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957A -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957A
KR20200100957A KR1020190018974A KR20190018974A KR20200100957A KR 20200100957 A KR20200100957 A KR 20200100957A KR 1020190018974 A KR1020190018974 A KR 1020190018974A KR 20190018974 A KR20190018974 A KR 20190018974A KR 20200100957 A KR20200100957 A KR 2020010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time
mobile device
day
instru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252B1 (ko
Inventor
유명규
Original Assignee
유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규 filed Critical 유명규
Priority to KR102019001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52B1/ko
Priority to US17/432,074 priority patent/US20220279145A1/en
Priority to PCT/KR2020/001851 priority patent/WO2020171455A1/ko
Publication of KR2020010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957A/ko
Priority to KR1020200182875A priority patent/KR102269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8Modifications to installed utility meters to enable remote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6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non-fixed location, i.e. mobile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 G01D4/08Transfer of indication from a counter into a summing coun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검침기가 개시된다. 상기 검침지는 유체의 사용량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 카메라, 메모리 장치,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하는 날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고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READ METER, READ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유체 사용량 검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 온수, 가스, 또는 열량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또는 열량 등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적산 계량기의 적산량을 검침하기 위해 검침원이 미리 정해진 날짜에 상기 적산량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상기 적산량으로부터 직전 달의 적산량을 차감한 사용량에 대한 요율표율을 적용하여 비용이 계산되고, 상기 비용을 포함하는 청구서는 소비자에게 발행된다
수작업에 의한 검침 과정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검침의 오류와 검침 거부 등으로 인해 검침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모든 검침원들이 전국적으로 설치된 모든 계량기들을 동일한 날짜의 동일한 시각에 검침 검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각 검침원은 자신이 관할하는 지역에 설치된 계량기들을 여러날에 걸쳐 검침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정확한 유수율에 대한 통계를 내는 것이 어렵다.
유수율은 요금으로 징수되는 수량(유수 수량)을 정수장에서 생산하여 공급된 총송수량(총 급수량)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고, 상기 유수율이 높을수록 땅 속으로 새는 물(누수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86862 (2014.04.21.공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37428 (2008.06.16.공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47942 (2007.08.08.공고)
수도 검침기와 같은 검침기가 땅속에 한번 묻히면 다시 꺼내기도 어렵고, 상기 검침기가 땅속에 묻혀 있으면 습기와 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상기 검침기로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검침기에 포함된 전자 장치들은 상기 검침기에 포함된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그 안에 포함된 제습 구조를 이용하여 습기와 결로를 제거하고, 인터럽트들을 발생하는 실시간 시계(real-time clock(RTC))들을 이용하여 그 안에 포함된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검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전국적으로 매월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각에 수도의 사용량을 검침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전국적인 유수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도록 안출된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검침기는 유체의 사용량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와, 카메라와, 메모리 장치와,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하는 날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고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검침기는 숫자들로 표시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와, 카메라와, 메모리 장치와, 스스로 날짜와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날짜와 시간에 기초하여 매월 정해진 시각에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계산된 날짜와 시간에 기초하여 매일 정해진 시각에 당일이 미리 정해진 검침 날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날짜일 때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량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와, 카메라, 메모리 장치,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검침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로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가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회로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당일이 검침 날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날짜일 때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에 대한 검침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모바일 장치로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 장치에 검침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제1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사용량을 숫자들로 나타내는 계량기의 지침들을 촬영하여 지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침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후 상기 제1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제2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인터럽트에 기초하여 당일이 검침 일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 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일자가 아니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제1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제2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일자이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읽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된 후부터 제2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제2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침기는 그 안에 포함된 제습 구조를 이용하여 습기와 결로를 해결하고, 인터럽트들을 발생하는 RTC(real-time clock)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매월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각에 유체(예컨대, 수도)의 사용량을 검침하고 검침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검침기와 상기 검침 방법을 이용하면 전국적인 유수율에 대한 통계를 정확하게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침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침기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검침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검침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의 (a)는 검침기와 모바일 장치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패킷의 정의를 나타내고, 도 4의 (c)는 요청 패킷의 실시 예이고, 도 4의 (d)는 응답 패킷의 실시 예이다.
