 측색을 행하고, JIS Z 8729에 규정되는 CIE1976(L*a*b*) 색 공간에 기초하여 수치화한 값을 비교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인 2점 사이의 L*값의 차가 ΔL*, a*의 차가 Δa*, b*값의 차가 Δb*일 때에, 색차 ΔE=[(ΔL*)2+(Δa*)2+(Δb*)2]1/2에 의해 구해진다.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identification area (RA) and the adjacent area (RB) is colorimetrically colo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colorimeter for two points (two areas) to be measured, and is specified in JIS Z 8729. It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numerical values based on the CIE1976 (L*a*b*) color space. Specifical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ints to be measured is ΔL*, the difference between a* is Δa*, and the difference between b* values is Δb*, the color difference ΔE=[(ΔL*)2+(Δa*)2+ It is calculated by (Δb*)2]1/2.

식별 영역(RA)과 인접 영역(RB)에 색차를 형성하는 구성은, 테이프 부재(60)의 식별 영역(RA)에 착색부를 형성해도 좋고,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을 구성하는 이면 시트(22)에 착색부를 형성해도 좋으며, 본체부(20)의 이면 시트(22)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하는 부재(예컨대, 흡수 코어(23))에 착색부를 형성하고, 이면 시트(22)를 통해 착색부가 시인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좋고, 테이프 부재(60) 및 본체부(20)의 양방에 착색부를 형성해도 좋다. 착색부는, 본체부(20)에 형성된 본체 착색부(91)와, 테이프 부재(60)에 형성된 테이프 착색부(92)(도 5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져도 좋다.In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region RA and the adjacent region RB, a color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identification region RA of the tape member 60, and constitutes the non-skin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A color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ack sheet 22, and a colored portion is formed on a member (e.g., absorbent core 23)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than the back sheet 22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colored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visible through the sheet 22, or colored portions may be formed on both the tape member 60 and the body portion 20. The colored portion may have at least one of a main colored portion 91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and a tape colored portion 92 formed in the tape member 60 (see FIG. 5 ).

또한, 착색부는, 안료 등에 의해 착색된 테이프 부재 등의 시트 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인쇄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상태란, 조도(lx)가, 100(lx)∼1000(lx)의 환경하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한다.Further, the colored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a sheet itself such as a tape member colored with a pigment or the like, or may be constituted by a printing layer.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sually recognizabl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illuminance (lx)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n environment of 100 (lx) to 1000 (lx).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0)은, 식별 영역(RA)에 형성된 테이프 착색부(92)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60)는, 베이스층(66)과, 베이스층(66)과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인쇄층(67)을 갖고 있다. 인쇄층(67)은, 테이프 착색부(92)를 구성하고 있다. 인쇄층(67)에 의해 구성되는 테이프 착색부(92)는, 테이프 부재(60)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의 전역에 식별 영역(R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변형예 1과 같이, 테이프 부재(60)의 일부에 식별 영역(RA)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absorbent article 10 of this embodiment has a tape colored portion 92 formed in the identification area RA. The tape member 60 has a base layer 66 and a printing layer 67 overlapping the base layer 66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printing layer 67 constitutes the tape colored portion 92. The tape colored portion 92 constituted by the printing layer 67 is formed over the entire tape member 60.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formed over the entire tape member 60. On the other hand, as in Modification 1 described later, the identification area RA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tape member 60.

