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62A -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862A
KR20200102862A KR1020190021408A KR20190021408A KR20200102862A KR 20200102862 A KR20200102862 A KR 20200102862A KR 1020190021408 A KR1020190021408 A KR 1020190021408A KR 20190021408 A KR20190021408 A KR 20190021408A KR 20200102862 A KR20200102862 A KR 2020010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reactor
dioxide gas
fluid
sodium bi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원석
이정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이정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이정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Priority to KR102019002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862A/en
Publication of KR2020010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7/00Carbonat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7/10Preparation of bicarbonates from 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6Nozzle-type reactors, i.e. the distribution of the initial reactants within the reactor is effected by their introduction or injection throug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B01J4/002Nozzle-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279Features relating to reactor vessels
    • B01J2219/00306Reactor vessels in a multipl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351Means for dispensing and evacuation of reagents
    • B01J2219/0036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paring sodium bicarbonate using a two-step reaction mode. The apparatus includes: a first reactor (100) to which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carbon dioxide gas are introduced; a second reactor (200) to which a fluid discharged from the first reactor (100) is introduced; and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to which carbon dioxide gas and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actor (200) are introduced to form microbubbles in the introduced fluid and to supply the microbubbles to the second reactor (200). Particularly, the first reactor (100) includes a carbon dioxide macrobubble-forming unit for forming carbon dioxide macrobubbles and spraying the same to the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In additio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to the first reactor (100)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to the second reactor (200). Further,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first reactor (100) includes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Description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device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본 발명은 배출되는 가스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 탄소를 이용하여 탄산염 광물화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ate mineralization us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exhaust ga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탄산염은 보통 주기율표의 1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 중 나트륨(Na), 또는 칼륨(K)을 CO2 가스와 반응시켜 염을 형성시키고, 그러한 염을 침전시키거나 또는 필터링을 하는 방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Carbonate is usually prepared by reacting sodium (Na) or potassium (K) of alkali metals belonging to group 1 of the periodic table with CO 2 gas to form a salt, and to precipitate or filter the salt. have.

이러한 제조되고 있는 광물 중 대표적인 것이 탄산나트륨(NaCO3)인데, 탄산나트륨의 제조 기술을 예로 들면, Na+ 가 용해된 용해수(이하, 'Na+ 용해수')에 CO2 가스를 주입하여 Na6A representative of these minerals being produced is sodium carbonate (NaCO 3 ). For example,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sodium carbonate is Na6 by injecting CO 2 gas into dissolved water in which Na+ is dissolved (hereinafter,'Na+ dissolved water').

CO3를 결정화하고 침전시킴으로써 침강성 탄산나트륨(Precipitated Calcium Sodium)을 제조하는 기술이 있다.. There is a technology for preparing precipitated sodium carbonate (Precipitated Calcium Sodium) by crystallization and precipitation of CO 3 .

탄산염 광물화는 매우 오래 전부터 잘 알려지고 쉬운 화학반응을 이용하고 있으면서, 최근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대표되는 CO2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한편, 탄산염 광물화 기술은, CO2를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하는 기술에서, CO2를 활용하는 기술(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CCU)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탄산가스를 이용한 탄산염 광물화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Carbonate mineralization is a technology that uses CO 2 , which is a major cause of global warming, while using chemical reactions that are well known and easy for a very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carbonate mineralization technology has been converted from a technology that captures and stores CO 2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to a technology that utilizes CO 2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CCU), and uses carbon dioxide gas. Research on carbonate mineralization is actively being conducted.

탄산염 광물화 기술에 있어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carbonate mineralization technology are as follows.

첫째, CO2 기체와 알칼리 금속의 용해수와의 기체/액체(이하, '기/액') 반응의 효율저하이다. CO2 가스의 용해도는 1.45g/L로 매우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대규모의 반응기 내의 용액속에 CO2 가스를 산기관을 이용해서 주입한다. 그런데, 탄산광물화를 위하여 반응기 내의 용액속으로 산기관을 이용해서 주입되는 CO2 가스는, 일반적으로 탄산광물화를 위해 필요한 양(여기서, 필요한 양은 무게 기준으로 산정됨)보다 과다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공급되어야 할 CO2 가스의 무게를 부피로 환산하여 탄산광물화를 위한 반응액으로 공급하게 되면, 그러한 반응액 속으로 공급되어지는 CO2 기체의 크기가 매우 크게(조대화되어)되어 CO2 기체가 반응기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용해가 잘 되지 않고, 미 반응되어 반응기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할 경우, 1)반응수율이 매우 낮게 되고, 2) 반응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3) 이에 따라 반응기가 매우 커진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특허문헌1).First, it is the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gas/liq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gas/liquid”) reaction between CO 2 gas and dissolved water of an alkali metal. The solubility of CO 2 gas is 1.45 g/L, which has a very high solubility.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CO 2 gas is injected into the solution in a large-scale reactor using a diffuser. However, for carbonic acid mineralization, the CO 2 gas injected using a diffuser into the solution in the reactor must be supplied in excess of the amount required for carbonic acid mineralization (here, the required amount is calculated on a weight basis). . When the weight of the CO 2 gas to be supplied is converted into a volume and supplied as a reaction solution for carbonic acid mineralization, the size of the CO 2 gas supplied into the reaction solution becomes very large (coarse) and CO 2 gas The residence time in the reactor is shortened, so that dissolution is difficult, and it is not react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In this case, 1) the reaction yield becomes very low, 2) the reaction takes a long time, and 3) the reactor becomes very large accordingly (Patent Document 1).

둘째, 최근에는 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CO2 가스를 제트 기류화하여 CO2 가스의 용해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접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이 산기관 방식으로 주입하는 방식에 비해 용해효율이 향상되어 CO2 가스 반응효율이 55%에서 80% 정도로 개선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특허문헌2).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hortcomings, a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dissolution efficiency of CO 2 gas by jetting CO 2 gas has been applied, and the dissolution efficienc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method in which this technology is injected through the diffuser method. As a result, the CO 2 gas re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from 55% to 80%, but it is still not satisfactory (Patent Document 2).

