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699A -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699A
KR20200099699A KR1020190017602A KR20190017602A KR20200099699A KR 20200099699 A KR20200099699 A KR 20200099699A KR 1020190017602 A KR1020190017602 A KR 1020190017602A KR 20190017602 A KR20190017602 A KR 20190017602A KR 20200099699 A KR20200099699 A KR 20200099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detection unit
external intru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실
백세진
Original Assignee
최경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실 filed Critical 최경실
Priority to KR102019001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699A/ko
Publication of KR2020009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에서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위 검출부와,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한 가시광선 영역의 촬영물을 출력하는 제2 단위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부; 상기 제1 단위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또는 외부에서의 침입이 감지되면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외부 침입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침입 신호 또는 화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침입 또는 화재 신호를 외부의 관련 기관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온도 상승률이 일정 이상인 경우 화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고,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검출 대상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 침입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Detecting apparatus for trespassing and fire}
본 발명은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카메라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 카메라의 영상을 복합하여 화재 및 외부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빌딩, 아파트 등)이나 시설물(공장, 전력시설) 등에는 CCTV를 설치하여, 감시자가 CCTV 화면상에 외부 침입자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울리도록 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는 감시자가 화면을 항상 주시하고 있어야 하므로 감시자가 피로하거나 주의가 산만해진 경우에는 외부 침입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람 등에 의해 주변 물건이 움직이는 경우 이를 외부 침입이나 화재 상황과 구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확인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범카메라는 화재에 대한 인식을 할수 없고, 어두운 곳에서 발생되는 현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침입자 또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시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외부 침입 감시 장치는 실내 공간에 온열기, 포트와 같이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이를 외부 침입 또는 화재 발생으로 감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0922784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온도 상승률이 일정 이상인 경우 화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검출 대상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 침입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에서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위 검출부와,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한 가시광선 영역의 촬영물을 출력하는 제2 단위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부; 상기 제1 단위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또는 외부에서의 침입이 감지되면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외부 침입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침입 신호 또는 화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침입 또는 화재 신호를 외부의 관련 기관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검출부 및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고, 건물 내벽 또는 천장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경사 정도가 변화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위 검출부와 상기 조명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촬영물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검출부 각각에서 출력되는 단위 촬영물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픽셀을 갖는 적외선 온도 센서 또는 적외선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 신호와,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이동 경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위 검출부가 출력하는 촬영물의 화각은 상기 제1 단위 검출부의 검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30~40도이고,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위치가 이동하면, 외부에서의 침입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는, 상기 사용자와 외부 침입자에 대하여 동시에 경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70 ~ 100도 이고, 온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70도 이상이고,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검출 범위가 확장되며, 온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의 확산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제어 신호의 출력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경보 제어 신호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경보 제어 신호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과 신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온도 상승률이 일정 이상인 경우 화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검출 대상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 침입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단위 검출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배치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단위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의 위치가 표시된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경보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검출부(110)는 소정의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근적외선 발광원을 검출하고,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한 촬영물을 출력한다.
검출부(11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 제2 단위 검출부(112B)을 포함한다. 또한, 검출부(110)는 조명부(114)와 베이스(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외부 침입 또는 화재 감지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고, 배치된 공간에서 감시 대상 영역에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단위 검출부(112A)가 검출하는 근적외선은 0.95um이하의 파장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단위 검출부(112A)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후술하는 제2 단위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이 이동하면, 이동 경로를 측정한 후,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단위 검출부(112A)에서 출력되는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신호는 후술하는 제2 단위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복수의 근적외선 온도 센서 또는 근적외선 검출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단위 검출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픽셀(pixel)을 갖는 근적외선 온도 센서 또는 근적외선 검출기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검출된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이동하면, 근적외선 발광원의 이동에 따라 근적외선 발광원의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픽셀의 위치값 즉, 제1 단위 검출부(112A)가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 중 근적외선 발광원을 검출한 픽셀의 X, Y 좌표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단위 검출부(112B)는 소정의 건물 내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배치된 공간에서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물을 출력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단위 검출부(112B)가 출력하는 촬영물은 가시광선에 대응하는 영상이다. 제2 단위 검출부(112B)는 1 내지 6개로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위 검출부(112B)는 원거리 감시 시에는 10 내지 25도의 화각을 갖고, 근거리 감시 시에는 25 내지 60도의 화각을 갖는다. 감시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 넓은 경우, 제2 단위 검출부(112B)를 복수로 배치하고, 각각의 제2 단위 검출부(112B)에서 출력되는 단위 촬영물을 결합한 촬영물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위 검출부(112B)가 출력하는 촬영물의 화각에는 제1 단위 검출부(112A)의 검출 영역이 포함된다. 이때, 제1 단위 검출부(112A)의 검출 영역은 제2 단위 검출부(112B)가 출력하는 촬영물의 화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 검출부(112A)의 검출 영역은 제2 단위 검출부(112B)가 출력하는 촬영물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 검출부(112A)의 검출 영역은 제2 단위 검출부(112B)가 출력하는 촬영물 면적의 20% 일 수 있다.
