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268A -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268A
KR20200100268A KR1020190018307A KR20190018307A KR20200100268A KR 20200100268 A KR20200100268 A KR 20200100268A KR 1020190018307 A KR1020190018307 A KR 1020190018307A KR 20190018307 A KR20190018307 A KR 20190018307A KR 20200100268 A KR20200100268 A KR 2020010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lide
disaster prevention
pump
distribu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성 filed Critical 이우성
Priority to KR102019001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0268A/ko
Publication of KR2020010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인데,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인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 및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으로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높이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는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종전의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매몰에 의해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는 크다고 할 것이다.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과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대를 설치함으로써, 인명 피해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와 인명구조대를 구비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고,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기 위해 비상탈출구 상단에 인명구조용 그물과 튜브를 설치하며,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는 도로와 운동장과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생활터전을 구성하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Dispatching device for landslide disaster prevention}
본 발명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인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 및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으로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는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촌 내륙의 강가와 해안의 바닷가 지역에 자연재해로부터 안전성이 취약하여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합당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설치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부각되어 이에 대한 안전성과 경제성에 따른 해결방법을 설계와 실험을 계속하여 연구가 진행되면서 쓰나미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설계 공정을 찾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따라서 이런 시기에는 산사태가 예견되는 곳을 피해야 하며 산의 절개지나 임도, 수풀이 자라지 않는 급사면, 암석 상태가 불안정한 잡석 지대의 협곡 주변에서 야영을 하거나 등반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하고 이런 지형에서 야영을 할 때 한밤중에 폭우가 쏟아지면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철수하는 것이 최선책인데, 산사태로 흙더미 속에 매몰되는 것은 눈사태로 인한 매몰보다 사망률이 훨씬 높아서 산사태가 일어나기 바로 전에는 작은 돌이나 흙이 조금씩 떨어져 내리기 때문에 어느 정도 위험을 예견할 수 있고 또는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가 발생되거나 집단가옥들이 매몰되어 인명 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런 조짐이 보일 때는 신속히 그 자리를 피해야 하며 등산중에는 휴대전화로 국번 없이 131번을 걸어 해당 지역의 날씨를 확인할 수 있다.
1958년 알래스카의 리트야 만에서 발생한 산사태 때도 바닷물의 높이가 250m까지 치솟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 한반도는 판구조론의 측면에서 볼 때 환태평양 지진대에서 비켜나 있다. 그러나 동해나 일본 서안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면 1시간~1시간 30분 후에는 우리나라의 동해안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우리나라 동해안 지형의 특성상 울진 근처로 지진 해일이 밀려올 가능성이 가장 높다. 게다가 울진 근방은 원자력 발전소 시설이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종전의 산사태가 예견되는 해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바닷물의 수위를 끌어 올리는 현상을 해일(海溢, overflowing of sea)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주로 태풍에 의해서 일어난다.
해일은 농경지, 임해 공단, 해안, 항만 시설, 주택지 등에 피해를 주며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2∼3회 정도 발생한다.
이러한 해일을 일반적으로 폭풍 해일이라고 하며 달과 태양의 인력에도 영향을 받는데, 특히 사리 때에 발생하는 해일은 큰 피해를 입힌다. 해일의 원리는 의외로 간단하다.
폭풍 해일은 태풍이나 저기압에 의하여 바닷물의 수위가 올라가는데 대기압 1mb는 물을 1㎝만큼 끌어 올리는 힘이 있다.
그러므로 만약 태풍의 중심 기압이 주위보다 30mb 낮다면 30㎝ 정도 수위가 올라가며, 이때 강한 폭풍우 때문에 더 해일이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한편,계곡의 양측으로 밀집지역의 주택지 낮은 지역의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집중호우시에 도로공사, 아파트 및 골프장 등 건설과 관련된 인재(人災)로 많이 발생하여 그 장소가 일정하지 않으나, 자연 상태에서는 산복(山腹)의 얇은 풍화층(風化層)에서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자연 상태에서의 산사태 때 제거되는 암설의 양은 많지 않고 그 피해도 심각하지는 않다.
산사태는 토양을 포함한 사면의 풍화층이 물을 흠뻑 먹을 때 일어난다. 그러나 풍화층은 포화상태(飽和狀態)를 넘을 만큼 물을 먹어도 탄력성과 응집력을 유지하며, 경사가 상당히 급한 사면에서도 그 자리에 머물러 있으려는 속성이 있다. 그러다가 이러한 풍화층이 강한 바람이나 지진의 충격을 받으면 순간적으로 탄력성과 응집력이 상실되어 결국 산사태가 발생한다.
1959년 9월에 김해지방을 강타한 사라호 태풍은 20세기 우리나라로 상륙한 것 중 가장 강한 것이었는데, 이 태풍이 지나간 양산천 계곡에서는 백수십 곳에서 산사태가 일어났다. 이곳의 산사태를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은 만장년기에 해당하는 화강암산지의 산복에서 일어나 규모가 작았고, 초속 약 60m의 바람을 가장 많이 받은 사면이 산사태의 피해를 가장 심하게 입었다. 이때 내린 비의 양은 약 300mm였고 이는 10분 동안 내린 양이다.
『증보문헌비고』에 1088년 해일이 처음 발생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도 1392~1903년에 모두 44회의 해일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산불예방을 간단히 이루게 되는 계단식 무동력 수격펌프(393)의 관노즐 집수정 탱크 설치에 따른 탄산가스 소화기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설치 방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다중 관 소방호스 및 분사노즐 조립모형 구성도 및 조립제작 과정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산불발생시 1초 이내로 초기진화를 이루게 구성하는 삼칠계단식 펌프 소화기 화재예방 방식의 집수정 탱크 및 그에 대체하는 마노매턴형 레벨균형 관노즐 설치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해양발전소 몸체 인근 산봉우리와 연결 구조물 각개의 빌딩과 건물 옥상에 감속기(251)와 전동기 몸체(192)로 구축된 승강기 기계실의 타구어윈치(137)에 와이어로프(19)를 철탑(116) 상부로 구동바퀴 로라(135)에 부착시킨 후 케이블카아(256)에 소방센서펌프 일체의 소방방재 대책용품을 탑재시켜 1초 이내로 초기진화를 이루도록 소방방재라인을 구성시킨 산속 계곡 정상 부위와 바닷가 주변의 소방방재라인이 구축된 승강기의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사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해양발전소 몸체 각개의 화재유형별로 1초 이내에 초기진화를 이루게 되는 산정상 부위와 빌딩과 건물 각개의 승강기 기계실의 집수정 펌프와 소방 설치 위치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와이어로프 및 분사노즐과 이중관 구조 소방호스 설치운전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작동 방식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옥내의 화재를 1초 이내로 초기진화 및 인명구조를 간단히 이루게 되는 옥상탱크와 압력탱크에 급수장치 상수도 연결펌프소화기의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산사태방재기계의 분배투입장치 설치 방식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산의 각부 능선에 위치하는 계단식 댐 회전수로의 수해조절의 육지의 수력발전소와 어도터널(672)과 연결구조를 갖춘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해양발전소 몸체 사시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산의 각부 능선에 위치하는 계단식 댐 회전수로의 수해조절의 육지의 수력발전소와 어도터널(672)과 연결구조를 갖춘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해양발전소 몸체 수력발전설비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산의 각부 능선에 위치하는 계단식 댐 회전수로의 수해조절의 육지의 수력발전소와 어도터널(672)과 연결구조를 갖춘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해양발전소 몸체 수력발전설비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산사태에 포함하는 산사태 발생전 후 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이와는 달리 해상에서는 이중구조 블록탱크 집진기를 구비한 해양원자력수력발전소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비해 산사태방재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종전의 산사태방재와는 현격한 차이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제조된다.
도 1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를 극복하는 분류를 아래의 그림에 의해 설명한다.
Figure pat00001
<그림 1>
그림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전의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매몰에 의해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는 크다고 할 것이다.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이 투입되는 것은 물론이다,
Figure pat00002
<그림 2>
그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대를 설치함으로써, 인명 피해는 없다고 할 것이다. 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와 인명구조대가 투입되는 것은 물론 이다.
도 1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분야 이므로 도 1 내지 도 33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특허번호 제1799861호 참조,특허번호 제1570665호 참조,)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장비 굴착기계에는 불도저(855)와 스크레이퍼(859)에 엑스 카베이터(856)와 루터로 분리되고 다음은 기초공사용 기계인데 파일 드라이버(882)와 디젤 파일 해머(883)에 증기 해머(884)로 분리되며 그 다음의 크레인(기중기, 861)에는 유압크레인(885)과 타워크레인(886)에 크롤러 크레인(887)과 트럭크레인(888)으로 분리하고 적재기계에는, 로더(857)인데 셔블로더(857a)와 팰로더(857b)에 페이로더(857c)로 분리하며 다음의 정지기계에는 모터 그레이더(864)로 분리하고 다짐 기계에는 머 캐덤 롤러(889)와 탠덤 롤러(890)에 탬핑 롤러(891)와 타이어 롤러(892)로 분리되며 다음의 포장기계에는 콘크리트 피니셔(866)에 아스팔트 피니셔 (871)와 아스팔트디스트리뷰터(871a)에 콘크리트 배칭 플랜트(865)와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870)에 골재 살포기(873)로 분리하면서 운반기계는, 덤프 트럭(860)과 트랙터(893) 및 트레일러 (894)와 지게차 (858)에 컨베이어(633)로 분리하고 준설기계에는, 준설선(879)으로서 그에 대한 범위에는 펌프 준설선(879a)과 버킷 준설선(879b)에 디퍼 준설선(879c)과 그래브 준설선(879d)으로 분리시킨 후 별도의 주요 건설기계에는, 천공기(876)에 쇄석기(874)와 공기 압축기(875)로 분리되어서 바지선 선체(591) 갑판 데크 상단부에서 구성시켜 굴착, 운반, 견인에 사용하고 심해저 위치에서는 수중조명(843)과 무인카메라(184)를 부착한 엔진발전기(226)는 각개의 건설기계 몸체에서 격리시켜 무인작동방식의 모니터(52) 작동 장치로 산사태조절을 극복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선택된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종래의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건설기계조절부(811a) 쓰나미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구성하는 건설기계의 쓰나미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더욱 상세한 설명에 있어 각개의 순서별 개요와 정의는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트랙터의 전면부에 배토 판(스트레이트형, 앵글형 등)을 장착하고 후면에 리퍼, 루터의 부수장치를 부착하여 흙, 암반 등을 깎아 밀어내는 토공용 건설기계이며 건설기계의 가장 기본이 되는 토공 기계로서 불(황소) + 도 저 (쉬게 하는 기계)의 복합용어로서 황소를 노동으로부터 해방 시킬 정도로 힘이 센 밀어내는 작업을 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에 포함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이다.
용도에 있어서 아래 표와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pat00003
일반사항으로는 도저의 규격 표시는 자중(t o n 또는 k g)으로 표시 즉 자체중량으로 표시하며 도저의 경제적인 작업거리는 10100m이며 별도로 2대의 도저로 삽 맞대기작업시 거리는 100m 이내로 하면서 도저의 3대 작업은 아래의 표와 같으며,
Figure pat00004
도저의 동력전달순서에 있어서 아래의 표와 같고,
Figure pat00005
도저의 작업량 산출에 있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1) 시간당 작업량 :
Figure pat00006
단, q : 토공 판 용량(m3) f : 토 량 환산계수
E : 작업효율() C m : 1회 사이클시간(m i n)
블레이드 (토공 판)용량 :
Figure pat00007
여기서. Q : 블레이드 용량(m3)
B : 블레이드 폭(m)
H : 블레이드 높이(m)
Figure pat00008
1회 사이클시간
Figure pat00009
(단. L : 작업거리(m). V 1 : 전진속도(m i n). V 2 : 후진속도(m/m i n). t : 기어변환시간(m i n)
견인력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 마찰계수)
(W : 차량 중량(k g))
견인마력(H)
Figure pat00011
단,
Figure pat00012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종래의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구성하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도저의 분류에 있어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주행장치에 의한 분류(=접지 압 을 고려한 분류)에는 아래의 표와 같이 무한궤도식이 사용되는 크롤러형도저(855a)와 휠형도저(855b)로 분리한다.
Figure pat00013
무한궤도식(Crawler type)은 접지면적이 넓고, 접지 압력이 적어 나쁜 지형에서도 강력한 굴착능력을 가지며, 등판능력이 좋다. 습지용 트래슈를 사용하면 접지압이 낮아서 습지작업에 아주 적합하며, 트랙이 잠길 수 있는 깊이까지는 수중 작업이 용이하다.
타이어식(Wheel type : 차륜식)은 접지면적이 크고, 접지 압력이 커서 습지, 사지에의 작업이 불가능하지만 무한궤도식보다는 기동성,이동성이 양호하며 평탄지면이나 포장도로에서 작업하기에 효과적이다.
작업장치에 의한 분류에 있어서는 스트레이트도저(855c)와 틸트도저(855d)에 앵글도저(855e)로 분리하는데,스트레이트도저는 통상적으로 도저라 하며 삽을 변경할 수 없으며, 삽날(배토판)의 상부를 10씩 경사지게 조작하며 직선 절토, 송토 작업에 사용 블레이드(Blade)의 상하 작동에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자체중량으로 강력한 힘을 내어 굴착하는 기계인데 피치 조정으로 전후방 10씩 삽의 변화 각을 주어 굴토력을 조정할 수 있다.
앵글 도저(855e)는,삽날이 길고 낮으며, 삽날의 위치를 좌우로 필요한 각도만큼 변경하여 사용 틸트 도저(855d)와 스트레이트 도저(855c)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신설 도로 작업시 산허리를 깎아 한쪽으로 배토하는데 적합하고나,위 그림의 용도에 있어서 경사지 배토 작업, 절토 작업, 제설작업, 측면 매몰작업, 도랑 매립작업, 파이프 매설작업, 굳은 땅 측면 자르기 작업에 사용되며 틸트 도저는,삽날의 각도를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각각 15cm 정도 경사를 지어 작업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언 땅, 굳은 땅, 옆 도랑 굴착, 바위 돌 굴리기, V형 배수로작업에 사용하며, 산사태조절을 극복 조정할 수 있게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구성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종래의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구성하는 건설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부수장치에 의한 분류에는,
레이크도저와 힌지도저(855f)에 트리도저(855g)와 하이드릭리퍼(855i)에 푸시도저와 티나도저에 U도저로 세분화 되어 있으면서 레이크도저(855h)는,삽날 대신에 레이크 형의 쇠고랑 모양 부수장치를 부착한 도저이며 용도는 농지개간 및 도로공사 시 암석 골라내기, 잡목이나 나무뿌리 뽑기,댐건설 공사 시 큰돌 운반에 적합. 굳은땅 파헤치기에 사용된다.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트리도저(855g)는, 개간, 정지작업에 적합하고,힌지도저(855f)는 제토, 제설작업,토사 운반에 적합하며,하이드릭리퍼(855i)에는 지반이 단단하고 견고하여 굴착이 곤란한 경우 사용되었으며 불도저의 토공판으로 굴착이 곤란한 경우나 발파가 곤란한 암석 또는 옥석류의 제거, 아스팔트 포장 파괴에 사용한다.
푸시도저는 스크레이퍼 작업시 견인력을 주기 위해 스크레이퍼를 뒤에서 밀어주는 역할을 하면서 터나도저는 저압의 고무타이어식도저로 무한궤도식보다 고속이고, 운반토량의 증가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이 쉽고 포장에 해를 주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U도저는 블레이드가 U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옆으로 넘치는 것이 적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을 구성하는 굴삭기(856)와 연결구조를 갖춘 유압탱크(819)에 플런저펌프(148)의 사축식 플런저펌프(148b)와 레이디얼 플런저펌프(148c) 건설기계 연결구조물로 구성하고,상기 유압탱크(819)는,열판(819a)과 유면계(819b)에 드레인(819c)과 탱크밑판(819d)에 격판(819e)과 석션스트레이너(819f)에 위판패킹(819g)과 흡입구패킹(819h)에 흡입구뚜껑(819i)과 탱크위판(819j)에 에어 블리저 겸 주유구(819k)과 탱크각판(819l)에 청소창 패킹(819m)들로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방재기계들로 구비되어 유압모터(820)와 유압펌프(821)로 연결하여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플런저펌프(148)의 사축식 플런저펌프(148b)와 레이디얼 플런저펌프(148c)는,플런저(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펌핑작용을 하는 펌프로서 고압펌프에 적합하다. 플런저펌프(148)는 플런저의 왕복운동방향과 구동회전방향과의 상대관계에 따라 액셜형(axial type)과 레이디얼형(radial type)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유형의 펌프 또는 모우터를 로우터리(rotaty) 펌프(337)라고도 말한다. 크랭크식 피스톤 펌프는 피스톤의 운동으로 분류하면 일종의 레이디얼형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구조상 다른 펌프와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하나의 독립된 형식으로 분류해서 생각한다.
로우터리형 펌프(337)는 왕복운동 부분의 질량이 극히 작던가, 또는 전혀 왕복운동 부분이 없으므로 고속운전(보통 3000∼4000rmp, 큰 것은 15,000rpm 이상)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교적 소형으로 고압 고성능의 펌프가 얻어진다. 다수의 플런저를 갖는 펌프를 고속 운전하므로 송출유의 맥동이 극히 적고, 진동도 적기 때문에 비교적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기구상 가변용량형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플런저의 지름이 비교적 작고, 행정도 작으며 공작정도도 얻기 쉬우므로 높은 용적효율의 펌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플런저 펌프는 송출압력 700∼350kgf/cm2, 송출량 10∼50ℓ/min, 효율 80∼90%의 것이 보통이다.
크랭크식의 피스톤 펌프는 종래에는 저속대형의 것이 많았으나 근래에는 고속회전, 고압, 소 송출량의 것이 개발되어 소형, 고효율, 구조가 간단한 특징 때문에 일반 산업용 및 특수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액셜형 플런저 펌프(148a)에 있어서는,상기 펌프 구조와 특징에는,플런저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축심과 평행하게 배열된 실린더 블록에 삽입되어, 축심과 구동축과의 경각 혹은 사판 등의 기구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해서 펌핑작용을 하는 펌프로서 사축식(bent axis pump)과 사판식(swash plate pump)으로 크게 나눈다.
사판식 액셜 피스톤 펌프의 단면과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 실린더 블록은 구동축과 스플라인(spline)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사판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사판식은, 사축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소형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상 회전중량이 축 주위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고속회전에 적합하여 설치면적이 좁은 건설차량이나 하역 운반기계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불도저(855)들은,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도저의 동력전달장치 부품들로 구성하는 부양식독 선체위치 이동설비 조절부(811a)의 구성에는,불도저의 부속장치의 토공장치를 대체하여 부속장치를 부착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도저의 동력전달장치(855j)구성에는,캠기타장치용 흡입펌프(855k)와 기관(855l)에 냉각계통(855m)과 최종기어장치(855n)에 기동륜의 스프로킷(855o)과 유동륜의 아이들러(855p)에 조항 클러치(855q) 건설기계의 도저의 동력전달장치 부품들로 구비된 선체위치이동 건설기계조절부(811a)의 건설기계들로 구성하는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 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피해방지를 극복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는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을 구성하며.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구성하는 건설기계의 개요에 있어서는,불도저보다 운반거리가 크며 일명 캐리올이라고 칭하며,대량토공 작업을 하기 위한 기계로서 굴착, 적재, 운반, 부설, 다짐 등의 5가지 작업을 일괄하여 연속 작업이 가능하므로 건설기계의 도저의 동력전달장치 부품들로 구비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부(811a)는 건설기계들로 구비해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 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다.
모터그레이더(862)의 각부명칭의 개요에 있어서는,머플러(862a)와 기관플라이휠(862b)에 냉각팬(862c)과 전후전달러치(862d)에 트랜스러치(862e)와 고정기어식변속기(862f)에 주차브레이크(862g)와 차등기어(862h)에 기어감속기(862i)와 디스크브레이크(862j)에 탠텀드라이브(862k)들로 구비된 모터그레이더(862)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부양식독(593,594,595) 결합구조로 구비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의 건설기계들로 구비해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 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다.
모터 스크레이퍼는 차량식 트랙터와 스크레이터를 조합하여 자주 능력을 갖게 한 것으로 자신이 동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다르므로용도 및 규격에 대하여,용도에 있어서는 많은 토량을 굴착과 굴삭에 운반할 수 있으며 무른 토사나 토괴로 구성된 평탄한 지형의 지표면을 얇게 깍는작업. 토사(812).절토.적재.운반.성토작업을 할 수 있으며 주용도는 토사(812)운반작업으로 밀어서는 운반하지 못한다.
규격에 있어서,볼의 평적(적재) 용량을 m3으로 표시하며 동력전달순서는 아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14
스크레이퍼(859)의 분류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견인식 스크레이퍼(859a)와 동력식 스크레이퍼(859b) 비교]
Figure pat00015
상기와 같은 스크레이퍼(859)로 분류하는 견인식 스크레이퍼(859a)와 동력식 스크레이퍼(859b)들로 구비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의 건설기계들로 구비해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 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다.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크롤러형 도저(855a)와 휠형 도저(855b)에 굴삭기(856)와 스키머(856f)에 파일드라이버(882)와 스크레이퍼(859)의 주요 구성부분 및 역할에 대하여,볼은,토사(812)를 운반하는 용기로서 스크레이퍼(859)의 중심부를 이루며 진행방향의 아래 면에 삽날(Cutting edge)을 붙여 전진하면서 조작장치로 볼을 굴삭면에 자중으로 밀어 굴삭, 적재한다.
건설기계의 도저의 동력전달장치 부품들로 구비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의 건설기계들로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 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피해방지를 극복 조정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에이프런(859c)에는,볼의 전면에 설치하며 볼의 토사(812)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마련하며,적재 및 사토시에는 위로 올리게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유량의 흐름을 조절 구성하며 에어프런(859c)과 이젝트(859d)에 볼(859e)과 커팅테지(859f)의 분해 조립의 결합 구조로 건설기계 도저의 동력전달장치 부품들로 구비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건설기계로 구비해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젝터(Ejector;859d)에는,일명 테일 게이트라 하며 볼의 뒷면에 위치하고 볼 내의 토사를 밀어내는 역할 및 토사를 적재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만드는 일을 한다.
요크(Yoke)에 있어서는,볼(859e)과 트랙터를 결합해 주는 부재이다.
Figure pat00016
스크레이퍼의 작업량(피견인식 스크레이퍼)은,
Figure pat00017
여기서, Q : 볼 1회 흙 운반 적재량
* f : 토 량 환산계수
E : 스 크 레 이 퍼 의 작업효율
C m : 사이클시간으로 분류한다.
그레이더(862l)는 토목공사에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정지작업을 하며 균토판(삽날:블레이드)을 장치하여 지표를 긁어 땅을 고르는 장비이며 토공 기계의 대패라 불리우는 장비로서 지면을 매끈하게 다듬어 끝맺음을 할 때 사용하는 장비로 용도 및 규격에 있어서는,용도와 성능 표시는 삽날(블레이드)의 길이로 표시하며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18
동력전달순서에 대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19
모터그레이더(862)의 주차 브레이크는 변속기어의 하부축을 잡아주며 외부 수축식이다.
