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802A - 용접 트랜스 - Google Patents

용접 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802A
KR20200100802A KR1020207021346A KR20207021346A KR20200100802A KR 20200100802 A KR20200100802 A KR 20200100802A KR 1020207021346 A KR1020207021346 A KR 1020207021346A KR 20207021346 A KR20207021346 A KR 20207021346A KR 20200100802 A KR20200100802 A KR 2020010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nding
connection
strip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코 우치다
마코토 구다라
다마미 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볼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볼터
Publication of KR2020010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085Welding trans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01F27/2852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0Single-phase trans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용접 트랜스(10)는, 코어(12)와, 코어(12)에 각각 교대로 권회된 1차 권선(18) 및 2차 권선(20)을 갖는다. 1차 권선(18)은, 폭방향이 코어(12)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 Dy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띠형상 도체(40a)를 갖는다. 2차 권선(20)은, 폭방향이 코어(12)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 Dy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띠형상 도체(40b)를 가지며,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띠형상 도체(40b)가 각각 교대로, 자속의 방향 Dy와 직교하는 방향 Dx로 적층되어 있다.

Description

용접 트랜스
본 발명은, 예컨대 저항 용접 등에 이용되는 용접 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5220931호 공보에 기재된 용접 트랜스는, 고속이며 정밀한 대전류의 용접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소비 전력도 절감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제5220931호 공보에 기재된 용접 트랜스는, 고리형 자심과, 분할 권취된 1차 코일과, 1차 코일의 각 간극에 교대로 1개씩 끼워진 복수의 정측 코일과 복수의 부측 코일을 구비한다. 코일은, 접속 기판의 한쪽 면에 고정된다. 접속 기판의 다른쪽 면 위에서, 정측 코일은 제1 연결 극판을 통해 정측 도체에 전기 접속된다. 부측 코일은 제2 연결 극판을 통해 부측 도체에 전기 접속된다. 정측 코일과 부측 코일의 접속부는 제3 연결 극판에 전기 접속된다. 얇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 정측 도체와 정류 소자와 제1 극판을, 다른쪽에 부측 도체와 정류 소자와 제2 극판을 배치하고,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제3 극판으로 전기 접속한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5220931호 공보에 기재된 용접 트랜스는, 정측 코일만이 권회된 제1 유닛과, 1차 코일만이 권회된 제2 유닛과, 부측 코일만이 권회된 제3 유닛을, 이 순서로 겹쳐 하나의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구조체를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구조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극판(제1 연결 극판, 제2 연결 극판 및 제3 연결 극판)이 필요해져,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고주파 대전류에서 고효율의 전력 변환이 가능한 용접 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일양태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각각 교대로 권회된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1차 권선은, 폭방향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2차 권선은, 폭방향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제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2 띠형상 도체가 각각 교대로, 상기 자속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용접 트랜스의 성능은,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결합을 높이는 것과, 고주파 손실의 저감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은 모두 권선의 구조에 좌우된다. 결합을 높이기 위해서는, 누설 자속을 얼마나 줄이는지에 달려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용접 트랜스는 하기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철심을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겹쳐 감은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권수 혹은 단면적으로 분할하여,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교대 위치에 구성하고, 직렬 혹은 병렬로 각각을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1차 회로와 2차 회로의 결합을 높일 수 있다.
결합을 높이는 것은, 2차측을 단락하고, 1차측에서 본 인덕턴스치가 작아짐으로써, 분할하지 않을 때의 인덕턴스를 L로 한 경우에 비교하여, 분할수에 따라서 인덕턴스치는 감소한다. 인덕턴스치의 감소는, 대략 분할수에 반비례하는 값이 된다.
고주파 손실의 저감화의 대책으로서, 권선재에 띠형상 도체를 사용하고 있다. 띠형상 도체는 고주파 전류에 늘 따라다니는 표피손이 매우 작고 전류에 의한 와전류손도 작기 때문에, 이상적인 고주파 대책의 재료가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주파용의 도체는 리츠선이 많이 이용되지만, 예컨대 둥근 리츠 소선에 비하여, 띠형상 도체는 공간(간극)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점유율을 크게 설계할 수 있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2]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은, 정극측 2차 권선과 부극측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코어에, 상기 1차 권선, 상기 정극측 2차 권선 및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의 순서, 또는 상기 1차 권선, 상기 부극측 2차 권선 및 상기 정극측 2차 권선의 순서로 권회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결합을 높이는 것, 고주파 손실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1차 전류의 상승을 급격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1차 전류의 고주파화가 가능해지고, 2차 전류의 상승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섬세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워크(소재)에 대하여 단시간에 고전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율이 높은 워크에 대한 용접도 용이해진다.
[3]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고리형의 코어와, 상기 고리형의 코어에 권회되고, 한쪽 입력 단자와 다른쪽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1차 권선과, 정극측 2차 권선과, 부극측 2차 권선을 갖는 권회부와, 상기 정극측 2차 권선과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의 접속점에 접속된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정극측 2차 권선과 제1 정류 소자를 통해 접속되고, 또한, 상기 부극측 2차 권선과 제2 정류 소자를 통해 접속된 플러스 전극을 갖는다.
