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429A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429A
KR20200099429A KR1020190017413A KR20190017413A KR20200099429A KR 20200099429 A KR20200099429 A KR 20200099429A KR 1020190017413 A KR1020190017413 A KR 1020190017413A KR 20190017413 A KR20190017413 A KR 20190017413A KR 20200099429 A KR20200099429 A KR 20200099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sesame
sesame oil
memory
cognitive func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3855B1 (en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9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comprises: a drying step of drying black sesame;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black sesame dried through the drying step; and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black sesame oil by compressing the heat-treated black sesame.

Description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In more detai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that can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nd a food composition that exhibits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mprovement effect using the same.

인간의 뇌에는 모두 1000억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하며 이 들은 각 각 주위의 다른 신경세포들과 평균 1만개 정도의 시냅스(synapse)라고 하는 부위로 연결되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시냅스를 통하여 신경세포들 사이에 긴밀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다. 신경세포들은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여 수용체(receptor)를 자극시키고 이를 통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인간의 두뇌가 기억을 저장하는 방식은 바로 시냅스의 연결강도를 지속적인 화학적, 전기적 자극을 통하여 강화하는 과정으로 이를 장기강화(long - term potentiation, LPT)라고 하며 이러한 지속적 자극을 통한 시냅스간의 신경전달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시냅스의 특성을 시냅스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이라고 한다.There are 100 billion neurons in all of the human brain, and they form a network with other neurons around each by an average of about 10,000 synapses. Through these synapses, clo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nerve cells, and at this time, it is the neurotransmitter that plays a mediating role. Neurons release neurotransmitters, stimulate receptors,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way the human brain stores memories is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synaptic connection strength through continuous chemical and electrical stimulation. This is called long-term potentiation (LPT), and the neural transmission network between synapses through such continuous stimulation. Synaptic plasticity is called synaptic plasticity.

신경전달물질에 의하여 시냅스(synapse)에서 정보 전달이 화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20세기 초에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 놀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DA), 가바(GABA), 글라이신 및 글루타민산 등을 통하여 두뇌 신경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The fact that information is transmitted chemically at synapses by neurotransmitters wa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Brain nerve action occurs through acetylcholine (ACh), norepinephrine, dopamine (DA), GABA, glycine and glutamic acid.

한편, 노화, 스트레스 또는 외상 등에 의하여 두뇌 신경 작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사회적 보면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의 특성, 정보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사회적 특성, 고령화 인구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노인성 질환들이 증가하는 연령적 특성이 맞물리면서 다양한 사회적 원인에 의하여 특히 학습 및 기억력이 퇴화되어 발생하는 질환들이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ging, stress, or trauma can cause problems in the brain's nerve function. In terms of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with high stress,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rapidly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the ag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population increasing accordingly, and the increase of senile diseases are combined. Diseases are occurring.

이는 가벼운 정도에 있어서는 불편 또는 사회 경쟁에 있어 불리한 일이 될 수 있으며,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된 경우에는 환자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큰 고통이 되고 있다.This can be uncomfortable or unfavorable for social competition at a mild degree, and when it develops into a serious disease, it causes great pain not only for the patient himself but also for the family.

따라서 작게는 스트레스로 인한 건망증으로 일상생활에서 크고 작은 불편을 겪기도 하며, 심각하게는 치매나 알츠하이머와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Therefore, at least as a result of forgetfulness due to stress, people may experience large and small discomfort in daily life, and seriously, problems may arise from serious diseases such as dementia or Alzheimer's.

건망증(Amnesia)은 기억장애의 하나로 잘 기억하지 못하거나 잊어버리는 정도가 심한 병적인 상태를 말하고, 순간밖에 경과하지 않았는데도 그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곧 잊어버리는 것을 전진성 건망증이라고 한다. 이는 대개 열병이나 중독상태에 있는 정신착란 같은 경우에 많이 나타나며, 또한 외상을 입었거나 졸도하였거나 머리에 전기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역행건망증이 일어난다. 이것은 처음에는 일단 기억해내기는 하지만, 얼마 지나서 기억을 재생하려고 하면 과거를 더듬어 한참 동안 이것저것 따져야만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두 가지 건망증이 함께 나타나는 일도 적지 않다. 이 밖에도 어떤 일정한 시기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사람의 경우는 그것만이 잊혀지는 부분건망증도 있다 Forgetfulness (Amnesia) is one of the memory disorders, which refers to a pathological condition in which people cannot remember or forget them well. Even though only a moment has elapsed, they cannot remember it and forget it soon, it is called progressive forgetfulness. This usually occurs in cases such as fever or mental confusion in addiction, and also retrograde forgetfulness occurs when trauma, fainting, or electric shock to the head occurs. This can be remembered at first, but if you try to recreate it after a while, you can only come up with it by following through the past for a whil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above two forgetfulnesses appear together. In addition, there are cases that appear only at certain times, and in some people, there is partial forgetfulness that only it is forgotten.