도 5는 모바일 장치에 실행되는 검침 데이터를 처리하는 앱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a와 도 1b에서는 기계식 계량기의 일 예로서 수도 계량기가 도시되고 설명되나,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갖는 검침기(100)는 전기, 가스, 수도, 온수, 또는 열량 등의 사용량을 기계식(예컨대,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으로 표시하는 적산 계량기를 포함하는 검침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침기의 모식도이다. 110a는 모식도의 하부를 나타내고, 100b는 모식도의 상부를 나타낸다. 검침기(100)는 유체(예컨대, 기체 또는 액체)의 사용량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112)을 포함하는 계량기(110)를 포함한다. 검침기(100)는 땅속에 매설되므로 밀폐와 방수에 강해야 하고, 땅속에 매설되는 검침기(100)의 습기와 결로는 제거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기(100)는 밀폐와 방수, 및 습기와 결로를 제거하는 구조를 갖는다.
고무 밴드(115)은 챔버(130)의 아래 부분(131)이 계량기(110)의 윗 부분에 끼워질 때 방수와 밀폐를 위해 사용되고, 호스 밴드(120)는 고무 밴드(115)의 위 (on)에 끼워진 챔버(130)의 아래 부분(131)을 단단히 조이기 위해 사용된다.
제1접착 물질(예컨대, 제1폼 테이프; 125)는 개량기(110)의 윗 부분의 표면 (116)과 챔버(13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예컨대, 제2접착 물질(140))을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챔버(130)의 내부에는 구성들(140, 145, 및 155)이 삽입된다. 밀폐 물질(예컨대, 고무 오-링(O-ring); 135)은 챔버(130)의 윗 부분의 오목한 부분(133)에 삽입되어 챔버(130)와 커버(180)가 결합될 때 밀폐와 방수를 위해 사용된다.
제2접착 물질(예컨대, 제2폼 테이프; 140)는 제1접착 물질(예컨대, 제1폼 테이프; 125)과 실리콘 바탐(silicon bottom; 145)을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습 구조는 실리콘 바탐(145)과 실리콘 탑(silicon top; 155)을 포함하고, 실리콘 바탐(145)과 실리콘 탑(155) 사이에 형성된 저장 공간(150)에는 제습제(예컨대, 실리카 겔들)이 저장된다. 챔버(130)와 커버(180)가 결합된 후, 챔버(130)와 커버(180) 사이의 공간에는 습기와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저장 공간(150)에 삽입된 제습제는 상기 습기와 상기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실리콘 탑(155) 위에 배치되는 카메라 커버(160)는 카메라(167)와 카메라 PCB 어셈블리(165)를 포함한다. 카메라 PCB 어셈블리(165)에는 카메라(16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이 형성된다.
카메라 PCB 어셈블리(165)의 위에는 제어 회로(200)의 기능을 수행하는 PCB 어셈블리(175)가 배치되고, PCB 어셈블리(175)는 LED 가이드(17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LED(172)와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LED(172)는 카메라(167)가 촬영 동작을 수행할 때 카메라(167)의 조명을 위해 사용된다. PCB 어셈블리(175)의 위에는 커버(180)가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침기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검침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검침기(100)는 유체의 사용량을 숫자들(예컨대, 아라비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112)을 포함하는 계량기(예컨대, 기계식 계량기; 110), 카메라(167), 메모리 장치(300), 및 제어 회로 (200)를 포함한다. 카메라(167), 메모리 장치(300), 및 제어 회로(200)는 유체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자동 기록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67)는 도 1b의 카메라 PCB 어셈블리(165)에 부착되고, 지침들(112)을 촬영하여 지침들(112)에 대한 지침 이미지(IM)를 생성한다.