동력전달순서에 대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20
블레이드의 추진각도와 절삭각도에 있어 아래의 표와 같이 추진각도는,그레이더 중심선과 블레이드가 이루는 각으로 단단한 땅에는 작게, 정지작업 시에는 70°내지 90°정도로 작업을 마련하며 절삭각도는,절삭 지면에 대하여 블레이드 절삭 날이 기울어져 있는 각도이며 절삭작업시에는 작게. 정지작업시에는 크게 잡는데,그레이더와 배토판과의 각도를 조절하여 흙을 옆으로 밀어낼 때 45°와 60°정도로 하고 끝마무리에서는 90°정도로 한다.
Figure pat00021
블레이드 용량에 대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22
단. Q : 블레이드 용량(m3)
B : 블레이드 폭(m)
H : 블레이드 높이(m)
조향장치의 최소 회전반경
Figure pat00023
(단. L : 축 거리. : 킹 핀. : 외 측 바퀴 각 )
차등기구가 없는 이유
작업성질상 직진성을 좋게 하여 다듬질 정밀도를 높이고, 능률을 올리기 위함이며,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모터그레이더(862)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결합구조로 구성되어있다.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유량의 흐름을 조절 구성하며 에어프런(859c)과 이젝트(859d)에 볼(859e)과 커팅테지(859f)의 분해 조립의 결합 구조로 건설기계의 도저의 동력전달장치 부품들로 구비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는 건설기계들로 구비해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 위치에서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다.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을 구성하는 리퍼와 루터(856g)에 익스턴트케이블(861b)과 기중기의 6개 전부장치(861p)와 드레그 크레인(887) 건설기계 연결구조물로 구성하며,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비되어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셔블계 굴착기는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한 적재기계로서 굴착기계로 사용하는 것 외에 프런트 어태치먼트(Front attachment)를 설치하여 많은 작업을 할 수 있는 다목적기계이다.
셔블 또는 크레인을 기본형으로 하고, 각종 부속장치의 교환에 의하여 여러 가지 굴삭 작업과 크레인 작업을 하는 기계로서 상부회전체는 360° 선회가 가능하며 주요 3대 구성요소의 굴삭기(856) 구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24
굴삭기(856)의 외부구조와 굴삭기(856)의 분류에는,주행장치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크롤러형과 휠형에 트럭탑재형으로 분리하는데 크롤러형은,견인력이 크고 협소한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습지, 사지, 활지의 운행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아주 좋으며 포장도로 운행이 곤란하고 주행속도가 3.2 km/hr로 느리며,다음의 휠형은 포장도로와 교량 등의 운행이 좋고 작업장의 이동이 용이한 형식으로 주행속도는 40 km/hr 정도이고 작업능률은 크롤러형보다 30% 내지 35% 높으며,그리고 트럭 탑재형은 주행속도가 60 km/hr정도로 기동성은 좋으나 작업능률이 저조하다.
조작방법에 따른 분류에는, 수동식과 유압식에 공기식과 전기식으로 분리하며 크기에 의한 분류에 있어서는 소형과 중형에 대형으로 분리하면서 소형은 철도, 트레일러의 수송에 임하여 둥글게 적재할 수 있는 일측의 한계로서 기체 중량 20t 이하의 것을 말하며 바켓 용량 0.6 m3 이하의 셔블 과 중형은 바켓 용량 3 m3 크레인 조상능력 10 t 정도까지이며 대형은 중형 이상의 기체 중량의 것이 된다.
굴삭기(856)의 성능 표시 방법은 백호(856a), 파워셔블(856b), 드래그라인(856c),클램셸(856e) 버킷(Bucket)의 용량(m)으로 표시하고 어스드릴(856d)은 굴착구경으로 표시하며 파일드라이버(882)는 해머의 중량으로 표시되고 크레인(861)은 최대권상 하중을(ton)으로 표시하며,그리고 셔블(856b), 백호(856a), 드래그라인(856c), 클램셸(856e)의 작업량 산정식은 아래와 같다.
*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해양발전소 몸체 상단에 구성하는 건설용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들로 구비해 건설기계의 백호(856a) 분배투입장치 구성에는, 분배투입장치 백호(Back hoe;856a)는, 작업 위치 보다 낮은 굴착에 쓰이고 하천, 건축의 기초 굴착에 사용되며 도랑파기 기계보다 낮은 쪽을 굴삭 하면서 기계보다 높은 곳에 있는 운반장비에 적재가 가능하며 주로 좁은 위치를 굴삭 하며 상기 백호(856a)는 대형산불 예방용 방재 및 방제 배관라인 설치공사에 적합하면서 동시에 파워 셔블(Power shovel)은 원형으로 작업위치보다 높은 굴착에 적합하며 산. 절벽 굴착에 쓰인다.
Figure pat00027
유압 셔블의 특징(기계 로프 식과 비교시)에 의하면,첫째는 구조가 간단하며 둘째는 프론트의 교환과 주행이 쉽고 세 째 로 보수 및 운전조작이 간편하며 끝으로 모든 면에서 기계 로프식 보다 우수하다는 것이었다.
드래그 라인(Drag line;856c)의 긁어 파기에는 먼저 작업반경이 크며 수중굴착에도 용이하다는 것이었으며 다음은 지면보다 낮은 곳을 넓게 굴삭 하는데 사용되었고 그 다음에는 하천의 사리채취에도 사용되며 끝으로 단단하게 다져진 토질이나 자갈 채취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어스 드릴(Earth drill;856d)은 무 소음으로 대구경의 깊은 구멍을 굴착하여 현장 박기 조정에 사용된다는 것이고 교각겸용 지주탱크(590)와 지주탱크 상단의 바지선 선체(591)에 지주탱크 하단의 바지선 선체(592) 교각 설치에 적합하며 다음의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의 하역, 높은 건축공사에 쓰이며 버킷 대신 훅(Hook)을 장치하고,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기계이며 파일드라이버(Pile driver;882)는 항타용 기구로서 콘크리트 말뚝이나 시트파일을 박는데 쓰이며 기둥 박기로 교각 설치용에 적합하면서 클램셸(Clamshell;856e)은 수중 굴착, 폭발작업 등 일정장소의 굴착에 적합한 조개장치인 것이었고 지반 밑의 좁은 장소에서 깊게 수직 굴삭에 사용되는 것이며 해저 망간단괴(909) 재취용에 적합하면서 자갈, 모래, 흙을 굴삭하여 덤프트럭에 적재하는데 많이 사용하는데 단단한 지반의 굴삭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며 끝으로 트렌처는 도랑을 파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로 적합하다는 것이다.
굴삭기의 작업범위로는 최대 굴삭 깊이는 버킷 투스의 선단을 최저위치로 내린 경우 지표면에서 버킷 투스의 선단까지의 길이로서 최대 굴삭 반경(=최대작업반경)은 선회할 때 그리는 원의 중심에서 버킷 투스의 최대 수평거리이고 최대 덤프 높이는 최대 지상고이었다.
그리고 스키머(Skimmer;856f)의 구조 및 기능에는, 선회대에 달린 붐을 따라 버킷이 체인의 힘으로 이동되면서 지표를 얇게 깎는 건설장비인데 좁은 장소에서 얇은 굴착에 적당한 것이고 이의 용도에 있어서 대형기계로는 작업이 곤란한 협소한 장소에서 얇은 굴착에 사용하므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을 하기 위해 해양발전소몸체 도크 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비되어 산사태방재를 극복 조정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리퍼와 루터(Ripper, Rooter;856g)의 구조 및 기능에는, 지반이 단단하고 견고하여 굴착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되며 대형 불도저의 뒤에 부착하여 자체의 중량으로 23개의 발 톱날을 이용하여 단단한 지반을 긁어 파헤치는데 적당하다는 것이며 이의 용도에 있어서 나무뿌리 파헤치기,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 파헤치기와 암석 또는 옥석류의 제거에 굳은땅 파헤치기에 사용되는 것이었다.
크레인(기중기,861)의 개요에 따라서 기중기라 부르며 중량물의 들어올리기와 내리기, 다른 작업장치를 이용하여 파쇄작업, 폐철 수집과 건축 공사에 많이 사용, 토목건설공사에 사용되는 토사, 석재, 기자재 등의 이동, 운반을 목적으로 차체 전면에 훅, 클램셸, 드래그 라인 전부장치를 설치하여 다목적으로 사용되는데에는 구조 및 기본 주요 3부 명칭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28
기중기(861)구조 및 명칭(861a)에는 훅(18) 그 이외는 도면에 기재한 바와 같다.
크레인 또는 기중기 구조의 각부명칭은,익스턴트케이블(861b)과 하중계(861c)에 브리들(861d)과 붐벡스들(861e)에 메이로프(861f)와 붐호이스트로프(861g)에 상부프레임(861h)과 하부프레임(861i)에 호이스트로프(861j)와 전방드럼(861k)에 중간드럼(861l)과 (861m)후방드럼에 균형추(861n)들로 구비되어 결합구조를 마련한다.
케이블크레인(861o)은,다음과 같은 기중기의 6개 전부장치(861p)를마련하는데 갈쿠리(Hook)장치(861q)와 조개(Clamshell)장치(861r)에 삽(Shovel;861s)장치,긁어파기(Dragline;861t)장치,도량파기(Trenchhoe;861u)장치,기둥박기(Pile driver;861v)장치들로 작용하므로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들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규격(성능)표시방법으로는 최대 권상 하중을 톤(ton)으로 표시하는데 크레인의 7가지 기본동작은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29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와 같이 크레인의 6개 전부장치(작업장치)에는 먼저 크레인(갈 쿠 리 : Hook)은 일반적인 기중작업,화물의 적재 및 적하작업에 사용되며 클램셸(조개 : Clamshell)은 토사 적재작업, 수직 굴토작업, 오물 제거작업, 수중굴착, 호퍼작업 및 깊은 구멍파기 작업에 적합하였으며 셔블(삽:Shovel)은 토사굴토, 경사면의 굴 토, 차량의 토사적재,도로의 기초공사에 적합하고 드래그라인(긁어파기:Drag line)은 제방 구축작업,배수로 구축작업,평면굴토 및 수중작업 차량에 토사를 적재시 적합하며 트렌치호(도랑파기:Trench hoe)는 배수로작업, 매몰작업, 굴토작업, 채굴작업, 송유관매설작업에 적합하였고 파일드라이버(기둥 박기 : Pile driver)는 건물 기초공사 작업시 기둥박기작업, 교량의 교주 항타작업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6개의 크레인은 수력발전소 몸체를 조립하는데 주요 장비이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붐(Boom)의 운전각도는 아래와 같다.
최소 제한 각은 20(단, 백호는 최소 제한각을 제한받지 않음)에 최대 제한각은 78°이며 최대 안전각은 66°30'로서 보통 작업각도는45°내지 65°이다.
그리고 크레인(기중기)작업시 물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붐(Boom)의 길이는 짧게 하고 각도는 크게 한다.
크레인의 분류에는 크롤러식과 트럭식으로 구분하는데 주행장치에 의한 분류는 아래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30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사용용도별 종류에 있어 다음과 같이 분리되며 드래그 크레인(Drag crane)의 기능은 접지압이 크며, 연약 지반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나 기동성이 좋다는 것이고, 용도는 고층건물의 철골 조립, 자재의 적재 운반, 항만 하역작업에 사용되며,타워 크레인(Tower crane)의 구조 및 기능은 높은 탑 위에 짧은 지브나 해머헤드식 트러스를 장치한 크레인이며,용도는 높이를 필요로 하는 고층빌딩이나 건축현장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유압크레인(Hydraulic crane)의 구조 및 기능은,
유압으로 하여 장치를 조작하는 이동크레인으로서 붐(Boom)은 보통 510m까지 신축가능하고 권상 하중은 보통 310 ton이고 용도는 항만 하역공사, 토목공사, 전주작업, 중량물의 권상 작업에 사용되면서 동시에 케이블 크레인(Cable crane)의 구조 및 기능은,
양끝을 타워(Tower)에 굵은 케이블을 쳐서 트롤리를 달아 올리는 방식이며 용도는 댐(Dam)공사시 콘크리트나 자재 운반용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데릭 크레인(Derrick crane)은,
본 발명 주요 구성 부위로 상기 데릭 크레인의 구조 및 기능은, 철골제 마스트의 밑부분에서 비스듬히 붐(Boom)을 세워 블록을 지나와 이어 로프로 매단 중량물을 윈치로 감아 올려 옮기는 기계이며 용도는 철골의 조립, 기초공사, 교량의 가설작업에 사용되고 종류로는 가이 데릭은 재료빔에 대해 짐을 매다는 능력이나 작업반경이 크고 조립해체가 용이하며 하역작업. 중량물의 이동. 철골 조립작업에 사용되면서 동시에 3각 데릭은,좁은 장소나 빌딩의 옥상작업에 알맞으며 기초가 없어도 되고, 차륜에 설치한 경우는 이동이 용이하므로 파일 해머작업, 교량가설, 항만 하역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 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들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트랙터 크레인(Tractor crane)은 먼저 셔블계 굴착기의 상부 체에 크레인을 부착한 것으로 휠식과 크롤러식인데 다음의 아웃 리거는 안전성을 유지해 주고 타이어에 하중을 받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및 스프링 하중으로 인하여 마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천정주행 크레인(=문형크레인)은,천정에 주행 레일을 설치하여 이동하도록 한 크레인이며 보통 콘크리트 빔(Beam)의 제작 및 가공현장에 사용되는데 고정형은 공장, 창고에서 적재작업에 사용하는데 하지만, 건설공사에는 사용하지 않고, 그리고 주행형은 건설공사에 많이 사용한다.
체인 블록(Chain block, 648)은 보통 하역용으로서 최대 15ton까지 인력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며 기중기의 권상, 권하 작업시의 안전장치는 브레이크와 제한스위치이다.
Figure pat00031
해상크레인은 교량의 대형 강구조물의 운송 및 가설. 초대형 시설물의 운송 및 설치, 해상 구조물 운송 및 설치에 사용되는데 드레그 크레인(887)과 타워 크레인(886)에 유압 크레인(885)과 케이블 크레인 및 클램셸 부착물을 가진 크레인(888)이 포함하면서 동시에 유압크레인(885)과 타워크레인(886)에 가이데릭 구조의 각부명칭(886a)은,가이데릭(886b)과 주측(886c)에 붐(886d)과 붐호일(886e)에 턴버클(886f)과 공망(886g)들로 연결 구성하면서 3각 데릭(886h)은,주측(886i)과 붐(886j)에 붐호일(886k)과 레크(886l)들로 구성하고 드레그 크레인(887)의 드레그 크레인의 구조(887a)에는 호이스트 케이블(887b)과 덤프케이블(887c)에 버킷(887d)과 하부붐(887e)에 레터렉트케이블(887f)과 케이블롤러(887g)에 붐케이블(887h)과 케이블롤러(887i)와 붐 호이스트 케이블(887j)에 케이블드럼(887k)과 케이블드럼(887l)에 평행추(887m)들로 연결 구성되어있으며,동시에 클램셀 부착물을 가진 크레인(888)의 구조에는 홀딩 라인(888a)과 개폐라인(888b)에 클램셀 버킷(888c)에 상부프레임(888d)과 하부프레임(888e)에 랙 라인(888f)과 로프가이드(888g)에 붐탠던트(888h)와 브리들(888i)에 붐호이스트로프(888j)와 전방드럼(888k)에 후방드럼(888l)과 평행추(888m)들로 연결 구성되면서 동시에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건설기계로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들로 구비해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들로 구비해 건설기계들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들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로더(857)의 분류에는,먼저 주행방법에 의한 분류로서 크롤러형로더(857a)(장궤식=무한궤도식=크롤러식=셔블로더)는 크롤러 트랙터 앞에 버킷(Bucket)을 설치하여 험악한 늪지나 모래땅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중작업이 가능함이며 휠형로더(Wheel type loader;857b)(차륜식=타이어식=휠식로더)는 휠형 트랙터 앞에 버킷(Bucket)을 설치한 것으로 평탄한 작업장에서 기동성이 우수하고 작업 수행능력이 크며 포장한 도로에서 작업 용이하고,반 무한 궤도식 로더는 전, 후륜의 한쪽을 무한궤도식으로 하고, 다른 한쪽에는 타이어를 장착한 것으로 무한궤도식과 차륜식의 단점을 보완한 기종이며,레일식로더(857c)는 레일 위를 주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터널이나 갱내에서 적재 작업을 한다.
적하방식에 의한 분류는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32
로더(857)의 상차 적재방법은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33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그 이외의 로더(857)에는,머크로더(Muk loader)로서 터널공사에서 많이 사용하며 굴착공사에서 폭파된 토석 등을 운반차에 적재하는데 사용되며,페이로더(Pay loader)는 덤프트(860)럭에 토사를 적재하는데 사용하며 가급적 서서히 운행해야 하고 무부하 운전시 버킷(Bucket)을 올려서는 안되며,레일식 슬랙로더는 터널이나 갱도의 굴삭 작업에서 폭파된 슬래그를 운반차에 적재하는 전용 중기이며,연속식로더에는, 개더링암 로더로 각종 터널,택지조성,석회석 채굴에 사용되었으며 스크루엑스카베이터는 시가지의 지하굴삭공사,공장 또는 배 안에서의 토사 적재작업에 사용되는 것이었고, 버킷휠엑스카베이터가 사용되어 있는 것과 벨트로더가 사용되는 것과,스키드로더는 갱도나 터널에서 작업하기에 알맞은 적재기계로서 작업량 산정식은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을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들로 구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덤프트럭(860)의 종류에는,리어(Rear)덤프트럭은 짐칸을 뒤쪽으로 기울게 하여 짐을 부리는 트럭으로 토목공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사이드 덤프트럭(860)은 짐칸을 옆쪽으로 기울게 하여 짐을 부리는 트럭이고 보텀덤프트럭(860)은 지브의 밑부분이 열려서 짐을 아래로 부릴 수 있는 것으로 트레일러 덤프차에 많이 사용되고 3방 열림 덤프트럭은 3방향으로 짐을 부릴 수 있는 트럭이며,이에 덤프트럭의 작업량 계산식은 아래의 표와 같다.
트럭의 소요 대수 계산 :
Figure pat00036
트럭작업량 계산 :
Figure pat00037
여기서,
Figure pat00038
덤프트럭(860)의 주행저항에는 회전저항과 구 배 저항에 구동력의 계산식이 있으며 회전저항(Wr)은
Figure pat00039
표시하고,구배 저항은(Wg)은
Figure pat00040
상기와같으며,구동력(Ws)은
Figure pat00041
상기와 같았다.여기서,
Figure pat00042
덤프터(Dumptor)는 단거리 운반의 특수 비포장 도로용 트럭으로 협소한 작업장에서 작업 가능하며 그리고 기관차는 다음과 같이 운반거리가 1 km 이상인 경우에 사용하며 터널공사 방조제의 토운 공사에 이용되었고 크기는 견인력을 표시하는 자중(ton)으로 표시되며,트랙터 및 트레일러(860a)는 중량물이나 장착물 및 건설기계의 불도저, 롤러를 적재한 피견인 트레일러(860a)를 트랙터에 의하여 운반하는 기계이며 트랙터의 주행장치는 크롤러식.반 크롤러식, 차륜식으로 구분한다.
삭도(Rope way)는 산간 양쪽에 철탑을 세우고 케이블을 연결한 후 60 m 마다 운반기를 배치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기계로서 지형 및 도로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과 고장이 적으며 비교적 장거리 운반에 용이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댐공사에서 골재 및 시멘트의 재료운반에 사용되며 이같이 왜건(Wagon)은 모터스크레이퍼와 비슷하나 자력으로 흙 깔기를 할 수 없고 싣기 기계로부터 적재한 토사를 운반하는 기계이며 트랙터 드로운 왜건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며. 앞. 뒤 끝에 차축과 바퀴를 붙인 것으로서 풀(full) 트레일러(860a)라고도 한다.
지게차(포크리프트 : Forklift;858)의 개요로서 화물을 올리거나 내리는 장비이며, 자동차와 공통되는 점이 많은 장비로서 창고나 부두 옥내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장비. 즉, 경화 물의 단거리 운반 및 적재와 적하작업에 효과적이며 규격표시는 들어올릴 수 있는 용량을 톤(ton)으로 표시(1톤 이상 중기)하고 이에 대한 특징으로는 조종석에 설치되어 있는 틸트 레버는 마스터를 앞으로 56°(전 경각이라 함), 뒤로 10°12° (후 경각이라 함)기울일 수 있고 높이는 최대 4500mm, 최소 3000mm(최대 양 고 라 함)움직일 수 있다.
최소 반경이 매우 적다. (65°75°안쪽 바퀴의 조 향 각도)
유압피스톤의 압력은 110130 kgf/cm2가 된다.
전륜구동은, 후 륜 환향 식으로 되어있다.
지게차(858)의 스티어링 장치 : 후 륜 환 향 식
유압으로 작동하는 마스터 뭉치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70130 kgf/cm2)
운행시 포크는 지상으로부터 150200mm 정도 올리고 운행한다.
운행거리 250m 이내가 효율적이다.
앞바퀴는 직접 프레임에 설치하며 뒷바퀴는 소형에서는 현가 스프링이 없으나 대형은 현가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조종방법에는 효율적인 운반거리의 운반거리는 250m이내 작업에 적합하며 주행중 포크의 높이는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시 포크의 높이는 150200mm정도 올리고 주행한다는 것이고 경사지 운반은 경사지적 화물 운반시 포크 부(전면부)가 윗부분으로 향하고 후진하여 서행한다는 것이며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건설기계로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들로 구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 투입장치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컨베이어(Conveyor, 633)는, 자재 및 콘크리트의 운송에 주로 사용되며 설비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므로 많이 사용되며 종류에 있어서는,대형 컨베이어는 모래, 흙, 자갈, 쇄석 등의 운송에 사용한다는 것이고,
스크류(Screw) 컨베이어는 모래, 시멘트, 콘크리트 운반에 사용한다는 것이며 벨트(Belt) 컨베이어는 흙, 쇄석, 골재 운반에 가장 널리 사용한다는 것이었고, 크기 : tonm 포터블(Portable) 컨베이어는 모래 자갈의 운반 및 채취에 사용한다는 것이었다.
이같이 특장 운반차에는 부정지 주행차와 유니모그에 호이스팅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부정지 주행차는 진흙, 모래, 요철 등의 악조건에서 운반작업이 가능한 차 륜식 전륜 구동차인데,
유니모그(Uni mog)는 농업용, 토목, 제설, 도로 유지관리의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이고 호이스팅은 중량물을 달아 올려 운반하는 건설기계로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들로 구비해 쓰나미방재용 분배 투입장치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도 24 내지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롤러(863) 개요로는 전압장치를 가진 자주적인 것으로 2개 이상의 매끈한 드럼 롤러를 바퀴로 하는 다짐용 기계로 전압기계라고도 하며 주로 도로, 제방, 비행장, 활주로의 공사의 마지막 작업으로 노면을 다져주는 건설장비이다.상기 롤러(863) 규격 표시에는 롤러의 중량을 톤(ton)으로 표시하며롤러(863)의 규격이 815톤(ton)인 경우에는 자체 중량이 8ton이고 벨러스트(부가 하중)를 7ton까지 적재한다.
