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85A -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 Google Patents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85A
KR20200099885A KR1020190018078A KR20190018078A KR20200099885A KR 20200099885 A KR20200099885 A KR 20200099885A KR 1020190018078 A KR1020190018078 A KR 1020190018078A KR 20190018078 A KR20190018078 A KR 20190018078A KR 20200099885 A KR20200099885 A KR 2020009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re member
seismic
fiber reinforcement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785B9 (ko
KR102227785B1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85B1/ko
Publication of KR10222778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8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제직된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형성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용이하며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있어서; 일정한 폭으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제직된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Seismic and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upport Strip Type Fiber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제직된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형성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용이하며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에서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을 결합시키는 보강재로서는 그물상으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 등이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들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뒤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섬유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띠형 섬유보강재의 예로는 첨부도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외부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피복층(300)으로 이루어진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사용하거나 첨부도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다발(200)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외부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피복된 피복층(3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유다발(200)과 섬유다발(200) 사이에는 얇은 두께로 접힘홈(160)이 형성된 띠형 섬유보강재(100a)를 사용하였다. 이는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의 보강재 삽입홈에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반 폭으로 접힌 상태로 끼움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섬유다발을 이용하는 구조를 제조함에 있어서 폭을 형성하는 제한적인 문제점로 대량생산이 어렵고, 또한 첨부도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보강띠는 섬유다발(200)과 섬유다발(200) 사이 일정한 간격 형성과 일정한 두께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섬유다발(200)을 적층하도록 절첩시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인장장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과 또한 두께가 두꺼워지면 접었던 모양이 탄성력에 의하여 풀어지는 문제점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603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15472호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제직된 코어부재를 제직함으로서 코어부재의 제조가 간편하고, 코어부재의 폭 조절 및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는 섬유다발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일방향 하중만 작용되나 본 발명은 위사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제직되어 제조됨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과 본 발명의 또다른 용도로는 토목 건축물의 내진 보강용 띠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있어서; 일정한 폭으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제직된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보호층은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보호층은 필름, 시트,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한장이 접어 포개어져 내측에 코어부재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일단이 봉재 또는 고주파융착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의 일면에는 양면 접착재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필름, 시트,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가 한장이 2개층 이상으로 접어져 적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와 보호층이 코팅, 접착, 고주파융착, 봉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코어부재는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직된 코어부재를 제직함으로서 코어부재의 제조가 간편하고, 코어부재의 폭 조절 및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는 섬유다발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일방향 하중만 작용되나 본 발명은 위사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제직되어 제조됨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코어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의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섬유보강재(1)는 일정한 폭으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제직된 코어부재(20)와 상기 코어부재(20)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층(1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코어부재(20)는 PE사, PP사, PET사, LCP사, 탄소섬유사, 유리섬유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제직의 형태는 평직(Plane), 능직(Twill), 주자직(Satin) 중 어느 하나의 제직 형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한편 코어부재(20)의 제직시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길이 방향에 사용되는 사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이유는 길이 방향 쪽의 인장력을 더 높게 형성시키기 위함이며 인장력 조절도 용이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재(20)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한장의 제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인장력으로 높이는 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장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2개층 이상으로 접어서 적층 형태를 갖도록 한 후 외표면에 보호층(10)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코어부재(20)만을 접어 사용하는 이유는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하여 코어부재(20)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호층(10)은 코어부재(20)가 액상의 합성수지가 마련된 저장통에 담겼다가 한쌍의 로울러를 통과 냉각시켜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키거나 압출기를 통과시켜 두께 및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로울러에는 가로줄, 세로줄을 형성시켜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태의 홈을 형성시켜 표면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0)은 롤 형태로 감겨지고 일정한 폭을 갖는 시트, 필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한장이 접어 포개어져 내측에 코어부재(20)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일단이 고주파융착 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장이 접어 포개어져 내측에 코어부재(20)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시트, 필름, 부직포에 대하여 봉재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지 않은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고 있지는 않지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을 코어부재(20)와 보호층(10)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코어부재의 일면에는 양면 접착재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필름, 시트,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직된 코어부재를 제직함으로서 코어부재의 제조가 간편하고, 코어부재의 폭 조절 및 인장강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는 섬유다발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일방향 하중만 작용되나 본 발명은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을 갖도록 제직되어 제조됨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 : 섬유보강재
10 : 보호층 20 : 코어부재