메모리 장치(300)는 제어 회로(200)의 제어에 따라 지침 이미지(IM)를 저장한다. 제어 회로(200)는 이번 달의 제1시각에 촬영된 지침들(112)에 대한 지침 이미지를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하기 이전에 지난 달의 상기 제1시각에 촬영된 지침들(112)에 대한 이전 지침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각은 월, 일, 및 시분초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300)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침들(112)에 대한 지침 이미지가 한달 동안 메모리 장치 (300)에 저장되는 실시 예가 설명되나, 모바일 장치(400)의 사용자의 설정(예컨대, 모바일 장치(400)에 설치된 앱(410)을 이용한 설정)에 따라 지침들(112)에 대한 지침 이미지는 두 달 또는 그 이상 동안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에 저장된 후 이번 달에 촬영된 지침 이미지가 저장되기 전에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400)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랩탑 컴퓨터,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회로(200)는 도 1b의 PCB 어셈블리(175)에 배치된 전자 소자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고, 매월 제1시각(예컨대, 매월 1일 오전 0시 정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INT1)에 응답하여 카메라(167)로 하여금 계량기(110)의 지침들(112)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들(112)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지침 이미지(IM)를 수신하여 이(IM)를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하고, 매일 제2시각(예컨대, 매일 10시 정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INT2)에 응답하여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하는 날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고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연결 신호(CS)가 검출되면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된 지침 이미지(IM)와 검침기 정보 (INF)를 읽어와서 이들(IM 및 INF)을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침 기간은 하루 또는 2일 이상을 의미할 수 있고, 검침일이 매월 10일이라면, 상기 검침 기간은 매월 9일부터 11일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400)의 사용자는 앱(410)을 이용하여 검침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검침 날짜는 상기 검침 날짜 당일 뿐만 아니라 검침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검침기 정보(INF)는 수용가(또는 소비자)의 이름, 주소, 검침기 설치일, 검침기 고유 번호(예컨대, 검침기 기기 번호), 수용가 번호, 및/또는 배터리(250)에 대한 상태 정보(예컨대, 배터리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침 이미지(IM)를 촬영한 날짜는 지침 이미지(IM)에 포함되거나 검침기 정보(INF)에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무선 검침기 정보(RF_INF)에 해당하는 검침기 정보(INF)는 제어 회로(200)에 의해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되고, 메모리 장치 (300)에 저장된 검침기 정보(INF)에 해당하는 무선 검침기 정보(RF_INF)는 제어 회로(200)에 의해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무선 검침기 정보(RF_INF)와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되는 무선 검침기 정보(RF_INF)가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들에 따라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무선 검침기 정보 (RF_INF)와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되는 무선 검침기 정보(RF_INF)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400)를 소지한 검침원(조사원)이 검침기(100) 주변에 접근하면, 제어 회로(200)의 무선 송수신기(240)는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출력된 무선 연결 신호(RF_CS)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예컨대, 연결 신호(CS))에 따라 지침 이미지(IM)와 검침기 정보(INF)를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읽어들여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200)는 컨트롤러(210), 제1RTC(real time clock; 220), 제2RTC (230), 무선 송수신기(240), 배터리(250), 및 파워 생성기들(260)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 회로(200)는 광원(17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광원(172)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광원(172)은 LED 가이드(170)를 통해 제어 회로(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원(172)은 카메라(167)의 플래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회로(200)는 시계 기능을 수행하는 RTC들(220와 23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스스로 제1시각과 제2시각을 인식(또는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각 RTC(220와 230)의 시간(또는 시각)은 연결 신호(CS)에 포함된 시간(또는 시각)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땅속에 매설된 검침기(100)에 포함된 RTC들(220와 230)은 시간 경과에 따라 노후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시간 경과에 따라 각 RTC(220와 230)의 시간(또는 시각)이 부정확할 수 있다. 각 RTC(220와 230)의 시간은 모바일 장치(400)에서 사용되는 시간과 동기화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 회로(200)의 컴퓨터 프로그램(212)이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포함하는 경우, RTC들(220와 230)이 제어 회로(200)에 구현되지 않더라도 제어 회로(200)는 상기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스스로 제1시각과 제2시각을 인식(또는 계산)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검침기(10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카메라(167)의 촬영 동작, 제어 회로(200)의 제어 기능들, 및 메모리 장치(300)에 대한 읽기 동작과 쓰기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CU(main(micro) control unit)일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아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i) 제1인터럽트(INT1)에 기초하여 지침 이미지(IM)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생성 및 저장 모드(또는 동작),
