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335B1 -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335B1
KR100679335B1 KR1020060015818A KR20060015818A KR100679335B1 KR 100679335 B1 KR100679335 B1 KR 100679335B1 KR 1020060015818 A KR1020060015818 A KR 1020060015818A KR 20060015818 A KR20060015818 A KR 20060015818A KR 100679335 B1 KR100679335 B1 KR 10067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ft
warp
reinforcing
ord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비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비노
Priority to KR102006001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물구조체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위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위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위사;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을 적층하여 열에 대한 반사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를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직조함으로써 직물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직물은 수분투과 및 통기성을 지님으로써 골프장 잔디 등의 보호에 효과적이다.
알루미늄, 적층, 직물구조체, 보강경사, 보강위사

Description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Fabric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대접되는 겹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직물구조체를 직조하는 측장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도 4의 직물구조체를 직조하는 측장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프사 11 : 알루미늄박층
22, 42 : 통상경사 23, 43 : 보강경사
24, 44 : 통상위사 25, 45 : 보강위사
20, 40 : 직물구조체
본 발명은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을 적층시킨 복수의 통상위사 또는 복수의 통상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되고, 또한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를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용 천막이나 보호용 덮개, 임시 천막용 원단 및 건축용 차단막은 균일한 재질 및 균일한 굵기나 강도 등을 갖는 경사나 위사로 직조된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사용되는 경사 및 위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재질 및 구조로 직조된 직물은 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직물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직물구조체는 방수성 및 기밀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잔디 보호용 덮개로 사용되는 직물구조체는 수분투과 및 통기성이 필요함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직물구조체로는 잔디 보호용 덮개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였다. 또한, 햇빛이나 열을 반사하는 반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즉 햇빛이나 열을 반사하는 반사력이 저하되거나, 수분투과 및 통기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직물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구조체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위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위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위사;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이며, 상기 겹사 구조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좌·우대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에 사용된 합성섬유 원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박층은,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여 제조하거나,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하여 제조된 물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통상위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위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위사;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이며, 상기 겹사 구조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좌·우대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에 사용된 합성섬유 원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박층은,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여 제조하거나,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하여 제조된 물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직물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S11)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통상위사를 준비하여 제1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12)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를 준비하여 제2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13)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단사 구조 또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접된 겹사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S14)상기 제1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통상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S15)상기 경사에 대해 통상위사를 복수회 직조한 후, 상기 제2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보강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및 (S16)상기 (S14)단계와 (S15)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직물구조체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S21)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의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통상위사를 준비하여 제3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22)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를 준비하여 제4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23)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 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S24)상기 제3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통상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반복적으로 복수회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S25)상기 경사에 대해 통상위사를 복수회 직조한 후, 상기 제4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보강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설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및 (S26)상기 (S24)단계와 (S25)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대접되는 겹사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사(10)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또는 폴 리에스테르(polyester)계 물질로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물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등이 있으며, 상기 테이프사(10)는 상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이소부틸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되는 테이프사(10)는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사(10)는 PE(폴리에틸렌)필름으로 연신된 후 슬리팅(slitting)되어 제조된다. 부가적으로, 후술할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는 폴리올레핀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테이프사(10)는 얇고 평평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테이프사(10)는 길이방향으로 측단부가 좌·우대접된 겹사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사(10)는 단사 구조인 좌측 테이프사(10a)와 우측 테이프사(10b)로 나누어 구분되며, 이하 설명되는 테이프사는 겹사 구조를 제외한 테이프사를 좌측 테이프사(10a)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할 통상경사는 겹사 구조를 가지며, 통상위사는 단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로 해석되어야 하며,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가 단사 또는 경사 구조를 갖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는 단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통상경사 및 통 상위사가 겹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상경사는 단사 구조를 가지며, 통상위사는 겹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물구조체(20)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의 측단부가 대접된 복수의 통상경사(22)와,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a)에 알루미늄박층(11a)(11b)이 적층된 통상위사(24)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23) 및 보강위사(25)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22)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상경사(22)는 폴리올레핀계 물질, 즉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이소부틸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그 측단부가 대접된 겹사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복수의 통상경사(22)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23)는 합성섬유로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경사(23)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함성섬유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경사(23)는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경사(23)는 폴리에스테르 물질로 제조된 소정 굵기를 가진 실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덧붙여, 보강경사(23)는 통상경사(22)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굵기를 가진다.
