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127A -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 Google Patents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127A
KR20200100127A KR1020207020632A KR20207020632A KR20200100127A KR 20200100127 A KR20200100127 A KR 20200100127A KR 1020207020632 A KR1020207020632 A KR 1020207020632A KR 20207020632 A KR20207020632 A KR 20207020632A KR 20200100127 A KR20200100127 A KR 20200100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leg
leakage path
legs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872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빈터
얀 리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0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2Magnetic shu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추가 레그를 포함하는 변압기 코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가 레그는 누설 경로의 형성을 위해 이용된다. 장착 공간의 최적화와 변압기 권선들의 더 용이한 연결을 위해, 변압기 레그들과 추가 누설 경로 레그는 하나의 공통선을 따라 배치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본 발명은 변압기 코어, 및 상기 변압기 코어를 포함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전자 DC/DC 컨버터들은, 출력 전압에 대한 입력 전압의 매칭 또는 갈바닉 절연의 보장이 필요한 경우에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토폴로지에 따라서, 변압기와 직렬 연결된 높은 직렬 인덕턴스(series inductance)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런 직렬 인덕턴스는 예컨대 외부 인덕턴스로서 실현될 수 있거나,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로서 변압기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누설 인덕턴스의 통합을 통한 변압기 확장을 제한하기 위해, 추가 누설 자속(leakage flux)은 변압기 내 높은 자기 투과도(magnetic permeability)를 갖는 재료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유럽 공보 EP 0 355 298 A2호는, 에어갭(air gap)을 구비한 변압기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switching power supply)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에어갭 내로 페라이트 플레이트(ferrite plate)를 삽입함으로써 에어갭이 복수의 부분 에어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자기 누설장(magnetic leakage field)의 공간 확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변압기 코어, 및 특허 청구항 제10항의 특징들을 갖는 변압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변압기 레그(transformer leg); 제2 변압기 레그; 및 누설 경로 레그(leakage path leg);를 포함하는 변압기 코어가 제공된다. 제1 변압기 레그는 제1 종축을 갖는다. 제2 변압기 레그는 제2 종축을 갖는다. 누설 경로 레그는 추가 종축을 갖는다. 또한, 제1 종축 및 제2 종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평면이 기설정된다. 이 경우, 누설 경로 레그는, 누설 경로 레그의 종축이 제1 종축 및 제2 종축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코어, 제1 변압기 레그 상에 배치된 제1 권선 및 제2 변압기 레그 상에 배치되는 제2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도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변압기 코어에서 추가 누설 경로 레그의 사용을 통해 변압기의 직렬 인덕턴스 내지 누설 인덕턴스가 증가할 수 있다는 지식을 기초로 한다. 변압기의 직렬 내지 누설 인덕턴스의 그러한 증가는, 상기 변압기가 사용되어야 하는 각각의 회로 토폴로지에 따라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변압기 코어의 추가 누설 경로 레그는 장착 공간의 확장을 야기한다. 특히 추가 누설 경로 레그는 상기 변압기에서의 일차 및 이차 권선들의 연결을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인식의 고려하에, 상기 변압기 코어의 최대한 효율적인 장착을 추가로 가능하게 하는, 추가 누설 경로 레그들을 포함한 변압기 코어를 위한 효율적인 기하구조를 제공한다는 사상을 기초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표는, 변압기의 일차 및 이차 권선의 최대한 편리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 누설 경로 레그들을 포함한 변압기 코어를 위한 기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차 및 이차 권선을 수용하는 변압기 레그들 및 추가 누설 경로 레그를 하나의 선형 구조 내에 배치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한다. 오히려, 추가 누설 경로 레그는 일차 및 이차 권선을 위한 변압기 레그로 형성되는 라인에서 떨어져서 배치된다. 변압기 레그와 관련한 누설 경로 레그의 상기 "변위"를 통해, 한편으로 상기 유형의 변압기들의 최대한 효율적인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변압기의 일차 및 이차 권선의 연결들이 누설 경로 레그에 의해 차단되거나 손상되지 않으면서 상기 연결들에 최대한 잘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변압기 코어 기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변압기 레그"란 용어는, 변압기 코어에서 권선으로, 예컨대 변압기의 일차 권선 또는 이차 권선으로 에워싸여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개별 변압기 레그들, 특히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의 레그들은 적어도 거의 상호 간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누설 경로 레그는, 일반적으로 마찬가지로 변압기 레그들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변압기 코어의 추가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 누설 경로 레그 상에는, 변압기 레그들과 달리 통상 권선이 배치되지 않는다. 오히려, 누설 경로 레그는 우선적으로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는 데 이용된다.
