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146A -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 - Google Patents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146A
KR20200100146A KR1020207020943A KR20207020943A KR20200100146A KR 20200100146 A KR20200100146 A KR 20200100146A KR 1020207020943 A KR1020207020943 A KR 1020207020943A KR 20207020943 A KR20207020943 A KR 20207020943A KR 20200100146 A KR20200100146 A KR 20200100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onfiguration
restraint
radio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씨 블럼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0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97Amusemen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스템은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 및 탑승 차량에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검출기를 갖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장치가 잠기거나 잠금 해제되며 구속 시스템은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
본 출원은 2017 년 12 월 19 일에 출원된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2/607,770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 내에 손님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에게 독특한 모션 및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놀이공원 탑승기구가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테마 탑승기구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모션 베이스(motion base)를 이용하는 단일 탑승자 또는 다수의 탑승자 차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극(excitement)은 흔히, 차량이 탑승 경로(ride path)를 따라 이동하거나 모션 루틴을 따라 움직이는 차량의 속도 또는 방향의 변화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탑승 경로는 터널, 회전, 상승, 하강, 루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가 동작 중인 탑승기구 안에 있는 동안, 탑승자에게는 탑승기구가 동작 중인 동안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타는 동안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하고 안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부합하는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 요약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 및 탑승 차량에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검출기를 갖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restraint system)을 포함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장치가 잠기거나 잠금 해제되며 구속 시스템이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에 결합되고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을 포함한다. 구속 시스템은 제 1 커넥터를 갖는 제 1 스트랩, 제 2 커넥터를 갖는 제 2 스트랩,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갖는 제 3 스트랩,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장치가 잠금 구성과 잠금 해제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게 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는 잠금 구성으로는 잠금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며, 잠금 해제 구성에서는 잠금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 및 탑승 차량에 연결된 구속 시스템을 포함한다. 구속 시스템은 구속 구성으로부터 구속 해제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봇 암을 갖는 구속 바(restraining bar)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피봇 암이 잠기거나 잠금 해제되는데, 피봇 암이 잠금 해제되면 구속 구성에서 구속 해제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피봇될 수 있고, 피봇 암이 잠금 되면 구속 구성으로 고정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문자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놀이공원 탑승기구는 수동 구속 시스템을 갖는 탑승 차량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수동 구속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구속 시스템은 잠금 구성에서 5-점 하니스 구속 장치(five-point harness restraint)를 포함하고, 무선 잠금 및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갖는다.
도 3의 도 2의 수동 구속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점 하니스 구속 장치는 별도의 숄더 스트랩을 포함하고 잠금 해제 구성에 있다.
도 4는 도 2의 수동 구속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점 하니스 구속 장치는 접합된 숄더 스트랩을 포함하고 잠금 해제 구성에 있다.
도 5는 도 1의 놀이공원 탑승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수동 구속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구속 시스템은 잠금 해제 구성에서 피봇가능한 암을 갖고 무선 잠금 및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갖는 구속 바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5의 수동 구속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 바는 잠금 구성 상태에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이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실제 구현예를 개발할 때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조건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구현별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구현마다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본 개시 내용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설계, 제조 및 제작에 대한 일상적인 사업일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본 실시예는 잠금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수동 구속 시스템을 사용하여 놀이공원의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으로(예를 들어, 전자기 신호를 통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는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수동 구속 시스템(예를 들어, 시트 벨트, 하니스, 구속 바(예, 랩 바, 숄더 바) 등)을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은 놀이공원 탑승 시간 내내 탑승자를 탑승 차량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승차 후 및 놀이공원 탑승 시작 전에 언제든지 활성화될 수 있다. 개시된 잠금 메커니즘은 탑승자가 탑승기구의 작동 중에 잠금 메커니즘을 조기에 잠금 해제할 수 없도록 탑승자가 액세스하지 못할 수 있다. 놀이공원 탑승기구가 종료되면, 예를 들어 하차 스테이션의 잠금 해제 지점에서 잠금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될 수 있어 탑승 차량으로부터 탑승자를 풀어준다.