근래의 음료개발 동향에 의하면, 과거의 단순한 기호성 음료보다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여러 형태의 기능성 음료에 대하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능성 음료의 경우 기능성에만 치중하다 보면 자칫 기호성이 떨어지게 되어 수요자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하게 되는 까닭에 기능성 음료의 개발 초점은 기능성과 기호성을 어떻게 적절히 조화시키는가에 있다 할 것이다. 기능성 음료의 한 형태로 나름대로의 기호성을 갖는 기호성 음료에 한방 생약재 성분을 가미하여 생약재가 가지고 있는 약리작용을 통해서 기능성을 부가 또는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방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차류로서 인삼차, 구기자차, 오가피차, 결명자차 등의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그 종류는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한방 생약재류 차는 거의 단일 성분의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차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생약재가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나름대로의 약리작용 및 그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일부 수요자들에게는 음용되고 있긴 하나 기호성 면에서 커피나 녹차 등에 비해 대중적이지 못하고 확실한 약리작용을 기대하고 음용하는 수요자는 그리 많치 않은 실정이다.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beverage development, interest in various types of functional beverage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modern people's health rather than simple palatable beverages in the past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case of functional beverages, if the focus is only on functionality, the palatability is degraded and the consumer does not get a good response. Therefore, the focus of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s is on how to properly harmonize the functionality and palatability. As a form of functional beverage, research to add or improve functionality through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herbal medicines by adding herbal herbal ingredients to palatable beverages having their own palatabilit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Various types of tea, such as ginseng tea, Gugija tea, Ogapi tea, and Cassia tora tea, are known as teas containing herbal medicinal herbs as the main component, and the types are constantly increasing. However, these conventional herbal herbal teas are mostly single-component herbal medicines as the main component, and are being drunk by some consumers due to their own pharmacological action and anticipation, which are known to possess the herbal medicines that form the main component of tea. However, in terms of palatability, it is not popular compared to coffee or green tea, and there are not many consumers who drink with expectation of clear pharmacological action.

한편 치매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인지기능, 지적능력, 감정 및 행동변화 등에서 뚜렷한 손상을 나타내는 복합 임상 증후군으로서,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 능력 등의 대뇌피질 기능장애가 발생하여 일상,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태이다. 치매라고 정의할 때는 기억력을 포함하여 다른 인지기능 중 한 가지 이상의 장애가 있는 경우를 말하며, 단순히 기억력만 떨어진 경우는 치매라고 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dementia is a complex clinical syndrome in which human cognitive function, intellectual ability,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re clearly impaired. Cortical dysfunction such as memory, attention, language function, and spatiotemporal ability occurs, leading to daily and social life. It is in a state of having great difficulty. When defined as dementia, it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re is one or more disorders among other 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memory, and a case where only memory is lost is not called dementia.

치매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나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에서부터 뇌출혈, 대사성질환인 간성뇌병증, 윌슨병(Wilson's Disease), 감염성 질환인 신경매독, 후천성면역결핍증, 알코올과 같은 약물중독, 뇌외상 등 다양한 병인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는 중추신경계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은 치매를 유발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가 50 ~ 60 %로 가장 많으며, 뇌혈관 질환에 의한 치매가 그 다음이다.The causes of dementia include degenerative brain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or Parkinson's Disease, cerebral hemorrhage, metabolic hepatic encephalopathy, Wilson's diseas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neurosyphilis, acquired immunodeficiency, and alcohol There are various etiologies such as drug addiction and brain trauma, and diseases that can cause structural and functional abnormaliti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some forms can cause dementia. Among them, Alzheimer's disease-induced dementia is the most common with 50 to 60%, followed by cerebrovascular disease-induced dementia.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 수는 46만 명 정도이며, 2020년에는 70만 명, 2040년에는 2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p.132, 2008). 치매는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점과 그 증상의 특성 때문에 생활 불편 정도가 암과 같은 다른 중증 질환보다도 심하며, 환자의 관리와 보호에 드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부담 또한 크다. 노년인구의 급속한 증가속도와 치매유병률 추이로 미루어 볼 때, 치매는 사회적, 국가적 해결책이 필요한 과제임이 분명하다.Currently,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among the elderly over 65 in Korea is about 460,000, and it is estimated to reach 700,000 by 2020 and 2 million by 2040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revalence surve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p.132, 2008). Dementia requires long-term treatment and is more severe than other se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symptoms, and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burden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patients is also greater. Given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trend of the prevalence of dementia, it is clear that dementia is a task requiring social and national solutions.

기억 인지 장애는 알츠하이머 질환자들이 처음으로 겪는 증상이며 또한 가장 흔한 증상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초기에 환자들은 최근의 대화나 일의 내용을 자세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최근 기억(recent memory) 장애를 겪게 되는데, 이는 해마의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최근 기억을 저장하는 기능이 떨어진 데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먼 과거에 있었던 사건들에 대한 과거 기억(remote long-term memory)은 상대적으로 잘 유지된다. 그러나 병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장기기억의 저장과 관련된 대뇌피질이 손상되면서 이러한 과거의 기억도 점차 장애를 보이게 된다.Memory cognitive impairment is the first and most common symptom of Alzheimer's. In the early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suffer from a recent memory disorder in which they cannot remember the details of recent conversations or work in detail. This is due to damage to the hippocampal nerve cells and the ability to store recent memories. . However, during this period, remote long-term memory of events in the distant past is relatively well maintained. However, as the disease progresses, the cerebral cortex related to the storage of long-term memory is damaged, and these memories of the past gradually become impaired.