[4]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코어의 일부를 덮는 복수의 제1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정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띠형상 도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2 띠형상 도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3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각 상기 제2 띠형상 도체는, 한쪽 단부에 정극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고, 각 상기 제3 띠형상 도체는, 한쪽 단부에 부극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고, 각각 상기 정극과 상기 부극 사이에, 상기 제2 띠형상 도체의 다른쪽 단부와 상기 제3 띠형상 도체의 다른쪽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마이너스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1차 권선은 코어의 일부를 덮는 복수의 제1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정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와 제2 띠형상 도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3 띠형상 도체를 갖는다. 더구나, 각 제2 띠형상 도체는, 한쪽 단부에 정극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고, 각 제3 띠형상 도체는, 한쪽 단부에 부극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회부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용접 트랜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전극을 각각 정극과 부극 사이에 배치하고, 제2 띠형상 도체의 다른쪽 단부와 제3 띠형상 도체의 다른쪽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했기 때문에, 마이너스 전극을 용이하게 권회부에 접속할 수 있다. 특히, 2차 권선에 대하여 마이너스 전극을 탭 접속할 수 있고, 권회부에 정극측 2차 권선과 부극측 2차 권선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일반적으로 주파수를 높이면 철심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트랜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를 높이면 트랜스의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양태는, 1차 전류의 상승이 급격해진다는 점에서, 2차 전압이 유효하게 출력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고, 주파수를 높이더라도 트랜스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게다가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띠형상 도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정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정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도체를 가지며,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부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3 연결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정극측 2차 권선 및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마이너스 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도체를 갖는다.
제1 띠형상 도체 사이를 각각 제1 연결 도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1차 권선을 구성할 수 있고, 1차 권선을 권회부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정극 사이를 각각 제2 연결 도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정극측 2차 권선을 구성할 수 있고, 정극측 2차 권선을 권회부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부극 사이를 각각 제3 연결 도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부극측 2차 권선을 구성할 수 있고, 부극측 2차 권선을 권회부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6]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연결 도체는, 상기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권회부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한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권회부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다른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연결 도체를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1 띠형상 도체 사이를 각각 제1 연결 도체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1차 권선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구나, 1차 권선을 권회부 밖으로 인출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그 결과,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권회부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한쪽 입력 단자를 접속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권회부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다른쪽 입력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2개의 장척의 평행부를 가지며, 상기 권회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되고, 상기 제1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및 상기 제4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상기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여기서, 교차하는 관계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상기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각이 60°∼120°인 관계를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90°(직교하는 관계)이다.
이것에 의해, 권회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1 연결 도체를 배치하고, 권회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 제3 연결 도체 및 제4 연결 도체의 어느 하나를 배치할 수 있고,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특히, 제2 연결 도체, 제3 연결 도체 및 제4 연결 도체의 모든 연결 방향을, 평행부의 장척 방향과 교차하는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권회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 제3 연결 도체 및 제4 연결 도체를 모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과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이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제2 연결 도체와 제3 연결 도체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베어링대로서 구성할 수 있고, 이 베어링대 위에 2개의 정류 소자나 플러스 전극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는, 한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된 제1 권회부와, 다른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된 제2 권회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권회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2 권회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띠형상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5 연결 도체를 갖는다.
권회부가 제1 권회부와 제2 권회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5 연결 도체로, 제1 권회부의 제1 띠형상 도체와, 제2 권회부의 제1 띠형상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1차 권선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트랜스로서, 1개의 권회부를 갖는 타입과, 2개의 권회부를 갖는 타입을 제공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한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는, 상기 제1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다른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는, 상기 제2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되고, 한쪽의 1 이상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1 권회부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다른쪽의 1 이상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2 권회부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대응한 위치에 걸쳐 상기 제5 연결 도체가 접속되고, 한쪽의 1 이상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1 권회부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한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다른쪽의 1 이상의 상기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2 권회부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다른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한쪽의 제1 연결 도체를 제1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하고,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를 제2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제1 연결 도체 중, 제1 권회부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와,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 중, 제2 권회부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제5 연결 도체를 접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권회부에서의 제1 띠형상 도체 사이를 각각 한쪽의 제1 연결 도체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권회부에서의 제1 띠형상 도체 사이를 각각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제1 권회부 및 제2 권회부에 걸쳐 하나의 1차 권선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구나, 1차 권선의 제1 권회부 밖 및 제2 권회부 밖으로 인출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그 결과, 한쪽의 제1 연결 도체 중, 제1 권회부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한쪽 입력 단자를 접속할 수 있고,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 중, 제2 권회부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다른쪽 입력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2개의 장척의 평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권회부는, 어느 한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되고, 상기 제2 권회부는, 어느 다른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되고, 상기 제1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4 연결 도체 및 제5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상기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여기서, 교차하는 관계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상기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각이 60°∼120°인 관계를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90°(직교하는 관계)이다.
이것에 의해, 제1 권회부 및 제2 권회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1 연결 도체를 배치하고, 제1 권회부 및 제2 권회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 제3 연결 도체 및 제4 연결 도체의 어느 하나를 배치할 수 있고,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특히, 제2 연결 도체, 제3 연결 도체 및 제4 연결 도체의 모든 연결 방향을, 평행부의 장척 방향과 교차하는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제1 권회부 및 제2 권회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 제3 연결 도체 및 제4 연결 도체를 모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및 제5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이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제2 연결 도체와 제3 연결 도체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베어링대로서 구성할 수 있고, 이 베어링대 위에 2개의 정류 소자나 플러스 전극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제5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도 동일하기 때문에, 한쪽 입력 단자 및 다른쪽 입력 단자의 도출 방향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접 트랜스의 실장 작업이 용이해진다.