롤러(863)의 종류에 있어 전압식에 충격식과 가압방식의 진동식으로 분리한다.
Figure pat00043
위 표와 같이,요 부위의 부가하중(Ballast:중량 추)은,롤러자체의 무게로 전압능력이 작을 때 부가하중을 실어서 전압능력을 높이는 것을 부가하중이라 한다. 자중의 2배 이상으로 추가시킬 수 있다. 부가하중은 철, 물, 모래를 이용하는데 타이어롤러는 물탱크에 필요한 만큼 주입하고, 머캐덤, 탠덤, 탬핑 롤러는 바퀴에 부가하중을 주입하여 전압능력을 높인다.
가압방식에 의한 분류에 있어서는 전압식 다짐 기계는 로드 롤러, 타이어 롤러, 탬핑 롤러로 분리되며 충격식 다짐기계는 래머, 탬퍼로 분리되고 진동 식 다짐기계는 진동 롤러(863a), 소일 콤팩터(863b)로 분리되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롤러의 종류 및 특징에 의한 정적 압력에 의한 롤러는 롤러의 정적 자중에 의하여 노면을 다지는 것이고, 머캐덤 롤러(Machadam roller;863c)의 용도는 쇄석(자갈)기층, 노상, 노반, 아스팔트 포장시 초기 다짐에 적합하고 특징은 커브(Curve) 선회시 원활한 선회를 위하여 내륜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차동장치 사용하는 차동기어로 뒤 차축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커브를 돌 때 양쪽바퀴를 서로 다른 속도로 주행시키는 장치이다.
탠덤 롤러(Tandem roller;863d)의 용도는 찰흙, 점 성토의 다짐에 적합하고 두꺼운 흙을 다지거나 아스팔트 포장의 끝마무리 작업에 사용되고 동력전달순서는 엔진 메인 클러치 변속기 전, 후진기 차동장치 종 감속장치 후륜 순서로 진행되며 특징은 쇄석 다짐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구동드럼에 중유 주입 평활한 철재 원통형륜으로 2축 탠덤과 3축 탠덤이 있다. 또한, 전 후 륜의 조작을 따로 하여 다짐 폭을 넓힐 수 있다는 것이다.
탬핑 롤러(Tamping roller;863e)의 용도는 토질이 연약한 곳을 다지는데 사용. 댐의 축대공사와 제방, 도로, 비행장이며 종류는 푸 트 롤러, 턴 푸 트 롤러, 테이프 푸 트 롤러이고 특징은 강제의 원통 륜에 다수의 돌기 형태의 구조물을 붙여 회전하므로서 다짐한다는 것이다.
타이어 롤러(Tire roller;863f)의 개요는 탠덤 롤러의 철재 바퀴 대신에 타이어를 부착한 것으로 피 견인 식과 자주 식이 있다는 것이고 용도는 비행장 활주로, 고속도로 아스팔트 포장시 노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다지는데 사용하며 타이어의 공기압력은 1.510kg/cm2이며 특징은 주행속도가 매우 크다는 것이었다.
이같이,원심력에 의한 롤러는 자중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노면을 다지는 것이고 진동 롤러는 기 진기로 다짐바퀴를 진동시켜 다지는 기계로 쇄석, 자갈, 흙,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다짐에 적합하며 규격표시방법은 전 장비의 중량이다.
충격식 다짐 기계는 자유 낙하 충격을 다지기에 이용되며 래머(Rammer)는 소형 내연기관의 2 행정 사이클기관 몸체에 다짐용 푸트를 단것이고 탬퍼(Tamper)는 가솔린기관의 폭발력을 토크로 바꾼 후 크랭크축의 왕복운동으로 변화시켜 스프링의 탄성체를 통해 다짐판에 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좁은 장소와 도로의 노견 다지기에 적합하고 소일콤팩터(863b)는 소형가솔린엔진을 이용하여 진동을 일으키는 장치와 평판진동체가 조합된 다짐기계로서 자주식과 인력에 의한 이동식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중량에 비해 다짐효과가 크다는 것이고 사질토에 적합하다는 것이며 점성 토에는 부적당하다는 것이었다.
그 이의의 사항에는 롤러 다짐 폭으로 1회 통과에 다져지는 폭(최대나비)에 의한 선압 인데 바퀴의 접지 중량을 그 바퀴의 폭으로 나눈 값(kg/cm)이다.
노상 안전기와 동일한 소일스태빌라이저(864)는 흙 땜. 도로. 비행장 공사에 경제적인 다짐 안정공법으로 사용되며 실 작업에서 각종 작업을 1개 기종으로 한번에 끝낼 수 있는 안정처리 시공기계이며 이에 따라 노상, 노반재료를 정확하게 현장에 투입한다는 것이며 자기 자신이 굴착하고 분쇄작업을 한다는 것이고 전체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한다는 것이었고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건설기계로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 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콘크리트 믹서의 개요는 모래, 자갈, 시멘트, 물을 혼합(Mixer)하여 공사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하기 위한 기계인데 건식(Dryness type)은 시멘트 및 골재를 계량하여 투입하고, 주행도중 물을 가하여 혼합하면서 목적지 공사 현장에 운송하며 혼합할 때의 구동은 유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습식(Wetness type)은 완전히 혼합된 생 콘크리트 혼합물을 교반 하면서 운송하는 것으로 "에지 테이터"라고도 하며 규격표시는 1회 혼합할 수 있는 콘크리트 생산량(m3)으로 표시한다.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에는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배칭플랜트(865)와, 콘크리트 호퍼(865a)와 운반장치차징차트(865b)에 조정판(865c)과 물멧처(865d)에 대칭호퍼(865e)와 스케일 프레임(865f)과 저장빈(865g)에 종합벨트콘베이어(865h)와 턴헤드(865i)에 버킷엘리베이트(865j)와 운반시멘트차드(865k)에 조정판(865l)과 기록장치(865m)와 원형믹서(865n)에 시멘트사일로(865o)와 스쿠르콘베이 어(865p)들로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 위치를 이동 조절과 분해 조립을 하기 위해 건설기계로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 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들로 구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로 연결 구성되어있다.
콘크리트 펌프(869)의 개요는 터널 속 교량 또는 건물 속에서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콘크리트를 운반할 때에 편리하며 펌프는 기계식과 액압식이 있다는 것이며 이동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장소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는 것이고 유압 또는 유압 병용식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적으며 취급이 간단하고 보수 점검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다는 것이었고 고층건물 및 장거리 콘크리트 이송에 사용된다.
종류에는 이동식과 기계식에 액압식과 트럭적재식인데 다이어프램식은 고층건물(100m이상)에 사용하며 규격표시는 시간당 배송능력(m3/h r)으로 표시되고 피스톤식 콘크리트 펌프의 구성요소는 콘크리트 주입 호퍼, 흡입 및 토출밸브, 피스톤, 실린더로 구성된다.
콘크리트 타설기계는 콘크리트 피니셔(Concrete finisher, 866)로 이의 개요는 콘크리트를 포설한 다음 고르고, 다짐하는 마무리 작업기계로서 먼저, 포설기로서 포설하고, 진동기로 다지고, 그 뒤를 피니셔가 횡단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콘크리트 슬래브 면을 마감작업을 한다.
용도로는 기계 각부의 부하가 적다는 것이고 구조가 간단하고 기계의 마모 및 소음이 적다는 것으로 콘크리트 피니셔는 표면의 앞, 뒤 고르기 진동을 하면서 포장표면을 끝낸다는 것이며 규격표시는 시공할 수 있는 표준폭(m)으로 표시하면서 동시에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에는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연결된 건설기계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성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콘크리트 스프레더(Concrete spreader, 867)의 개요는 포장 노반에 살포된 생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부설하는 포장기계이며 용도는 콘크리트피니셔 앞을 주행하면서 트럭믹서나 덤프트럭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받아 운반하고 깔고, 다지는 기계이고 규격표시는 시공할 수 있는 표준 폭(m)으로 표시되어있고 종류는 블레드형에 스크루형과 박스형으로 분류하면서 동시에 아스팔트 포장기계의 종류는 아스팔트믹싱플랜트(870)에 아스팔트피니셔(871)와 아스팔트살포기(872)에 아스팔트커버와 아스팔트스프레이로 분리하고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 펌핑 가동의 건설기계로 구성되어있다.
이의 종류에 있어 계량, 혼합방법은 배치식과 연속식으로 형성되며 설치방법은 정치식.가반식인데 조작방법은 전자동식과 반자동식에 수동식으로서 용도는 골재건조와 아스팔트 혼합에 아스팔트 가열이며 구성은 피 드호퍼와 골재건조장치에 배기집진장치와 핫 엘리베이터에 진동 스크린과 믹서와 아스팔트 캐틀에 계량장치로 구성되어있다.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 871)는, 정리 및 사상장치를 가진 것으로 아스팔트 혼합공장에서 자갈 모래를 160°이상 끓여서 혼합골재를 도로상에서 일정한 규격의 두께로 깔아주는 장비이며 용도는 비행장 활주로와 고속도로의 아스팔트 포장공사에서 아스팔트 살포, 고르기, 다지기 등에서 사용되며 규격표시는 최대 포장 나비(m) 및 포장능력(ton/hr)으로 표시되었고 아스팔트 피니셔(871)의 기구에 있어 스크리드는 노면에 살포된 혼합재를 매끈하게 다듬질하는 판이며, 리빙호퍼는 장비의 정면에 5톤 이상의 호퍼가 설치되어 덤프트럭으로 운반된 혼합 재(아스팔트)를 저장하는 용기이고 피더는 호퍼 바닥에 설치되어 혼합재를 스프레딩 스크루로 보내는 일을 한다는 것이며 범퍼는 스크리드 전면에 설치되어 노면에 살포된 혼합재를 요구하는 두께로 포장면을 다져 주는 일을 한다.
아스팔트살포기 (Asphalt distributor, 872)는, 아스팔트를 끓여서 최초로 도로 표면에 뿌리는 장비. 즉, 아스팔트를 노면에 뿜게 하는 살포기인데 종류는 자주식, 기어펌프식에 용액가압식과 탑재식으로 되었고 규격표시는 최대 살포 나비(m) 및 탱크 용량(m3)으로 표시한다.
아스팔트 커버는 고속도로용으로서 아스팔트 혼합 재를 연속적으로 까는 건설장비이며 또한 아스팔트 스프레이는 아스팔트, 아스팔트 유제와 타르 등을 오일버너에 의하여 가열 용해하며 노면에 가압 살포하는 장비이고 노상안정기(Stabilizer)는, 기체가 노상을 진행하면서 각종 작업을 하며 결합제, 물을 첨가 혼합하여 표면 고르기, 조여 굳힘을 하는 장비이고 규격 표시는 유체 탱크의 용량(m3)으로 표시하며 특징으로 작업능률이 양호하고 기동성이 우수하며 스프레이어의 효율이 좋다는 것이었고 땅을파는 깊이 조정이 용이하다.
기초공사용 건설기계 항타 및 항발기(877) 분류하는데 디젤파일해머(883)는, 2 사이클 디젤엔진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항타하는 기계로서 동일 크기의 진동 해머, 증기 해머보다 2 배정도 항타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며 이의 방식은 기동장치에 의하여 램을 올렸다가 낙하시켰을 때의 분사장치가 작용, 앤빌의 오목면에 연료가 분사되어 램이 앤빌을 타격하는 순간 폭발함으로써, 이때의 폭발력과 램의 타격력이 말뚝에 전달되고 램은 반발력에 의하여 다시 위로 튀어 올라가게 되며 이때에 배기 및 흡입작용도 이루어지고 다시 낙하, 타격, 폭발을 되풀이하게 되므로 연속 항타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이의 구조는 실린더에 실린더 속을 오르내리는 램과 실린더 하부에 삽입된 앤빌에 연료펌프와 연료분사장치에 기동장치들로 구성되며, 실린더 냉각용 물탱크장치들이 구성되어 있다.
디젤파일해머(883) 몸체의 좌측에는 리드(896)에 기동장치(903)가 부착되었고, 상기 기동장치(903) 우측 상부에는 실린더(126)의 하부로 램(895)과 연료탱크(902)에 캠(901)의 하부에 연료펌프(900)와 상기 펌프(900) 하부로 헬밋(899)이 형성되었고 상기 헬밋(899) 하면에 파일(899)을 부착하여 파일작업이 진행된다.
이의 규격표시는 램(ram)의 중량(ton)으로 표시된다는 것이었고 이의 용도에는 나무, 콘크리트, 강관 파일을 박는데 사용되며 이의 특징은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44
기둥 해머(=기둥 파일 해머)의 이의 개요는 실린더 안에 증기 또는 압축공기를 보내 피스톤의 상하운동을 연속적으로 반복시켜 피스톤로드 하단에 있는 램(ram)으로 기둥(Pile)을 박는 기계이며,기둥해머의 종류에는 증기해머에 이의 개요는 증기의 팽창에너지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동작시켜 항 타 하는 기계로 규격표시는 피스톤 중량(ton)으로 표시하며 이의 특징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정비와 보수가 어려우며 유지비가 많이 든다는 점이었고, 경량이 단단하고, 밀도가 높은 흙속에 말뚝을 박을 때 사용되며 리드(Lead)에 안내되며 단동식과 복동식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진동해머의 개요는 진동력에 의해 항타 또는 뽑기 작업을 하며 진동수는 1분에 500회 이상이며 규격표시는 모터의 출력(kW) 및 기진력으로 표시하였고 드롭 해머는 금속제 블록을 와이어로프로 올렸다가 파일의 머리에 낙하시켜 그 타격력으로 파일을 박는 것이었고 기초공사용 기계 중 원거리에서 소량시공에 있어 동일조건일 경우 설비비, 운전경비를 적게 하고자 할 때 적합하였다 이의 장비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의 장점에는 운전 및 해머조작이 간단하다는 것이었고 설비규모가 작아 소요경비가 적게 든다.는 점이었으며 낙하높이의 조정으로 타격에너지의 증가가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둘째로 단점에 있어 파일 박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었으며 파일을 파손시킬 위험이 있다는 점이었고 이에 작업시의 진동으로 주위 건물에 피해를 주기 쉽다는 점이었고 수중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점이었다.
파일 드라이버(882) 몸체의 리드(896) 상부에는 어댑터(906)와 붐전핀(904)에 와이어로프(19)와 도루레(135) 크레인붐(651)에 구성되었고 크레인 전면의 캐드워크(905)가 부착되었다. 상기 파일 드라이버(882)는 바지선 선체(591) 상단 갑판데크에 탑재 후 갑판데크 작업위치에 장비를 고정시켜 파일(898) 작업이 진행된다.
디젤해머에 증기해머와 진동해머에 드롭해머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파일을 박을 때에는 드롭해머나 디젤해머들을 사용하며 그 작업장치를 크레인붐에 설치하는 장비인데 참고할 사항은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45
파일(898)은,심해저의 하부 기초 기둥부위로 고정 해지용의 별도의 카 파일(898)을 부착시켜 교각용의 새들형틀(617)로 콘크리트 교각을 해저바닥 상부로 설치가 용이하게 작업 진행한다.
건설기계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 875)는,대기 중에 있는 공기를 흡입압축하여 압축공기를 만들며,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각종 건설공사에 다목적용으로 사용하는 기계로서 구동장치와 압축장치 및 그 밖의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는 압축기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가솔린 또는 디젤기관이다. 또한,건설공사에는 주로 체적형 압축기가 쓰인다는 것이었고,이의 용도로 채석작업은 착암기를 이용하여 바위에 구멍뚫기, 분활 작업을 한다는 것이었으며 점토굴착 작업은 물속에 찌든 찐득한 점토에 굳은 땅위 연암을 삽 장치나 굴착기로 굴착한다는 것이고 파괴작업은 브레이크로 콘크리트,아스팔트를 파괴한다는 점이다.
콘크리트 진동작업과 벌목작업에 페인팅 작업과 타이어 공기주입 및 장비세척이며 건설공기압축기는 대용량인 것이다.
이의 종류에 있어 압축기는, 구별 분류하고 왕복형 피스톤식에 베인형 압축기와 로터형 압축기에 스크루형 압축기와 원심터보형 압축기로 분리되며 용도별 분류에 있어 정치식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켜 사용되면서 주로 대규모 공사에 이용된다는 것이고 가반식은 압축기를 간단히 이동시켜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에어크리너 저압실린더 중간냉각기 고압실린더공기 탱크 이의 규격표시는 매분 당 공기 토출량(m3/min)으로 표시. 즉, 실 공기량으로 표시하며 210 cfm은 분당 210 입방 피트 압축공기 생산(ft3/min)으로 표기하며 이에 공기 압축기의 부품에는 피스톤과 실린더와 흡입 및 배기밸브에 압력조정밸브로 이루어진다.
이의 주요 부분의 기능(역할)은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46
착암기와 동등한 천공기(Boring equipment ;876)의 상세한 설명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기 천공기(876)는 암석이나 지면에 구멍을 뚫는 기계로서 공기 압축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는 것인데 타격식은 칼날의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굴착 되며, 굴착속도는 빠르나 그 깊이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 압축공기를 이용하며,이 압축 공기로 충격용로드(rod)를 작동하게 하여 그 충격력으로 암석을 부수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도 쉬우며 압축공기의 조작도 쉬워서 많이 사용된다는 점과 회전식은 구멍 속에서 회전하는 칼날로 굴삭하며, 굴착속도는 느리나 그 깊이가 깊다.
이의 규격 표시로 크롤러식은 착암기의 중량 및 분당 공기 소비량(m3/min) 표기기재하였고 크롤러점보식은 프랫트롤 단수와 착암기 대수(단대)로 표시되며 이에 실드굴진식은 사용설비 동력(kW)으로 표시되고 터널 굴진기는 최대 굴착치수(mm)로 표시되었다.
이의 종류에 있어 싱커는 방음장치가 달린 최신형 착암기로서 암석의 구멍뚫기, 각종의 팽치커트, 갱도의 반하향 작업에 적합하다. 즉, 인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소형으로 공기의 힘으로 작동하며, 피스톤의 상하작동으로 로드에 가격력을 전달하여 삭공하는 기계이며 드리프터는,
강력한 천공기로서 넓은 절단면의 굴진 작업, 채석작업, 댐 굴착시의 큰 구멍을 뚫는데 적합하다. 수동 또는 자동이송장치에 의하여 적당한 추압을 비트에 주어 구멍을 뚫으며, 이 피드장치에는 체인식과 스크루식이 있다는 것이었으며 스토퍼는 수평에서 하늘을 향해 구멍을 뚫는 기계로서 절삭 수직 갱 상향 채굴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브레이커는 콘크리트 도로의 파쇄 개수,건조물 및 튼튼한 기초물 파괴에 사용되며 공기소비량이 적으면서 강력한 파쇄력을 갖고있다. 주로 유압 백호 굴삭기에 부착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며,이에 록크래커는 화약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 암석이나 콘크리트를 유압으로 파쇄하는 장비이다.
이같이, 핸드해머는 좁은 곳에서 굴진 작업과 2차 파쇄작업에 효과적이며 방음장치가 붙어있어 사용하기 쉽다. 잭해머라고도 하며, 인력으로 이동, 조작이 가능한 소형의 착암기로서 주로 하향으로 구멍을 뚫는데 사용한다.
그 이외로 래그드릴에 보링머신과 크롤러드릴에 왜건드릴과 픽해머들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노상안전기(864)에 아스팔트 피니셔(871)와 아스팔트살포기(872)에 천공기(876)와 파일드라이버(882)에 붐(882a)과 디젤 파일 해머(883) 다수개의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연결된 건설기계의 산사태방재용 분배 투입장치들로 구성되어있다.
종래의 준설선은, 물속의 흙을 파내는 작업을 하는 장비로 항만공사에서 항로. 선유장. 하천. 수로의 수심증가 및 수심유지를 위하여 공유 수면의 매립과 암벽, 방파제 등의 축 항 공사의 기초공사까지 작업하는데 준설선의 분류에는 형식에 의한 분류와 능력에의 분류하여 구분하며 형식에 의한 분류에 있어서는, 펌프식은 구동엔진의 정격출력으로 비자항식인 것과,버킷식은 주엔진의 정격출력으로 비자항식인 것에 디퍼식은 버킷용량(m3)으로 비자항식인 것으로 그래브식은 그래브버킷의 평적용량(m3)으로 비자항식인 것이다.
능력에 의한 분류에 있어 전동식과 디젤식에 증기 터빈식과 가스 터빈식으로 구분되었고 준설선의 구조 및 용도에 있어 펌프 준설선(879a)은,준설선의 구조 및 용도는 배송관의 설치가 곤란하거나 배송 거리가 장거리인 경우 저양정 펌프선을 이용하여 토사를 토운선으로 수송하거나 흙과 물을 같이 빨아 올리는 장비로 항만 준설 또는 매립공사에 사용하며, 작업시 선체 이동 범위 각도는 70°에서 90°이며,규격 표시는 구동엔진의 정격 출력(PS)으로 표시된다 이의 특징으로는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47
버킷준설선(879b)의 구조 및 용도는 해저의 토사를 버킷 컨베어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토사를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된 토사는 토운선에 의하여 수송하며 대규모의 항로나 정박지의 준설작업에 사용하고 종류는 연속식과 단속식이 있으며 연속식을 많이 사용되며 규격표시는 주엔진의 연속 정격 출력(P S)으로 표시되었으며 준설선(879b)의 특징은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48
디퍼준설선(879c)의 구조 및 용도는, 굴착력이 강하고 견고한 지반이나 깨어진 암석을 준설하는데 사용하며 규격표시는 버킷의 용량 (m3)으로 표시하였고 이의 특징은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49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저광물 망간단괴(909)의 채집은,
다수개의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비되어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연결된 원유시추용 드릴링 머신(908)과 해저광물 뜰채그물(910)에 해저광물 흡입 채집기계(911)와 해저광물 채취로봇(912)에 잠망경(913)과 고무풍선(914)에 와이어로프 체인(915)과 이중구조 배관라인 자동공압식 밸브운송장치(916)와 코아드릴(917) 건설기계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연결구조물들로 구비해 해저광물 망간단괴(909) 채집을 구성하게 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그래브 준설선(879d)의 구조 및 용도는 선박 위의 클램셸을 장치하여 특수한 기중기에 의하여 준설하는 장비로서 소규모의 항로나 정박지의 준설 작업에 사용되었으며 규격표시는 그래브 버킷 평적 용량(m3)으로 표시하고 이의 특징으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50
그래브준설선(879d)의 구조 및 용도는 선박 위의 클램셸을 장치하여 특수한 기중기에 의하여 준설하는 장비로서 소규모의 항로나 정박지의 준설 작업에 사용되었으며 규격표시는 그래브버킷 평적 용량(m3)으로 표시하고 이의 특징으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51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저광물 망간단괴(909)의 채집은,
다수개의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비되어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연결된 원유시추용 드릴링 머신(908)과 해저광물 뜰채그물(910)에 해저광물 흡입 채집기계(911)와 해저광물 채취로봇(912)에 잠망경(913)과 고무풍선(914)에 와이어로프 체인(915)과 이중구조 배관라인 자동공압식 밸브운송장치(916)와 코아드릴(917) 건설기계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연결구조물들로 구비해 해저광물 망간단괴(909) 채집을 구성하게 되어있다.