세째, 종래 산기관 또는 제트 기류를 이용한 대부분의 탄산광물화 반응기에서는 초기에 미반응 물질이 많을 경우 CO2 흡수율 및 반응율이 빠르면서 높기는 하지만, 반응율이 80% 이상이 되면 오랜 시간동안 반응이 일어나야 반응율이 높아지므로 99%까지 반응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응완료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매우 낮아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Third, in most carbonate mineralization reactors using a conventional diffuser or jet stream, when there are many unreacted substances initially, the CO 2 absorption rate and the reaction rate are fast and high, but when the reaction rate exceeds 80%, the reaction must occur for a long time. Since the reaction rate is high, the reaction completion time becomes very long in order to increase the reaction rate to 99%. Therefore,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vity is very low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네째, 이러한 늦은 반응성 때문에 CO2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반응시키는 기술들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조건을 맞추기 위하여 가압펌프가 과도하게 커지게 됨으로서 높은 전력에 의한 경제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고효율 반응기술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특허문헌 3, 4).Fourth, because of such a late reactivity, techniques for reacting using CO 2 microbubbles have been studie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conomic efficiency due to high power is deteriorated as the pressure pump becomes excessively large to meet the condition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 Therefore, the need for a highly efficient reaction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ese disadvantages is raised (Patent Documents 3 and 4).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1571251(2015년 11월 23일 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1251 (announced on November 23, 2015)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1709865(2017년 2월 23일 공고)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9865 (announced on February 23, 2017) 특허문헌3: 한국 등록특허 제10-1221037호 (2013년 1월 10일 공고)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1037 (announced on January 10, 2013) 특허문헌4: 한국 등록특허 제10-1590162호 (2016년 2월 1일 공고)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90162 (announced on February 1, 20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CO2를 1차로 노즐을 이용하여 대용량으로 공급하여 기액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70~80% 반응 수율을 짧은 시간에 달성하고, 2차로 CO2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고농도로 생성된 중탄산이온(HCO3 -2) 을 1차 반응의 결과물에 급속 혼합 및 교반함으로써 중탄산나트륨을 제조하는,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고효율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CO 2 is firstly supplied to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using a nozzle so that gas-liquid contact is effectively achieved, thereby achieving a reaction yield of 70 to 80% in a short time, and secondary CO2 microbubbles. To provide a high-efficiency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to prepare sodium bicarbonate by rapidly mixing and stirring bicarbonate ions (HCO 3 -2 ) generated at a high concentration with the result of the first reaction using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 받는 제1차 반응기(100);A first reactor 100 receiving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a carbon dioxide gas;

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유입 받는 제2차 반응기(200); 및A second reactor 200 receiving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And

이산화탄소 가스와 제2차 반응기(2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유입 받고, 유입 받은 유체에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제2차 반응기(200)로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를 포함하며,Including;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for receiving carbon dioxide gas and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second reactor 200, generating microbubbles in the received fluid, and providing them to the second reactor 200,

제1차 반응기(100)는,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탄산나트륨 수용액에게 분사하는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을 포함하며, 제1차 반응기(100)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이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보다 많으며, The first reactor 100 includes a carbon dioxid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arbon dioxide macro bubbles and injects it to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is determined by the second reactor ( 200)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flowing into it,

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in which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includes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반응과 2차 반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반응수율이 99.99%까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차 반응은 저 농도 CO2 용해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반응으로서 많은 양의 CO2 가스를 빨리 공급하여 반응수율을 70~80% 이상으로 빠르게 올리는 단계이고, 2차 반응은 1차 반응의 결과에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반응수율을 99.99% 까지 올리는 단계이다. 여기서, 2차 반응에서의 CO2 가스 소모량이 1차 반응에서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액속의 중탄산이온의 농도 변화에 비례하는 반응수율 변화에 맞도록 최적화 반응 조건을 2 단계로 구분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광물화의 균일도는 매우 높으며 침강성 탄산염을 효과적으로 빠른 시간내에 제조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경제적인 기술로서, 투자비용 및 설비 규모 대비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yield can be improved to 99.99%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first reaction and the second reaction. The first reaction is a reaction carried out under low-concentration CO2 dissolution conditions, and a large amount of CO2 gas is quickly supplied and the reaction yield is rapidly increased to 70~80% or more, and the second reaction is a microbubble generator as a result of the first reaction This is a step to increase the reaction yield to 99.99% in a short time by using. Here, the amount of CO2 gas consumption in the second reaction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in the first re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the optimized reaction conditions into two stages to match the reaction yield change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bicarbonate ions in the reaction solution, the uniformity of mineraliza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very high. It is an economical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produce precipitated carbonates in a short time,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compared to investment cost and equipment siz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과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rn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폭, 두께 등의 수치는 기술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below”, “right”, or “left”) of another element, it is above (or below, right, or left) of another element. ),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In addition, in the drawings, values such as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매크로기포는 평균 직경이 10mm 이상인 기포를 의미하며, 미세기포는 평균 직경이 10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crobubbles mean bubb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0 mm or more, and microbubbles mean bubb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00 μm or les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체'는, 중조 생성 반응에 필요한 반응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중간 생성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결과물(또는 생성물), 물, 및 가스(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칭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fluid' refers to at least one of the reactants required for the reaction for generating a sodium bicarbonate, intermediate products of the reaction for generating a sodium bicarbonate, a product (or product) of the reaction for generating a sodium bicarbonate, water, and a gas (eg, carbon dioxide gas). Refers to including one.

본 명세서에서, 용어 'A를 함유한 유체'는 중조 생성 반응에 필요한 반응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중간 생성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결과물(또는 생성물), 물, 및 가스(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유체로서, A를 반드시 포함한 유체를 의미한다(여기서, A는 중조 생성 반응에 필요한 반응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중간 생성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결과물(또는 생성물), 물, 및 가스(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가스)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다른 물질일 수도 있음).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fluid containing A'refers to reactants required for the reaction to produce a sodium bicarbonate, intermediate products of the reaction to produce a sodium bicarbonate, a product (or product) of the reaction to produce a sodium bicarbonate, water, and gas (e.g., carbon dioxide gas ) As a fluid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d means a fluid that must necessarily contain A (where A is the reactants required for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reaction, intermediate products of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reaction, the product (or product) of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reaction, and water , And a gas (eg, carbon dioxide gas), or may be another material.

본 명세서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로 또는 배관에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의 상류에 위치한다고 함은, 경로 또는 배관에 흐르는 유체가 구성요소 A를 먼저 지나고 난 후에 구성요소 B를 지나도록 배치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component A is located upstream of component B in the path o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means that the fluid flowing in the path or pipe first passes through component A and then passes through component B. I will use it as meaning.

본 명세서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로 또는 배관에 구성요소 A가 설치되어 있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그러한 유체의 흐름을 제어(예를 들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동작,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동작, 유체를 능동적으로 펌핑 하는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경로 또는 배관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act that component A is installed in the path o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means that component A controls the flow of such fluid (e.g., an action that blocks or permits the flow of fluid, controls the amount of fluid). It means that it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path or pipe so as to perform an operation to perform an operation, an operation to actively pump a fluid).

