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352A -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 Google Patents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352A
KR20200100352A KR1020190018514A KR20190018514A KR20200100352A KR 20200100352 A KR20200100352 A KR 20200100352A KR 1020190018514 A KR1020190018514 A KR 1020190018514A KR 20190018514 A KR20190018514 A KR 20190018514A KR 20200100352 A KR20200100352 A KR 2020010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boarding
manned
boarding part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780B1 (ko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현 filed Critical 박주현
Priority to KR102019001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78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6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for use as personal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08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 B64C29/0016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 B64C29/0033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the propellers being tiltable relative to the fuselage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에 곤한 것으로, 드론의 추진을 위해 기울어진 부분과 탑승부분을 분리하여 사람이 탑승부는 전동모터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들어올려 탑승자가 수평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빌딩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단거리 탈출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론(1)의 양측에 날개(2)와 프로펠러(3)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2)사이에 스윙암(4)과 구동부(6)가 결합되며, 상기 스윙암(4)과 구동부(6)에 캡슐형 탑승부(5)를 자이로 스코프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드론(1)의 전진시에 탑승부(5)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A manned drone that separates the flight part from the occupant and combines it with an axis}
본 발명은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론의 전진을 위해 기울어진 부분과 탑승부분을 분리하여 사람이 탑승한 부분은 전동실린더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들어올려 탑승자가 수평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빌딩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단거리 탈출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이 전진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펠러의 축이 전진방향으로 기울어져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방 프로펠러보다 후방 프로펠러를 더 강하게 회전시켜야 기체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사람이 드론의 기체에 탑승하고 있다면, 기체가 기울어진 만큼 몸이 앞으로 기울어져 경우에 따라 심각한 공포감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의 추진을 위해 기울어진 부분과 탑승부분을 분리 구성하여 사람이 탑승한 부분은 전동실린더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들어올려 탑승자가 수평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드론의 전진시에도 탑승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력을 얻는 날개를 구비하고, 양력과 추진력을 동시에 얻는 프로펠러를 장착한 유인드론으로, 모든 날개와 프로펠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유닛으로 움직이는 스윙암에 결합되며,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부를 날개 사이의 축에 별도로 분리 설치하여 탑승부가 스윙 암을 통해 날개와 프로펠러 유닛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탑승부가 캡슐형태로 구성되어 자이로 스코프로 드론의 전진시에도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드론의 추진을 위해 기울어진 부분과 탑승부분을 분리 설치하여 사람이 탑승한 부분은 전동실린더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들어올려 탑승자가 수평상태로 탑승하도록 하는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을 제공함으로써 드론이 수직으로 이착륙하고 수평으로 더 빠르게 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빌딩의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단거리 탈출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실린더 동작에 따른 드론의 이착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드론 전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실린더 동작에 따른 드론의 이착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드론 전진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드론(1)의 양측에 날개(2)와 프로펠러(3)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2)사이에 스윙암(4)과 구동부(6)가 결합되며, 상기 스윙암(4)과 구동부(6) 부분에 캡슐형 탑승부(5)를 자이로 스코프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단, 상기 드론(1)의 전진시 전동실린더(7)가 탑승부(5)를 수평으로 당겨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돌아가는 구조가 아니고, 고착된 구조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드론(1)의 가로(a)와 세로(a) 길이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1)의 양력을 프로펠러(3)로만 얻는 경우 양력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양력을 얻는 날개(2)를 추가적으로 부착하는데, 이때 양력을 얻는 날개(2)와 프로펠러(3)의 축방향을 어긋나게 배치한다.
따라서, 드론(1)이 수직으로 천천히 이륙하거나 수직으로 착륙할 때에는 프로펠러(3)의 축이 하늘을 향하고 날개(2)의 받음각이 매우 큰 각도가 되지만 드론(1)이 전진하지는 않으므로 날개(2)의 역할과 작용은 없게 된다.
이는 도 3과 같이 전동실린더(7)로 드론(1)의 이륙 전 앞쪽을 들어올려 프로펠러(3) 방향이 하늘을 보도록 한 상태에서 드론(1)이 그대로 이착륙을 하게 된다.
도 4는 드론(1)이 이륙 후 전진비행을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1)이 전진할 때 탑승부(5)가 앞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전동실린더(7)가 탑승부(5)를 수평으로 당겨 올린다.
따라서, 드론(1)의 전진시 탑승부(5)가 전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비행중 미세한 변화에도 즉시 대응하지는 않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드론(1)은 일정하게 전진비행을 하는 상태에서 탑승자의 자세를 바로잡아 수평으로 유지해 준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드론(1)이 전진비행을 하는 상태에서 착륙은 가능하지만 기수가 하늘로 들려있게 되며, 드론(1)의 하부에 전륜, 후륜 바퀴(랜딩기어)가 장착되어 있어 자세와 무관하게 드론(1)의 기체가 땅에 직접 닿지는 않는다.