원석을 부수어서 작게 만드는 기계로서 쇄석을 만들어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모든 쇄석 작업에 사용되며 주로 골재생산에 사용된다는 점인데 향후 이의 기계로 해저채굴광석을 1단은 선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같이 쇄석기의 종류에는 1차, 2차, 3차 쇄석기로 분리시키는데 1차 쇄석기의 각부명칭의 설명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조크러셔는 압축력에 의하여 파쇄되는 기계로서 양측에 있는 조(Jaw) 사이에 암석이 투입되어 물려 들어가면 양쪽 중 한 측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측은 가동하여 이때의 가격압력에 파쇄되어 석재는 자기중력과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토출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은 조(Jaw)는 강력한 힘으로 어떠한 경질 암석류도 파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자 이레 토리 크러 셔(Gyratory crusher)는, 주철 또는 강철제로서 프레임 하부 편 심 축과 구동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cone형상의 파쇄 실이 있다. 파쇄 부에는 연 직 강제 축에 경 강의 파쇄 헤드 부가 있어 회전하면서 1차 분쇄되며, 그 다음에 최후의 파쇄 실 밑으로 배출되는 크러 셔 이다. 이 크러 셔 는 조 (Jaw) 크러 셔 에 비하여 진동이 적으며 연속적인 파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계의 위쪽을 투입구로 밑쪽을 토출구로 되어 있어 원석 투 입 호 퍼 를 설치하여 덤프트럭에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축력에 의해 파쇄된다는 것이며, 임 팩 트 크러 셔 (Impact crusher) 의 해머 크러 셔 (Hammer mill crusher)는 한 개의 회전축에 많은 디스크를 달고, 그 주위에는 장방형의 해머를 힌 지에 매달아 급속회전을 시키면 돌은 타격하게 되어 이때의 타격력으로 파쇄되는 것이다.
2차 쇄석기의 콘 크러 셔 (Con crusher)는 짧은 수직형 주축 위에 우산 모양을 콘 맨틀 헤드를 달아 이의 편 심 운동에 의하여 프레임에 장치한 콘 커브볼 사이에 돌이 물리고, 다시 이의 하강 석을 파쇄하게 된다. 이는 충격작용에 의하여 파쇄되므로 그 구조가 약간 복잡하며, 파쇄 석이 그대로 흘러내리는 슬립(Slip)은 거의 없어 상대적으로 파쇄비가 매우 큰 특징이 있다. 충격력과 압축력을 이용한다. 자 이레 토리 크러 셔 에 비하여 콘이 짧고, 공급 구 치수가 작으며 출구 간격 치수가 최대 치수의 쇄석으로 규격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정한 세 골재의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것이며 해머 밀 크러 셔 (Hammer crusher) 의 더블 롤 크러 셔 (Double roll crusher)는 2개의 경 강 제 롤이 별개의 수평축에 고정되어 있고, 그 간격도 자유스럽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롤은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회전은 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그 사이에 암석을 물리게 함으로서 이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파쇄된다. 이 롤은 압축파쇄, 배출의 주기능을 가지며 포장용 골재 생산에 많이 쓰인다.
3차 쇄석기(874)의 로드 밀(Rod mill)은 5mm 이하의 잔 골재를 생산하는 것이었고 볼 밀(Ball mill)은 로드 밀과 볼 밀은 파쇄된 돌을 다시 가는 골재로 생산하기위한 기계로서 강제의 원형 드럼 속에 짧은 환 봉 제의 로드를 넣고, 이 속에 가는 골재를 물과 함께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타격 되어 분쇄된 다음 흘러나오게 되는 것으로 비교적 입 도가 균일하며, 이때의 물이 적으면 곱게 파쇄되며, 물이 많으면 입 도의 거칠기 정도가 크다. 물이 있는 밀은 습식이고, 물이 없는 것은 건식이나 일반적으로 습식이 많다.
볼 밀은 로드 밀의 로드 대신 강 볼을 원통 내에 넣고 회전하여 새로운 골재를 얻게 한 것이 다를 뿐이다.
이의 규격표시는 시간당 쇄석 능력을 톤(ton)으로 표시[TPH(ton per hour)]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원석을 부수어서 작게 만드는 기계로서 쇄석을 만들어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모든 쇄석 작업에 사용되며 주로 골재생산에 사용엔진발전기(226)의 동력전원(46)으로 해양터널 교통장치(941)의 완성 전 시기로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다수개의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비되어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연결된 원유시추용 드릴링 머신(908)과 해저광물 뜰채그물(910)에 해저광물 흡입 채집기계(911)와 해저광물 채취로봇(912)에 잠망경(913)과 고무풍선(914)에 와이어로프 체인(915)과 이중구조 배관라인 자동공압식 밸브운송장치(916)와 코아드릴(917) 건설기계의 분배투입장치 건설기계 연결구조물들로 구비해 채집된 해저광물 망간단괴(909) 원석을 부수어서 작게 만드는 기계로서 쇄석기(874)의 로드 밀(Rod mill)은 5mm 이하의 잔 골재를 생산하는 것이므로 볼밀(Ball mill)은 로드밀과 볼밀은 파쇄된 돌을 다시 가는 골재로 생산하기 위한 기계로서 새로운 골재 쇄석을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와 해양수력발전 동력생산조절부(811b)에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c)와 동력전달조절부(811d)와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f)와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의 연결구조물들로 구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이루도록 구성되어있다.
이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의 방화수(7)인 급수의 수원과 수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하천수나 호수와 같이 지표 위에 노출되어 있는 물을 지표수라 하고 우물과 같이 지하에 잠겨 있는 물을 지하수라 한다. 급수의 수원으로는 하천수와 우물물이 많이 사용된다는 것이었다.
이에 우물물은 평균 온도가 16°에서 17°로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수온의 차가 적어 냉방이나, 공업 용수에 적합하고 수질이 좋은 것은 음료수로 사용된다는 것이었으며,
하천수는 수량이 풍부하므로 정화하여 대도시의 상수도 물로 많이 사용한다. 수도물은 겨울에는 3°에서 8° 여름에는 25°에서 28°로서 계절에 따라 수온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사진 현상, 그 이외는 별도의 공업용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었 고,
수질은 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과 병균 등에 따라 탁도, 색, 맛, 냄새 등이 다르므로 이를 검사하여 허용 함유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을 금하고 있다. 병균은 질병을 발병시키는 요인이 되며 유해물은 기준치를 초과한 광물질로서 요리와 세탁물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이었으며,물의 경도는 물속에 포함된 탄산칼슘 등의 광물질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즉 탄산 칼슘이 물속에 100만 분의 1 포함되어 있을 때 이것을 1(p.p.m; part per milion)이라 한다. 음료수는 90에서 110(p.p.m)이 적합하고 300(p.p.m)을 초과하여서도 안된다.
또한 물은 경도에 따라 연수와 경수로 나뉘며 90 p.p.m 이하의 물을 연수(110 p.p.m) 이상의 물을 경수라 한다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펌프(pump) 몸체(Body)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펌프의 양수는 흡입 관내를 진공 하여 빨아올리는 작용과 물을 뿜어내는 관내를 눌러서 올리는 작용에 의하여 행해진다. 빨아올리는 작용은 진공에 의한 것이므로 대기압에 상당한 수두. 즉 표준 기압하에서는 10.33m 이상 빨 아 올릴 수는 없다. 그러나 이 10.33m는 이론상의 빨아올리는 높이이며 실제로는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공기나 물 자체의 증발에 의하여 완전한 진공은 되지 못하며 또한 빨아올리는 관 내의 저항손실에 의하여 이론상의 빨아올리는 높이의 2/3정도 즉 약 7m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펌프의 설치 높이로 빨아올림 양정은 최저 수면에서 7m 이내의 곳이 아니면 안 된다.(이하,설명을 생략함).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유압의 정의에 대하여,유압이란 동력을 이용한 유압 펌프에 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의 압력에너지로 변화시켜 유압 유에 저장하게 하며 이를 제어밸브에 의해서 압력(힘의 제어), 유량(속도의 제어), 방향전환(방향의 제 어)의 3가지 기본제어 요소를 목적에 따라 조합하여 유압실린더나 유압모터의 작동기를 통하여 다시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 또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먼저 유압의 장점으로는,상기 시스템의 크기에 비해 큰 힘을 발생하며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고 큰 부하 상태에서의 시동 가능하여 부하와 무관한 정밀한 운동에 그리고 정숙한 작동과 반전으로 뛰어난 제어(힘, 방향, 속도) 및 조절성과 뛰어난 열 방출성을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의 단점에 있어서는,폐유에 의한 주변 환경의 오염에 이물질에 민감하여 고압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과 온도변화에 따른 작업조건의 변화로 낮은 효율들로 이처럼, 유압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시스템은, 먼저 동력공급과 제어와 그리고 출력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동력공급 부분은 시스템에 유량을 공급하며,가장 주요한 부품은 원동기와 펌프들로 상기 원동기는 펌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산업 시스템에서는 이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전동기가 사용되며, 굴삭기에 농기계와 같은 차량의 경우에 원동기는 자동차의 엔진으로서 펌프는 원동기로부터 기계적 동력을 얻어서 이를 압력을 지닌 유체의 유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압 시스템의 출력 장치로는 작동기(액추에이터)와 부하가 포함되며 작동기는 유체의 동력을 기계적 동력으로 변환시켜 부하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면서 작동기는 직선운동을 하는 실린더(선형 액추에이터)일 경우와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유압 모 터(회전 액추에이터)일 경우의 유압 시스템의 출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유압 시스템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품으로는 방향제어 밸브, 압력제어 밸브, 그리고 유량제어 밸브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실린더가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것과 같이 유체 흐름의 방향제어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했던 바와 같이,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은 출력의 힘을 조절하는 것이 되면서 유량을 제어하는 것은 액추에이터의 운동속도 조절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압력원부의 구성에는,필요량의 오일을 모아두는 탱크, 탱크로부터 오일을 퍼내서 회로내로 보내는 유압펌프와 동력원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밸브들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 부분도 장치 고유의 필요성에 맞추어 여러 종류의 기기가 사용된 펌프로 기어와 베인에 피스톤 펌프로 전동기와 탱크에 릴리 프밸브와(Shut-off) 밸브에 압력게이지와(Heat-exchange) 온도계에 휠터로 흡입라인에 압력라인과 복귀라인에 구성하고 제어부는 아래표와 같이 설명한다.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제어밸브, 오일의 흐르는 방향을 전환하고 작동기의 작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작동속도를 조정하는 유량조절밸브들이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데 압력제어 밸브는 릴리프밸브와 감압밸브에 시 퀀 스 밸브와 무 부하 밸브에 카운터 밸런스 밸브이며 방향제어 밸브로는 2/2와 3/2에 4/2와 4/3에 5/2-w a y 밸브이고 유량제어 밸브에는 오리 피 스 와 작동속도 조절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표 1-1은, 유압장치의 구성에 대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52
작동부는,직선운동과 회전운동에 요동운동으로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첫째로,직선운동의 실린더는 직선적으로 누르거나 끌거나 한다.
둘째로,회전운동의 모터는 중량물을 와이어로프로 말아 올린다.
세째로,요동운동의 요동 모터는 일정 각을 회전하는데 표 1-2는,유압장치 내의 동력과 압력유의 구성작동에 대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53
상기된 주요한 물리량과 단위의 물리량에 질량과 힘에 압력과 동력의 단위는 아래의 표와 같이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첫째로 물리량에 있어서는,물리량이란 물체의 특성,즉 측정할 수 있는 상태나 과정으로 예를들어,속도(속력),압력,시간,온도는 물리량이고 색은 물리량이 아니며,길이는 Meter(m)로,질량은 Kilogra m(kg)으로,시간은 Second(s)로,온도는 Kelvin(K) 또는 Celsius(℃)로 표준화가 되어있고 유압에서 주요한 물리량 즉 힘, 면적,유량,량,압력,속도는 위의 기본단위에서 유도할 수 있다.SI는 kg을 질량의 단위로써 정의한다.
둘째로 질량에 있어서는,질량은 일반적으로 무게 라는 용어와 같이 사용하며 지구상에서 1kg의 무게를 갖춘 정육면체 강재는 1kg의 질량을 가진다.
세째로 힘에 있어서는,질량은 중력 가속도에 관계없이 자체적인 성질을 갖춘 질량 단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힘의 단위는 중력 가속도와 관련되어 결정되며 (Newton,1643-1729)법칙에서 힘 = 질량ㅧ가속도(F=mα), 힘 = kgㅧm/s2 이것을 간단하게 Newton[N ]이라 하는데 1N = 1kgㅇm/s2 단위로써 정의한다.
네째로 압력에 있어서는,압력이란 "물체의 단위면적에 가해지는 힘의 압력"이며 그 단위로는 지금까지 미터법 공학단위인 [kgf /cm2]나 [kgf/m2]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SI단위인 [N /m2], 즉 Pa(Pascal이라고 읽는다)을 써야 할 것이다.
Figure pat00054
상기한 바와 같이,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종전의 실린더(126)와 플런저펌프(148)의 사축식 플런저펌프(148b)와 레이디얼 플런저펌프(148c) 건설기계 연결구조물로 구성되어있다.
압력의 값은 일반적으로 대기압과 비교를 한다.
Figure pat00055
대기압(atomospheric pressure)은,지구를 둘러싼 공기를 대기라 하고 그 대기에 의하여 누르는 압력을 대기압이라 하는데 표준 대기압은,다음과 같다.
1atm = 760mmHg(수온주 높이) = 10332kgf/m2 = 1.0332kg f/cm2
= 10.332mAq(물의 높이) = 101325N/m2 = 1.0 1325bar
게이지 압력(gauge pressure)은, 게이지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며 국소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절대 압력(absolute pressure)은,완전진공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다섯번째 동력에는,일이란 소비된 에너지의 양으로 정의되고, 가해진 힘과 힘 때문에 이동한 거리와의 곱으로 계산된다(W = FㅇS). 만약 어떤 물체를 40m 이동하는데 300N의 힘이 필요했다고 하자. 이 경우 한 일은 W = 3 00Nㅇ40m = 1200Nㅇm[J]이다. 그러나 일이라는 개념만으로는 알 수 없는 것이 물체를 얼마나 빨리 이동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이 일은 10초 아니면 5초 만에 행해졌는가? 즉 동력은 에너지가 얼마나 빨리 소모되었는가를 고려하는 것이다. 한 일을 일이 행해진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동력에 대한 식을 구하게 된다.
Figure pat00056
예를들어, 일이 Nㅇm이고 시간이 초(s)라고 하면, 동력은 Nㅇm/s로 될 것이며 일반적으로 동력의 기호로는 대문자로 P를 사용하는 반면, 소문자 p는 압력의 기호로 사용되며 위 식에서s/t를 속도 υ로 바꾸어 넣으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pat00057
예를들어, 힘이 N이고 속도가 m/s라면, 동력의 단위는 Nㅇm/s가 된다. 동력은 마력(horse power; hp)으로도 표현한다. 이 두 가지 단위 사이에서 변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58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단위간의 변화 관계를 방정식에 적용했기 때문에 위 식에서 힘은 N, 속도는 m/s로 단위 사용을 제한하면서 다른 어떤 단위로도 사용하면 안 되며 단위간의 변환 관계를 미리 고려하여 만들어진 이러한 방정식은 편리함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면서 국제단위계에서 동력은 조 함 단위로서 와트 (Watt ; W)를 사용하고 있는데 W는 크기가 작은 단위이므로 일반적으로 킬로와트(kW)로 표현하면서 적합한 변환인수(1kW = 1000W)를 식 (1.2)에 넣으면 국제단위계에서 사용하는 다음 식이 얻어진다.
Figure pat00059
위 식에서 계산한 값의 단위가 킬로와트(kW)임을 나타내기 위해 kW란 기호를 사용하였다. 식 (1.3)에서 적용되는 단위는 F(힘)는 N,υ(속도)는 m/s이다.
유압기계에서 사용되는 간단한 유체역학의 연속방정식에 베르누이 방정식과 유체의 정역학에 파스칼의 원리와 압력전달의 원리에 유체의 유동과 마찰의 흐름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연속 방정식에 있어서는,연속 방정식은 질량 불변의 법칙을 유체의 흐름에 적 용한 것으로, 폐곡선의 관로 속 유체는 도중에 생성되거나 소멸 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관로 속의 흐름 을 정상류(steady state flow)라 생각하고 유체는 압축성을 고려하지 않을 때, 이 관에 직교하는 임의의 단면 ①과 ②를 설정하고 그 단면에서의 평균유속을 각각 υ1 υ2, 단 면적을 A 1 A 2, 밀도를 ρ 1 ρ 2라 하며 이때 단위 시간당 각 단면을 흐르는 유체의 양은 질량 불변의 법칙에 따라 같지 않으면 안 된다. 즉 질량을 m이라 하면,
Figure pat00060
이 되어야 하고 여기서,
Figure pat00061
은 임의의 점에 있어서 관로를 지나는 질량 유량(mass flowrate)이다.
①지점을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질량은 ρ 1, A 1, υ 1이므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되며,
Figure pat00062
유체가 비 압축성인 경우에는 ρ = Const.이므로
Figure pat00063
으로 되며 이 Q를 유량이라 하고 관로 속을 지나는 유체의 유량은 어느 단면에 있어서나 일 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유압에서는 유량이란 "단위 시간에 이동하는 액체의 양"을 말하며 토 출 량으로 표현하고 있고,유량은 통상적으로 기호 Q로 표시하고 단위는 ℓ/min. cc/sec 으 로 표시하며 유속은 "단위 시간에 이동하는 유체의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위 식으로부터
Figure pat00064
가 되고 단위로 m/s로 표시된다.
베르누이 방정식에 있어서는,베르누이 방정식은 비 압축성 유체의 전체 에너지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유압유는 거의 비 압축성이므로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압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고 유체의 에너지는 3 가지 형태로 나타낸다.
먼저 유체 에너지(높이와 주역으로 인함) = Wㅇh
다음의 압력 에너지(압력으로 인함) = Wㅇ
Figure pat00065
그 다음의 운동 에너지(속도로 인함) = Wㅇ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위의 3 가지 에너지 항의 단위는 모두 Nㅇm이다. 만약 어떤 시스템에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는 경우가 없다면, 임의의 두 점에서의 에너지는 모두 같아야만 하며,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68
각 항에 W가 공통으로 있으므로 이를 나누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이것이 베르누이 방정식인데 이는 단위 중량당 유체가 포함하는 에너지를 모두 표현하고 있으므로 세 가지 에너지 중에서 한 개만이라도 증가하면 나머지 두 가지 에너지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의 에너지가 감소하여 세 가지 에너지의 합이 동일하도록 균형을 이룬다.
유체의 정역학은 유체 정역학의 압력은 용기의 모양에 관계없이 수두에 비례한다. 따라서 유체의 비 중량과 수두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p = rh (1.6)
파스칼의 원리는,밀폐된 용기에서 어떤 힘(사람의 힘, 기계의 힘 또는 자 중에 의한 힘)에 의하여 유체에 압력이 가했을 경우 이 유체에 가한 압력은 모든 방향에서 똑같은 크기로 다른 물체에 전달되며 이 원리를 처음으로 밝혀낸 사람이 파스칼이라서 "파스칼의 원리"라고 하며 유공압 기기에 이 원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정지하고 있는 액체가 서로 맞닿아 있는 면에 미치는 압력은 맞닿아 있는 면과 수직으로 작용하는데,정지하고 있는 액체의 한 점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크기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같으며 이처럼, 밀폐된 용기 내에 정지하고 있는 액체의 일부에 가해진 압력은 모든 부분에 같은 세기로 동시에 전달되므로 이를 파스칼의 원리라고 한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밀폐된 용기에 액체를 넣고 위에서 힘(F)을 가하면, 액체는 압축하여도 체적은 줄지 않는 성질이 있으므로 액체는 위에서 누르는 힘에 대항하려는 힘이 생긴다. 이를 반 력 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액체의 반 력 을 압력(p)이라고 한다.
용기 내의 압력은 힘 F를 피스톤의 면적 A로 나눈 것이다.
Figure pat00069
압력 전달의 원리는,실린더 안에 액체를 채우고 피스톤 단면적 A 1, A 2F 1F 2의 힘이 가해졌을 때 이들 힘 때문에 액체 중에는 어떤 압력이 발생하는데, 여기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마찰은 없고 이 부분으로부터 누설도 없으며, 또한 전달에 의한 에너지 손실도 없다고 하면, 두 개의 실린더 내에 발생하는 압력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70
단, 실린더 내 액체의 높이 차에 의한 압력의 차이는 p값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 위의 식으로부터
Figure pat00071
가 얻어진다. 즉, 힘은 피스톤의 단 면적에 비례한다. A 2에 비해 A 1이 작으므로 F 1에 비해 충분히 큰 힘 F 2가 얻어진다. 유압 프레스나 수압기가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실시예의 유압 증강장치는,표면적이 다른 두 개의 피스톤을 로드에 의해 연결하는데 압력 p 1을 피스톤 면적 A 1에 작용시키면 힘 F 1이 로드를 통하여 작은 피스톤으로 전달되고 이 힘이 단면적 A 1에 작용하므로 압력 p 2는 증 압 되어 마찰손실을 무시하면 등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72
압력증강 장치에서 압력은 피스톤의 면적에 반비례한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유체의 유동은,유체 유동의 모든 경계면이 고체 면으로 이루어진 유동을 일반적으로 내부유동(internal flow)이라고 하며 이러한 유동은 크게 층류유동과 난류유동으로 대별하고 층류 유동은 점성력이 관성력 보다 지배적인 유동으로 레이놀즈수가 작은즉, 속도의 크기가 작은 유동이면서 점성 유동인 경우 뉴톤의 점성법칙을 잘 만족시키는 유동이며, 난류 유동은 역으로 관성 력이 점성력 보다 지배적인 유동으로 레이놀즈수가 큰즉, 속도의 크기가 큰 유동이며, 일반적으로 유압장치에서의 유동은 층류 유동인 경우가 많다.
Figure pat00073
위 표와 같이 마찰과 흐름은,유압 에너지는 배관을 통하여 이송될 때는 손실이 따른다. 마찰은 유체 자신과 배관의 내벽에 의해 발생 되고 열을 발생하는데 유압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유압 에너지의 손실은 유압유체의 압력손실을 칭하며 유압유체는 유압설비 내의 모든 구조물에서 압력손실이 있으므로 이 손실은 흐름 매체의 마찰에 의한 것이며,열에너지로 변화하는 구조물에서의 압력손실은 때때로 고의적으로 발생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구조물에서 열 발생을 일으키는 압력손실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작동중에 있는 모든 유압유체는 유압기기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열되므로 배관 내의 유체가 화살표방향으로 작용하면 흐름의 방향으로 나타나는 압력은 점점 감소한다.
