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846A -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846A
KR20200101846A KR1020200015323A KR20200015323A KR20200101846A KR 20200101846 A KR20200101846 A KR 20200101846A KR 1020200015323 A KR1020200015323 A KR 1020200015323A KR 20200015323 A KR20200015323 A KR 20200015323A KR 20200101846 A KR20200101846 A KR 2020010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load
soun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842B1 (ko
Inventor
게이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조작 단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작 단말(10)은,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11)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12)와, 통신부(13)를 갖는다. 통신부(13)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Description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OPER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스터 장치(master device), 조명 장치 등의 부하, 및,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스위치에 대한 조작을 마스터 장치가 인식하고, 당해 조작에 기초해서 마스터 장치가 부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마스터 장치가 스위치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신호의 내용을 판단해서, 당해 신호에 포함되는 목적지(destination)의 부하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부하와 스위치를 일대일로 접속하고, 당해 스위치로부터 당해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배선이 불필요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대규모 건물에 있어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을 적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08-47068호 공보
상기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위치 등의 조작 단말에 대해서, 다기능화의 요망으로부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뿐만이 아니라, 음(音),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도 추가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갖는 조작 단말을 적용하는 경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통신을 위한 배선과는 별도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통신을 위한 배선이 필요해져, 조명 제어 시스템 전체가 대형화 및 고비용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조작 단말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조작 단말은,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와, 통신부를 갖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상기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통신 방법은,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상기 부하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상기의 통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조작 단말 등에 의하면,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송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가 중첩된 전송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가 중첩된 전송 신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나는 수치, 형상,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및, 스텝(공정) 및 스텝의 순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본 발명의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형태)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구성]
우선,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조작 단말(10), 전송 유닛(20), 무선 액세스 포인트(무선 AP)(30), 복수의 부하(40)를 구비한다. 복수의 부하(40)에는, 조명 장치가 포함된다.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조작 단말(10), 전송 유닛(20), 무선 AP(30)는, 전력선(110)에 의해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한편,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이들 기기 외에도, 다른 조작 단말, 부하(40)에의 전력 공급의 온 오프(on off)를 전환하는 릴레이 또는 센서 등이 전력선(110)에 접속될 수 있지만,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전송 유닛(20)이 중심이 되어(바꾸어 말하면, 전송 유닛(20)이 마스터 장치가 되어),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인 조명 장치 등의 부하(40)의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부하(40)로서의 조명 장치의 제어란, 조명 장치의 온 오프 제어, 조광 제어, 신(scene) 제어, 감시 제어 등인 것이다. 신 제어란, 집무 에어리어, 엔트런스, 회의실, 휴게실, 일본식 방, 서양식 방, 침실, 서재 등의 조명 장치의 설치 장소, 또는, 아침, 낮, 밤, 식사 시간, 단란(團欒) 시간 등의 조명 장치가 사용되는 시간대 등에 따라서 조명 장치를 조광 조색 제어하는 것이다. 감시 제어란, 조명 장치의 제어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들 제어는, 유저에 의한 조작 단말(10)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전송 유닛(20)은,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중심이 되어서 동작하는 마스터 장치 컨트롤러이다. 전송 유닛(20)은, 전력선(110)에 접속된 조작 단말(10)로부터의 신호를, 무선 AP(30)를 통해서 부하(40)에 송신한다. 한편, 부하(40)는, 무선 AP(30)를 통하지 않고서 전력선(11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전송 유닛(20)은, 전력선(110)에 접속된 조작 단말(10)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부하(40)에 송신해도 된다.
무선 AP(30)는, 부하(40)와 무선 통신을 행하고, 전송 유닛(20)으로부터의 지시(구체적으로는, 조작 단말(10)이 전송 유닛(20)에 송신한,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서 부하(4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무선 AP(30)는, 부하(40)로서 특정한 조명 장치를 온(on)하는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당해 특정한 조명 장치를 온하도록 당해 특정한 조명 장치를 제어하고, 특정한 조명 장치를 오프(off)하는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당해 특정한 조명 장치를 오프하도록 당해 특정한 조명 장치를 제어한다. 한편, 부하(40)는, 무선 AP(30) 대신에 예를 들면 릴레이 등을 통해서 전력선(11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릴레이는, 자신에게 접속된 부하(40)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는 지시를 받은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부하(40)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자신에게 접속된 부하(4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지시를 받은 경우, 자신에게 접속된 부하(4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다.
