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495A -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495A
KR20200099495A KR1020200017785A KR20200017785A KR20200099495A KR 20200099495 A KR20200099495 A KR 20200099495A KR 1020200017785 A KR1020200017785 A KR 1020200017785A KR 20200017785 A KR20200017785 A KR 20200017785A KR 20200099495 A KR20200099495 A KR 2020009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n2
diabetic
preventing
dysfunction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471B1 (ko
Inventor
석경호
아눕부살
라흐만하비부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9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58Neurologic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 G01N33/502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on expression patter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 G01N33/503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on sub-cellular loca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병 마우스의 좌골 신경(sciatic nerve) 및 배근 신경절(dorsal root ganglia; DRG)에서 LCN2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LCN2 유전자를 결핍시키면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LCN2 억제제가 당뇨병성 신경손상질환, 구체적으로 통증, 저린감, 무감각, 쥐가 남, 족부궤양, 안정 시 빈맥, 기립성 저혈압(어지러움, 현기증, 실신, 시력장애, 쇠약감, 두통), 심장탈신경증후군, 변비, 당뇨병성설사, 방광기능이상, 성기능장애, 체온조절장애, 저혈당무감지증, 동공기능장애와 같은 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escription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neuropathy comprising LCN2 inhibitor}
본 발명은 리포칼린 2(Lipocalin-2;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당뇨성 신경손상질환(Diabetic neuropathy; DN)은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한 신경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증후군이다. 여러 연구 결과, 신경손상 질환에 이르는 구조적 및 기능적 신경 손상을 야기하는데 여러 수준에서 상호작용하여, 지속적인 고혈당과 염증 경로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불운하게도, 현재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에 대해 FDA-승인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진행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임상 시험은 모두 실패하였다. 더구나,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병리 기작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표적 치료제의 개발도 지체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발병 기작을 이해하는 것은 이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표적을 탐색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호중구 젤라티네이즈-관련 리포칼린(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또는 LCN2는 25-kDa 단백질로서, 리포칼린 슈퍼패밀리 멤버에 속한다. 최근, 여러 질환 모델에서 LCN2는 무균성 신경염증의 신규 표지자, 대식세포 분극화의 조절자, 퍼록시좀 증식자-활성 수용체-감마의 조절자로서 보고되었다. 한편, 동물 및 인간 개체 모두에 있어, LCN2는 여러 대사 장애에서 상향 조절되는 신규 염증 마커로서 보고되었다. 다만, 당뇨병에 따른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에 있어서, LCN2 발현에 대한 영향은 완전히 연구되고 있지 않다. 최근, 당뇨병 동물에서의 신경염증에 대해 보고되었고, 여러 질환 모델에서 염증성 미세환경이 신경퇴행성 표현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LCN2가 자가면역 뇌척수염 및 시신경염과 같은 탈수초성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보고되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여러 동물 모델에서 LCN2는 과민성 통증의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CN2는 염증, 통증, 수초화(myelination) 및 신경퇴행의 조절자로 보고되었으나, 당뇨성 신경손상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6606호 (2015.12.04. 등록)
이에, 본 발명에서는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병 마우스의 좌골 신경(sciatic nerve) 및 배근 신경절(dorsal root ganglia; DRG)에서 LCN2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LCN2 유전자를 결핍시키면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LCN2 억제제가 당뇨병성 신경손상질환, 구체적으로 통증, 저린감, 무감각, 쥐가 남, 족부궤양, 안정 시 빈맥, 기립성 저혈압(어지러움, 현기증, 실신, 시력장애, 쇠약감, 두통), 심장탈신경증후군, 변비, 당뇨병성설사, 방광기능이상, 성기능장애, 체온조절장애, 저혈당무감지증, 동공기능장애와 같은 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도 1은 당뇨병 마우스의 좌골 신경 및 후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DRG) 내 LCN2의 발현 결과를 나타낸다. MLDS 투여 8주 후, 좌골 신경 및 DRG 내 LCN2 단백질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A 및 B). HDS 투여 3주 후, 상기 조직에서 유사한 수준의 LCN2 단백질 상향 조절을 검출하였다(C 및 D). *p < 0.05 versus 비히클-처리 대조군 동물; Student's t-test; 각 그룹당 n=3;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나타냈다. MLDS, 저농도의 STZ를 다중 투여; HDS, 고농도의 STZ를 단일 투여; LCN2, 리포칼린-2(Lipocalin-2); w, 주(weeks); SEM, 평균의 표준편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도 2는 당뇨 유도 후 좌골 신경 및 DRG의 아교세포 상에 동시-위치하는 LCN2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MLDS 투여 8주 후, 좌골 신경 및 DRG 조직에서 S100(슈반세포 및 위성 아교세포 마커)과 동시-위치하는 LCN2에 대한 결과이다(A 및 B). 화살표는 이중-표지된 세포를 나타낸다. 스케일 바: 100 ㎛(좌골 신경 조직) 및 50㎛ (DRG 조직). MLDS, 저농도의 STZ를 다중 투여; LCN2, 리포칼린-2(Lipocalin-2); S100, S100 칼슘-결합 단백질 B; w, 주(weeks).