한편, 상기 보강경사(23)는 통상경사(22)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나란 하게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통상경사(22)와 단수의 보강경사(23)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통상위사(24)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a)로,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11a)이 적층된다. 즉, 상기 통상위사(24)로 사용되는 테이프사(10a)의 한면은, 햇빛 및 열을 반사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루미늄박층(11a)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테이프사(10a)의 한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박층(11a)(11b)을 선택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덧붙여, 알루미늄박층(11a)(11b)은 상측의 알루미늄박층(11a)과 하측의 알루미늄박층(11b)으로 나누어 구분된다. 한편, 알루미늄박층(11a)(11b)은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여 제조하거나,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통상위사(24)는 각각 교차되게 배열된 경사와 교차하여 직조된다.
상기 단수의 보강위사(25)는 전술된 상기 보강경사(23)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보강위사(25)는 함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강위사(25)는 복수의 통상위사(24)가 직조된 후, 복수의 통상경사(22)와 보강경사(23)가 각각 엇갈리도록 배열된 경사에 직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22)와 단수의 보강경사(23)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며, 통상위사(24)는 상기 각각의 경사와 교차되어 직조되고, 상기 통상위사(24)와 이웃한 통상위사(24)가 엇갈리도록 각각의 경사와 교차하여 직조된다. 이러한 통상위사(24)를 복수회 직조한 후 보강위사(25)를 각각의 경사와 교차되게 직조하는 과정을 일정횟수 반복함으로써 직물구조체(20)가 이루어지게 된다. 덧붙여, 직물구조체(20)에 일정간격으로 보강경사(23) 및 보강위사(25)를 삽입시킴으로써 직물구조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등 물성도 향상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할 통상경사는 단사 구조를 가지며, 통상위사는 겹사 구조를 갖는 직물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40)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되는 테이프사(10a)에 알루미늄박층(11')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경사(42)와, 폴리올레핀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의 측단부가 대접된 복수의 통상위사(44)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43) 및 보강위사(45)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앞선 실시예와 통상경사(22) 및 통상위사(24)의 알루미늄박층 적층구조와 단사 및 겹사 구조에 차이점이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 알루미늄박층(11a)(11b)이 적층된 테이프사(10a)가 통상위사(44)로 사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박층(11')이 적층된 테이프사(10a)가 통상경사(42)로 사용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통상경사(22)가 겹사 구조로 사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경사(42)가 단사 구조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 통상위사(44)와 통상경사(42)의 알루미늄박층(11')의 적층구조 및 직조방법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통상경사(42) 및 통상위사(44)의 알루미늄박층(11')의 적층구조가 변환됨으로써, 이에 따른 직물이 직조되는 방법의 변화는 후술하는 측장장치를 이용한 직물구조체의 직조방법에서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42)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10a)로서,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11')이 적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물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상기 물질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테이프사(10a)로 제조된다. 제조된 테이프사(10a)에는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이 진공 증착되거나 알루미늄 호일이 접착되어 제조된 후 통상경사(42)로 사용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사(10a)의 한면에 알루미늄박층(11')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사(10a)의 양면에 알루미늄박층(11a)(11b)이 적층된 것을 도시함으로써 테이프사(10a)에 적층되는 알루미늄박층이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한편, 상기 통상경사(42)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43)는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실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용된다. 단수의 보강경사(43)는 통상경사(42)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통상경사(42)와 단수의 보강경사(43)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통상위사(44)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사프(10)로, 상기 테이프사(10)는 그 측단부가 대접된 겹사 구조를 가진다. 통상위사(44)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경사와 교차하여 직조된다.
상기 단수의 보강위사(45)는 전술된 보강경사(43)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보강위사(45)는 함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실이며, 보강위사(45)는 통상위사(44) 보다 상대적으로 굵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경사(43) 및 보강위사(45)는 복수의 통상경사(42) 및 통상위사(43)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삽입되어 직조됨으로써 직물구조체(40)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또 따른 직물구조체는 도 4의 직물구조체(40)와 동일한 구조이며 단지 보강경사(43) 및 보강위사(45)가 채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채색된 보강위사(미도시) 및 보강경사(미도시)의 색깔은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작업자의 눈에 잘 띄는 색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작업자의 눈에 잘 띄게 하여 인상효과를 좋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직물구조체를 직조하는 측장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구동축(117)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하여 드럼(113)을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롤러(112)에 감겨있는 단사 구조의 통상위사(24)를 준비하여 제1 측장장치 (110)의 드럼(113)에 감는다. 이 경우 통상위사(24)는 직조되는 직물구조체의 너비에 맞게 소정 길이가 되어 드럼(113)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통상위사(24)는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테이프사이다.
이어서,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25)를 준비하여 제2 측장장치(120)의 드럼(123)에 감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위사(25)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실이다.