(ⅱ) 연결 신호(CS)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400)를 인식하는 인식 모드(또는 동작), 및
(ⅲ) 제2인터럽트(INT2)에 기초하여 지침 이미지(IM)와 검침기 정보(IF)를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하는 전송 모드(또는 작동)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식 모드는 검침 기간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 회로(200)가 강제 인식 버튼(310)을 더 포함할 때, 검침원이 제1시간 내에 또는 검침 기간 내에 검침기(100)를 검침하지 못한 경우 상기 검침원이 검침기(100)가 내장된 검침기 함의 투껑을 열고 제어 회로(200)에 설치된 강제 인식 버튼(310)을 누르면, 제어 회로(200)는, 강제 인식 버튼(310)의 눌림에 따라 생성된 전송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400)를 인식하고, 모바일 장치(400)로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된 지침 이미지(IM)와 검침기 정보(IF)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을 실행하고,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인터럽트(INT1 또는 INT2)에 응답하여 슬립(sleep) 상태로부터 웨이크업(wakeup) 상태로의 전환, 카메라(167)의 촬영 동작의 제어, 광원(172)의 온/오프,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특정 시간(예컨대, 제1시간과 제2시간)의 경과 여부, 연결 신호(CS)의 검출 여부, 연결 신호(CS)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각 RTC(220과 230)의 시간 정보의 동기화, 지침 이미지(IM) 및/또는 검침기 정보(INF)를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하는 동작,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지침 이미지(IM) 및/또는 검침기 정보(INF)를 읽어오는 동작, 및/또는 이전 달에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삭제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RTC(220)가 매월 제1시각에 제1인터럽트(INT1)를 생성하고 이(INT1)를 컨트롤러(210)로 전송하면, 컨트롤러(210)의 상태는 제1인터럽트(INT1)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고, 컨트롤러(210)는 지침 이미지(IM)를 생성하도록 카메라(167)를 제어한다. 이때 컨트롤러(210)는 지침들(112)을 촬영하기 위해 광원(172)을 온(on)하고 지침들(112)이 촬영된 후 광원(172)을 오프(off)한다.
제1RTC(220)와 컨트롤러(210)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을 통해 신호(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컨트롤러(210)는 I2C 통신을 통해 제1시각을 제1RTC(220)에 설정하거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4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2RTC(230)가 매일 제2시각에 제2인터럽트(INT2)를 생성하고 이(INT2)를 컨트롤러(210)로 전송하면, 컨트롤러(210)의 상태는 제2인터럽트(INT2)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고, 오늘(웨이크업 된 날)이 검침일인지 또는 검침 기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늘이 검침일 또는 검침 기간에 속할 때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된 지침 이미지(IM)를 읽어와서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침 기간은 검침일을 포함하는 짧은 기간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검침일이 매월 10일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검침 기간은 매월 9일, 10일, 및 11일이 될 수 있으나 상기 검침 기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RTC(230)와 컨트롤러(210)는 I2C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컨트롤러(210)는 I2C 통신을 통해 제2시각을 제2RTC (230)에 설정하거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4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RTC(220)는 지침 이미지(IM)의 생성을 위해 필요하고, 제2RTC(230)는 지침 이미지(IM)의 전송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제1RTC(220)와 제2RTC(230)는 배터리(25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무선 송수신기(240)는 컨트롤러(210)와 모바일 장치(400)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를 인터페이싱 또는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수신기(240)는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연결 신호(RF_CS) 및/또는 무선 검침기 정보(RF_INT)에 상응하는 연결 신호(CS) 및/또는 검침기 정보(INT)를 생성하고 이를 컨트롤러(210)로 전송하거나, 컨트롤러(210)로부터 전송된 지침 이미지(IM) 및/또는 검침기 정보(INT)에 해당하는 무선 지침 이미지(RF_IM) 및/또는 무선 검침기 정보(RF_INT)를 생성하고 이를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수신기(2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장치(40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배터리(250)는 동작 전압을 파워 생성기들(260)로 공급하고, 파워 생성기들 (260)은, 상기 동작 전압을 이용하여, 각 구성(167, 172, 210, 220, 230, 240, 및 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검침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RTC들(220과 230)을 제외한 검침기(100)는 슬립 상태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S110).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매월 제1시각에 제1RTC(220)에 의해 발생한 제1인터럽트(INT1)에 응답하여 슬립(sleep)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 (wakeup) 상태로 전환되고(S115), 웨이크 업 상태의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카메라(167)로 하여금 지침들(112)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IM1)를 수신하여 이를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한다(S120).