도 3은 당뇨 유도 후 좌골 신경 및 DRG의 염증 반응에 대한 Lcn2 -결핍 효과를 나타낸다. 좌골 신경 및 DRG 내 TNF-α 단백질 함량을 ELISA로 측정하였고, MLDS 투여 8주 후, pg/mg 전체 단백질로 기록하였다(A 및 C). Iba-1 (대식세포 마커)로 침윤된 대식세포를, GFAP로 활성화된 위성 아교세포를, DAPI로 핵을 면역형광염색한 결과이다(B, D 및 E). *p < 0.05 versus 비히클-처리 대조군 동물; #p < 0.05 between the indicated groups; Student's t-test; 각 그룹당 n= 3;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나타냈다. 스케일 바, 100 ㎛. WT, 야생형(wild type); KO, 넉아웃(knockout); MLDS, 저농도의 STZ를 다중 투여; w, 주(weeks); SEM, 평균의 표준편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도 4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에 대한 Lcn2 결핍 효과를 나타낸다. 대조군 및 당뇨병 마우스 유래 대표적인 피부 절편은 PGP9.5 (신경 섬유 마커) 및 collagen IV (표피에서 진피로 분리되는 기저막 마커)로 염색되었다. 표피 내로 통과하는 다중 자유 신경 말단을 가시화하였다(화살표)(A). MLDS 투여 8주 후, 운동 및 감각 신경 전도 속도 (MNCV 및 SNCV)를 측정하였다(B). MLDS 투여 8주 후, 좌골 신경 및 DRG의 H&E 염색을 수행하였다(C 및 E). 당뇨 유도 8주 후, 플루오로미엘린으로 좌골 신경을 면역형광염색 수행하였다(D). *p < 0.05 versus 비히클-처리 대조군 동물; #p < 0.05 between the indicated groups; Student's t-test; 각 그룹당 n= 3;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나타냈다. 스케일 바, 100 ㎛ (PGP 9.5 및 collagen IV 염색 이미지) 및 50 ㎛ (H&E 및 플루오로미엘린 염색 이미지). WT, 야생형(wild type); KO, 넉아웃(knockout); MLDS, 저농도의 STZ를 다중 투여; w, 주(weeks); SEM, 평균의 표준편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말초신경계에서의 LCN2 발현을 확인하고,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진행에 있어 이의 병리학적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서,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TZ) 유도된 당뇨병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에 대한 신규 약물 개발에 있어, LCN2가 새로운 잠재적 표적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LCN2 발현 억제제는 Lcn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또는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 shRNA)일 수 있고, 상기 LCN2 활성 억제제는 LC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앱타머, 항체 또는 천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은 당뇨에 의한 통증, 저린감, 무감각, 쥐가 남, 족부궤양, 안정 시 빈맥, 기립성 저혈압, 심장탈신경증후군, 변비, 당뇨병성설사, 방광기능이상, 성기능장애, 체온조절장애, 저혈당무감지증 또는 동공기능장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화학물질, 뉴클레오타이드, 안티센스, 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복합 제제는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의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제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캡슐제, 좌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성인의 경우,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화합물일 경우 0.1ng/kg~10g/kg,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또는 항체일 경우 0.1ng/kg~10g/kg,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siRNA, shRNAi, miRNA일 경우 0.01ng/kg~10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LCN2 발현 억제제는 Lcn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또는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 shRNA)일 수 있고, 상기 LCN2 활성 억제제는 LC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앱타머, 항체 또는 천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은 당뇨에 의한 통증, 저린감, 무감각, 쥐가 남, 족부궤양, 안정 시 빈맥, 기립성 저혈압, 심장탈신경증후군, 변비, 당뇨병성설사, 방광기능이상, 성기능장애, 체온조절장애, 저혈당무감지증 또는 동공기능장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하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험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 마우스 사육 및 관리