개시된 기술은 잠금 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효 전력(active power)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탑승 차량에 유효 전력없이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다. 즉, 수동 구속 시스템은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때 잠금 해제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전원을 공급받는 동안 잠금 상태를 유지하지만 전원이 차단될 때 잠금을 해제하는 능동 구속 시스템과 대조된다. 탑승 차량 내 탑승자를 고정하기 위한 기존의 특정 탑승 구속 장치는 탑승 차량에 구현된 전원을 사용하여 구속 장치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한다. 전력으로 작동되는 또는 능동형 탑승 구속 시스템을 사용하면 놀이공원 탑승 시간 내내 탑승자가 구속되도록 보증할 수 있다. 이어서 놀이공원 탑승이 완료된 후에 전원이 구속 장치에 대해 차단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탑승 차량을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력으로 작동되는 능동 구속 시스템은 특정 놀이공원 탑승기구에 통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특정 놀이공원 탑승 시스템은 전력으로 작동되는 구속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탑승기구 디자인 및 구성으로 인해, 현재 및/또는 새로운 놀이공원 탑승기구에 탑승 제한을 위한 전원을 통합하는 것이 어렵거나/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을 제어하기 위해 무선 활성화를 사용함으로써, 개시된 구속 시스템은 전원이 장착되지 않은 기존 탑승 차량에 재맞춤될 수 있다.
도 1은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동작 중에 탑승자(16)를 보호하기 위한 무선 잠금 매커니즘을 갖는 수동 구속 시스템을 사용하는 놀이공원 탑승 기구(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놀이공원 탑승기구(10)는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탑승 경로를 정의하는 트랙(24)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 차량(20)을 포함한다. 탑승 차량(20)은 탑승 차량(20) 내의 탑승자(16)를 지원하는 탑승 시트(28) 및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동작 중에 탑승 시트(28) 내에 탑승자(16)를 안전하게 하는 구속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속 시스템(30)은 5-점 하니스(32)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구속 시스템(30)은 시트 벨트(예, 랩 벨트), 구속 바(예를 들어, 도 5 및 6 참조), 또는 임의 다른 적합한 구속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30)은 무선으로(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자기 신호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잠금 장치(38)(예를 들어, 버클, 클립, 잠금 장치, 패스너 등)을 갖는 잠금 메커니즘(3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36)은 승차/하차 스테이션(40)에서 작동하여 잠금 메커니즘(36)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고 각각 탑승 시트(28) 내에 탑승자(16)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탑승 스테이션은 탑승 차량(20) 내에 탑승자(16)를 고정하도록(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승무원(34)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승차 스테이션은 또한 승무원(34)이 탑승자(16)가 승차 시트(28) 내에 적절하게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차 스테이션은 탑승 차량(20)으로부터 탑승자를 잠금 해제 및 이탈시키기 위해 잠금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되는 잠금 해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승차 스테이션"은 탑승자(16)가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에 승차하는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하차 스테이션"은 탑승자(16)가 탑승 차량을 빠져나가는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승차 및 하차 스테이션은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상이한 영역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승차 및 하차 스테이션은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제어 지점"은 탑승자(16)가 탑승 차량(20) 내에 적절히 고정되었다는 확인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잠금 지점"은 구속 시스템(30)의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되고 잠금 해제될 수 없는 지점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잠금 지점"은 위치(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이 특정 물리적 위치를 넘어 잠금됨), 시점(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이 특정 시간 이후에 잠금됨) 또는 이벤트 지점(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이 차량 이동 시작과 같은 특정 이벤트 전에 잠금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잠금 해제 지점"은 구속 시스템(30)의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해제되는 지점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30)의 잠금 메커니즘(36)은 제어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잠금 지점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잠금 