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343A - 소독솜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솜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343A
KR20200099343A KR1020190017223A KR20190017223A KR20200099343A KR 20200099343 A KR20200099343 A KR 20200099343A KR 1020190017223 A KR1020190017223 A KR 1020190017223A KR 20190017223 A KR20190017223 A KR 20190017223A KR 20200099343 A KR20200099343 A KR 2020009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rotating body
housing
external force
disinfe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046B1 (ko
Inventor
김민성
박예진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0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2Devices for cutting bandages of any kind, e.g. shears, cast-cutting s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6Multip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는 알코올에 적셔진 소독솜을 청결하게 보관함과 아울러 오염의 위험없이 간편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장치는 하우징, 인출유닛 및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대상물이 감겨 수용되는 수납축과 대상물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인 인출구가 형성된다. 인출유닛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트리거와 트리거에 제1외력이 가해지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대상물을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인출구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포함한다. 절단유닛은 인출구와 인접하게 배이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에 제2외력이 가해지면 대상물을 절단한다. 이로써, 대상물인 알코올이 적셔진 소독솜을 단순한 작동만으로 인출해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독솜 인출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MEDICAL COTTON}
본 발명은 소독솜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 약액이 묻은 솜을 간단하게 절단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독솜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상으로 생긴 환부는 병균(germ)의 감염에 취약하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감염이 우려되는 환부는 소독 처리를 해 감염을 예방한다. 환부의 소독 처리 방법은 의료용 알코올(alchol)을 적신 소독솜이나 거즈로 환부를 닦거나 지압하는 방법이 널리 실시된다.
알코올을 적신 소독솜이나 거즈는 필요한 크기만큼 잘라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소독솜이나 거즈는 핀셋으로 일부가 고정되고 가위를 통해 절단된다. 이러한 절단 과정은 필연적으로 소독솜이나 거즈에 사용자가 접촉을 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대개의 경우에는 한번에 쉽게 절단되지 않아 여러번 소독솜이나 거즈를 고쳐잡고 절단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소독솜이나 거즈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접촉 횟수가 늘어나면 병균에 노출될 확률이 증가한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절단된 소독솜을 알코올에 적셔서 보관하고, 필요 시 핀셋으로 잘려져 있는 소독솜을 취해 소독을 진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알코올에 적셔진 소독솜은 절단된 상태라 하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알코올이 적셔진 소독솜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접촉없이도 소독솜을 인출하고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소독솜 인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는 알코올에 적셔진 소독솜을 청결하게 보관함과 아울러 오염의 위험없이 간편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출 장치는 하우징, 인출유닛 및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대상물이 감겨 수용되는 수납축과 대상물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인 인출구가 형성된다. 인출유닛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트리거와 트리거에 제1외력이 가해지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대상물을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인출구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포함한다. 절단유닛은 인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에 제2외력이 가해지면 대상물을 절단한다. 또한, 절단유닛은 고정날과 가동날을 포함하며, 가동날은 레버에 제2외력이 가해지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해 고정날과 교차됨으로써 고정날과의 사이에 위치한 대상물을 절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출유닛은 래칫폴,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를 포함하고 대상물은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인출구로 인출된다. 래칫폴은 트리거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회전체는 트리거가 이동하면 래칫폴과 간섭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또한, 제2회전체는 제1회전체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트리거가 통과하는 조작구와 레버가 통과하는 레버관통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구는 하우징에 결합되고 트리거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가도를 포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에 제1외력이 가해지면 탄성가더가 탄성변형되고, 트리거에 제1외력이 제거되면 트리거는 탄성가더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한다.
본 발명의 소독솜 인출 장치는 소독솜에 적셔진 알코올이 쉽게 증발하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독솜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필요한 크기로 인출해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손으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빠르게 소독솜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인출유닛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후술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술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는 하우징(100), 인출유닛(200) 및 절단유닛(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대상물(10)이 감겨 수용되는 수납축(140)과 대상물(10)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인 인출구(110)를 포함한다.
인출유닛(200)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트리거(210), 트리거(210)에 제1외력이 가해지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대상물(10)을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인출구(110)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220, 230)를 포함한다.