본 명세서에서, 화학원소 또는 화합물에 붙는 숫자 또는 기호(아랫 첨자 또는 윗 첨자)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종종 다른 글자들과 같은 크기로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O2는 CO2로도 기재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ize of a number or symbol (subscript or superscript) attached to a chemical element or compound may often be described in the same size as other letter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CO 2 can also be described as CO 2 .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반응기에서 배기 가스내의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매크로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로 공급하여 반응용액인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기액 접촉을 강제적으로 형성시켜 반응수율을 70~80% 정도로 빠르게 반응시키고, 이후 제2차 반응기에서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통하여 CO2 가스를 미세기포화하여 제2차반응기에 순환 주입하여 기/액 반응 비표면적을 높여 중탄산이온(HCO3 -2)을 생성시키고, 반응기들 내부에서 급속 혼합/교반 장치를 통해 광물화 반응을 진행시켜 단시간에 광물화 반응을 완료함으로써 탄산염 제조시간을 최소화하고 반응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dioxide gas present in the exhaust gas in the first reacto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capable of generating macro bubbles to forcibly form a gas-liquid contact with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as a reaction solution. The reaction yield is rapidly reacted to about 70 to 80%, and then the CO2 gas is micro-bubbled through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second reactor and circulated into the second reactor to increase the gas/liquid reaction specific surface area. (HCO 3 -2 ) is generated and the mineralization reaction proceeds through a rapid mixing/stirring device inside the reactors to complete the mineralization reaction in a short time, thereby minimizing the carbonate production time and minimizing the size of the rea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산나트륨이 용해된 용해수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미세기포화하여 주입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가 주입된 유체를 선회시킴으로써 중탄산이온수를 효율적으로 생성시키고, 그리고 중탄산이온수를 교반하여 탄산염 광물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bon dioxide gas is micro-saturated and injected into the dissolved water in which sodium carbonate is dissolved, the fluid into which the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is rotated to efficiently generate bicarbonate ion water, and the bicarbonate ion water is stirred to Let the mineralization reaction take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산나트륨이 용해된 용해수에 배출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매크로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로 공급하여 격렬한 혼합 및 반응을 시키고, CO2 가스를 미세기포화하여 상기 혼합 및 반응의 결과물에 주입하고 저 에너지로 교반하여 중탄산나트륨을 빠르게 생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dioxide ga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n the dissolved water in which sodium carbonate is dissolved is supplied to the macro-bubble generating nozzles capable of generating macro-bubbles for vigorous mixing and reaction, and the CO2 gas is supplied. It can be micro-saturated and injected into the resultant of the mixing and reaction, and stirred at low energy to rapidly produce sodium bicarbonate.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a number of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explain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readers who have knowledge in this field to the extent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content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는 제1차 반응기(100), 제2차 반응기(200),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 탄산나트륨 수용액 공급부(400), 및 분말 추출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러한 배관에는 펌프나 밸브와 같은 유체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거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기들이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배관, 펌프, 및 밸브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는 본원 발명의 목적이 달성가능한 한도에서 도1에 도시된 배관, 펌프, 및 밸브와 다르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reactor 100, a second reactor 200,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upply unit 400, and a powder. It may include an extraction device 500. These components are connected by one or more pipes that provide a space for the fluid to move, in which one or more devices, such as pumps or valves, forcibly moving the fluid 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are combined. . Meanwhile, the pipes, pumps, and valves illustrated in FIG. 1 are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configured to be modified and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pipes, pumps, and valves illustrated in FIG.

제1차 반응기(100)는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이산화탄소(CO2) 가스를 주입 또는 유입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 반응기(100)는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를 생성하여 탄산나트륨 수용액에게 분사하는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을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에 대하여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reactor 100 may inject or receive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carbon dioxide (CO2) ga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reactor 100 includes a carbon dioxid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110 that generates carbon dioxide macro bubbles and injects them to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The carbon dioxide macrobubble genera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제1차 반응기(100)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L3)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포함된 배출가스를 외부 또는 다른 시설로 배출하는 시설(예를 들면, 스택)과 연결되어 배출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유입 받을 수 있는 가스 유입 배관(L1)을 더 포함하며, 배관(L1)는 2개의 배관(L3, L4)으로 분기된다. 외부 또는 다른 시설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이산화탄소 가스 유입 배관(L1)으로 능동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이산화탄소 가스 유입배관(L1)에 블로어(P2)와 같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어(P2)는 2개의 배관(L3, L4)이 분기되는 분기점의 상류에 위치된다.A pipe L3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is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macrobubble generating unit included in the first reactor 100. Meanwhile,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gas that is connected to a facility (eg, a stack) that discharges exhaust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gas to the outside or other facilities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exhaust gas. Further comprising an inlet pipe (L1), the pipe (L1) is branched into two pipes (L3, L4). A device such as a blower P2 is installed in the carbon dioxide gas inlet pipe L1 in order to actively introduce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other facilities into the carbon dioxide gas inlet pipe L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lower P2 is located upstream of the branch point where the two pipes L3 and L4 branch.

이산화탄소 가스 유입 배관(L1)을 통해서 유입된 배출가스의 일부는 이산화탄소 가스 제1공급배관(L3)(이하, '제1공급배관(L3)')을 통해서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에게 공급되고, 이산화탄소 가스 유입 배관(L1)을 통해서 유입된 배출가스의 나머지 일부는 이산화탄소 가스 제2공급배관(L4)(이하, '제2공급개관(L4)')을 통해서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게 공급된다.Part of the exhaust gas introduced through the carbon dioxide gas inlet pipe (L1) is supplied to the carbon dioxid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110 through the carbon dioxide gas first supply pipe (L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first supply pipe (L3)'). And, the rest of the exhaust gas introduced through the carbon dioxide gas inlet pipe (L1) through the carbon dioxide gas second supply pipe (L4) (hereinafter referred to as'second supply opening (L4)') through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에서, 제1차 반응기(100)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이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보다 많다. 예를 들면, 제1차 반응기(100)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이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보다 4배 이상 많을 수 있다. In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or 200. For exampl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may be four or more time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or 200.