[13]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도체에 접속된 정극 도체와, 상기 제3 연결 도체에 접속된 부극 도체를 가지며, 상기 플러스 전극은, 상기 정극 도체와 상기 부극 도체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정류 소자는, 상기 정극 도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정류 소자는, 상기 부극 도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측에 정극 도체, 제1 정류 소자, 플러스 전극, 제2 정류 소자 및 부극 도체의 조합 구조를 배치할 수 있어,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14]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상기 제4 연결 도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이 상기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 입력 단자 및 상기 다른쪽 입력 단자가 상기 권회부의 다른쪽 단부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접 트랜스에 접속되는 용접기를,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측에 배치된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배치하고, 용접 트랜스에 접속되는 전단의 회로를, 권회부의 다른쪽 단부면측에 배치된 한쪽 입력 단자 및 다른쪽 입력 단자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용접 트랜스 중, 용접기가 접속되는 부분과 전단의 회로가 접속되는 부분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접속 미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접 트랜스에 의하면,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구나, 고주파 대전류에서 고효율의 전력 변환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를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제1 용접 트랜스)의 개략 구성을 용접기와 함께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a는 제1 용접 트랜스를 한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제1 용접 트랜스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용접 트랜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5a는 제1 용접 트랜스의 주로 권회부의 구성을 한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권회부의 권선 구조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b의 VI-VI선 상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b의 VII-VII선 상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정극측 2차 권선(제2 띠형상 도체) 및 부극측 2차 권선(제3 띠형상 도체)의 권선 상태와, 정극, 부극 및 마이너스 전극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실시예의 1차 전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비교예의 1차 전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제2 용접 트랜스)를 한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제2 용접 트랜스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제2 용접 트랜스의 주로 권회부의 구성을 한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권회부의 권선 구조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b의 XII-XII선 상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b의 XIII-XIII선 상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제2 용접 트랜스의 주로 제1 일차 권선 및 제2 일차 권선의 구성을 한 방향으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4b는 제1 연결 도체와 제5 연결 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2 용접 트랜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용접 트랜스의 실시형태예를 도 1∼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10)의 기본 구성에 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용접 트랜스(10)의 기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2)와, 코어(12)에 각각 교대로 권회된 1차 권선(18) 및 2차 권선(20)을 갖는다. 1차 권선(18)은, 폭방향이 코어(12)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 Dy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띠형상 도체(40a)(도 5a 참조)를 갖는다. 2차 권선(20)은, 폭방향이 코어(12)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 Dy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띠형상 도체(40b)를 갖는다.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띠형상 도체(40b)(도 5a 참조)는, 각각 교대로, 자속의 방향 Dy와 직교하는 방향 Dx로 적층되어 있다.
용접 트랜스(10)의 성능은, 1차 권선(18)과 2차 권선(20)의 결합을 높이는 것과, 고주파 손실의 저감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은, 모두 권선의 구조에 좌우된다.
결합을 높이기 위해서는, 누설 자속을 얼마나 줄이는지에 달려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10)는 전술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코어(12)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 Dy와 직각 방향 Dx에 겹쳐 감은 1차 권선(18)과 2차 권선(20)을 권수 혹은 단면적으로 분할하여, 1차 권선(18)과 2차 권선(20)을 교대 위치에 구성하고, 직렬 혹은 병렬로 각각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1차 회로와 2차 회로의 결합을 높일 수 있다.
결합을 높이는 것은, 2차측을 단락하고, 1차측에서 본 인덕턴스치가 작아짐으로써, 분할하지 않을 때의 인덕턴스를 L로 한 경우에 비교하여, 분할수에 따라서 인덕턴스치는 감소한다. 인덕턴스치의 감소는, 대략 분할수에 반비례하는 값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주파 손실의 저감화의 대책으로서, 권선재에 띠형상 도체를 사용하고 있다. 고주파 전류는, 표피 효과에 의해, 도체 표면에만 흐르는 성질을 갖지만, 띠형상 도체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도체 전체에 전류를 흘릴 수 있고, 그 결과, 표피손이 매우 작다. 더구나, 전류에 의한 와전류손도 작기 때문에, 이상적인 고주파 대책의 재료가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주파용의 도체는 리츠선이 많이 이용되지만, 예컨대 둥근 리츠 소선에 비교하여, 띠형상 도체는 공간(간극)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점유율을 크게 설계할 수 있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10)의 바람직한 응용예에 관해 도 2∼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용접 트랜스(10)는, 도 2의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2)와, 코어(12)에 권회된 권회부(14)를 갖는다. 권회부(14)는, 한쪽 입력 단자(16a)와 다른쪽 입력 단자(16b) 사이에 접속된 1차 권선(18)과, 정극측 2차 권선(20p)과, 부극측 2차 권선(20n)을 갖는다. 또한, 용접 트랜스(10)는, 마이너스 전극(22N)과 플러스 전극(22P)을 갖는다. 마이너스 전극(22N)은, 정극측 2차 권선(20p)과 부극측 2차 권선(20n)의 접속점(24)(탭)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스 전극(22P)은, 정극측 2차 권선(20p)과 제1 정류 소자(26a)를 통해 접속되고, 또한, 부극측 2차 권선(20n)과 제2 정류 소자(26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용접 트랜스(10)는, 한쪽 입력 단자(16a)와 다른쪽 입력 단자(16b)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전단의 회로(예컨대 인버터)가 접속되고, 마이너스 전극(22N)과 플러스 전극(22P)을 통해 용접기(28)가 접속된다.
그리고, 제1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이하, 제1 용접 트랜스(10A)로 기재함)는, 도 3a∼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장척의 평행부(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를 갖는 고리형의 코어(12) 중, 어느 하나의 평행부(예컨대 제1 평행부(30a))에 권회부(14)가 권회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부(14)를 구성하는 1차 권선(18)은, 고리형의 코어(12)의 일부를 덮는 예컨대 5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를 갖는다. 정극측 2차 권선(20p)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4개의 제2 띠형상 도체(40b)를 갖는다.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띠형상 도체(40b)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4개의 제3 띠형상 도체(40c)를 갖는다.
제1 띠형상 도체(40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절연막(42a), 도체막(44), 층간 절연막(42b), 도체막(44), 층간 절연막(42b), ····도체막(44)과 같이, 절연막(42)과 도체막(44)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5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 중, 최외측의 제1 띠형상 도체(40a) 및 최내측의 제1 띠형상 도체(40a)는, 각각 도체막(44)이 1턴 이상, 예컨대 5턴 권회되고, 중앙의 3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는, 각각 도체막(44)이 1턴 이상, 예컨대 8턴 권회되어 있다. 즉, 도체막(44)은 합계 5턴 이상, 예컨대 34턴 권회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배치 구성을 (A)로 한다.