조명부는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소정 출력의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부(110)는 베이스(111), 제1 단위 검출부(112A), 제2 단위 검출부(112B), 조명부(114)를 포함한다.
케이스(11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제1 단위 검출부(112A), 제2 단위 검출부(112B), 조명부(114)가 배치된다. 케이스(111)는 감시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제1 단위 검출부(112A), 제2 단위 검출부(112B), 조명부(114), 베이스(116)를 포함한다.
베이스(116)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서, 제1 단위 검출부(112A), 제2 단위 검출부(112B), 조명부(114)가 배치된다. 베이스(116)는 감시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6)의 하부로는 제1 단위 검출부(112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위 검출부(112B)과 조명부(114)는 베이스(116)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 단위 검출부(112B)과 조명부(114)는 베이스(116)의 측면에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배치간격과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위 검출부(112B) 각각에서 출력되는 화상은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촬영물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부(11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1), 제2 단위 검출부(112B), 조명부(114), 베이스(116)를 포함한다.
제2 단위 검출부(112B), 조명부(114), 베이스(116)는 이전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단위 검출부(112A1)는 소정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제1 단위 검출부(112A)의 기울기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제1 단위 검출부(112A)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검출부의 배치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출부(110A)는 소정 공간의 상부 모서리에서 실내 공간을 향하여 배치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검출부(110B)는 소정 공간의 일측 벽면 상부에 배치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검출부(110B)는 벽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검출부(110C)는 소정 공간의 천장 중앙으로 배치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검출부(110C)는 벽면을 기준으로 360도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도 8에서, 검출부의 감시 영역이 타원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는 직육면체인 감시 대상 공간 내에서 검출부를 기준으로 360도 영역을 감시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검출부의 배치 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과 제2 단위 검출부(112B)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촬영물을 이용하여 외부 침입 또는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고, 소정의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20)에 의한 외부 침입 또는 화재 발생 상황 판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신호를 해당하는 온도로 환산한다.
제어부(120)는 환산된 온도가 30 내지 40℃ 이고, 근적외선 발광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에서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환산된 온도가 30 내지 40℃ 인 경우에도 근적외선 발광원이 이동하지 않으면 외부 침입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도 9는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2 단위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의 위치가 표시된 촬영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2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1)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단위 검출부(112B)에서 출력된 촬영물 상에 근적외선 발광원(1)의 위치와 온도를 표시한다. 또한, 근적외선 발광원이 이동하면 근적외선 발광원(1)의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를 촬영물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신호가 다음과 같을 때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신호를 해당하는 온도로 환산한다. 이때, 환산된 온도가 70 내지 100℃ 이고, 계속적인 측정에 의해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 상승률은 예를 들어 초당 50℃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발생 상황으로 판단되었을 때,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70℃ 이상인 경우, 근적외선 발광원의 측정 범위가 점차 확산되면 즉, 근적외선 발광원을 검출한 픽셀 수자가 증가되면 발생된 화재가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해당하는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이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단위 검출부(112B)에서 출력되는 촬영물 상에 근적외선 발광원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1 단위 검출부(112A) 상에서의 근적외선 발광원의 검출 영역이 확산되면 근적외선 발광원의 확산을 촬영물 상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 제1 단위 검출부(112A)에 의해 측정되는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70~200도이고, 검출 영역이 증가하면 경보 제어 신호를 다시 출력한다. 이때, 재출력되는 경보 제어 신호는 경보의 정도가 이전보다 커지도록 한다. 즉, 음향 경보 신호의 경우 음량의 증가와 경보 단속 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발광 신호의 경우 발광 신호의 단속 시간이 짧아지고 발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검출부(110)과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촬영물과 신호를 소정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디스플레이(130)는 제1 단위 검출부(112A)에서 검출된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와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단위 검출부(112B)에서 출력된 촬영물 또는 근적외선 발광원의 위치가 표시된 촬영물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정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경보부(140)는 제어부(120)가 외부 침입 또는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하는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외부 침입 발생시 사용자와 외부 침입자에 대하여 동시에 경보하도록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20)에 의해 외부 침입 또는 화재 발생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5 내지 60초)이 경과된 후에도 외부 침입 또는 화재 발생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침입 관련 영상 또는 화재 발생 영상과 신고 메시지를 외부의 관련 기관(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온도 상승률이 일정 이상인 경우 화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고, 근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고 검출 대상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 침입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10: 검출부
