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608A - 요추 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추 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608A
KR20200099608A KR1020207021931A KR20207021931A KR20200099608A KR 20200099608 A KR20200099608 A KR 20200099608A KR 1020207021931 A KR1020207021931 A KR 1020207021931A KR 20207021931 A KR20207021931 A KR 20207021931A KR 20200099608 A KR20200099608 A KR 2020009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umbar
coupled
spindle
suppor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252B1 (ko
Inventor
로버트 제이. 맥밀렌
호리아 블렌데아
폴 틴달
Original Assignee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885,374 external-priority patent/US10632882B2/en
Application filed by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9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시트 등받이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은 정착 프레임 및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굴곡 매트를 포함한다. 굴곡 매트는 제1 및 제2 외측 와이어와 외측 와이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굴곡 매트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 아래에서 굴곡 매트의 하위 부분에 커플링된다.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되고, 지지 요소는 굴곡 매트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요추 지지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공동 계류중인 2015년 11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935,809호의 계속인 2017년 9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703,142호, 2014년 1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156,122호의 계속인 현재 특허 제9,764,670호, 2013년 3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840,928호의 일부 계속인 현재 특허 제9,193,280호, 2012년 9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614,154호의 일부 계속인 현재 특허 제9,193,287호, 현재 특허 제9,199,565호의 일부 계속이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시트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체적으로는 차량 시트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요추 지지 시스템은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을 통해 부하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자기계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보우덴 케이블의 사용은 종종 전체 시스템 효율을 불량하게 하고, 이러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많은 구성요소가 작동을 위한 크고 무거운 모터(들)를 포함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이들 시스템은 동작 중에 시끄러운 경향이 있다.
시트 등받이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프레임 및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1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지지 요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제2 지지 요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제1 지지 요소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된다. 제2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된다. 시스템은 또한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된 모터 및 모터가 축을 중심으로 나사산형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모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동 부재는, 나사산형 부재의 회전이 나사산형 부재를 따라 제1 및 제2 이동 부재를 대향 축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나사산형 부재와 결합된다. 시스템은 또한 제1 및 제2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며, 이들 케이블 각각은 제1 및 제2 이동 부재 중 연계된 하나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된 제1 단부,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2 단부, 및 제1 지지 요소와 동작적으로 연계된 중간 부분을 갖는다. 가요성 케이블의 중간 부분은 제1 및 제2 이동 부재의 병진에 응답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지지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시트 등받이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정착 프레임 및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굴곡 매트를 포함한다. 굴곡 매트는 제1 및 제2 외측 와이어와 외측 와이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굴곡 매트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 아래에서 굴곡 매트의 하위 부분에 커플링된다.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되고, 지지 요소는 굴곡 매트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된다.
정착 프레임을 갖는 시트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 요소,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되고 제1 지지 요소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및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지지 요소와 동시에 이동 가능한 제2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제2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된다. 또한, 시스템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액추에이터와 동작적으로 연계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스핀들을 포함한다. 가요성 케이블은 스핀들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스핀들에 커플링된 제1 단부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스핀들의 회전이 가요성 케이블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지지 요소를 이동시키게 하도록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2 단부를 갖는다. 제2 지지 요소는 복수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루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정착 프레임을 갖는 시트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부, 및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제1 지지부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 제1 지지부에 커플링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는 제1 지지부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시스템은, 제1 지지부에 커플링되고 제1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와 동작적으로 연계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고,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시스템은 또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1 단부는 부재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부재에 커플링되고, 제2 단부는 액추에이터에 의한 부재의 이동이 가요성 케이블이 제1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요추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구동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후퇴 위치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도 1의 선 4-4로부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연장 위치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도 1의 선 4-4로부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요추 지지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9는 후퇴 위치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도 6의 선 9-9로부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연장 위치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도 6의 선 9-9로부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요추 지지 기구가 연장되고 다른 요추 지지 기구가 후퇴된 도 6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하나의 요추 지지 기구가 후퇴되고 다른 요추 지지 기구가 연장된 도 6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단일 요추 지지 기구를 갖는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요추 지지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1 위치의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1 위치의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2 위치의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21은 제2 위치의 도 14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2는 차량 시트를 위한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24는 연장 위치의 도 2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후퇴 위치의 도 2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연장 위치의 도 2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차량 시트를 위한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연장 및 하강 위치에 있는 도 27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후퇴 및 상승 위치에 있는 도 27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연장 및 상승 위치에 있는 도 27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전방 사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도 32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3개의 추가 배향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부분 전방 사시도이다.
도 40 내지 도 42는 도 38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3개의 추가 배향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6은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다음의 도면에서 도시되는 구성요소의 구성 및 배치의 상세로 그 용례가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사용된 어법 및 어휘는 설명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포괄하는", 또는 "갖는" 및 그의 변형들의 사용은 그 뒤에 나열되는 항목들과 그의 등가물들뿐만 아니라 추가 항목들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위", "하위", "상부", "저부", "전방", " 후방" 및 다른 방향 용어는 임의의 특정 배향을 요구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대신에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이하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 차량의 객실 내의 임의의 차량 시트일 수 있는 시트(10)를 도시하지만, 시트(10)는 반드시 차량 용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10)는 일반적으로 시트 점유자의 수평 및 수직 지지를 위한 시트 바닥(14)(가상선으로 도시됨) 및 시트 등받이(18)를 각각 포함한다. 시트 등받이(18)는 피벗(22)에서 시트 프레임에 대해 절첩 가능하다. 중첩 쿠션(30)(가상선으로 도시됨)에 의해 덮혀지는 프레임(26)은 등받이(18)에 대한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고 한 쌍의 수직 지지 부재(34, 38)를 포함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100)이 수직 지지 부재(34, 38)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석한 점유자에 대한 조정 가능한 요추 지지를 허용하도록 그에 커플링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추 지지 시스템(100)은 수직 지지 부재(34, 38) 사이의 중간에 위치설정된 요추 지지 요소 또는 바스켓(110)을 포함한다. 바스켓(110)은 점유자의 요추 영역에 대한 압력 표면으로서 기능하는 시트 점유자에 근접한 대체로 편평한 전방면(114)을 제공한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쿠션, 패드 또는 다른 재료가 추가의 편의를 위해 시트 등받이(18) 위에 및 그 내에 그리고 전방면(114)과 시트 점유자 사이에 위치된다.
도 2 및 도 3은 (구동 조립체(230)에 근접한) 근위 단부(120) 및 원위 단부(124)에 대해 참조된 요추 지지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바스켓(110)의 상위 및 하위 부분(130, 134)은 바스켓(110)의 후방면(150) 상의 경계(146)에 의해 대체로 상호연결된 보강 리브(142)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개구(138)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위 부분(130)과 하위 부분(134) 사이의 바스켓(110)의 중앙 부분(154)은 장착면(158)을 포함한다. 장착면(158)은 가이드(162)의 2개의 대향 세트를 지지하고, 각각의 세트는 각각 중앙 부분(154)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바스켓(110)의 근위 및 원위 단부(120, 124)를 향해 수렴하여 케이블 채널(180) - 그 목적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 을 형성하는 상위 및 하위 레일(166, 17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장착 핀(184)이 강성 스핀들 레일(192)의 장착 구멍(188) 내에의 수용을 위해 장착면(15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스핀들 레일(192)은 각각 중앙 위치 오리피스(200)를 갖는 상위 탭(196) 및 하위 탭(도시되지 않음)의 세트를 포함한다. 장착면(158)에 인접하여 위치설정될 때, 탭(196)은 장착 핀(184)과 함께 스핀들 레일(192)을 바스켓(110)에 정렬 및 고정시키는 대향 후크(204)에 결합된다. 추가의 위치설정 및 정렬이 상위 및 하위 탭(196)의 각 측면 상의 돌출부(208)와 장착면의 슬롯(212)(도 1도 참조)과의 협력에 의해 제공된다. 구조적 완전성은 블록(216)과 스핀들 레일(192)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지된다.
도 2, 도 3, 및 도 3a를 참조하면,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230)는 모터(234), 피니언(238)을 갖는 모터 샤프트, 하우징(242), 웜 기어(246), 캡(250) 및 구동 샤프트(254)를 포함한다. 체결구(256)에 의해 하우징(242)에 고정된 모터(234)는 바람직하게는 D.C. 가역 모터이지만,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가역 모터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크기 및 동력이 더 변경될 수 있다. 모터 샤프트의 피니언(238)과 동작적으로 결합된 웜 기어(246)는 구동 샤프트(254)에 인가되는 동력의 방향의 직교 변화 및 모터(234)로부터의 출력 토크의 증가를 허용한다. 기어(246)는 하우징(242) 내에 수용되고, 이는 모터(234)를 나머지 구동 조립체 구성요소에 또한 커플링시킨다. 스플라인형 구동 샤프트(254)는 동작 중에 공동 회전 및 동력의 전달을 위해 웜 기어(246)와 정합한다. 하우징(242)에 부착된 캡(250)은 웜 기어(246) 및 구동 샤프트(254)에 대한 추가적 보호를 제공하고 모터(234)를 스핀들 레일(192)에 고정한다.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260)이 구동 샤프트(254)에 커플링되고 스핀들 레일(192)의 상당한 부분에 걸친다. 스핀들(260)은 근위 및 원위 나사산형 단부(264, 268)를 갖는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위 나사산은 오른손 나사산이고 원위 나사산은 왼손 나사산이지만, 어느 손형인지(handedness)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역전될 수 있다. 근위 나사산형 단부(264)는 스핀들(260)이 모터(234)의 작동시 구동 샤프트(254)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 샤프트(254)의 단부 내에 형성된 개구(272)에 회전 고정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다. 스핀들(260)의 각각의 나사산형 단부(264, 268) 주위에는 이동 부재 또는 슬라이더, 즉 근위 슬라이더(280) 및 원위 슬라이더(284)가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슬라이더(280, 284)는 스핀들(260)과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 및 스핀들 레일(192)의 일부로서 형성된 대향 에지(300, 304)와 정합하는 대향 홈(290, 292, 294, 296)을 갖는다. 대향 나사산형 스핀들 단부(264, 268)는 스핀들 레일(192)과 슬라이더(280, 284)의 홈/에지 계면과 함께 스핀들 회전 시 스핀들(260)을 따른 슬라이더(280, 284)의 대향 병진 운동을 유발한다. 구동 샤프트(254)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308)가 근위 슬라이더(280)에 대한 이동의 일 단부의 한계를 제공한다. 중앙 위치설정 정지부(316)에 인접한 제2 범퍼(312)는 제2 이동 한계를 수립하고 근위 슬라이더(280)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근위 및 원위 가요성 케이블(320, 324)이 각각 근위 슬라이더(280) 및 원위 슬라이더(284)에 커플링된다. 각각의 케이블(320, 324)은 제1 단부(330), 제2 단부(334) 및 케이블 본체(338)를 포함한다. 제1 단부(330)는 각각의 슬라이더(280, 284)의 본체 내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끼워지는 커넥터(344)를 갖는다. 각각의 케이블(320, 324)의 케이블 본체(338)는 제1 단부(330)로부터 연장하고, 중간 섹션(350)을 형성하고, 그 일부는 각각의 채널(180)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설정된다. 중간 섹션(350)은 코일 단부 피팅(354)(예를 들어, 케이블(324)) 또는 대안적으로 후크 피팅(356)(예를 들어, 케이블(320))에 커플링되는 제2 단부(334)에서 종료된다. 코일 단부 피팅(354)은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362)의 제1 단부(358)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원위 단부(124)와 연계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스프링(362)은 원위 및 근위 케이블(320, 324)의 각각의 제2 단부(33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함께 동작 가능하다. 스프링(362)은, 힌지(374)의 후크 단부(37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366)를 포함하고, 점유자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유자가 처음에 착석할 때 및 동작 중의 양쪽 모두에서 요추 지지 시스템(100)의 제한된 양의 굴곡을 허용한다. 케이블(320)의 후크 피팅(356)은 대향 힌지(374)의 후크 단부(370)의 일부 주위를 감싼다.