제1차 반응기(100)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이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보다 많도록 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제2공급배관(L4)에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에 걸리는 압력부하가 제1공급배관(L3)에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에 걸리는 압력부하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업자들은, 배관들(L3, L4)의 직경이나 배관들(L3, L4)의 하류에 연결된 장치들(예를 들면, 반응기들(100, 200), 미세기포 발생장치(300),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의 사양(Specification)을 위 압력부하 설계 조건이 충족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mak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great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flowing into the second reactor 200, carbon dioxide gas flowing into the second supply pipe L4 The pressure load applied to the first supply pipe (L3)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pressure load applied to the carbon dioxide gas flowing into the first supply pipe (L3).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iameter of the pipes (L3, L4) or device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of the pipes (L3, L4) (for example, reactors (100, 200), microbubble generator (300)) , The specification of the carbon dioxide macrobubble generating unit 110 may be designed to satisfy the pressure load design condition above.

한편, 본 명세서에서, 배출가스에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용어 '배출가스'와 '이산화탄소 가스'를 구별할 실익이 없는 한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즉, 제1차 반응기(100)(또는 제2차 반응기(200))가 각각 배출가스를 유입 받는다는 것과 이산화탄소 가스를 유입 받는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에 포함된 배관들을 통해서 배출가스가 이동(또는 유입, 배출, 공급)한다는 것과 이산화탄소가 이동(또는 유입, 배출, 공급)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carbon dioxide is included in the exhaust gas, the terms "exhaust gas" and "carbon dioxide gas" will be used as the same meaning unless there is practical benefit to distinguish. That is, that the first reactor 100 (or the second reactor 200) receives the exhaust gas and the carbon dioxide gas are used in the same technical meaning, and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low of exhaust gas (or inflow, discharge, supply) through the pipes included in the device and the movement of carbon dioxide (or inflow, discharge, supply) through the pipes included in the device are technically used interchangeably.

본 실시예에서, 제1공급배관(L3)은 다시 2개의 배관들(L16, L17)로 각각 분기되어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처럼 매크로기포 생성 유닛(110)이 다층(예를 들면, 2층)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제1공급배관(L3)은 2개의 배관들(L16, L17)로 분기된 후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의 각 층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매크로기포 생성 유닛이 다층이 아닌 1개 층으로만 구성될 경우에는, 제1공급배관(L3)은 분기되지 않고 직접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ly pipe (L3) is again branched into two pipes (L16, L17),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110). When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stacked in multiple layers (for example, two layers) a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ly pipe L3 is divided into two pipes L16 and L17,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carbon dioxide gas to each layer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is composed of only one layer instead of multiple layers, the first supply pipe L3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provide carbon dioxide gas to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without branching.

제1차 반응기(100)는, 또한, 탄산나트륨 수용액 공급부(400)로부터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공급받는다. The first reactor 100 also receives a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from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upply unit 400.

제1차 반응기(100)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반응용기(101)와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차 반응기(100)는 배관(L11)을 통해서 탄산나트륨 수용액 공급부(400)로부터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탄산나트륨 수용액은 반응용기(101)에 저장된다. 반응용기(101)에 저장된 탄산나트륨 수용액은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와 혼합되어, 다음과 같은 반응(이하, '중조 생성 반응')에 사용된다. The first reactor 100 may include a reaction vessel 101 capable of accommodating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a carbon dioxide macrobubble generation unit 110, and the first reactor 100 may include sodium carbonate through a pipe L11.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aqueous solution supply unit 400, and the provided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is stored in the reaction vessel 101.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tored in the reaction vessel 101 is mixed with the carbon dioxide macrobubbles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macrobubble generation unit 110, and is used in the following reaction (hereinafter, “sodium carbonate generation reaction”).

Na2CO3 + CO2 + H2O →2NaHCO3 Na 2 CO 3 + CO 2 + H 2 O → 2 NaHCO 3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차 반응기(100)는 상기 중조 생성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중조 생성 반응은 적정 온도 범위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1차 반응기(100)에는 중조 생성 반응을 위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미 도시)와 같은 장치들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reactor 100 is configured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sodium bicarbonate generation reaction can occur. For example, since the reaction for generating the sodium bicarbonate may be performed with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devices such as a heater (not shown)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for the reaction for generating the sodium bicarbonate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reactor 100. .

제2차 반응기(200)는 반응용기(201) 및 반응용기(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반 장치(210)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구동모터(2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2) 및 회전축(212)에 부착된 임펠러(213)를 포함한다. The second reactor 200 may include a reaction vessel 201 and a stirring device 210 installed inside the reaction vessel 201. Here, the stirring device 210 includes a rotation shaft 212 disposed vertically and rotated by a driving motor 211 and an impeller 213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212.

반응용기(201)는 제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구(미 도시)와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 미세기포가 포함된 유체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구(미 도시)와,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게 반응용기(201)에 저장된 유체를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미 도시), 및 반응용기(201) 내에 생성된 가스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미 도시)를 구비하고, 1차 반응기(100)로부터 유입 받은 유체와 이산화탄소 미세기포가 혼합되어 반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 형상을 가진다. The reaction vessel 201 receives an inle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is introduced and a fluid containing carbon dioxid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is introduced. An inlet (not shown),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luid stored in the reaction vessel 201 can be discharged to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reaction vessel 201 to the outside. It has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it can flow out,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provides a space in which a fluid and carbon dioxide microbubbles introduced from the primary reactor 100 are mixed and reacted.

한편, 제1차 반응기(100)에서 생성된 가스와, 제2차 반응기(200)에서 생성된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가스와 합류하도록 배출될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차 반응기(100)에는 배관들(L10, L12)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the gas generated in the first reactor 100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second reactor 200 may be discharged to merge with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this end, pipes L10 and L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actor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제조장치는, 제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L5)을 더 포함하며, 배관(L5)에는 제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제2 반응기(200)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P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ipe L5 providing a path for introducing a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into the second reactor 200, and the pipe L5 ) May be provided with a pump P1 for pumping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to the second reactor 200.

반응용기(201)에서도, 제1차 반응기(100)로부터 제공받은 탄산나트륨 수용액이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 미세기포와 혼합되어, 상기와 같은 '중조 생성 반응'이 수행된다Also in the reaction vessel 201,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provided from the first reactor 100 is mixed with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nd the above'sodium carbonate generation reaction' is performed.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는 제2차 반응기(200)로부터 제2차 반응기(200)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 - 중조 생성 반응을 위한 반응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중간 생성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생성물들, 물,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의 적어도 일부를 유입 받아서, 그 유체에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미세기포를 생성시켜서, 제2차 반응기(200)에게 제공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미세기포가 포함된 유체를 '이산화탄소 함유 유체'라고 종종 부르기로 한다.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is a fluid stored in the second reactor 200 from the second reactor 200-reactants for the reaction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intermediate products for the reaction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duct, including at least one of water, and gas, is introduced, and microbubbles containing carbon dioxide are generated in the fluid, and provided to the second reactor 200.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 fluid containing microbubbles containing carbon dioxide is often referred to as a'fluid containing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와 제2차 반응기(200)는 제2차 반응기(200)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로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L9)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와 제2차 반응기(200)는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함유 유체가 제2차 반응기(200)로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L6, L7)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nd the second reactor 200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stored in the second reactor 200 can be moved to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nd the second reactor 200 are connected by a pipe L9, and the carbon dioxide-containing fluid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reactor 200. It is connected by pipes (L6, L7)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it can be moved.