그리고, 도 5b의 VI-VI선 상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띠형상 도체(40b)는 도체막(44)으로 구성되고, 안쪽의 단부면에 예컨대 금속판(45)으로 구성된 정극(50p)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또, 제1 띠형상 도체(40a)의 외측의 도체막(44)과, 정극(50p)의 사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이 개재되어 있다.
제3 띠형상 도체(40c)는 도체막(44)으로 구성되고, 바깥쪽의 단부면에 예컨대 금속판(45)으로 구성된 마이너스 전극(22N)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제2 띠형상 도체(40b)의 도체막(44)과 제3 띠형상 도체(40c)의 도체막(44)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42b)이 개재되어 있다. 마이너스 전극(22N)의 바깥쪽의 단부면에는, 극간 절연막(42d)를 통해 금속판(45)으로 구성된 부극(50n)이 배치되어 있다. 부극(50n)의 바깥쪽의 단부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으로부터 전술한 부극(50n)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까지의 배치 구성을 (B)로 한다.
부극(50n)의 바깥쪽의 단부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을 통해 제1 띠형상 도체(40a)가 배치되고,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바깥쪽의 단부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 부극(50n), 층간 절연막(42b), 제3 띠형상 도체(40c), 마이너스 전극(22N), 극간 절연막(42d), 정극(50p), 제2 띠형상 도체(40b) 및 권선간 절연막(42c)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으로부터 전술한 제2 띠형상 도체(40b)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까지의 배치 구성을 (C)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배치 구성(C)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 구성(A), (C), (A), (B) 및 (A)가 배치되고, 또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띠형상 도체(40a)의 외측에 외측 절연막(42e)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5b의 VII-VII선 상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띠형상 도체(40b)는, 안쪽의 단부면에 층간 절연막(42b)을 통해 정극(50p)이 배치되고, 바깥쪽의 단부면에 마이너스 전극(22N)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또, 제1 띠형상 도체(40a)의 외측의 도체막(44)과, 정극(50p)의 사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이 개재되어 있다.
제3 띠형상 도체(40c)는, 안쪽의 단부면에 부극(50n)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부극(50n)과 마이너스 전극(22N) 사이에는 극간 절연막(42d)가 개재되어 있다. 즉, 제2 띠형상 도체(40b)와 제3 띠형상 도체(40c) 사이에는, 부극(50n), 극간 절연막(42d) 및 마이너스 전극(22N)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으로부터 전술한 제3 띠형상 도체(40c)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까지의 배치 구성을 (D)로 한다.
부극(50n)의 바깥쪽의 단부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을 통해 제1 띠형상 도체(40a)가 배치되고,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바깥쪽의 단부면에는, 권선간 절연막(42c), 부극(50n), 제3 띠형상 도체(40c), 층간 절연막(42b), 제2 띠형상 도체(40b), 마이너스 전극(22N), 극간 절연막(42d), 정극(50p) 및 권선간 절연막(42c)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띠형상 도체(40a)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으로부터 전술한 정극(50p)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된 권선간 절연막(42c)까지의 배치 구성을 (E)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배치 구성(E)의 바깥쪽의 단부면에 배치 구성(A), (E), (A), (D) 및 (A)가 배치되고, 또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띠형상 도체(40a)의 외측에 외측 절연막(42e)이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배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배치 구성(A)을 개재시키면서 전술한 배치 구성(B)∼(E)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여러가지 권선 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제1 띠형상 도체(40a), 제2 띠형상 도체(40b) 및 제3 띠형상 도체(40c)의 폭은 60∼400 mm이다. 또한, 내측 절연막(42a), 층간 절연막(42b), 권선간 절연막(42c), 극간 절연막(42d) 및 외측 절연막(42e)은, 재질이 절연지, 수지, 에나멜 등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0.05∼0.25 mm이다. 도체막(44)은, 재질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등으로 구성되며, 두께가 0.1∼3.0 mm이다.
정극(50p)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권회부(14)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정극 본체(50pa)와, 정극 본체(50pa)의 예컨대 상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극 부착부(50pb)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정극(50p)의 두께는 0.1∼3.0 mm이다.
부극(50n)은,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권회부(14)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극 본체(50na)와, 부극 본체(50na)의 예컨대 상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극 부착부(50nb)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부극(50n)의 두께는 0.1∼3.0 mm이다.
마이너스 전극(22N)은,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권회부(14)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마이너스 전극 본체(22Na)(도 8a 참조)와, 마이너스 전극 본체(22Na)의 예컨대 상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이너스 전극 부착부(22Nb)(도 8b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마이너스 전극 본체(22Na)의 두께는 0.1∼3.0 mm이며, 마이너스 전극 부착부(22Nb)의 두께는 0.1∼3.0 mm이다.