지점은 승차 스테이션(40)에 위치된 게이트(46)(예를 들어, RFID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46)는 무선 신호(50)를 구속 시스템(30)으로 전송하는 송신기(48)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무선 신호(50)는 잠금 메커니즘(36)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게이트(46)는 트랙(24)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게이트(46)는 구속 시스템(30)과 송신기(48)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놀이공원 탑승기구(10) 내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승무원(34)은 핸드 헬드 송신기(52)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50)를 잠금 메커니즘(36)으로 전송함으로써, 잠금 메커니즘(36)을 잠그고 탑승자(16)를 탑승 차량(2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잠금 메커니즘(36)은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완료 후에 전송되는 잠금 비활성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잠금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46) 또는 핸드 헬드 송신기(52)는 탑승 완료 후 하차 스테이션(38)에서 잠금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 탑승 차량(20)으로부터 탑승자(16)를 해제하기 위해 하차 스테이션(38)에서 무선 신호(50)를 전송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핸드 헬드 송신기(52)는 예를 들어 잠금 지점을 통과한 후 및 놀이공원 탑승기구(10)가 시작되기 전에 탑승자가 탑승 차량(20)으로부터 하차해야 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게이트(46)로부터의 활성화 신호를 무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40)는 잠금 메커니즘(3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속 시스템(3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신호(50)(예를 들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5-점 하니스(32)가 잠금 구성에 있는 구속 시스템(3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5-점 하니스(32)가 잠금 해제 구성에 있는 구속 시스템(3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5-점 하니스(32)는 5 개의 다른 위치에서 탑승자 시트(28)에 결합된 다수의 스트랩(56(56a, 56b, 56c, 56d, 56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56)은 탑승자 시트(28)의 각각의 지점(58)(58a, 58b, 58c, 58d, 58e)에 각각 결합되며, 각각의 지점은 탑승자(16)가 탑승자 시트(28)에 정확히 착석한 경우에 탑승자의 어깨, 엉덩이 및 다리 사이의 영역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56a, 56b)은 탑승자 시트(28)에 착석할 때 탑승자의 어깨가 놓일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58a, 58b)에 위치된다. 스트랩(56c, 56d)은 탑승자가 탑승 시트(28)에 착석할 때 탑승자의 엉덩이가 놓일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58c, 58d)에 각각 위치된다. 스트랩(56e)은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 내에 착석할 때 탑승자 다리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58e)에 위치된다. 5-점 하니스(32)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탑승자에 대한 적절한 구속을 허용하도록 조정 가능할 수 있다. 허리 벨트(예를 들어, 시트 벨트), 구속 바(예를 들어, 랩 바 및 오버헤드 바) 등과 같은 특정 구속 시스템은 탑승자의 일부분만(예를 들어, 허리, 다리, 어깨만)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탑승자를 올바르게 고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5-점 하니스(32)는 스트랩(56)의 다양한 부분이 탑승자의 상체(예를 들어, 어깨, 허리 및 가슴)의 다양한 부분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탑승자(16)를 구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탑승자의 상체는 탑승자 시트(28) 내에 완전히 고정된다. 5-점 하니스(32)는 탑승자의 상체를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탑승자를 구속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56)은 하나 이상의 스트랩(56)을 잠금 장치(38)에 결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트랩(56)은 잠금 장치(38) 상에 위치된 수 커넥터(62)(62a, 62b, 62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암 커넥터(60)(60a, 60b, 60c)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56a, 56c 및 56b, 56d)은 루프(68)(예를 들어, 개구)가 각각의 스트랩(56a, 56c 및 56b, 56d) 사이에 형성되도록 배열된다.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에 착석될 때, 탑승자(16)는 암 커넥터(60)를 잠금 장치(38) 상의 각각의 수 커넥터(62)에 결합하기 전에 루프(68) 내로 그리고 이를 통과하도록 자신의 팔을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랩(56a, 56b)은 스트랩(56a, 56b) 사이에 루프(70)(예를 들어, 개구)가 형성되도록 인접하고 배열된다.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에 착석될 때, 탑승자는 어깨에 스트랩(56a, 56b)을 위치시키기 위해 루프(70) 내로 그리고 이를 통과하여 자신의 머리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스트랩(56)이 탑승자(16) 상에 적절하게 위치되면, 탑승자(16)는 스트랩(56)을 잠금 장치(3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암 커넥터(60)를 각각의 수 커넥터(62)에 삽입할 수 있다. 