수컷 C57BL/6 마우스 (Samtako, Osan, South Korea) 및 순수 C57BL/6 배경의 Lcn2-/- 마우스를 12 시간의 명암 주기(lights on 07:00-19:00)로, 23 ± 2 ℃의 일정한 온도 조건하에서, 음식 및 물은 마음대로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육하였다. Lcn2-/- 마우스는 Dr. Shizuo Akira (Osaka University, Japan)로부터 제공받았다. 표현형에 있어 배경 효과가 없는 동형접합 동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Lcn2+/+ 및 Lcn2-/- 마우스는 C57BL/6 배경에서 8 내지 10 세대 역교배시켰다. 모든 실험은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동물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고, 사용된 동물의 수 및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수컷 Lcn2 야생형 (WT, Lcn2+/+) 및 Lcn2-넉아웃 (KO, Lcn2-/-) 마우스는 8-10주령에 사용되었다.
2. 당뇨 유도
동일 배경 (C57BL/6)을 가진, 연령을 일치시킨 Lcn2-넉아웃 (KO, Lcn2-/-) 마우스 및 Lcn2 야생형 (WT, Lcn2+/+) 마우스를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2개의 실험 프로토콜을 약간 변형시켜, 당뇨 유도에 사용하였다. 첫째로, 저농도의 STZ를 다중 투여하여 (MLDS; 40 mg STZ/kg 체중으로 5 일 연속), 췌장 β-세포독성 효과 및 STZ-특이적 T-세포 의존성 면역 반응을 모두 유도하였다. 둘째로, 고농도의 STZ를 단일 투여하여 (HDS; 150 mg/kg 체중), 췌장 β-세포에 직접적인 독성을 유발시켰는데, 이는 48-72 h 내에 괴사를 일으키고, 영구적인 고혈당을 유도시킨다. STZ 투여 첫 날을 day 0으로 명명하였다. 투여 3일 후, 꼬리 정맥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고, SD CodeFreeTM glucometer (SD Biosensor Inc., Suwon, Korea)를 사용하여 당혈증(glycemia)을 측정하였다. 공복혈당 수치가 >260 mg/dl인 동물은 당뇨로 판단하였다.
3. 웨스턴 블랏 분석
단백질 분해효소 및 포스파테이즈 억제제 혼합물 Roche, Basel, Switzerland)이 포함된 단백질 용해 완충액 (20 mM HEPES, pH 7.0, 20 mM NaCl, 10% glycerol, 0.5% Triton X-100)에서, 좌골 신경 및 후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DRG) 조직을 균질화시켰고, 4℃에서 13,000g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상등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겼고, BCA kit (Thermo Scientific, Waltham, MA)를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 동량의 단백질을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12-15 %) 상에 로딩하였다. SDS-PAGE를 통해 분리된 단백질들을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멤브레인(PVDF; Bio-Rad, Hercules, CA) 상에 electrophoretic transfer system (Bio-Rad Laboratories)을 이용하여 전기블랏팅하였고, 멤브레인들은 4℃에서 밤새도록 다음의 1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켰다: goat lipocalin-2 (LCN2, 1:500; R&D Systems, Inc., Minneapolis, Canada) 및 mouse anti-α-tubulin (α-tubulin, 1:1000; Sigma-Aldrich, Missouri, United States). 세척 후, 멤브레인을 horseradish peroxidase-접합된 특이 2차 항체 (1:2000; Sigma-Aldrich)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 (Thermo Scientific)로 블랏들을 처리하였고, Micro Chemi system (DNR Bio-imaging Systems, Jerusalem, Israel)으로 분석하였다.