한편,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전송 유닛(20)을 구비하지만,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조작 단말(10)과 무선 AP(30) 또는 부하(40)가, 전송 유닛(20)을 통하지 않고서 전력선(110)에 의해서 통신을 행해도 된다.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예를 들면, 시분할의 다중 전송 방식이 채용되어 있고, 전력선(110)은, 2선식의 전력선을 포함한다. 전력선(110)에 있어서, 2선간의 전위차(예를 들면 ±24V)에 의한 펄스 신호에 의해서 신호(정보)가 전송된다. 즉, 전력의 공급 및 정보의 전달을 전력선(110)에 의해서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릭(cyclic) 전송 방식이 채용되어 있고, 전송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전력선(110)에 접속된 모든 기기를 통과해 간다. 각 기기는, 당해 신호의 내용을 확인하고, 내용에 따라서 당해 신호를 필요로 하는 기기가 당해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각 기기는, 당해 신호에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신호를 무시한다. 이 종류의 조명 제어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NMAST(등록상표)와 같은 시스템이 있다.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부하(40)와 조작 단말(10)을 일대일로 접속하는 배선이 불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부하(40)가 8개 있는 경우에, 부하(40)와 조작 단말(10)을 일대일로 배선 접속할 경우에는, 적어도 8개의 전원선(또는 신호선) 및 1개의 접지선(ground wire)이 필요해지지만,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2선으로 이루어지는 전력선(110)만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대규모 건물에 있어서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배선을 적게 할 수 있다.
조작 단말(10)은, 유저가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장치이고, 예를 들면, 시설의 벽 등에 마련된다. 한편, 조작 단말(10)은,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뿐만이 아니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도 갖는다. 조작 단말(10)의 상세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10)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이다.
조작 단말(10)은,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메모리는, ROM, RAM 등이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다. 조작 단말(10)은, 조작부(11), 알림부(12), 통신부(13), 취득부(14), 변환부(15) 및 제 1 표시부(16)를 갖는다.
조작부(11)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구성이고,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조작 단말(10)의 하우징 상에 마련된 스위치 또는 버튼 등이다. 조작부(11)가 조작됨으로써, 당해 조작에 따라서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단말(10)이 갖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당해 조작에 따라서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생성된다.
알림부(12)는,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알리는 구성이고,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 2 표시부는, 예를 들면, 사이니지(signage)이다. 이와 같이, 조작 단말(10)은,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뿐만이 아니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도 실현하기 위해서, 조작부(11)에 더하여, 알림부(12)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3에는, 문자의 정보의 일례로서 「정시 퇴근」이라고 하는 정보가 알림부(12)에 의해 알림(표시)되어 있는 예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3)에 의해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가 수신되거나, 후술하는 취득부(14)에 의해 당해 정보가 취득되거나 함으로써, 알림부(12)는 당해 정보를 알린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단말(10)이 갖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알림부(12)는, 당해 정보를 알린다.
통신부(13)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조작 단말(10)이 갖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와 같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13)는, 전력선(110)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이고, 조작 단말(10)은, 전력선(110)을 통해서 전력 공급을 받는 것이다. 즉, 전력선(110)에 의해서, 정보의 통신 및 전력 공급의 양쪽을 행할 수 있다. 전력선(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2선식의 전력선을 포함한다.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서 이용되는 전송 방식은,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시분할의 다중 전송 방식이고, 구체적으로는, NMAST(등록상표)와 같은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송 방식이다. 통신부(13)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을 이와 같은 다중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하고, 또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도 동일하게 다중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다.