스트랩(56)을 (예를 들어, 커넥터(60, 62)를 통해) 잠금 장치(38)에 결합한 후에, 잠금 메커니즘(36)은 탑승 차량(20) 내에 탑승자(16)를 고정시키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잠금 메커니즘(36)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특징부(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잠금 메커니즘(36)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전자 키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시작 전(예컨대, 트랙(24)을 따라 탑승 차량(20)의 이동 전)에 RFID 특징부(72)는 제어 시스템(82)으로부터 활성화 신호(80)를 수신하는 수신기일 수 있다. 제어 시스템(82)은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주 제어 시스템의 일부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게이트(46)에 통합된 별도의 제어 시스템 일 수 있다. 제어 시스템(82)은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를 점유하고 있음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활성화 신호(80)를 RFID 특징부(72)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82)이 일단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식별하면, 제어 시스템(82)은 탑승 차량이 승차 스테이션(38)에서 잠금 지점에 접근하는 경우 활성화 신호(82)를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승무원(34)은 핸드 헬드 장치(52)를 사용하여 잠금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 시스템(82)은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서(81) 및 프로세서(81)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8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 일시적 머신-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81)에 의해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다른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82)은 또한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신 회로 및/또는 입력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82)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조작자 입력 장치 또는 운전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운전자 인터페이스는 작동 중에 하나 이상의 탑승 특징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탑승 기술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운전자 인터페이스 또는 탑승 기구(10)의 다른 구성 요소는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82)으로부터 원격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82)은 또한 RFID 특징부(72)를 검출하고 활성화 신호(80)를 잠금 메커니즘(36)으로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RF) 칩(86)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특징부(72)는 RF 칩(86)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90)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90)에 응답하여, 제어 시스템(82)은 잠금 메커니즘(36)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활성화 신호(80)를 출력한다. 활성화 신호(80)를 수신하면, 잠금 메커니즘(36)은 잠금 장치(38) 내에서 잠금 핀 또는 다른 적절한 잠금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잠금 장치(38) 내의 개개의 수 커넥터(62) 외부로의 암 커넥터(60)의 이동을 차단하고 안전하게 한다. 암 커넥터(60)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탑승자(16)는 탑승 차량(20)이 움직이는 동안 잠금 메커니즘(36)을 조기에 잠금 해제하지 못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RFID 특징부(72)는 잠금 장치(38)의 일부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RFID 특징부(72)는 암 커넥터(60)의 일부이다. 또한, 제어 시스템(82)의 RF 칩(86)은 잠금 지점에서 범위 내의 모든 탑승 차량(20)에 블랭킷 잠금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RF 칩(86)은 탑승 차량(20) 내에 구속된 각각의 탑승자(16)의 핸드셰이크 통신(예를 들어, 검출) 후에 잠금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탑승 시트(28)는 각 탑승 시트(28)의 구속 시스템(30)이 구속 구성인지 또는 구속 해제 구성인지를 결정하는 센서(9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 시스템(30)이 구속 해제 구성에 있을 때, 센서(94)는 구속 시스템(30)이 구속 해제 구성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시스템(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8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구속 시스템(30)이 구속 구성에 있을 때까지 잠금 지점 및/또는 제어 지점으로부터 탑승 차량(20)의 해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무원(34)은 탑승 시트(28)가 비어 있는지 확인하고, 암 커넥터(60)를 수 커넥터(62)에 수동으로 연결하며, 핸드 헬드 장치(52)를 사용하여 잠금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이어서 탑승 차량(20) 내의 모든 구속 시스템(30)이 고정되고 