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670B1 - 스마트 원격검침 rtu - Google Patents

스마트 원격검침 rt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670B1
KR102297670B1 KR1020210028515A KR20210028515A KR102297670B1 KR 102297670 B1 KR102297670 B1 KR 102297670B1 KR 1020210028515 A KR1020210028515 A KR 1020210028515A KR 20210028515 A KR20210028515 A KR 20210028515A KR 102297670 B1 KR102297670 B1 KR 10229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meter reading
image
day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8Modifications to installed utility meters to enable remote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검침원의 검침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격 검침이 가능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는, 카메라, 메모리, 송수신부, RTC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계량기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RTC부는 제1 RTC 및 제2 RT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TC는 매일 제1 시각 및 제2 시각을 상기 제어부에 통지한다. 상기 제2 RTC는 매일 제3 시각을 상기 제어부에 통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RTC부로부터 통지된 상기 제1 시각 및 제2 시각에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원격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인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서,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하고,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3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고, 검침원 단말기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원격검침 RTU{SMART REMOTE METER-READING RTU}
본 발명은 스마트 원격검침 RTU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계량기 원격 검침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또는 열량 등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적산 계량기의 적산량을 검침하기 위해 검침원이 미리 정해진 날짜에 상기 적산량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상기 적산량으로부터 직전 달의 적산량을 차감한 사용량에 대한 요율표율을 적용하여 비용이 계산되고, 상기 비용을 포함하는 청구서는 소비자에게 발행된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검침 과정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검침의 오류와 검침 거부 등으로 인해 검침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검침원들이 전국적으로 설치된 모든 계량기들을 동일한 날짜의 동일한 시각에 검침 검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각 검침원은 자신이 관할하는 지역에 설치된 계량기들을 여러 날에 걸쳐 검침하기 때문에 정확한 유수율에 대한 통계를 내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 소유의 등록특허 KR 10-2198252호는 원격으로 검침을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수용가의 이사의 경우 사용량 정산문제, 사용량을 통한 독거 노인 등의 고령자 관리 문제 등 여러 면에서, 검침원에 대한 수요는 여전하고, 검침원의 검침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격 검침이 가능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2198252호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침원의 검침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격 검침이 가능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검침원의 검침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격 검침이 가능한 계량기 원격 검침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는, 카메라, 메모리, 송수신부, RTC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계량기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RTC부는 제1 RTC 및 제2 RT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TC는 매일 제1 시각 및 제2 시각을 상기 제어부에 통지한다. 상기 제2 RTC는 매일 제3 시각을 상기 제어부에 통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RTC부로부터 통지된 상기 제1 시각 및 제2 시각에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원격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인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서,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하고,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3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고, 검침원 단말기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는, 음원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음원측정장치를 통한 누수판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계량기 이미지를 송신할 때, 누수판정 데이터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조명부를 턴온한 상태에서 계량기 이미지들 촬영을 진행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된 상기 제어부는, 검침모드가 아닌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2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 상기 카메라를 재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활영하고, 제3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정기 검침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하고, 정기 검침기간이 아닌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4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내에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상기 일정 시간내에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은 위에서 언급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정보 수집기, 검침원 단말기 및 서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기는 상기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검침원 단말기는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상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서버부는 통신 서버, 광학문자인식(OCR) 서버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상기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광학문자인식 서버는,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시된 계량기 이미지들로부터 계량기의 사용량을 읽어낼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 서버 및 상기 광학문자인식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은 정보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중계기는 상기 정보 수집기의 수집영역 외부의 음영 지역 내의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상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수집기로 송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침원 단말기는, 인근영역의 도보검침 수용가들을 최단 이동거리가 되도록 배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원격검침 모드와 도보검침 모드를 수행한다. 원격검침 모드에서는, 매일 제1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검침 모드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검침 모드인 경우,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검침일인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매일 제2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당일이 검침기간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검침기간인 경우, 연결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슬립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보검침 모드에서는, 매일 제3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연결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내에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정기 검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기 점침인 경우, 계량기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단계로 진입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원격검침 모드에서, 검침 모드인지 체크결과 검침 모드가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2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유수율 모드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체크결과 유수율 모드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후,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3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당일이 검침일인지 확인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검침일인경우,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원격검침 모드에서, 체크결과 유수율 모드가 아닌 경우, 당일이 검침일인지 확인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검침일인경우,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한 후, 당일이 검침기간인지 체크한 결과 검침기간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동안 연결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도보검침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전송한 후, 일정 시간동안 재연결 요청이 있는지 체크하고, 재연결 요청이 없는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재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다시 정기검침 확인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에서는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연결가능 알림신호가 수신된 도보검침 수용가들을, 최단 이동거리가 되도록 검침원 단말기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정기검침이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4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고,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에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제1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한 이후, 누수판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위에서 언급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계량기 원격 검침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하면, 검침원의 검침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격 검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가 수도 계량기에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검침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계량기 원격 검침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도보 검침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에서의 원격 검침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에서의 도보 검침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도보 검침을 위한 검침원의 단말기 화면의 예시적 구성이다.