본 실시예에서, 배관(L6)은 2개의 배관들(L7, L8)로 분기되며, 이들 중에서 배관(L7)은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함유 유체가 제2차 반응기(200)로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배관(L8)은 분말을 추출하기 위한 분말추출장치(500)와 연결된다. 배관(L8)에는 배관(L8)을 통해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V1)와 블로어(P2)가 설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ipe (L6) is branched into two pipes (L7, L8), of which the pipe (L7) is a carbon dioxide-containing fluid generated in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is the second reactor ( It provides a path that can be moved to 200, and the pipe (L8) is connected to the powder extraction device 500 for extracting the powder. The pipe L8 is provided with a valve V1 and a blower P2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moving through the pipe L8.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서 제2차 반응기(200)로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함유 유체에 충분한 중조(즉, 중산탄나트륨)가 생성된 경우, 밸브(V1)를 개방하여 배관(L6)을 통해서 이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분말 추출장치(500)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서 제2차 반응기(200)로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함유 유체에 충분한 중조(즉, 중산탄나트륨)가 생성되기 전까지는 밸브(V1)은 유체가 배관(L8)를 통해서 흐르지 못하도록 폐쇄되어 있다. 한편, 배관(L7)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V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밸브(V1)이 개방된 경우에는 밸브(V2)가 폐쇄되고, 밸브(V1)이 폐쇄된 경우에는 밸브(V2)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sufficient sodium bicarbonate (i.e., sodium bicarbonate) is generated in the carbon dioxide-containing fluid provided from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to the second reactor 200, the valve V1 is open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moving through the pipe L6 is provided to the powder extraction device 500. Until sufficient sodium bicarbonate (i.e., sodium bicarbonate) is generated in the carbon dioxide-containing fluid provided from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to the second reactor 200, the valve V1 is configured to allow the fluid to flow through the pipe L8. It is closed to prevent flow. On the other hand, a valve V2 that can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pipe L7 may be installed, and when the valve V1 is open, the valve V2 is closed, and the valve V1 is closed. In this case, the valve V2 may be configured to open.

분말 추출장치(500)는 수용액 상태의 중조로부터 분말 형태의 중조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수용액을 회전시키는 원심분리기와 원심분리기로부터 분말농도가 높은 수용액을 유입 받아서 기화시키는 히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중조 분말을 추출할 수 있다. The powder extraction device 500 is for extracting the sodium chloride in the form of a powder from the sodium chloride in the aqueous solution state, for example, a centrifuge that rotates the aqueous solution and a device such as a heater that receives and vaporizes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high powder concentration from the centrifuge. The sodium bicarbonate powder can be extracted using.

한편, 본 실시예는, 분말 추출장치(500)에서 유출되는 수용액이 다시 제1차 반응기(100)나 제2차 반응기(200) 또는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로 피드백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aqueous solution flowing out of the powder extraction device 500 may be configured to be fed back to the first reactor 100 or the second reactor 200 or the microbubble generator 300.

탄산나트륨 수용액 공급부(400)는 탄산나트륨과 물을 공급받아서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탄산나트륨 수용액 공급부(400)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원활한 생성을 위해서 교반장치(도면 번호 미 할당)와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저장하는 용기(40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저장하는 용기(401)와 제1차 반응기(100)는 배관(L11)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배관(L11)을 통해서 용기(401)에 저장된 탄산나트륨 수용액이 제1차 반응기(100)에게 제공된다.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upply unit 400 is a device that receives sodium carbonate and water to generate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upply unit 400 may include a stirring device (drawing number not assigned) and a container 401 for storing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for smooth generation of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The container 401 storing the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the first reactor 100 are connected through a pipe L11, and the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stored in the container 401 through the pipe L11 is the first reactor 100 Is provided to.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매크로기포 생성유닛(110)은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 N1, N2, N3, N4, N5, N6, N7)과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N1, N2, N3, N4, N5, N6, N7)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 Carbon dioxide gas supply providing a path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o N1, N2, N3, N4, N5, N6, N7) and a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N1, N2, N3, N4, N5, N6, N7) It may include a line (L2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에는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N1, N2, N3, N4, N5, N6, N7)이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되,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에 의해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N1, N2, N3, N4, N5, N6, N7)을 통해서 분사되도록 결합되어 있다.In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0, a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N1, N2, N3, N4, N5, N6, and N7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carbon dioxide supplied by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0 The gas is combined to be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N1, N2, N3, N4, N5, N6, and N7.

배관(L16)을 통해서 제공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으로 유입된 후,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을 통해서 흐르다가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N1, N2, N3, N4, N5, N6, N7)을 통해서 매크로기포 형태로 분사된다.The carbon dioxide gas provided through the pipe L16 flows through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 after flowing into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0, and then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N1, N2, N3, N4, It is injected in the form of macro bubbles through N5, N6, N7).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N1, N2, N3, N4, N5, N6, N7)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3과 도 4를 참조하여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을 예로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N1, N2, N3, N4, N5, N6, and N7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nd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상 설명한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에 의해서 생성되는 매크로기포는 평균 직경이 1mm 내지 2mm (1mm 이상 2mm 이하)인 기포이다.The macro bubbles generated by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described above are bubb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 mm to 2 mm (1 mm or more and 2 mm or less).

도3과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은, 제1차 반응기(100)에 저장된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담기는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도 1을 참조).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stalled in a form of being immersed in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stored in the first reactor 100 (see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관(L16)을 통해서 유입 받고, 또한 자신(N-1)의 주위에 있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 흡입하여, 이산화탄소 가스가 포함된 매크로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흡입한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함께 반응용기(101)에 저장된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분사한다. The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carbon dioxide gas through the pipe L16, and also sucks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around it N-1 without a separate power device, Macrobubbles containing gas are generated and sprayed together with the inhaled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into the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stored in the reaction vessel 101.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유입 받아 회전류를 생성하는 회전류 생성부(N-10), 회전류 생성부(N-10)에 의해 회전류로 생성된 이산화탄소 가스와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일부를 유입 받아서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를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발생시키는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 및 회전류 생성부(N-10)와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를 이격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N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유입되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은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회전류 생성부(N-10),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 및 연결부(N1-2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및 구성되어 있다. The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generated as a rotational flow by a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0) and a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0) for generating rotational flow by receiving carbon dioxide gas. A macro bubble injection part (N1-30) that generates carbon dioxide macro bubbles in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by introducing a part of the carbon dioxide gas and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and a rotating flow generation part (N-10) and a macro bubble injection part (N1-30)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N1-20) for connecting the spaced apart. Here,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flowing into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is naturally introduced without a separate power device, so that 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0,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and the connection unit N1 -20)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configured with each other.

