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86A -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86A
KR20200099886A KR1020190018081A KR20190018081A KR20200099886A KR 20200099886 A KR20200099886 A KR 20200099886A KR 1020190018081 A KR1020190018081 A KR 1020190018081A KR 20190018081 A KR20190018081 A KR 20190018081A KR 20200099886 A KR20200099886 A KR 2020009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manufacturing
seismic
protective layer
fib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792B9 (ko
KR102227792B1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92B1/ko
Publication of KR1022277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9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Sewing, stitch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직된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형성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용이하며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은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과; 상기 코어부재를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액체 상태의 수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통을 통과시켜 수지가 코팅되도록 하는 보호층 형성공정과; 상기 보호층 형성공정에 의해 코어부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보호층 두께조절공정 및 상기 보호층 두께조절공정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Fabrication method of strip-type fiber reinforcement for seismic and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직된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형성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용이하며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에서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을 결합시키는 보강재로서는 그물상으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 등이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들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뒤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섬유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띠형 섬유보강재의 예로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을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외부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피복층(300)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여러 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을 평행하게 배치하기가 어렵고 또한 여러 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이 평행 상태(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폴리에틸렌 수지가 액체 상태로 저장된 탱크를 통과시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이 풀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전자의 문제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의 폭을 넓게 형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섬유보강재의 인장강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603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15472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코어부재를 제직함으로서 코어부재의 제조가 간편하고, 코어부재의 폭 조절 및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는 섬유다발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일방향 하중만 작용되나 본 발명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제직되어 제조됨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과 본 발명의 또다른 용도로는 토목 건축물의 내진 보강용 띠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과; 상기 코어부재를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액체 상태의 수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통을 통과시켜 수지가 코팅되도록 하는 보호부재형성공정과; 상기 보호부재형성공정에 의해 코어부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보호부재 두께조절공정 및 상기 보호부재 두께조절공정에 의해 형성된 보호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코어부재를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과; 시트, 필름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장의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반폭으로 접어 겹쳐지는 일끝단을 봉재 또는 고주파 융착하는여 보호커버를 제조하는 보호부재형성공정과; 상기 보호커버에 코어부재를 삽입하는 결합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는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가 낱장이 2개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가 한장이 2개층 이상으로 접어져 적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코어부재를 제직함으로서 코어부재의 제조가 간편하고, 코어부재의 폭 조절 및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는 섬유다발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일방향 하중만 작용되나 본 발명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제직되어 제조됨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4는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S1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코어부재(10)는 PE사, PP사, PET사, LCP사, 탄소섬유사, 유리섬유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제직의 형태는 평직(Plane), 능직(Twill), 주자직(Satin) 중 어느 하나의 제직 형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한편 코어부재(10)의 제직시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길이 방향에 사용되는 사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이유는 길이 방향 쪽의 인장력을 더 높게 형성시키기 위함이며 인장력 조절도 용이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코어부재(10)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코어부재(10)를 보호부재를 형성시키는 보호부재 형성공정(S200)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부재 형성공정(S200)의 방법은 액체 상태의 수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통에 이송중인 코어부재(10)가 담기어졌다가 밖으로 다시 나오도록 통과시켜 제직된 코어부재(10)의 표면에 보호부재(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코어부재(10)의 표면에 코팅되는 수지의 종류로는 PE, PP, PET, HDPE PU, ABS,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코어부재(10)의 표면에 보호부재(20)를 형성하는 수지가 저장통(30)을 통과하여 묻혀지면 한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두께조절수단(40)을 통과시켜 보호부재(20)의 두께를 조절하는 보호부재 두께조절공정(S300)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부재 두께조절공정(S300)은 회전 가능하면서 고정 설치된 고정용 로울러와 미도시된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로울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로울러에는 가로줄, 세로줄을 형성시켜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태의 홈을 형성시켜 표면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보호부재 두께조절공정(S300)으로는 압출기를 통과시켜 두께를 형성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부재(20)의 두께가 조절되면 냉각공정(S400)을 통해 보호부재를 냉각한 후 권취하여 보관 및 사용한다, 냉각의 방법으로는 냉각장치를 이용하거나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방법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인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재(10)를 형성시 제직된 낱장의 코어부재(20)를 2개층 이상으로 적층시키고 표면에 보호부재(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재(10)의 형성방법으로 한장을 2개층 이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후 표면에 보호부재(20)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10)를 적층 형태로 구조를 변경하면 인장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인 띠형 섬유보강재의 다른 제조방법은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코어부재(10)를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S1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코어부재(10)는 PE사, PP사, PET사, LCP사, 탄소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제직의 형태는 평직(Plane), 능직(Twill), 주자직(Satin) 중 어느 하나의 제직 형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한편 코어부재(10)의 제직시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길이 방향에 사용되는 사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이유는 길이 방향 쪽의 인장력을 더 높게 형성시키기 위함이며 인장력 조절도 용이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코어부재(10)를 제조시 별도의 공간에서 보호부재(50)도 같이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보호부재(50)의 제조는 롤 형태로 감겨지고 일정한 폭을 갖는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장의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반폭으로 접어 겹쳐지는 일끝단을 봉재 또는 고주파 융착하여 보호부재(50)를 제조하는 보호부재 형성공정(S500)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부재(50)에 코어부재(10)를 삽입하는 결합공정(S600)순으로 본 발명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제조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띠형 섬유보강재의 다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서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호부재(50)와 보호부재 내측에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롤 형태로 권취된 코어부재(10)를 연속적으로 공급과 동시에 보호부재(50)를 형성하는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하부에서 같이 공급 이송하되 이때 코어부재(10)가 보호부재(50)를 형성하는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일측방향으로 치우쳐져 나란히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10)와 보호부재(50)가 적층 형태로 공급 이송되다가 코어부재(10)가 놓여 있지 많은 쪽의 부직포를 반으로 접어 코어부재(10) 상면을 덮도록 하면 일 끝단이 개구된 상태로 절첩된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봉재 또는 고주파 접착방법 등으로 마무리 한다.
한편 본 발명인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재(10)를 형성시 제직된 낱장의 코어부재(10)를 2개층 이상으로 적층시키고 표면에 보호부재(50)에 넣어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재(10)의 형성방법으로 한장을 2개층 이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후 보호부재(50)에 집어 넣어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10)를 적층 형태로 구조를 변경하면 인장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코어부재를 제직함으로서 코어부재의 제조가 간편하고, 코어부재의 폭 조절 및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는 섬유다발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일방향 하중만 작용되나 본 발명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제직되어 제조됨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코어부재 20 : 보호부재
30 : 저장통 40 : 두께조절수단
50 : 보호부재