지침 이미지(IM1)가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된 후, 배터리(25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진입한다(S125).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매일 제2시각에 제2RTC(230)에 의해 발생한 제2인터럽트(INT2)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된다(S130). 웨이크 업 상태의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하는지를 확인한다(S135).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지 않을 때(S135의 NO),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제1시간 내에 연결 신호(CS)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S140), 상기 제1시간 내에 연결 신호(CS)가 수신(또는 검출)되지 않으면(S140의 NO),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배터리 (25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진입한다 (S125).
그러나 상기 제1시간 내에 연결 신호(CS)가 수신(또는 검출)되면(S140의 YES),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지침 이미지(IM)와 검출기 정보(INF)를 읽어와서 이들(IM과 INF)을 무선 송수신기(240)로 전송하고 슬립 상태로 진입한다(S155). 비록, 도 3에서는 제1시간 내에 연결 신호(CS)가 수신된 후(S140의 YES), 단계(S160)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터리(25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계(S155)가 수행된 후 바로 슬립 상태로 진입될 수 있다(S155).
무선 송수신기(240)는 지침 이미지(IM)와 검출기 정보(INF)에 해당하는 무선 지침 이미지(RF_IM)와 무선 검출기 정보(RF_INF)를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한다.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할 때(S135의 YES),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상기 검침 기간 동안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연결 신호(CS)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S145).
상기 검침 기간 동안 연결 신호(CS)가 수신(또는 검출)되지 않으면(S150의 NO),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단계(S135)를 수행한다.
상기 검침 기간 동안 연결 신호(CS)가 수신(또는 검출)되면(S150의 YES),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지침 이미지 (IM)와 검출기 정보(INF)를 읽어와서 이들(IM과 INF)을 무선 송수신기(240)로 전송한다(S155). 따라서 무선 송수신기(240)는 지침 이미지(IM)와 검출기 정보(INF)에 해당하는 무선 지침 이미지(RF_IM)와 무선 검출기 정보(RF_INF)를 모바일 장치 (400)로 전송한다.
지침 이미지(IM)와 검출기 정보(INF)가 무선 송수신기(240) 또는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된 후, 컨트롤러(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상기 전송 후 제2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배터리(25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진입한다(S160).
검침기(100)를 검침하는 검침원이 검침 데이터(예컨대, 지침 이미지(IM) 및/또는 검출기 정보(INF))를 모바일 장치(400)의 결함이나 본인의 실수로 유실하더라도, 검침기(100)는 제2시간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검침원은 제2시간 내에 검침기(100)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예컨대, 지침 이미지(IM) 및/또는 검출기 정보(INF))를 다시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의 (a)는 검침기와 모바일 장치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패킷의 정의를 나타내고, 도 4의 (c)는 요청 패킷의 실시 예이고, 도 4의 (d)는 응답 패킷의 실시 예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400)가 요청 패킷을 무선으로 또는 BLE를 이용하여 검침기(100)로 전송하면, 검침기(100)는 상기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무선으로 또는 BLE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한다.