후술하겠지만,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은 회전류 생성부(N-10)와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가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반응용기(101)에 저장되어 있던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일부가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자연스럽고도 강력하게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is a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tored in the reaction vessel 101 through a space where the rotational flow generating unit N-10 and the macro bubble spraying unit N1-30 are separated. It is configured to naturally and powerfully flow into the macro bubble injection part (N1-30).

회전류 생성부(N-10)는 2개의 단부(N1-12, N-13)를 가진 관(N1-11) 형상으로 구성되며, 2개의 단부(N1-12, N-13) 중 일 단부(N1-12)(이하, '입구')는 배관(L-20)에 흐르는 이산화탄소가 입구(N1-12)로 유입되도록 배관(L-20)과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단부(N-13)(이하, '출구')는 자유단으로서 연결부(N1-20)에 의해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에 이격되어 결합된다. 관(N1-11)의 내부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N1-S1)을 가지며, 그러한 공간(N1-S1)에는 입구(N1-12)로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선회하도록 하는 구조체(S)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를 선회시키기 위한 구조체(W)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2012-0008106 (2012.01.30)(이하, 106')호에 기재된 베인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6'호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결합된다. 한편, 106'호에 기재된 베인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와 다른 구조체라도 유체를 선회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면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체(W)로 사용될 수 있다.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0) is composed of a tube (N1-11) shape having two ends (N1-12, N-13), and one of the two ends (N1-12, N-13) (N1-12) (hereinafter,'inlet') is coupled with the pipe (L-20) so that carbon dioxide flowing through the pipe (L-20) flows into the inlet (N1-12), and the other end (N-13) (Hereinafter, the'exit') is a free end and is spaced apart from and coupled to the macrobubble spraying portion N1-30 by the connection portion N1-20. The inside of the pipe (N1-11) has a space (N1-S1)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gas can move, and in such a space (N1-S1), a structure (S) that allows the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N1-12) to rotate. ) Is formed. The structure W for turning the fluid may have a configuration such as a vane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2012-0008106 (2012.01.30) (hereinafter, 106'). The contents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6' are combined as part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vane described in No. 106' is illustrative and can be used as the structure W in this embodiment if it has a function capable of turning a fluid even in a structure other than that of the other structure.

회전류 생성부(N-10)의 내부 공간은, 구조체(W)가 설치된 위치에서 출구(N1-13)로 가까워질 수록 그 직경(즉, 내부 공간의 직경)이 점점 작아진다. 구조체(W)에 의해 회전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출구(N1-13)를 통해서 강력하게 유출되고, 유출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이격 공간(N1-S2)을 거쳐서 바로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유입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0 becomes smaller in diameter (that is,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as it approaches the outlet N1-13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tructure W is installed. Carbon dioxide gas rotated by the structure (W) is strong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N1-13), and the discharged carbon dioxide gas flows directly into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N1-S2). do.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와 회전류 생성부(N1-10)는 공간(N1-S2)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이격 공간(N1-S2)은 매우 짧아서 회전류 생성부(N1-10)의 출구(N1-12)를 통해서 유출된 대부분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회전을 유지하면서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강력하게 유입된다.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and 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10) are separated by a space (N1-S2), and the separation space (N1-S2) is very short, so 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10) ), most of the carbon dioxide gas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 (N1-12) is strongly introduced into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while maintaining rotation.

한편,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강력하게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흐름에 의해,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의 주위에 있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은 이격 공간(N1-S2)을 경유하여,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이산화탄소 가스와 함께 유입된다. On the other hand, by the flow of carbon dioxide gas strongly introduced into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around the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passes through the spaced space N1-S2, It flows into the macro bubble injection part N1-30 together with carbon dioxide gas.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는 2개의 단부(N1-33, N1-32)를 가진 관(N1-31) 형상으로 구성되며, 2개의 단부(N1-33, N1-32) 중 일 단부(N1-33)(이하, '입구')는 회전류 생성부(N1-10)의 출구(N1-12)를 통해서 유출된 대부분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유입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2개의 단부(N1-33, N1-32) 중 나머지 단부(N1-32)(이하, '출구')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렇게 분사동작에 의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함유된 매크로기포가 형성된다.The macro bubble injection part (N1-30) is composed of a tube (N1-31) shape having two ends (N1-33, N1-32), and one of the two ends (N1-33, N1-32) (N1-33) (hereinafter,'inlet') is configured to receive most of the carbon dioxide gas that has flowed out through the outlet (N1-12) of 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10).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N1-32) (hereinafter,'outlet') of the two ends (N1-33, N1-32) is configured to inject carbon dioxide gas and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Contained macrobubbles are formed.

매크로기포 분사부(N1-30)의 내부 공간은, 관(N1-31)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N1-31)의 내부 공간에 회전상태로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와 탄산나트륨 수용액이 서로 혼합, 충돌, 및 용해된 유체가 회전되면서 출구(N1-32)로 분사된다.The inner space of the macro bubble injection unit N1-3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tube (N1-31), and the carbon dioxide gas and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introduced in a rotating stat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e (N1-31) are mixed with each other, Collision, and the dissolved fluid is sprayed to the outlet (N1-32) while rotating.