힌지(374)는 후크 단부(370)에 대향하는 상위 및 하위 부분(130, 134) 모두에서 바스켓(110)에 인접하는 "리빙" 힌지로서 형성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374)는 제1, 제2 및 제3 피벗 지점(380, 384, 388)을 포함하지만, 3개보다 적거나 많은 피벗 지점이 또한 본 범주 내에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벗 지점(380, 384, 388)은 바스켓(110)의 이동 과정 중에 모터(234)와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위치설정된다. 힌지(374) 및 바스켓(110)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힌지(374)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바스켓(110)에 고정된 별개의 부품일 수 있다. 힌지(374)의 후크 단부(370)는 프레임(26)(도 1 참조)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34, 38)에 정착된 부착 와이어(390) 형태의 커플링 요소 위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동작 시에, 시트 점유자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18) 또는 시트 바닥(14)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력 액추에이터(230)를 활성화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요추 지지 시스템은 액추에이터(230)가 개시될 때 완전 후퇴 위치(도 4)와 완전 연장 위치(도 5)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모터(234)를 급전할 때, 웜 기어(246)의 결합은 구동 샤프트(254)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스핀들(260)을 회전시킨다. 요추 지지 시스템(100)이 바스켓(110)을 후퇴시키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26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100)이 바스켓(110)을 연장시키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260)은 반대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슬라이더(280, 284)의 홈(290, 292, 294, 296)과 스핀들 레일(192)의 에지(300, 304)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스핀들(260)의 회전은 슬라이더(280, 284)를 병진시키고, 이들 중 하나는 근위 방향(120)으로 이동하고 다른 하나는 원위 방향(124)으로 이동한다.
점유자가 더 많은 요추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바스켓(110)의 연장을 원하면, (원위 방향(124)으로부터 보았을 때) 스핀들(260)의 시계방향 회전은 스핀들(2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280)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84)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280, 284) 및 그 각각의 부착된 케이블(320, 324)은 서로 접근한다. 슬라이더(280, 284)가 수렴함에 따라, 각각의 케이블의 중간 섹션(350)들의 부분들은 그들의 각각의 채널(180)들 내에서 활주하여, 바스켓(110)에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은, 도 4에서 화살표(392)에 의해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스켓을 전방으로 지향시키는 바스켓(110)에 대한 힘을 초래한다. 근위 슬라이더(280)가 범퍼(312)와 접촉할 때, 모터(234)는 정지하고, 이는 스핀들(26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특정 이동 지점에서 모터(234)를 급전해제하는 다른 방법이 또한 요추 지지 시스템(100)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후크 단부(370)에서 부착 와이어(390)에 고정되는 힌지(374)는 이동 범위 전체에 걸쳐 매끄러운 운동을 제공하도록 굴곡에 의해 바스켓(1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벗 지점(380, 384, 388)은 완전한 연장부에서 모터(234) 주위의 힌지(374)의 붕괴를 허용한다. 프레임(26)의 각각의 수직 지지부(30, 34)에 각각 고정된 부착 와이어(390)는 요추 지지 시스템(100)의 이동과 함께 필요에 따라 회전한다.
점유자가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스켓(110)의 후퇴를 원하는 경우, 스핀들(2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스핀들(2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280)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84)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280, 284) 및 그 각각의 부착된 케이블(320, 324)은 분리된다. 슬라이더(280, 284)가 더 멀리 이동함에 따라, 도 5에 화살표(394)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응답으로 케이블의 중간 섹션(350)으로부터의 바스켓(110)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바스켓(110)은 후방으로 후퇴한다. 슬라이더(280)가 범퍼(308)와 접촉하면, 모터(2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한다.
바스켓(110)의 이동의 과정 중에, 케이블(320, 324)은 후퇴로부터 연장까지 그리고 되돌아올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고, 각각의 케이블(320, 324)의 제1 단부(330)와 제2 단부(334) 사이의 각도(α)(도 4 참조)는 둔각으로 유지된다.
도 6은 시트(410)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400)의 대안적인 버전을 도시하며, 그 일반적인 특징들이 전술되었다. 시트(410)는 시트 바닥(414)(가상선으로 도시됨), 절첩 가능 시트 등받이(418), 및 수직 지지 부재(434, 438)를 갖는 프레임(426)을 포함한다. 윤곽 매트 또는 굴곡 매트(440) 형태의 요추 지지 요소는 측방향 외측 와이어(444), 중앙 와이어(448) 및 측방향 외측 와이어(444)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452)를 포함한다. 프레임(426)은 머리 받침(도시되지 않음)의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리셉터클(4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추 지지 시스템(400)은 한 쌍의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500, 502)를 포함한다.
도 7은 요추 지지 시스템(400)을 도시하고, 도 8은 근위 단부(520) 및 원위 단부(524)에 대해 참조된 근위 조정 가능 요추 지지 기구(500)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도시한다.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530)는 실질적으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고, 모터(534), 피니언(538)을 갖는 모터 샤프트, 하우징(542), 웜 기어(546), 캡(550), 및 도 1의 시스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작용하는 구동 샤프트(554)를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560)이 구동 샤프트(554)에 커플링되고 스핀들 레일(562)의 상당한 부분에 걸친다. 스핀들(560)은 오른손 근위 나사산 및 왼손 원위 나사산을 갖는다. 근위 나사산형 단부(564)는 구동 샤프트(554)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개구(572)에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에 수용되고, 모터(534)의 작동 시에 구동 샤프트(554)와 함께 회전한다. 스핀들(560)의 각각의 나사산형 단부(564, 568) 주위에는, 슬라이더, 즉 스핀들(560)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각각 가지는 근위 슬라이더(580) 및 원위 슬라이더(584)가 위치설정된다. 대향 홈(590, 592, 594, 596)이 동작 중에 슬라이더(580, 584)의 대향 병진 운동을 유발하도록 스핀들 레일(562)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대향 에지(600, 604)와 정합한다. 구동 샤프트(554)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608)는 근위 슬라이더(580)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중앙 위치설정 정지부(616)에 인접한 제2 범퍼(612)는 제2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한계들은 근위 슬라이더(580)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근위 및 원위 케이블(620, 624)이 각각 근위 슬라이더(580) 및 원위 슬라이더(584)에 커플링된다. 각각의 케이블(620, 624)은 제1 단부(630), 제2 단부(634) 및 케이블 본체(638)를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블(620, 624)의 제1 단부(630)는 각각의 슬라이더(580, 584)의 본체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커넥터(644)를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블(620, 624)의 케이블 본체는 제1 단부(630)로부터 연장되고 중간 섹션(650)을 형성한다. 근위 요추 지지 기구(500)의 원위 케이블(624)의 중간 섹션(650)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요추 지지 기구의 근위 케이블(620)의 중간 섹션(650)보다 더 길다. 케이블(624)의 이러한 더 긴 중간 섹션(650)은 내부에서의 케이블(624)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케이블(62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강성 슬리브(652) 내에 위치된다. 근위 및 원위 케이블(620, 624)의 중간 섹션(650)의 부분은 각각 근위 및 원위 케이블(620, 624)을 커플링시키고, 이에 의해 요추 지지 기구(500)를 외측 와이어(444)를 통해 굴곡 매트(440)에 커플링시키는 클립(660)을 통과하며 그에 의해 수용된다. 각각의 중간 섹션(650)은 프레임(426)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434, 438)에 자체적으로 고정된 후크 피팅(668)에 커플링된 제2 단부(634)에서 종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원위 요추 지지 기구(502)는 근위 요추 지지 기구(500)의 거울상이다.
시트 점유자는 선택적으로 근위 요추 지지 기구(500) 또는 원위 요추 지지 기구(502)를 동일한 방식으로 활성화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트 점유자는 근위 및 원위 기구(500, 502) 모두를 동일한 스위치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음의 동작 설명은 지지 기구(500) 상에 초점을 맞출 것이지만, 지지 기구(502)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시트 점유자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418) 또는 시트 바닥(414)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근위 요추 지지 기구(500)를 위한 액추에이터(530)를 활성화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구(500)는 액추에이터(530)가 개시될 때 완전 후퇴 위치(도 9)와 완전 연장 위치(도 1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모터(534)를 급전할 때, 웜 기어(546)의 결합이 구동 샤프트(554)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스핀들(560)을 회전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500)가 후퇴하도록, 즉 더 적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56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기구(500)가 연장하도록, 더 많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56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핀들(560)의 회전은 슬라이더(580, 584)를 병진시키고, 그 홈(590, 592, 594, 596)은, 하나의 슬라이더(580, 584)가 근위 방향(520)으로 이동하고 다른 슬라이더(580, 584)가 원위 방향(524)으로 이동하도록, 스핀들 레일(562)의 에지(600, 604)와 상호작용한다.
요추 지지 기구(500)를 연장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원위 방향(524)으로부터 보았을 때) 스핀들(560)의 시계방향 회전을 위한 기구를 활성화하고, 이는 스핀들(5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580)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584)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580, 584) 및 그 각각의 부착된 케이블(620, 624)이 서로 접근한다. 슬라이더(580, 584)가 수렴함에 따라, 중간 섹션(650)은 측방향 외측 와이어(444)와 접촉하여, 도 9에 화살표(692)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구(500)에 의해 걸쳐진 굴곡 매트(440)의 영역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근위 슬라이더(580)가 범퍼(612)와 접촉할 때, 모터(534)는 정지하고, 이는 스핀들(56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크 단부(668)는 요추 지지 기구(5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요추 지지 기구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434, 438)에 대한 커플링된 회전을 허용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블(620, 624)들 중 하나 또는 모두와 직렬로 커플링된 스프링은 제한된 양의 굴곡을 허용할 수 있고, 장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유자에게 "탄력성(give)"을 제공할 수 있다.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추 지지 기구(500)를 후퇴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5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해 기구(500)를 활성화하고, 이는 근위 슬라이더(580)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584)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580, 584) 및 그 각각의 부착된 케이블(620, 624)은 분리된다. 슬라이더(580, 584)가 더 멀리 떨어짐에 따라, 케이블(620, 624)의 중간 섹션(650)으로부터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444)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굴곡 매트(440)는 응답하여 화살표(694)에 의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후퇴한다. 근위 슬라이더(580)가 범퍼(608)와 접촉할 때, 모터(5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한다.