이렇게, 유압펌프는 유압 펌프개요와 토출량과 압력의 관계에 펌프의 동력과 효율로 분리하여 하표와 같이 설명하는데 먼저 유압펌프 개요에는,원동기로부터 공급받은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변환시켜 유압 유의 유압에너지 수준을 높임으로써 유압계통에 에너지를 가해주는 기기를 유압펌프라 칭하며,펌프는 비용적식펌프와 용적형펌프로 분류하는데, 비용적식 펌프란 유폐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너지의 전환이 일어나는 펌프로서 원심펌프, 사류펌프, 축 류펌프,분사형펌프들이 있으며 토출량과 압력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어 토출량이 증가하면 토출 압력은 감소하며, 용적식 펌프란 펌프의 축이 한번 회전할 때마다 일정한 량을 토출하는 펌프로서 토출량이 부하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부하압력에 따라 토출압력이 정해지므로 부하가 과대해 지면 압력이 상승해서 펌프가 파괴될 위험이 있는데,유압계통은 유압 펌프가 펌프작업을 함으로써, 탱크 내부에 있는 저에너지의 유압유를 흡입하여 이것에 에너지를 가하고, 다시 밀폐된 작동부에 높은 에너지의 유압유를 보내어 작동부(실린더,모터)를 통해서 외부에 일을 하고, 유압유는 저에너지로 되어 탱크로 다시 되돌아오는 계통으로 구성되면서 펌프작업으로 유압 유에 가해진 일 또는 에너지는, 일 = (힘)ㅧ(변위) = (압력)ㅧ(넓이)ㅧ(변위) = (압력)ㅧ(배제 체적)와 같이 된다.
단위시간에 가해진 일, 즉 공률 또는 동력은
Figure pat00074
과 같이 된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표 2-1은 유압 펌프의 분류에 따른 토 출 량과 압력의 관계에 있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한다.
Figure pat00075
위 표와 같이, 유압 펌프의 토 출 량은 입력 축을 1회전 시킬 때 토출구로부터 내보내진 작동 유의 체적으로 나타내며,예를 들어 32cc/rev라면, 1회전당 토 출 량이 32cc라는 것이며,유압 펌프에는 그 속도 이하로 구동한 경우에는 소정의 토 출 량을 유지할 수 없는 「최저회전속도」가 있어서 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극단으로 수명이 단축되고, 파손하는 일도 있는 「최고회전속도」가 정해져 있는데 이 최저와 최고회전 속도의 범위 내라면 임의의 속도로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고 회전 속도에 비례해서 토출구로부터 내보내진 작동 유의 유량은 커지므로 32cc/rev의 유압 펌프를 1500rpm(1분당 1500회전의 속도)으 로 구동한 경우 토출구에서 나오는 유량은 32cc의 1500배, 즉 '48,000cc를 1분간에 흘린다.'라는 의미의 48 ,000cc/min(48ℓ/min)가 되며,즉 1500rpm에 놓인 이 유압펌프의 토출량은 48ℓ/min라고 표시하며 토출구에서 압력이 5kgf/cm2 정도로 대단히 낮은 경우에는 실제로 측정한 토출량과 계산에서 구해진 토출량(이론 토출량)이 상당한 근사치가 되면서 동시에 유압 펌프에는 토출구의 압력이 수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내부 누설이 많아지고 수명도 현저히 짧아진다는 의미를 갖는 「최고사용압력」이 정해져 있으므로 유압펌프의 내부에는 금속면과 금속면의 접촉부가 여러개 있어서 그 부분을 윤활하게 하기 위한 작동유가 필요하며 내부 누설은 이 목적이 이용되기 때문에 뺄 수가 없다.
그래서, 이 내부 누설은 토출구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서(거의 비례하여) 커지고, 최고사용 압력에서는 이론 토출량의 5%에서 10%의 누설량이 되며 이것은 최고사용압력에서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토출량이 이론 토출량의 95%에서 90%인 것을 의미하는데 어느 압력에서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토출량이 이론 토출량의 몇 퍼센트인가를 나타내는 수치를 용적효율이라고 부른다.
통상 단순히 용적효율이라고 할 때에는 최고사용압력에서의 용적효율을 나타내는 것이 많으며 내부 누설이 이론 토출량의 5%인 경우, 바꿔 말하면 실제로 측정한 토출량이 이론 토출량의 95%인 경우 (그 압력에 있어서) 용적효율은 95%라고 표시하며 펌프의 동력과 효율에 있어서는,유압 펌프의 흡입압력을 p s [kgf/cm2], 토출 압력을 p d[kgf/cm2 ]라고 하고, 토 출 유량을 R[m3/s]라 하면 펌프가 발생하는 펌프동력(유체에 유효하게 전달되는 마력) L p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p = pQ[kgf m/s]) (2.1)
여기서 p = p d - p s는 펌프의 출구와 입구의 압력차이나 보통 p s 는 대기압으로 p = p d로 생각한다.
출력단위를 kW나 ps로 표시하면
Figure pat00076
이다. 또 p의 단위가 kgf/cm2이고 Q의 단위가 ℓ/min일 때 펌프동력은
Figure pat00077
펌프 속의 누설손실이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펌프가 유압 유에 준 이론동력(액체동력) L th는,
(L th = pQ th [kgf m/s]) (2.4)
여기서, pkgf/cm2는 펌프 토 출 압력이고 Q th[m3/s]는 이론 토 출 량이며 원동기로부터 펌프 축에 전달되는 동력(축 동력)을 L s라고 하면
Figure pat00078
여기서, ω[l/s]는 각속도이며, T th[kg f/cm2]는 펌프를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토크(torque) 이고, N[rpm]은 회전수이며 펌프는 원동기로부터 축을 통하여 받은 에너지의 전부를 유압 유에 주는 것이 아니고 일부는 손실로 소멸 되고 나머지의 에너지만 유압유가 가지고 나가므로 펌프가 축을 통하여 받은 에너지를 얼마만큼 유용한 에너지로 전환시켰는가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효율을 정의한다.
Figure pat00079
여기서 η는 펌프의 전 효율이다.
Figure pat00080
개요 및 분류에 있어서,유압 액추에이터는 압 유에 의해 출력 축의 왕복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기계적 일을 하는 유압기기의 총칭으로, 유압모터(축의 회전운동 ), 유압실린더(축의 직선운동) 및 요동 액추에이터(축의 한정된 회전운동)의 3종류로 표 4-1은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81
유압모터에 있어서는,유압모터는 압유의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전환 시키는 장치이며 원리적으로는 유압펌프의 흡입 측으로 압유를 공급하면 유압모터가 되지만 효율이 좋지않으므로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펌프는 일정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유압모터는 정역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압모터의 특징을 동일한 회전 운동을 하는 교류 전동모터와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수의 무단변속, 정역회전의 변환이 대단히 간단하고 시동 정지도 대단히 쉽고 관성이 적어 추종 성이 좋고, 응답이 빠르며 자동제어의 조작 부, 서 보 기구의 요소에 적당하므로 동일 마력당의 크기가 전동 기에 비해 훨씬 작으므로 이와 같은 장점이 있지만 유압장치 자체가 전동기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그 용도가 제한되며 유압모터의 형식에는 모터를 1회전 시키는데 필요한 유량이 일정한 것과 변화되는 것이 있으므로 전자를 정 용량형 유압모터, 후자를 가변용량형 유압모터라고 한다.
기어모터(gear motor)의 구조는,기어 펌프와 거의 같으며 공급된 압유(壓油)가 치면(齒面 )에 작용하여 토크를 발생시켜 출력 축을 회전시키며 기어는 일반적으로 평기어가 이용되며 다른모터에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 경량이며 구조상 가변용량형 모터로 제작하기는 곤란하고 100rpm 이하의 저속에서는 토크 출력 및 회전속도의 맥동이 커져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인데 기어모터의 전 효율은 70∼80[%] 정도이고 회전속도는 1000∼3000rpm 정도이다.
베인 모터(vane motor)는,구조 면에서 베인 펌프와 동일하며 공급압력이 일정할 때 출력 토크가 일정,역전가능,무단 변속가능,가혹한 운전 가능,점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최고 사용압력 70bar, 동력 5∼30ps, 회전수 200∼1 800rpm 정도의 것이 많으며 최저 200rpm이라고 하는 속도 한계는 출력 토크의 변동이 적으며 일반적으로 저압이 라든가 저속에서는 효율이 좋지않아 토크의 변동이 증대되는 단점도 있다.
피스톤 모터( piston motor)에 있어서는,피스톤 모터는 흔히 플런저모터(plunger motor) 또는 회전 피스톤모터 라 칭하며 피스톤 펌프와 구조가 거의 같고 종류는 액셜형(axial type)과 레이디얼형(radial type)이 있으며 액셜 피스톤모터에는 사축식과 사판식이 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레이디얼 피스톤모터는 몇 개 또는 10여 개의 피스톤이 축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반경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형식인데 실린더 블록의 편심 또는 편심캠을 써서 피스톤이 받는 압유에 의한 힘을 토크로 변환하는 편심식과 다엽캠을 써서 1회전에 대한 수회의 피스톤 왕복운동에 의해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 행정식으로 분류되면서 피스톤모터는, 피스톤 펌프와 같이 정용량형(fixed displacement type)과 가변용량형(variable displacement type)이 각형 식마다 있다.
유압모터의 출력 및 효율에 있어서는,모터에 유입되는 압 유의 압력을 p 1[kg f/cm2], 유출되는 압 유의 압력을 p 2[kgf/cm 2]라 하고 공급 압 유의 유량을 Q[cm3/min]라고 할 때 유압모터에 유입되는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82
출력은 토르 크 와 각속도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pat00083
여기서 n는 모터 출력 측 회전수[rpm], T는 모터 출력 측에서 부하에 전달되는 토르크[kgfㅇm] 이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의 관계에서 모터의 효율을 계산하면
Figure pat00084
유압모터의 크기는 1 회전 당에 필요한 압 유의 량 q(cm 3/revolution)으로 표시하며 모터의 내부 누설이 없다는 가정 하에서 Q = q n o ,λ = 100% 즉 손실이 없는 것으로 하고 귀환기름의 압력을 0으로 보 면(p 1 = p)
Figure pat00085
위 식으로부터,
Figure pat00086
따라서 토르크 효율은
Figure pat00087
가 된다.
위 식에서 n o는 모터 내부 누설이 없다는 가정 하에서의 회전수이며 T o는 압력 p의 압유가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토르크 또는 이론 토르크라고 한다.
유압모터의 장단점에 있어서의 장점으로는 전동기에 비해 쉽게 급속 정지시킬 수 있으며 광범위한 무단변속을 얻을 수 있다는 점과 소형이고 가볍고 강력한 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고 내폭성이 우수하여 고속 추종 성이 좋다는 것이며, 시동, 정지, 역전, 변속 등을 가변용량형 펌프나 미터링(교축 밸브의 뜻이며 유량을 개량하는 밸브)에 의해서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고 과부하에 대한 안전장치나 브레이크가 용이하며 종이나 전선에 쓰이는 권선기와 같은 토르크 제어기계에 편리 하다는 점이며,상기한 바와 같이,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종전의 실린더(126)와 유압크레인(885)의 피스톤모터(885a)와 유압모터에 플런저펌프(148)의 사축식 플런저펌프(148b)와 레이디얼 플런저펌프(148c)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이 베르누이정리와 파스칼의 이론적 물리학 방식을 토대로 구비된 황사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성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 595)의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물레방아(838) 형태의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해양수력발전 동력생산조절부(811b)는, 직류(655)와 교류(656) 에너지 전력을 구비하는 헤드탱크(189)와 유압호스(190)에 도입관(191)과 실린더(126)와 피스톤 또는 피스톤펌프(127)에 전구몸체(660)와 건전지 또는 밧데리(671)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형성된 산정상에 위치하는 원형 조립식 물탱크(292)와 원형 댐(680) 내부에 저장하는 자연수와 방제 수에 방재수의 황토혼합물 방재물질들을 포함하는 물탱크(292)와 원형 댐(680)들은 황사방재 극복을 위해 황사방재 극복의 다수개의 건설기계를 구비한 산사태방재설비를 구비해 수해를 조절하는 설치 공정과 황사방재설비 공정들이 이미 동북아 신한국 연방국가로 창설된 지구촌의 육지와 해양으로 순차적으로 한반도의 중심지역 경도인 동경 127도 17분 00초,위도인 북위 38도 20분 00초,대한 민국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강산리 산 190 지적 임야도의 한반도의 중심지에서 반경 1200k m 원둘레 면적의 직경 2400km 원둘레 면적 내부로 구성하는 무동력펌프(393)와, 수조탱크에 전자센서밸브와 관제시스템의 무인카메라(184) 일체로 구성하는 장비들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의 내부로 구성하는 황사방재설비의 다수개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구비한 쓰나미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을 투입함으로써 산사태방재공정이 이루어지는 산사태방재 자동화 설비가 구성되어있다.
전국토 65% 산악지형에 따른 산정상의 하부 각부능선에 위치하는 각개의 원형 댐(680)을 배분하고 상기 댐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방재 수로(17)들로 구비해 홍수기에 대비하여 집중 호우인 빗물과 황토 혼합물을 각 해안 바닷가의 방제수 저장탱크와 방제댐에 저장을 갖추면서 동시에 유해적조 발생주의보가 발령되면 상기 저장탱크와 방제댐에 저장된 황토혼합물을 밸브(409)를 개방하여 방제수를 대량으로 방출하여 유해적조발생을 차단하는 수해조절설비들로 구비해 산사태방재설비용 물 저장탱크와 해양터널교통장치에 해양수력 발전댐 건설기계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산사태피해방지부(811)를 구성되게 한다.
상기 다수개의 수해 극복을 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형성하는 건설댐(680)과 수로(294)의 건설 공사 전에는 댐(680)과 수로(294)의 현지 설정위치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타당성 평가 조사 후 설계는 측량기구로 설계를 마감 후 건설댐(680)의 재료가 되는 철근과 모래에 자갈 세멘트 재료 산출을 마련하고 건설댐(680)과는 별도의 돌과 흙을 사용하는 자연댐, 수로공사를 선택할 수 있는 점을 파악하여 이에 준하는 댐공사장 인근에 건설기계와 케이블카아(256)에 벌목기계들로 구성된 다수개의 수해 극복을 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수준은 상기 방제활동이란 단어는 아예 제거되는 또는 제외되는 수준으로서 눈덩이 같이 불어나는 재난피해를 아예 없애주는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수준과는 현격한 차이의 재난방지시스템의 산사태방재 장치로 구비되는 특징이자 본 발명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종전의 건설장비와 중기 류인 건설기계를 본 발명에 형성시켜 지구촌의 정치, 경제, 문화, 과학, 환경분야의 미래 청사진이 포함되는 미래지향적인 해양발전소 몸체 내부의 제작 설치가 기술적 특징으로 본 발명 산사태방재장치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수도꼭지만 틀면 설악산이나 지리산 물을 음용할 수 있고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마찬가지로 수도꼭지만 틀면 설악산이나 지리산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는 그날의 이전이라도 평양주민이 설악산이나 지리산 물을 음용하고 남한주민이 백두산이나 묘향산 물 음용할 수 있는 점등의 서로 인정을 베풀면서 삶의 질의 향상시킬 수 있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와 해양수력발전 전력생산조절부(811b)에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c)와 동력전달조절부(811d)와 유해적조차단 예방조절의 재해차단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f)에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들로 분리 구성하는 여건의 조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산사태의 피해는 인적, 물적, 천문학적 수치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상청의 일기예보 따라서 신속하게 극복 시스템의 건설기계를 구비한 장비들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1)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와 해양수력발전 동력생산조절 전력 생산제조부(811b)에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c)와 동력전달조절부 (811d)와 탄광매몰사고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f)에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분리 구성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더 구비하여 산사태방재의 수해 극복을 향상시켜주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필요성이 당해 기술분야에 존재하며 본 발명의 기술을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특허번호 제1799861호 참조, 특허번호 제1570665호 참조, 특허번호 제1167145호 참조,
『증보문헌비고』 참조, 『조선왕조실록』 참조,
본 발명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상기와 같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산사태경보에 그치는 수준인바, 그 피해는 천문학적 수치이다.
본 발명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인데,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인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 및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으로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높이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는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종전의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매몰에 의해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는 크다고 할 것이다.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과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대를 설치함으로써, 인명 피해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와 인명구조대를 구비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고,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기 위해 비상탈출구 상단에 인명구조용 그물과 튜브를 설치하며,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는 도로와 운동장과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생활터전을 구성하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지구촌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인공위성에서 제공하는 장기적 일기예보에 따라 연안해변 등지는 이유없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로 연결하는 구명보트에 안전도르레와 와이로프를 구비해 한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지구촌에 제공하는 것을 다른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에는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 형성하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지구촌에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있어서,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고나,
상기 산사태방재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비해 산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산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360˚ 회전방재수로와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들로 구비해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회전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산사태방재를 구성하며;
상기 산사태방재는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과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장치를 설치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감축하며 산사태의 복구에는 일체의 건설기계와 인명구조장치를 구비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아파트건물로 산사태방재를 구성하고;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기 위해 비상탈출구 상단에 인명구조용 그물과 튜브를 설치하며,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는 도로와 운동장과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안전한 생활터전을 구성하며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와 해양수력발전 동력생산조절 전력 생산제조 부(811b)에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c)와 동력전달조절부(811d)와 탄광매몰사고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f)에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들로 구성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더 구비하여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산사태 극복을 향상시켜주는 것;
들로 구성되는것을 특징한다.
다르게는, 상기 산사태피해방지부(811)는,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에서는 탄광(993)매몰사고로 인해 탄광(993)매몰사고 극복을 위해 복수개의 배관라인(74)과 노끈을 구비해 현장에 항상 배치해 두고 매몰사고전 후 시에 복수개의 배관라인 (74)을 구비해 의식주 반출입 통로로 산사태방재를 위해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상기와 같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산사태경보에 그치는 수준인바, 그 피해는 천문학적 수치이다.