또한, 신장 가능한 테이프 부재(60)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의 신장 방향(D)을 따르는 측가장자리의 전역에 인쇄층(67)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인쇄층이 배치된 영역과, 인쇄층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인쇄 잉크의 영향을 기재가 받기 때문에 신장했을 때의 신장 용이성이 상이하고, 인쇄층(67)이 형성된 부분은, 신장성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예컨대, 테이프 부재(60)의 신장 방향(D)을 따르는 측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신장성이 저하된 인쇄층(67)이 배치되어 있으면, 테이프 부재(60)의 측가장자리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테이프 부재(60)의 신장 방향을 따르는 측가장자리는, 신장 시에 힘이 가해지기 쉬워, 균열이 보다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테이프 부재(60)의 신장 방향(D)을 따르는 측가장자리의 전역에 인쇄층(67)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인쇄층(67)의 유무에 의한 신장 용이성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etchable tape member 60, it is preferable not to form the printing layer 67 over the entire side edg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D of the tape member 60. The area in which the printing layer is disposed and the area in which the printing layer is not disposed have different easiness of elongation when elongated because the substrate is affected by the printing ink, and the area in which the printing layer 67 is formed has different extensibility. Is lowered.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printing layer 67 with partially deteriorated stretchability is disposed on the side edge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D of the tape member 60, cracks may occur on the side edge of the tape member 60.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In particular, the side edge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tape member 60 is liable to be applied with a force during elongation, and cracking is more likely to occur. However, by not forming the printed layer 67 over the entire side edge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D of the tape member 60, no difference in elongation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inted layer 67 occurs, and cracks Can be suppressed.

인쇄층(67)은, 베이스층(66)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도 좋다. 인쇄층(67)은, 베이스층(66)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층(67)은,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을 향해 배치되지 않고, 이면 시트(22)를 향해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시에, 착용 물품과 인쇄층(67)이 스치기 어려워, 인쇄층(67)이 의도하지 않게 보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67 may be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base layer 66. Since the printed layer 67 is disposed on the skin-facing side T1 of the base layer 66, the printed layer 67 is not disposed toward the worn articl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used, and It is arranged toward the seat 22. When using the absorbent article 10,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at the worn article and the printing layer 67 are difficult to rub, and the printing layer 67 is unintentionally difficult to see.

인쇄층(67)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베이스층(66)을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적합하게는, 베이스층(66)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어도 좋다. 베이스층(66)이 투명 또는 반투명임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부터 베이스층(66)을 통해 인쇄층(67)을 보다 시인하기 쉬워진다.The printing layer 67 may be configured to be visible through the base layer 66 from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Suitably, the base layer 66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When the base layer 66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it becomes easier to visually recognize the printing layer 67 through the base layer 66 from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T2 of the absorbent article.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인쇄층(67)은, 베이스층(66)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도 좋다.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을 시인했을 때에, 베이스층(66)을 통하지 않고 인쇄층(67)을 시인할 수 있고, 식별 영역(RA)에 의한 식별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Further, in another aspect, the printing layer 67 may be dispos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T2 of the base layer 66. When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the absorbent article 10 from the non-skin side (T2)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printing layer 67 can be visually recogniz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ase layer 66, and identification by the identification area RA It is easier to exert the effect.

착색부는, 흡수성 물품(10)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본체부(20)를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을 사용할 때에는, 본체부(20)의 피부 대향면, 즉 표면 시트(21)가 착용자의 신체로 향해진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부(20)의 피부 대향면을 시인할 기회가 많이 있다.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착색부가 시인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착용 시에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lored portion may be visually recognizable in the form of viewing through the body portion 20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When us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that is, the surface sheet 21 is directed toward the wearer's body. Therefore,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for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facing the skin. Since the colored por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the user can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60 at the time of wearing.

착색부는, 흡수 코어(23)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를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하고, 흡수 코어(23)가 배치된 영역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1), 이면 시트(22) 및 흡수 코어(23)를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착색부는, 흡수 코어(23)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본체부(20)를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해도 좋다.The colored por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the form viewed through the top sheet 21 and the back sheet 22 in the region where the absorbent core 23 is not disposed, and in the region where the absorbent core 23 is disposed, the surface It may be visible through the sheet 21, the back sheet 22, and the absorbent core 23. Preferably, the colored portion may be form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absorbent core 23. It may be visually recognizable in the form of viewing through the body portion 20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인쇄층(67)이 베이스층(66)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에, 베이스층(66)을 통하지 않고 인쇄층(67)을 시인할 수 있고, 착용 시에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inting layer 67 is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66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layer 66 is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printing layer 67 can be visually recognized without passing through, and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60 becomes easier to recognize when worn.