120: 제어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경보부 150: 통신부

Claims (16)

  1. 감시 대상 영역에서 근적외선 발광원이 검출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위 검출부와,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한 가시광선 영역의 촬영물을 출력하는 제2 단위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부;
    상기 제1 단위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또는 외부에서의 침입이 감지되면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화재 위치 또는 상기 외부 침입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침입 신호 또는 화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침입 또는 화재 신호를 외부의 관련 기관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검출부 및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고, 건물 내벽 또는 천장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경사 정도가 변화가능하게 배치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검출부와 상기 조명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물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검출부 각각에서 출력되는 단위 촬영물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픽셀을 갖는 근적외선 온도 센서 또는 근적외선 검출기를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검출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 신호와,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이동 경로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검출부가 출력하는 촬영물의 화각은 상기 제1 단위 검출부의 검출 영역을 포함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30~40도이고,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위치가 이동하면, 외부에서의 침입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사용자와 외부 침입자에 대하여 동시에 경보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70 ~ 100도 이고, 온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온도가 70도 이상이고, 상기 근적외선 발광원의 검출 범위가 확장되며, 온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의 확산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제어 신호의 출력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경보 제어 신호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경보 제어 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과 신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KR1020190017602A 2019-02-15 2019-02-15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KR20200099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02A KR20200099699A (ko) 2019-02-15 2019-02-15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02A KR20200099699A (ko) 2019-02-15 2019-02-15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99A true KR20200099699A (ko) 2020-08-25

Family

ID=7224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02A KR20200099699A (ko) 2019-02-15 2019-02-15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6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0154A (zh) * 2022-06-10 2022-09-13 中国建设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功能室内安防监测报警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0154A (zh) * 2022-06-10 2022-09-13 中国建设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功能室内安防监测报警系统
CN115050154B (zh) * 2022-06-10 2024-01-30 中国建设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功能室内安防监测报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866B2 (en) Particle detector, system and method
US7495573B2 (en) Camera vision fire detector and system
KR101993660B1 (ko)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N102004078B (zh) 基于目标的烟雾检测的系统和方法
KR20130106208A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JP7249260B2 (ja) 緊急事態通知システム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JP2017076304A (ja) 火災検知システム
KR20110040699A (ko) 산불 자동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117896A (ja) 測距装置、侵入者監視装置、距離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99699A (ko)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시 장치
KR101992995B1 (ko)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20130054084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5077279A (ja) 煙感知システム
KR102298627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20080076201A (ko) 전방향 감지카메라에 의한 이동식 보안 시스템
JP2007299430A (ja) 誤報低減機能付き侵入検知装置
JP3143304B2 (ja) 複合型監視装置
JPS58173440A (ja) 検知装置
KR20150059829A (ko) 듀얼무선모듈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JP2020024583A (ja) 物体検出装置および物体検出システム
JPH0831196B2 (ja) 防犯カメラ装置
TWM501062U (zh) 紅外線偵測裝置
TWM394150U (en) Fire demand automatic dischar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