탑승 차량(20)을 해제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94)는 탑승 시트(28)의 등받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센서(94)는 구속 시스템(30) 및/또는 제어 시스템(82)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탑승 시트(28) 또는 탑승 차량(20) 상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94)는 비사용 탑승 시트(28)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94)로부터의 신호의 검출시, 제어 시스템은 탑승 시트(28)가 비어 있다고 결정하고, 비어 있는 시트(28)에 대응하는 구속 시스템(30)을 사용하여 제어 지점으로부터 구속 해제 구성이 되도록 탑승 차량을 해제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센서(94)는 탑승 시트(28) 상에 위치된 역 반사 마커(retro-reflective marker)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역 반사 마커는 센서(94)에 의해 검출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된 광의 강도에 기초하여 또는 센서(94)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의 감쇠 정도에 따라, 제어 시스템(82)은 탑승 시트(28)가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 내에 위치될 때, 탑승자(16)는 역 반사 마커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 반사 마커에 의해 반사된 광이 감쇄될 수 있다. 그러나, 탑승 시트(28)가 비어있을 때, 역 반사 마커는 차단되지 않으며 역 반사 마커에 의해 반사된 광의 강도는 탑승 시트에 의해 반사된 광의 강도보다 더 클 것이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82)은 탑승 시트가 비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94)는 탑승 시트(28) 상에 배치된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94)는 탑승 시트(28)의 등받이 또는 시트 쿠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탑승 시트(28) 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시스템(82)에 전송한다. 압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값 미만(예를 들어, 제곱 인치당 약 5 파운드 미만)인 경우, 제어 시스템(82)은 탑승 시트가 비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82)은 구속 해제 구성에서 비어있는 탑승 시트(28)에 응답하여(corresponding to) 구속 시스템(30)을 이용하여 제어 지점으로부터 탑승 차량(20)을 해제시킬 수 있다.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완료 후, 구속 시스템(30)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 탑승기구(10)가 완료되고 탑승 차량(20)이 하차 스테이션(40)에서 완전 정지되면, RFID 특징부(72)는 게이트(46) 및/또는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제어 시스템(82)에 의해 방출되는 비활성화 신호(96)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와 유사하게, 탑승 차량(20)이 하차 스테이션(38)에 있을 때 RFID 칩(86)은 RFID 특징부(72)(예를 들어, 신호(90))를 검출한다. 탑승 차량(20)이 잠금 해제 지점에 도달하면, 게이트(46) 및/또는 제어 시스템(82)은 비활성화 신호(96)를 RFID 특징부(72)로 전송한다. 비활성화 신호(96)에 응답하여, 잠금 메커니즘(36)은 탑승자(16)로 하여금 수 커넥터(62)로부터 암 커넥터(60)를 분리하고 탑승 차량(20)에서 내리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승무원(34)은 핸드 헬드 송신기(52), 키 카드 또는 다른 전자 키를 사용하여 구속 시스템(30)의 잠금 메커니즘(36)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 신호를 통해 구속 시스템(30)의 잠금 메커니즘(36)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잠금 장치(38)의 조기 잠금 해제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어식 구속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이 탑승 차량(20)에 통합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놀이공원 탑승기구는 구속 시스템(30)에 개장되어 놀이공원 탑승기구에 전원을 구현하는 것과 연관된 비용을 줄이고 놀이공원 탑승 기구의 동작 기간 내내 탑승자를 탑승 시트에 더 잘 고정하고 유지시키도록 구속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5-점 하니스 구속 시스템은 또한 탑승자의 신체(예를 들어, 어깨, 허리 및 가슴)를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탑승자를 구속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탑승자를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36)은 또한 5-점 하니스(32)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유형의 구속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은 시트 벨트, 구속 바(예를 들어, 랩 바 또는 오버 헤드 바) 또는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시트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다른 적절한 구속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도 5는 탑승 차량(20) 내에서 탑승자(16)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속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도 5는 탑승 차량(20) 내에 탑승자(16)를 구속 및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구속 해제 구성 상태의 구속 바(100)를 갖는 구속 시스템(30)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구속 구성 상태의 구속 바(100)의 측면도이다.