도 10은 도 8에서의 도보 검침을 위한 수용가 및 검침 순서를 도시한 화면의 예시적 구성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가 수도 계량기에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는, 카메라(11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는 조명부(120) 및 음원측정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는 배터리(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110)는 계량기(예컨대 수도 계량기, G)상부에 배치되어, 계량기(G)의 눈금 또는 숫자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계량기(G)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계량기일 수도 있고, 디지털 방식의 계량기일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CCD 또는 CMOS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카메라(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는, 계량기(G)가 배치된 공간이 어두운 경우, 이미지를 선명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계량기(G)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30)의 제어부(131)는 조명부(120)를 턴온한 상태에서 계량기 이미지들 촬영을 진행하도록 상기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원측정장치(140)는 누수판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계량기(G)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계량기(G)와 연결된 파이프 또는 계량기(G)에 균열이 있어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진동에 의해서 음향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음향이, 상기 음원측정장치(140)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누수판정 데이터)로 변환된 후, 상기 구동부(130)의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31)는 추후 기술될, 제1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음원측정장치(140)를 통한 누수판정 데이터를 구동부(130)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상기 계량기 이미지를 송신할 때, 누수판정 데이터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메모리(132), 송수신부(134), RTC부(150) 및 제어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32)는 계량기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메모리(132)는 제1 섹션(M1), 제2 섹션(M), 제3 섹션(M3) 및 제4 섹션(M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제5 섹션(M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2)의 제1 섹션(M1) 내지 제4 섹션(M4)에 저장되는 계량기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송수신부(134)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송수신부(134)는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이후 설명될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이후 설명될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34)를 통해서, 수용가 이후 설명될 모드들에 대한 변경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1)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RTC부(150)는 제1 RTC(151) 및 제2 RTC(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RTC(151)는 원격검침 모드의 구동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RTC(152)는 도보검침 모드 구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RTC(151)는 매일 제1 시각 및 제2 시각을 상기 제어부(131)에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RTC(152)는 매일 제3 시각을 상기 제어부(132)에 통지한다.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RTC부(150)로부터 통지된 상기 제1 시각 및 제2 시각에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원격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인 경우, 카메라(110)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132)에 저장한 후,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132)의 제1 섹션(M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상기 송수신부(134)를 통해서,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132)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섹션들(M1~M3)에 각각 저장된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들이다. 상기 제2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들은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제3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고, 검침원 단말기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132)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섹션들(M1~M3)에 각각 저장된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들이다.
한편,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된 상기 제어부(131)는, 당일이 검침일이 아닌 경우, 카메라(110)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2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132)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132)의 상기 제2 섹션(M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는 급수하는 물의 사용률을 나타내는 유수율 모드 또는 독거 노인등의 복지 모드를 위한 이미지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31)는, 제2 계량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예컨대, 4시간), 상기 카메라(110)를 재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활영하고, 제3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132)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시각이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지 않은 시간이고, 제2 계량기 이미지와 제3 계량기 이미지가 변경된 경우, 누수가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31)는, 정기 검침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하고, 정기 검침기간이 아닌 경우, 카메라(110)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4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132)의 제4 섹션(M4)에 저장한 후,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내에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상기 일정 시간내에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1)는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검침방법의 일부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검침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검침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계량기 원격 검침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원격검침 모드와, 도보검침 모드를 동시에 수행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원격검침 모드인 경우, 슬립상태에 있다가(S101), 매일 제1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S102).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RTC(151)가 제1 시각을 상기 제1 제어부(131)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가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시 구동되는 경우에 비해 배터리(160)의 소모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시각은, 임의대로 설정될 수 있으나, 예컨대, 수용가에서 수도의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 즉, 심야에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음원측정장치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바뀐 누수판정 데이터는 메모리(132)의 제5 섹션(M5)에 저장한다(단계 S102).
