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467A -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 Google Patents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467A
KR20200100467A KR1020190018798A KR20190018798A KR20200100467A KR 20200100467 A KR20200100467 A KR 20200100467A KR 1020190018798 A KR1020190018798 A KR 1020190018798A KR 20190018798 A KR20190018798 A KR 20190018798A KR 20200100467 A KR20200100467 A KR 20200100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edible
unit
insect breeding
bree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5022B1 (en
Inventor
원광희
Original Assignee
원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희 filed Critical 원광희
Priority to KR102019001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022B1/en
Publication of KR2020010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An edible insect breeding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edible insect breeding device which comprises: a mai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 cage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while a space capable of breeding edible insects is formed; a door coupled to the cag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 activity induction structure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activity of edible insects; an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frame to control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level inside the cage; and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Description

식용곤충 사육 장치{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Edible insect breeding device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본 발명은 식용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곤충은 지구 전체 동물계의 70% 이상 차지하는 미개발 생물자원이며, 이를 발굴, 활용하는 곤충산업이 새로운 농산업으로 대두되었다.In general, insects are undeveloped biological resources that account for more than 70% of the entire animal kingdom of the earth, and the insect industry that excavates and utilizes them has emerged as a new agricultural industry.

식용곤충은 주로 곤충을 음식으로 활용하는 식량 자원을 말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메뚜기와 번데기가 주로 식용으로 쓰이며, 식약처는 갈색거저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쌍별귀뚜라미, 장수풍뎅이 유충 등을 추가적으로 식품 원료로써 인정하였다.Edible insects refer to food resources that mainly use insects as food.In Korea, grasshoppers and pupae are mainly used for edible purpose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ses brown mealworms, white-spotted flower larvae, twin crickets, and longevity beetle larvae as additional food ingredients. I admitted.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지구 온난화 전체의 17%에 달한다는 점에 대비해 식용곤충은 그 친환경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영양학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In contrast to the fact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livestock industry account for 17% of global warming, edible insects are recognized for their eco-friendly value and are emerging as food resources in the future with their nutritional value recognized.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식용곤충은 쇠고기에 비해 단백질뿐만 아니라 미네랄, 비타민 및 섬유질의 함량이 보다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포화지방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음식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edible insects are known to have a higher content of minerals, vitamins and fiber than beef. In addition, it is a food that has a higher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saturated fat and has a very high nutritional value.

식용곤충은 전통적인 가축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빠른 성장과 번식주기를 보여주고 필요한 토지공간이 적은 것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식용곤충이 미래식량으로 대중화되기 위해 안전성 및 대량 사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Edible insects show exponentially faster growth and reproductive cycles than traditional livestock, and the need for less land space is also an advantage. In order to popularize edible insects as future food, studies on safety and mass rearing are ongoing.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045호 (2018. 01. 04. 공고)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045 (2018. 01. 04. Announcement)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복수의 식용곤충 사육용 케이지를 설치하고, 케이지 내부를 식용곤충의 사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하여 식용곤충을 대량생산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for mass-producing edible insect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ages for breeding edible insects on a main frame, and creating the inside of the cage in an environment suitable for breeding edible insec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보관부를 갖는 본체 프레임, 보관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식용곤충을 사육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지(cage), 케이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용곤충의 활동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활동유도 구조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케이지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하는 공조 유닛, 및 공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 cage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and in which a space capable of rearing edible insects is formed, a door coupled to the cag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e interior of the cage Including an activity induction structure installed in the body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activity of edible insects, an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frame to control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level inside the cag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Edible insect breeding equipment is provided.

활동유도 구조물은 케이지 내부에 배치되는 바(bar) 타입의 코어 프레임, 코어 프레임의 외주에 방사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코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 및 코어 프레임의 양단부와 서브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ity-inducing structure is a bar-type core frame disposed inside the cage, a plurality of sub-frames disposed radially symmetrically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frame and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re frame, and both ends and sub-frames of the core fram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식용곤충 사육 장치는 케이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케이지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cage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inside of the cage to the outside.

공조 유닛은 케이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케이지 내외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하는 환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age, and a ventilation unit for circulating air inside and outside the cage to control humidity and pollution level.

온도 조절부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여 케이지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ge using carbon nanotubes (CNT).

식용곤충 사육 장치는 식용곤충의 먹이를 투입하기 위해 케이지에 형성되는 먹이 투입구, 및 먹이 투입구를 통해 케이지 내로 식용곤충의 먹이를 제공하는 피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피딩 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eed inlet formed in the cage to inject the food of the edible insects, and a feeding unit that provides food for the edible insects into the cage through the feed inlet,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eeding unit. Can be controlled.