취득부(14)는,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취득한다. 조작 단말(10)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을 갖고, 마이크로폰을 통해서 음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조작 단말(10)은, 예를 들면 카메라를 갖고, 카메라를 통해서 문자 또는 화상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조작 단말(1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해도 되고, 휴대 단말에 의해서 취득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휴대 단말을 통해서 취득해도 된다. 취득부(14)는, 마이크로폰 또는 카메라 등의 하드웨어 자원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되고, 프로그램(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변환부(15)는,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를 변환한다. 변환부(15)는, 예를 들면,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를,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가, 조명 장치를 온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음성인 경우에, 변환부(15)는, 음성 인식에 의해 당해 음성이 조명 장치를 온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를, 조명 장치를 온시키기 위한 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예를 들면,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를,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설정을 위한 정보로 변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가, 조명 장치의 신 제어에 대한 설정을 위한 화상인 경우에, 변환부(15)는, 화상 인식 등에 의해 당해 화상이 나타내는 신 제어에 대한 설정 내용을 인식하고,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를 신 제어에 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한다. 한편, 화상은, QR 코드(등록상표)여도 되고, 변환부(15)는, QR 코드(등록상표)가 나타내는 내용을 인식해도 된다. 그리고, 통신부(13)는, 변환부(15)가 변환한 정보를,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 및,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과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송신한다. 한편, 통신부(13)는, 변환 전의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송신을 행해도 된다.
제 1 표시부(16)는, 알림부(12)와 상이한 것으로서, 조작부(11)에 대한 조작에 기초한 표시를 행하는 구성이고,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LED 등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이다. 예를 들면, 조작부(11)에 대한 조작에 의해 조명 장치가 온 오프되는 경우, 조명 장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특정한 색(예를 들면 녹색)을 발광하는 제 1 표시부(16)(LED)가 온되고, 조명 장치가 오프되었을 때에는, 특정한 색(예를 들면 적색)을 발광하는 제 1 표시부(16)(LED)가 온된다. 제 1 표시부(16)는, 종래의 조작 단말(벽 스위치 등)에도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동작]
다음으로, 조작 단말(10)의 동작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1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조작부(11)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한다(스텝 S11). 예를 들면, 조작부(11)는, 조명 장치를 온시키기 위한 조작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다음으로, 통신부(13)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12). 예를 들면, 당해 정보는, 전력선(110)을 통해서 일단 통신부(13)로부터 전송 유닛(20)에 송신되고, 전송 유닛(20)은, 당해 정보에 따른 제어를 하게 하는 정보를 전력선(110)을 통해서 무선 AP(30)에 송신한다. 무선 AP(30)는, 수신한 신호에 따라서 조명 장치를 온시킨다.
조명 장치가 온된 경우, 조명 장치 또는 무선 AP(30)는, 전송 유닛(20)을 향해 조명 장치가 온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력선(110)을 통해서 송신한다. 전송 유닛(20)은, 조명 장치가 온된 것을 나타내는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전력선(110)을 통해서 조작 단말(1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작 단말(10)의 통신부(13)는,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13). 이때,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은,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알림부(12)는,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알린다(스텝 S14). 예를 들면, 알림부(12)는, 조명 장치가 온된 것을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에 의해서 알린다. 한편, 알림부(12)는, 조명 장치 상태의 알림뿐만이 아니라, 그 밖의 정보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에 의해서 알려도 된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시각(예를 들면 17시 등)이 된 경우에, 정시에 퇴근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정보가 전송 유닛(20)으로부터 조작 단말(10)에 송신되어서,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림부(12)(제 2 표시부)에 의해 그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전송 방식]
다음으로,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송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5에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만이 전송될 때의 전송 신호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NMAST(등록상표)와 같은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전송 방식에서는, 전송 신호는, 휴지대(帶)(A)와, 스타트 신호대(B, C)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송신대(D)와, 반신(返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인 신호 반신대(E)와, 엔드 신호대(F, G)로 이루어진다. 이 전송 신호는, 복극(複極)(±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이고, 펄스열로 이루어지는 캐리어를 펄스폭 변조하는 것에 의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전송 신호는, NMAST(등록상표)와 같은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만이 전송되는 전송 신호에,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중첩시킴으로써,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이하에서는,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중첩의 방법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해서 2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가 중첩된 전송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휴지대(A), 스타트 신호대(B, C)에 있어서 극성이 반전되지 않도록 하고, 휴지대(A), 스타트 신호대(B, C)에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P)을 중첩시킨다. 이에 의해,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의 간섭을 피하면서, 이들 정보의 송수신을 공통의 전력선(110)에 있어서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도 7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가 중첩된 전송 신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은, 반드시 동시에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예를 들면 2회에 1회 등의 빈도로) 신호 송신대(D)에 있어서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신호 송신대(D) 및 신호 반신대(E)에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P)을 중첩시킨다. 이에 의해,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의 타이밍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의 타이밍을 나누어서, 이들 정보의 송수신을 공통의 전력선(110)에 있어서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킷(P)을 전송 신호에 중첩시킴으로써, 전송량을 최대로 40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알림부(12)는,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음의 정보를 출력하는 음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10)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림부(12)는, 음 출력부로서 예를 들면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명 장치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 「소등 중입니다」라고 하는 정보가 알림부(12)에 의해 알림(음성 출력)이 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13)에 의해 음의 정보가 수신되거나, 취득부(14)에 의해 당해 정보가 취득되거나 함으로써, 알림부(12)는 당해 정보를 알린다.