도 4의 (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패킷을 참조하면, 패킷(요청 패킷 또는 응답 패킷)은 명령(또는 코드) 필드, 길이 필드, 데이터 필드, 및 체크섬 필드를 포함한다.
도 4의 (c)와 도 4의 (d)를 참조하면, 응답 패킷은 요청 패킷의 명령 값을 포함한다. 예컨대, 요청 패킷은 컴퓨터 프로그램(212)의 펌웨어 버젼(FirmWare Version)의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요청하는 명령, 제1시각 또는 제2시각의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 제1시간 또는 제2시간의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 배터리 상태의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 기기 번호의 설정(또는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 수용가 번호의 설정(또는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 지침 이미지 촬영 시각의 설정(또는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 검침 기간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설정된 시간 정보(예컨대, 제1시각, 제2시각, 제1시간, 제2시간, 및/또는 검침 기간)의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21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명령과 제1데이터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명령과 상기 동작의 수행 결과에 해당하는 제2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모바일 장치(4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제1데이터는 길이 필드에 포함된 길이 데이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 및 체크섬에 포함된 체크섬을 포함하고, 상기 제2데이터는 길이 필드에 포함된 길이 데이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 체크섬에 포함된 체크섬, 및 상기 동작의 수행 결과에 해당하는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모바일 장치에 실행되는 검침 데이터를 처리하는 앱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플로우이다.
검침원의 모바일 장치(400)에 설치되고 검침기(100)에 검침기 정보(INF)를 설정하고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앱(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앱을 총칭한다.; 410)을 실행한다(S210). 앱(410)은 무선 연결 신호(RF_CS)를 검침기(100)로 전송한다(S215). 검침기(100)의 제어 회로(200)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검침 데이터(예컨대, 검침 이미지 (IM)와 검침기 정보(INF))에 해당하는 무선 검침 데이터(예컨대, 무선 검침 이미지(RF_IM)와 무선 검침기 정보(RF_INF))를 모바일 장치(400)의 앱(410)으로 전송한다(S220). 여기서 앱이 신호를 주고받는다 함은 상기 앱이 모바일 장치(400)에 포함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검침기(100)와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앱(410)은 검침 데이터(예컨대, 검침 이미지(IM)와 검침기 정보(INF))를 모바일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25). 검침 이미지(IM)는 로우(raw) 데이터이다.
검침원은 앱(410)에 검침 데이터를 수신한 검침 일자를 입력한다(S230). 상기 검침원은 디스플레이되는 검침 이미지(IM)에 포함된 지침들이 나타내는 숫자들을 사용량으로 앱(410)의 숫자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입력한다(S235). 앱(410)은 검침 파일을 생성하고 모바일 장치(400)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한다.
상기 검침 파일은 검침 일자, 수용가 번호, 기기 번호, 수용가의 이름, 상기 수용가의 주소, 사용량, 및 지침 이미지(IM)가 생성된 날짜, 및 지침 이미지(IM)를 포함한다. 앱(410)은 상기 검침 파일을 CSV(comma-separated values) 파일 형태로 모바일 장치(400)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검침 일자와 사용량은 앱(41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검침 파일에 입력될 수도 있고, 검침원이 스스로 입력할 수 있다.