변압기 코어의 레그들, 다시 말해 변압기 레그와 누설 경로 레그는 각각 적합한 변압기 요크들(transformer yoke)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하기에 훨씬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하구조들이 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변압기 레그와 경우에 따른 누설 경로 레그, 그리고 변압기 요크들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하나의 재료 또는 재료 복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개별 변압기 레그, 누설 경로 레그 및 요크들을 각각 개별 구성요소로서 형성하여 적합한 추가 고정 방법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코어 구조를 통해, 회로들 내에서 변압기의 더 우수하고 공간 최적화된 통합성이 달성된다. 이 경우, 변압기의 연결점들, 특히 일차 및 이차 권선의 연결점들에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긴 연결 경로 및 이와 결부되는 비사용 면적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는 필요한 장착 공간을 줄이고, 더 나아가 발생하는 전기 저항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변압기 코어는 제1 변압기 요크와 제2 변압기 요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변압기 레그, 제2 변압기 레그 및 누설 경로 레그는 제1 변압기 요크와 제2 변압기 요크 사이에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독립적인(self-contained) 변압기 코어 구조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 "독립적"이란 용어는 명시적으로 변압기 내 인덕턴스의 설정을 위해 경우에 따라 필요한 에어갭들도 포함한다. 이 경우, 이미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변압기 레그들은, 권선들, 특히 일차 및 이차 권선이 배치되어 있는 변압기의 부분들을 의미한다. 누설 경로 레그는 변압기 레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 추가 구성요소에 상응하지만, 이때 누설 경로 레그에 추가 권선은 배치되지 않는다. 변압기 코어의 개별 레그들, 다시 말해 변압기 레그들 및 누설 경로 레그는 제1 및 제2 변압기 요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특히 이런 경우, 레그들은 각각 단부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두 요크는 각각 레그들의 단부면들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변압기 레그들, 누설 경로 레그들 및 요크들의 연결 및 고정은 임의의 적합한 장치, 홀더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변압기 요크, 제1 변압기 레그, 제2 변압기 레그 및 누설 경로 레그는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설계에 따라, 변압기 코어의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체를 각각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누설 경로 레그도 일측 요크와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제1 및 제2 변압기 레그는 각각의 타측 요크와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제1 및/또는 제2 변압기 요크와 누설 경로 레그 사이에 에어갭이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 경로 내 누설 인덕턴스가 요크 및 누설 경로 레그를 통해 증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에어갭 내에 이 에어갭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우는 적합한 충전 재료가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누설 경로 레그는 강자성 분말 입자들을 포함한다. 강자성 분말 입자들의사용을 통해 인덕턴스가 역시 증가할 수 있다. 강자성 분말 입자들을 포함하는 상기 유형의 구성들은 분산형 에어갭(distributed air-gap)의 개념으로도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변압기 레그 및 누설 경로 레그의 종축들을 통해 제2 평면이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누설 경로 레그는, 제2 평면이 이 경우 제1 및 제2 변압기 레그의 종축들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변압기 코어는 복수의 누설 경로 레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누설 경로 레그는 각각 하나의 개별 종축을 갖는다. 특히 복수의 누설 경로 레그는, 누설 경로 레그들의 모든 종축이 제1 변압기 레그 및 제2 변압기 레그의 제1 종축 및 제2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평면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필요한 누설 인덕턴스는 복수의 누설 경로 레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개별 누설 경로 레그들은 매우 작게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경우에 따라 필요한 장착 공간이 추가로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누설 경로 레그의 종축들을 통해, 제1 변압기 레그 및 제2 변압기 레그의 제1 및 제2 종축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이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변압기 레그 및 제2 변압기 레그는, 2개의 누설 경로 레그를 통해 형성되는 라인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누설 경로 레그들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어의 매우 컴팩트하고 효율적인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누설 경로 레그는, 2개의 누설 경로 레그의 종축들이, 제1 변압기 레그의 제1 종축과 제2 변압기 레그의 제2 종축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변압기 레그 및 제2 변압기 레그를 통해 형성되는 라인의 양측에 누설 경로 레그들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형성예들 및 개선예들은, 그것이 합리적이라면, 임의로 서로 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성예들, 개선예들 및 구현예들은 전술한 또는 하기에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특징들 또는 실시형태들의 명시되지 않은 조합들도 포함한다. 특히 이 경우,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각각의 기본 형태에 개선 사항 또는 보완 사항으로서의 개별 양태들을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하기에서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변압기 코어들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코어(1)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변압기 코어는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누설 경로 레그(30), 및 제1 요크(41)와 제2 요크(4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확인되듯이,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및 누설 경로 레그(30)는 제1 변압기 요크(41)와 제2 변압기 요크(42)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및 누설 경로 레그(30)의 상부 단부면들은 상부의 제2 변압기 요크(42)의 방향을 향한다.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및 누설 경로 레그(30)의 하부 단부면들은 하부의 제1 변압기 요크(41)의 방향을 향한다.