이후, 검침 모드인지 체크하고(S120), 검침 모드인 경우,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한다(단계 S104). 여기서 검침 모드는 일반적인 수용가로서, 검침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들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체크결과 당일이 검침일인 경우, 카메라(110)는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132)의 제1 섹션(M1)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전원소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S106).
또한, 당일이 검침일이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의 촬영없이 곧바로 슬립 상태로 진입한다.
이후, 매일 제2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S107).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RTC(151)가 제2 시각을 상기 제1 제어부(131)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가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당일이 검침기간인지 체크하고(단계 S108), 검침기간인 경우, 외부로터 연결신호 수신을 대기한 후(단계 S109), 외부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110),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한다(단계 S111). 이때,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은 메모리(132)의 제1 섹션(M1)의 제1 계량기 이미지이다. 또한, 이때, 메모리(132)의 제5 섹션(M5)의 누수판정 데이터를 함께 송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계량기 이미지와 누수판정 데이터를 송부하고 난 이후에는, 슬립상태로 진입한다(단계 S112). 이때, 제1 계량기 이미지와 누수판정 데이터를 송부한 직 후, 슬립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으나, 일정시간(예컨대, 2시간) 경과이후, 슬립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계량기 이미지와 누수판정 데이터를 송부한 결과, 외부에서 수신이 불량한 경우, 외부에서는 다시 연결신호를 송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다시 제1 계량기 이미지와 누수판정 데이터를 송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은,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한 후(단계 S107), 당일이 검침기간인지 체크한 결과(단계 S108) 검침기간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동안 연결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113),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단계 S114),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11). 따라서, 수용가의 이사와 같은 비정기적인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5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검침모드를 판정하고, 검침모드가 아닌 경우에 대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검침 모드인지 체크결과(단계 S104), 검침 모드가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2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한다(단계 S121). 이때,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132)의 제2 섹션(M2)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유수율 모드인지 체크한다(단계 S122). 유수율은 요금으로 징수되는 수량(유수 수량)을 정수장에서 생산하여 공급된 총송수량(총 급수량)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고, 상기 유수율이 높을수록 땅 속으로 새는 물(누수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크결과 유수율 모드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예컨대, 4시간, 단계 S123),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3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한다(단계 S124). 이때, 상기 제3 계량기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132)의 제3 섹션(M3)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및 제3 계량기 이미지의 차이를 통해서 누수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유수율을 관리와 사용자 민원을 대응하는 자료로 활용이 다능하다.
이후, 당일이 검침일인지 확인하고(단계 S125), 검침일이 아닌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단계 S106), 검침일인경우,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로 대체한다(단계 S126).
유수율 모드 체크 결과(단계 S122), 유수율 모드가 아닌 경우(즉, 독거노인 등을 케어하기 위한 복지모드인 경우), 인식당일이 검침일인지 확인하고(단계 S125), 검침일이 아닌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단계 S106), 검침일인경우,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로 대체한다(단계 S126).
한편, 이 실시의 계량기 이미지들을 전송할 때에는,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들을 전송한다(단계 S11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도보 검침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슬립상태에 있다가(단계 S201), 매일 제3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S202). 보다 상세히, 상기 제2 RTC(152)가 제2 시각을 상기 제1 제어부(131)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가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제3 시각은 앞서 제1 시각이 심야인 것에 반해서, 제3 시각은 업무시간, 즉, 검침원이 일하는 시간내, 예컨대 오전시간일 수 있다.
이후,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여(단계 S202),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가, 외부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외부기기 예컨대, 검침원 단말기에 통지한다. 예컨대, 연결가능 알림신호는 일정 주기별로 반복 전송하면서, 연결신호 수신을 대기한다(단계 S204).
이후, 외부기기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205), 일정 시간내에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단계 S209),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정기 검침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6).