케이지의 일측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주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도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개폐 돌기가 형성되고, 도어의 회전에 따라 걸림 돌기와 개폐 돌기가 맞물려 도어가 케이지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An annular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g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and an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the door. The inside of the cage can be closed.

식용곤충 사육 장치는 제어 유닛에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공조 유닛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보관부는 케이지를 수용 가능하도록 격실 구조를 가지며, 보관부는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격자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has a compartment structure to accommodate the cage, and the storage unit may be arranged in a grid structure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케이지는 교체 및 보수를 위해서 보관부에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다.The cage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storage unit for replacement and mainten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에 복수의 식용곤충 사육용 케이지를 설치하고, 케이지 내부를 식용곤충의 사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하여 식용곤충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ges for raising edible insects ar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the inside of the cage is created in an environment suitable for breeding of edible insects, thereby mass-producing edible ins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 사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 사육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개폐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유도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activity in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couple” does not mean only a cas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 direct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but a different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each contac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용곤충 사육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관부(112)를 갖는 본체 프레임(110), 보관부(112)에 배치되며, 내부에 식용곤충을 사육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지(120)(cage), 케이지(120)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130), 케이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용곤충의 활동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활동유도 구조물(140),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케이지(120)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하는 공조 유닛(150), 및 공조 유닛(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60)을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100)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rame 110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112,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112, and a cage 120 in which a space capable of breeding edible insects is formed inside. ), the door 130 coupled to the cage 12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e activity inducing structure 140 installed inside the cage 120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activity of edible insects, and the main frame 110 An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100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unit 150 that is installed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level inside the cage 120, and a control unit 1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is provided. do.

본 실시예의 식용곤충 사육 장치(100)는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된 복수의 케이지(120)를 통하여, 대량의 식용곤충을 사육할 수 있으며, 활동유도 구조물(140), 공조 유닛(150)을 통하여 식용곤충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can breed a large amount of edible insects through a plurality of cages 12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10, the activity inducing structure 140,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Through this, an environment for mass production of edible insects can be created.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 사육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0)은 측면에 복수의 보관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 프레임(110)의 양측면은 격실의 크기가 일정한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격실에는 보관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11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10. More specifically,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10 may form a grid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compartment is constant, and storage units 112 may be disposed in each compartment.

본체 프레임(110)은 격자 구조를 형성하여 동일 바닥면적에 보다 많은 보관부(112)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관부(112)에 배치되는 케이지(120)의 수를 늘려 식용곤충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The main frame 110 may form a grid structure to form more storage units 112 on the same floor area, and increase the number of cages 120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112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edible insects. have.

또한, 본체 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부재 및 B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A 부재와 B 부재는 측면이 힌지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frame 110 may be composed of an A member and a B member, and the A member and B member may be hinged on side surfaces to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120)(cage)는 보관부(112)에 배치되며, 내부에 식용곤충을 사육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지(120)는 보관부(112)의 내면과 대응되는 외면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식용곤충이 사육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age 120 and the cage are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112, and a space in which edible insects can be reared may be formed. Specifically, the cage 120 may have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2, and a cylindrical space in which edible insects can be reared may be formed.

또한, 복수의 케이지(120)는 교체 및 보수를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각각 보관부(112)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용곤충을 사육하는 사육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ges 120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storage unit 112 according to the arrows shown in FIG. 2 for replacement and repair, and through thi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breeders who breed edible insects. ha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홀(126)은 케이지(120)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케이지(12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기홀(126)은 공조 유닛(15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환기부(154)가 통기홀(126)을 통해 케이지(120)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ventilation hole 126 may be formed in the cage 120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inside of the cage 120 to the outside. Specifically, the ventilation hole 126 may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and a ventilation unit 154 to be described later may forcibly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cage 12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26.

또한, 통기홀(126)에 필터를 설치하여 케이지(120) 내부의 공기 오염도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a filter may be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hole 126 to reduce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side the cage 1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 투입구(128)는 식용곤충의 먹이를 투입하기 위해 케이지(120)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feed inlet 128 may be formed in the cage 120 to put the food of edible insects.

따라서, 먹이 투입구(128)는 사육자가 도어(130)를 개방하여 먹이를 투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eed inlet 128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reeder can omit the process of injecting food by opening the door 130.