이 경우, 제1 변압기 레그(10)는 종축(11)을 갖는다. 상기 종축(11)은, 예컨대 제1 변압기 레그(10)의 상부 단부면에서부터 하부 단부면까지 연장되는 대칭축일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임의의 다른 종축들, 특히 제1 변압기 레그(10)의 상부 단부면과 하부 단부면 사이의 종축들도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변압기 레그(20)는, 제2 변압기 레그(20)의 상부 단부면과 하부 단부면 사이에 연장되는 제2 종축(21)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누설 경로 레그(30)는, 누설 경로 레그(30)의 상부 단부면과 하부 단부면 사이에 연장되는 추가 종축(31)을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및 누설 경로 레그(30)는, 각각의 종축들에 대해 수직으로 적어도 거의 정사각형인 횡단면을 각각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정사각형 횡단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변압기 레그들(10, 20) 및 누설 경로 레그(30)의 횡단면들에 대해 임의의 형태들도 가능하다. 예컨대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유형의 횡단면들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제1 변압기 레그(10)의 종축(11), 제2 변압기 레그(20)의 제2 종축(21) 및 누설 경로 레그(30)의 추가 종축(31)은 하나의 공통 라인에 위치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제1 변압기 레그(10)의 제1 종축(11)과 제2 변압기 레그(22)의 제2 종축(21)은 하나의 가상 평면에 놓이며, 이와 동시에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31)은, 제1 및 제2 변압기 레그(10, 20)의 종축들(11, 21)에 의해 전개되는 상기 가상 평면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변압기 코어(1)의 구조를 통해 하나의 만곡된 구조, 여기서는 예컨대 L자형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변압기 코어 구조(1)를 포함하는 변압기의 형성을 위해, 예컨대 제1 변압기 레그(10) 상에 제1 권선(61), 예컨대 일차 권선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변압기 레그(20) 상에는 제2 권선(62), 예컨대 이차 권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변압기 레그(10) 상의 권선과 제2 변압기 레그(20) 상의 권선 간에 유도성 에너지 전달이 가능하다. 여기에 도시된 변압기 코어(1)의 구조를 포함하는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매칭시키고 조정하기 위해, 특히 누설 경로 레그(30) 상에 간극, 예컨대 에어갭(50)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어갭(50)은 누설 경로 레그(30)와 상부의 제2 변압기 요크(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아가, 기본적으로 누설 경로 레그(30)의 영역 내에서 에어갭(50)을 위한 임의의 다른 위치들도 가능하다. 특히, 에어갭(50)의 치수들의 변경 및 매칭을 통해,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가 매칭되고 변동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코어(1)를 포함하는 변압기의 개략적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1의 제1 및 제2 변압기 요크(41, 42)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변압기 레그(10)의 제1 종축(11) 및 제2 변압기 레그(20)의 제2 종축(21)에 의해, 도 2에 따른 횡단면에서 A-A'로 도시되어 있는 평면이 정의된다. 여기서,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31)은 상기 평면(A-A')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예컨대 제2 변압기 레그(20)의 제2 종축(21) 및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31)에 의해, 도 2에 따른 횡단면에서 B-B'로 도시되어 있는 추가 평면이 전개될 수 있다. 