본 발명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인데,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인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 및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으로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는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종전의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매몰에 의해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는 크다고 할 것이다.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과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대를 설치함으로써, 인명 피해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와 인명구조대를 구비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성하고,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기 위해 비상탈출구 상단에 인명구조용 그물과 튜브를 설치하며,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는 도로와 운동장과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생활터전을 구성하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지구촌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며,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인공위성에서 제공하는 장기적 일기예보에 따라 연안해변 등지는 이유없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로 연결하는 구명보트에 안전도르레와 와이로프를 구비해 한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지구촌에 제공하는 것을 다른목적을 구성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될 것이고,
또한, 원자력발전소에는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 형성하도록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지구촌에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을 구성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산사태예방을 간단히 이루게 되는 계단식 무동력 수격펌프(393)의 관노즐 집수정 탱크 설치에 따른 탄산가스 소화기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설치 방식 대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다중 관 소방호스 및 분사노즐 조립모형 구성도 및 조립제작 과정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산불발생시 1초 이내로 초기진화를 이루게 구성하는 삼칠계단식 펌프 소화기 화재예방 방식의 집수정 탱크 및 그에 대체하는 마노매턴형 레벨균형 관노즐 설치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 분배투입장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해양발전소 몸체 인근 산봉우리와 연결 구조물 각개의 빌딩과 건물 옥상에 감속기(251)와 전동기 몸체(192)로 구축된 승강기 기계실의 타구어윈치(137)에 와이어로프(19)를 철탑(116) 상부로 구동바퀴 로라(135)에 부착시킨 후 케이블카아(256)에 소방센서펌프 일체의 소방방재 대책용품을 탑재시켜 1초 이내로 초기진화를 이루도록 소방방재라인을 구성시킨 산속 계곡 정상 부위와 바닷가 주변의 소방방재라인이 구축된 승강기의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기계의 분배투입장치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해양발전소 몸체 각개의 화재유형별로 1초 이내에 초기진화를 이루게 되는 산정상 부위와 빌딩과 건물 각개의 승강기 기계실의 집수정 펌프와 소방 설치 위치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설비 산사태방재기계의 분배투입장치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와이어로프 및 분사노즐과 이중관 구조 소방호스 설치운전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작동 방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옥내의 화재를 1초 이내로 초기진화 및 인명구조를 간단히 이루게 되는 옥상탱크와 압력탱크에 급수장치 상수도 연결펌프소화기의 재해차단 예방조절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산사태방재기계의 분배투입장치 설치 방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산의 각부 능선에 위치하는 계단식 댐 회전수로의 수해조절의 육지의 수력발전소와 어도터널(672)과 연결구조를 갖춘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해양발전소 몸체 사시 구성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산의 각부 능선에 위치하는 계단식 댐 회전수로의 수해조절의 육지의 수력발전소와 어도터널(672)과 연결구조를 갖춘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해양발전소 몸체 수력발전설비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산의 각부 능선에 위치하는 계단식 댐 회전수로의 수해조절의 육지의 수력발전소와 어도터널(672)과 연결구조를 갖춘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해양발전소 몸체 수력발전설비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펌핑 가동부(811a)의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디젤 엔진과 발전기 생산전력을 각개의 압축기와 펌프로 공급하기 위한 전동기 펌프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해양수력발전 전력생산조절부(811b) 구성을 보여주는 수력발전소 내부의 수력발전기 몸체 내부 프란시스 수차, 펠톤수차에 펌프수차 및 터어빈과 가이드베인 내부 조립모형 구성도 및 펌프수차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해양수력발전 전력생산조절부(811b) 구성을 보여주는 디젤엔진 외형도 및 전동기 모터 내부 분해조립의 모형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입형다단펌프 정단면도 및 정면도와 입형다단펌프시스템 개념의 구성도에 컨트롤 블록 다이아그램과 B F모델; 속도제어방식, 3 펌프직입 기동방식 실시예의 입형다단펌프 운전방식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입형다단펌프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제어방식과 디지털 피아이디 제어방식의 인버터시스템에 관제시스템의 무인카메라가 설치되어 분사노즐에서 방화수가 토출되는 인버터시스템과 관제시스템의 장비가 접목 구성된 소방센서펌프 몸체 내부의 작동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다수개의 압축기인 이동용 압축기와 고정용 압축기 및 다단식 나사 압축기의 부분적인 사시 구성도 및 지하매설 앙카볼트 고정용의 정단면의 작동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유분리 탱크가 접착 형성된 기어 드라이븐(290)과 전동기와 연결되는 스큐르 압축기에 흡입밸브로 분해조립의 모형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후미 냉각기 내부와 에어드라이어 내부에 부착되는 흡입필터(262)와 에어드라이어(291) 내부로 부착되는 흡입필터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옥외소화전인 쌍구포탄형 지상식 소화전과 배설형·소화전의 지하식 단구소화전(179a)과, 지하식쌍구소화전(179b)의 도로지표면 하단부 상부 지하식 소화전 박스쇠덥개맨홀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구성을 보여주는 정 단면 구성도이며,오토소화전(161)과 옥내 소화전상자(160) 내부의 소화기 부속품과 소화전 상자의 정면 구성도이고,연결송수관의 송수구(168)와 방수구(소방대전용 소화전, 169)에 소화전(179)을 도시한 구성을 보여주는 정,단면 구성도와 사시 구성도이며, 옥내 소화전 배관방식의 (a)대규모 소화전 설비와,(b)소규모 소화전 설비를 부분적 측면을 도시한 부분 측면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사시 구성도에 스프링클러설비 배관계통 스프링클러 설비와 트랜처헤드의 스프링클러헤드(111) 사시 구성도와 진동경보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왕복펌프 피스톤펌프(127)의 작동방식을 측면 도시한 부분측면도 및 플런저펌프(148)를 부분적 측면으로 플런저(253) 작동방식을 도시한 부분적 플런저펌프(148) 작동 구성도이고, 회전운동펌프의 블류우트펌프(311)와 터어 빈펌프(140)의 측면을 도시한 부분적 측면도이며 오수펌프(309)의 설치상태를 측면으로 도시한 운전 측면 방식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조정밸브(459) 일체와 배관부속품의 수전 류형의 일반형 수도꼭지(496)의 육지와 해양의 구성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펌프구동중의 주요문제에 있어 그에 대한 대책의 요부확대 단면 구성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소방펌프와 원동기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밸브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각개 밸브의 작동 방식 구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용적식 각개 펌프종류별 왕복펌프의 플런저 펌프(148) 사시구성도 및 다이어 후렘펌프(144)의 작동방식과 윙펌프(327) 작동방식을 도시한 작동 구성도이며, 로터리펌프(337) 내부와 외치기어펌프(326) 그외의 로터리펌프 회전자(338)를 부분적 작동방식을 도시한 작동의 구성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터빈펌프(140)를 도시한 사시 구성도이며, 프라이밍(339)과 자흡식펌프(340) 사시구성도에 프로펠러펌프(146)의 축류펌프(341)와 혼류펌프(342) 작동 구성도이고,점성펌프(343) 사시구성도에 점성펌프와 임펠러 사시 구성도에 각 펌프 작동방식을 측면 도시한 측면 작동의 구성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자동 집수정 탱크의 작동방식을 측면 도시한 측면 작동의 구성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자동 집수정 탱크의 작동방식을 측면 도시한 측면 작동의 구성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자동 집수정 탱크의 작동방식을 측면 도시한 측면 작동의 구성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종래의 자동 집수정 탱크의 작동방식을 측면 도시한 측면 작동의 구성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 구성을 보여주는 유압 공압 실린더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작동조립을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도와 검출용 스위치 일체의 구성에 따른 센서의 구성에 의한 유공압과 센서기술 적용방식의 구성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 구성을 보여주는 애드벌룬과 비행선의 작용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대기권 내부의 태풍 및 일기예보에 따른 작동 구성도이며, 건물 내외부의 분사노즐 및 침대노즐 설치 후 1초 이내로 초기진화를 이루게 구성하는 종류별 화재 및 재난 예방의 방식 구성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를 구성하는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다수개의 건설기계 불도저(855) 작동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부터 [도 34]...각각은 종래의 본 발명 구성에 의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를 구성하는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지게차(858)와 덤프트럭(860)에 콘크리트 배칭 플랜트(865)와 머캐덤롤러(889)에 탬핑롤러(891)와 타이어롤러(892)에 트레일러(894) 작동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를 구성하는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기중기의 6개 전부장치(861p)로 갈쿠리장치(861q)에 조개장치(861r)와 삽장치(861s)에 긁어파기장치(861t)와 도량파기장치(861u)에 기둥박기장치(861v) 작동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를 구성하는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쇄석기(874)와 준설선(879) 작동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굴삭기(856)와 연결구조를 갖춘 유압탱크(819)에 플런저펌프(148)의 사축식 플런저 펌프(148b)와 레이디얼 플런저펌프(148c)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불도저(855)의 크롤러형도저(855a)와 휠형도저(855b)에 스트레이트도저(855c)와 딜터도저(855d)에 앵글도저(855e)와 힌지도저(855f)에 트리도저(855g)와 레이크 도저(855h)에 하이드릭리퍼(855i)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크롤러형 도저(855a)와 휠형 도저(855b)에 굴삭기(856)와 스키머(856f)에 파일드라이 버(882)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쇄석기(874)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로더(857)에 지게차(858)와 덤프트럭(860)의 트레일러(860a)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콘크리트 배칭플랜트 (865)와 콘크리트 피니셔(866)에 콘크리트 믹서트럭(868)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노상안전기(864)에 아스팔트 피니셔(871)와 아스팔트살포기(872)에 천공기(876)와 파일드라이버(882)에 붐(882a)과 디젤 파일 해머(883)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가동부(811a) 해양발전소 몸체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에 구성하는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 독(593,594,595)의 선체위치 이동조절의 건설기계 위치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준설선(879)의 펌프준설선(879a)과 버킷준설선(879b) 건설기계 연결구조물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대형송풍기,환풍기를 보여주는 산사태방재 분배투입장치 구성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는,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에서는 탄광매몰사고로 인해 탄광매몰사고 극복을 위해 복수개의 배관라인과 노끈을 구비해 현장에 항상 배치해 두고 매몰사고전 후 시에 복수개의 배관라인을 이용해 의식주 반출입 통로로 산사태방재를 위해 산사태방재 분배투입장치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냉각장치의 에어컨 기구와 공기 보온용의 가열팬과 냉각팬들이 더 구성되고 상기 물의 저장과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탱크들로 구비하는 물탱크는,
산정상에서 분리 해체 가능한 휴대용 결합 장치에 따른 제작방식에는 용접공정이 배제된 탱크 하단부위 밑바닥의 고장력의 철판 마개 철판과 탱크 상단부위 두껑 마개 철판들은 부착되지 않으며 상기 물탱크 하단 부위로 콘크리트 기초바닥 두께를 60cm 갖추면서 동시에 거푸집 형틀과 동등한 수준의 내부블록탱크(가로×세로×두께; 1.5m×1m×3m m) 의 규격을 기준으로 설정된 다수의 스텐철판을 원형탱크 형태로 볼트와 너트로 거푸집 형틀로 프레스 기계로 가공된 각각의 스텐철판의 가공홀에 수공구로 결합 전에 가스켓트들로 각각의 스텐철판을 원통 형태로 결합시킨 내부블록탱크와 외부블록탱크를 기초바닥 철근 상부로 고정시킨 후 모래와 자갈에 세멘트를 건설기계인 콘크리트 배칭플랜트에 콘크리트 피니셔와 콘크리트 스 프레더로 혼합시켜 콘크리트 믹서트럭으로 운반 후 콘크리트 펌프로 물탱크의 기초바닥을 콘크리트 매트로 구성할 수 있게 하여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수해 극복의 수해조절설비겸용의 수력발전용에 합당하게 이루어지며 물의 저장과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탱크들로 구비하고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의 내부로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방재가 이루지게 구성하는 분배축에 연결되는 전력생산 조절부 및 상기 조절축에 연결되어 하천 내부의 지하수와 해양 심층수의 용량 공급을 취수장의 다수개의 동력펌프가 구비되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의 내부로 구성하는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방재조절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댐의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를 구비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신속하게 홍수와 가뭄 극복의 수해조절과 산사태방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설비의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축의 해양터널교통장치에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는,
지주탱크와 내부 블록탱크에 외부 블록탱크 각개의 탱크 내벽과 외벽으로 휴대용 러그 결합용 핀 연결축의 길이는 800mm이며, 직경은∮300mm이고,휴대용 러그의 철판 두께는 150mm이며,상기 휴대용 러그에 핀 연결축을 끼워 접속하고 상기 접속 핀 연결축의 가공홀(직경∮30mm)에는 휴대용 러그 핀(길이×
Figure pat00088
×핀 몸체 직경∮;500×2×10∮mm)을 접속하면서 핀 연결축 끝단 부위로 가공된 나사 산 위치에 너트로 분해결합을 구성하며, 예인선에 이송된 이중구조블록탱크는 반잠수작업선에 탑재되는 밴드지그대에 의해서 조립되는 지주탱크 상단의 바지선 선체(가로×세로×높이×철판두께;600M×800M×40M×18mm)와 지주탱크 하단의 바지선 선체는 관교량(가로×세로×4곳 모서리 직경×두께×제작단위;15M×15M×π15M×24m m×1Km)에 지주탱크와 내부 블록탱크의 둘레면으로 구성되는 외부블록탱크에 각개로 결합 구성된 크기는 소형의 해양발전소 부양식독(가로×세로×높이;600M×800M×800M)에 중형의 해양발전소 부양식독(가로×세로×높이;2Km×3.2Km×2Km)과 대형의 해양발전소 부양식독(가로×세로×높이;10Km×10Km×10Km)들로 구비해 해양수심에 따라 구성 작동하면서 동시에 휴대용 러그 핀이 러그 연결축의 가공 홀에서 볼트 너트 체결되면서 동시에 러그 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핀 꺾기로 부양식독 설치를 마무리하고 지주탱크 하단의 바지선 선체의 받침대 조절기구 작키베드와 코아드릴(직경 350Ø 또는 400Ø)로 구비된 홀 캇팅 굴착 드릴 장치가 탑재되어 구성된 해양수력발전소는 침몰방지 부력조절 장치에 의해 해상에서 조립하고 지주탱크 상단의 바지선 선체의 상단의 갑판데크 상단과 하단의 각개 위치로 구성하는 분사노즐(노즐구멍 지름 3mm 또는 5mm 노즐수량 70개소 7마디로 된 방사선 형식의 틈새와 490여 개 노즐구멍이 구비된 장치노즐)과 배관노즐 몸체(B) 내부에 소방호스 내수압을 갖춘 방화수에 의해 분사노즐 틈새로 토출분사수와 커텐물막이 토출되면서 다수개로 타오르는 불기둥을 감쪽하는 순간에 제거하면서 동시에 쓰나미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다수개의 분사노즐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방재 조절이 이루 지게 구성하는 재해차단 예방조절부로 산사태방재 조절 공정이 구성된 재해지역부터 원천 봉쇄차단하여 재해는 산사태피해방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산사태방재설비의 유량과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축의 해양터널교통장치에 해양수력발전소 부양식독의 분배투입장치는, 지주탱크와 내부블록탱크에 외부블록탱크 각개의 탱크 내벽과 외벽으로 휴대용 러그 결합용 핀 연결축의 길이는 800mm이며, 직경은∮300mm이고,휴대용 러그의 철판 두께는 150mm이며,상기 휴대용 러그에 핀 연결축을 끼워 접속하고 상기 접속 핀 연결축의 가공홀(직 경∮30mm)에는 휴대용 러그 핀(길이×
Figure pat00089
×핀 몸체 직경∮;500×2×10∮mm)을 접속하면서 핀 연결축 끝단 부위로 가공된 나사산 위치에 너트로 분해결합을 형성하며 예인선에 이송된 이중구조블록탱크는 반잠수작업선에 탑재되는 밴드지그대에 의해서 조립되는 지주탱크 상단의 바지선선체(가로×세로×높이×철판두께;600M×800M×40M×18mm)와 지주탱크 하단의 바지선 선체는 관교량(가로×세로×4곳 모서리 직경×두께×제작단위;15M×15M×π15M×24m m×1K m)에 지주탱크와 내부 블록탱크의 둘레면으로 구성되는 외부 블록탱크에 각개로 결합 구성된 크기는 소형의 해양발전소 부양식독(가로×세로×높이;600M×800M×800M)에 중형의 해양발전소 부양식독(가로×세로×높이;2K m×3.2Km×2Km)와 대형의 해양발전소 부양식독(가로×세로×높이;10Km×10Km×10Km)으로 해양수심에 따라 구성 작동하면서 동시에 휴대용 러그 핀이 러그 연결축의 가공 홀에서 볼트 너트 체결되면서 동시에 러그 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핀 꺾기로 부양식독 설치를 마무리하고 지주탱크 하단의 바지선 선체의 받침대 조절기구 작키베드와 코아드릴(직경 350Ø 또는 400Ø)로 구비된 홀캇팅 굴착 드릴 장치가 탑재되어 구성된 해양수력발전소는 침몰방지 부력조절 장치에 의해 해상에서 조립되면서 지주탱크 상단의 바지선 선체의 상단의 갑판데크 상단과 하단의 각개 위치로 구성하는 분사노즐(노즐구멍 지름 3mm 또는 5mm 노즐수량 70개소 7마디로 된 방사선 형태의 틈새와 490여 개 노즐구멍이 구비된 장치노즐)과 배관노즐 몸체(B) 내부에 소방호스 내수압을 갖춘 방화수에 의해 분사노즐 틈새로 토출분사 수와 커텐물막이 토출 되면서 다수개로 타오르는 불기둥을 감쪽하는 순간에 제거하면서 동시에 산사태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다수개의 분사노즐은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재해 차단예방 조절부로 구비되어 산사태방재 조절 공정이 형성된 재해지역부터 원천 봉쇄차단하여 산사태피해방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있어서,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고나,
상기 산사태방재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비해 산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산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360˚ 회전방재수로와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들로 구비해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회전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산사태방재를 구성하며;
상기 산사태방재는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과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장치를 설치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감축하며 산사태의 복구에는 일체의 건설기계와 인명구조장치를 구비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아파트건물로 산사태방재를 구성하고;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기 위해 비상탈출구 상단에 인명구조용 그물과 튜브를 설치하며,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는 도로와 운동장과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안전한 생활터전을 구성하며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와 해양수력발전 동력생산조절 전력 생산제조 부(811b)에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c)와 동력전달조절부(811d)와 탄광매몰사고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f)에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들로 구성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더 구비하여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산사태 극복을 향상시켜주는 것;