다음으로,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좌·우대접된 겹사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상경사(22)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미도시)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이어서, 상기 제1 측장장치(110)의 드럼(113)에 감긴 통상위사(24)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럼(113)에 감겨 송출되는 통상위사(24)는 노즐(115)과 연결되며, 상기 노즐(115)에 연결된 펌프(119)의 압력에 의해 교차하는 통상경사(22)와 보강경사 사이로 통상위사(24)가 송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에 대해 통상위사(24)를 일정횟수 송출하고, 상기 제2 측장장치(120)의 드럼(123)에 감긴 보강위사(25)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에 상기 통상위사(24)를 일정횟수 송출한 후, 보강위사(25)를 송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직물구조체를 직조하게 된다. 이때, 교차 배열된 경사에 통상위사(24) 또는 보강위사(25)가 송출되면, 상기 송출된 위사를 일방향으로 밀착시켜준다. 즉, 송출된 위사마다 일방향으로 밀착되어 세밀한 구조의 직물구조체가 직조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측장장치(120)에 의해 보강위사(25)를 송출하는 과정은 통상위사(24)를 송출하는 제1 측장장치(110)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상기 제2 측장장치(120)는 상대적으로 통상위사(24)보다 굵은 보강위사(25)를 송출하게 되므로 제2 측장장치(120)의 펌프(129)는 통상위사(24)를 송출하는 펌프(119)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통상위사(24)와 보강위사(25)를 송출하는 노즐들(115)(125)은 하나의 펌프(미도시)에 의해 분사압을 공급받아 각각의 노즐(115)(125)에 공급하는 로터리 밸브(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터리 밸브에 연결된 두 개의 노즐(115)(125) 중 통상위사(24)를 송출하는 노즐(115)에 분사압을 공급하여 통상위사(24)를 복수회 송출한 후, 로터리 밸브에 의해 통상위사(24)를 송출하는 노즐(115)에 공급되는 분사압을 차단시키고 보강위사(25)를 송출하는 노즐(125)에 분사압을 공급하여 일회 송출시키는 구조를 반복함으로써 직물구조체를 직조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도 4의 직물구조체를 직조하는 측장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직물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구동축(137)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하여 드럼(133)을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롤러(132)에 감겨있는 통상위사(44)를 준비하여 제3 측장장치(130)의 드럼(133)에 감는다. 이때, 상기 통상위사(44)는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이며, 상기 테이프사는 그 측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좌·우대접된 겹사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45)를 준비하여 제4 측장장치(140)의 드럼(143)에 감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위사(45)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실이다.
다음으로,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경사(42)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미도시)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3 측장장치(130)의 드럼(133)에 감긴 통상위사(44)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반복적으로 복수회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럼(133)에 감겨 송출되는 통상위사(44)는 노즐(135)과 연결되며, 상기 노즐(135)에 연결된 펌프(139)의 압력에 의해 교차하는 통상경사(42)와 보강경사 사이로 통상위사(44)가 연속하여 두 번 송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에 통상위사(44)를 연속하여 두 번 송출하 고,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를 서로 엇바꾸어 교차하도록 배열하는 과정을 일정횟수 반복한 후, 하나의 보강위사(45)를 송출하고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에 상기 통상위사(44)를 일정횟수 송출한 후, 보강위사(45)를 송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직물구조체를 직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상위사(44)는 제3 측장장치(130)에 의해 송출되고, 보강위사()는 제4 측장장치(140)에 의해 분사된다. 제4 측장장치(140)에 의해 보강위사(45)를 송출하는 과정은 통상위사(44)를 송출하는 제3 측장장치(130)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상기 제4 측장장치(140)는 상대적으로 통상위사(44)보다 굵은 보강위사(45)를 송출하게 되므로 제4 측장장치(140)의 펌프(149)는 통상위사(44)를 송출하는 펌프(139)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전술된 직물구조체의 제조방법에서, 위사를 송출하는 노즐(115)(125) 및 펌프(119)(129)의 대안으로서 로터리 밸브(미도시)를 예시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도 로터리 밸브를 이용하여 송출되는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이때, 노즐(135)에 의해 송출되는 통상위사(44)는 겹사 구조이므로 연속적으로 두 번 송출되어 겹사 구조로 직조되는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 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은,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로 사용되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을 적층하여 열에 대한 반사력을 향상시키고, 보온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를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직조함으로써, 본래 직물의 제직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직물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직물의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등 물성이 개선되어 강도가 우수한 직물의 생산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직물은 수분투과 및 통기성을 지님으로써 골프장 잔디 등의 보호에 효과적이다.