또한, 드론(1)이 전진할 때에는 프로펠러(3)의 축이 전진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같이 붙어 있는 날개(2)도 기울어져 받음각이 작아져 드론(1)이 전진하면서 적절한 양력을 추가로 날개(2)로부터 얻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유인 드론으로, 사람이 탑승부(5)에 탑승하게 되며, 탑승부(5)의 양측에는 양력을 얻는 날개(2)를 구비함과 함께 양력과 추진력을 동시에 얻는 프로펠러(3)를 장착하였기 때문에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수평으로 더 빠르게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건물의 화재나 비상사태 발생시 단거리 탈출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드론(1)이 전진하려면, 프로펠러(3)의 축이 전진방향으로 기울어져야하는데 이를 위해 전방 프로펠러 모터보다 후방 프로펠러를 강하게 회전시켜 드론(1)의 기체를 기울이게 해야 한다.
이렇게 후방 프로펠러를 강하게 회전시켜 드론(1)을 전방으로 기울일 경우, 만일 사람이 탑승하고 있다면, 드론(1)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만큼 탑승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져 경우에 따라 심각한 공포감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드론(1)의 전진을 위해 기울어지는 부분과 탑승부(5)를 분리 구성하여 사람이 탑승한 부분은 전동실린더(7)로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들어올림으로써 탑승자가 수평상태로 탑승부(5)에 탑승할 수 있다.
한편, 드론(1)의 양력을 프로펠러(3)로만 얻는 경우에는 양력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므로 추가적으로 양력을 얻기 위한 날개(2)를 부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양력을 얻기 위한 날개(2)와 프로펠러(3)의 축 방향을 어긋나게 하여 붙임각이 크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수직으로 천천히 이착륙시에는 프로펠러(3)의 축은 하늘을 향하게 되는 한편, 날개(2)의 받음각은 매우 큰 각도이지만 드론(1)이 전진하지는 않으므로 날개(2)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드론(1)이 전진할 때에는 프로펠러(3)의 축이 전진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유닛에 같이 붙어 있는 날개(2)도 앞으로 기울어져 받음각이 작아지게 되므로 드론(1)이 전진하면서 추가적으로 양력을 날개로부터 얻게 되는 것이다.
1:드론 2:날개
3:프로펠러 4:스윙암
5:탑승부 6:구동부
7:전동실린더

Claims (3)

  1. 드론(1)의 양측에 날개(2)와 프로펠러(3)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2)사이에 스윙암(4)과 구동부(6)가 결합되며, 상기 스윙암(4)과 구동부(6)에 캡슐형 탑승부(5)를 자이로 스코프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드론(1)의 전진시에 탑승부(5)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력을 얻는 날개(2)와 프로펠러(3)의 축방향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붙임각이 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1)의 전진시 전동실린더(7)가 탑승부(5)를 수평으로 당겨 올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KR1020190018514A 2019-02-18 2019-02-18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KR10218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14A KR102186780B1 (ko) 2019-02-18 2019-02-18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14A KR102186780B1 (ko) 2019-02-18 2019-02-18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52A true KR20200100352A (ko) 2020-08-26
KR102186780B1 KR102186780B1 (ko) 2020-12-04

Family

ID=7224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14A KR102186780B1 (ko) 2019-02-18 2019-02-18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38B1 (ko) * 2021-01-08 2022-10-31 조금배 유인 탑승용 포터블 비행체
KR102606816B1 (ko) 2021-11-02 2023-11-29 주식회사 새안알엔디 제트엔진 클러스터 유니트를 추진체로 갖는 유인드론
KR102606817B1 (ko) 2021-11-02 2023-11-29 주식회사 새안알엔디 제트엔진 클러스터 유니트를 추진체로 갖는 유인드론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0519A1 (en) * 2003-09-10 2005-10-20 Hurley Francis X Counter-quad tilt-wing aircraft design
US20100051740A1 (en) * 2008-09-02 2010-03-04 Urban Aeronautics Ltd. Vtol vehicle with coaxially tilted or tiltable rotors
US20110042510A1 (en) * 2009-08-24 2011-02-24 Bevirt Joeben Lightweigh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Flight Control Paradigm Using Thrust Differentials
WO2012141736A1 (en) * 2010-10-06 2012-10-18 Shaw Donlad Orval Aircraft with wings and movable propellers
KR20130113904A (ko) * 2012-04-06 2013-10-16 조효석 도로주행용 비행기
WO2017081668A1 (en) * 2015-11-13 2017-05-18 Zhou Dylan Amphibiou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system and flying car with multiple aerial and aquatic flight modes for capturing panoramic virtual reality views, interactive video and transportation with mobile and wearable application