절단유닛(300)은 인출구(1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310)에 제2외력이 가해지면 대상물(10)을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절단유닛(300)은 고정날(330)과 가동날(320)을 포함한다. 가동날(320)은 레버(310)에 제2외력이 가해지면 제1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해 고정날(330)과 교차된다. 이에따라, 고정날(330)과 가동날(320)의 사이에 위치한 대상물(10)이 절단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는 소독용 알코올이 적셔진 소독솜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소독솜을 정해진 크기로 인출해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대상물(10)은 알코올이 적셔진 소독솜을 가리킨다.
하우징(10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 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대상물(10)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후술될 인출구(110), 조작구(120) 및 레버관통구(130)를 제외하곤 외부와 밀폐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대상물(10)을 하우징(100)에 수용시킨 후 분리된 부분들을 결합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은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분이 결합 시 결합부가 밀폐 처리된다.
하우징(100)은 내측 공간에 수납축(140)이 마련된다. 수납축(140)은 대상물(10)을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대상물(10)은 수납축(140)을 중심으로 하나의 방향으로 감겨 보관된다. 그리고, 대상물(10)의 한쪽 끝을 당기면 감겨진 대상물(10)이 풀어지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상물(10)이 이송되거나, 인출된다는 것은 대상물(10)의 한쪽 끝이 당겨진 길이만큼 수납축(140)에 감겨있는 대상물(10)이 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하우징(100)은 내부공간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인출구(110), 조작구(120) 및 레버관통구(130)를 포함한다. 인출구(110)는 대상물(10)의 한쪽 끝이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조작구(120)를 통과해 트리거(21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레버관통구(130)를 통과해 레버(31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인출유닛(200)은 트리거(210), 제1회전체(220) 및 제2회전체(230)를 포함한다. 트리거(210)는 일단이 제1회전체(22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트리거(210)의 타단은 조작구(120)를 통과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트리거(210)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타단에 제1외력이 가해지면 제1회전체(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트리거(210)는 래칫폴(rachet pawl, 212)을 포함한다. 래칫폴(212)은 트리거(21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트리거(210)에 제1외력이 가해져 트리거(210)의 하우징(100)외부로 돌출된 타단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해 이동하면 제1회전체(220)를 가압해 제1회전체(220)를 회전시킨다.
제1회전체(220)는 외측둘레에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체(2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는 제1회전체(220)의 외측둘레에 접하는 대상물(10)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제1회전체(220)는 래칫폴(212)의 끝단이 간헐적으로 치합되는 내치부(222)가 형성된다. 내치부(222)는 제1회전체(220)의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돌기들일 수 있다. 래칫폴(212)은 그 끝단이 내치부(222)에 치합되고, 트리거(210)에 외력이 가해져 트리거(210)가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래칫폴(212)의 끝단이 치합된 내치부(222)를 밀어 제1회전체(220)가 회전한다.
그리고, 트리거(210)에 가해졌던 제1외력이 제거되면 트리거(2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래칫폴(212)은 제1회전체(220)의 내치부(222)에 외력을 전달하지 않는 아이들(idle) 상태에 놓인다. 트리거(210)에 제1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트리거(210)의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된 타단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및 복귀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래칫폴(212)은 트리거(210)에 제1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1회전체(220)를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힘을 전달하고, 제1회전체(220)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제1회전체(220)가 회전하면 제1회전체(220)의 외측둘레와 접한 대상물(10)이 제1회전체(220)의 회전에 따라 하나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체(220)와 제2회전체(230)가 마련되고, 대상물(10)은 제1회전체(220) 및 제2회전체(2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송된다.