4.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좌골 신경 및 DRG 내 TNF-α 단백질의 수준은 마우스 TNF-α ELISA kit (R&D Syste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좌골 신경 또는 DRG 조직을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준화를 위해, 마우스 재조합 TNF-α를 31.3 내지 2000 pg/ml 농도 범위에서 사용하였고, 흡광도는 450 및 540 nm에서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2번 반복 분석을 통해 얻어냈다.
5. 면역형광분석과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aematoxylin and eosin; H&E) 염색
마우스를 깊게 마취시켰고, 0.1 M PBS (pH 7.4)에 녹인 0.9% NaCl 및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용액을 이용하여, 심장 내 관류-고정에 적용하였다. 분리된 조직은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24시간 동안 침수(immersion)-고정시켰다. 저온보관을 위해, 좌골 신경 및 DRG를 30% 수크로스로 반응시켰고, OCT 화합물 (Tissue-Tek; Sakura Finetek USA, Torrance, CA)로 포매하였으며, 염색은 이전 보고에서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Glia 65(9), 2017, 1471-1490). 조직 절편 (10-μm 두께)은 포스페이트-완충된 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헹구었고, 다음의 1차 항체로 밤새도록 반응시켰다: goat lipocalin-2 (LCN2, 1:100; R&D Systems, Inc., Minneapolis, Canada), rabbit anti-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 1 (Iba-1, 1:200; Wako, Osaka, Japan), rabbit S100 calcium-binding protein (S100, 1:500; Glostrup, Denmark), rabbit anti-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1:500; Dako, Denmark). 1차 항체로 반응시킨 후, 절편들을 헹구었고, FITC 접합 및 Cy3-접합된 2차 항체 (1:200; Jackson ImmunoResearch, West Grove, PA)로 반응시켰다. 슬라이드를 씻어낸 후, Vectashield mounting medium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로 커버슬립하였다. 플루오로미엘린 염색을 위해, 우선 조직 절편들을 PBS에서 재수화시킨 후, fluoromyelin green fluorescent myelin stain (1:300; Invitrogen, California)으로 상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조직들을 PBS로 10분 동안 각각 3번 씻어냈고, DAPI로 마운팅하였다. 유사하게, 조직들을 Harris' H & E 용액으로 염색시켰다. 추가적으로 면역형광 및 H&E 염색된 조직들은 형광 현미경 및 명시야 현미경을 통해 각각 가시화되었다.
6. 표피 내 신경 섬유 밀도( Intraepidermal nerve fiber density; IENFD )
표피 내 신경 섬유 밀도는 뒷발 발바닥에서 실험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동물 관류 전에 뒷발의 표면으로부터 발바닥을 수집하였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24 h 동안 고정시켰으며, 수크로스 구배 및 OCT 포매를 통하여 저온보관시켰다.
rabbit anti-protein gene product 9.5 antibody (anti-PGP 9.5, 1:1000; Ultraclone, Isle of Wight, UK) 및 goat collagen IV (collagen IV, 1:200; Southern Biotechnology Associates, Inc., Birmingham, AL)로, 10-μm의 발바닥 절편을 염색시켰다. IENF 밀도 분석은 형광 현미경 (Leica Microsystems, DM2500,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멤브레인을 통과한 후 갈라진 섬유들이 하나의 섬유로 계수되도록, 기저막을 통과시킨 후, 개별적인 IENFs를 계수하였다. 데이터는 밀리미터 길이 당 섬유의 수로 표시하였다.