특히, A-A'에 따른 평면들과 B-B'에 따른 평면은 직각으로, 또는 적어도 거의 직각으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변압기 레그(10) 상에는 예컨대 제1 권선, 특히 변압기의 일차 권선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변압기 레그(20) 상에는 예컨대 추가 권선, 특히 변압기의 이차 권선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압기 코어(1)를 위한 구조의 만곡된 기하구조를 기반으로,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의 단자들에 매우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도 3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코어(1)의 개략적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변압기 코어(1)가 2개의 누설 경로 레그(30)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기술한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구분된다. 두 누설 경로 레그(30)는, 제1 변압기 레그(10)의 제1 종축(11) 및 제2 변압기 레그(20)의 제2 종축(21)에 의해 전개되는 평면(A-A')의 외부에 위치하는 종축(31)을 각각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누설 경로 레그들(30)의 두 종축(31)과 제2 변압기 레그(20)의 종축(21)이 하나의 공통 평면(B-B') 내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구현 형태일 뿐이다. 더 나아가, 변압기 코어(1)는, 누설 경로 레그들(30)의 종축들(31)이 제1 변압기 레그(10)의 제1 종축(11) 및 제2 변압기 레그(20)의 제2 종축(21)에 의해 전개되는 평면(A-A')의 외부에 위치하는 임의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변압기 코어(1)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압기 코어(1)는 각각 하나의 종축(31)을 갖는 4개의 누설 경로 레그(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4개의 누설 경로 레그(31)는 예컨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따라, 변압기 코어(1)로 형성된 구조의 외부 모서리들에 배치된다.
도 5에는, 변압기 코어(1)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변압기 코어(1)는 긴 누설 경로 레그(30)를 가지며, 이 누설 경로 레그는 제1 변압기 레그(10)의 제1 종축(11) 및 제2 변압기 레그(20)의 제2 종축(21)에 의해 전개된 평면(A-A')에 대해 평행하게, 제1 변압기 레그(10)와 제2 변압기 레그(20) 사이의 치수에 걸쳐 연장된다. 예컨대 평면(A-A')의 각각의 측면에는 상응하는 누설 경로 레그(30)가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측 측면에, 제1 변압기 레그(30)와 제2 변압기 레그(20)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단 하나의 누설 경로 레그(30)만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는, 하나의 누설 경로 레그(30)를 포함한 변압기 코어(1)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것처럼, 변압기 코어(1)가 반드시 하나의 직각을 갖는 정사각형 구조, 직사각형 구조 또는 L자형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코어(1)를 위해, 기본적으로 자체 종축(31)이 두 변압기 레그(10, 20)의 종축들(11, 21)에 의해 전개되는 면에서 떨어져서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누설 경로 레그(30)를 제공할 수 있다.
변압기 레그들(10, 20), 변압기 요크들(41, 42) 및 누설 경로 레그(들)(30)를 위한 재료로서, 변압기 코어들의 제조를 위해 기본적으로 적합한 임의의 재료들이 가능하다. 특히 개별 레그들 및 요크들은 박판들 또는 박판 스택들(stack of sheet)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압기 레그들(10, 20), 누설 경로 레그들(30) 및 변압기 요크들(41, 42)의 구성요소들 중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공통 부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부의 제1 변압기 요크(42)를 제외하고, 모든 구성요소가 공통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예컨대 누설 경로 요크(들)(30)와 제1 변압기 요크(41)를 공통 부품으로서 형성하고, 제1 및 제2 변압기 레그(10, 20)와 제2 변압기 요크(42)를 마찬가지로 공통 부품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자명한 사실로서, 공통 부품으로서, 앞서 기술한 변압기 코어(1)의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다른 조합들도 가능하다.
앞에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누설 경로 레그(30)와 제1 변압기 요크(41) 및/또는 제2 변압기 요크(42) 사이에 간극(50), 특히 에어갭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에어갭 내에는 경우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충전 재료들도 매립될 수 있다.