Claims (5)

  1.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에 있어서,
    일정한 폭으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제직된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한장이 접어 포개어져 내측에 코어부재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일단이 봉재 또는 고주파융착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가 한장이 2개층 이상으로 접어져 적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길이를 형성하는 쪽의 사가 폭을 형성하는 사보다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KR1020190018078A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KR10222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78A KR102227785B1 (ko)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78A KR102227785B1 (ko)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85A true KR20200099885A (ko) 2020-08-25
KR102227785B1 KR102227785B1 (ko) 2021-03-15
KR102227785B9 KR102227785B9 (ko) 2021-09-17

Family

ID=7229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78A KR102227785B1 (ko) 2019-02-15 2019-02-15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259A (ko) 2022-10-04 2024-04-12 (주)엔팩코리아 풍량 제어가 가능한 선실 공기정화 필터 장치
KR20240062541A (ko) 2022-11-02 2024-05-09 (주)엔팩에스앤지 풍량표시구를 가진 선실 디퓨저 전용 스마트 공기정화 필터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4A (ja) * 1994-09-30 1996-06-11 Takiron Co Ltd 高強度網体
KR100615472B1 (ko)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60356B1 (ko)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0854240B1 (ko) * 2007-05-31 2008-08-25 주식회사 삼양사 토목용 다중구조 지오네트의 제조장치
KR100913423B1 (ko) * 2008-04-24 2009-08-21 (주)대한콜크 띠형 섬유보강재
KR20120044815A (ko) * 2010-10-28 2012-05-08 정종근 띠형 유리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20130081987A (ko) * 2012-01-10 2013-07-18 (주)에스엠테크텍스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KR101732153B1 (ko) * 2016-05-25 2017-05-04 한국후직 주식회사 지반 보강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4A (ja) * 1994-09-30 1996-06-11 Takiron Co Ltd 高強度網体
KR100660356B1 (ko)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0615472B1 (ko)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54240B1 (ko) * 2007-05-31 2008-08-25 주식회사 삼양사 토목용 다중구조 지오네트의 제조장치
KR100913423B1 (ko) * 2008-04-24 2009-08-21 (주)대한콜크 띠형 섬유보강재
KR20120044815A (ko) * 2010-10-28 2012-05-08 정종근 띠형 유리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20130081987A (ko) * 2012-01-10 2013-07-18 (주)에스엠테크텍스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KR101732153B1 (ko) * 2016-05-25 2017-05-04 한국후직 주식회사 지반 보강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259A (ko) 2022-10-04 2024-04-12 (주)엔팩코리아 풍량 제어가 가능한 선실 공기정화 필터 장치
KR20240062541A (ko) 2022-11-02 2024-05-09 (주)엔팩에스앤지 풍량표시구를 가진 선실 디퓨저 전용 스마트 공기정화 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785B9 (ko) 2021-09-17
KR102227785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7051C1 (ru) Клееные композитные сетчат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текстильные материалы
US7279436B2 (en) Grid fabric
KR102227785B1 (ko)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ES2712406T3 (es) Una estructura de refuerzo de mampostería que comprende conjuntos paralelos de filamentos metálicos agrupados y un recubrimiento polimérico
US6368024B2 (en) Geotextile fabric
US9885176B2 (en) Masonry reinforcement structure comprising parallel cords
US7393060B2 (en) Grid of synthetic material
JP2010535299A (ja) 補強された土構造内での使用が意図された補強安定化ストリップ
CN101117746B (zh) 经纬双向跨层连接空芯织物
CN108532093B (zh) 一种变间距机织间隔织物的方法
KR102227792B1 (ko)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0426345B1 (ko) 토사 보강재
CN111479964B (zh) 密封幅材
JP5132326B2 (ja) コンクリート補修・補強用炭素繊維テープ材
JPS6340664B2 (ko)
JP2020193409A (ja) スクリーンおよびスクリーン装置
JP2009228160A (ja) 補修補強用からみ織物および複合材料
KR101333171B1 (ko) 알루미늄 다겹 보온커튼 원단
CN213358569U (zh) 一种用于加热管线的硅晶网格栅
CN214938237U (zh) 一种高强度玻纤自粘带
JP3295065B2 (ja) 盛土補強用ジオグリ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33562A (ko)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JP2660572B2 (ja) 土木用網
KR20200123788A (ko)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KR20110065719A (ko) 토목용 침수방지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