이러한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은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침착에 의한 세포독성뿐만 아니라 콜린신경계통의 시냅스 장애와도 관련이 깊다(PM et el., Interactions between the amyloid and cholinergic mechanisms in Alzheimer's disease. Neurochem Int., 53 : pp. 103-111, 2008). 콜린신경계통의 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질환자의 기억과 인지 기능 장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뇌의 Meynert 기저핵(basal nucleus of Meynert) 콜린성 뉴런은 측두엽, 해마 그리고 편도체(amygdala)와 연관되어 기억과 인지 기능에 관계하게 되는데,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뇌에서는 측두엽에서 78%, 해마에서 60%, Meynert 기저핵에서는 67%까지 신경세포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세포가 세포독성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면 어떠한 정보의 전달, 즉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장애가 있게 되며 이것이 기억인지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미 많은 연구자들이 알츠하이머병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과 이의 합성에 관계되는 효소(choline acetyltransferase)의 선택적인 감소를 꾸준히 보고하여 왔다. 더구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는 정상적인 사람의 뇌기능에 비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의 감소뿐만 아니라 콜린의 재흡수와 아세틸콜린의 분비 기능 또한 저하되어 있다.These symptoms of Alzheimer's disease are not only related to cytotoxicity caused by beta-amyloid deposition, but also to synaptic disorders of the cholinergic nervous system (PM et el., Interactions between the amyloid and cholinergic mechanisms in Alzheimer's disease. Neurochem Int., 53: pp. 103-111, 2008). Dysfunction of the cholinergic nervous system is known to contribute to memory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Meynert basal nucleus of Meynert cholinergic neurons of the forebrain are associated with the temporal lobe, hippocampus, and amygdala and are involved in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In the brain of Alzheimer's disease, 78% in the temporal lobe, 60% in the hippocampus, Meynert basal ganglia It is known that neurons decrease by 67% in When brain cells are damaged by cytotoxicity, there is a disorder in the transmission of certain information, that is, metabolism of neurotransmitters, which causes memory cognitive impairment. Already, many researchers have consistently reported selective reduction of acetylcholine and its synthesis-related enzyme (choline acetyltransferase) in Alzheimer's disease. Moreover, in the brain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compared to normal human brain function,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and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decreased, as well as choline reuptake and acetylcholine secretion. The function is also degraded.

이러한 콜린신경계통의 장애를 반전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콜린성 약물이 개발되었으나, 그 중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이고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hEI)이다.Various cholinergic drugs have been developed to reverse the disorders of the cholinergic nervous system, but among them, the most effective and widely used until now is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hEI).

현재 FDA의 승인을 얻어 시판되고 있는 것은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hamine)이 있으며, 이들 약물은 시냅스 틈에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농도를 높여 줌으로써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약물은 초반에는 인지 기능이나 일상생활의 호전을 보이나 9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나면 투여 이전 상태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병의 진행을 근본적으로 막지는 못한다. 비교적 조기에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중증 치매의 경우에는 효과가 미약하다. 공통적인 부작용으로 아세틸콜린의 증가로 인한 오심, 설사, 식욕감퇴, 현기증, 근육 경련, 수면 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실신을 동반하는 서맥이 있다. 이외에도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메만틴(memantine; NMDA 수용체 차단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은행잎 추출물 (ginko biloba), 중국 한약재에서 추출한 후페르진(huperzine A; 가역적 AChEI) 등이 있으며, 타우 단백,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의 형성, 침착 억제, 항산화, 항염증효과 등 알츠하이머병의 병리기전과 연관하여 다양한 치료제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Currently marketed with approval from the FDA are donepezil, rivastigmine, and galanthamine, and these drugs inhibit the decomposition of acetylcholine in the synaptic gap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to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Represents. These drugs show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fe at the beginning, but do not fundamentally prevent disease progression in that they return to the state before administration after 9 months to 1 year. The effect can only be seen if it is used relatively early, and the effect is weak in the case of severe dementia. Common side effects include nausea, diarrhea, loss of appetite, dizziness, muscle spasms, and sleep problems due to an increase in acetylcholine. Serious side effects include bradycardia accompanied by fainting. In addition, there are memantine (NMDA receptor blocker) that inhibits damage to nerve cells, ginkgo biloba extract (ginko biloba), which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and huperzine A (reversible AChEI) extracted from Chinese herbal medicine, and tau.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therapeutic agents related to the pathological mechanisms of Alzheimer's disease, such as protein and beta-amyloid protein formation, suppression of depositi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as been conducted.

특히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는 천연물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천연물은 섭취가 편리하고, 부작용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천연물은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natural products that do not have side effects such as side effects even after long-term use are in the spotlight. In general, natural products are convenient to consume and have the advantage of no side effects, but natural products that can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re in the spotlight. There is a problem of being quite limited.

이에 따라 기억력 및 인지기능을 향상에 관련된 인자 등을 활성화시키는 기능들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선정된 천연식물 소재들을 이용하여 기억력 및 인지기능장애를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물질과 이에 대한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ubstance that can cure and prevent memory and cognitive dysfun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by searching for functions that activate factors related to improving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and using natural plant materials selected therefrom. It is emerging.

KR 10-1049493 B1KR 10-1049493 B1 KR 10-2012-0029992 AKR 10-2012-0029992 A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which has an effect of improving memory,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흑임자 오일에 대한 제조공정을 개선하여 향미와 식감을 높여 우수한 기호성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우수한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태낼 수 있도록 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black sesame oil to enhance flavor and textur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consumed with excellent palatability, while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function to exhibit excellent cognitive and brain function improvement effects.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oi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showing an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function by using the method for preparing black sesame oil.