구체적으로, 먹이 투입구(128)는 케이지(120)의 일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지(120) 내부에 설치되는 활동유도 구조물(140)의 코어 프레임(142)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eed inlet 128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cage 120, and more specifical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re frame 142 of the activity induction structure 140 installed inside the cage 120 Can be form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2)는 환형으로 케이지(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걸림 돌기(124)는 돌출부(122)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 돌기(124)는 상기 돌출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ge 120 in an annular shape,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rotrusion 122.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2.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는 케이지(120)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외면에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door 130 may be coupled to the cage 120 to open and close, and a handle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돌기(132)는 도어(130)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24)와 맞물려 케이지(12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 돌기(132)는 도어(130) 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개폐 돌기(132)는 각각 복수의 걸림 돌기(124)와 맞물릴 수 있다.3 and 4,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132 may be formed inside the door 13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24 to close the inside of the cage 120.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s 132 may be formed inward along the edge of the door 130, and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s 132 may be engag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24, respectively.

도어(130)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도어(130)의 회전에 따라 걸림 돌기(124)와 개폐 돌기(132)의 맞물림이 조절되어 도어(130)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The door 130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arrow shown in FIG. 4, and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protrusion 12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13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13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30 Can be.

상술한 도어(130)의 구조는 한가지 예일뿐, 도어(130)의 일측은 케이지(12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door 130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one side of the door 130 may be hinged to open and close to one side of the cage 120.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동유도 구조물(140)은 케이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용곤충의 활동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활동유도 구조물(140)은 케이지(120) 내부에 배치되는 바(bar) 타입의 코어 프레임(142) 코어 프레임(142)의 외주에 방사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코어 프레임(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144), 및 활동유도 구조물(140)은 코어 프레임(142)의 양단부와 서브 프레임(144)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4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activity inducing structure 1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ge 120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activity of edible insects. More specifically, the activity induction structure 140 is disposed to be radially symmetrical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r-type core frame 142 and the core frame 142 disposed inside the cage 120 and the length of the core frame 142 The plurality of sub-frames 144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and the activity induction structure 140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146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re frame 142 and the sub-frame 144.

다시 말하면, 서브 프레임(144)은 케이지(120) 내부에서 사육되는 식용곤충에게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활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연결 프레임(146)은 코어 프레임(142)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브 프레임(144)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ub-frame 144 may provide a movement path to the edible insects reared inside the cage 120 to induce activity, and the connection frame 146 extends from the core frame 142 to provide the sub-frame 144 ) Can be supported.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 프레임(142)은 먹이 투입구(128)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먹이 투입구(128)를 통해 케이지(120) 내부로 삽입되는 먹이는 코어 프레임(14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코어 프레임(142) 내측으로 삽입된 먹이는 코어 프레임(142)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코어 프레임(142) 외부로 배출되어 식용곤충에게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e frame 142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eed inlet 128 so that the feed inserted into the cage 120 through the feed inlet 128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ore frame 142, Food inserted into the core frame 1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re frame 142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re frame 142 to be provided to edible insect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 조절부(156)는 코어 프레임(142), 서브 프레임(144) 및 연결 프레임(146)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지(12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습도 조절부(156)는 기화식 습도조절을 통하여 습도 조절부(156)에 흡수된 수분의 자연증발을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펠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humidity control unit 156 is interposed between the core frame 142, the sub-frame 144, and the connection frame 146 to adjust the humidity inside the cage 120, humidity control The unit 156 may control humidity by using the natural evaporation of moisture absorbed by the humidity control unit 156 through vaporization-type humidity control, and may be made of a felt material.

활동유도 구조물(140)은 식용곤충에게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식용곤충의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활동을 유도하여 사육기간을 단축시키고 고영양질의 식용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activity-inducing structure 140 can improve the motility of edible insects by providing a moving path to the edible insects, shorten the breeding period by inducing activities, an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high nutrient quality edible insects can be raised.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유닛(150)은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케이지(120)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조 유닛(150)은 케이지(1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152), 및 케이지(120) 내외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하는 환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10 to control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degree inside the cage 120. Specifically,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152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ge 120, and a ventilation unit 154 that controls humidity and pollution by circulating air inside and outside the cage 120 can do.

온도 조절부(152)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여 케이지(120)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를 말하며, 기존의 온열 장비보다 높은 발열효율을 가져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는 필름 형태로 보관부(112)의 내면에 설치되거나, 케이지(12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케이지(1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52 can contro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ge 120 using carbon nanotubes (CNT), and carbon nanotubes refer to a new material in which hexagons made of six carb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tube shap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al efficiency as it has higher heating efficiency than the heating equipment of. For example, the carbon nanotubes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2 in the form of a film, or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cage 120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ge 120.