요추 지지 기구(500, 502)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양쪽 모두는 그 범위의 전체 범위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추 지지 기구(500, 502)는 모두 연장될 수 있거나, 모두 후퇴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후퇴될 수 있는 한편 다른 것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근위 요추 지지 기구(500)는 완전 연장 위치에 있는 한편, 원위 요추 지지 기구(502)는 완전 후퇴 위치에 있다(기구(502)의 모터는 관찰을 위해 부재함).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위 요추 지지 기구(500)는 완전 후퇴 위치에 있는 한편, 원위 요추 지지 기구(502)는 완전 연장 위치에 있다. 기구(500, 502)의 독립적인 연장/후퇴의 임의의 정도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범위 사이에서 가능하다. 기구(500, 502)를 분리하는 수직 거리(D1)는 대략 50 mm이지만, 특정 용례에 대해 더 크거나 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요추 지지 시스템(100)에서와 같이, 윤곽 매트(440)의 이동 과정 중에, 케이블(620, 624)은 후퇴로부터 연장까지 그리고 되돌아올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고, 각각의 케이블(620, 624)의 제1 단부(630)와 제2 단부(634) 사이의 각도(β)(예를 들어, 도 9 참조)는 둔각으로 유지된다.
일부 용례에서, 단일 요추 지지 기구, 예를 들어 기구(500)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기구의 작동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4는 시트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700)의 대안적인 버전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일반적인 특징들은 전술되었다. 시트는 수직 지지 부재(734, 738)를 구비한 프레임(726)을 포함한다. 윤곽 매트 또는 굴곡 매트(740) 형태의 요추 지지 요소는 측방향 외측 와이어(744), 중앙 와이어(748), 및 측방향 외측 와이어(744)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752)를 포함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700)은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800)를 포함한다.
도 15는 요추 지지 시스템(700)을 도시하며, 도 16은 근위 단부(820) 및 원위 단부(824)에 대해 참조된 조정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800)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다.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830)는 실질적으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고, 도 1의 시스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작용하는 모터(834), 피니언(838)을 갖는 모터 샤프트, 하우징(842), 웜 기어(846), 캡(850), 및 구동 샤프트(854)를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860)이 구동 샤프트(854)에 커플링되고 스핀들 레일(862)의 상당한 부분에 걸친다. 스핀들(860)은 오른손 근위 나사산 및 왼손 원위 나사산을 갖는다. 근위 나사산형 단부(864)는 구동 샤프트(854)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개구(872) 내에 회전 고정되고 그 내부에 수용되어, 모터(834)의 작동 시에 구동 샤프트(854)와 함께 회전한다. 스핀들(860)의 각각의 나사산형 단부(864, 868) 주위에는, 슬라이더, 즉 각각 스핀들(860)과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각각 갖는 근위 슬라이더(880) 및 원위 슬라이더(884)가 위치설정된다. 대향 홈(890, 892, 894, 896)이 동작 중에 슬라이더(880, 884)의 대향 병진 운동을 유발하도록 스핀들 레일(862)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대향 에지(900, 904)와 정합한다. 구동 샤프트(854)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908)는 근위 슬라이더(880)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중앙 위치설정 정지부(916)에 인접한 범퍼(912)는 제2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한계들은 근위 슬라이더(880)에 대한 이동 범위를 한정한다.
제1 케이블(920)이 근위 슬라이더(880)에 커플링되며, 제2 케이블(924)이 원위 슬라이더(884)에 커플링된다. 각각의 케이블(920, 924)은 제1 말단(930), 제2 말단(934) 및 케이블 본체(938)를 포함한다. 커넥터(944)는 커넥터(944)와 그 부착 케이블(938) 사이에 상대 운동이 존재하지 않도록 각각의 케이블 본체(938)에 각각의 슬라이더(880, 884)의 본체를 견고하게 커플링시킨다(도 14 또한 참조). 각각의 케이블(920, 924)의 케이블 본체(938)는 제1 말단(930)으로부터 제2 말단(934)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커넥터(944)의 일 측면 상에서 종료되는 제1 중간 섹션(950) 및 각각의 커넥터(944)의 다른 측면 상에서 종료되는 제2 중간 섹션(951)으로 분할된다(도 14 참조). 각각의 케이블 본체(938)의 부분들은 내부에서의 각각의 케이블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케이블 본체(938)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1 및 제2 슬리브(952, 954) 내에 동작적으로 위치된다. 각각의 말단(930, 934) 부근의 각각의 케이블(920, 924)의 케이블 본체(938)의 부분들은, 제1 및 제2 케이블(920, 924)을 커플링시키고 이에 의해 요추 지지 기구(800)를 외측 와이어(744)를 통해 굴곡 매트(740)에 커플링시키는 클립(960)을 통과하며 이에 의해 수용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립(960)의 커플링(962)은 와이어가 스핀들(86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클립(960)에 진입하도록 위치설정되지만, 클립(960)의 하나 이상의 커플링(962)은 대안적으로 케이블(920, 924)을 위한 더 직접적인 경로를 허용하도록 스핀들(860)을 향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930, 934)는 프레임(726)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734, 738)에 자체적으로 고정된 후크 피팅(968)에 각각 커플링된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슬리브(952)의 각각은 외측 단부(970) 및 내측 단부(974)를 포함한다. 슬리브(954)의 각각은 외측 단부(978) 및 내측 단부(982)를 포함한다. 각각의 슬리브의 외측 단부(970, 978)는 각각의 클립(960)에 연결된다. 슬리브(952)의 내측 단부(974)는 각각 측방향 피팅(986)의 리세스(984) 내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슬리브(954)의 내측 단부(982)는 각각 중앙 피팅(990)의 리세스(988) 내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각각의 피팅(986, 990)은 레일(862)의 상부 및 저부 림(994) 위에 끼워지는 상위 및 하위 채널(992)을 포함한다.
시트 점유자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 또는 시트 바닥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요추 지지 기구(800)를 위한 액추에이터(830)를 활성화한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기구(800)는 액추에이터(830)가 개시될 때 하위 요추 영역보다 상위 요추 영역에 더 많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제1 위치에 배치되거나(도 18 내지 도 19) 또는 상위 요추 영역보다 하위 요추 영역에 더 많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도 20 내지 도 21).
모터(834)를 급전할 때, 웜 기어(846)의 결합은 구동 샤프트(854)를 회전시키고(도 3a 참조), 동시에 스핀들(860)을 회전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800)가 제1 위치로 활성화되면, 스핀들(86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기구(800)가 제2 위치로 활성화되면, 스핀들(86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핀들(860)의 회전은 슬라이더(880, 884)를 병진시키고, 그 홈(890, 892, 894, 896)은 하나의 슬라이더(880, 884)가 근위 방향(820)으로 이동하고 다른 슬라이더(880, 884)가 원위 방향(824)으로 이동하도록 스핀들 레일(862)의 에지(900, 904)와 상호 작용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요추 기구(80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요추 지지 기구(800)를 도 18 및 도 19의 제1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원위 방향(824)으로부터 볼 때) 스핀들(860)의 시계방향 회전을 위한 기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스핀들(8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880)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884)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880, 884)가 서로 접근한다. 슬라이더(880, 884)가 각각의 커넥터(944)와 함께 수렴함에 따라, 케이블(920, 924)의 제2 중간 섹션(951)은 도 6 등에 대해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각각의 클립(960)에서 측방향 외측 와이어(744)에 대해 텐션되고,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위 요추 영역에서 기구(800)에 의해 걸쳐진 굴곡 매트(740)의 부분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동시에, 케이블(920, 924)의 제1 중간 섹션(950)이 이완되어, 시트 점유자가 하위 요추 영역 내에서보다 상위 요추 영역에서 더 큰 지지를 경험하게 한다. 근위 슬라이더(880)가 범퍼(912)와 접촉할 때, 모터(834)는 정지하며, 이는 스핀들(86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800)를 도 20 및 도 21의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원위 방향(824)으로부터 볼 때) 스핀들(8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한 기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스핀들(8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880)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884)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880, 884)가 분리된다. 슬라이더(880, 884)가 각각의 커넥터(944)와 함께 발산함에 따라, 케이블(920, 924)의 제1 중간 섹션(950)은 도 6 등에 대해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각각의 클립(960)에서 측방향 외측 와이어(744)에 대해 텐션되고,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위 요추 영역에서 기구(800)에 의해 걸쳐진 굴곡 매트(740)의 부분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동시에, 케이블(920, 924)의 제2 중간 섹션(951)은 이완되어, 시트 점유자가 상위 요추 영역에서보다 하위 요추 영역에서 더 큰 지지를 경험하게 한다. 근위 슬라이더(880)가 범퍼(908)와 접촉할 때, 모터(834)는 정지한다.
하위 요추 영역으로부터 상위 요추 영역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D2)는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70 mm이지만, 특정 용례에 대해 더 크거나 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요추 지지 기구(800)는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되는 범위 한계에서만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구성에서, 기구(800)는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되는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동작하고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차량 시트를 위한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1000)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일반적인 특징은 앞에서 설명되었다. 시스템(1000)은 시트와 통합가능하며 바스켓(1040)의 형태로 가요성 요추 지지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수직 지지 부재(1020, 1024)를 갖는 별도의 프레임 부분(1010)을 포함한다. 바스켓(1040)은 수직 지지 부재(1020, 1024)를 따라 바스켓(1040)의 일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에지(1048) 부근에 탄성 커넥터(1044)를 포함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추 지지 시스템(1000)은 조정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1100)를 포함한다.
도 23을 또한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되는 것과 유사한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1130)는 모터(1134), 하우징(1142), 브라켓(1144), 및 나사산형 부재를 동작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웜 기어 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모터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와 직교하는 스핀들(1150)을 포함하는데, 즉 스핀들(1150)은 시트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다. 스핀들(1150)의 나사산 주위에는, 스핀들(1150)과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갖는 이동 부재 또는 슬라이더(1160)가 위치설정된다.
강성 지지 와이어(1170)는 바스켓(1040)의 하위 기부 부재(1052)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후크(1174, 1176) 및 연결된 제1 및 제2 평행 레일(1180, 1184)을 갖는 레일 부분을 포함한다. 지지 와이어(1170)는 레일(1184)과 후크(1176) 사이에 루프(1190)를 더 형성한다. 레일(1180, 1184)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반원형 홈(1204)을 갖는 단부 부품(1200)이 제1 면(121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내 부분(1210)을 포함한다. 안내 부분(1210)은 추가로 스핀들(1150)의 상위 단부(1220)를 착좌시킨다. 지지 와이어(1170)는 브라켓(1144)을 통해 구동 조립체(1130)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된다. 슬라이더(1160)의 대향 채널(1230)은 동작 중에 슬라이더(1160)의 병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지지 와이어(1170)의 레일(1180, 1184)과 정합한다. 브라켓(1144)에 인접한 제1 범퍼(1234)는 슬라이더(1160)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안내 부분(1210)에 인접한 제2 범퍼(1238)는 제2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한계들은 슬라이더(1160)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케이블(1250)은 제1 단부(1254), 제2 단부(1258) 및 케이블 본체(1260)를 포함한다. 제1 단부(1254)는 슬라이더(1160)의 본체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커넥터(126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에 고정된다. 케이블 본체(1260)는 제1 단부(1254)로부터 안내 부분(1210)을 통해 바스켓(1040)의 상부 에지(1048)를 향해 그리고 바스켓(1040)의 에지(1048) 부근에서 대략 측방향 중앙에 위치설정된 브레이스 부재(1274)에 의해 형성된 통로(1270)를 통해 연장된다. 통로(1270)는, 케이블(1250)이 대략 180° 회전하고 하위 기부 부재(1052)의 방향으로 하방으로 진행하도록 아치형 케이블 접촉 부분(1278)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즉 제1 및 제2 단부(1254, 1258) 사이의 각도는 대략 0°이며 뿐만아니라 대략 0° 내지 대략 15°의 범위일 수 있다. 케이블(1250)의 제2 단부(1258)는 그를 통해 스프링(1290)의 제1 단부(1286)를 수용하는 아일릿(1282)에 단단히 연결되고, 스프링의 제2 단부(1294)는 스프링(1290)을 루프(1190)에 커플링시킨다.