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사태피해방지부(811)는,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에서는 탄광(993)매몰사고로 인해 탄광(993)매몰사고 극복을 위해 복수개의 배관라인(74)과 노끈을 구비해 현장에 항상 배치해 두고 매몰사고전 후 시에 복수개의 배관 라인(74)을 구비해 의식주 반출입 통로로 산사태방재를 위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7 내지 도 48을 참조해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대형송풍기,환풍기를 보여주는 산사태방재 분배투입장치 구성도이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내부로 구성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산사태피해방지부(811)는,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에서는 탄광매몰사고로 인해 탄광매몰사고 극복을 위해 복수개의 배관라인과 노끈을 구비해 현장에 항상 배치해 두고 매몰사고전 후 시에 복수개의 배관라인을 구비해 의식주 반출입 통로로 산사태방재를 위해 산사태방재 분배투입장치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산사태로 인해 사상자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산사태로 매몰자가 없도록 하기 위해,다수개의 재해로부터 사상자가 없도록 하기 위해 생명을 소중하게, 세상을 따뜻하게 하면서 동시에 인류가 건강하도록 만년지 대계로 무재해 지구촌의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관하여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전술된 청구범위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후술 되는 다른 출원서에 귀속됨에 따라 청구범위의 감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본체,
(2)입형다단펌프 제어반의 제어박스,(3)흡입합류관,(4)토출합류관,(5)펌프 격리밸브,(6)펌프역류방지 역지밸브,(7)방화수와 발전용 물 그리고 전해수,(8)방재와 방제펌프에 입형다단펌프,(9)이중구조노즐호스와 이중구조 소방호스,(10)이중구조 소방관 노즐,
(10a) 호칭 별 노즐 몸체 "호칭 100", (10b) 호칭 "90", (10c) 호칭 "75", (10d) 호칭 "65", (10e) 호칭 50, (10f) 호칭 "40", (10g) 호칭 "25", (10h) 호칭 "100×90", (10i) 호칭 "90×75" (10j) 호칭 "75×65",(10k) 호칭"65×50",(10l) 호칭"50×40",(10m) 호칭"40×25",
(11)소방노즐 프레임,(12)감지센서,(13)갈고리,(14)배관 또는 노즐배관,(15)틈새,(16)경사각도,(16a)블레이드추진각도,(16b)블레이드절삭각도,(17)방재수로,(18)갈고리훅크,(19)와이어로프,(20)가공홀,(21)갈고리 러그 또는 휴대용 러그,
(22)지그대 또는 다양한 형태의 지그("
Figure pat00090
""
Figure pat00091
""
Figure pat00092
"자형태의 지그),(23)샤 클,(24)볼트,(25)너트,(26)와샤,(27)외부블록탱크 외부 위치로 결합 분리 해지용 힌지,(27a)힌지용 ㄱ형의 러그 핀 연결축,(27b)힌지용 장축의 연결축,(28)플랜지 또는 선체의 벨러스터 바라싱 탱크 흡입구 이물질 접근 차단용 플랜지마개철망,(29)카플링,(30)카플링 암나사산 몸체,(31)카플링 수나사산 몸체,(32)가스켓트 또는 고무패킹,(33)노즐호스장비거치대,(34)집수정탱크 또는 안전탱크,(35)레듀사,(36)고성능수중펌프,(37)펌프수차,(38)토출분사수,(39)물막 또는 커텐물막,(40)소방정,(41)감지노끈,(42)바스켓,(43)이중비닐텐트 또는 봉지,(44)엘보 또는 티이엘보,(45)소방용 펌프,(46)동력 전원 공급장치인 전원,(47)인버터,(48)인버터 브이오,(49)억세스포인터,(50) 인터넷망,(51)입형다단펌프의 관제서버,(52)모니터,(53)펌프제어보드 또는 타구어윈치 조정박스,(54)근거리무선통신안테나,(55)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무선통신제어모듈,(56)디스플레이,(57)전자제어장치 에이 디이 씨,(58)스위치 입력회로, (59)전자제어장치 엠씨유,(60)전자제어장치 디이 에이 씨,(61)과전류차단기용 브레이크, (62) 전원부,(63)디스플레이 화면,(64)아날로그입력,(65)디지털입력,(66)각 펌프의 온 오프 제어용 메인스위치버턴,(67) 보조스위치 버턴,(68)입형다단펌프 디스플레이 입력 또는 컴퓨터 전산망 입력,(69)현재 압력값 또는 설정 압력값 압력설정수치 인식명판,(70)메모리,(71)동력전선,(73)방재물질 혼합기믹서,(74)이중관 구조 블록배관라인,(74a)내부블록배관,(74b)외부블록배관,(75)헝겊꺼즈,(76)솔레노이드밸브,(77)애드벌룬,(78)비행선,(79)가스통,(80)공기압축기,(81)모바일서비스,(82)휴대용단말기,(83)저압차단 밸브,(84)비상 밸브,(85)감압 밸브,(86)제1압력체크센서,(87)제2압력 체크센서,(88)전자제어유닛,(89)방재배관라인 또는 양수관,(89a)수직 양수관,(89b)수직 하향관,(90)볼밸브 핸들,(91)드렌처헤드,(92)밸브몸체 내부 디스크,(93)비상싸이렌,(94)최초발화원인물질인 스파크 또는 낙뢰,(95)전신주,(96)변압기,(97)레듀사붓싱소켓,(99)점멸경고등,(100)파라핀노즐마개,(101)압력계,(102)감지센서 바이메탈,(102a)열전대의 구성 방식,(102b)열전류 발생,(102c)열기전력 발생, (102d)측정점,(102e)기준점,
(103)감지센서용 열전대 온도계 스위치,(103a)열전대 온도계의 구성방식,(103b)측온한계,(103c)온도 1,(103d)전류계 온도의 눈금,(103e)금속A,(103f)금속B,(103g)전위차가 발생,(103h)열전대와 보상도선,(103i)측온 접점,(103j)열전쌍,(103k)보상 접점,(103l)보상 도선,(103m)기준 접점,(103n)열전대의 종류, (103o)보호관이 없음,(103p)보호관,(103q)고온물체,(103r)보호관이 있음,(103s)시스형,(103t)측온단자,(103u)측온접점,(103v)스텐 금속시스,(103w)보호관 부착 백금 측온 저항체,(103x)마이카,(103y)백금선,(103z)자기,
(104)레벨 또는 압력스위치,(104a)다이어프램식 압력스위치, (104b)공압-센서 압력스위치, (105)방유량 체크용 유량계,(106)전동기제어모듈,(107)밸브스위치작동용 추 또는 크레인 붐대 레벨 유지 웨이트,또는 납덩이 추,(108)과대압력 방지스위치 또는 스위치박스,(109)공기호스,(110)공기호스 연결장치 닛플,(111)스프링 쿨러헤드,(112)반사관,(113)가용금속용 퓨우즈,(114)정지밸브 또는 수도밸브,(115)지하매설관,(116)철탑 또는 블록철탑,(117)부자,(118)부자회로개폐기,(119)벨,
(120)경보밸브,(121)시험밸브,(122)고압수도펌프,(123)레버 블럭,(124)소화기(소화기a, 소화기b, 소화기c, 소화기D, 소화기e, 소화기f) (125) 체인,(126)실린더,(127)피스톤 또는 피스톤펌프,(128)소화기 고정용 핀,(129)빗장 장금장치,(130)인명구조용튜우브,(131)로프,(132)컨테이너,(133)앙카볼트,(134) 라디오존데,(135)구동바퀴 로라 용 도루레,(136)레귤레이트,(137)동체에 감긴 밧줄이나 쇠사슬로 수문개폐 조절장치용 타구어윈치,(138)시린더,(139)철개망태,(140) 터어빈펌프,(141)케싱,(142)베인펌프 또는 가이드베인,(143)임펠러,(144)다이어후렘펌프,(145)고압저장탱크,(146)프로펠러펌프 또는 프로펠러,(147)다단식나사 공기 압축기 그리고 나사펌프,(148)플런저펌프,(148b)사축식 플런저펌프,(148c)레이디얼 플런저펌프,(149)철재빔,(150)방재펌프 제어시스템 또는 관제시스템,(151)오일 냉각기,(152)맨홀덥게,(153)해치카버,(154)방화문,(155)글랜드패킹,(156)매커니컬 시일 또는 각개의 시일,(157)제트펌프,(158)황토,(159)방화사,(160)옥내소화전상자 (161)자동소화전,(162)호스걸이,(163)질식가스,(164)불연성 가스의 이산화탄소, (165)보강철판,(166)성냥불(a) 또는 발화물체(화재유형별의 A급, B급과 C급으로 분류함),(167)나사탭, (168)송수구 또는 소방방재 배관 라인,(169)방수구,(170)내부냉각기,(171)배기가스,(172)인명구조겸용 침대노즐,(173)가스랜지 또는 버너,(174)탄산가스,(175)하론가스,(176)핼륨가스,(177)발화물질 파라핀테이프,(178)비발화물질 철사,(179)소화전(단구형a,쌍구형b),(180)비닐포대,(181)방재공기배관라인,(182)후미냉각기,(183)리밋스위치 또는 리미트스위치,(184)무인카메라,(185)끝이 뾰족한 틈새 결합공구 지그대 쇄기,(186)스프링,(187)무인점화기 스파크라이터,(188)구명정,(189)압력탱크용 헤드탱크,(190)플렉시블고압호스 또는 유압호스,(191)도입관 또는 수압관,
(192)동력모터 전동기 몸체,(193)후드,(194)스냅링,(195)팬,(196)몸체프레임,(197)몸체 전방 보강철판,(198)회전축,(199)회전자조립,(200)전방 회전축받이, (201)고정자조립,(202)모터보호용 주물프레임,(203)단자박스,(204)인양볼트,(205) 단자박스 카버,(206)후방 회전축받이,(207)후방 보강철판,(208)공극,(209)팬 카버 또는 보호 카버,(210)회전자 철심,(211)고정자 철심,(212)고정자 권선,
(213) 활성막식 가스 홀드업장치,
(214) 필터,
(215) 배기탑,
(216)방사능 저장탱크,
(217)여과기,
(218)방사능 측정기,
(219)모니터링 포스트,
(220) 드럼통,
(221) 등변산 형강,
(222) 우라늄 광산,
(223) 옐로 케인크,
(224)핵폐기물[<<<,>>>],(224a)고체핵폐기물,(224b)액체핵폐기물,(224c)기체핵폐기물,
(225)철근 콘크리트 매트,
(226)엔진발전기, (277)터빈 회전 축받이,
(228)재처리공장,
(229)전환공장,
(230)농축공장,
(231)전환·가공공장,
(232)탐조등,
(233)제련공장,
(234)에어 드라이어,(235)불씨,(236)불꽃,(237)불기둥,
(238)원자력발전소의 핵 폐기물처리의 이중관 구조 블록배관라인 조절축,
(239)재순환펌프,
(240)압력 제어풀,
(241)급수펌프,
(242)순환수펌프 또는 1차주 냉각계통 순환펌프,
(243)냉각재펌프 또는 2차주 냉각계통 순환펌프,
(248)크랭크,(249)링크대,(250)푸레,(251)감속기,(252)브이밸트,(253)플런저,(254)고정핀,(255)타임머,(256)케이블카아,(257)공기밸브,(258)안전밸브,(259)자동밸브, (260)드레인밸브,(261)벨트카버,(262)흡입필터,(263)압축기본체,(264)수차 또는 펌프수차,(265)메인밸브,(266)산림,(267)터빈 또는 회전날개,(268)엔진발전기 또는 플라이휠,(269)취수구 또는 흡입구,(270)방수로 또는 토출구,(271)공운전 방지장치,(272)펌프전원,(273)제어전원,(274)비상운전회로,(275)직류파워공급회로,(276)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277)디 아이피 스위치설정회로,(278)디스플레이회로,(279) M/C 구동신호 접점출력회로,(280)모터 과부하 신호입력회로,(281)인버터운전 데이트 입출력회로,(282)압력감지회로,(283)외부상태 입력회로,(284)토출 압력 트랜스미터어,(285) 흡입/토출 스위치,(286)베드 프레임,
(287)냉각수 또는 냉각수 입구,(288)유분리탱크,(289)흡입밸브,(290)기어드라이븐,(291)건조기,(292)물탱크,
(293)수문,(293a)데인터 게이트,(293b)롤링 게이트,(293c)설계수위,(293d)수면,(293e)앵커부문 고정부,(293f)고정부,(294)수로 또는 회전수로,(295)수조탱크,(296)게이트밸브,(297)리턴밸브,(298)부시 또는 트로틀부시,(299)드렌처 헤드(a,b,c,d)의 종류,(300)진동경보장치,(301)드레인,(302)역정지밸브,(303)고압 보울탱크,(304)양수펌프,(305)유량제어용 버터플라이밸브,(306)중탄산소다,(307)재유입구,(308)센튜리 퓨우걸 펌프,(309) 오수펌프,(310)스파이럴 케이싱,(311)블류우트 펌프,(312)후드밸브,(313)양수구, (314)펌프 본체,(315)플로우트,(316)볼 밀어넣기 기기,(317)플랙스블카프링,(318) 플로우트 스위치,(319)뒷날개,(320)퍼올림 밸브,(321)빨아올림 밸브,(322)분출 수면계,(323)실제 양정,(324)분출 양정,(325)제트펌프,(326)기어펌프,(327)윙 펌프, (330)분리 실,(331)마그넷 스위치,(332)핵폐기물건물,(333)빌딩 또는 대형건물,(334) 밸런스,(335) 언밸런스,(336)옥내 소화용 펌프,(337)로터리펌프,(338)로터리 회전자,(339)프라이 밍,(340)자흡식 펌프,(341)축류펌프,(342)혼류펌프,(343)점성펌프,
(344)원자력발전소의 이중구조 블록탱크 제조설치 공정의 연결축,
(344a) 가(A B )변의 블록탱크, (344b) 나(B C) 변의 블록탱크, (344c) 다(A C)변의 블록탱크, (344d) 라(A R) 변의 블록탱크, (344e) 마(A Q) 변의 블록탱크, (344f) 바(A P) 변의 블록 탱크, (344g)사(A O) 변의 블록탱크, (344h) 자(A M) 변의 블록탱크, (344i) 아(A N) 변의 블록탱크, (344j)갑(A B C), 삼각형 블록탱크, (344k) 을(A B "C),삼각형 블록탱크, (344l) 병(A R S),삼각형 블록탱크, (344m) 무(A Q T),삼각형 블록탱크, (344n) 갑 자(A O B),삼각형 블록탱크, (344o) 을축(A N W),삼각형 블록탱크, (344p) 병인(A M X),삼각형 블록탱크, (344q)차(D E)변의 블록탱크,(344r)카(B D)변의 블록탱크,(344s)타(C E)변의 블록탱크,
(345)표준형 글랜드패킹 또는 글랜드, (346) 주액랜턴링부착패킹, (347)랜턴패킹, (348) 2중 글랜드형 패킹, (349) 드로틀부시부착패킹, (350) 냉각수출구, (351) 봉수, (352) 냉각수 입구, (353) 슬리이브내면 냉각병용 워터재킷부착패킹, (354) 슬리이브의 내부 냉각실, (355) 보조글 랜드, (356) 누설액의 냉각실, (357) 글랜드 패킹짜는 방법, (358) 여덟가닥짜기, (359) 봉지짜기, (360) 격 자짜기, (361) 플래싱구멍, (362) O링, (363) 스톱더, (364) 중동링, (365) 밀봉단면, (366) 시이트링, (36 7) 피동링, (368) 퀀칭, (369) 쿠울링, (370) 되돌림관, (371) 핸들(Handle), (372) 격벽, (373) 축방향의 드러스트 하중, (374) 임펠러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 (375) 임펠러 뒷면에 작용하는 압력, (376) 밸런스호울 ,
(377) 흡입압력, (378) 배면압력, (378) 밸런스구멍, (380) 전면웨어링, (381) 토출압력,(382)배면 베어링 링,(384)뒷날개, (385)뒷날개 설치로 인한 압력분포와 임펠러,(386)다단펌프의 임펠러 배치,(387)수주분리,(388)수주결합,(389)수격작용,(390)축봉부,(391)냉각방식의 매커니컬시일,(392)스트레이너,(393)수격펌프,(394)옥상소방운전실 또는 크레인운전실,(395)높고 낮은 산,(396)폴저엔코 드(Pulse Encoder),(397) 스피드콤멘드(Speed Command),(398) 모터스피드 그리고 변속기,(399)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s),(400) 방파제 겸용 방제탱크,(401) 안전로프그물망, (402)공기 압축실(Air Chamber),
(403) 슬루우브 밸브,(404)밸브몸통,(405)밸브덥개,(406)슬루우스밸브,(407)패킹누르게,(408)패킹누르게 너트,(409)밸브,(410)핸들,(411)핸들너트,(412)패킹, (413)웨지게이트밸브,(414)단체밸브,(415)플렉시블밸브,(416)패럴렐 슬라이드밸브, (417)더블 디스크 게이트밸브,(418)스톱밸브,(419)플랜지형 글로우브밸브,(420)플랜지형 앵글밸브,(421)몸통,(422)본네트 덥개,(423)디스크,(424)덥개붙임밸브 시이트,(425)밸브대,(426)밸브 누르개,(427)핸들,(428)덥개 끼움링,(429)패킹누르개링, (430)패킹 누르개,(431)나사 끼움형,(432)덥개 보울트,(433)패킹 누르개 보울트, (434)핀,(435)덥개 보울트용 너트,(436)패킹 누르개 보울트용너트,(437)핸들 너트, (438)멈춤나사,(439)와셔,(440)패킹,(441)가스킷,(442)밸브누르게,(442a)평면누르게,(442b)원뿔누르게,(442c)구면누르게,(442d))스터트누르게,
(443) 콕1형 (444) 콕2형,(445) 청동나사넣기 메인콕,(446)주철플랜지형 글랜드형,(447)청동나사넣기 글랜드콕,(448) 삼방콕,(449) 사방콕,(450) 핸들콕,
(451)첵 밸브,(452)스윙형 첵밸브,(453)리프트형 첵밸브,(454)첵밸브몸통, (455)덥게,(456)디스크,(457)디스크 핀,(458)플러그,(459)조정밸브,(460)감압밸브, (461)파이로트 작동 자력식감압밸브,(462)2 차측 감지구멍,(463)다이어프램,(464) 파이로트밸브,(465)배기연돌,(466)메인밸브,(467)메인밸브스프링,(468)조정스프링,(469)오 토압력조절밸브,(470)나사형 오토 압력조절밸브(a),(471)플랜지형 압력조절밸브(b)
(472) 안전밸브, (473)스프링식 안전밸브,(474)리리이프식 안전밸브,(475) 증기용 포프 스프링식 안전밸브, (476)포프식 안전밸브,(477)온도조절밸브,(478) 오토 급수기,(479)오토 급수기(a),(480)오토수준 조정기,(481)공기빼기밸브,(482) 오토 열동형증기용 공기 배기밸브,(483)바켓트 온수형 오토공기 배기밸브,(484) 냉매배관용 밸브,(485)냉매스톱 밸브,(486)팩드밸브,(487)팩레스밸브,(488)팩레스 밸브,(489)팽창밸브,(490)다이어후렘형 팽창밸브,(491)벨로우스형 팽창밸브,(492)부자 밸브,(493)냉매용 압력조정밸브,(494)전자밸브,(495)오토 급수밸브,(496)일반형 수전용 수도꼭지,(497)지수선,(498)분수전,(499)볼탭,
(500)해양원자력발전소의 선체안전 보존용 피뢰침,
(501)나사 이음형 Y형 스트레이너 외형도(a) 단면도(b), (502) U형 스트레이너,(503)V형 스트레이너,(504)관 고정금속,(505)터언 버클부 지지밴드,(506)지지밴드,(507)로울러부 지지밴드,(508)수직관 매몰용 밴드,(509)철재 안경밴드,(510)바닥밴드,(511)트랩,(522)앵글형 열동식 트랩,(523)스트레이트 열동식 트랩,(524)버 키트 트랩,(525)상향식 버키트 트랩,(526)하향식 버키트 트랩,(527)플로우트 트랩, (528)임펄스 증기트랩,(529)수도꼭지몸통,(530)패킹상자,(531)패킹누르게,(532)꼭지대,(533)핸들,(534)디스크,(535)디스크패킹,(536)내수패킹,(537)내노화성물건 패킹,(538)테프론막,
(539)열팽창이 큰 금속,(540)열팽창이 작은 금속,(541)타임머 또는 레벨스위치,(542)하이레벨 알람,(543)베이컴 페일루어 알람,(544)스멀 릴레이 알람,(545) 알람 리셋트 버턴,(546)로워 레벨스위치,(547)플랩(flap;밸브의 혀),(548)사운 드 캡,(549)첵 노즐,(550)루우버 카버,(551)플로이트 인셔어트 스위치,(552)지시눈금스케일,(553)오우버 플로워 콘넥션,(554)벤트 파이프 콘넥션,(555)플랜지 콘넥션, (556)이중비닐 개방형 침바늘,(557)솔레노이드밸브 몸체,(558)카버,(559)스폴, (560)스플 패킹,(561)파이로트,(562)코일,(563)콘넥터,(564)메니 폴드(L;PTY8"대유량형),(565)매니 폴드(S;M5소유량형),(566)나사볼트,(567)공기호스 결속구 유니온 카플링,(568)유니온 몸체결속 카플링,(569)2위치 싱글,(570)2위치 더블,(571)LL; 중앙 수직형,(572)L; 수직형,(573)수평형; M,(574)F; 피팅 포함,(575)도시기호 싱글,(576)더블,(577)에이 취,(578)아이,(579)제이,(580) 마이크로 스위치,(581) 직접 배관형,(582)베이스 배관형,(583)파이어 댐퍼,(584)댐퍼 스핀들,(585)닥터 벤츄레이션,(585a)닥터 벤츄레이션 흡입구,(585b)닥터 벤츄레이션 배출구,(586) 몽골 피에의 열기구,(587) 블량샤르의 열기구, (588) 켈리의 열기구,(589) 증기비행선,
(590) 교각겸용 이중구조 지주블록탱크,
(591) 지주탱크 상단의 바지선선체,
(592) 지주탱크 하단의 바지선선체,
(593) 소형의 해양원자력수력발전소의 부양 식 독,
(594) 중형의 해양원자력수력발전소의 부양 식 독,
(595) 대형의 해양원자력수력발전소의 부양 식 독,
(596) 이중구조내부블록탱크,
(597) 고장력 스테인레스강의 철판,
(598) 이중구조블록탱크,
(599) 이중구조 외부블록탱크,(600) 블록탱크용 제 1보조형강,(601) 블록탱크용 제 2보조철판 ,(602)제 1보조형강과 제 2 보조철판의 모서리부위 용접 결함을 해소 시키기 위해 절단된 부위 스냅홀,(603)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 휴대용 러그 연결축 볼트,(603a)볼트의 나사산,(604)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 휴대용 러그 연결축 분해결합 너트,(603b)너트의 나사산,
(605)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용 제 2 보조 철판 수직격벽,(606)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 휴대용 러그 핀 연결축,(607)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 휴대용 러그,(608)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 휴대용 러그 핀,(609)블록탱크용 선체 분해결합용 제 2 보조철판 수평격벽,(610)블록탱크 선체 교통장치용 격벽맨홀, (611) 인공위성,(612) 우주로켓,(613)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용 러그힌지소켓,(614)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용 대형플랜지,(615)대형플랜지 접속연결구 접합부위 가공홀 또는 러그 가공홀작키베드 가공홀,(616)계류장치 부양식독 바지선선체 균형 조절장치용 작키베드,(616a)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 위치이동 조절장치용 러그 장공홀,(617)블록탱크 선체 분해결합 이중관 구조 탱크교각 건설용 부교식 새들 형틀,(618)블록탱크 선체 교통장치용 가이드레일, (619) 헬리콥터 정류장,(619)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조절장치용 유압회전실린더기계 또는 블록단위 선체의 드릴 선반 로터리 실린더기계의 랙& 피니언형(NRP) 실린더기계,
(620)유압회전실린더(로터리 실린더[랙&피니 언 형-NRP]),
(621)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조절장치용 밴드 지그대,
(622)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부침조절장치용 벨러스터 버터플라이밸브,
(623)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조절장치용 유압실린더 유압작키,
(624)블록탱크 선체 교통조절장치용 유압 실린더 도어 또는 블록탱크 블록단위 선체 분해결합조절장치용 유압실린더기계.(625)마개철판,
(626)화력발전소,
(627) 엔진제어시스템용 엔진제어모듈,(628)부이깃대 고무풍선,(629)밧줄용 로프,(630) 로프 매듭갈고리,(631)비상계단,(632)승강기용 앨 리 베 이 트,(633)컨베이어,(634)침몰선박 인양 선의 침몰방지 체류 선,(635)진공펌프,(636)예인선,(637)반 잠수작업선,(638)볼라 드,(639)앙 카,(640)앙 카 용 체인,(641)송풍기 또는 쿨 링 팬,(642)공기 보온용의 히터 팬,(643)인공위성발사대,(644)계류탑,(645)전기 자석 마그넷,(646)우주로켓발사대, (647)헬리콥터,(648)체인 블 럭,(649)황토 세 멘 트 혼합장비 믹서기계,(650)애 자,(651)크레인 붐 대, (652)크레인 붐 걸 고리,
(653)우라늄 239,(653a)우라늄 238,
(654)물,(654a)경수,(654b)중수 또는 가압중수,
(655) 항상 같은 방향으로만 흐르는 전류인 직류, (656) 시소가 오르내릴 때마다 흐름의 방향이 바뀌는 전류인 교류,
(657) 중간 열교환기 또는 1차주냉각계통 중간 열교환기,(657a)2차냉각 계통출구,(657b)저온 헤드,(657c)2차냉각재입구,(657d)지지판,(657e)중앙배관,(657f)외측환상부,(657g)압력용기,(657h)단열재,(657i)고온 헤드,(657j)혼합기,(657k)1차계통가스 입구,(657l)1차계통가스출구,(657m)단관,(657n)내압관,(657o)단열층,(657p)고온가스통로,(657q)라이나,(657r)2중관,(657s)내압관,(657t)저온가스통로,(657u)내관,(657v)고온가스통로,(657w)라이나,(657x)단열층,,
(658)열교환기,
(659)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니크롬선,(660)전구몸체,(661)베이스,
(662)넵투늄,
(663)필라멘트,(664)유리,(665)형광 방전관,(666)점등관,(667)방전,(668)탄소막대,(669)양극(플러스;(+)로 표시함),(670) 음극(마이너스; (-)로 표시함),
(671) 연료집합체,
(672) 원자력발전소,(672a) 어도터널,
(673)시이소 중심축 프레임,
(674)양성자,
(675)구름비,
(676)깔대기구름,
(677)먼지,
(678)하천,(678a)총낙차,(678b)방수로,(678c)유입식 발전소의 개념도,(678d)저수지식 발전소의 개념도,(678e)조정지식 발전소의 개념도,(678f)조력발전의개념도,(678g)취수구,(678h)상부조정지,(678i)하부조정지,(678j)가역식펌프수차,(678k)발전력,(678l)양수전력,(678m)양수,(678n)발전,(678o)조력조정지,(678p)한강수계에서의 각발전소위치구성도,(678q)화천 수력발전소,(678r)소양강 수력발전소,(678s)충주 수력발전소,(678t)춘천 수력발전소,(678u)의암 수력발전소,(678v)청평 수력발전소,(678w)팔당 수력발전소,(678x)소양강,(678y)남한강,(678z)괴산 수력발전소,
(679)제방,(679a)토질차수벽,(679b)상류측 록필,(679c)필터,(679d)본체 록필,(679e)부벽댐,(679f)표면차수판,(679g)부벽,(679h)이용수심,(679i)중공부,(679j)주변전실,(679k)표층콘크리트,(679l)물의위치에너지,(679m)물의운동에너지,(679n)기계에너지,(679o)전기에너지,(679p)이론수력,(679q)수차출력,(679r)발전기출력,(679s)수력발전의 개요도,(679t)댐식 발전소의 개념도,(679u)스크린,(679v)취수탑,(679w)볼탭밸브,(679x)입구밸브,(679y)주요기기,(679z)주요변압기,
(680)댐,(680a)저수지 또는 조정지,(680b)취수댐,(680c)양수댐,(680d)양수식,(680e)양수발전,(680f)댐수로식,(680g)댐식,(680h)수로식,(680i)압력수조,(680j)조압수조,(680k)침사지,(680l)무압수조,(680m)상수조,(680n)취수설비,(680o)도수설비,(680p)발전설비(양수),(680q)방수설비,(680r)고수위,(680s)저수위,(680t)암벽,(680u)상류면보호층,(680v)배수층,(680w)토질재료,(680x)기초암반,(680y)흙댐, (680z)암석댐,
(681)연료피복재,(682) 피복관 또는 지르칼르이관,
(683)핵연료펠릿,
(684) 전압, (685) 전력, (686)전원의 출구, (687)전원의 입구,
(688)원자로건물 또는 격납건물 또는 콘크리트 방호벽, (688A)원자로건물,(688B)터빈건물,(688C)제어건물,(688D)보조건물,(688E)디젤발전기건물,(688F)핵연료건물,(688G)폐기물건물,
(689)연료봉,(689a)연료다발조절,(689b)상단노즐,(689c)연료막대조절,(689d)연료막대,(689e)스프링클립조립,(689f)하단노즐,(689g)연료봉후단 캡,(689h)플루늄,(689i)홀드다운스프링,(689j)우라늄 다이옥시드 연료 펠렛,(689k)가스캡,(689l)지르칼로이 크라우딩,