7. 신경 전도 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 측정
NCV는 좌골 신경에서 측정하였다. 마우스는 케타민 및 자일라진 조합으로 마취시켰고, 가열패드를 사용하여 체온을 37℃로 유지시켰다. 최적 전도도를 위해, 접촉 젤을 사용한 링 전극이 사용되었다. 센싱 전극은 비복근이 최대 직경을 갖는 지점에 위치시켰고, 대조 전극은 센싱 전극 바로 아래 위치시켰다. 운동 신경 전도 속도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측정을 위해, 센싱 전극으로부터 4 mm 근접 거리 및 16 mm 말단 거리에서 양극성 바늘 전극을 이용하여, 좌골 신경을 단일 초극대 구형파 펄스(0.3Hz 및 1KHz의 저주파 및 고주파 통과 필터 설정으로 5-10mA 및 100ms 지속 시간, 기타 설정으로 지연 시작 0.2s, 최대 반복속도 1 Hz, 반복 1-∞, 펄스 폭 0.02ms)로 자극시켰다. Lab Chart 8 software를 이용하여 개인 컴퓨터를 통해, 복합 운동 활동 전위 (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 CMAP)를 기록하였고 (AD Instruments, Model FE180, Castle Hill, Australia), 증폭, 저장, 표시 및 디지털화시켰다. MNCV (in m/s)는 자극된 전극 사이의 거리를 평균 대기 시간 차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유사하게, 감각 신경 전도 속도(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SNCV)에 대해서는 자극 부위를 역전시켰고, 좌골 신경은 100ms 지속 시간의 구형파 펄스로 자극시켰다. 복합 근육 활동 전위(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s)를 기록하였고, SNCV는 기록된 전극 사이의 거리를 평균 대기 시간 차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모든 측정은 각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3번 반복하였다.
8. 정량화 및 통계 분석
웨스턴 블랏 밴드 세기를 정량화하기 위해서, ImageJ softwar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를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GraphPad Software (GraphPad Software, La Jolla, CA, USA)로 수행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 ± 평균의 표준편차(standard errors of the mean; SEM)로 나타냈다. 통계 비교는 Student's t tes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0.05 미만(p < 0.05)의 p 수치에 따른 편차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실시예 1> 당뇨병 마우스의 좌골 신경 및 DRG 내에서의 LCN2의 발현 향상
말초 신경손상질환에서 LCN2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 본 발명자들은 당뇨 유도 이후 좌골 신경 및 후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DRG)에서 LCN2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8주의 MLDS(도 1A 및 도 1B) 및 3주의 HDS (도 1C 및 도 1D) 투여에서, LCN2 단백질은 좌골 신경 및 DRG 조직 모두에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LCN2를 발현하는 좌골 신경 및 DRG에서 세포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S100과 함께 LCN2를 이중 면역염색한 결과(좌골신경 내 슈반세포 마커 및 DRG 내 위성 아교세포 마커), MLDS 투여 8주 후, LCN2는 주로 좌골신경의 슈반세포 및 DRG의 위성 아교세포에 동시-위치하였다(도 2A 및 도 2B). 이는 당뇨병 동물의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에서 LCN2를 발현하는 주요 세포 형태가 아교세포라는 것을 나타낸다. 비히클-투여 대조군 동물의 좌골 신경 또는 DRG 조직에서는 LCN2에 대한 의미 있는 면역반응이 관측되지 않았다(도 2A 및 도 2B). 상기 결과는, PNS 내 아교세포를 통해 발현된 LCN2가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진행에 있어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 실시예 2> Lcn2 결핍에 의한 당뇨 유도 후 좌골 신경 및 DRG 내 염증 반응 약화
본 발명에서, 당뇨 유도에 의해 좌골 신경 및 DRG 조직 모두에서 TNF-α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킨 반면, Lcn2 KO 마우스에서는 TNF-α 발현을 상당히 약화시켰다. 비히클-투여 대조군 그룹에서는 염증 사이토카인의 유도가 관측되지 않았다(도 3A 및 도 3B). 더구나, 이전에 LCN2 단백질은 케모카인 유도인자로 작용하고, 추가적인 염증성 면역세포를 수집하여 신경염증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식세포를 표지하기 위해서 좌골 신경 조직을 anti-Iba-1로 면역염색하였다. 면역형광분석 결과, MLDS 투여 8주 후에 좌골 신경 내 대식세포의 침윤이 확인되었다. Lcn2-결핍 마우스의 당뇨성 좌골 신경 내에서 Iba-1-양성 대식세포는 상당히 감소하였다(도 3B). 유사하게,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 마우스의 DRG 조직에서 위성 아교세포의 활성 및 대식세포 침윤을 관측하였는데, Lcn2 결핍에 의해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D 및 도 3E). 종합하면, 상기 결과는 당뇨 상태에서 LCN2가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진행에 필요 조건인 염증 사이토카인의 유도 및 염증성 침윤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 실시예 3> Lcn2 결핍에 의한 당뇨병 마우스의 좌골 신경 및 DRG 내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표현형 약화