구속 바(100)는 구속(도 6)과 구속 해제(도 5) 구성 사이에서 구속 바(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축(10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 아암(104)을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30)은 무선 신호에 의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는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속 바(100)는 피봇 아암(104) 내에 위치된 RFID 특징부(72)를 포함한다. RFID 특징부(72)는 제어 시스템(82)에 신호(90)를 전송하여 활성화 신호(80)를 전송하도록 제어 시스템(82)에 신호한다. 제어 시스템(82)으로부터 활성화 신호(80)를 수신하면, 피봇 아암(104)은 화살표(11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10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속 바(100)를 구속 해제 구성에서 구속 구성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피봇 아암(104)은 구속 구성에 구속 바(100)를 위치시키기 위해 방향(112)으로 탑승자(16)를 향해 회전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탑승 차량(20)은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제어 시스템(8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16)는 제어 시스템(82)에 탑승 시트(28)이 점유되고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 내에 고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120)를 제어 시스템(82)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은 탑승자(16)가 탑승 시트(28)에 착석한 것을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 시스템(82)은 피봇 아암(104)으로 하여금 방향(108)으로 탑승자(16)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활성화 신호(80)를 전송한다. 피봇 아암(104)이 구속 구성에 있으면, 피봇 아암(104)은 피봇 아암(104)의 회전을 차단하고 탑승 시트(28) 내에 탑승자(16)를 고정하도록 잠금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승무원(34)은 핸드 헬드 송신기(52)를 사용하여 피봇 아암(104)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 시스템(82)은 탑승자(16)가 고정되고 탑승 차량(20)이 승차 스테이션(40)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탑승 차량(20)에 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놀이공원 탑승기구(10)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아암(104)은 탑승자(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128)으로 피봇 아암(10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특징 부(72)는 놀이공원 탑승기구(10)의 제어 시스템(82)으로부터 비활성화 신호(94)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46) 또는 승무원(34)은 (예를 들어, 핸드 헬드 송신기(52)를 통해) 비활성화 신호(96)를 전송할 수 있다. 비활성화 신호(96)에 응답하여, 피봇 아암(104)은 축(108)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128)으로 회전하여 구속 바(100)를 구속 구성으로부터 구속 해제 구성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탑승자(16)는 구속 해제될 수 있고, 하차 스테이션(40)에서 탑승 차량(20)을 빠져 나갈 수 있다.
놀이공원 탑승기구 상에서 구속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통적인 시스템 및 방법은 탑승 차량에 통합된 전원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제 전자기 신호를 사용하여 구속 시스템의 잠금 메커니즘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함으로써, 전원이 탑승 차량에 통합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속 시스템을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탑승 차량에 비해 전원을 기존 및/또는 새로운 탑승 차량에 통합시키는 것과 관련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신호를 사용하여 구속 잠금 메커니즘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함으로써, 구속 시스템의 조기 잠금 해제가 완화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탑승자를 고정하기 위한 구속 설계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만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려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그와 같이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용적 성질의 재료 객체 및 구체적인 예에 참조되고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항이 "...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또는 "...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청구항에 대해서는, 이러한 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될 필요가 없다.

Claims (20)

  1. 시스템으로서,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차량과,
    상기 탑승 차량에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검출기를 구비 한 잠금 장치를 갖는 구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며,
    상기 구속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시스템의 잠금 장치를 잠금되게 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기를 포함하는 잠금 제어 지점(control point) - 상기 잠금 제어 지점은 상기 탑승 차량의 하차 구역에 위치됨 - 과,
    상기 구속 시스템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기를 포함하는 잠금 해제 지점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RF) 칩이고,
    상기 검출기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탑승 시트에 고정되어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스트랩을 포함하는 5-점 하니스(five-point harness)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트랩은 자유 단부(free end) 상에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탑승 차량 내에 상기 탑승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잠금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잠금 장치 내에 위치되고,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시스템은 구속 구성과 구속 해제 구성 사이에서 피봇 아암을 이동시키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상기 피봇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피봇 아암 상에 배치되고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차량의 시트 내에서 상기 탑승자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차량의 시트를 점유하는 상기 탑승자를 나타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검출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시스템으로서,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에 결합되고 상기 탑승 차량 내에 탑승자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구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시스템은,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1 스트랩과,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2 스트랩과,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스트랩과,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구성과 잠금 해제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잠금 구성에서 상기 잠금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잠금 해제 구성에서 상기 잠금 장치로부터 분리가능함 - 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속 시스템의 잠금 장치가 상기 잠금 구성과 상기 잠금 해제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RF) 칩이며,
    상기 검출기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인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랩 및 상기 제 2 스트랩 각각은 상기 탑승 차량의 탑승 시트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여 루프가 각각의 개별(respective) 스트랩의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되게 하고,
    상기 루프는 상기 탑승자의 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개별 스트랩의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랩은 제 1 고정 단부 및 제 1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트랩은 제 2 고정 단부 및 제 2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유 단부 및 상기 제 2 자유 단부는 각각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단부 및 상기 제 2 고정 단부는 상기 탑승 차량의 탑승 시트각각에 부착되는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차량은 외부 또는 내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탑승 차량의 동작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지 않을 때 상기 잠금 구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전원이 활성화되지 않거나 상기 구속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때 상기 잠금 해제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는 암호화되는
    시스템.