본 발명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showing the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function by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흑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ducing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step of drying black sesame seeds;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black sesame dried through the drying step; It may include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black sesame oil by compressing the heat-treated black sesame seeds.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may further include a filtering step of filtering and purifying the black sesame oil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after the extraction step.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정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ncludes a purification step of adding an additive including colloidal silica to the black sesame oil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before the filtration step and after the extraction step. It may be to include more.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흑임자를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 조성물과 혼합하여 방치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before the drying step, black sesame see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hloride, calcium carbonate, sodium chloride, xylase, sorbitol, mannitol, calactose, and mixtures thereof. It may be to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step of mixing and leaving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a.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nt extrac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임자 오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Black sesame o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증진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흑임자(黑荏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S2);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step of drying black sesame seeds (S1); A heat treatment step (S2) of heat-treating the black sesame dried through the drying step; It may include an extraction step (S3) of extracting black sesame oil by compressing the heat-treated black sesame seeds.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흑임자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이란 기억처리, 지각 및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인지기능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means improving 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processing, percep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학습능력증진은 집중력 및 기억력을 높여 학습과 관련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Enhancement of learning 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enhancing concentration and memory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related to learning.

상기 건조단계(S1)는 흑임자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일정 범위 이하가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drying step (S1) refers to drying the black sesame and treating the moisture content to be less than a certain range.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단계(S1) 적외선 건조 방식으로 건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 방식이란 적외선을 조사하여 대상물(피건조물)의 흡수열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인 열풍건조 등에 의하는 경우 수분의 증발과 함께 흑임자에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적외선 건조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의 제거 용이하기 때문에 흑임자에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건조과정을 진행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흑임자 오일에 잔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건조방식에 의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내는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된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rying step (S1) may be dried by an infrared drying method. The infrared dry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irradiating infrared rays and drying by absorption heat of an object (object to be dried). In the case of general hot air drying,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that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contained in black sesame are lost along with evaporation of moisture. However, in the case of infrared drying, since volatile substances contained in black sesame are easily removed, the drying process i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as much as possible the active ingredients that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nd the active ingredients remain in the black sesame oil. You can do i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infrared dry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epare black sesame oi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that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상기 열처리 단계(S2)는 상기 건조단계(S1) 후 흑임자에 열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조단계에서 높은 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를 한번에 진행하기 되면 흑임자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특히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가지는 성분이 상당부분 파괴된다.The heat treatment step (S2) refers to performing heat treatment on the black sesame after the drying step (S1). In the drying step, if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ime at a time,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black sesame seeds are destroyed. In particular, components that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re substantially destroyed.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흑임자 제조방법은 건조단계(S1) 거친 흑임자를 다시 열처리 단계(S2)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오일을 추출하기 전에 흑임자에 포함된 수분 함량을 일정한 범위로 낮추면서도 흑임자에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흑임자 오일의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black sesame production method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erforming the drying step (S1) and the heat treatment step (S2) of the coarse black sesame again, so that the water content contained in the black sesame is reduced to a certain range before extracting the oil, This is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mprovement effect of the black sesame oil by preventing the loss of active ingredients, which have an effect of improving function and memory.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단계(S2)는 적외선 건조 방식으로 열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방식에 의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상기 흑임자 오일의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eat treatment step (S2) may be heat treated by an infrared dry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infrared drying metho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mprovement effect of the black sesame oil by minimizing the loss of active ingredients that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상기 건조단계 및 열처리 단계의 온도 및 시간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하여 결정하는 범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단계의 처리온도는 상기 건조단계 보다 높은 온도로 처리되는 것이고, 상기 열처리 단계의 열처리 시간은 상기 건조단계의 건조 시간 보다 짧은 시간으로 열처리 되는 것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drying step and the heat treatment step include a range selected and determin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field. Preferably, the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heat treatment step is to be treat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drying step, and the heat treatment time in the heat treatment step may be heat treatment in a shorter time than the drying time in the drying step.

위와 같이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하는 경우 2단계의 건조단계 및 열처리에 의하는 과정에서 흑임자의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의 유효성분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풍미와 향미를 가지는 흑임자 오일을 제공하여 보다 우수한 기호성을 가진 상품으로 널리 보급되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tim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the drying step and heat treatment in the second step, the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of black sesame can be maintained high, as well as providing black sesame oil with high flavor and flavor.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as a product with better palatability.

상기 추출단계(S3)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오일 추출방법 또는 기타 착유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저온방식으로 오일 추출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 수득에 유리할 수 있다.The extraction step (S3) is assumed to include all oil extraction methods or other milking methods that can be us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Proceeding the oil extraction step in a low-temperature manner may be advantageous in obtaining an active ingredient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여과단계(S4)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may further include a filtering step (S4) of filtering and purifying the black sesame oil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after the extraction step.

상기 여과단계(S4)는 흑임자 오일의 오일 추출단계(S4)에서 흑임자 오일과 함께 수득되는 미세한 흑임자 찌꺼기 제거하여 흑임자 오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흑임자 찌꺼기를 제거하여 상기 흑임자 오일의 풍미를 높이고, 찌꺼기에 의한 가공과정에서의 탄화 문제 및 향미와 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filtering step (S4) is to provide black sesame oil by removing fine black sesame residues obtained with black sesame oil in the oil extraction step (S4) of black sesame oil. By removing the black sesame debr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avor of the black sesame oil, and to remove carbonization problems and factors affecting flavor and texture in the processing process due to the debris.