1차 권선(18)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예컨대 4개의 제1 연결 도체(52a)를 갖는다. 제1 연결 도체(52a)는, 예컨대 U자형의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는, 권회부(14)의 다른쪽 단부면(14b)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권회부(14)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예컨대 한쪽 입력 단자(16a)가 접속되고,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권회부(14)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예컨대 다른쪽 입력 단자(16b)가 접속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측 2차 권선(20p)은, 각각 가로 방향으로 정극(50p)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도체(52b)를 갖는다. 제2 연결 도체(52b)는, 정극 부착부(50pb) 사이에 접속된 예컨대 블록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가로 방향으로 부극(50n)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3 연결 도체(52c)를 갖는다. 제3 연결 도체(52c)는, 부극 부착부(50nb)(도 3a 참조) 사이에 접속된 예컨대 블록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측 2차 권선(20p) 및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마이너스 전극(22N)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도체(52d)를 갖는다. 제4 연결 도체(52d)는, 마이너스 전극 부착부(22Nb)(도 3a 참조) 사이에 접속된 예컨대 블록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도체(52a)의 연결 방향,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코어(12)의 장척 방향(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교차하는 관계란, 적어도 상기 하나의 연결 방향과 코어(12)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각이 60°∼120°인 관계를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90°(직교하는 관계)이다. 이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는, 제1 연결 도체(52a)의 연결 방향,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연결 방향의 모두와, 코어(12)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제1 용접 트랜스(10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 도체(52b)에 접속되고 세로 방향으로 상승하는 정극 도체(54p)와, 제3 연결 도체(52c)에 접속되고 제2 연결 도체(52b)와 대향하여 세로 방향으로 상승하는 부극 도체(54n)를 갖는다.
그리고, 정극 도체(54p)와 부극 도체(54n) 사이에 플러스 전극(22P)이 접속되고, 정극 도체(54p)와 플러스 전극(22P) 사이에 제1 정류 소자(26a)가 접속되고, 부극 도체(54n)와 플러스 전극(22P) 사이에 제2 정류 소자(26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너스 전극(22N)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도체(52d)와 플러스 전극(22P)이 권회부(14)의 한쪽 단부면(14a)측에 배치되고, 한쪽 입력 단자(16a) 및 다른쪽 입력 단자(16b)가 권회부(14)의 다른쪽 단부면(14b)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는, 1차 권선(18)은 코어(12)의 일부를 덮는 복수의 제1 띠형상 도체(40a)를 가지며, 정극측 2차 권선(20p)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띠형상 도체(40b)를 가지며,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띠형상 도체(40b)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3 띠형상 도체(40c)를 갖는다. 더구나, 각 제2 띠형상 도체(40b)는, 한쪽 단부(40ba)(도 5b 참조)에 정극(50p)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또한, 각 제3 띠형상 도체(40c)는, 한쪽 단부(40ca)(도 5b 참조)에 부극(50n)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회부(14)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1 용접 트랜스(10A)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전극(22N)을 각각 정극(50p)과 부극(50n) 사이에 배치하여, 제2 띠형상 도체(40b)의 다른쪽 단부(40bb)(도 5b 참조)와 제3 띠형상 도체(40c)의 다른쪽 단부(40cb)(도 5b 참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했기 때문에, 마이너스 전극(22N)을 용이하게 권회부(14)에 접속할 수 있다. 특히, 2차 권선(20)에 대하여 마이너스 전극(22N)을 탭 접속할 수 있고, 권회부(14)에 정극측 2차 권선(20p)과 부극측 2차 권선(20n)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일반적으로 주파수를 높이면 철심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트랜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를 높이면 트랜스의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용접 트랜스(10A)는, 1차 전류의 상승이 급격해진다는 점에서, 2차 전압이 유효하게 출력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고, 주파수를 높이더라도 트랜스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더구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실험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험예는,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1차 전류 파형을 확인했다.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용접 트랜스(1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비교예는, 사용 조건이 주파수 1 kHz의 시판 트랜스이다. 또, 1차 권선의 턴수와 2차 권선의 턴수를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각각 동일하게 설정했다. 즉,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1차 권선을 34턴, 정극측 2차 권선을 4턴, 부극측 2차 권선을 4턴으로 설정했다.
용접 트랜스의 전단에 접속된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를 10 kHz로 했을 때의 1차 전류의 파형을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다. 도 9a의 파형이 실시예의 1차 전류 파형이고, 도 9b의 파형이 비교예의 1차 전류 파형이다.
통상, 1차 전류 파형이 상승한 시점 t1로부터 하강을 시작한 시점 t2까지의 기간이 유효 기간 Ta, 즉, 용접 전압인 2차 전압이 유효하게 출력되는 기간이다. 이 유효 기간 Ta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위시간에 대한 1차 전류의 변화 di/dt가 큰 것, 즉 급격한 것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도 9a의 파형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 di/dt가 100 A/μsec이며, 고주파 대전류에서 고효율의 전력 변환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는, 도 9b의 파형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 di/dt가 6 A/μsec로 완만하고, 1차 전류 파형이 상승한 시점 t1과 하강을 시작한 시점 t2이 거의 동일하며, 유효 기간 Ta를 확보할 수는 없었다.