식별 영역(RA)은, 테이프 부재(60)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65)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지부(65)는, 파지부(65)에 인접하는 영역에 대해 눈에 띄기 쉬워진다. 사용자는, 파지부(65)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사용자는, 폐기하는 조작 시에 잡는 개소를 파악함으로써, 원활한 폐기 조작을 행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formed all over the tape member 60 in a plan view, and is disposed in the gripping portion 65. Accordingly, the gripping portion 65 is easily conspicuous with respect to the region adjacent to the gripping portion 65.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gripping portion 65. The user can perform a smooth disposal operation by grasping the location to be held at the time of the disposal operation.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지부(65)는, 테이프 부재(60)의 일단(60A)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과, 테이프 부재(60)의 측가장자리(60B)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에 대해서 눈에 띄기 쉽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일단(60A)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과, 테이프 부재(60)의 측가장자리(60B)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의 양방에 있어서, 식별 영역(RA)에 대한 색차가 Δ3.0 이상이어도 좋다.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파지부(65)를 둘러싸서 배치되는 3개의 인접 영역과 파지부(65)의 색차 ΔE가 3.0 이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파지부(65)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지고, 원활한 폐기 조작을 행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gripping portion 65 is conspicuous for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one end 60A of the tape member 60 and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side edge 60B of the tape member 60 It can be easily organized. In both the adjacent area adjacent to one end 60A of the tape member 60 and the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side edge 60B of the tape member 60, the color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Δ3.0 It may be more than that. Since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three adjacent regions and the gripping part 65 disposed surrounding the gripping part 65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part 20 is 3.0 or more, the user may select the gripping part 65 It becomes easier to recognize, and smooth dispos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식별 영역(RA)은, 점착부(70, 42, 52)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적합하게는, 식별 영역(RA)은, 본체 점착부(70)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점착부가 형성된 영역은, 착용 시에,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어,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어렵다. 한편, 점착부가 형성된 영역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의 영역은, 착용 시에,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흡수성 물품이 말리거나 부상하거나 함으로써,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식별 영역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 시에 테이프 부재(60)를 시인하여,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인식하기 쉬워진다.The identification region R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portions 70, 42, 52 in the front-rear direction. Suitably, the identification area R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area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is fixed to the worn article when worn, and is difficult to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facing the skin. On the other hand, the area outside the area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area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is not fixed to the worn article when worn, and the absorbent article is curled or floated, which may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Since the identification area is dispos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 when wearing it, making it easier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tape member 60.

이어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A) 및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0B)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A)을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0B)을 도시하고 있다.Next,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cident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lac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FIG. 5 shows a part of the plane of the absorbent article 10A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and the absorbent article 10B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 as viewed from the non-skin side. Fig. 5(A) shows the absorbent article 10A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and Fig. 5(B) shows the absorbent article 10B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A) 및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0B)은, 테이프 부재 전체에 식별 영역(RA)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테이프 부재(60)의 일부에 식별 영역(RA)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별 영역(RA)은, 테이프 부재(60)의 파지부(65)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의 조작 시에, 고정부(62)를 파지하여 조작할 수 없고, 파지부(65)를 파지하여 조작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의 일단(60A)(고정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을 갖고 조작한다. 사용자가 파지부(65)를 인식하기 쉬워짐으로써, 조작 시에 원활히 파지부를 잡고, 테이프 부재(60)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청결히 폐기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10A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and the absorbent article 10B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 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not disposed in the entire tape member, and 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partially disposed on the tape member 60. ) Is placed. 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disposed in the gripping portion 65 of the tape member 60. When operating the tape member 60, the user cannot grip and operate the fixing portion 62, and grip the gripping portion 65 to operate. More preferably, the user operates with one end 60A of the tape member (the end opposite to the fixing part). Sinc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gripping part 65, it is possible to smoothly hold the gripping part during operation and use the tape member 60 to cleanly dispose of the absorbent article.