시트 점유자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 또는 시트 바닥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요추 지지 기구(1100)를 위한 액추에이터(1130)를 활성화한다. 도 22 및 도 24(및 또한 도 25 및 도 26)를 참조하면, 기구(1100)는 액추에이터(1130)가 개시될 때 완전히 후퇴(도 22)와 완전 연장(도 24)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모터(1134)를 급전할 때, 웜 기어의 결합은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스핀들(1150)을 회전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1100)가 후퇴하도록, 즉 더 적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115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기구(1100)가 연장하도록, 즉 더 많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1150)은 대향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스핀들(1150)의 회전은 슬라이더(1160)를 병진시키며, 슬라이더의 채널(1204)은 레일(1180, 1184)을 따라 병진한다.
요추 지지 기구(1100)를 연장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1150)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기구를 활성화하고, 이는 슬라이더(1160)가 기부 부재(1052)를 향해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1160)가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 본체(1260)는 브레이스(1274)의 아치형 부분(1278)과 접촉한다. 케이블 본체(1260)를 통해 작용하는 케이블(1250)의 제1 및 제2 단부(1254, 1258) 사이의 장력은 브레이스(1274) 상에 하향력을 부여한다. 브레이스(1274)는 바스켓(1040)에, 구체적으로는 상부 에지(1048) 부근에 단단히 고정되는 한편, 동시에 케이블(1250)은 지지 와이어(1170)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부 부재(1052)에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 커넥터(1044)에 의해 촉진되는 바스켓(1040)의 상부 에지(1048)는,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분(1010)의 수직 지지 부재(1020, 1024)를 미끄러져 내려가서, 시트 점유자의 요추 영역을 지지하도록 바스켓(1040)의 요추 접촉 영역을 전방으로 연장시킨다. 슬라이더(1160)가 범퍼(1234)와 접촉할 때, 모터(1134)는 정지하고, 이는 스핀들(115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추 지지 기구(1100)를 후퇴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1150)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기구(1100)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슬라이더(1160)가 상부 에지(1048)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1160)가 그렇게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 본체(1260)로부터의 아치형 부분(1278)에 대한 압력이 감소하고 바스켓(1040)은 이에 응답하여 후방으로 후퇴하고, 이는 도 25 및 도 26에 추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 지지 부재(1020, 1024)를 따라 상방으로 상부 에지(1048)를 굴곡시킨다. 슬라이더(1160)가 범퍼(1238)와 접촉하면, 모터(11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한다.
일부 용례에서, 브레이스(1274)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290)의 제2 단부(1294)를 위한 커플링 표면을 제공하는 제2 강성 와이어 형태의, 상부 에지(1048)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지는 가로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대체된다.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보다 짧은 케이블(1250)에 있어서는, 스핀들(1150)을 회전시키고 슬라이더(1160)를 병진시키기 위해 모터(1134)를 작동시킬 때, 더 짧은 케이블(1250)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 본체(1260)를 통해 브레이스(1274) 상에 작용하는 대신에, 스프링(1290)(즉, 제2 단부(1294)를 통해 가로대에, 그리고 따라서 바스켓(1040)의 상부 에지(1048)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여, 바스켓(1040)을 동일하게 연장 및 후퇴시킨다. 즉, 스프링 후크(1294)는 지지 와이어(1170) 상의 루프(1190) 대신에 가로대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일부 용례에서, 케이블의 제2 단부(1258)는 동작 중에 (스프링(1290) 없이) 직접적으로 상부 에지(1048) 상에 하향력을 인가한다.
도 27은 시스템(1000)의 특징과 유사한 특징을 갖는 차량 시트를 위한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1300)을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시스템(1300)은 새롭게 번호가 부여될 것이다. 시스템(1300)은 가요성 요추 지지 바스켓(1340)을 장착하기 위한 수직 지지 부재(1320, 1324)를 갖는 별도의 프레임 부분(1310)을 포함한다. 바스켓(1340)은 수직 지지 부재(1320, 1324)를 따라 바스켓(13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에지(1348) 부근의 탄성 커넥터(1344) 및 하위 기부 부재(1352) 부근의 탄성 커넥터(1350, 1351)를 포함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추 지지 시스템(1300)은 조정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1400)를 포함한다.
도 28을 또한 참조하면,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되는 액추에이터(1130)와 유사한 한 쌍의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1430, 1432)는 모터(1434), 하우징(1442), 브라켓(1444), 및 나사산형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웜 기어 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각각의 모터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직교하는 스핀들(1450, 1452)을 각각 포함하는데, 즉 스핀들(1450, 1452)은 시트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다. 스핀들(1450)의 나사산 주위에는, 스핀들(1450)과 결합되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갖는 슬라이더(1460)가 위치설정된다. 스핀들(1452)의 나사산 주위에는, 스핀들(1452)과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갖는 블록(1462)이 위치설정된다.
강성 지지 와이어(1470)는 하위 기부 부재(1352)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후크(1474, 1476), 및 제1 및 제2 연결된 평행 레일(1480, 1484)을 갖는 제1 레일 부분 및 제1 및 제2 연결된 평행 레일(1486, 1488)을 갖는 제2 레일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 레일(1180, 1184, 1186, 1188)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반원형 홈(1504)을 갖는 제1 및 제2 단부 부품(1500)은 각각 후방 연장 안내 부분(1510)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부품(1500)의 안내 부분(1510)은 추가로 각각의 스핀들(1450, 1452)의 상위 단부(1520, 1522)를 착좌시킨다. 지지 와이어(1470)는 브라켓(1444)을 통해 구동 조립체(1430, 1432)에 동작식으로 커플링된다.
슬라이더(1460)의 대향 채널(1530)은 동작 중에 슬라이더(1460)의 병진 운동을 유발하도록 지지 와이어(1470)의 레일(1480, 1484)과 정합한다. 브라켓(1444)에 인접한 제1 범퍼(1534)는 슬라이더(1460)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연계된 단부 부품(1500)의 안내 부분(1510)에 인접한 제2 범퍼(1538)는 제2 이동 한계를 제공하고, 한계들은 슬라이더(1460)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블록(1462)의 대향 채널(1540)은 지지 와이어(1470)의 레일(1486, 1488)과 정합한다. 블록(1462)은 수직 지지 부재(1320, 1324)에 커플링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바(1544)를 수용하는 개구(1542)를 포함한다. 크로스바(1544)는 밴드(1546)로 지지 부재(1320, 1324)에 정착된다. 따라서, 블록(1462)은 또한 프레임 부분(1310)에 대해 정착된다. 제1 범퍼(1548) 및 제2 범퍼(1549)는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블록(1462)과 연계된 이동의 한계를 결정한다.
케이블(1550)은 제1 단부(1554), 제2 단부(1558), 및 케이블 본체(1560)를 포함한다. 제1 단부(1554)는 슬라이더(1460)의 본체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커넥터(156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고정된다. 케이블 본체(1560)는 제1 단부(1554)로부터 연계된 단부 부품(1500)의 안내 부분(1510)을 통해 그리고 바스켓(1340)의 상부 에지(1348)를 향해 연장된다. 케이블 본체(1560)는 바스켓(1340)의 에지(1348) 부근에 대략 측방향 중앙에 위치된 브레이스 부재(1574)에 의해 형성된 통로(1570)를 통과한다. 통로(1570)는 케이블(1550)이 대략 180° 회전하고 하위 기부 부재(1352)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진행하도록 아치형 케이블 접촉 부분(1578)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즉 제1 및 제2 단부(1554, 1558) 사이의 각도는 대략 0°이며 뿐만 아니라 대략 0° 내지 대략 15°의 범위일 수 있다. 케이블(1550)의 제2 단부(1558)는 스핀들(1452)과 접촉하는 단부 부품(1500)의 개구(1586)를 통해 수용되는 후크(1582)에 단단히 연결된다.
시트 점유자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 또는 시트 바닥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요추 지지 기구(1400)를 위한 액추에이터(1430, 1432)를 활성화한다. 도 27 및 도 29를 참조하면, 기구(1400)는 액추에이터(1430)가 개시될 때 완전 후퇴(도 27)와 완전 연장(도 29)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1430)의 모터(1434)를 급전할 때, 웜 기어의 결합은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스핀들(1450)을 회전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1400)가 후퇴하도록, 즉 더 적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145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기구(1400)가 연장되도록, 즉 더 많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1450)은 반대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스핀들(1450)의 회전은 슬라이더(1460)를 병진시키고, 그 채널(1504)은 레일(1480, 1484)과 상호 작용한다.
요추 지지 기구(1400)를 연장하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1450)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기구를 활성화하고, 이는 슬라이더(1460)가 기부 부재(1352)를 향해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1460)가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 본체(1460)는 브레이스(1574)의 아치형 부분(1578)과 접촉한다. 케이블 본체(1560)를 통해 작용하는 케이블(1550)의 제1 및 제2 단부(1554, 1558) 사이의 장력은 브레이스(1574) 상에 하향력을 부여한다. 브레이스(1574)는 바스켓(1340)에, 구체적으로는 상부 에지(1348) 부근에 단단히 고정되는 한편, 동시에 케이블(1550)은 지지 와이어(1470)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부 부재(1352)에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 커넥터(1344)에 의해 촉진되는 바스켓(1340)의 상부 에지(1348)는, 도 2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분(1310)의 수직 지지 부재(1320, 1324)를 미끄러져 내려가서, 시트 점유자의 요추 영역을 지지하도록 바스켓(1340)의 요추 접촉 영역을 전방으로 연장시킨다. 슬라이더(1460)가 범퍼(1534)와 접촉하면, 액추에이터(1430)의 모터(1434)는 정지하고, 이는 스핀들(145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추 지지 기구(1400)를 후퇴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1450)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기구(1400)를 활성화하고, 이는 슬라이더(1460)가 상부 에지(1348)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1460)가 그렇게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 본체(1560)로부터의 아치형 부분(1578)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바스켓(1340)은 이에 응답하여 후방으로 후퇴하고, 이는 수직 지지 부재(1320, 1324)를 따라 상부 에지(1348)를 상방으로 굴곡시킨다. 슬라이더(1460)가 범퍼(1538)와 접촉하면, 액추에이터(1430)의 모터(14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한다.