확인결과, 정기 점침인 경우, 계량기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단계로 진입한다. 이때, 메모리(132)의 제1 내지 제3 섹션(M1, M2, M3)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은 제1 내지 3 계량기 이미지들일 수 있으며, 제5 섹션(M5)에 저장된 누수판정 데이터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확인결과, 정기검침이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4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한다(단계 S210). 이때,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는 메모리(132)의 제4 섹션(M4)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가가 이사하는 경우, 검침원이 직접방문하여, 이사하는 시점에 정확히 계량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를 검침원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S211). 계량기 이미지들의 전송시에, 메모리(132)의 제5 섹션(M5)에 저장된 누수판정 데이터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에서의 원격 검침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에서의 도보 검침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은 위에서 언급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 정보 수집기(200), 검침원 단말기(500) 및 서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은 정보 중계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기(200)는 상기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원격 검침장치(100)로부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정보 중계기(300)는 상기 정보 수집기(200)의 수집영역 외부의 음영 지역 내의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100)로부터 상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수집기(200)로 송부할 수 있다.
상기 검침원 단말기(500)는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상기 원격 검침장치(100)로부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서버부(400)는 통신 서버(420),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istic Recognition) 서버(430) 및 관리 서버(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서버(420)는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상기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광학문자인식 서버(430)는,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시된 계량기 이미지들로부터 계량기의 사용량을 읽어낼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410)는 상기 통신 서버 및 상기 광학문자인식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의 도보 검침을 위한 검침원의 단말기 화면의 예시적 구성이고, 도 10은 도 8에서의 도보 검침을 위한 수용가 및 검침 순서를 도시한 화면의 예시적 구성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항목들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검침원 단말기(500)에서는 순번, 수용가 주소, 연결신호전송 및 검침이미지 수신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검침원 단말기(500)가 계량기 원격 검침 장치에서 발신한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수신한 수용가들 중에서, 검침원이 각 수용가들을 방문하는 경우, 최단 거리가 되도록 순번이 정해지고, 각 순번대로 수용가들을 방문하면서, 검침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수용가를 방문하고, 검침원 단말기(500) 화면의 탭을 터치하면, 연결신호가 1번 수용가의 계량기 원격 검침 장치에 발송되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계량기 이미지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검침이미지 수신여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계량기 원격 검침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하면, 검침원의 검침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격 검침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110: 카메라 120: 조명부
130: 구동부 131: 제어부
132: 메모리 M1: 제1 섹션
M2: 제2 섹션 M3: 제3 섹션
M4: 제4 섹션 M5: 제5 섹션
140: 음원측정장치 134: 송수신부
150: RTC부 151: 제1 RTC
152: 제2 RTC 200: 정보 수집기
300: 정보 중계기 400: 서버부
410: 관리서버 420: 통신서버
430: OCR 서버
G: 계량기

Claims (19)

  1.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계량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매일 제1 시각 및 제2 시각을 통지하는 제1 RTC, 및 제3 시각을 통지하는 제2 RTC를 포함하는 RTC부; 및
    상기 RTC부로부터 상기 제1 시각 및 제2 시각의 통지에 따라 구동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격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인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서,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하고,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3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고, 검침원 단말기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계량기 이미지들을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된 상기 제어부는, 검침모드가 아닌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2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 상기 카메라를 재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활영하고, 제3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음원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에 웨이크업되어, 음원측정장치를 통한 누수판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계량기 이미지를 송신할 때, 누수판정 데이터를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조명부를 턴온한 상태에서 계량기 이미지들 촬영을 진행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도보검침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정기 검침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하고,
    정기 검침기간이 아닌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4 계량기 이미지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검침원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wake-up)되어,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내에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상기 일정 시간내에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8. 제1 내지 제3항, 제6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
    상기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기;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상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검침원 단말기; 및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상기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서버,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시된 계량기 이미지들로부터 계량기의 사용량을 읽어내는 광학문자인식(OCR) 서버, 및 상기 통신 서버 및 상기 광학문자인식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부;
    를 포함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기의 수집영역 외부의 음영 지역 내의 계량기 원격 검침장치로부터 상기 상기 계량기 이미지들 및 누수판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수집기로 송부하는 정보 중계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원 단말기는, 인근영역의 도보검침 수용가들을 최단 이동거리가 되도록 배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