테이프 부재의 파지부를 눈에 띄기 쉽게 하는 구성으로서는,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A)과 같이, 파지부(65)가 배치된 영역에만 테이프 착색부(92)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0B)과 같이, 파지부(65)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RB)에 본체 착색부(91)를 형성하고, 테이프 부재(60)의 파지부(65) 이외의 영역(R3)에 테이프 착색부(92)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0B)은, 테이프 부재(60)의 파지부(65) 이외의 영역(R3)이,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에 대해 눈에 띄기 어렵고, 파지부(65)에 대해 눈에 띄기 쉬워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의 파지부 이외의 영역(R3)과 파지부(65)(식별 영역(RA))의 색차는, 테이프 부재의 파지부 이외의 영역(R3)과 인접 영역(RB)의 색차보다 높아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조작을 행하는 대상 부재(테이프 부재)뿐만이 아니라, 대상 부재에 있어서의 조작을 행하는 부위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폐기하는 조작 시에 잡는 개소를 파악함으로써, 폐기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As a configuration for making the gripp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more conspicuous, like the absorbent article 10A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the tape colored portion 92 may be formed only in a region where the gripping portion 65 is disposed. In addition, like the absorbent article 10B according to Modification 2, the body coloring portion 91 is formed in the adjacent region RB adjacent to the gripping portion 65, and the gripping portion 65 of the tape member 60 The tape colored portion 92 may be formed in the other regions R3. In addi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10B according to Modification 2, the region R3 other than the gripping portion 65 of the tape member 60 is hardly conspicuous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The gripping portion 65 may be easily conspicuous. Specifically,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 R3 other than the gripping part of the tape member and the gripping part 65 (identification area RA) is between the region R3 other than the gripping part of the tape member and the adjacent region RB. It may be higher than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grasp not only the target member (tape member) to perform the operation, but also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to perform the operation. The user can perform the disposal operation smoothly by grasping the location to be held at the time of the disposal operation.

이어서, 도 6에 기초하여, 변형예 3 및 4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0C) 및 변형예 4에 따른 흡수성 물품(10D)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서 본 평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0C)을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변형예 4에 따른 흡수성 물품(10D)을 도시하고 있다.Next,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s 3 and 4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6. 6 shows a part of the plane of the absorbent article 10C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3 and the absorbent article 10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4 as viewed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T2. 6(A) shows the absorbent article 10C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3, and FIG. 6(B) shows the absorbent article 10D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4.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0C) 및 변형예 4에 따른 흡수성 물품(10D)은, 테이프 부재(60) 전체에 식별 영역(RA)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테이프 부재(60)의 일부에 식별 영역(RA)이 배치되어 있다. 식별 영역(RA)에는, 테이프 착색부(92)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착색부(92)는, 테이프 부재(60)의 조작을 안내하는 안내부(95)를 가져도 좋다. 안내부(95)는, 테이프 부재(60)의 조작을 안내하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하여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0C)과 같이, 인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여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를 신장한 상태로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변형예 4에 따른 흡수성 물품(10D)과 같이, 테이프 부재(60)가 신장하는 성질인 것을 나타내는 「신장한다」의 문자로서, 테이프 부재(60)를 신장시키는 조작을 사용자에 대해 촉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In the absorbent article 10C according to Modification 3 and the absorbent article 10D according to Modification 4, the identification area RA is not disposed over the entire tape member 60, and is identified in a part of the tape member 60 Area RA is arranged. A tape colored portion 92 is formed in the identification area RA. The tape colored portion 92 may have a guide portion 95 that guides the operation of the tape member 60. The guide portion 95 may be used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tape member 60. Specifically, in the absorbent article used by stretching the tape member 60, an arrow indica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pe member 60 is stretched may be used as in the absorbent article 10C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In addi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using the tape member 60 in an elongated state, like the absorbent article 10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4, the character ``stretches'' indicating that the tape member 60 has an elongation property. As an example,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prompt the user to elongate the tape member 60.