[효과 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단말(10)은,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11)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12)와, 통신부(13)를 갖는다. 통신부(13)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이에 의하면,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이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이들 정보의 송수신을 공통의 전력선(110)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이미 시설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도 추가하는 경우에,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통신을 위한 배선과는 별도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통신을 위한 배선을 더 마련할 필요가 없어, 조명 제어 시스템(100) 전체가 대형화 및 고비용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및,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갖는 조작 단말(10)과,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은 갖지만,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사용한 기능을 갖지 않는 조작 단말을 혼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종래부터 존재하는 조작 단말을, 다기능인 조작 단말(10)로 서서히 교환해 가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단말(10)은,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14)와, 취득부(14)가 취득한 정보를 변환하는 변환부(15)를 더 갖고, 통신부(13)는, 변환부(15)가 변환한 정보를 상기 전송 방식에 의해 송신해도 된다.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에 대해서, 예를 들면 전송 유닛(20) 등에 있어서 변환하지 않아도 되고, 본 태양과 같이, 조작 단말(10)에 있어서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해서(예를 들면,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해서), 부하(40)를 향해 송신해도 된다.
또한, 조작 단말(10)은, 알림부(12)와 상이한 것으로서, 조작부(11)에 대한 조작에 기초한 표시를 행하는 제 1 표시부(16)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조작부(11)에 어떠한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제 1 표시부(16)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작 단말(10)은, 제 1 표시부(16)에 더해서 알림부(12)도 갖기 때문에, 조작부(11)에 대한 조작에 기초한 표시뿐만이 아니라, 알림부(12)에 의해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알림도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는, 전력선(110)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이고, 조작 단말(10)은, 전력선(110)을 통해서 전력 공급을 받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전력 공급과 정보의 송수신을 공통의 전력선(110)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110)은, 2선식의 전력선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부하(40)와 조작 단말(10)을 일대일로 접속하는 배선이 불필요해져,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배선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2)는,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표시에 의해서 알릴 수 있다.
또한, 알림부(12)는, 음의 정보를 출력하는 음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음의 정보를 음 출력에 의해서 알릴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단말(1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10)은, 취득부(14) 및 변환부(15)를 갖고 있었지만,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10)은, 제 1 표시부(16)를 갖고 있었지만,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3)는, 전력선(110)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이었지만, 전력선(110)을 통해서 통신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13)는, 전력의 공급에 이용되지 않는 통신선 등을 통해서 통신을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송 방식은, NMAST(등록상표)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송 방식이었지만,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할 수 있으면, 이와 같은 전송 방식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단말(10)로서 실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예를 들면 조작 단말(10))와 부하(40)의 통신 방법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당해 통신 방법에서는, 부하(4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스텝 S12)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스텝 S13)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한다.
예를 들면, 그들의 스텝은, 컴퓨터(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되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들의 방법에 포함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CD-ROM 등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프로그램(소프트웨어)으로 실현되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CPU, 메모리 및 입출력 회로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각 스텝이 실행된다. 즉, CPU가 데이터를 메모리 또는 입출력 회로 등으로부터 취득해서 연산하거나, 연산 결과를 메모리 또는 입출력 회로 등에 출력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각 스텝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조작 단말(1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는, 전용 또는 범용의 회로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조작 단말(1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는,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는 LSI에 한정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프로그램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 및 설정이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대체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 그 기술을 이용해서, 조작 단말(1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의 집적 회로화가 행해져도 된다.