상기 여과단계(S4)에서 사용하는 여과방법은 여과포, 필터, 매쉬망 등을 사용하여 여과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 횟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filtration method used in the filtration step (S4) may be filtration using a filter cloth, filter, mesh net, etc., and includes all methods and number of times that can be us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정제단계(S3.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s a purification step of adding an additive containing colloidal silica to the black sesame oil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before the filtering step and after the extraction step ( S3.5)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정제단계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흑임자 찌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찌꺼기에 의한 탄화를 방지하고, 오일의 산패를 늦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흑임자 오일의 풍미와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refining step, by more effectively removing the black sesame debris contained in the black sesame oil, carbonization by the remnants contained in the black sesame oil can be prevented, the rancidity of the oil can be delayed, and the flavor and flavor of the black sesame oil can be enhanced. I can make i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흑임자 오일은 상기 흑임자의 착유과정에서 흑임자 찌꺼기가 오일 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찌꺼기는 흑임자 오일보다 비중이 낮은 것은 오일 위로 뜨고, 비중이 높은 것은 오일 아래 쪽에 가라앉는다. 또한 오일과 비중이 유사한 것은 오일 중간에 분산되어 분포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black sesame oil, black sesame debris remains in the oil during the milking process of the black sesame. Those with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black sesame oil float above the oil, and those with a higher specific gravity settle under the oil. Also, those with similar specific gravity to oil are dispersed and distributed in the middle of the oil.

상기 흑임자 찌꺼기는 흑임자 오일에 열을 가하는 경우 탄화되기 때문에 흑임자 오일의 풍미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흑임자 오일 자체의 산패를 촉진시키며, 흑임자 오일의 풍미와 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찌꺼기가 적을수록 고급 오일로 취급된다. 이에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흑임자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Since the black sesame residue is carbonized when heat is applied to the black sesame oil,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flavor of the black sesame oil, promoting rancidity of the black sesame oil itself, and deteriorating the flavor and flavor of the black sesame oil. Therefore, the less residue contained in black sesame oil, the more it is treated as a high-quality oi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remove the black sesame debris contained in the black sesame oil.

그러나 상기 찌꺼기는 그 비중이 흑임자 오일보다 높은 것, 낮은 것과 비슷한 것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 공정 외에 상기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흑임자 찌꺼기의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필터 공정에 의하는 경우에도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removing the remnants other than the filtering process because the remnants have higher and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ose of black sesame oil.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black sesame residue even in the case of a filter process because the size of the black sesame residue is varied.

따라서 상기 정제단계(S3.5)에서 콜로이달 실리카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콜로이달 실리카를 상기 흑임자 오일에 혼합하는 경우 상기 흑임자 찌꺼기를 흡착하여 흑임자 오일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상기 첨가제가 처리된 흑임자 오일의 상등부 액을 채취함으로서 흑임자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n additive containing colloidal silica in the purification step (S3.5),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When colloidal silica is mixed with the black sesame oil, the black sesame residue is adsorbed to sink to the bottom of the black sesame oi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collecting the supernatant liquid of the black sesame oil treated with the additive, black sesame debris can be completely removed.

바람직하게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100nm 이고 SiO2 함량이 25 내지 40%인 것이고, 흑임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lloidal silica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00 nm and a SiO 2 content of 25 to 40%,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to 0.0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black sesame oil.

콜로이달 실리카가 상기 물성 범위에 의하는 경우 흡착효율이 가장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흑임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가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흡착에 의한 찌꺼기 제거의 정제효과가 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0.0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콜로이달 실리카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찌꺼기 제거 층이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흑임자 오일 자체의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When colloidal silica is in the range of the above properties, the adsorption efficiency may be the best. In addition, if the colloidal silica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0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black sesame o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fining effect of debris removal by adsorption does not occur, and if it exceeds 0.005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colloidal silica is relat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black sesame oil itself are greatly deteriorated because it is increased and the debris removing layer is formed high.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흑임자를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 조성물과 혼합하여 방치하는 전처리 단계(S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before the drying step, black sesame see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hloride, calcium carbonate, sodium chloride, xylase, sorbitol, mannitol, calactose, and mixtures thereof. It may be to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step (S0) of mixing and leaving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a.

상기 전처리 단계(S0)에 의하는 경우 건조단계(S1) 및 열처리 단계(S2)에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의 유효성분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treatment step (S0), loss of active ingredient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n the drying step (S1) and the heat treatment step (S2)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nt extract.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 추출물은 루타바가(Brassica napobrassica) 추출물, 파스닙(Pastinaca sativa) 추출물 및 감나무 잎 추출물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에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의 유효성분의 활성을 높여 흑임자 오일에 포함되게 할 뿐만 아니라 흑임자 오일의 향미와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plant extract may be a mixture of rutabaga (Brassica napobrassica) extract, parsnip (Pastinaca sativa) extract, and persimmon leaf extract. In the case of the plant extrac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contained in black sesame oil so as to be included in black sesame oil, as well as enhance the flavor and flavor of black sesame oil.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각 식물의 열수추출물이 동결건조 된 것일 수 있다.The plant extract may be obtained by lyophilizing the hot water extract of each plant.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처리용 조성물을 루타바가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루타바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파스닙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감나무 잎 추출물 100 내지 30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mposition for pretreatment may include a rutabaga extract, and 3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parsnip extract and 100 to 300 parts by weight of the persimmon tree leaf extract may be mix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utabaga extract.