또한,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 1차 권선(18)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를 가지며, 정극측 2차 권선(20p)은, 각각 정극(50p)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도체(52b)를 갖는다.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부극(50n)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3 연결 도체(52c)를 가지며, 정극측 2차 권선(20p) 및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마이너스 전극(22N)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도체(52d)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각각 제1 연결 도체(52a)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1차 권선(18)을 구성할 수 있고, 1차 권선(18)의 권회부(14)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정극(50p) 사이를 각각 제2 연결 도체(52b)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정극측 2차 권선(20p)을 구성할 수 있고, 정극측 2차 권선(20p)의 권회부(14)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부극(50n) 사이를 각각 제3 연결 도체(52c)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부극측 2차 권선(20n)을 구성할 수 있고, 부극측 2차 권선(20n)의 권회부(14)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는, 권회부(14)의 다른쪽 단부면(14b)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권회부(14)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한쪽 입력 단자(16a)가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권회부(14)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다른쪽 입력 단자(16b)가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연결 도체(52a)를 권회부(14)의 다른쪽 단부면(14b)에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각각 제1 연결 도체(52a)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1차 권선(18)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구나, 1차 권선(18)의 권회부(14) 밖으로 인출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그 결과,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권회부(14)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한쪽 입력 단자(16a)를 접속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권회부(14)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다른쪽 입력 단자(16b)를 접속할 수 있다.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 코어(12)는, 2개의 장척의 평행부(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를 갖는다. 권회부(14)는, 어느 하나의 평행부(예컨대 제1 평행부(30a))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도체(52a)의 연결 방향,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것에 의해, 권회부(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1 연결 도체(52a)를 배치하고, 권회부(14)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52b), 제3 연결 도체(52c)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어느 하나를 배치할 수 있고, 제1 용접 트랜스(10A)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특히, 제2 연결 도체(52b), 제3 연결 도체(52c)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모든 연결 방향을, 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의 장척 방향과 교차하는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권회부(14)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52b), 제3 연결 도체(52c)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모두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용접 트랜스(10A)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용접 트랜스(10A)에서, 적어도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과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이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제2 연결 도체(52b)와 제3 연결 도체(52c)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베어링대(56)(도 4 참조)로서 구성할 수 있고, 이 베어링대(56) 위에 제1 정류 소자(26a) 및 제2 정류 소자(26b)나 플러스 전극(22P)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용접 트랜스(10A)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용접 트랜스(이하, 제2 용접 트랜스(10B)로 기재함)에 관해, 도 10a∼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용접 트랜스(10B)는, 전술한 제1 용접 트랜스(1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부(14)는, 고리형의 코어(12)의 제1 평행부(30a)에 권회된 제1 권회부(14A)와, 제2 평행부(30b)에 권회된 제2 권회부(14B)를 갖는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회부(14A)를 구성하는 제1 일차 권선(18A)은, 코어(12)의 제1 평행부(30a)(도 10a 참조)를 덮는 예컨대 3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를 갖는다. 정극측 2차 권선(20p)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2개의 제2 띠형상 도체(40b)를 갖는다.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띠형상 도체(40b)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2개의 제3 띠형상 도체(40c)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권회부(14B)를 구성하는 제2 일차 권선(18B)은, 코어(12)의 제2 평행부(30b)(도 10a 참조)를 덮는 예컨대 3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를 갖는다. 정극측 2차 권선(20p)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2개의 제2 띠형상 도체(40b)를 갖는다. 부극측 2차 권선(20n)은,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띠형상 도체(40b)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2개의 제3 띠형상 도체(40c)를 갖는다.
또, 제1 띠형상 도체(40a), 제2 띠형상 도체(40b) 및 제3 띠형상 도체(40c)의 내부 구성은, 도 12 및 도 1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용접 트랜스(10A)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권회부(14A) 및 제2 권회부(14B)에서, 3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 중 최외측의 제1 띠형상 도체(40a)는, 도체막(44)이 1턴 이상, 예컨대 5턴 권회되고, 중앙의 제1 띠형상 도체(40a)는, 도체막(44)이 1턴 이상, 예컨대 8턴 권회되고, 최내측의 제1 띠형상 도체(40a)는, 도체막(44)이 1턴 이상, 예컨대 5턴 권회되어 있다. 즉, 권회부 1개당, 도체막(44)은 합계로 3턴 이상, 예컨대 18턴 권회되어 있다.
제2 띠형상 도체(40b)는, 한쪽 단부(40ba)(도 11b 참조)에 정극(50p)이 접속되며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제1 띠형상 도체(40a)의 최내측의 도체막(44)과 제2 띠형상 도체(40b)의 도체막(44) 사이에는 1장의 권선간 절연막(42c)이 개재되어 있다.
제3 띠형상 도체(40c)는, 한쪽 단부(40ca)(도 11b 참조)에 부극(50n)이 접속되며 제2 띠형상 도체(40b)와는 적어도 1턴만 권회되어 있다. 제2 띠형상 도체(40b)의 도체막(44)과 제3 띠형상 도체(40c)의 도체막(44) 사이에는 1장의 권선간 절연막(42c)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정극(50p)과 부극(50n) 사이에는, 제2 띠형상 도체(40b)의 다른쪽 단부(40bb)와 제3 띠형상 도체(40c)의 다른쪽 단부(40c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마이너스 전극(22N)이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제1 권회부(14A) 및 제2 권회부(14B)의 각각 3개의 제1 띠형상 도체(40a)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띠형상 도체(40a)의 외측에는 외측 절연막(42e)(도 12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a,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회부(14A)는,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예컨대 2개의 제1 연결 도체(52a)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권회부(14B)는, 각각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예컨대 2개의 제1 연결 도체(52a)를 갖는다. 그리고, 제1 권회부(14A)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띠형상 도체(40a)와, 제2 권회부(14B)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띠형상 도체(40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5 연결 도체(52e)를 갖는다.