  11. 원격검침 모드와 도보검침 모드들 수행하며,
    원격검침 모드에서는,
    매일 제1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검침 모드인지 체크하는 단계;
    검침 모드인 경우, 당일이 검침일인지 체크하는 단계;
    검침일인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단계;
    슬립(sleep)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매일 제2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당일이 검침기간인지 체크하는 단계;
    검침기간인 경우, 연결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계량기 이미지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슬립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로 진행하고,
    도보검침 모드에서는,
    매일 제3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연결가능 알림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단계;
    연결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일정 시간내에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정기 검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정기 점침인 경우, 계량기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단계;
    로 진입하고,
    원격검침 모드에서, 검침 모드인지 체크결과 검침 모드가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2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단계;
    유수율 모드인지 체크하는 단계;
    체크결과 유수율 모드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후,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3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당일이 검침일인지 확인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검침일인경우,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원격검침 모드에서, 체크결과 유수율 모드가 아닌 경우, 당일이 검침일인지 확인하고, 검침일이 아닌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검침일인경우, 상기 제2 계량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제2 시각에 웨이크업한 후, 당일이 검침기간인지 체크한 결과 검침기간이 아닌 경우, 일정 시간동안 연결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연결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원격검침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기 이미지를 전송한 후, 일정 시간동안 재연결 요청이 있는지 체크하고, 재연결 요청이 없는 경우, 슬립상태로 진입하고, 재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다시 정기검침 확인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연결가능 알림신호가 수신된 도보검침 수용가들을, 최단 이동거리가 되도록 검침원 단말기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보검침 모드에서, 정기검침이 아닌 경우, 계량기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4 계량기 이미지로서 저장하고, 상기 제1 계량기 이미지 및 상기 제4 계량기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제1 시각에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한 이후, 누수판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원격 검침 방법.
  19. 제11, 제13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10028515A 2021-03-04 2021-03-04 스마트 원격검침 rtu KR10229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15A KR102297670B1 (ko) 2021-03-04 2021-03-04 스마트 원격검침 rt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15A KR102297670B1 (ko) 2021-03-04 2021-03-04 스마트 원격검침 rt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670B1 true KR102297670B1 (ko) 2021-09-03

Family

ID=7778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15A KR102297670B1 (ko) 2021-03-04 2021-03-04 스마트 원격검침 rt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062A (ko) 2022-10-24 2024-05-02 에이닷 주식회사 챗봇을 활용한 전력 사용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247A (ko) * 2001-09-13 2003-03-19 전기영 계량기 검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200139085A (ko) * 2019-06-03 2020-12-11 (주)에이치에스씨엠티 전력 효율이 우수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198252B1 (ko) 2019-02-19 2021-01-04 유명규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247A (ko) * 2001-09-13 2003-03-19 전기영 계량기 검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198252B1 (ko) 2019-02-19 2021-01-04 유명규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9085A (ko) * 2019-06-03 2020-12-11 (주)에이치에스씨엠티 전력 효율이 우수한 원격검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062A (ko) 2022-10-24 2024-05-02 에이닷 주식회사 챗봇을 활용한 전력 사용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027B2 (en) Remote meter reader using a network sensor system and protocol
US20070008171A1 (en) Wireless meter-read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1099762B1 (ko)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06741A1 (en) Util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personalized real-time utility consumption information to a consumer
US20060103549A1 (en) User-installabl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US20070171092A1 (en) Automated meter reading system
US20050154598A1 (en) Security service management system, security service management terminal, security service management method, security service 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JP6620084B2 (ja) 自動点検システムおよび自動点検方法
JP608935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中継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97670B1 (ko) 스마트 원격검침 rtu
KR100970419B1 (ko) 계량기 자동 검침 시스템
KR2015004385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상수도 검침 관리 방법
KR101022763B1 (ko) 데이타가 저장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98252B1 (ko) 검침기,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97674B1 (ko) 스마트 원격검침 rtu
KR102010971B1 (ko) 정수기 제어방법
KR101003918B1 (ko) 펄스 출력 계량기와 rf, cdma 통신을 이용한 자동원격 검침시스템
JP4394030B2 (ja) 電力量計、電気給湯機および電気給湯機システム
KR200388471Y1 (ko) 저전력 다중감지 무선 원격검침장치
KR20210004409A (ko) 자율형 통합 원격검침 및 요금고지 시스템
KR20050012572A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무선 모뎀의 전력 소모를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390060B1 (ko) 상수도 계량기 무인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50036080A (ko)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RU2620041C1 (ru) Ана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потребления воды абонентами
KR101126822B1 (ko) 에너지 사용량 표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