바람직하게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식물 추출물 0.1 내지 5 중량부,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0.01 내지 1 중량부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0.1 to 5 parts by weight of the plant extract, calcium chloride, calcium carbonate, sodium chloride, xylase, sorbitol, mannitol, calactose, and mixtures thereof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It may be mixed in 0.01 to 1 part by weight.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루타바가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루타바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파스닙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감나무 잎 추출물 100 내지 300 중량부가 혼합된 상기 식물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염화나트륨 및 만니톨의 혼합물을 0.1 내지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comprises a rutabaga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and 3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parsnip extract and 100 to 300 parts by weight of the persimmon tree leaf extract are mix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utabaga extract. It includes 1 to 2 parts by weight of the plant extract, and may be a mixture of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sodium chloride and mannitol.

상기 범위에 따른 조성물과 흑임자를 혼합시키고 일정시간 방치시키는 전처리 단계(S0)를 진행한 뒤에 건조단계(S1) 및 열처리 단계(S2)를 진행하는 경우 열처리 과정에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활성이 증가되어 흑임자 오일의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흑임자 오일의 풍미와 향미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drying step (S1) and the heat treatment step (S2) after the pretreatment step (S0) of mixing the composition and black sesame seeds according to the above range and leav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effective to show the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loss of ingredients, its activity is increased, which can greatly enhance th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mprovement effect of black sesame oil. In addition, when the pretreatment step is performed, the flavor and flavor of black sesame oil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임자 오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Black sesame o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흑임자 오일은 흑임자에서 추출은 기름을 말하는 것으로 흑임자유로 표현하여도 동일한 의미가 된다. 상기 흑임자 오일은 식품 또는 기타 화장료 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Black sesame oil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oil extracted from black sesame and has the same meaning even when expressed as black sesame oil. The black sesame oil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food or other cosmetic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는 두뇌 신경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을 말하며 기억력 감퇴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mprovement effec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ore smooth brain neural function and includes an effect of preventing memory los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증진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상기 기억력 또는 인지기능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또는 인지기능 관련 질환은 정신분열증, 파킨슨병, 헌팅톤병, 피크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알츠하이머, 우울증, 노화, 두부 외상, 뇌졸중, CNS 저산소증, 뇌 허혈증, 뇌염, 건망증, 외상성 뇌손상, 저혈당증,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신드롬, 약물중독, 뇌전증, 간질, 해마경화증, 두통, 치매, 전측두엽 변성, 종양, 정상뇌압수두증, HIV, 뇌혈관성질환, 뇌신경질환, 심혈관계 질환, 기억상실, 방사능 노출, 대사성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및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memory or cognitive function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eases related to memory or cognitive function are schizophrenia, Parkinson'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Peak's disease, Creutzfeldt-Jakob disease, Alzheimer's, depression, Aging, head trauma, stroke, CNS hypoxia, cerebral ischemia, encephalitis, forgetfulness, traumatic brain injury, hypoglycemia, Wernicke Korsakov syndrome, drug addiction, epilepsy, epilepsy, hippocampal sclerosis, headache, dementia, anterior temporal lobe degeneration, tumor, normal It is defined as including cerebral hydrocephalus, HIV, cerebrovascular disease, cranial nerve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memory loss, radiation exposure, metabolic disease, hypothyroidism,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본 발명은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흑임자 오일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black sesame oil that improves memory, cognitive and brain functions.

본 발명은 흑임자 오일에 대한 제조공정을 개선하여 향미와 식감을 높여 우수한 기호성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우수한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태낼 수 있도록 하는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that improves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black sesame oil to enhance flavor and textur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consumed with excellent palatability, while exhibiting excellent cognitive and brain function improvement effects.

본 발명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showing an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function by using the method for preparing black sesame oil.

본 발명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및 두뇌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showing the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function by using the method for preparing black sesame o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육상 미로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수중 미로 실험에 관한 것이다.
1 relates to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relates to a mouse land maze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relates to a mouse underwater maze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한편 본 발명에서 표기하는 S0은 전처리 단계, S1은 건조단계, S2는 열처리 단계, S3는 추출단계, S3.5는 정제단계, S4는 여과단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S0 is a pretreatment step, S1 is a drying step, S2 is a heat treatment step, S3 is an extraction step, S3.5 is a purification step, and S4 is a filtering step.

[제조예 1: 흑임자 오일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black sesame oil]

각 공정에 따른 효과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단계에 따라 흑임자 오일을 제조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each process, black sesame oil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steps shown in [Table 1] below.

T1T1 T2T2 T3T3 T4T4 T5T5 T6T6 S0S0 -- -- -- S0AS0A S0BS0B S0BS0B S1S1 S1AS1A S1BS1B S1BS1B S1BS1B S1BS1B S1BS1B S2S2 S2AS2A S2BS2B S2BS2B S2BS2B S2BS2B S2BS2B S3S3 S3S3 S3S3 S3S3 S3S3 S3S3 S3S3 S3.5S3.5 -- -- S3.5S3.5 -- -- S3.5S3.5 S4S4 S4S4 S4S4 S4S4 S4S4 S4S4 S4S4

- S0A: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0.3 중량부 혼합- SOA: Mixing 0.3 parts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 S0B: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0.3 중량부 및 루타바가 추출물, 파스닙 추출물 및 감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2 중량부로 혼합- S0B: A mixture of 0.3 parts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and a mixture of rutabaga extract, parsnip extract and persimmon leaf extract in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 S1A: 열풍건조- S1A: Hot air drying

- S1B: 적외선 건조- S1B: infrared drying

- S2A: 가열판을 통한 열처리- S2A: Heat treatment through heating plate

- S2A: 적외선 열처리- S2A: infrared heat treatment

- S3: 압착 추출- S3: compression extraction

- S3.5: 콜로이달 실리카를 첨가한 흑임자 찌꺼기를 흡착하는 정제 진행- S3.5: Purification proceeds to adsorb black sesame residue added with colloidal silica