환기부(15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홀(126)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Ventilation unit 154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ventilation hole 126, as described abo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60)은 공조 유닛(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후술할 피딩 유닛(170)의 작동 또한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and may als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일반적으로 식용곤충은 27~33℃의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으므로, 제어 유닛(160)은 케이지(120)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온도 조절부(152)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지(120) 내부의 습도 및 오염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환기부(154)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In general, since edible insects can grow stably at a temperature of 27 ~ 33 ℃,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52 by collecting temperature data inside the cage 120, the cage (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154 by collecting internal humidity and pollution degree dat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유닛(180)은 제어 유닛(160)에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공조 유닛(150) 및 피딩 유닛(17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mot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50 and the feeding unit 170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상술한 제어 유닛(160)과 원격 제어 유닛(180)을 통하여 보다 손쉽게 식용곤충을 사육할 수 있어, 인력의 투입을 줄일 수 있어 보다 경제적으로 식용곤충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breed edible insects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6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80, so that the input of manpower can be reduced, so that edible insects can be mass-produced more economical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 유닛(170)은 먹이 투입구(128)를 통해 케이지(120) 내로 식용곤충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1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피딩 유닛(170)은 본체 프레임(1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케이지(120) 즉, 먹이 투입구(128)에 각각 연결되어 식용곤충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eeding unit 170 may provide food of edible insects into the cage 120 through the feed inlet 128, and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60. In other words, the feeding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ges 120, that is, the feed inlet 128 disposed on the main frame 110, to provide food for edible insects.

보다 구체적으로, 피딩 유닛(170)은 케이지(120)에 형성되는 먹이 투입구(128)와 연결되는 먹이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딩 유닛(170)에 저장된 먹이는 먹이 공급 라인을 통해 먹이 투입구(128), 코어 프레임(142), 관통홀을 거쳐 케이지(120) 내부에 사육되는 식용곤충에게 제공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eeding unit 170 may include a feed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eed inlet 128 formed in the cage 120, and the feed stored in the feeding unit 170 is fed through the feed supply line. 128), it may be provided to edible insects reared inside the cage 120 through the core frame 142 and through holes.

제어 유닛(160)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정량의 먹이를 각 케이지(120)에 투입하도록 피딩 유닛(170)을 제어하여 식용곤충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provide food to edible insects by controlling the feeding unit 170 to inject a quantity of food into each cage 12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식용곤충 사육 장치
110: 본체 프레임
112: 보관부
120: 케이지(cage)
122: 돌출부
124: 걸림 돌기
126: 통기홀
128: 먹이 투입구
130: 도어
132: 개폐 돌기
140: 활동유도 구조물
142: 코어 프레임
144: 서브 프레임
146: 연결 프레임
150: 공조 유닛
152: 온도 조절부
154: 환기부
156: 습도 조절부
160: 제어 유닛
170: 피딩 유닛
180: 원격 제어 유닛
100: edible insect breeding device
110: main frame
112: storage unit
120: cage
122: protrusion
124: stumbling protrusion
126: ventilation hole
128: feeding inlet
130: door
132: opening and closing projection
140: activity inducing structure
142: core frame
144: sub frame
146: connection frame
150: air conditioning unit
152: temperature control unit
154: ventilation
156: humidity control unit
160: control unit
170: feeding unit
180: remote control unit

Claims (10)

복수의 보관부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보관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식용곤충을 사육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지(cage);
상기 케이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용곤충의 활동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활동유도 구조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하는 공조 유닛; 및
상기 공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A body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 cage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and having a space for rearing edible insects therein;
A door coupled to the cage to be opened and closed;
An activity inducing structure installed inside the cage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activity of edible insects;
An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degree inside the cage; And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유도 구조물은,
상기 케이지 내부에 배치되는 바(bar) 타입의 코어 프레임;
상기 코어 프레임의 외주에 방사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코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코어 프레임의 양단부와 상기 서브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tivity inducing structure,
A bar-type core frame disposed inside the cage;
A plurality of sub-frames disposed to be radially symmetrical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frame and extending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ore frame; And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ion frame for connecting the sub-frame and both ends of the cor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지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cage to allow air to flow from inside the cage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케이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케이지 내외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습도 및 오염도를 조절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onditioning unit,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age; And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comprising a ventilation unit for circulating air in and out of the cage to control humidity and pollu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지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temperature controller uses a carbon nanotube (CNT)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g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식용곤충의 먹이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지에 형성되는 먹이 투입구; 및
상기 먹이 투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지 내로 식용곤충의 먹이를 제공하는 피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피딩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eed inlet formed in the cage to inject food from edible insects; And
Further comprising a feeding unit for providing food of edible insects into the cage through the feed inle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unit,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개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개폐 돌기가 맞물려 상기 도어가 상기 케이지 내부를 폐쇄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nnular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g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sion,
An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the doo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oor closes the inside of the c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상기 공조 유닛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케이지를 수용 가능하도록 격실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관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격자 구조로 배치되는,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has a compartment structure to accommodate the cage,
The storage unit is arranged in a grid structure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교체 및 보수를 위해서 상기 보관부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식용곤충 사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ge is an edible insect breeding device that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storage unit for replacement and repair.
KR1020190018798A 2019-02-18 2019-02-18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KR102215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798A KR102215022B1 (en) 2019-02-18 2019-02-18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798A KR102215022B1 (en) 2019-02-18 2019-02-18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67A true KR20200100467A (en) 2020-08-26
KR102215022B1 KR102215022B1 (en) 2021-02-09