  18. 시스템으로서,
    놀이공원 탑승기구의 탑승 차량과,
    상기 탑승 차량에 결합된 구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시스템은,
    구속 구성으로부터 구속 해제 구성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봇 아암을 포함하는 구속 바와,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피봇 아암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며, 상기 피봇 아암은 잠금 해제될 때 상기 구속 구성으로부터 상기 구속 해제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피봇팅될 수 있고, 상기 피봇 아암은 잠금될 때 상기 구속 구성에 고정됨 - 를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시스템의 피봇 암이 잠금되게 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기를 포함하는 잠금 제어 지점 - 상기 잠금 제어 지점은 상기 탑승 차량에 대한 하차 구역에 위치함 - 과,
    상기 구속 시스템의 피봇 아암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기를 포함하는 잠금 해제 지점을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송신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RF) 칩이고,
    상기 검출기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인
    시스템.
KR1020207020943A 2017-12-19 2018-12-17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 KR20200100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607770P 2017-12-19 2017-12-19
US62/607,770 2017-12-19
US16/221,134 US20190184935A1 (en) 2017-12-19 2018-12-14 Passive restraint techniques for amusement park rides
US16/221,134 2018-12-14
PCT/US2018/066079 WO2019126074A1 (en) 2017-12-19 2018-12-17 Passive restraint techniques for amusement park r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146A true KR20200100146A (ko) 2020-08-25

Family

ID=6681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943A KR20200100146A (ko) 2017-12-19 2018-12-17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90184935A1 (ko)
EP (1) EP3727625B1 (ko)
JP (2) JP7277464B2 (ko)
KR (1) KR20200100146A (ko)
CN (1) CN111432902A (ko)
CA (1) CA3084669A1 (ko)
ES (1) ES2959515T3 (ko)
RU (1) RU2020123609A (ko)
SG (1) SG11202004881TA (ko)
WO (1) WO2019126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7960B1 (en) * 2017-04-13 2021-05-18 Advanced Concepts in Manufacturing LLC Restraint systems and restraint system methods
DE102017120645A1 (de) * 2017-09-07 2019-03-07 Mack Rides Gmbh & Co. Kg Fahrgastaufnahme und Fahrzeug mit mindestens einer derartigen Fahrgastaufnahme für ein Fahrgeschä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sowie Fahrgeschäft mit mindestens einem solchen Fahrzeug
DE102019103301A1 (de) * 2019-02-11 2020-08-13 Mack Rides Gmbh & Co Kg Fahrgeschäf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geschäfts
US20220105895A1 (en) * 2020-10-05 2022-04-07 Universal City Studios Llc Remote release, redundant restraint latch
WO2023014615A1 (en) * 2021-08-02 2023-02-09 Universal City Studios Llc Riding harness system and method
DE102021210921A1 (de) 2021-09-29 2023-03-30 Hawe Hydraulik Se Verriegelungseinheit für eine Fahrgast-Rückhaltevorrichtung, Fahrgeschäft- Fahrgasteinheit mit einer Fahrgast-Rückhaltevorrichtung und einer Verriegelungseinheit sowie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einer Verriegelungseinheit
US11958426B2 (en) * 2022-05-10 2024-04-16 Universal City Studios Llc Sea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rid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933A (en) * 1989-11-15 1991-05-14 Ridewerks, Ltd. Seat base motion controller