- S4: 여과포를 이용한 2중 여과- S4: double filtration using a filter cloth

[실험예 1: 외관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Appearance evaluation]

상기 [표 1]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른 흑임자 오일을 동일한 용량과 크기의 공병에 담고 24 시간 지난 뒤 흑임자 오일에 잔류하는 흑임자 찌꺼기의 양과 오일의 색상을 유관으로 평가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하기의 지수는 T1을 기준(기준 값: 5)으로 하여 그 숫자가 작을수록 흑임자 오일에 잔류하는 흑임자 찌꺼기가 없다는 것으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또한 오일의 색상 역시 T1을 기준(기준 값: 5)으로 하여 그 지수가 작을수록 유관으로 보이는 투명도가 높은 것이므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Put black sesame oil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1] in an empty bottle of the same volume and size, and after 24 hours, the amount of black sesame residue remaining in the black sesame oil and the color of the oil were evaluated as a related factor and expressed as an index of 1 to 10. I made it. The following index is based on T1 (reference value: 5), and the smaller the number is, the more excellent the effect is that there is no black sesame residue remaining in the black sesame oil.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oil is also based on T1 (reference value: 5), and the smaller the index is, the higher the transparency that appears to be related, so the effect is excellent.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1T1 T2T2 T3T3 T4T4 T5T5 T6T6 찌꺼기 잔류량Residual amount of residue 55 55 1One 55 55 1One 투명도transparency 55 55 1One 55 55 1One

(단위: 지수)(Unit: index)

상기의 [표 2]을 참조하면, 정제단계(S3.5)를 진행하는 경우 흑임자 찌꺼기가 상당 부분 제거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정제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흑임자 찌꺼기의 함량이 매우 낮은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흑임자 오일은 그 향미와 풍미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산패 정도가 낮도 요리 과정에서 탄화문제가 낮기 때문에 사용범위를 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제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기호도와 활용성이 더 높은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abov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purification step (S3.5) is performed, a significant portion of black sesame debris is removed. Through this, when the refining step is performed, black sesame oil having a very low content of black sesame residue can be prepared. Such black sesame oil has a high flavor and flavor, as well as a low degree of rancidity, but has a low carbonization problem in the cooking proces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black sesame oil having higher preference and utility can be produced when performing the refining step.

[실험예 2: 향미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Flavor Evaluation]

본 발명의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의 향미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T1 내지 T6의 향미를 비교 평가하였다. 10인의 시험자가 향미를 평가하여 T1(지수: 5)과 비교하여 그 기호성 정도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향미가 우수한 것이다.In order to evaluate the flavor of the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black sesame oi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vors of the prepared T1 to T6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en testers evaluated the flavor, compared with T1 (index: 5), and evaluated the degree of palatability with an index of 1 to 10. The index below is the higher the number, the better the flavor.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T1T1 T2T2 T3T3 T4T4 T5T5 T6T6 향미Flavor 55 7.27.2 7.47.4 7.57.5 7.87.8 7.67.6

(단위: 지수)(Unit: index)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T2 내지 T4와 같이 적외선 건조 및 적외선 열처리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 오일의 향미가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T4 내지 T6와 같이 전처리 단계를 통하여 향미가 소폭 상승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상기 전처리 단계를 통하여 흑임자 오일의 향미가 저하되지 않으며 오히려 소폭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flavor of black sesame oil is increased when infrared drying and infrared heat treatment are performed as in T2 to T4.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lavor slightly increased through the pretreatment step, such as T4 to T6.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lavor of black sesame oil is not degraded through at least the pretreatment step, but rather slightly increases.

결국 흑임자에 대하여 적외선 건조단계 및 적외선 열처리를 진행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향미를 가지는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기호성 높은 흑임자 오일을 널리 제공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black sesame oil having a better flavor can be prepared when the infrared drying step and infrared heat treatment are performed on black sesame seed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widely provide more palatable black sesame oil.

[실험예 3: 인지기능 향상 실험][Experimental Example 3: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experiment]

1. 일반 육상 미로 실험1. General land maze experiment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미로의 통로를 마우스에게 학습시킨 뒤 해당 마우스에 대하여 4일 동안 식용유(Con)를 복용시킨 뒤 하루 3차례 동일한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T1 내지 T6를 마찬가지로 실험을 진행하여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3차례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값을 평균으로 계산하여 비교되도록 하였다.After learning the passage of a maze made of a constant size by a mouse, the tim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same maze three times a day was measured after taking cooking oil (Con) for the mouse for 4 days. In addi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1 to T6, and the tim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maze was measured three times. The measured values were calculated as averages and compared.

그 결과를 하기의 도 5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below.

하기의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흑임자 오일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향상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적외선 건조 및 적외선 열처리 단계를 진행한 경우 기억력 개선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흑임자의 건조 및 열처리 과정에서 파괴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의 유효성분에 대한 손실이 방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memory is exhibited when the black sesame 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memory improvement effect increases when the infrared drying and infrared heat treatment steps are performed.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oss of active ingredie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mprovement effect that is destroyed during drying and heat treatment of black sesame seeds is preven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T4의 경우 전처리 단계의 진행에 따른 기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T5 및 T6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즉, 일정한 범위에 따라 전처리가 진행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활성이 증진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mproving memor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reprocessing step could not be confirme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of the active ingredient is enhanced.