도 27 및 도 30을 참조하면, 지지 기구(1400) 및 바스켓(1340)은 바스켓(1340)을 원하는 바에 따라 위치설정하기 위해 시트 점유자 유연성을 허용하도록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다. 기구(1400)는 액추에이터(1432)가 개시될 때 완전 하강(도 27)과 완전히 상승(도 3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1432)의 모터(1434)를 급전하면, 웜 기어의 결합이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스핀들(1452)을 회전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1400)가 낮아지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1452)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기구(1400)가 상승하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1452)은 반대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스핀들(1452)의 회전은 정착 블록(1462)에 대해 기구(1400) 및 바스켓(1340)을 병진시키며, 그 채널(1540)은 레일(1486, 1488)과 상호작용한다.
요추 지지 기구(1400) 및 지지부(1340)를 상승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1452)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기구를 활성화시킨다. 스핀들(1452)의 나사산과 프레임 부분(1310)에 정착된 블록(1462)의 나사산과의 상호작용은 전체 기구(1400) 및 바스켓(1340)이 블록(1462)에 대해 상방으로 병진하게 한다. 액추에이터(1430)의 추가적인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 바스켓(1340)의 연장 정도는 케이블(1550) 내의 장력이 유지될 때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커넥터(1344, 1350, 1351)는 바스켓(1340)의 요추 접촉 영역을 원하는 바에 따라 수직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해 바스켓(1340)의 상방 운동을 허용하고 안내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1320, 1324)와 동작가능하게 접촉한다. 범퍼(1548)가 블록(1462)과 접촉하면, 액추에이터(1432)의 모터(1434)는 정지하고, 이는 스핀들(1452)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요추 지지 기구(1400)를 하강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1452)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기구(1400)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기구(1400) 및 바스켓(1340)이 블록(1462)에 대해 하향으로 병진하게 한다. 범퍼(1549)가 블록(1462)과 접촉하면, 액추에이터(1432)의 모터(14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한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바스켓(1340)은 범퍼(1548, 1549)에 의해 결정된 수직 범위 내의 임의의 높이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30)의 활성화를 통해 완전히 후퇴가능하고 연장가능하다. 액추에이터(1430, 1432)의 개별 동작은 수직 조정 및 후퇴/연장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도 32 내지 도 34는 근위 단부(2120) 및 원위 단부(2124)에 대해 참조된 요추 지지 시스템(2100)을 도시한다. 바스켓(2110)의 상위 및 하위 부분(2130, 2134)은 바스켓(2110)의 후방면(2150) 상의 경계(2146)에 의해 대체로 상호 연결된 보강 리브(2142)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개구(2138)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위 부분(2130)과 하위 부분(2134) 사이의 바스켓(2110)의 중앙 부분(2154)은 장착면(2158)을 포함한다. 장착면(2158)은 중간 가이드(2162) 및 대향 케이블 채널(2180)을 지지하고, 그 목적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스핀들 레일(2192)은, 복수의 대응 슬롯(2212)을 포함하는 장착면(2158)에 대체로 수직하게 배향된 상위 및 하위 탭(2196)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3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탭(2196) 및 슬롯(2212)은, 조립시에, 탭(2196)이 슬롯(2212)을 통해 돌출하고 이어서 스핀들 레일(2192)을 바스켓(2110)에 영구적으로 고정하도록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 또는 굴곡되도록 위치된다. 요추 지지 시스템(2100)은 스핀들 레일(2192)을 바스켓(2110)에 고정하기 위해 다른 체결구, 브라켓, 또는 다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2230)는 모터(2234), 하우징(2242), 및 웜 기어 및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캡(2250)을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액추에이터(230)의 것과 유사하다. 체결구(2256)에 의해 하우징(2242)에 고정된 모터(2234)는 바람직하게는 D.C. 가역 모터이지만,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종류의 가역 모터일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크기 및 동력이 변화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는 동작 중에 공동 회전 및 동력 전달을 위해 웜 기어와 정합한다. 구동 샤프트는 리셉터클(2258) 내에서 종료된다. 캡(2250)은 모터(2234)를 스핀들 레일(2192)에 고정한다.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2260)이 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고 스핀들 레일(2192)의 일부에 걸쳐진다. 스핀들(2260)은 근위 및 원위 나사산형 단부(2264, 2268)를 갖는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위 나사산은 오른손 나사산이고 원위 나사산은 왼손 나사산이지만, 어느 손형인지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역전될 수 있다. 근위 나사산형 단부(2264)는, 스핀들(2260)이 모터(2234)의 작동 시에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리셉터클(2258)의 개구(2272) 내에 수용되고 (예를 들어, 크림핑을 통해) 그에 회전 고정된다. 스핀들(2260)의 각각의 나사산형 단부(2264, 2268) 주위에는 이동 부재 또는 슬라이더, 즉 근위 슬라이더(2280) 및 원위 슬라이더(2284)가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슬라이더(2280, 2284)는 스핀들(2260)과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형 본체 및 각각 스핀들 레일(2192)의 일부로서 형성된 대향 에지(2300, 2304)와 정합하는 대향 홈(2290, 2292, 2294, 2296)을 갖는다. 대향 나사산형 스핀들 단부(2264, 2268)는 스핀들 레일(2192)과 슬라이더(2280, 2284)의 홈/에지 계면과 함께 스핀들 회전 시에 스핀들(2260)을 따른 슬라이더(2280, 2284)의 대향 병진 운동을 유발한다.
리셉터클(2258)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2308)가 근위 슬라이더(2280)에 대한 이동의 일 단부의 한계를 제공한다. 근위 단부(2314) 및 원위 단부(2316)를 갖는 스페이서(2312)가 슬라이더(2280, 2284) 사이에서 스핀들(2260) 주위에 위치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범퍼(2308) 및 스페이서(2312)는 모두는 내부 나사산이 없는 대체로 매끄러운 내측 표면을 포함하고 스핀들(2260) 위에서 활주 또는 "부유"되도록 구성되는데, 즉 범퍼(2308) 및 스페이서(2312)는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핀들(2260)의 근위 또는 원위 나사산과 나사산식으로 결합하지 않는다. 스페이서(2312)의 길이는 특정 용례에 따라 변할 수 있고, 특정 길이는 시스템 조립체 중에 기준을 위해 컬러-코딩될 수 있다. 스페이서(2312)는 제2 이동 한계를 수립하고 슬라이더(2280, 2284)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근위 및 원위 가요성 케이블(2320, 2324)이 각각 근위 슬라이더(2280) 및 원위 슬라이더(2284)에 커플링된다. 각각의 케이블(2320, 2324)은 제1 단부(2330), 제2 단부(2334), 및 케이블 본체(2338)를 포함한다. 제1 단부(2330)는 각각의 슬라이더(2280, 2284)의 본체 내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끼워지는 커넥터(2344)를 갖는다. 각각의 케이블(2320, 2324)의 케이블 본체(2338)는 제1 단부(2330)로부터 연장되고, 중간 섹션(2350)을 형성하며, 중간 섹션의 일부는 각각의 채널(2180) 내에 위치설정된다. 근위 요추 지지 기구(2100)의 원위 케이블(2324)의 중간 섹션(2350)은 동일한 요추 지지 기구의 근위 케이블(2320)의 중간 섹션(2350)보다 길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2324)의 이러한 더 긴 중간 섹션(2350)은 내부에서의 케이블(2324)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케이블(232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강성 슬리브(도시되지 않음)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케이블(2320, 2324)의 중간 섹션(2350)은 후크 피팅(2356)에 커플링된 제2 단부(2334)에서 종결된다.
도 33을 참조하면, 후크 피팅(2356)은 힌지(2374)의 단부(2370)의 오리피스(2360)를 통과하고 그에 고정되도록 각각 구성된다. 힌지(2374)는 단부(2370)에 대향하여 상위 및 하위 부분(2130, 2134) 모두에서 바스켓(2110)에 인접하는 "리빙" 힌지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2374)는 바스켓(2110)의 이동 과정 중에 모터(2234)와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위치설정된 다수의 피벗 지점을 포함한다. 힌지(2374) 및 바스켓(2110)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힌지(2374)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바스켓(2110))에 고정되는 별개의 부품일 수 있다. 힌지(2374)의 각각의 단부(2370)는 프레임(26)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34, 38)의 일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요성 스냅 후크(2380)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 참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블(2320, 232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직렬로 커플링된 스프링은 제한된 양의 굴곡을 허용할 수 있고, 장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유자에게 "탄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스켓(2110)에 대한 스핀들 레일(2192)의 장착은 차량에 (바스켓(2110)을 뺀) 요추 지지 시스템(2100)의 전술한 구성요소를 체결하는 유일한 방식으로서 기능한다.
동작 시에, 시트 점유자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력 액추에이터(2230)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은 요추 지지 시스템(100)의 것과 유사하게, 즉 완전 후퇴 위치와 완전 연장 위치 사이에서 진행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100)이 바스켓(2110)을 후퇴시키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226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100)이 바스켓(2110)을 연장시키도록 활성화되면, 스핀들(2260)은 제2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는 전기 작동식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슬라이더(2280, 2284)의 홈(2290, 2292, 2294, 2296)과 스핀들 레일(2192)의 에지(2300, 2304)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스핀들(2260)의 회전은 슬라이더(2280, 2284)를 병진시키고, 그 중 하나는 근위 방향(2120)으로 이동하고 다른 하나는 원위 방향(2124)으로 이동한다.
점유자가 더 많은 요추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바스켓(2110)의 연장을 원하는 경우, (원위 방향(2124)으로부터 보았을 때) 스핀들(2260)의 시계방향 회전은 스핀들(22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2280)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284)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2280, 2284) 및 그 각각의 부착된 케이블(2320, 2324)은 서로 접근한다. 슬라이더(2280, 2284)가 수렴함에 따라, 각각의 케이블의 중간 섹션(2350)의 부분들은 그들의 각각의 채널(2180) 내에서 활주하여, 바스켓(2110)과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은 바스켓을 전방으로 지향시키는 바스켓(2110)에 대한 힘을 초래한다. 원위 방향으로의 근위 슬라이더(2280)의 초기 이동 중에, 근위 슬라이더(2280)는 스페이서(2312)의 근위 단부(2314)와 접촉하고, 동시에 스페이서(2312)를 원위로 이동시킨다. 스페이서(2312)의 원위 단부(2316)가 원위 슬라이더(2284)에 접촉할 때, 모터(2234)는 정지하여, 스핀들(26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특정 이동 지점에서 모터(2234)를 급전해제하는 다른 방법이 또한 요추 지지 시스템(2100)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힌지(2374)는 이동 범위 전체에 걸쳐 매끄러운 운동을 제공하도록 굴곡에 의해 바스켓(21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점유자가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스켓(2110)의 후퇴를 원하면, 스핀들(22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스핀들(2260)을 따라 근위 슬라이더(2280)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284)가 원위로 이동하게 하는데, 즉 슬라이더(2280, 2284) 및 그 각각의 부착된 케이블(2320, 2324)이 분리된다. 슬라이더(2280, 2284)가 더 멀리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의 중간 섹션(2350)으로부터의 바스켓(2110)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바스켓(2110)은 응답하여 후방으로 후퇴한다. 슬라이더(2280)가 범퍼(2308)와 접촉하면, 모터(22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한다. 스핀들(2260)을 따라 자유롭게 부유하는 스페이서(2312)는 슬라이더(2280, 2284)의 후속 이동 중에 슬라이더(2280, 2284) 사이의 중간에서 일반적으로 제 위치에 남는다.