(690)초고압 변전소,(691)1차 변전소,(692)송전소 내부 중심에 7가닥의 강철선,(693)54가닥의 알루미늄선,(694) 연료호스,(695)송전선,(696)해양터널 횡단철도 변전소,(697)중간 변전소,(698)대단위 공장,(699)중단위 공장,(700)2차 변전소, (701)소단위 공장,(702)가정(태양열 주택이 포함됨),(703)스탭발판 걸고리,(704) 전선 균형용 케인크의 초고압 전선 균형애자,
(705)핵폐기물처리 관제조공정의 분배축,(706)소구경 전기저항 용접관,(707)원재료,(708)언코일링,(709)레벨링,(710)사이드트리밍,(711)절단과 대강연결,(712)성형,(713)용접과 내외면 비드제거,(714)초음파와 와류탐상시험,(715)용접부열처리,(716)공냉,(717)수냉,(718)진원성형,(719)절단,(720)평평도시험,(721)구조관,(722)교정,(723)중간적재,(724)유도가열로,(725)에스 알엠(SRM),(726)열간절단,(727)면취,(728)수압시험,(729)초음파와 와류탐상시험,(730)무게와 길이측정기,(731)육안 및 치수검사,(732)나사,(733)도유,(734)일반 배관용,(735)아연도금,(736)아연도 강관,(737)보일러 튜브,(738)냉각대,
(739)중구경 케이지 성형 전기저항 용접관,(740)코일마게 철판원재료,(741) 사이드 트라밍,(742)케이지 성형,(743)송유관,(744)초음파 탐상시험,(745)진원성형,(746)송유관(석유산업용 강관),(747) 대구경 강관,(748)엣지 밀링기계,(749)3롤 밴딩기계,(750)포스트 밴딩기계,
(751)가용접,(752)내면용접,(753)백가후징,(754)외면용접,(755)관단 싸이징, (756)관단면취,(757)X-선시험,(758)냉간 익스팬딩,(759)마킹.포장.출하,(760)스파이랄 용접강관,(761)언 코일링,(762)구조관과 강관말뚝,(763)비도복 배관용,(764) 외면 브라스트 크리닝,(765)내면 브라스트 크리닝,(766)내면도장,(767)1차 도장, (768)도장과 도복,(769)도복장 강관,(770)초음파와 X-선검사,
(771)해양터널장치용 내부 전동차,
(772)원자력발전기 또는 터빈발전기,
(773)원자력발전기용 회전하지 않는 전기자코일,
(774)원자력발전기용 회전하는 회전자전자석코일,
(775)송전선,(776)송전철탑,(777)개폐시설,(778)보일러 또는 주전자,
(779) 증기파이프,(780) 증기 또는 강력한 기체의 고온고압 증기 출입구,
(781)생산전력 중앙제어실 ,
(782)송전측정실 트랜스 포머룸, (783) 보일러 작동 노심,
(784) 원자, (785) 전자,
(786) 증기건조기,
(787) 자석,
(789) 탈기기,
(790) 수증기를 냉각시켜 물이 되게 하는 장치의 쿨링기기인 복수기,(790a)복수기 리리이프식 안전밸브,(790b)복수기안전밸브,(790c)복수기몸체,
(791) 노심 또는 핵 연료실,(791a)노심지지방벽,(791b)핵분열,
(792) 드럼,
(793) 재열기,
(794) 이중구조 블록탱크 집진기 또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
(795) 중유탱크, (796) 중유,
(797) 유조선 또는 화물선,
(798) 제어봉,(798b)제어봉 구동축,(798c)제어봉 압지강판,(798d)제어봉 심출봉강,(798e)제어봉 안내관,(798f)제어봉 구동축,(798g)제어봉 인장용 봉강,
(799) 방사성 폐기물,
(800) 플루오르화 우라늄,
(801) 플루토늄,
(802) 비등수형 원자로설비,
(803)가압수형 원자로설비,
(804)기체냉각로 원자로설비,
(805)다목적 고온가스로 원자로설비,(805a)1차 냉각계통이 수납된 페블-베드형 고온가스로의 내부구조,(805b)열차폐체,(805c)관통구 마개,(805d)보조 순환장치),(805e)제어봉 저장통,(805f)홀드다운 플레이트,(805g)제어봉 구동장치,(805h)보조 순환장치,(805i)보조 열교환기,(805j)노심지지 구조물,(805k)프리스트 레스트 콘크리트 원자로용기,(805l)PCRV 안전밸브,(805m)연료 투입구,(805n)He 순환장치, (805o)PCRV 지지 구조물,(805p)페블-베드형HTR-모듈원자로의단면구조,(805q)구형연료배출관,(805r)붕소구정지계,(805s)반사체영역제어봉,(805t)구형연료투입관,(805u)급수관,(805v)주증기관,(805w)가스순환기,(805x)고온가스배관,(805y)표면냉각기,(805z)단열재,
(806)신형전환로 원자로설비,
(807)증기탑,
(808)격납용기,
(809)정화장치,
(810)증기발생기,(810a)터빈발전기로가는스팀출구,(810b)급수노즐,(810c)2차냉각수,(810d)진동억제봉,(810e)세관지지강관,(810f)세관덮개,(810g)세관다발, (810h)세관강판,(810i)분리강판,(810j)1차측 출구,(810k)1차측 입구,(810l)열교환세관,(810m)냉각수유로,(810n)증기발생기 세관,(810o)증기발생기 내부동체,
(811)산사태피해방지부,(811a)펌핑 가동부,(811b)전력 생산제조부,(811c)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d)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811e)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f)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g)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
(812) 농축우라늄 또는 우라늄 235,
(813)원자로압력용기,(813a)압력용기덥개,(813b)압력용기상단덮개하부,(813c)압력용기원통덥개,(813d)압력용기원통덥개상단,(813e)압력용기원통덥개상단부,(813f)입구노즐,(813h)디플렉토철판,(813i)공기쳄버실,(813j)버플철판,(813k)물,(813l)스프레이션 풀,(813m)밴트파이브,(813n)연료조립,(813p)압력용기원통덥개상단,하단조립부,(813q)드라이벽,(813s)압력용기원통덥개하단조립부,(813t)압력용기원통덥개상단조립부,(813v)연료봉철판,(813w)출구노즐,(813y)노심지지조립,(813z)제어봉 안내관 조립대,
(814) 가압기,(814a)스프레이노즐,(814b)가압보호용기,(814c)가압조절밸브,
(814d)스팀경계,(814e)가압용기몸체,(814f)냉각수입구,(814g)가열기히터,
(815) 원자핵,(815a)핵자, (815b)핵력,
(816) 냉각재 또는 1차계나트륨 또는 2차계나트륨,(816a)냉각재입구 노즐, (816b)냉각재출구 노즐,
(817) 소음기,
(818) 기수분리기,
(819)유압탱크,(819a)열판,(819b)유면계(오일 포트장),(819c)드레인(배유구),(819d)탱크밑판,(819e)격판(버플 플레이어),(819f)석션 스트레이너,(819g)위판 패킹(내유고무),(819h)흡입구패킹,(819i)흡입구뚜껑,(819j)탱크위판,(819k)에어 블리저 겸 주유구(콤비네이션 에어 블리저),(819l)탱크각판,(819m)청소창 패킹(내유고무),(820)유압모터,(821)유압펌프,(822)로드앤드피스톤시일,(823)피스톤시일,(824)부프시일,(825)웨어링,(826)스라이드링,(827)디유부시,(828)오링,(829)로드시일,(830)백업시일,(831)로드시일 & 백업시일,(832)다스트시일,(833)핀다스트시일,(834)다스트위프시일,(835)부프링(836)피스톤링,(837)다스트링,
(838)고속증식로 원자로설비,
(839)등변산형강 또는 부등변산형강,(840)기상관측장비레이다,(841)원유(기름),(842)해저광물뜰채바스켓,(843)심해저탐색 수중조명,(844)버킷 또는 빠레트,(845)스큐르 드릴의 심해저 굴착장비용 굴착기,(846)앙카 대체용 쇄기 크랭크,(847)착암기 또는 네트,(848)엑츄레이트,(849)해저광물 뜰채용 공기주머니,(850)턴박클,(851)교각용 레벨기초 밑받침대,(852)고정용 쇄기 받침목,(853)아아크용접기 또는 아르곤용접기,(853a)용접연결선,(853b)용접각장,(854)파이프 랙,
(855)불도저,(855a)크롤러형 도저,(855b)휠형 도저,(855c)스트레이트 도저,(855d)딜터 도저,(855e)앵글 도저,(855f)힌지 도저,(855g)트리 도저,(855h)레이크도저,(855i)하이드릭리퍼,(855j)도저의동력전달장치,(855k)캠기타장치용 흡입펌프,(855l)기관,(855m)냉각계통,(855n)최종기어장치,(855o)기동륜의스프로킷, (855p)유동륜의아이들러,(855q)조항클러치,(856)굴삭기,(856a)백호,(856b)파워셔블,(856c)드래그라인,(856d)어스드릴,(856e)크램셸,(856f)스키머,(856g)리퍼와 루터, (857) 로더, (858) 지게차,(859)스크레이퍼,(859a)견인식 스크레이퍼,(859b)동력식 스크레이퍼,(859c)에어프런,(859d)이젝트,(859e)볼,(859f)커팅테지,(860)덤프트럭,(860a)트레일러,
(861)크레인 또는 기중기,(861a)기중기 구조의 각부명칭,(861b)익스턴트케이블,(861c)하중계,(861d)브리들,(861e)붐벡스들,(861f)메이로프,(861g)붐호이스트로프,(861h)상부프레임,(861i)하부프레임,(861j)호이스트로프,(861k)전방드럼,(861l)중간드럼,(861m)후방드럼,(861n)균형추,(861o)케이블크레인,(861p)기중기의 6개 전부장치,(861q)갈쿠리(Hook)장치,(861r)조개(Clamshell)장치,(861s)삽(Shovel)장치,(861t)긁어파기(Dragline)장치,(861u)도량파기(Trenchhoe)장치,(861v)기둥박기(Pile driver)장치
(862)모터그레이더,(862a)머플러,(862b)기관플라이휠,(862c)냉각팬,(862d)전후전달러치,(862e)트랜스러치,(862f)고정기어식변속기,(862g)주차브레이크,(862h)차등기어,(862i)트랜스퍼카아중성기어감속기,(862j)디스크 브레이크,(862k)그레이더의 외부구조,
(863)롤러,(863a)진동 롤러,(863b)소일콤팩터,(864)노상 안전기,
(865)콘크리트배칭플랜트,(865a)콘크리트호퍼,(865b)운반장치차징차트,(865c)조정판,(865d)물멧처,(865e)대칭호퍼,(865f)스케일 프레임,(865g)저장 빈,(865h)종합벨트콘베이어,(865i)턴헤드,(865j)버킷엘리베이트,(865k)운반시멘트차드,(865l)조정판,(865m)기록장치,(865n)원형믹서,(865o)시멘트 사일로,(865p)스쿠르 콘베이어,
(866)콘크리트 피니셔,(866a)스쿠르 스프레이,(866b)제1 스크리드,(866c)진동기,(866d)피니싱 스크리드,(866e)가이드롤러,(866f)가이드레일,(866g)마무리면,
(867)콘크리트스프레더,(868)콘크리트믹서트럭,(869)콘크리트펌프,(870)아스팔트 믹싱 플랜트,(871)아스팔트 피니셔,
(872)아스팔트살포기,(872a)동력피동펌프,(872b)밸브제어,(872c)분무바,(872d)버니,(872e)버림관,(873)골재 살포기,
(874)쇄석기,(874a)자이레토리크러셔,(874b)새시프레임,(874c)피더호퍼, (874d)진동그리스리피터,(874e)파쇄헤드부의 1차 조크러셔, (874f)파쇄실 후미의 2차 조크러셔, (874g)진동스크린,(874h)드럼엘리베이터,
(875)공기압축기,(876)천공기,(877)항타와 항발기,(878)사리 채취기,
(879)준설선,(879a)펌프준설선,(879b)버킷준설선,(879c)스팟드시어,(879d)운전실 또는 조정실,(879e)레드시어,(879f)스팟드,(879g)블러스트탱크,(879h)블러스 트펌프,(879i)레드,(879j)기관실,(879k)디퍼 준설선,(879l)그래브 준설선,(879m)버킷구동장치,(879n)후부스팟드,(879o)스팟드윈치,(879p)버킷,(879q)좌우의전부스 팟 드,(879r)디퍼,(879s)윈치,(879t)닻줄창고,(879u)벨트 컨베이어,(879v)그래브,
(880)별도의 지정 건설기계,(882)파일드라이버,(882a)붐, (883) 디젤파일 해머, (884)증기해머, (885)유압크레인,(885a)피스톤 모터,
(886)타워크레인,(886a)가이 데릭 구조의 각부명칭, (886b)가이 데릭,(886c)주측,(886d)붐,(886e)붐호일,(886f)턴버클,(886g)공망,(886h)3각데릭,(886i)주측,(886j)붐,(886k)붐호일,(886l)레크,
(887)드레그 크레인,(887a)드레그 크레인의 구조,(887b)호이스트케이블,(887c)덤프케이블,(887d)버킷,(887e)하부붐,(887f)레터렉트케이블,(887g)케이블롤러,(887h)붐케이블,(887i)케이블롤러,(887j)붐 호이스트 케이블,(887k)케이블드럼,(887l)케이블드럼,(887m)평행추,
(888)클램셀 부착물을 가진 크레인,(888a)홀딩 라인,(888b)개폐라인, (888c)클램셀버킷,(888d)상부프레임,(888e)하부프레임,(888f)랙라인,(888g)로프가이드,(888h)붐탠던트,(888i)브리들,(888j)붐 호이스트 로프,(888k)전방드럼,(888l)후방드럼,(888m)평행 추,
(889)머캐덤롤러,(890)탠덤롤러,(891)탬핑롤러,(892)타이어롤러,(893)트랙터,(894)트레일러,(895)램,(896)리드,(897)냉각수냉크,(898)파일,(899)헬밋,(900) 연료펌프,(901)캠,(902)연료탱크,(903)기동장치,(904)붐전핀,(905)캐드워크,(906) 어댑터,
(907)어군탐지기 소나,
(908) 원유시추용 드릴링머신의 로터리 테이블선반기계,
(909)망간 단괴,
(910)뜰채그물,(911)흡입채집기계,(912)해저광물채취로봇,
(913) 잠망경,(914)고무풍선,(915)와이어로프 체인,
(916)이중구조 배관라인 자동공압식 밸브운송장치,
(917)코아드릴,
(918)비이오 피이 스키드,(919)고무타이어,(920)버너 붐,
(921)유해적조 미생물,(922)무공해의 천연가스,
(923)공기노즐,
(924)광물채집 뚜레박,(925)황사상승기류,(926)황사하강기류,(927)황사,
(928)이중구조블록탱크 관교각,
(929)핵폐기물처리이중구조블록탱크 관교량,
(930)화학물질,(931)시멘트,(932)어족자원 확보용 그물,
(933)방재선 또는 방제선,(934)원유시추선,(935)시이소 핸들용 지렛대,
(936)시추공,
(937)이중구조블록탱크 관교량,(938)전극판 아노드,(939)냉각공기방울,(940)비트,
(941)핵폐기물처리 이중구조블록탱크 해양터널 교통장치,
(942)타워크레인 시이소 크레인 붐대.
(943)해양 시이소수력발전소,(943a)수력발전 장치용 펌프 수차,(943b)대형수력발전 장치용 펠톤 수차,(943c)대형수력발전 장치용 프란시스 수차,
(944)대형수력발전기 시이소 수력발전설비,(944a)수력발전장치용 회전속도 검출기,(944b)교류발전기의 전동기 계자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발전기용 여자기,(944c)고리관 깃을 밀어 넣는 기기,(944d)상부 회전축받이,(944e)회전축받이를 밀어넣는 기기,(944f)고정자 코일,(944g)고정자 프레임,(944h)중심부 고정자,(944i)저속냉각기,(944j)제동장치 링,(944k)제동장치 또는 잭,(944l)저속 회전축받이,(944m)엔진발전기,(944n)터빈회전축받이,(944o),(944p)회전축받이,(944q)날개바퀴,
(945)지중선로 방재노즐 또는 공유매립지,
(946)해저선로배선 또는 공유수면매립지,
(947)부침조절장치용 콘 테 이 너 내부용의 공기투입용 고무 튜브,
(948)용광로,(948a)용광로의 노재 벽돌,
(949)선체의 잠수 위치조절 이동장치와 잠수 부력 조절용의 납덩이 추,
(950)온도 자동감지센서용 열전 대 온도계 스위치,
(951)유해적조 흡입 집진기용의 뜰채 바스켓 또는 파 레 토,
(952)물의 위치에너지조절장치용 무동력펌프의 수격펌프,
(953)군사장비 잠수함,
(954)레이저 컴퓨터 절단기,
(955)핵 폭탄보다 더 강력한 무기의 평화 보존형 메시지 포 토 샵,
(957)해양 풍력발전소,(957a)풍력발전기용 풍차,
(958)기상예보관측,
(959)삿대 대체 사용품돛,
(960)인공위성 일기 예보 정보 수집기계,
(961)우주로켓,
(962)인공위성
(963)평화주권선,(964)석유,(965)다이아몬드,(966)철,(967)주석,(968)석탄,(969)농기구,(970),(971)군수물자,(972)국경지역,(974)함선,(975)잠수함,(976)전투기,(977)함정,(978)핵항공모함,(979)유류송유관,(980)가스배관,(981)금과은,(982)핵연료,(984)유리,(985)마노,(986)호박,(987)진주,(988)위령탑,(989)국제연합국가,({90)국제연합기구,(991)원폭,(992)수소폭탄,(993)탄광,(994)스위치 작동용 추와 감지센서용의 무게감량용 납덩이추에 잠수원 잠수부력 조절용의 납덩이추,(995)잠수정,(996)침몰선박,(997)맴돌이 수직하강기류,(998)맴돌이 수직상승기류,
(999)쓰나미방재,(1000)바댜밑,(1001)파도의상부,(1002)파장,(1003)쓰나미,(1004)쓰나미발생후,
(1005)증기발생기의 증발기구조,(1006)증기출구관,(1007)증기출구실 동체 외관,(1008)습도계 관,(1009)증기출구관,(1010)액면계 관,(1011)나트륨 냉각계 입구 관,(1012)상부 평판,(1013)연결봉,(1014)냉각수 누설 검출관,(1015)2차 아르곤가스관,(1016)스커트,(1017)나선형 열교환 세관,(1018)나트륨 냉각재 출구관,(1019)반구형하부동체,(1020)익수관,(1021)덥개,(1022)동체외관,(1023)나트륨 통로,(1024)나트륨-물 반응 생성물 방출관,(1025)내관,(1026)모니터 링 입구관,(1027)급수 입구관 판,(1028)급수 입구관,(1028a)급수 입구실 외관,
(1029)핵기지,(1030)해체시설,(1031)피트의잠정저장,(1032)MOX가공,(1033)MOX연소로,(1034)폐기물의혼합유리고화체,(1035)고준위폐기물,(1036)최종처분장,(1037)장기저장,(1038)깊은지하동굴,(1039)플루토늄처분을선택할수있는경로,(1040)핵무기해체에서플루토늄처분과정,(1059)핵분열,(1069)원자로 노재벽돌,(1070)이산화 우라늄,(1071)연구로,(1072)동력로,(1073)원자로증기취출계통,(1074)드레인펌프,(1075)가열장치,(1077)핵연료공업주기,(1078)인명구조용 복원력을 구비한 선박,(1101)거센풍랑파도,
도크선체갑판 상단부(SDU),도크선체갑판 중심부(SDM),도크선체갑판 상단부(S DL),기계실바닥표면 상단부(MFGU),기계실바닥표면(MFG), 기계실바닥표면 하단부(M FGL),지표면 상단부(GLU),지표면(GLL),지표면 하단부(GLD), 적도전선(EL), 북극(N P), 남극(SP),
경도(longitude;ld로 칭함),위도(latitude; lt로 약칭),
분사노즐 상단부(A), 분사노즐 몸체(B), 분사노즐 하단부(C),
도로지표면 상단부(GLU), 도로지표면(GLL), 도로지표면 하단부(GLD),
펌프 몸체(PB), 펌프 몸체 수직 라인(PPVL), 펌프몸체 수평중심라인(PBCL)
밸브 몸체 중심선(VBCL or PBCL),방화수수면 하단(WLD),방화수수면(WLL), 분출 수면(WLU), 해수면 상단부(SLU),해수면(SLL),해수면 하단부(SLD),
기계실 외부(Out of Merchinery Room;OMR)기계실(Merchinery Room ; MR)
기계실 내부(In of Merchinery Room ; IMR)

Claims (2)

  1.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에 있어서,
    산사태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 급사면의 약해진 틈으로 물이 침식해 지반이 무너지며 흙과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인데, 산사태는 태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강우 일수가 평지에 비해 15퍼센트쯤 더 많은 산악 지대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고나,
    상기 산사태방재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들로 구비해 산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방재수로(17)와, 가뭄에는 산 능선별의 1도의 경사각도(91)의 360˚ 회전방재수로와 방재배관 주위로 집수정들로 구비해 물을 적정하게 배치보관하고 산 능선의 회전방재 수로(17)와,상기 방재 수로(17)의 일정한 경사각도(16)로 일정한 거리의 간격으로 전진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집수정 탱크(34)에 건설기계일체와, 도로지표면에서 15m 콘크리트방벽 그위와 해수면 40m 높이로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산사태상습지역의 아파트건물 등에는 산사태방재를 구성하며;
    상기 산사태방재는 산사태의 복구에는 건설기계 등과 산사태의 규모에 따라 지붕 높이의 2배 높이의 비상탈출구에 건물을 감싸는 건물보호장치를 설치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감축하며 산사태의 복구에는 일체의 건설기계와 인명구조장치를 구비해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아파트건물로 산사태방재를 구성하고;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기 위해 비상탈출구 상단에 인명구조용 그물과 튜브를 설치하며, 해수면 상단부 40m 높이 지형에는 도로와 운동장과 아파트건물을 구비해 안전한 생활터전을 구성하며 산사태 발생전 후시 인명사상자를 억제하고 도로유실, 탄광내부에서 매몰사고 등의 큰 피해와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진 해일 또는 쓰나미에 따른 산사태피해방지부(811)에 포함하는 선체위치이동 펌핑 가동부(811a)와 해양수력발전 동력생산조절 전력 생산제조 부(811b)에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811c)와 동력전달조절부(811d)와 탄광매몰사고 설비안전 통제 관리 전장부(811e)와 전자제어조절장치 건설기계조절부(811f)에 댐의 전자제어조절장치 나사조절부(811g)들로 구성된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를 더 구비하여 산사태피해방지부(811)의 산사태 극복을 향상시켜주는 것;
    들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사태피해방지부(811)는, 건설기계의 교통운송부에서는 탄광(993)매몰사고로 인해 탄광(993)매몰사고 극복을 위해 복수개의 배관라인(74)과 노끈을 구비해 현장에 항상 배치해 두고 매몰사고전 후 시에 복수개의 배관라인(74)을 구비해 의식주 반출입 통로로 산사태방재를 위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KR1020190018307A 2019-02-18 2019-02-18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KR20200100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07A KR20200100268A (ko) 2019-02-18 2019-02-18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07A KR20200100268A (ko) 2019-02-18 2019-02-18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68A true KR20200100268A (ko) 2020-08-26

Family

ID=7224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307A KR20200100268A (ko) 2019-02-18 2019-02-18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02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8681A (zh) * 2023-08-21 2023-09-19 乐山师范学院 一种山地旅游景区灾害预警方法与设备
CN117699995A (zh) * 2023-12-29 2024-03-15 江苏明洋环保有限公司 一种承压一体化污水曝气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145B1 (ko) 2009-09-16 2012-07-24 이우성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570665B1 (ko) 2012-08-30 2015-11-30 이우성 수해조절장치시스템
KR101799861B1 (ko) 2015-06-29 2017-12-20 이우성 수해조절용 분배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145B1 (ko) 2009-09-16 2012-07-24 이우성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570665B1 (ko) 2012-08-30 2015-11-30 이우성 수해조절장치시스템
KR101799861B1 (ko) 2015-06-29 2017-12-20 이우성 수해조절용 분배투입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선왕조실록』 참조,
『증보문헌비고』 참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8681A (zh) * 2023-08-21 2023-09-19 乐山师范学院 一种山地旅游景区灾害预警方法与设备
CN116778681B (zh) * 2023-08-21 2023-11-07 乐山师范学院 一种山地旅游景区灾害预警设备
CN117699995A (zh) * 2023-12-29 2024-03-15 江苏明洋环保有限公司 一种承压一体化污水曝气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861B1 (ko) 수해조절용 분배투입장치
KR101570665B1 (ko) 수해조절장치시스템
Schuyler Reservoirs for Irrigation, Water-power and Domestic Water-supply: With an Account of Various Types of Dams, and the Methods, Plans and Cost of Their Construction...
KR20100027087A (ko) 무재해 지구촌 해양발전소의 관레벨 시소형 풍수력발전기
CN1773022A (zh) 软基快速筑堤方法与技术
KR20200099259A (ko) 쓰나미방재용 분배투입장치
Scott Dictionary of civil engineering
KR20150138126A (ko) 원자력발전용 핵폐기물처리 이중구조블록탱크집진기 원자력발전소설비의 비등수형원자로설비
KR20170043487A (ko) 금속제련용 용광로 및 건설기계를 구비한 해양제철소
KR20200100268A (ko) 산사태방재용 분배투입장치
KR20180019134A (ko) 해양원전용 핵폐기물처리 이중구조 고속증식로 원자로설비
KR102452262B1 (ko) 지진해일방재용 부양식독장치
KR20170081589A (ko) 태풍방재용 분배투입장치
KR20190089483A (ko) 해양원전용 핵폐기물처리 가압수형 이중구조 원자로설비
KR20150138130A (ko) 원자력발전용 핵폐기물처리 원자력 발전소설비의 이중구조 신형전환로 원자로설비
KR20150138129A (ko) 원자력발전용 핵폐기물처리 원자력 발전소설비의 이중구조 고속증식로 원자로설비
KR20150138128A (ko) 원자력발전용 핵폐기물처리 원자력 발전소설비의 이중구조다목적고온가스 원자로설비
Davis Irrigation works constructed b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KR20180020186A (ko) 해양원전용 핵폐기물처리 이중구조 신형전환로 원자로설비
CN107268536A (zh) 一种筑堤围海、排水、不填筑架空造地建筑方法
KR20240021497A (ko) 침수지역 인명구조와 수해조절용 물탱크 설치방법과 이의 수해조절용장비
Mackenzie History of the Periyar project
KR20190091589A (ko) 해양원전용 핵폐기물처리 비등수형 이중구조 원자로설비
KR20150138131A (ko) 원자력발전용 핵폐기물처리 원자력 발전소설비의 이중구조 기체냉각로 원자로설비
Rogers Hoover Dam: first joint venture and construction milestones in excavation, geology, materials handling, and aggreg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