또한, 착색부는, 안내부(95)만을 구성해도 좋고, 안내부(95) 이외의 부분을 가져도 좋다. 변형예 4에 따른 테이프 착색부(92)는, 안내부(95)와 배경부(96)를 가져도 좋다. 안내부(95)와 배경부(96)를 가짐으로써, 안내부(95)를 보다 눈에 띄게 하여, 원활한 조작을 촉구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안내부(95)와 인접 영역(RB)의 색차가 Δ3.0 이상이어도 좋고, 배경부(96)와 인접 영역(RB)의 색차가 Δ3.0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체 착색부(91)가 안내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Moreover, the colored part may comprise only the guide part 95, and may have a part other than the guide part 95. The tape colored portion 92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4 may have a guide portion 95 and a background portion 96. By having the guide part 95 and the background part 96, the guide part 95 can be made more conspicuous, and smooth operation can be urged. In this form,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guide portion 95 and the adjacent region RB may be Δ3.0 or more,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portion 96 and the adjacent region RB may be Δ3.0 or more. In addition, in another aspect, the body colored portion 91 may have a guide portion.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하등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식별 영역(RA) 및 인접 영역(RB)은, 모두 착색부의 구성을 한정받지 않는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modified and modifi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Therefor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description, and does not have any limiting meaning with respect to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area RA and the adjacent area R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mod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lored portion.

한편, 201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7-252522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252522 for which it applied on December 27, 2017 is incorporated into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또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인식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that is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and is easy to recognize a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10, 10A, 10B, 10C, 10D: 흡수성 물품 20: 본체부
21: 표면 시트 22: 이면 시트
23: 흡수 코어 60: 테이프 부재
65: 파지부 66: 베이스층
67: 인쇄층(착색부) 70: 본체 점착부(점착부)
91: 본체 착색부(착색부) 92: 테이프 착색부(착색부)
RA: 식별 영역 RB: 인접 영역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10, 10A, 10B, 10C, 10D: absorbent article 20: body portion
21: top sheet 22: back sheet
23: absorbent core 60: tape member
65: gripping portion 66: base layer
67: printing layer (colored portion) 70: body adhesive portion (adhesive portion)
91: body colored portion (colored portion) 92: tape colored portion (colored portion)
RA: identification area RB: adjacent area
L: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 width direction

Claims (9)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
를 갖고, 착용 물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과,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 영역의 색차 ΔE는, 3.0 이상인 흡수성 물품.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body portion having a top sheet, a back sheet, and an absorbent cor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main body
As an absorbent article that has, and is used in a state attached to a worn article,
In a plan view from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tape member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a part of the identification area of the tape member is , An absorbent article of 3.0 or hig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접기 위한 접음선이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접음선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olding line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facing the skin inward,
The tape member is an absorbent article disposed outside the fold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선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제1 접음선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제2 접음선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접음선과 상기 전단 가장자리 사이의 전측 영역과, 상기 제2 접음선과 상기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후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fold line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irst fold line closest to a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 second fold line closest to a rear end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formed. Hav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a front region between the first fold line and the front edge and a rear region between the second fold line and the rear end edg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착용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별 영역은, 상기 점착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dhesive por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adhesive portion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to the worn article is formed on the non-skin surface of the back sheet,
The identification area is an absorbent article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사용자가 파지(把持) 가능한 파지부를 갖고,
상기 식별 영역은, 상기 파지부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ape member has a gripping portion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The identification area is an absorbent article disposed in the gripp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일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부재의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가장자리에 의해 끼워진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 영역은,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일단에 인접하는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피부 비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측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extends to a region that includes one end of the tape member and is sandwiched by a pair of side edges extending from the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tape member,
The adjacent region includes a region adjacent to the one end on the non-skin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edge on the non-skin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영역 및 상기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는, 착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한 흡수성 물품.
The colored por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region and the adjacent region is formed,
The colored portion is an absorbent articl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viewing through the body portion from a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facing the ski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베이스층과,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에 겹치는 인쇄층을 갖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보는 형태로 시인 가능한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ape member has a base layer and a printing layer overlapping the bas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printed laye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base layer facing the skin, and is visible through the base layer from a side of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영역 및 상기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는, 착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색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조작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The colored por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region and the adjacent region is formed,
The colored portion i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tape member.
KR1020207017504A 2017-12-27 2018-12-11 Absorbent article KR2020010366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2522A JP2019115588A (en) 2017-12-27 2017-12-27 Absorbent article
JPJP-P-2017-252522 2017-12-27
PCT/JP2018/045468 WO2019131105A1 (en) 2017-12-27 2018-12-11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664A true KR20200103664A (en) 2020-09-02