Claims (14)

  1.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위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위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위사;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겹사 구조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좌·우대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에 사용된 합성섬유 원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박층은,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여 제조하거나,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하여 제조된 물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에 사용된 합성섬유 원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7.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통상위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위사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위사;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상경사 및 통상위사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겹사 구조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좌·우대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에 사용된 합성섬유 원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박층은,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여 제조하거나,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하여 제조된 물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의 보강경사 및 보강위사에 사용된 합성섬유 원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프로필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13. (S11)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통상위사를 준비하여 제1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12)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를 준비하여 제2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13)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단사 구조 또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접된 겹사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S14)상기 제1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통상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S15)상기 경사에 대해 통상위사를 복수회 직조한 후, 상기 제2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보강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및
    (S16)상기 (S14)단계와 (S15)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제조방법.
  14. (S21)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의 테이프사로 이루어진 통상위사를 준비하여 제3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22)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를 준비하여 제4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23)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알루미늄박층이 적층된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S24)상기 제3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통상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반복적으로 복수회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S25)상기 경사에 대해 통상위사를 복수회 직조한 후, 상기 제4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보강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설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및
    (S26)상기 (S24)단계와 (S25)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제조방법.
KR1020060015818A 2006-02-17 2006-02-17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7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18A KR100679335B1 (ko) 2006-02-17 2006-02-17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18A KR100679335B1 (ko) 2006-02-17 2006-02-17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335B1 true KR100679335B1 (ko) 2007-02-06

Family

ID=3810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18A KR100679335B1 (ko) 2006-02-17 2006-02-17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67B1 (ko) * 2007-10-10 2009-07-14 송홍식 골프장 그린 보호용 알루미늄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94U (ko) * 1994-07-05 1996-02-14 공태진 차열 및 차광용 스크린 시트
JPH08308402A (ja) * 1995-05-16 1996-11-26 Koizumi Seima Kk 遮熱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64538Y1 (ko) 2001-09-13 2002-02-16 주식회사 대진알맥스 전자파차단지
JP2004176210A (ja) * 2002-11-27 2004-06-24 Koizumi Jute Mills Ltd 遮光・保温シート
KR20040093829A (ko) * 2003-04-30 2004-11-09 길원갑 알루미늄 천막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94U (ko) * 1994-07-05 1996-02-14 공태진 차열 및 차광용 스크린 시트
JPH08308402A (ja) * 1995-05-16 1996-11-26 Koizumi Seima Kk 遮熱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64538Y1 (ko) 2001-09-13 2002-02-16 주식회사 대진알맥스 전자파차단지
JP2004176210A (ja) * 2002-11-27 2004-06-24 Koizumi Jute Mills Ltd 遮光・保温シート
KR20040093829A (ko) * 2003-04-30 2004-11-09 길원갑 알루미늄 천막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67B1 (ko) * 2007-10-10 2009-07-14 송홍식 골프장 그린 보호용 알루미늄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519A (en) Laminated cloth construction
KR870001801B1 (ko) 다층 직물로 된 직물형상 및 직물형상으로 만들어진 복합구조
AU2005245748B2 (en) Fabric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097783A (en) Reinforced sailcloth
CA2315511A1 (en) Carpet backing that provides dimensional stability
KR19990044690A (ko) 구조물 강화용 섬유상 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강화시킨 구조물
EP1669486B1 (en) Nonwoven base fabric for reinforcing
KR100679335B1 (ko)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5351431B2 (ja) 下敷きテープ
US83722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textile structure resistant to perforation and penetration and textile structure thus obtained
KR101158529B1 (ko)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한 천테이프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천테이프
KR20110138510A (ko) 콘크리트 슬래브 포설용 보양막 및 그 제조방법
JP2997404B2 (ja) 強化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200364699Y1 (ko) 직물구조체
CN101272908B (zh) 结合有粘合界面的可模压结构
GB2102731A (en) Flexible and rollable sheet material
KR200358315Y1 (ko) 인장인열을 강화시킨 반사시트
KR102227792B1 (ko)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EP1114771A1 (en) Composite material, particularly for sails and the like
ES2690377T5 (es) Tejido industrial que incluye tiras de material enrolladas en espiral con refuerzo
JPH10325061A (ja) 複合構造材用の補強材の製造方法
WO2023167292A1 (ja) 複合ストリンガ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複合ストリンガーのテープ部の製造方法
JPH05178434A (ja) 縦裂き防止用コンベヤベルト
KR20160020151A (ko)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27599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textile structure resistant to perforation and penetration and textile structure thus obta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