좌골 신경 및 DRG 모두에서의 LCN2 발현 및 염증 반응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MLDS 투여 8주 후, WT 및 Lcn2 KO 마우스 사이의 신경손상질환 표현형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우선 뒷발 조직의 면역염색을 수행하여, 표피 내 신경 섬유 밀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전체-신경 마커인 PGP9.5 및 표피 진피 경계에 있는 기저막 마커인 콜라겐 IV로 염색함으로써, 마우스 뒷발의 발바닥 피부에서 표피 내 신경 섬유 밀도를 계산하였다(도 4A). 표피 내 신경 섬유 밀도의 정량화 결과, MLDS 투여 8주 후, Lcn2 KO 마우스에 비해 WT 당뇨병 마우스에서 신경 섬유의 상당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더구나, MLDS 투여 8주 후, 좌골 신경의 신경 전도 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 동물에 비해 운동 및 감각 신경 전도 속도에서 모두 상당한 감소를 나타냈다(도 4B). 반면, MLDS 투여 8주 후, Lcn2 결핍은 당뇨로 유도된 운동 및 감각 신경 전도 속도 감소를 상당히 약화시켰다(도 4B). 상기 결과로 MLDS 당뇨병 마우스 모델에서 말초 신경손상질환을 확인하였고, Lcn2 유전자의 결실은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표현형을 되돌린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당뇨-유도에 따른 말초 신경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좌골 신경에 대한 H&E 및 플루오로미엘린 염색을 수행하였다. 이전의 보고에 따르면, 당뇨병 마우스는 느슨하고, 얇고, 조직이 파괴된 수초의 신경 섬유를 나타냈다. 좌골 신경 내 몇몇 신경 섬유들은 탈수초화되었고, 층상 공간이 확대되었으며, 서로 분리되었다. 비히클-투여 대조군 동물에 비해 STZ 투여 8주 후에 축삭 위축(axonal atrophy)이 가시적 징후로 확인되었다. 반면, Lcn2-결핍 동물 유래 좌골 신경은 당뇨-유도 형태 변형에 일부 저항성을 보였다(도 4C 및 도 4D). 유사하게, 공포화된(vacuolated) 뉴런이 당뇨병 마우스의 DRG에서 현저하게 관측되었는데, 이는 Lcn2 결핍에 의해 약화되었다(도 4E). 상기 결과는 LCN2가 당뇨성 좌골 신경 및 DRG의 구조적 및 기능적 변경에 관련되어 있으며,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의 발병에 기여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리포칼린 2(Lipocalin-2;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N2 발현 억제제는 Lcn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및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 shRN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N2 활성 억제제는 LC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앱타머, 항체 및 천연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은 당뇨에 의한 통증, 저린감, 무감각, 쥐가 남, 족부궤양, 안정 시 빈맥, 기립성 저혈압, 심장탈신경증후군, 변비, 당뇨병성설사, 방광기능이상, 성기능장애, 체온조절장애, 저혈당무감지증 또는 동공기능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LCN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CN2 발현 억제제는 Lcn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및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 shRN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CN2 활성 억제제는 LC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앱타머, 항체 및 천연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성 신경손상질환은 당뇨에 의한 통증, 저린감, 무감각, 쥐가 남, 족부궤양, 안정 시 빈맥, 기립성 저혈압, 심장탈신경증후군, 변비, 당뇨병성설사, 방광기능이상, 성기능장애, 체온조절장애, 저혈당무감지증 또는 동공기능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017785A 2019-02-14 2020-02-13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8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26 2019-02-14
KR20190017326 2019-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95A true KR20200099495A (ko) 2020-08-24
KR102328471B1 KR102328471B1 (ko) 2021-11-18

Family

ID=7223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785A KR102328471B1 (ko) 2019-02-14 2020-02-13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418A (ko) 2021-11-08 2023-05-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Lcn2 단백질 또는 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0578A1 (en) * 2006-10-20 2010-12-09 The University Of Hong Kong Use of lipocalin-2 as a diagnostic 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KR20140081683A (ko) * 2012-12-21 2014-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완화용 조성물
KR20150040185A (ko) * 2013-10-04 2015-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0578A1 (en) * 2006-10-20 2010-12-09 The University Of Hong Kong Use of lipocalin-2 as a diagnostic 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KR20140081683A (ko) * 2012-12-21 2014-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완화용 조성물
KR101576606B1 (ko) 2012-12-21 2015-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완화용 조성물