또한, 분산형 에어갭을 구비한 누설 경로 레그로서 누설 경로 레그(들)(3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 강자성 분말 입자들을 포함하는 재료로 누설 경로 레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추가 레그를 포함한 변압기 코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가 레그는 누설 경로의 형성을 위해 이용된다. 장착 공간의 최적화 및 변압기 권선들의 더 용이한 연결을 위해, 변압기 레그들과 추가 누설 경로 레그는 하나의 공통선을 따라 배치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제1 종축(11)을 가진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종축(21)을 가진 제2 변압기 레그(20); 및
    추가 종축(31)을 가진 누설 경로 레그(30);
    를 포함하는 변압기 코어(1)로서,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31)은, 제1 종축(11) 및 제2 종축(21)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A-A')의 외부에 위치하는, 변압기 코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코어는 제1 변압기 요크(41) 및 제2 변압기 요크(42)를 포함하며,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및 누설 경로 레그(30)가 제1 변압기 요크(41)와 제2 변압기 요크(42) 사이에 배치되는, 변압기 코어(1).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변압기 요크(41), 제1 변압기 레그(10), 제2 변압기 레그(20) 및 누설 경로 레그(30)가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변압기 코어(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변압기 요크(42)와 누설 경로 레그(30) 사이에 에어갭(50)이 배치되는, 변압기 코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설 경로 레그(30)는 강자성 분말 입자들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어(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변압기 레그(20)와 누설 경로 레그(30)에 의해 전개되는 제2 평면은, 제1 및 제2 종축(11, 21)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A-A')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변압기 코어(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코어는 각각 하나의 종축(31)을 가진 복수의 누설 경로 레그(30)를 포함하며,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31)은, 제1 종축(11) 및 제2 종축(21)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A-A')의 외부에 위치하는, 변압기 코어(1).
  8. 제7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들(31)은, 제1 및 제2 종축(11, 21)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A-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을 전개하는, 변압기 코어(1).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누설 경로 레그(30)의 종축들(31)은, 제1 및 제2 종축(11, 21)에 의해 전개되는 제1 평면(A-A')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평면(B-B')을 전개하는, 변압기 코어(1).
  10. 변압기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압기 코어(1);
    제1 변압기 레그(10) 상에 배치된 제1 권선(61); 및
    제2 변압기 레그(20) 상에 배치된 제2 권선(62);
    을 포함하는 변압기.
KR1020207020632A 2017-12-20 2018-11-23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KR10262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23322.2A DE102017223322A1 (de) 2017-12-20 2017-12-20 Transformatorkern und Transformator
DE102017223322.2 2017-12-20
PCT/EP2018/082389 WO2019120882A1 (de) 2017-12-20 2018-11-23 Transformatorkern und transform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127A true KR20200100127A (ko) 2020-08-25
KR102623872B1 KR102623872B1 (ko) 2024-01-11

Family

ID=6447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632A KR102623872B1 (ko) 2017-12-20 2018-11-23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05500B2 (ko)
EP (1) EP3729477A1 (ko)
JP (1) JP7087083B2 (ko)
KR (1) KR102623872B1 (ko)
CN (1) CN111466002B (ko)
DE (1) DE102017223322A1 (ko)
WO (1) WO2019120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031B2 (en) * 2020-09-16 2022-10-11 RevolutioNice, Inc. Ambulation simulation systems, terrain simulation systems, treadmill system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3926A (en) * 1977-05-20 1978-12-14 Tdk Corp Pulse width control transformer
US4902942A (en) * 1988-06-02 1990-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ed leakage transformer for fluorescent lamp ballast including integral ballasting inductor
CN106469602A (zh) * 2015-08-20 2017-03-01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磁性元件、开关装置及电气设备
CN107134358A (zh) * 2016-02-26 2017-09-05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电感绕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5842A (en) * 1927-11-01 1931-07-21 Gen Electric Electric transformer and system of distribution
US3657678A (en) * 1970-06-08 1972-04-18 Carl A Schwenden Multi-purpose, multi-voltage transformer
CH587550A5 (ko) 1975-03-10 1977-05-13 Trasfor Sa