Family

ID=7229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798A KR102215022B1 (en) 2019-02-18 2019-02-18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02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799B1 (en) 2020-12-07 2021-03-12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Insect vending machine
KR102237687B1 (en)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Insect breeding robot
KR102239560B1 (en) 2020-09-18 2021-04-14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using insect feces and method thereof
KR20220094694A (en) 2020-12-29 2022-07-0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KR20220105396A (en) 2021-01-20 2022-07-27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able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676Y1 (en) * 2000-08-05 2001-02-15 최석호 locking device of lid in pressure contaner for cooking
KR20180000045U (en) 2016-06-27 2018-01-04 이재형 Domestic edible insects breeding equipment for the harvesting of edible insects and observe ingredients
KR101836864B1 (en) * 2016-12-20 2018-03-09 송광수 System for growth management using smart device
KR101840734B1 (en) * 2016-08-24 2018-04-05 (주)한기술이엔지 heat pa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73289A (en) * 2016-12-22 2018-07-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귀뜰 Cricket breeding device using movable container
KR20190004203A (en) * 2017-07-03 2019-01-11 한동석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676Y1 (en) * 2000-08-05 2001-02-15 최석호 locking device of lid in pressure contaner for cooking
KR20180000045U (en) 2016-06-27 2018-01-04 이재형 Domestic edible insects breeding equipment for the harvesting of edible insects and observe ingredients
KR101840734B1 (en) * 2016-08-24 2018-04-05 (주)한기술이엔지 heat pa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836864B1 (en) * 2016-12-20 2018-03-09 송광수 System for growth management using smart device
KR20180073289A (en) * 2016-12-22 2018-07-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귀뜰 Cricket breeding device using movable container
KR20190004203A (en) * 2017-07-03 2019-01-11 한동석 Cricket rearing box and wall using cricket rear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60B1 (en) 2020-09-18 2021-04-14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Edible insect breeding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using insect feces and method thereof
KR102226799B1 (en) 2020-12-07 2021-03-12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Insect vending machine
KR102237687B1 (en)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Insect breeding robot
KR20220094694A (en) 2020-12-29 2022-07-0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KR20220105396A (en) 2021-01-20 2022-07-27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able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022B1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022B1 (en) Breeding apparatus for edible insect
Leman et al. Supplemental food that supports both predator and pest: a risk for biological control?
Glatz et al. Poultry housing and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CN105746427A (en) Staged cattle raising method
KR20160131452A (en) Medicated edible insect rearing unit
KR102206189B1 (en) Spawning device for Soldier Fly
US20220071167A1 (en) Climate controlled stable
Čičková et al. A behavioral method for separation of house fly (Diptera: Muscidae) larvae from processed pig manure
CN204707668U (en) A kind of Livestock fowl raise booth scattered
Lukefahr et al. Limitations of intensive meat rabbit production in North America: A review
CN104430000A (en) Piglet pigsty
KR102133085B1 (en)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Schmidt An IACUC perspective on songbirds and their use in neurobiological research
CN204047648U (en) One is fed esculent swift Multifunctional insect cultivation cage
KR20220059762A (en) insect breeding equipment with growth environment control
Bobbo et al. Binocular and monocular/unihemispheric sleep in the domestic chick (Gallus gallus) after a moderate sleep deprivation
CN109122650A (en) It is a kind of for killing the portable insect killer of soil worm pupa
TWM579891U (en) Black soldier fly breeding device
CN213639211U (en) Insulation can is used in livestock breeding
Harrison A Place to Start a Family: Poems About Creatures That Build
Baldinger et al. Design and use of piglet nests in commercial farms and the effects of improved piglet nest design
RU2530524C1 (en) Method of introduction of artificially reared birds to wild life
KR20210132941A (en) Apparatus for automatic breeding edible insect
CN204305773U (en) A kind of for medicine fowl cultivation change wind structure
Lagasca et al. Hatchability of duck eggs as affected by types of incubators under varying relative humid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