JP2017104365A (ja) * 2015-12-11 2017-06-15 株式会社ディスコ 有人ドローン
US20170274996A1 (en) * 2015-06-12 2017-09-28 Sunlight Photonics Inc. Aircraft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JP6213713B2 (ja) * 2013-05-16 2017-10-18 株式会社Ihi 垂直離着陸機
US20180002011A1 (en) * 2016-07-01 2018-01-0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Aircraft with Selectively Attachable Passenger Pod Assembly
US20180346112A1 (en) * 2017-05-31 2018-12-06 Hsun-Yin Chiang Simple pitch control device for dual-mode aircraft with vtol and fixed-wing flight
KR20190003761A (ko) 2016-05-10 2019-01-09 두센티스 바이오테라퓨틱스 리미티드 Cd200 돌연변이체 및 그의 용도
KR20190047782A (ko) 2017-10-30 2019-05-09 조승철 네트워크 기반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KR20190090974A (ko) 2018-01-26 2019-08-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내벽 피닝 어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0519A1 (en) * 2003-09-10 2005-10-20 Hurley Francis X Counter-quad tilt-wing aircraft design
US20100051740A1 (en) * 2008-09-02 2010-03-04 Urban Aeronautics Ltd. Vtol vehicle with coaxially tilted or tiltable rotors
US20110042510A1 (en) * 2009-08-24 2011-02-24 Bevirt Joeben Lightweigh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Flight Control Paradigm Using Thrust Differentials
WO2012141736A1 (en) * 2010-10-06 2012-10-18 Shaw Donlad Orval Aircraft with wings and movable propellers
KR20130113904A (ko) * 2012-04-06 2013-10-16 조효석 도로주행용 비행기
JP6213713B2 (ja) * 2013-05-16 2017-10-18 株式会社Ihi 垂直離着陸機
US20170274996A1 (en) * 2015-06-12 2017-09-28 Sunlight Photonics Inc. Aircraft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WO2017081668A1 (en) * 2015-11-13 2017-05-18 Zhou Dylan Amphibiou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system and flying car with multiple aerial and aquatic flight modes for capturing panoramic virtual reality views, interactive video and transportation with mobile and wearable application
JP2017104365A (ja) * 2015-12-11 2017-06-15 株式会社ディスコ 有人ドローン
KR20190003761A (ko) 2016-05-10 2019-01-09 두센티스 바이오테라퓨틱스 리미티드 Cd200 돌연변이체 및 그의 용도
US20180002011A1 (en) * 2016-07-01 2018-01-0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Aircraft with Selectively Attachable Passenger Pod Assembly
US20180346112A1 (en) * 2017-05-31 2018-12-06 Hsun-Yin Chiang Simple pitch control device for dual-mode aircraft with vtol and fixed-wing flight
KR20190047782A (ko) 2017-10-30 2019-05-09 조승철 네트워크 기반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KR20190090974A (ko) 2018-01-26 2019-08-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내벽 피닝 어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780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102B2 (en) Deep stall aircraft landing
CN109606672B (zh) 具有可向下倾转的后旋翼的倾转旋翼式飞行器
US20200182613A1 (en) Inverted-Landing Aircraft
US11142309B2 (en) Convertible airplane with exposable rotors
US11148800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EP0629164B1 (en) Thrust vectoring free wing aircraft
US20180086442A1 (en) Tilt Winged Multi Rotor
KR20200100352A (ko) 비행부와 탑승부를 분리하여 축으로 결합한 유인드론
CN106184739A (zh) 能垂直起飞的飞行设备
WO2019079930A1 (zh) 一种可垂直起降的海陆空潜四栖倾转三旋翼无人机
WO2019188849A1 (ja) 高速ドローン等航空機
JP7104427B2 (ja) 翼付ドローン
KR20190133528A (ko) 비행체 및 비행체 자세 제어 시스템
CN106005394A (zh) 一种救援飞行器
KR20190057056A (ko) 다목적 비행체
CN106005371B (zh) 差分直驱全动三舵面无人机
US20210403164A1 (en)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JP3022287B2 (ja) 無線制御複葉飛行機
JP7178099B2 (ja) 飛行体
EP3999416B1 (en) Closed wing vtol aircraft
WO2020059155A1 (ja) 飛行体
JP2020147286A (ja) 飛行体
JP2016137150A (ja) 飛翔体
CN106218885B (zh) 一种倾转旋翼无人机
US3281096A (en) Aircraft guid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