US4350934A (en) * 1980-07-23 1982-09-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scharge device ballast component which provides both voltage transformation and variable inductive reactance
JPS6081630U (ja) * 1983-11-10 1985-06-06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コイル装置
DE3828985C1 (ko) 1988-08-26 1989-09-14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aend. Stiftung & Co Kg, 8510 Fuerth, De
JP3135457B2 (ja) * 1994-06-17 2001-02-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変圧器
US6683524B1 (en) * 1998-09-02 2004-01-27 Hoeglund Lennart Transformer core
US6100783A (en) * 1999-02-16 2000-08-08 Square D Company Energy efficient hybrid core
SE0000410D0 (sv) * 2000-02-06 2000-02-06 Lennart Hoeglund Trefas transformatorkärna
US7295094B2 (en) * 2002-04-12 2007-11-13 Det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Low profile magnetic element
US7280026B2 (en) 2002-04-18 2007-10-09 Coldwatt, Inc. Extended E matrix integrated magnetics (MIM) core
US6980077B1 (en) * 2004-08-19 2005-12-27 Coldwatt, Inc. Composite magnetic core for switch-mode power converters
JP4573115B2 (ja) 2004-11-02 2010-11-04 ミネベア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US20060125591A1 (en) 2004-12-15 2006-06-15 Taipei Multipower Electronics Co., Ltd. [high voltage transformer]
EP2299456B1 (en) * 2009-09-17 2016-08-24 DET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
US9260096B2 (en) 2011-02-22 2016-02-16 Nissin Kogyo Co., Ltd.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4205044B4 (de) * 2014-03-19 2020-01-30 SUMIDA Components & Module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agnetkerns
JP6445810B2 (ja) 2014-09-02 2018-12-26 田淵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用チョークコイル
CN105118438B (zh) 2015-09-21 2017-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方法、像素电路和显示装置
US10297379B2 (en) 2016-03-11 2019-05-2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Integrated transformers and coupled induc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3926A (en) * 1977-05-20 1978-12-14 Tdk Corp Pulse width control transformer
US4902942A (en) * 1988-06-02 1990-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ed leakage transformer for fluorescent lamp ballast including integral ballasting inductor
CN106469602A (zh) * 2015-08-20 2017-03-01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磁性元件、开关装置及电气设备
CN107134358A (zh) * 2016-02-26 2017-09-05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电感绕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66002A (zh) 2020-07-28
DE102017223322A1 (de) 2019-06-27
US11605500B2 (en) 2023-03-14
KR102623872B1 (ko) 2024-01-11
US20210065969A1 (en) 2021-03-04
WO2019120882A1 (de) 2019-06-27
JP7087083B2 (ja) 2022-06-20
EP3729477A1 (de) 2020-10-28
CN111466002B (zh) 2022-09-27
JP2021507534A (ja)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0299B (zh) 集成多相耦合電感器及產生電感之方法
KR101797540B1 (ko) 변압기
US20090096565A1 (en) Parallel gapped ferrite core
CN110690033A (zh) 线性电磁装置
US11244780B2 (en) Storage choke
US9472329B2 (en) High leakage transformers with tape wound cores
US11495394B2 (en) Compact magnetic power unit for a power electronics system
CN210805499U (zh) 磁集成器件
KR102623872B1 (ko)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US20230017789A1 (en) Electrical power converter with segmented windings
CN110635663B (zh) 集成磁组合件和将其组装的方法
US20160005525A1 (en) Inductive component
Mohamadi et al. Airgap-less integrated magnetic array using high performance magnetic material in the EV chargers
JP2021019104A (ja) リアクトル装置
JP2019079945A (ja) コイル部品、回路基板、及び電源装置
TWM553047U (zh) 非耦合式雙電感
KR200203543Y1 (ko) 철심자로에 공극을 갖는 리액터 구조
CN109859937B (zh) 一种环形磁性电力装置
KhakparvarYazdi et al. Low-Profile Fractional Planar Transformer Based on a Novel Infinite-shape pcb winding For 5kW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JP2014216366A (ja) トランス
CN117013828A (zh) 用于双向llc谐振变换器的集成磁性部件
KR20200094420A (ko) E-타입 코어를 갖는 자성체 소자
Jiang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cubical compact coil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CN110783074A (zh) 变压器及其磁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