즉, 제1 권회부(14A)에서의 2개의 제1 연결 도체(52a)는, 제1 권회부(14A)의 다른쪽 단부면(14b)에 형성되고, 제2 권회부(14B)에서의 2개의 제1 연결 도체(52a)는, 제2 권회부(14B)의 다른쪽 단부면(14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권회부(14A)에 형성된 제1 연결 도체(52a)와 제2 권회부(14B)에 형성된 제1 연결 도체(52a) 사이에, 제5 연결 도체(52e)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5 연결 도체(52e)의 한쪽 단부는, 제1 권회부(14A)에 형성된 2개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제1 권회부(14A)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대응한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5 연결 도체(52e)의 다른쪽 단부는, 제2 권회부(14B)에 형성된 2개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제2 권회부(14B)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대응한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4a의 예에서는, 제1 권회부(14A)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1 연결 도체(52a)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제2 권회부(14B)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제1 연결 도체(52a)에 대응한 위치에 걸쳐 제5 연결 도체(52e)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권회부(14A)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한쪽 입력 단자(16a)가 접속되고, 제2 권회부(14B)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다른쪽 입력 단자(16b)가 접속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4a의 예에서는, 제1 권회부(14A)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한쪽 입력 단자(16a)가 접속되고, 제2 권회부(14B)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다른쪽 입력 단자(16b)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용접 트랜스(10B)는, 도 10a, 도 10b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도체(52a)의 연결 방향,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제4 연결 도체(52d) 및 제5 연결 도체(52e)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 예에서도, 교차하는 관계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각이 60°∼120°인 관계를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90°(직교하는 관계)이다. 이 제2 용접 트랜스(10B)에서는, 제1 연결 도체(52a)의 연결 방향,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제4 연결 도체(52d)의 연결 방향 및 제5 연결 도체(52e)의 연결 방향의 전부와, 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이, 제2 용접 트랜스(10B)는, 전술한 제1 용접 트랜스(1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 외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권회부(14)가 제1 권회부(14A)와 제2 권회부(14B)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5 연결 도체(52e)로, 제1 권회부(14A)의 제1 연결 도체(52a)와 제2 권회부(14B)의 제1 연결 도체(52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1차 권선(18)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트랜스로서, 1개의 권회부(14)를 갖는 타입과, 2개의 권회부(14)를 갖는 타입을 제공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2 용접 트랜스(10B)에서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한쪽의 제1 연결 도체(52a)를 제1 권회부(14A)의 다른쪽 단부면(14b)(도 11a 참조)에 형성하고,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52a)를 제2 권회부(14B)의 다른쪽 단부면(14b)(도 11a 참조)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제1 권회부(14A)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와,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제2 권회부(14B)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제5 연결 도체(52e)를 접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권회부(14A)에서의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각각 한쪽의 제1 연결 도체(52a)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권회부(14B)에서의 제1 띠형상 도체(40a) 사이를 각각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52a)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제1 권회부(14A) 및 제2 권회부(14B)에 걸쳐 하나의 1차 권선(18)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구나, 1차 권선(18)의 제1 권회부(14A) 밖 및 제2 권회부(14B) 밖으로 인출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그 결과, 한쪽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제1 권회부(14A)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한쪽 입력 단자(16a)를 접속할 수 있고, 다른쪽의 제1 연결 도체(52a) 중, 제2 권회부(14B)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52a)에 다른쪽 입력 단자(16b)를 접속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도체(52a)의 연결 방향,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제4 연결 도체(52d)의 연결 방향 및 제5 연결 도체(52e)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권회부(14A) 및 제2 권회부(14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1 연결 도체(52a)를 배치하고, 제1 권회부(14A) 및 제2 권회부(14B)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52b), 제3 연결 도체(52c)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어느 하나를 배치할 수 있고,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특히, 제2 연결 도체(52b), 제3 연결 도체(52c)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연결 방향을, 제1 평행부(30a) 및 제2 평행부(30b)의 장척 방향과 교차하는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제1 권회부(14A) 및 제2 권회부(14B)의 하부 또는 상부에, 제2 연결 도체(52b), 제3 연결 도체(52c) 및 제4 연결 도체(52d)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를 배치할 수 있어, 용접 트랜스를 한층 더 컴팩트화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 트랜스(10B)는, 적어도 제2 연결 도체(52b)의 연결 방향, 제3 연결 도체(52c)의 연결 방향 및 제5 연결 도체(52e)의 연결 방향이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제2 연결 도체(52b)와 제3 연결 도체(52c)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베어링대(56)로서 구성할 수 있고, 이 베어링대(56) 위에 제1 정류 소자(26a) 및 제2 정류 소자(26b)나 플러스 전극(22P)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 트랜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제5 연결 도체(52e)의 연결 방향도 동일하기 때문에, 한쪽 입력 단자(16a) 및 다른쪽 입력 단자(16b)의 도출 방향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접 트랜스의 실장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용접 트랜스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권선 도체부(권회부, 정극, 부극, 마이너스 전극, 연결 도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냉각 매체를 흘리기 위한 구멍이 있는 구조 또는 중공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나, 상기 권선 도체부 또는 철심에 근접하는 냉각용 파이프 등을 설치하는 것 등이다.