한편, 상술한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의 구성은 다른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N2, N3, N3, N4, N5, N6, N7)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일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 N1 may be the same as any one or more of the other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N2, N3, N3, N4, N5, N6, and N7.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는 적어도 한개의 선회기와 적어도 1개의 반응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선회기들(311, 312, 313)과 3개의 반응기들(321, 322, 323)로 구성된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원 발명은 선회기와 반응기가 각각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가 그러한 선회기들과 반응기들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lewing device and at least one reac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300 composed of three swirlers 311, 312, 313 and three reactors 321, 322, 323.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swirlers and the reactor is at least tw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such swirlers and reactors.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는 선회기(311)(이하, '제1선회기'), 선회기(312)(이하, '제2선회기'), 선회기(313)(이하, '제3선회기'), 용해탱크(321)(이하, '제1용해탱크'), 용해탱크(322)(이하, '제2용해탱크'), 및 용해탱크(323)(이하, '제3용해탱크')를 포함한다. 이들 선회기들과 용해탱크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선회기에 대한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용해탱크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용해탱크에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구와, 저장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있다.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includes a turning machine 311 (hereinafter,'first turning machine'), turning machine 312 (hereinafter,'second turning machine'), and turning machine 313 (hereinafter, ' 3rd turning machine'), melting tank 321 (hereinafter,'first melting tank'), melting tank 322 (hereinafter'second melting tank'), and melting tank 323 (hereinafter,'second melting tank') 3 Melting tank'). These swingers and the dissolution tank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wing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The dissolution tank has a configuration having a closed space for storing fluid, and the dissolution tank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tored flui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관(L4)은 3개의 배관(L41, L42, L43)으로 분기되고, 배관(L41, L42, L43)을 통해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제1선회기(311), 제2선회기(312), 및 제3선회기(313)로 각각 분할 및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The pipe (L4) is branched into three pipes (L41, L42, L43), and the carbon dioxide gas supplied through the pipes (L41, L42, L43) is the first turning machine 311, the second turning machine 312, And the third turning machine 313 respectively divided and sequentially supplied.

제2차반응기(2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 - 중조 생성 반응을 위한 반응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중간 생성물들, 중조 생성 반응의 생성물들, 물,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는 배관(L41)을 통해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합류된 후, 제1선회기(311)로 유입된다. 제1선회기(311)로 유입된 유체는 서로 혼합 및 회전된 후에 제1용해탱크(321)로 유입된다. 제1용해탱크(3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지며, 제1용해탱크(321)에 유입된 유체와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해 중소 생성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second reactor 200-including at least one of reactants for the reaction for generating a sodium bicarbonate, intermediate products for the reaction for generating a sodium bicarbonate, products for the reaction for generating a sodium bicarbonate, water, and a gas-is a pipe L41 After being joined with the carbon dioxide gas supplied through ), 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urning machine 311.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turning machine 311 is mixed and rotated with each othe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first melting tank 321. The first melting tank 32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a small and medium-sized rea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fluid and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first melting tank 321.

제1용해탱크(321)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유출되어 배관(L42)을 통해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합류된 후 제2선회기(312)로 공급된다. 제2선회기(312)로 유입된 유체는 서로 혼합 및 회전된 후에 제2용해탱크(322)로 유입된다. 제2용해탱크(3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지며, 제2용해탱크(322)에 유입된 유체와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해 중소 생성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The fluid stored in the first melting tank 321 flows out and merges with the carbon dioxide gas supplied through the pipe L42 and then supplied to the second turning machine 312.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second turning machine 312 is mixed and rotated with each othe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second melting tank 322. The second melting tank 322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a small and medium-sized rea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fluid and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melting tank 322.

제2용해탱크(321)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유출되어 배관(L43)을 통해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합류된 후 제3선회기(313)로 공급된다. 제3선회기(313)로 유입된 유체는 서로 혼합 및 회전된 후에 제3용해탱크(323)로 유입된다. 제3용해탱크(323)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지며, 제3용해탱크(323)에 유입된 유체와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해 중소 생성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The fluid stored in the second melting tank 321 flows out and merges with the carbon dioxide gas supplied through the pipe L43 and then supplied to the third turning machine 313.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third turning machine 313 is mixed and rotated with each othe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third melting tank 323. The third melting tank 323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small and medium-sized generation reaction may proceed by the fluid and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third melting tank 323.

한편, 제3용해탱크(323)에 저장된 유체와 중조 생성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잔존 이산화탄소 가스는 배관(L6)를 경유하여, 배출가스와 합류되거나 분말 추출 장치(500)로 이동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luid stored in the third melting tank 323 and the residual carbon dioxide gas that has not been used for the reaction for generating the sodium bicarbonate are merged with the exhaust gas or transferred to the powder extraction device 500 via the pipe L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서는 복수의 용해탱크를 구비하고, 이러한 용해탱크에 순차적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제공함으로써 중조 생성 반응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dissolution tanks are provided, and carbon dioxide gas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s so that carbon dioxide gas can be efficiently used in the sodium bicarbonate generation reaction. do.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 의해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는 평균 직경이 50㎛ 이하인 기포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are bubb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0 μm or less.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rn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기(311)는 내부에 유체가 회전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격벽들(P1, P2)이 형성된 통형상의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선회기(311)는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를 선회시키도록 격벽들(P1, P2)과 같은 물리적인 구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6, the swinger 3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cylindrical configuration in which partition walls P1 and P2 that can move to rotate the fluid are formed therein, and such a swinger 311 is It is composed of physical components such as partition walls (P1, P2) to rotate the fluid flowing into the.

선회기(311)에는 유체를 유입받을수 있는 유입구(H1)와, 외부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H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H1)로는 배관(L9)을 통해서 제공되는 유체와 배관(L41)을 통해서 제공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합쳐진 것이 유입된다. 한국특허등록 1284266 (2013.07.01)호(이하, 266') 특허에는 선회기의 예시적이 구성 및 작용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266'호 특허에 기재된 선회기(선회유닛)의 기술적인 내용은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결합된다.An inlet H1 through which fluid can be introduced and an outlet H2 through which fluid can be discharged are formed in the swing unit 311. As described above, a mixture of the fluid provided through the pipe L9 and the carbon dioxide gas provided through the pipe L41 flows into the inlet H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84266 (2013.07.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266') describes in detail an exemplary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turning machin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turning machine (swivel unit) described in the 266' patent are combined as part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한편, 선회기들(312, 313)은 상술한 선회기(3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swingers 312 and 313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swinger 311.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제1차 반응기
200: 제2차 반응기
300: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
400: 탄산나트륨 수용액 공급부
500: 분말 추출 장치
100: first reactor
200: second reactor
300: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400: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upply unit
500: powder extraction device