하드웨어(예컨대, 200 또는 210)와 결합되어, 모바일 장치(400)로 검침 데이터(예컨대, 지침 이미지(IM)와 검침기 정보(INF))를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예컨대, 200 또는 210)로 읽을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기록 매체(예컨대, 210 또는 30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12)은 컨트롤러(210)에 의해 컨트롤러(210)로 로드(load)된 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10)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212)은 컨트롤러(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검침지
110: 계량기
112: 지침들
167: 카메라
172: LED
200: 제어 회로
210: 컨트롤러
212: 컴퓨터 프로그램
220: 제1RTC
230: 제2RTC
240: 무선 송수신기
250: 배터리
260: 파워 생성기들
300: 메모리 장치
400: 모바일 장치
410: 앱

Claims (19)

  1. 유체의 사용량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
    카메라;
    메모리 장치; 및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하는 날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고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검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제1RTC(real time clock);
    상기 제2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제2RTC;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RTC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 되고 상기 지침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후 상기 슬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RTC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다시 웨이크 업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는 날이 아닐 때 제1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후 제2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슬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짧은 검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시간 내에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슬립 상태로 전환되는 검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검침기.
  5. 제4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지침 이미지, 상기 지침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 정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 및 상기 검침기의 식별 번호를 저정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지침 이미지와 함께 상기 날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 및 상기 검침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검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이번 달에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기 이전에 이전 달에 촬영된 상기 지침들에 대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삭제하는 검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명령 코드와 제1데이터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명령 코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명령 코드와 상기 동작의 수행 결과에 해당하는 제2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검침기.
  8. 숫자들로 표시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
    카메라;
    메모리 장치; 및
    스스로 날짜와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날짜와 시간에 기초하여 매월 정해진 시각에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계산된 날짜와 시간에 기초하여 매일 정해진 시각에 당일이 미리 정해진 검침 기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할 때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검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RTC들(Real Time Clock)을 이용하여 스스로 상기 날짜와 상기 시간을 계산하는 검침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지 않고 제1시간 동안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검출기를 슬립 상태로 진입시키는 검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후 제2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검출기를 슬립 상태로 진입시키는 검침기.
  12. 사용량을 숫자들로 표시하는 지침들을 포함하는 계량기와, 카메라, 메모리 장치,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검침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로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가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상기 지침들을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당일이 검침 기간에 속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할 때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에 대한 검침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날짜가 아니더라도 상기 제어 회로가 웨이크업 된 후부터 제1시간 동안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시간 동안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 회로가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기간에 속하지 않더라도 상기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슬립 상태로 전환되는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후부터 제2시간이 경과되면 슬립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짧은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앱이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지침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숫자들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량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앱에 입력되면, 상기 앱이 상기 사용량과 상기 검침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침기 정보는 상기 지침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 정보, 및 상기 검침기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모바일 장치로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메모리 장치에 검침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매월 제1시각에 발생한 제1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제1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사용량을 숫자들로 나타내는 계량기의 지침들을 촬영하여 지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침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후 상기 제1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매일 제2시각에 발생한 제2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제2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인터럽트에 기초하여 당일이 검침 일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 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일자가 아니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제1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제2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일자이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읽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된 후부터 제2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제2웨이크 업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당일이 상기 검침 일자가 아닐지라도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지침 이미지와 상기 검침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읽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17항에 있어서,