제2회전체(230)는 제1회전체(220)의 회전에 종속되어 함께 회전한다. 제2회전체(230)는 제1회전체(220)와 기어(gear) 등의 동력전달 수단으로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회전체(230)는 제1회전체(220)가 회전하며 대상물(10)을 하나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인출유닛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210)가 통과하는 조작구(120)는 탄성가더(122)를 포함한다. 탄성가더(122)는 탄성력이 강해 외력에 의해 변형되나 외력이 제거되면 신속하게 복원되는 재질로 마련된다. 탄성가더(122)는 조작구(120)를 덮도록 결합되고, 트리거(210)의 둘레와 접한다. 따라서, 트리거(210)에 제1외력이 가해져 트리거(210)의 타단이 이동하면 탄성가더(122)는 트리거(210)의 이동에 따라 외형이 변형되고, 제1외력이 제거되면 트리거(2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가더(122)는 하우징(100) 내부의 알코올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트리거(210)에 가해졌던 제1외력이 제거되면 신속하게 트리거(2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솜 인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300)은 레버(310), 가동날(320) 및 고정날(330)을 포함한다.
절단유닛(300)은 제1회전체(220) 및 제2회전체(230)의 후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회전체(220)와 제2회전체(230)의 사이로 대상물이 이송되어 통과하는 인출구(110)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레버(310)는 레버관통구(130)를 통과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레버(310)는 제1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레버(310)는 가동날(320)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되, 제1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한 쪽은 레버(310) 다른 한 쪽은 가동날(320)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축(340)은 레버관통구(13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레버(31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가동날(320)은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다. 고정날(330)은 인출구(110)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레버(310)에 제2외력이 가해져 가동날(320)이 레버(310)와 함께 회전하면 가동날(320)과 고정날(330)이 서로 접하며 교차된다. 대상물(10)은 가동날(320)과 고정날(330)의 사이로 이송 및 인출된다. 따라서, 가동날(320)과 고정날(330)이 서로 교차되면 가동날(320) 및 고정날(330)의 사이에 위치한 대상물(10)이 절단된다.
레버(310)에 가해졌던 제2외력이 제거되면 레버(310)는 가동날(320) 및 고정날(330)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레버(310) 및 가동날(320)이 제1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해 고정날(330)과 교차되는 구성은 대상물(10)인 알코올이 적셔진 소독솜을 일 측부터 절단함으로써 절단을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대상물
100: 하우징 110: 인출구
120: 조작구 122: 탄성가더
130: 레버관통구 140: 수납축
200: 인출유닛 210: 트리거
212: 폴 220: 제1회전체
222: 내치부 230: 제2회전체
300: 절단유닛 310: 레버
320: 가동날 330: 고정날
340: 제1회전축 350: 탄성부재

Claims (5)

  1. 대상물이 감겨 수용되는 수납축과 상기 대상물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인 인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트리거, 상기 트리거에 제1외력이 가해지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대상물을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인출구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인출유닛; 및
    상기 인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에 제2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유닛은,
    고정날; 및
    상기 레버에 상기 제2외력이 가해지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해 상기 고정날과 교차되고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동날;
    을 포함하는 소독솜 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트리거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래칫폴;
    상기 트리거가 이동하면 상기 래칫폴과 간섭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제1회전체; 및
    상기 제1회전체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출구로 인출되는 소독솜 인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트리거가 통과하는 조작구; 및
    상기 레버가 통과하는 레버관통구;
    를 포함하는 소독솜 인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트리거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가더;
    를 포함하는 소독솜 인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상기 제1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가더가 탄성변형되고, 상기 트리거에 상기 제1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트리거는 상기 탄성가더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는 소독솜 인출 장치.