바스켓(2110)의 이동 과정 중에, 케이블(2320, 2324)은 후퇴로부터 연장까지 그리고 되돌아올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고, 각각의 케이블(2320, 2324)의 제1 단부(2330)와 제2 단부(2334) 사이의 각도(α)(도 4 참조)는 둔각으로 유지된다.
도 35 내지 도 37은 요추 지지 시스템(2100)의 모듈형 특성을 도시한다. 바스켓(2110)은 장착면(2158) 상의 근위 및 원위 위치 모두에서 스핀들 레일(2192)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2230)는 2개의 가능한 배향으로 스핀들 레일(2192)에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2100)은 차량 파라미터 또는 특정 용례에 대한 제약에 따라 4개의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39는 윤곽 매트 또는 굴곡 매트(440)를 갖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트(410)와 같은 시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을 도시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은 요추 지지 시스템(2100)과 유사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차이를 갖는다.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2430)는 액추에이터(23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더 상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다. 액추에이터(2430)의 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된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2460)이 스핀들 레일(2462)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진다. 스핀들 레일(2462)은 도 39에 가장 잘 도시되는 제1 및 제2 슬롯(2470)을 갖는 액추에이터(2430) 부근의 부착 브라켓 또는 부분(2466)을 포함한다. 슬롯(2470) 중 하나 또는 모두의 내측 원주부(2472)는 복수의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버어, 리지, 또는 유사한 돌출부로 라이닝된다. 일 실시예에서, 굴곡 매트(440)의 외측 와이어(444)는 두께가 대략 0.4 mm 정도일 수 있는 나일론 또는 나일론 등가물의 얇은 코팅을 포함한다. 조립 중에,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연계된 외측 와이어(444)에 대한 부착 부분(2466)의 커플링 중에, 부착 부분(2466)은 슬롯(2470)을 와이어(444)에 접촉시키도록, 제자리에 스냅시키도록 위치설정되며, 그에 따라 내측 원주부(2472) 상의 버어가 코팅 내로 "바이트(bite)"된다. 부착 부분(2466)과 외측 와이어(444) 사이의 이러한 커플링은 외측 와이어(444) 주위의 스핀들 레일(2462)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외측 와이어(444)를 따른 스핀들 레일(2462)의 이동을 방해한다. 또한, 부착 부분(2466)은, 굴곡 매트(440) 및 시트(410)에 대한 지지 시스템(24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도구 또는 툴링의 사용 없이, 외측 와이어(444)로부터 커플링해제될 수 있고 외측 와이어(444)의 길이를 따라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재커플링될 수 있다.
스핀들(2460)은 오른손 근위 나사산 및 왼손 원위 나사산과 대응하는 근위 및 원위 슬라이더(2480, 2484)를 갖는다. 액추에이터(2430)의 구동 샤프트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2508)가 근위 슬라이더(2480)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한다. 근위 단부(2514) 및 원위 단부(2516)를 갖는 스페이서(2512)가 슬라이더(2480, 2484) 사이에서 스핀들(2460) 주위에 위치설정된다. 스페이서(2512)는 스페이서(2312)와 동일하고, 제2 이동 한계를 수립하면서 스핀들(2460) 위에 "부유"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더(2480, 2484)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근위 및 원위 케이블(2620, 2624)이 각각 근위 슬라이더(2480) 및 원위 슬라이더(2584)에 커플링된다. 각각의 케이블(2620, 2624)은 케이블 본체(2638)를 포함하고, 각각의 슬라이더(2480, 2484)에 커플링된다. 원위 케이블(2624)의 중간 섹션(2650)은 근위 케이블(2620)의 대응 중간 섹션(2650)보다 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2624)의 이러한 더 긴 섹션의 일부는 내부에서의 케이블(2624)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케이블(262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강성 슬리브(2652) 내에 위치된다. 근위 및 원위 케이블(2620, 2624)의 일부 각각은 근위 및 원위 케이블(2620, 2624)을 외측 와이어(444)를 통해 굴곡 매트(440)에 커플링시키는 클립(2660)을 통과하여 그에 의해 수용된다. 케이블(2620, 2624)은 각각 프레임(426)(도 6 참조)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434, 438)에 자체적으로 고정된 후크 피팅(2668)에서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 레일(2462)을 부착 부분(2466) 및 클립(2660)을 통해서 굴곡 매트(440)에 장착하는 것은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의 전술한 구성요소를 차량에 체결하는 유일한 방식으로서 기능한다.
시트 점유자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418) 또는 시트 바닥(414)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을 위한 액추에이터(2430)를 활성화한다. 시스템(2400)은 액추에이터(2430)가 개시될 때 완전 후퇴 위치와 완전 연장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2430)의 급전은, 액추에이터(2230)가 슬라이더(2480, 2484)를 병진시키기 위해 스핀들(2260)을 회전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핀들(2460)을 회전시킨다. 슬라이더(2480, 2484)가 수렴함에 따라, 중간 섹션(2650)은 측방향 외측 와이어(444)와 접촉하여, 굴곡 매트(440)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원위 방향으로의 근위 슬라이더(2480)의 초기 이동 중에, 근위 슬라이더(2480)는 스페이서(2512)의 근위 단부(2514)와 접촉하고, 동시에 스페이서(2512)를 원위로 이동시킨다. 스페이서(2512)의 원위 단부(2516)가 원위 슬라이더(2484)에 접촉할 때, 액추에이터(2430)는 정지하여, 스핀들(246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후크 단부(2668)는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434, 438)에 대한 커플링된 회전을 허용한다.
스핀들 레일(2462)은 굴곡 매트(440)의 중앙 와이어(448)에 커플링되지 않지만 부착된 외측 와이어(44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중앙 와이어(448)는 동작 중에 더 많이 "굴곡"되도록 허용되고, 사용자는 덜 경사져서 스핀들 레일(2462)의 존재를 느낀다.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을 후퇴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24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해 액추에이터(2430)를 활성화하고, 이는 근위 슬라이더(2480)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484)가 원위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2480, 2484)가 더 멀리 떨어짐에 따라, 케이블(2620, 2624)의 중간 섹션(2650)으로부터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444)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굴곡 매트(440)는 후방으로 후퇴한다. 근위 슬라이더(2480)가 범퍼(2508)와 접촉할 때, 모터(5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100)에서와 같이, 윤곽 매트(440)의 이동 과정 중에, 케이블(2620, 2624)은 후퇴로부터 연장까지 그리고 되돌아올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고, 각각의 케이블(2620, 2624)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각도(β)(예를 들어, 도 9 참조)는 둔각으로 유지된다.
도 40 내지 도 42는 요추 지지 시스템(2400)의 모듈 특성을 도시한다. 굴곡 매트(440)는 외측 와이어(444) 중 어느 하나에서 스핀들 레일(2462)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2430)는 2개의 가능한 배향으로 스핀들 레일(2462)에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2400)은 차량 파라미터 또는 특정 용례에 대한 제약에 따라 4개의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5는 도 1에 도시되는 시트(10) 또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트(410)와 같은 시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을 도시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은 측방향 외측 와이어(2708), 중앙 와이어(2712), 및 측방향 외측 와이어(2708)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2716)를 갖는 윤곽 매트 또는 굴곡 매트(2704) 형태의 제1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바스켓 또는 플레이트(2720) 형태의 제2 지지 요소는 중앙 와이어(2712) 및 횡방향 와이어(2716) 아래에서 굴곡 매트(2704)의 하위 부분(2724)에 커플링된다. 바스켓(2720)은 ABS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바스켓(2720)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를 통해서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스켓(2720)은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다른 대체로 강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스켓(2720)은 그 전방 측면(2732)(도 43) 상에 지지면 또는 표면(2728)을 제공한다. 지지 표면(2728)은 사용자의 요추 및 골반 영역에 대한 해부학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윤곽형성되고(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 및/또는 가변 곡률의 정도로), 리세스(2736)는 지지 표면(2728)의 중심에 제공된다. 바스켓(2720)의 후방 측면(2740) 상에서, 복수의 보강 리브(2744)가 일반적으로 그리드 패턴을 형성한다(도 44). 바스켓(2720)은 또한 후방 측면(2740) 상의 클립(2748)을 포함하고, 이는 각각 측방향 외측 와이어(2708)를 파지하는 제1 및 제2 대향 조오(2752, 2756)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와이어(2708)는 대략 0.4 mm 정도의 두께일 수 있는 나일론 또는 나일론 등가물의 얇은 코팅을 포함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의 조립 중에, 외측 와이어(2708)는 클립(2748) 내로 가압(즉, 스냅)되고, 조오(2752, 2756)는 외측 와이어(2708) 상의 코팅 내로 "바이트"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립(2748)은 바스켓(2720)을 굴곡 매트(2704)에 커플링하는 유일한 직접 부착 지점이다. 따라서, 바스켓(2720)은 추가의 도구 또는 별도의 체결구의 사용 없이 굴곡 매트(270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은 전술된 액추에이터(23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더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는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2760)를 더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2764)이 액추에이터(2760)의 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고 스핀들 레일(2768)의 상당 부분에 걸쳐진다. 스핀들 레일(2768)은 스핀들 레일(2768)을 측방향 외측 와이어(2708) 중 하나에 커플링시키는 액추에이터(2760) 부근의 부착 부분(2772)을 포함한다. 부착 부분(2772)은 도 39에 도시되고 전술된 부착 부분(2466)과 유사하며,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
스핀들(2764)은 근위 및 원위 나사산형 단부(2776, 2780)를 갖는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위 나사산은 오른손 나사산이고 원위 나사산은 왼손 나사산이지만, 어느 손형인지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역전될 수 있다. 스핀들(2764)의 각각의 나사산형 단부(2776, 2780) 주위에는, 이동 부재 또는 슬라이더, 또는 근위 슬라이더(2784) 및 원위 슬라이더(2788)가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슬라이더(2784, 2788)는 스핀들 레일(2768)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대향 에지와 정합하는, 스핀들(2764) 및 대향 홈(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되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갖는다. 대향 나사산형 스핀들 단부(2776, 2780)는 스핀들 레일과 슬라이더(2784, 2788)의 홈/에지 계면과 함께 스핀들(2764)의 회전 시에 스핀들(2764)을 따른 슬라이더(2784, 2788)의 대향 병진 운동을 유발한다. 액추에이터(2760)의 구동 샤프트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2792)는 근위 슬라이더(2784)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한다. 스페이서(2796)는 슬라이더(2784, 2788) 사이에서 스핀들(2764) 주위에 위치설정된다. 스페이서(2796)는 제2 이동 한계를 수립하면서 스핀들(2764) 위에 "부유"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더(2784, 2788)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근위 및 원위 케이블(2800, 2804)은 각각 근위 슬라이더(2784) 및 원위 슬라이더(2788)에 커플링된다. 원위 케이블(2804)의 중간 섹션(2808)은 근위 케이블(2800)의 대응 중간 섹션(2812)보다 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2804)의 이러한 더 긴 섹션(2808)의 일부는 내부에서의 케이블(2804)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케이블(280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강성 슬리브(2816) 내에 위치된다. 근위 및 원위 케이블(2800, 2804)의 부분은 각각 근위 및 원위 케이블(2800, 2804)을 외측 와이어(2708)를 통해 굴곡 매트(2704)에 커플링시키는 각각의 클립(2820, 2824)을 통과하며 그에 의해 수용된다. 케이블(2800, 2804)은 각각 시트 프레임(426)(도 6)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434, 438)에 (예를 들어, S-후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아일릿(2828)에서 종료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은 제한된 양의 굴곡을 허용하고 장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유자에게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45를 계속 참조하면, 포스트(2832)는 강성 슬리브(2816)를 지지하기 위해서 바스켓(2720)의 후방 측면(2740)으로부터 연장된다. 포스트(2832)는 그 단부에 형성된 클립(2836)을 포함하며, 이 클립은 조립 동안 스냅 끼움으로 슬리브(2816)를 수용한다. 강성 슬리브(2816)는 스핀들 레일(2768)의 원위 단부에 정착된다. 따라서, 스핀들 레일(2768)은 스핀들 레일(2768)의 근위 단부의 부착 부분(2772) 및 레일(2768)의 원위 단부의 포스트(2832)에 의해서만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핀들 레일(2768) (및 스핀들(2764))은 바스켓(2720)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핀들 레일(2768)의 어떠한 부분도 바스켓(27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스켓(2720)은 또한 바스켓(2720)(도 44)의 후방 측면(2740) 상의 복수의 격실(284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실(2840)은 배선 하네스,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액추에이터(2760)를 위한 동력 또는 동작 제어를 제공하는 다른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동작 시에, 시트 점유자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418) 또는 시트 바닥(414)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도 6)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을 위한 액추에이터(2760)를 활성화한다. 시스템(2700)은 액추에이터(2760)가 활성화될 때 완전 후퇴 위치와 완전 연장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2760)의 급전은 스핀들(2764)을 회전시켜 슬라이더(2784, 2788)를 병진시킨다. 슬라이더(2784, 2788)가 수렴함에 따라, 케이블(2804, 2800)의 중간 섹션(2808, 2812)은 굴곡 매트(2704)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2708)와 접촉하여, 굴곡 매트(2704)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는 이어서 바스켓(27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바스켓(2720)은 굴곡 매트(2704)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는 굴곡 매트 또는 가요성 바스켓만을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의 실시예에 비해 사용자의 골반 및 요추 영역에 대한 증가된 압력 및 지지를 제공한다. 지지 표면(2728)의 중심의 리세스(2736)는 사용자의 척추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키고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원위 방향으로의 근위 슬라이더(2784)의 초기 이동 중에, 근위 슬라이더(2784)는 스페이서(2796)의 근위 단부와 접촉하고, 동시에 스페이서(2796)를 원위로 이동시킨다. 스페이서(2796)가 원위 슬라이더(2788)와 접촉하면, 액추에이터(2760)는 정지하여, 스핀들(2764)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추 지지 시스템(2700)을 후퇴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2764)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해 액추에이터(2760)를 활성화하고, 이는 근위 슬라이더(2784)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788)가 원위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2784, 2788)가 더 멀리 떨어짐에 따라, 케이블(2804, 2800)의 중간 섹션(2808, 2812)으로부터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2708)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굴곡 매트(2704) 및 바스켓(2720)은 후방으로 후퇴한다. 근위 슬라이더(2784)가 범퍼(2792)와 접촉할 때, 액추에이터(27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한다.