    이번 달에 촬영된 상기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기 이전에 이전 달에 촬영된 상기 지침들의 지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삭제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18974A 2019-02-19 2019-02-19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9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74A KR102198252B1 (ko) 2019-02-19 2019-02-19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US17/432,074 US20220279145A1 (en) 2019-02-19 2020-02-10 METER reader, meter READING METHOD USING SAME, AND COMPUTER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METHOD
PCT/KR2020/001851 WO2020171455A1 (ko) 2019-02-19 2020-02-10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82875A KR102269254B1 (ko) 2019-02-19 2020-12-24 검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74A KR102198252B1 (ko) 2019-02-19 2019-02-19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875A Division KR102269254B1 (ko) 2019-02-19 2020-12-24 검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57A true KR20200100957A (ko) 2020-08-27
KR102198252B1 KR102198252B1 (ko) 2021-01-04

Family

ID=7214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74A KR102198252B1 (ko) 2019-02-19 2019-02-19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79145A1 (ko)
KR (1) KR102198252B1 (ko)
WO (1) WO2020171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74B1 (ko) 2021-03-04 2021-09-03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스마트 원격검침 rtu
KR102297670B1 (ko) 2021-03-04 2021-09-03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스마트 원격검침 rtu
CN113316032B (zh) * 2021-05-22 2022-12-30 深圳市创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水表转发的物联网发射方法、装置、发射机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80A (ko) * 2001-02-19 2001-05-07 최종관 계량기 원격검침장치
KR100747942B1 (ko) 2005-10-05 2007-08-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계량 이미지정보의 무선전송을 이용한 계량기의 원격검침장치
KR100837428B1 (ko) 2002-06-24 2008-06-16 (주) 엠아이알 계량기의 원격검침 장치,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원격검침 방법
KR20100027557A (ko) * 2008-09-02 2010-03-11 주식회사 이비 데이타가 저장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86862B1 (ko) 2013-07-10 2014-04-21 야베스텍 주식회사 500픽셀 이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기계식계량기 지침숫자의 디지털데이터 변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973B1 (en) * 1999-09-07 2005-12-2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elf-paying smart utility meter and payment service
KR100364078B1 (ko) * 1999-12-21 2002-12-12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적산 계량기의 무선 원격 검침시스템 및 무선 원격 검침방법
WO2011021294A1 (ja) * 2009-08-20 2011-02-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器
KR101057807B1 (ko) * 2010-02-25 2011-08-19 전자부품연구원 유량 측정 장치
KR101699386B1 (ko) * 2014-03-12 2017-01-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적산열량계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218428A1 (en) * 2016-06-17 2017-12-21 Water Pige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ter reading
KR20180007159A (ko) * 2016-07-12 2018-01-22 한국수자원공사 자가발전원 적용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유량 원격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80A (ko) * 2001-02-19 2001-05-07 최종관 계량기 원격검침장치
KR100837428B1 (ko) 2002-06-24 2008-06-16 (주) 엠아이알 계량기의 원격검침 장치,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원격검침 방법
KR100747942B1 (ko) 2005-10-05 2007-08-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계량 이미지정보의 무선전송을 이용한 계량기의 원격검침장치
KR20100027557A (ko) * 2008-09-02 2010-03-11 주식회사 이비 데이타가 저장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86862B1 (ko) 2013-07-10 2014-04-21 야베스텍 주식회사 500픽셀 이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기계식계량기 지침숫자의 디지털데이터 변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79145A1 (en) 2022-09-01
KR102198252B1 (ko) 2021-01-04
WO2020171455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252B1 (ko)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US6895347B2 (en) Computerized methods for data loggers
EP350283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
US201603498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ing method thereof
CN104813307A (zh)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方法和程序
CN103791915A (zh) 一种支持蓝牙连接的计步器装置
CN103092062A (zh) 用于实时时钟芯片的精度调节方法及系统
CN105790783A (zh) 用于景区的群体运动手环系统
KR100513934B1 (ko) 무선 검침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269254B1 (ko) 검침기
US106213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linking exercise schedule thereof
KR102297670B1 (ko) 스마트 원격검침 rtu
CN102841670A (zh) 程序处理装置
US8555045B2 (en) Electronic meter for concurrently updating firmware and collecting meter usage with a micro controller calculates the usage when a reset time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storing time
CN103985233A (zh) 一种无线智能数字仪表采集远传装置
JP2002078211A (ja) バッテリー駆動型の電子機器
KR102299569B1 (ko) 시계의 전기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0313624Y1 (ko) 무선 검침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장치
KR102297674B1 (ko) 스마트 원격검침 rtu
CN206805585U (zh) 定向越野测评系统
KR102638376B1 (ko) 카메라를 구비한 가스데이터 수집기 및 가스소비량 계측시스템
CN110108352B (zh) 振动巡检仪及其低功耗测量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49718B1 (ko) 블록 시스템용 수도 미터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관리 시스템
CN206210087U (zh) 一种用于普通表计的快速抄收系统
CN208270106U (zh) 一种温度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