그 밖에, 실시형태에 대해서 당업자가 생각해내는 각종 변형을 실시해서 얻어지는 형태나,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실현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 조작 단말
11: 조작부
12: 알림부
13: 통신부
14: 취득부
15: 변환부
16: 제 1 표시부
40: 부하
110: 전력선

Claims (9)

  1.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음(音),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와,
    통신부를 갖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상기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하는 조작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정보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갖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변환부가 변환한 정보를 상기 전송 방식에 의해 송신하는 조작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와 상이한 것으로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기초한 표시를 행하는 제 1 표시부를 더 갖는 조작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전력선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전력선을 통해서 전력 공급을 받는 것인 조작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은, 2선식의 전력선을 포함하는 조작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작 단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음의 정보를 출력하는 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조작 단말.
  8.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상기 부하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과, 음, 문자 및 화상 중 적어도 1 이상의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을, 동일한 전송 방식에 의해 행하는 통신 방법.
  9. 컴퓨터에 청구항 8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00015323A 2019-02-20 2020-02-10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02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8816A JP7220391B2 (ja) 2019-02-20 2019-02-20 操作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9-028816 2019-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846A true KR20200101846A (ko) 2020-08-28
KR102302842B1 KR102302842B1 (ko) 2021-09-15

Family

ID=7226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323A KR102302842B1 (ko) 2019-02-20 2020-02-10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20391B2 (ko)
KR (1) KR102302842B1 (ko)
TW (1) TWI750586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068A (ja) 1994-07-29 1996-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524392B1 (ko) * 2003-12-15 2005-11-0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제어기능을 갖는 룸콘트롤 시스템
JP3845946B2 (ja) * 1997-04-24 2006-11-15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制御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0092821A (ja) * 2008-10-10 2010-04-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照明灯管理システム
KR101743064B1 (ko) * 2016-07-27 2017-06-02 김근식 엘이디 조명의 디밍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4425A (ja)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情報信号伝送装置、および配線システム
TWI427969B (zh) * 2010-08-20 2014-02-21 Wu Sheng Huang 隨插即用之無線乙太延伸基地台與其自動設定方法
TWI444082B (zh) * 2011-04-19 2014-07-01 Wistron Neweb Corp 無線接取器
JP5879520B2 (ja) * 2011-11-07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伝送ユニット
JP6069864B2 (ja) 2012-03-26 2017-02-0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監視端末器及びこの監視端末器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TW201513591A (zh) * 2013-09-23 2015-04-01 yi-tao Zhang 電力線通訊電器系統及其電力線通訊電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068A (ja) 1994-07-29 1996-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3845946B2 (ja) * 1997-04-24 2006-11-15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制御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524392B1 (ko) * 2003-12-15 2005-11-0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제어기능을 갖는 룸콘트롤 시스템
JP2010092821A (ja) * 2008-10-10 2010-04-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照明灯管理システム
KR101743064B1 (ko) * 2016-07-27 2017-06-02 김근식 엘이디 조명의 디밍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0586B (zh) 2021-12-21
JP2020136929A (ja) 2020-08-31
TW202101953A (zh) 2021-01-01
KR102302842B1 (ko) 2021-09-15
JP7220391B2 (ja)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5507B (zh) 一种中央控制器综合扩展系统
EP3107355A1 (en) Wired and wireless control system and data bridge method thereof
KR20200101846A (ko) 조작 단말,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7017027A (ja) ワイヤレス感知装置及びワイヤレス感知装置を含む照明装置
KR100764171B1 (ko) 조명기기용 확장모듈을 이용한 조명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209962605U (zh) Led显示屏及显示系统
JP2023162262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負荷制御システム、情報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458104A (zh) 车辆视频传输系统
KR10167713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686320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6492732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414864B1 (ko) 무선랜 기반의 디지털 멀티플렉서 제어시스템
KR20190133102A (ko) 조명 제어용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110098481A (ko) 음성인식 센서가 부착된 간판장치
KR101637318B1 (ko) 유무선 겸용 콘솔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통합 인터페이스
JP7407392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46731B1 (ko) 무선중계기가 구성된 화재감지시스템
CN109597335B (zh) 智能控制系统以及智能控制器
US20170324993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JP202209265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EP3264692A1 (en) Communication monitor system, gateway device, and communication monitor device
KR20190026223A (ko) 스마트 조명 장치
KR20140076286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재난 및 비상상황 방송시스템
JP202107251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制御システム
JP2022164424A (ja) 通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