Claims (5)

  1.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과;
    상기 코어부재를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액체 상태의 수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통을 통과시켜 수지가 코팅되도록 하는 보호층 형성공정과;
    상기 보호층 형성공정에 의해 코어부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보호층 두께조절공정 및 상기 보호층 두께조절공정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2.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를 교차시켜 코어부재를 제직하는 코어부재 제조공정과;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장의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반폭으로 접어 겹쳐지는 일끝단을 봉재 또는 고주파 융착하는 보호커버를 제조하는 보호층형성공정과;
    상기 보호커버에 코어부재를 삽입하는 결합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가 낱장이 2개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가 한장이 2개층 이상으로 접어져 적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20190018081A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222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81A KR102227792B1 (ko)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81A KR102227792B1 (ko)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86A true KR20200099886A (ko) 2020-08-25
KR102227792B1 KR102227792B1 (ko) 2021-03-15
KR102227792B9 KR102227792B9 (ko) 2021-09-17

Family

ID=7229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81A KR102227792B1 (ko)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7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4A (ja) * 1994-09-30 1996-06-11 Takiron Co Ltd 高強度網体
KR100615472B1 (ko)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60356B1 (ko)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20110006327A (ko) * 2009-07-14 2011-01-20 (주)대한콜크 띠형 섬유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4815A (ko) * 2010-10-28 2012-05-08 정종근 띠형 유리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20130081987A (ko) * 2012-01-10 2013-07-18 (주)에스엠테크텍스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4A (ja) * 1994-09-30 1996-06-11 Takiron Co Ltd 高強度網体
KR100660356B1 (ko)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0615472B1 (ko)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06327A (ko) * 2009-07-14 2011-01-20 (주)대한콜크 띠형 섬유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4815A (ko) * 2010-10-28 2012-05-08 정종근 띠형 유리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20130081987A (ko) * 2012-01-10 2013-07-18 (주)에스엠테크텍스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792B9 (ko) 2021-09-17
KR102227792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38196B (zh) 用于制造行李箱的刚性外壳的方法、行李箱的外壳以及行李箱
EP1464743B1 (en) Carbon fiber-made reinforcing woven fabric and prepreg and prepreg production method
CN101548216A (zh) 具有更高柔性的内管结构体
US2009005685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directional fabric web
KR102342554B1 (ko) 다중 챔버 내관 구조체
KR102227785B1 (ko)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ES2712406T3 (es) Una estructura de refuerzo de mampostería que comprende conjuntos paralelos de filamentos metálicos agrupados y un recubrimiento polimérico
ZA201007176B (en) Conveyor belt with varying flexibility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CN101117746B (zh) 经纬双向跨层连接空芯织物
KR100886755B1 (ko) 코팅 기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EP1669486B1 (en) Nonwoven base fabric for reinforcing
KR102227792B1 (ko)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1958658B1 (ko) 포장재 및 포장재 제조방법
KR100623734B1 (ko)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78361A1 (en) Papermachine fabric
KR101112087B1 (ko) 신율이 우수하고 변형과 접점 강도를 개선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JP2007009543A (ja) 軟弱地盤の表層処理方法
KR101066966B1 (ko)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KR101206942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강화용 편직물 및 그 편직물을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
GB2102731A (en) Flexible and rollable sheet material
KR100679335B1 (ko)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9228160A (ja) 補修補強用からみ織物および複合材料
JP7407327B1 (ja) 補強織物および製織方法
KR101109607B1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용 폴리머 띠 및 이의 제조방법
JP2648879B2 (ja) 盛土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