도 46 및 도 47은 도 1에 도시되는 시트(10) 또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트(410)와 같은 시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2900)을 도시한다. 요추 지지 시스템(2900)은 측방향 외측 와이어(2908), 중앙 와이어(2912), 및 측방향 외측 와이어(2908)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2916)를 갖는 윤곽 매트 또는 굴곡 매트(2904) 형태의 제1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방향 와이어(2916)는 어떠한 파형부도 없이 외측 와이어(2908)들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한다. 외측 와이어(2908)는 두께가 대략 0.4 mm 정도일 수 있는 나일론 또는 나일론 등가물의 얇은 코팅을 포함한다. 횡방향 와이어(2916)는 외측 와이어(2908) 둘레에 감겨진 단부(2918)를 갖는다. 횡방향 와이어(2916)의 단부(2918)는 횡방향 와이어(2916)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외측 와이어(2908) 상의 코팅 내로 파고든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 와이어(2908)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와이어 루프(2920) 형태의 제2 지지 요소는 횡방향 와이어(2916) 아래에서 굴곡 매트(2904)의 하위 부분(2924)에 커플링된다. 와이어 루프(2920)는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3 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비교적 강성 금속 와이어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루프(2920)는 굴곡 매트(2904)의 와이어(2908, 2912, 2916)보다 더 강성이다. 와이어 루프(2920)는 대체로 선형인 상부 부분(2926) 및 파형 저부 부분(2928)을 갖는다. 저부 부분(2928)은 직사각형 파형부(2932)(즉, 와이어 루프(2920)의 직사각형 섹션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인접한 대체로 직교하는 부분)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부 부분(2928)은 3개의 파형부(2932)(즉, 제1 파형부(2932a), 제1 파형부(2932a)에 인접한 제2 파형부(2932b), 및 제2 파형부(2932b)에 인접한 제3 파형부(2932c); 도 47)를 포함한다. 도시된 파형부(2932a, 2932b, 2932c)의 각각은 동일한 진폭을 갖고, 제2 파형부(2932b)는 제1 및 제3 파형부(2932a, 2932c)보다 넓다. 또한, 제2 파형부(2932b)는 제1 및 제3 파형부(2932a, 2932c) 사이에 중심설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부 부분(2928)은 임의의 원하는 형상의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파형부(29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파형부(2932) 중 하나 이상은 대체로 "U" 형상, 삼각 형상 등일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도시된 와이어 루프(2920)는 와이어 루프(2920)가 폐쇄 루프이도록 크림프 커넥터(2944)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부(2936, 294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 루프(2920)는 식별 가능한 단부를 갖지 않는 연속 루프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크림프 커넥터(2948)(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의 4개의 커넥터(2948))는 굴곡 매트(2904)의 외측 와이어(2908)에 와이어 루프(2920)를 커플링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 루프(2920)는 용접 등의 다른 방식으로 굴곡 매트(290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요추 지지 시스템(2900)은 전술된 액추에이터(23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더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는 구동 조립체 또는 액추에이터(2960)를 추가로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 또는 스핀들(2964)이 액추에이터(2960)의 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고 스핀들 레일(2968)의 상당 부분에 걸친다. 스핀들 레일(2968)은 스핀들 레일(2968)을 굴곡 매트(2904)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2908) 중 하나에 커플링시키는 액추에이터(2960) 부근의 부착 부분(2972)을 포함한다. 부착 부분(2972)은 전술되고 도 39에 도시된 부착 부분(2466)과 유사하며, 상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다.
스핀들(2964)은 근위 및 원위 나사산형 단부(2976, 2980)를 갖는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위 나사산은 오른손 나사산이고 원위 나사산은 왼손 나사산이지만, 어느 손형인지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역전될 수 있다. 스핀들(2964)의 각각의 나사산형 단부(2976, 2980) 주위에는 이동 부재 또는 슬라이더, 근위 슬라이더(2984) 및 원위 슬라이더(2988)가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슬라이더(2984, 2988)는 스핀들 레일(2968)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대향 에지와 정합하는, 스핀들(2964) 및 대향 홈(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형 본체를 갖는다. 대향 나사산형 스핀들 단부(2976, 2980)는 스핀들 레일과 슬라이더(2984, 2988)의 홈/에지 계면과 함께 스핀들(2964)의 회전 시에 스핀들(2964)을 따른 슬라이더(2984, 2988)의 대향 병진 운동을 유발한다. 액추에이터(2960)의 구동 샤프트에 인접하여 위치된 범퍼(2992)는 근위 슬라이더(2984)에 대한 제1 이동 한계를 제공한다. 스페이서(2996)는 슬라이더(2984, 2988) 사이에서 스핀들(2964) 주위에 위치설정된다. 스페이서(2996)는 제2 이동 한계를 수립하면서 스핀들(2964) 위에 "부유"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더(2984, 2988)에 대한 이동 범위를 규정한다.
도 47을 계속 참조하면, 근위 및 원위 케이블(3000, 3004)은 각각 근위 슬라이더(2984) 및 원위 슬라이더(2988)에 커플링된다. 원위 케이블(3004)의 중간 섹션(3008)은 근위 케이블(3000)의 대응 중간 섹션(3012)보다 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04)의 이러한 긴 섹션(3008)의 일부는 내부에서의 케이블(3004)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케이블(300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강성 슬리브(3016) 내에 위치된다. 근위 및 원위 케이블(3000, 3004)의 부분은 각각 근위 및 원위 케이블(3000, 3004)을 외측 와이어(2908)(도 46)를 통해 굴곡 매트(2904)에 커플링시키는 각각의 클립(3020, 3024)을 통과하며 그에 의해 수용된다. 케이블(3000, 3004)은 각각 시트 프레임(426)(도 6)의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434, 438)에 고정될 수 있는 후크(3018)에서 종료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은 제한된 양의 굴곡을 허용하고 점유자에게 "탄력성"을 제공하여 장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이블(3000, 300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동작 시에, 시트 점유자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시트 등받이(418) 또는 시트 바닥(414)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기 작동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도 6) 요추 지지 시스템(2900)을 위한 액추에이터(2960)를 활성화한다. 시스템(2900)은 액추에이터(2960)가 활성화될 때 완전 후퇴 위치와 완전 연장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2960)의 급전은 슬라이더(2984, 2988)를 병진시키도록 스핀들(2964)을 회전시킨다. 슬라이더(2984, 2988)가 수렴함에 따라, 중간 섹션(3008, 3012)은 굴곡 매트(2904)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2908)와 접촉하여, 굴곡 매트(2904)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는 다시 와이어 루프(29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와이어 루프(2920)는 사용자의 요추 및 골반 영역에 대한 해부학적 지지를 제공한다. 와이어 루프(2920)가 굴곡 매트(2904)보다 더 강성이기 때문에, 이는 예를 들어 단지 굴곡 매트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의 실시예에 비해 사용자의 골반 및 요추 영역을 위한 증가된 압력 및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파형부(2932)는 사용자를 위한 개선된 편안함을 위해 이 압력을 분배한다.
원위 방향으로의 근위 슬라이더(2984)의 초기 이동 중에, 근위 슬라이더(2984)가 스페이서(2996)의 근위 단부와 접촉하고 동시에 스페이서(2996)를 원위로 이동시킨다. 스페이서(2996)가 원위 슬라이더(2988)에 접촉하면, 액추에이터(2960)는 정지하여, 스핀들(2964)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요추 지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추 지지 시스템(2900)을 후퇴시키기 위해, 시트 점유자는 스핀들(2964)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해 액추에이터(2960)를 활성화하고, 이는 근위 슬라이더(2984)가 근위로 이동하게 하고 원위 슬라이더(2988)가 원위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더(2984, 2988)가 더 멀리 떨어짐에 따라, 케이블(3004, 3000)의 중간 섹션(3008, 3012)으로부터의 측방향 외측 와이어(2908)에 대한 압력은 감소하고, 굴곡 매트(2904) 및 와이어 루프(2920)는 후방으로 후퇴한다. 근위 슬라이더(2984)가 범퍼(2992)와 접촉할 때, 액추에이터(296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한다.