KR20150040185A (ko) * 2013-10-04 2015-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on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8, No. 33, 2013, pp. 24116-2412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418A (ko) 2021-11-08 2023-05-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Lcn2 단백질 또는 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471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o et al. TXNIP positively regulates the autophagy and apoptosis in the rat müller cell of diabetic retinopathy
Lagos-Cabré et al. α V β 3 Integrin regulates astrocyte reactivity
Zhong et al. Activa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by hyperglycemia is essential for Müller cell–derived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diabetes
Reed et al. Inhibition of FoxO transcriptional activity prevents muscle fiber atrophy during cachexia and induces hypertrophy
Lin et al. Lung epithelial TRPA1 transduces the extracellular ROS into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lung inflammation induced by cigarette smoke: the role of influxed Ca2+
Ding et al. Advanced oxidation protein products sensitized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via NADPH oxidase 1 and 4 to cause mechanical hyperalgesia
Huang et al. E rythropoietin reduces nerve demyelination, neuropathic pain behavior and microglial MAPK s activation through erythropoietin receptors on S chwann cells in a rat model of peripheral neuropathy
Bhusal et al. Satellite glia as a critical component of diabetic neuropathy: role of lipocalin‐2 and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2 axis in the dorsal root ganglion
Ortmann et al. Decrease in neuroimmune activation by HSV-mediated gene transfer of TNFα soluble receptor alleviates pain in rats with diabetic neuropathy
Liu et al. Deubiquitinase USP18 regulates reactive astrogliosis by stabilizing SOX9
Wu et al. Third‐Degree Hindpaw Burn Injury Induced Apoptosis of Lumbar Spinal Cord Ventral Horn Motor Neurons and Sciatic Nerve and Muscle Atrophy in Rats
Mohamed et al. Deletion of the neurotrophin receptor p75NTR prevents diabetes-induced retinal acellular capillaries in streptozotocin-induced mouse diabetic model
Kobayashi et al. Tenascin-C secreted by transdifferentiated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promotes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via integrin αV
Cammalleri et al. The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system as drug target in retinitis pigmentosa: New pre‐clinical evidence in the rd10 mouse model
You et al. Cysteine-rich 61, a member of the CCN family, as a factor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Chen et al. CREB/ATF3 signaling mediates indoxyl sulfate-induc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neointimal formation in uremia
US20080214491A1 (en) Methods of Inhibiting the Interaction Between S100 and the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KR102328471B1 (ko)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hung et al. Neutralizing antibody to proNGF rescues erectile function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neurotrophic and angiogenic factors in a mouse model of cavernous nerve injury
Ou et al. Müller cells stabilize microvasculature through hypoxic preconditioning
Quan et al. VEGF production is regulated by the AKT/ERK1/2 signaling pathway and controls the proliferation of toxoplasma gondii in ARPE-19 cells
Wareham et al. Interleukin-6 promotes microtubule stability in axons via Stat3 protein–protein interactions
Dai et al. Dl-3-n-butylphthalide promotes angiogenesis in ischemic stroke mice through upregulating autocrine and paracrine sonic hedgehog
JP6607655B1 (ja) リポカリン型プロスタグランジンd2合成酵素産生促進剤
Sun et al. BASP1 promotes high glucose‐induced endothelial apoptosis in diabetes via activation of EGFR sign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