2. 수중미로 실험2. Underwater maze experiment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손상시킨 흰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Con, T1, T2 및 T5에 따른 흑임자 오일에 따른 공간학습 능력을 평가하는 모리스 수중 미로 실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진행하였다. 플랫폼(platform)을 찾아가는데 소요되는 시간(escape latency)을 평가하였다. 한편, 비교예로서 스코폴라민을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 모델을 함께 평가하였다.Morris water maze experiment to evaluate spatial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black sesame oil according to Con, T1, T2, and T5 in a white mouse model in which memory and learning ability was impair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copolamine. test) was performed. The time required to visit the platform (escape latency) was evaluated. Meanwhile, as a comparative example, a mouse model not treated with scopolamine was evaluated together.

그 결과를 하기의 [도 6]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g. 6].

하기의 [도 6]을 참조하면, 육상 미로 실험과 유사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T5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효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외선 건조 및 적외선 열풍건조와 함께 전처리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흑임자에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증진 활성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following [FIG. 6],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land maze experiment can be confirme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5, the effect of improv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y increas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is treated with infrared drying and infrared hot air dry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enhancing activity contained in black sesame seeds can be further enhan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Claims (9)

흑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Drying step of drying black sesame seeds;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black sesame dried through the drying step;
Comprising th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black sesame oil by compressing the heat-treated black sesame seeds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extrac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filtering step of filtering and purifying the black sesame oil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정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
Before the filtration step
After the extrac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purification step of adding an additive including colloidal silica to the black sesame oil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흑임자를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 조성물과 혼합하여 방치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drying step
It further comprises a pretreatment step of mixing black sesame seeds with a pretreatment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hloride, calcium carbonate, sodium chloride, xylase, sorbitol, mannitol, calactose, and mixture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treatment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plant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인
흑임자 오일.
It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Black sesame oil.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ontaining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od composition.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ntaining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증진용 식품 조성물.
Containing black sesame oil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sesame oi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KR1020190017413A 2019-02-14 2019-02-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KR102183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413A KR102183855B1 (en) 2019-02-14 2019-02-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413A KR102183855B1 (en) 2019-02-14 2019-02-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29A true KR20200099429A (en) 2020-08-24
KR102183855B1 KR102183855B1 (en) 2020-11-27

Family

ID=7223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413A KR102183855B1 (en) 2019-02-14 2019-02-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5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995A (en) * 2007-11-27 2010-10-04 그라세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rification of fatty materials such as oils
KR101049493B1 (en) 2010-09-17 2011-07-15 한국식품연구원 Compositions for improving memory power and learning ability comprising extract from lepidium apefalum as active ingredient
KR20120029992A (en) 2010-09-17 2012-03-27 한국식품연구원 Compositions for improving memory power and learning ability comprising extract from artemisia apiaceae as active ingredient
KR101698039B1 (en) * 2016-08-23 2017-01-24 농업회사법인 에파솔 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sesame oil and sesame oil prepared by the same
KR20170019887A (en)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Method for preparing edible oil
KR101847736B1 (en) * 2016-10-13 2018-04-11 천원기 Manufacturing method for sesame oil or perilla seed oi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995A (en) * 2007-11-27 2010-10-04 그라세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rification of fatty materials such as oils
KR101049493B1 (en) 2010-09-17 2011-07-15 한국식품연구원 Compositions for improving memory power and learning ability comprising extract from lepidium apefalum as active ingredient
KR20120029992A (en) 2010-09-17 2012-03-27 한국식품연구원 Compositions for improving memory power and learning ability comprising extract from artemisia apiaceae as active ingredient
KR20170019887A (en)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Method for preparing edible oil
KR101698039B1 (en) * 2016-08-23 2017-01-24 농업회사법인 에파솔 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sesame oil and sesame oil prepared by the same
KR101847736B1 (en) * 2016-10-13 2018-04-11 천원기 Manufacturing method for sesame oil or perilla seed oi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ta Cirurgica Brasileira, 2016, 31(8), pp. 500-5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855B1 (en)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10775A1 (en) Method of medicinal tobacco oil production
JP201150488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CN101543248B (en) A cold tea especially suitable for 'three high and one acid' popul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10432414A (en) A kind of Dendrobidium huoshanness combined bever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djusting function of human body
CN115777860A (en) Stigma croci and ginseng particle beverage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201755C (en) Sobering-up agent
CN103566202A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ducive to sleep
KR102183855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sesame oil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using the same
CN1054028C (en) Health tea added with gingko nut and pueraria root extract
US1127858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enile dement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181949B1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red ginseng for prevention of sleepiness and dried red ginseng for prevention of sleepiness manufactured by the same
CN103749861A (en) Vision-improving chrysanthemum bagged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309732A (en) Preparation method of pilose antler blood alcohol
KR102185517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tea oil and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menstrual syndrome or improving menopausal syndrome using the same
CN109833381A (en) A kind of pure plant drug composition improving sleep
CN111743968A (en) Plant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653926A (en) Tea beverage of longan and chrysanthemum
KR20170062781A (en)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Ginseng Extract having Improving Activity of Cognitive Function
CN101549053A (en) Medicine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213335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237912C (en) Beverage for regulating spirit
CN1036760C (en) Ginkgo health-care tea and prepn. method thereof
KR102206166B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pl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black sesame oil prepared using the same
CN102405996B (en) Blood pressure lowering health care green tea and its preparation method
CN101040929A (en) Method for preparing compound lotus seed oral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