KR1020190017223A 2019-02-14 2019-02-14 소독솜 인출 장치 KR10225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23A KR102254046B1 (ko) 2019-02-14 2019-02-14 소독솜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23A KR102254046B1 (ko) 2019-02-14 2019-02-14 소독솜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43A true KR20200099343A (ko) 2020-08-24
KR102254046B1 KR102254046B1 (ko) 2021-05-18

Family

ID=7223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223A KR102254046B1 (ko) 2019-02-14 2019-02-14 소독솜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0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8131A (zh) * 2021-03-16 2021-06-25 袁冬梅 一种多功能疼痛科护理用装置
CN114748255A (zh) * 2022-04-24 2022-07-15 江苏仪征康普诺医疗器械有限公司 应用于医学工程的肌内效贴切断装置
CN117982786A (zh) * 2024-04-03 2024-05-07 佳木斯大学 一种术后护理用消毒棉夹持钳
CN117982786B (zh) * 2024-04-03 2024-05-31 佳木斯大学 一种术后护理用消毒棉夹持钳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343B1 (en) * 1998-10-13 2001-04-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ortable sterile bandage dispenser
KR20040023449A (ko) 2002-09-11 2004-03-18 김태훈 소독 솜 저장용기
KR200418028Y1 (ko) * 2006-03-14 2006-06-07 김현우 공중 화장실용 화장지 케이스
KR101275531B1 (ko) * 2011-12-26 2013-06-20 이혁 휴대용 접착 테이프 커팅기
KR101412145B1 (ko) * 2012-08-31 2014-06-25 한순윤 롤 테이프 선단 자동 접이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
KR20150126462A (ko) * 2014-05-02 2015-11-12 서영준 의료용 소독솜 공급장치
KR20190000002U (ko) * 2017-06-22 2019-01-02 이규원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343B1 (en) * 1998-10-13 2001-04-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ortable sterile bandage dispenser
KR20040023449A (ko) 2002-09-11 2004-03-18 김태훈 소독 솜 저장용기
KR200418028Y1 (ko) * 2006-03-14 2006-06-07 김현우 공중 화장실용 화장지 케이스
KR101275531B1 (ko) * 2011-12-26 2013-06-20 이혁 휴대용 접착 테이프 커팅기
KR101412145B1 (ko) * 2012-08-31 2014-06-25 한순윤 롤 테이프 선단 자동 접이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
KR20150126462A (ko) * 2014-05-02 2015-11-12 서영준 의료용 소독솜 공급장치
KR20190000002U (ko) * 2017-06-22 2019-01-02 이규원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8131A (zh) * 2021-03-16 2021-06-25 袁冬梅 一种多功能疼痛科护理用装置
CN113018131B (zh) * 2021-03-16 2022-11-22 邳州市景鹏创业投资有限公司 一种多功能疼痛科护理用装置
CN114748255A (zh) * 2022-04-24 2022-07-15 江苏仪征康普诺医疗器械有限公司 应用于医学工程的肌内效贴切断装置
CN117982786A (zh) * 2024-04-03 2024-05-07 佳木斯大学 一种术后护理用消毒棉夹持钳
CN117982786B (zh) * 2024-04-03 2024-05-31 佳木斯大学 一种术后护理用消毒棉夹持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046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046B1 (ko) 소독솜 인출 장치
JP2013545605A (ja) 洗浄用ツール
RU2007132008A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введения имплантата
US20070068837A1 (en) Wound dressing dispenser
BR9712117A (pt) Aplicador de dosagem de agente bactericida tendo uma vida de prateleira aumentada, e, processos para preparar o mesmo e para preparar uma unidade de dosagem.
US8366722B2 (en) Method for removing a tick
US20210205541A1 (en) Agent delivery devices
JP7221935B2 (ja) 使い捨て消毒剤ワイプ装置
JP3638869B2 (ja) 医療用補助具の収容体
CN209269943U (zh) 便于牙线更新且“u”形工作头能够旋转的牙线器
US20180028699A1 (en) Substitute Packaging to a Prep Pad in a Form of an Encapsulated Pellet in Such a Way That the Use of it Will Result in a Fast, Compact, Convenient and Efficient Alternate to the Use of a Prep Pad
KR101350115B1 (ko) 면봉
JP2002282275A (ja) カテーテル収納ケース
KR101654964B1 (ko) 휴대용 치주질환 치료장치
KR200489904Y1 (ko) 일회용 소독패드 인출장치
WO2006073700A2 (en) Vacuum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ores
US20150119784A1 (en) Cerumen Cleaner (Earwax Cleaning Device)
RU24974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гуттаперчевых, абсорбирующих, стекловолоконных штифтов
US1094589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medical fabric into a portion of the body
CN210991424U (zh) 一种伤口施药护理装置
JP2015532149A5 (ko)
KR102571134B1 (ko) 소독장치
KR20190023512A (ko) 주사기 보조 장치
KR200208642Y1 (ko) 위생 소독 기구
JP2002291766A (ja) 医療用長尺材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