US5489212A (en) * 1990-07-02 1996-02-06 Sega Enterprises Ltd. Rotating simulator and body holding apparatus therefor
US5182836A (en) * 1991-08-30 1993-02-02 The Walt Disney Company Pressure activated seat belt locking mechanism
US5403238A (en) * 1993-08-19 1995-04-04 The Walt Disney Company Amusement park attraction
US5529382A (en) * 1994-04-15 1996-06-25 The Walt Disney Company Passenger restraint system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US6888475B2 (en) * 2002-01-10 2005-05-03 Joshua Scott Darr Control system for aircraft seat belt arrangement
KR20040100840A (ko) * 2002-03-25 2004-12-02 쿠르트 헨네 고정된 트랙을 활주하는 비행기 훈련 및 오락기구
WO2004109583A1 (en) * 2003-06-06 2004-12-16 Stemco Ll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ystem fo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80150345A1 (en) * 2006-12-21 2008-06-26 Blum Steven C Guest Positioning Assembly
US7905789B2 (en) * 2007-04-03 2011-03-15 Team Ix, Ltd. Specialized restraint systems for amusement rides
US20090031541A1 (en) * 2007-07-27 2009-02-05 Pribonic Edward M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8090504B2 (en) * 2008-01-09 2012-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edback loop system for passenger safety
US9192865B2 (en) * 2008-07-30 2015-11-24 Universal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on fixed path
JP2012116387A (ja) * 2010-12-02 2012-06-21 Naka Trading Kk 水難救助用無線ヘリコプター及び水難者救助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8490550B2 (en) * 2011-07-26 2013-07-23 Disney Enterprises, Inc. Roller coaster with articulable seat backs
JP6030348B2 (ja) * 2012-06-15 2016-11-24 株式会社セガ・ライブクリエイション アトラクション装置
US20130341993A1 (en) * 2012-06-25 2013-12-26 Kacey K. Kennington Buckle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s, kit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9600999B2 (en) * 2014-05-21 2017-03-21 Universal City Studios Llc Amusement park element tracking system
GB2527757B (en) * 2014-06-30 2018-04-25 Jaguar Land Rover Ltd Seat bel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5991346B2 (ja) * 2014-07-10 2016-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908625B2 (en) * 2015-08-06 2018-03-06 Ami Industrie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US10460539B2 (en) * 2016-08-24 2019-10-29 Universal City Studios Llc Loose ite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r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04881TA (en) 2020-06-29
JP2021506433A (ja) 2021-02-22
JP7277464B2 (ja) 2023-05-19
JP2023109810A (ja) 2023-08-08
CN111432902A (zh) 2020-07-17
CA3084669A1 (en) 2019-06-27
RU2020123609A3 (ko) 2022-02-04
ES2959515T3 (es) 2024-02-26
RU2020123609A (ru) 2022-01-20
EP3727625B1 (en) 2023-07-26
US20190184935A1 (en) 2019-06-20
EP3727625A1 (en) 2020-10-28
WO2019126074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0146A (ko) 놀이공원 탑승기구를 위한 수동 구속 기법
US11618352B2 (en) Locking harness
CN104755316B (zh) 具有主动保护装置的儿童汽车座椅
US7321306B2 (en) Wireless system to detect presence of child in a baby car seat
CN104919437B (zh) 利用电场耦合进行自动网络配对的系统和方法
US20200353849A1 (en) Submarining avoidance system
US20220105895A1 (en) Remote release, redundant restraint latch
CN109398176B (zh) 具有选择性地抑制自主保护装置的抑制装置的儿童汽车座椅
KR100655208B1 (ko) 승객보호장치
US20210331607A1 (en) Child Seat Safe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