Family

ID=6706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04A KR20200103664A (en) 2017-12-27 2018-12-11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9115588A (en)
KR (1) KR20200103664A (en)
CN (1) CN111511329A (en)
TW (1) TWI828645B (en)
WO (1) WO201913110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991B2 (en) * 2018-06-05 2022-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package
JP7335846B2 (en) * 2020-03-27 2023-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WO2022176330A1 (en) * 2021-02-22 2022-08-25 トタニ技研工業株式会社 Bag manufacturing machine and bag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4533A (en) 1988-09-30 1990-04-05 Citizen Watch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1258938A (en) 2001-02-19 2001-09-25 Daio Paper Corp Underpants type diaper having post-treatment tape
JP2013244127A (en) 2012-05-25 2013-12-09 Fujipatsuku Kk Disposal tap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9954A1 (en) * 1998-10-05 200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EP1138293B1 (en) * 2000-03-25 2012-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ansparent absorbing article
JP2005054135A (en) * 2003-08-07 2005-03-03 Nitto Lifetech Kk Adhesive tape or sheet, and disposable diaper
JP4508966B2 (en) * 2005-07-26 2010-07-21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303327B2 (en) * 2009-03-23 2013-10-02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ption pad
US20110087184A1 (en) * 2009-10-13 2011-04-14 Woehlke Jonatha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functional benefit and a plurality of visually distinct fibers indicative of the functional benefit
CN102764181A (en) * 2011-05-06 2012-11-07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Product including vision signal capable of transmitting depth sensation
JP6132556B2 (en) * 2012-03-30 2017-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items
JP5922970B2 (en) * 2012-03-30 2016-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package
JP6067340B2 (en) * 2012-11-15 2017-01-25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236569B1 (en) * 2017-07-28 2017-1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package of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4533A (en) 1988-09-30 1990-04-05 Citizen Watch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1258938A (en) 2001-02-19 2001-09-25 Daio Paper Corp Underpants type diaper having post-treatment tape
JP2013244127A (en) 2012-05-25 2013-12-09 Fujipatsuku Kk Disposal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1105A1 (en) 2019-07-04
TWI828645B (en) 2024-01-11
TW201929808A (en) 2019-08-01
JP2019115588A (en) 2019-07-18
CN111511329A (en)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5778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KR20200103664A (en) Absorbent article
JP6442274B2 (en) Absorbent articles
WO2006093295A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2208903B1 (en) Pull-on clothing article
JP3228125U (en) Absorbent article
RU2770852C2 (en) Absorbing product
JP3229304U (en) Absorbent article
JP6532725B2 (en) Disposable Wearables
JP3237449U (en) Absorbent article
TW201938125A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31B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30B (en) Absorbent article
WO2023277013A1 (en) Absorbent article
WO2019131183A1 (en) Absorbent article
JP7083640B2 (en) Absorbent article
JP3237902U (en) Absorbent article
JP7122146B2 (en) absorbent article
KR102604030B1 (en) absorbent article
JP6857116B2 (en) Absorbent article
WO2020130041A1 (en) Absorbent article
TWI721230B (en) Absorbent articles
WO2020130040A1 (en) Absorbent article
JP2020103650A (en) Absorbent article
KR20200103006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