Claims (7)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에 있어서,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 받는 제1차 반응기(100);
이산화탄소 가스와 유체를 유입 받고, 유입 받은 유체에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를 포함하며,
제1차 반응기(100)는,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탄산나트륨 수용액에게 분사하는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In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A first reactor 100 receiving a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and a carbon dioxide gas;
Including; a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for receiving carbon dioxide gas and a fluid and generating microbubbles in the received fluid,
The first reactor 100 comprises a carbon dioxid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arbon dioxide macro bubbles and injects it to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제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유입 받는 제2차 반응기(200);를 더 포함하며,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가 유입받는 상기 유체는 제2차 반응기(200)에서 유출되는 유체이며,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는 유입 받은 유체에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제2차 반응기(200)로 제공하며,
제1차 반응기(100)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이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보다 많은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eactor 200 receiving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further includes,
The fluid into which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flows in is the fluid that flows out from the second reactor 200, and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generates microbubbles in the introduced fluid to the second reactor ( 200),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wherei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or 200.
제2항에 있어서,
제1차 반응기(100)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이 제2차 반응기(20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양보다 4배 이상 많은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wherei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is more than four time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or 2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의 평균 직경은 1 mm 내지 2 mm이고,
상기 이산화탄소 미세기포의 평균 직경은 50㎛ 이하인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arbon dioxide macrobubbles is 1 mm to 2 mm,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s is 50㎛ or less,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포 생성유닛은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
상기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에는 상기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이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되,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라인(L20)을 따라 흐르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상기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도록 결합된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cro bubble generating unit
A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Includes; a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0) providing a path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o the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In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0), the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each other, but the carbon dioxide gas flowing along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line (L20) is combined to be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macro bubble generating nozzles. Phosphorus,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기포 생성노즐(N1)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유입 받아 회전류를 생성하는 회전류 생성부(N-10), 회전류 생성부(N-10)에 의해 회전류로 생성된 이산화탄소 가스와 제1차 반응기(100)가 유입 받은 상기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일부를 유입 받아서 이산화탄소 매크로기포를 상기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발생시키는 메크로기포 분사부(N1-30), 회전류 생성부(N-10)와 메크로기포 분사부(N1-30)를 이격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N1-20)를 포함하며, 회전류 생성부(N-10)와 메크로기포 분사부(N1-30)가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상기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일부가 메크로기포 분사부(N1-30)로 유입되는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cro-bubble generating nozzles (N1) is a rotating flow generating unit (N-10) and a rotating flow generating unit (N-10) for generating a rotating flow by receiving carbon dioxide gas A macrobubble injection unit (N1-30) for generating carbon dioxide macro bubbles in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by receiving carbon dioxide gas generated as a rotating flow and a part of the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first reactor 100, rotating flow It includes a connection unit (N1-20) for spacedly connecting the generation unit (N-10) and the macrobubble injection unit (N1-30), and the rotational flow generation unit (N-10) and the macrobubble injection unit (N1- 30) The sodium bicarbonate production apparatus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that a part of the sod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crobubble spraying unit (N1-30) through the spaced apart.
제2항에 있어서,
제2차 반응기(200)는 반응용기(201) 및 반응용기(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장치(210)를 포함하고, 교반 장치(210)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구동모터(2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2) 및 회전축(212)에 부착된 임펠러(213)을 포함하며,
반응용기(201)는 1차 반응기(10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구와 이산화탄소 미세기포 발생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 미세기포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구와, 가스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1차 반응기(100)로부터 유입 받은 유체와 상기 이산화탄소 미세기포가 혼합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인, 2단 반응 방식을 이용한 중탄산나트륨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reactor 200 includes a reaction vessel 201 and a stirring device 210 installed inside the reaction vessel 201, and the stirring device 210 is disposed vertically and is attached to the drive motor 211. It includes a rotating shaft 212 and an impeller 213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212 rotated by,
The reaction vessel 201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irst reactor 100 can be introduced, an inlet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 generator 300 can be introduced, and the gas to the outside.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using a two-stage reaction metho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it can be discharged, and having a space for mixing the fluid received from the first reactor 100 with the carbon dioxide microbubbles and preventing it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
KR1020190021408A 2019-02-22 2019-02-22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KR202001028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08A KR20200102862A (en) 2019-02-22 2019-02-22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08A KR20200102862A (en) 2019-02-22 2019-02-22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62A true KR20200102862A (en) 2020-09-01

Family

ID=7245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08A KR20200102862A (en) 2019-02-22 2019-02-22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8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59B1 (en) * 2021-05-21 2021-10-15 한국동서발전(주) All-in-one Device for Preparing of Sodium Bicarbonate Combined Bubble Reactor with Packed Tow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037B1 (en) 2011-12-13 2013-0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production of micro calcium carbonate with mirco bubble carbon dioxide
KR101571251B1 (en) 2014-09-25 2015-11-23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sodium bicarbo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90162B1 (en) 2014-12-22 2016-0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ineralization method of carbonate with high purity
KR101709865B1 (en) 2015-09-23 2017-02-23 한국전력공사 Method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with high effici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037B1 (en) 2011-12-13 2013-0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production of micro calcium carbonate with mirco bubble carbon dioxide
KR101571251B1 (en) 2014-09-25 2015-11-23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sodium bicarbo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90162B1 (en) 2014-12-22 2016-0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ineralization method of carbonate with high purity
KR101709865B1 (en) 2015-09-23 2017-02-23 한국전력공사 Method for producing sodium bicarbonate with high efficien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59B1 (en) * 2021-05-21 2021-10-15 한국동서발전(주) All-in-one Device for Preparing of Sodium Bicarbonate Combined Bubble Reactor with Packed Tow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794B1 (en) Nano-bubble generator
JP3682286B2 (en) Fine bubble generator and fine bubble generator provided with the same
JP3197149U (en) Generator for dissolving gas in liquid and fluid spray nozzle
KR20200098873A (en)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TWI639464B (en) Fine bubble liquid generating apparatus
KR102128207B1 (en) Nano-bubble generator
WO2013103215A1 (en) Carbonation device and method of carbonation using the same
KR102102811B1 (en) Pesticide spraying apparatus
KR101850223B1 (en) Nano-bubble generator
CN103102021B (en) High oxygen ejector
KR101834909B1 (en) Ozon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Lower Energy
KR20200102862A (en)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KR102095865B1 (en) Apparatus for mineral carbonation with high density
CN111960523B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gas-water miscible activation through secondary hydrodynamic cavitation and ultrasonic cavitation
KR102313214B1 (en) Ultra fine bubble generating system with coil-shaped nozzle
KR2018010864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particles
KR102019972B1 (en) Manuafacturing apparatus for sodium bicarbonate slurry using co2 included exhaust gas and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xhaust gas using the same
KR102002479B1 (en) Manufacturing system of High-purity NaHCO3
JP2011218343A (en) Nozzle for gas-liquid mixing, gas-liquid mixing mechanism and application of the same
KR20200107641A (en) Manuafacturing apparatus for sodium bicarbonate slurry using co2 included exhaust gas and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xhaust gas using the same
CN205032089U (en) Superfine small bubble generating device
CN105330003B (en) sewage treatment process
KR102373626B1 (en) Nano Bubble Generator
KR102234444B1 (en)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using micro bubbles
KR20220094024A (en) Air supply device of nano bubble gener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