도 1, 도 6, 도 13, 도 14, 도 22, 도 27, 도 32, 도 38, 도 42, 및 도 47의 요추 지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둘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핀들(260, 560, 860, 1150, 1450, 1452, 2260, 2460, 2764, 2964) 및 스핀들 레일(192, 562, 862, 2192, 2462, 2768, 2968)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Claims (30)

  1. 시트 등받이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이며, 시스템은,
    프레임;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1 지지 요소로서, 제1 지지 요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 요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제1 지지 요소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되는 제2 지지 요소로서, 제2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되는, 제2 지지 요소;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되는 모터;
    모터가 축을 중심으로 나사산형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모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나사산형 부재;
    나사산형 부재와 결합되는 제1 이동 부재;
    나사산형 부재와 결합되는 제2 이동 부재로서, 나사산형 부재의 회전은 제1 및 제2 이동 부재를 나사산형 부재를 따라 대향 축방향으로 병진시키는, 제2 이동 부재;
    제1 이동 부재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된 제1 단부,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2 단부, 및 제1 지지 요소와 동작적으로 연계된 중간 부분을 갖는 제1 가요성 케이블; 및
    제2 이동 부재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된 제1 단부,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2 단부, 및 제1 지지 요소와 동작적으로 연계된 중간 부분을 갖는 제2 가요성 케이블로서, 제1 가요성 케이블의 중간 부분 및 제2 가요성 케이블의 중간 부분은 제1 및 제2 이동 부재의 병진에 응답하여 제1 지지 요소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제2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지지 요소는 굴곡 매트인 요추 지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지지 요소는 제1 지지 요소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지지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전방 측면과 전방 측면에 대향하는 후방 측면을 갖는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요소를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되는 후방 측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클립을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제2 지지 요소는 와이어 루프인 요추 지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지지 요소는 제1 지지 요소의 하위 부분에 커플링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1 가요성 케이블 및 제2 가요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는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며, 슬리브는 제2 지지 요소 상의 포스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제2 지지 요소는 복수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형부는 직교 형상인 요추 지지 시스템.
  10. 시트 등받이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이며, 시스템은,
    정착 프레임;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되는 굴곡 매트로서, 굴곡 매트는 제1 및 제2 외측 와이어 및 외측 와이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를 포함하는, 굴곡 매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굴곡 매트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서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 아래에서 굴곡 매트의 하위 부분에 커플링된 지지 요소로서,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되는, 지지 요소;
    지지 요소는 굴곡 매트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와이어 루프인 요추 지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와이어 루프는 복수의 직교 형상 파형부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모터;
    모터가 스핀들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모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스핀들;
    스핀들과 결합되는 제1 이동 부재;
    스핀들과 결합되는 제2 이동 부재로서, 스핀들의 회전은 제1 및 제2 이동 부재를 스핀들을 따라 대향 축방향으로 병진시키는 제2 이동 부재;
    제1 이동 부재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된 제1 단부 및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가요성 케이블; 및
    제2 이동 부재에 그와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된 제1 단부 및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된 제2 단부를 갖는 제2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요성 케이블은 지지 요소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굴곡 매트에 작용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가요성 케이블 및 제2 가요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는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고, 슬리브는 지지 요소 상의 포스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전방 측면을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클립을 포함하고, 클립은 지지 요소를 굴곡 매트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굴곡 매트의 외측 와이어와 결합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복수의 크림프 커넥터에 의해 굴곡 매트의 외측 와이어에 커플링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19. 제10항에 있어서,
    횡방향 와이어는 외측 와이어 사이에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0. 정착 프레임을 갖는 시트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이며, 요추 지지 시스템은,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 요소;
    제1 지지 요소에 커플링되고 제1 지지 요소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지지 요소와 동시에 이동 가능한 제2 지지 요소로서, 제2 지지 요소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윤곽형성되는, 제2 지지 요소;
    액추에이터와 동작적으로 연계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스핀들로서, 스핀들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핀들;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가요성 케이블로서, 제1 단부는 스핀들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스핀들에 커플링되고, 제2 단부는 액추에이터에 의한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이 제1 지지 요소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게 하도록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며,
    제2 지지 요소는 복수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루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1. 정착 프레임을 갖는 시트를 위한 요추 지지 시스템이며, 요추 지지 시스템은,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제1 지지부와의 동시 이동을 위해 제1 지지부에 커플링되는 제2 지지부로서, 제2 지지부는 제1 지지부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구성되는, 제2 지지부;
    제1 지지부에 커플링되고 제1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와 동작적으로 연계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가요성 케이블로서, 제1 단부는 부재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부재에 커플링되고, 제2 단부는 액추에이터에 의한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이 제1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정착 프레임에 커플링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굴곡 매트인 요추 지지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굴곡 매트는 제1 및 제2 외측 와이어와 외측 와이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제2 지지부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해부학적으로 구성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제2 지지부는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전방 측면을 갖는 플레이트, 및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루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제1 및 제2 외측 와이어와 외측 와이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를 포함하는 굴곡 매트이고, 제2 지지부는 제1 지지부의 횡방향 와이어 아래에 위치설정되고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전방 측면을 갖는 플레이트, 및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루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부재를 회전시키고, 가요성 케이블의 제1 단부는 부재의 회전에 응답하여 부재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요추 지지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에, 제1 지지부와 제1 및 제2 단부 중간의 가요성 케이블의 일부 사이의 접촉은 제1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요추 지지 시스템.
  29. 제2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가 부재를 이동시킬 때 부재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부재와 동작적으로 연계된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이동 부재에 커플링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가 부재를 이동시킬 때 부재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부재와 동작적으로 연계되는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이동 부재에 커플링되고,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에 제1 지지부와 제1 및 제2 단부 중간의 가요성 케이블의 일부 사이의 접촉이 제1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1 지지부는 제1 및 제2 외측 와이어와 외측 와이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를 포함하는 굴곡 매트이고, 제2 지지부는 제1 지지부의 횡방향 와이어 아래에 위치설정되고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전방 측면을 갖는 플레이트, 및 요추 및 골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루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요추 지지 시스템.
KR1020207021931A 2018-01-31 2019-01-18 요추 지지 시스템 KR102409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85,374 US10632882B2 (en) 2012-09-13 2018-01-31 Lumbar support system
US15/885,374 2018-01-31
PCT/CA2019/000005 WO2019148266A1 (en) 2018-01-31 2019-01-18 Lumbar suppor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08A true KR20200099608A (ko) 2020-08-24
KR102409252B1 KR102409252B1 (ko) 2022-06-14

Family

ID=6747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931A KR102409252B1 (ko) 2018-01-31 2019-01-18 요추 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45923A4 (ko)
KR (1) KR102409252B1 (ko)
CN (1) CN111669993A (ko)
WO (1) WO20191482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034A (ja) * 1993-12-24 1997-07-15 ヘンダーソンズ・インダストリーズ・ピーテイワイ・リミテツド 調整式腰部支持具
US20100268133A1 (en) * 2007-11-07 2010-10-21 Maxime Samai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JP2011502595A (ja) * 2007-11-07 2011-01-27 エル アンド ピー スイス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支持アセンブリ及び対応する座席構造体
US20140070583A1 (en) * 2012-09-13 2014-03-13 Robert J. McMillen Lumbar support system
US20140125102A1 (en) * 2012-09-13 2014-05-08 Leggett & Platt Canada Co. Lumbar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7794A (en) * 1972-12-29 1974-04-30 Ford Motor Co Lumbar support mechanism
IT1249658B (it) * 1991-06-11 1995-03-09 Fiat Auto Spa Elemento di sopporto dorsale per sedili, particolarmente sedili automobilistici.
DE4395046T1 (de) * 1992-10-12 1995-11-23 Hendersons Ind Pty Ltd Verstellbare Lendenstütze
US6086153A (en) * 1997-10-24 2000-07-11 Steelcase Inc. Chair with reclineable back and adjustable energy mechanism
CN103494465B (zh) * 2005-03-01 2016-05-04 霍沃思公司 用于座椅的腰部垫
US7971934B2 (en) * 2008-12-18 2011-07-05 La-Z-Boy Incorporated Lumbar support system for furniture member
US8454090B2 (en) * 2009-09-14 2013-06-04 Leggett & Platt Canada Co. Pelvic and lumbar support system
US8439441B2 (en) * 2010-09-29 2013-05-14 Lear Corporation Adjustable lumbar assembly for vehicle seats
US10632882B2 (en) * 2012-09-13 2020-04-28 Leggett & Platt Canada Co. Lumbar support system
US9193287B2 (en) * 2012-09-13 2015-11-24 Leggett & Platt Canada Co. Lumbar support system
KR102327474B1 (ko) * 2014-01-15 2021-11-16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요추 지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034A (ja) * 1993-12-24 1997-07-15 ヘンダーソンズ・インダストリーズ・ピーテイワイ・リミテツド 調整式腰部支持具
US20100268133A1 (en) * 2007-11-07 2010-10-21 Maxime Samai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JP2011502595A (ja) * 2007-11-07 2011-01-27 エル アンド ピー スイス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支持アセンブリ及び対応する座席構造体
US20140070583A1 (en) * 2012-09-13 2014-03-13 Robert J. McMillen Lumbar support system
US20140125102A1 (en) * 2012-09-13 2014-05-08 Leggett & Platt Canada Co. Lumbar support system
US20160059757A1 (en) * 2012-09-13 2016-03-03 Leggett & Platt Canada Co. Lumbar sup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69993A (zh) 2020-09-15
EP3745923A4 (en) 2021-10-06
WO2019148266A1 (en) 2019-08-08
EP3745923A1 (en) 2020-12-09
KR102409252B1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2882B2 (en) Lumbar support system
US9764670B2 (en) Lumbar support system
US9199565B2 (en) Lumbar support system
JP3608790B2 (ja) 調整式腰部支持具
US8840186B2 (e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KR102327474B1 (ko) 요추 지지 시스템
US7611199B2 (en) Seat back adjustment mechanism
KR100779809B1 (ko) 착석 유닛용 제어 기구
DE60211708T2 (de) Oberes rückenlehneteil für einen sitz
US8454090B2 (en) Pelvic and lumbar support system
EP0714808A2 (en) Seat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US20110266849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ardness and geometry of seating elements of a motor vehicle seat
JPH08502187A (ja) 可調節型の腰支持具
WO2009059648A1 (e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KR20060033708A (ko) 조절가능한 서포트 시스템을 가지는 시트
WO1998053723A1 (en)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EP1566120A1 (de) Rückenlehne, insbesondere für einen Bürostuhl
WO2000029249A1 (de) Fahrzeugsitz
US20060178603A1 (en) Lumbar adjustable support integrated with massage system
US20090218863A1 (en) Furniture Member Lumbar Support System
US20090091169A1 (en) Lumbar support for a motor vehicle seat
US10251487B2 (en) Seat assembly having a thoracic support mechanism
US6837543B2 (en) Seat, for automobiles or the like
KR20200099608A (ko) 요추 지지 시스템
KR101263229B1 (ko) 시트 등받이의 돌출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