Claims (14)

  1.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각각 교대로 권회된 1차 권선 및 2차 권선
    을 가지며,
    상기 1차 권선은, 폭방향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2차 권선은, 폭방향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제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2 띠형상 도체가 각각 교대로, 상기 자속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은, 정극측 2차 권선과 부극측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코어에, 상기 1차 권선, 상기 정극측 2차 권선 및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의 순서로, 또는 상기 1차 권선, 상기 부극측 2차 권선 및 상기 정극측 2차 권선의 순서로 권회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3. 제2항에 있어서,
    고리형의 상기 코어와,
    상기 코어에 권회되고, 한쪽 입력 단자와 다른쪽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상기 1차 권선과, 상기 정극측 2차 권선과,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을 갖는 권회부와,
    상기 정극측 2차 권선과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의 접속점에 접속된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정극측 2차 권선과 제1 정류 소자를 통해 접속되고, 또한, 상기 부극측 2차 권선과 제2 정류 소자를 통해 접속된 플러스 전극
    을 갖는 용접 트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코어의 일부를 덮는 복수의 상기 제1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정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띠형상 도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제2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2 띠형상 도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3 띠형상 도체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제2 띠형상 도체는, 한쪽 단부에 정극이 접속되며 또한 적어도 1턴(turn)만 권회되고,
    각각의 상기 제3 띠형상 도체는, 한쪽 단부에 부극이 접속되며 또한 적어도 1턴만 권회되고,
    각각 상기 정극과 상기 부극 사이에, 상기 제2 띠형상 도체의 다른쪽 단부와 상기 제3 띠형상 도체의 다른쪽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마이너스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제1 띠형상 도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정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정극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도체를 가지며,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부극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3 연결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정극측 2차 권선 및 상기 부극측 2차 권선은, 각각 상기 마이너스 전극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4 연결 도체를 갖는 것인 용접 트랜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도체는, 상기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권회부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한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권회부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다른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2개의 장척의 평행부를 가지며,
    상기 권회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되고,
    상기 제1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및 상기 제4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상기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과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이 동일한 것인 용접 트랜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는, 한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된 제1 권회부와, 다른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된 제2 권회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권회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띠형상 도체와, 상기 제2 권회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띠형상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5 연결 도체를 갖는 용접 트랜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한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는, 상기 제1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도체 중, 다른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는, 상기 제2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1 권회부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2 권회부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대응한 위치에 걸쳐, 상기 제5 연결 도체가 접속되고,
    상기 한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1 권회부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한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다른쪽의 1 이상의 제1 연결 도체 중, 상기 제2 권회부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도체에 상기 다른쪽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2개의 장척의 평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권회부는, 어느 한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되고,
    상기 제2 권회부는, 어느 다른쪽의 상기 평행부에 권회되고,
    상기 제1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4 연결 도체 및 상기 제5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향과 상기 평행부의 장척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상기 제3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 및 상기 제5 연결 도체의 연결 방향이 동일한 것인 용접 트랜스.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도체에 접속된 정극 도체와,
    상기 제3 연결 도체에 접속된 부극 도체
    를 가지며,
    상기 플러스 전극은, 상기 정극 도체와 상기 부극 도체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정류 소자는, 상기 정극 도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정류 소자는, 상기 부극 도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전극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복수의 제4 연결 도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이 상기 권회부의 한쪽 단부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 입력 단자 및 상기 다른쪽 입력 단자가 상기 권회부의 다른쪽 단부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용접 트랜스.
KR1020207021346A 2017-12-27 2018-12-27 용접 트랜스 KR20200100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2166 2017-12-27
JPJP-P-2017-252166 2017-12-27
PCT/JP2018/048151 WO2019131883A1 (ja) 2017-12-27 2018-12-27 溶接トラン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802A true KR20200100802A (ko) 2020-08-26

Family

ID=6706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46A KR20200100802A (ko) 2017-12-27 2018-12-27 용접 트랜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402710A1 (ko)
JP (1) JP6542499B1 (ko)
KR (1) KR20200100802A (ko)
CN (1) CN111615734A (ko)
WO (1) WO2019131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565B1 (ko) * 2019-12-03 2022-07-29 가부시키가이샤 고요 기켄 용접 트랜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3115A (en) * 1962-10-26 1965-03-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High voltage potential transformer
JPS5527219Y2 (ko) * 1975-07-11 1980-06-30
US4204263A (en) * 1977-04-20 1980-05-20 Denki Onkyo Co., Ltd. Flyback transformer
US4509024A (en) * 1983-01-26 1985-04-02 Safetran Systems Corporation Impedance bond
US6160467A (en) * 1995-08-09 2000-12-1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ransformer with center tap
DE29705789U1 (de) * 1997-04-02 1997-06-05 Expert Maschinenbau Gmbh, 64653 Lorsch Transformator
JP2010245183A (ja) * 2009-04-02 2010-10-28 Daihen Corp カップリングコイ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アーク溶接機
JP5679754B2 (ja) * 2010-05-06 2015-03-04 株式会社ダイヘン 直流抵抗溶接機用トランス
WO2012160752A1 (ja) * 2011-05-24 2012-1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変圧器およびアーク放電加工装置
TWI450287B (zh) * 2012-01-20 2014-08-21 Acbel Polytech Inc transformer
FI125524B (en) * 2014-06-19 2015-11-13 Efore Oyj Transformer
US20160064142A1 (en) * 2014-08-26 2016-03-03 Roman Manufacturing, Inc. Transformer with integrated fluid flow sensor
WO2018102578A1 (en) * 2016-12-01 2018-06-07 Cummins Power Generation Ip, Inc. High-current half-turn windings
KR102020648B1 (ko) * 2017-05-26 2019-09-11 주식회사 솔루엠 변압기 및 이를 가지는 llc 공진형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2499B1 (ja) 2019-07-10
CN111615734A (zh) 2020-09-01
US20200402710A1 (en) 2020-12-24
WO2019131883A1 (ja) 2019-07-04
JPWO2019131883A1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453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4752879B2 (ja) 平面コイル
US20180137967A1 (en) High Frequency Transformer
JP4687930B2 (ja) 溶接トランス
JP4873522B2 (ja) 積層インダクタ
CN104025217A (zh) 一种磁芯、集成磁元件、有源钳位正反激电路及开关电源
KR20190042345A (ko) 인덕터 어레이
JP6533342B2 (ja) 複合平滑インダクタおよび平滑化回路
KR20200100802A (ko) 용접 트랜스
JP2012174699A (ja) 溶接トランス
JP2007317892A (ja) 積層インダクタ
JP5199493B1 (ja) 溶接トランスと溶接装置
CN113517120B (zh) 矩阵变压器及使用该矩阵变压器的电源
JP4827087B2 (ja) 積層インダクタ
US11177066B2 (en) Egg-shaped continuous coils for inductive components
EP3477840B1 (en) Welding transformer
JP4394557B2 (ja) トランス及び多層基板
US8395048B2 (en) Wire material, electronic device, and capacitor
US20180308615A1 (en) Magnetic assembly, inductor and transformer
CN220543731U (zh) 磁性元件
WO2011102204A1 (ja) 溶接トランス
CN214624707U (zh) Pfc电感器和电流连续控制型pfc电路
KR200244148Y1 (ko) 용접기용 내철형 3상 변압기
CN214476870U (zh) Pfc电感装置和电流临界连续控制型pfc电路
KR102627304B1 (ko)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용 코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