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414A - 쿨링모듈 - Google Patents

쿨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414A
KR20200098414A KR1020200014831A KR20200014831A KR20200098414A KR 20200098414 A KR20200098414 A KR 20200098414A KR 1020200014831 A KR1020200014831 A KR 1020200014831A KR 20200014831 A KR20200014831 A KR 20200014831A KR 20200098414 A KR20200098414 A KR 2020009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ank
cooling module
hook
stopp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홍
장준일
김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24,765 priority Critical patent/US12065020B2/en
Priority to PCT/KR2020/001810 priority patent/WO2020166903A1/ko
Publication of KR2020009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01P2003/185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헤더탱크 및 제2 헤더탱크, 및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상측 및 하측과 상기 제2 헤더탱크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및 서로 마주보는 제3 헤더탱크 및 제4 헤더탱크, 상기 제3 헤더탱크에 결합되는 플랜지연결부, 및 상기 제4 헤더탱크에 결합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플랜지연결부, 상기 제3 헤더탱크 및 상기 기액분리기의 각각이 복수의 상기 후크부의 각각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라디에이터와 결합되는 쿨링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쿨링모듈{COOLING MODULE}
실시 예는 쿨링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조립공정에 있어서, 조립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복수의 부품을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쿨링모듈은 라디에이터, 콘덴서 및 팬 슈라우드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쿨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덴서(2)는 라디에이터(1)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라디에이터(1)와 콘덴서(2) 간의 조립은 상하좌우 4개소에 각각 배치된 브래킷(3) 및 고정편(4) 간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3), 고정편(4) 등 조립부품이 추가됨에 따라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4579호(2017.08.23.,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실시 예는 조립부품의 개수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쿨링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쿨링모듈은, 서로 마주보는 제1 헤더탱크 및 제2 헤더탱크, 및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상측 및 하측과 상기 제2 헤더탱크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및 서로 마주보는 제3 헤더탱크 및 제4 헤더탱크, 상기 제3 헤더탱크에 결합되는 플랜지연결부, 및 상기 제4 헤더탱크에 결합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플랜지연결부, 상기 제3 헤더탱크 및 상기 기액분리기의 각각이 복수의 상기 후크부의 각각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라디에이터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후크부, 상기 제1 헤더탱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헤더탱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3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연결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상기 제1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1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헤더탱크를 향해 돌출된 제1-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스토퍼는 내측면 상단에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1-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연결부는 상기 제1-2 스토퍼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스토퍼는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1 스토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2 스토퍼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상기 제2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2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2 수평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2 스토퍼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후크부는, 상기 제2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3 수평부, 상기 제3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2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3 수직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제2 헤더탱크와 상기 제3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의 외주면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3 수직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제3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직부는, ‘C’자 형으로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2 헤더탱크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제2 헤더탱크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4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제4 헤더탱크에서 돌출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4 후크부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연결부는 상기 제3 헤더탱크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쿨링모듈은 종래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각각의 상하좌우 4개소에 브래킷, 고정편 등 조립부품을 설치하던 것을 1개소로 축소하는 한편, 나머지 3개소에서는 콘덴서의 종래 구성요소를 그대로 또는 일부 변경한 것으로 조립부품을 대체함으로써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쿨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후크부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플랜지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제1 후크부에 대한 플랜지연결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제2 후크부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 후크부에 대한 제3 헤더탱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4의 제3 후크부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제3 후크부에 대한 기액분리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제3 후크부에 대한 기액분리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쿨링모듈은 라디에이터(10) 및 콘덴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1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헤더탱크(110) 및 제2 헤더탱크(120), 제1 헤더탱크(110) 및 제2 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어 제1 열교환매체의 이송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1 튜브(130), 및 복수의 제1 튜브(13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방열 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매체는 차량에 탑재된 엔진을 거친 냉각수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헤더탱크(110)의 상측에는 제1 후크부(3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헤더탱크(110)의 하측에는 제2 후크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헤더탱크(120)의 하측에는 제3 후크부(33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헤더탱크(120)의 상측에는 제4 후크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콘덴서(20)는 서로 마주보는 제3 헤더탱크(210) 및 제4 헤더탱크(220), 제3 헤더탱크(210) 및 제4 헤더탱크(220)에 양단이 고정되어 제2 열교환매체의 이송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2 튜브(230), 복수의 제2 튜브(23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방열 핀(240), 제3 헤더탱크(210)에 결합되는 플랜지연결부(250), 및 제4 헤더탱크(220)에 결합되는 기액분리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교환매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를 거친 냉매일 수 있다.
제4 헤더탱크(220)의 상측 외주면에서는 고정편(221)이 돌출될 수 있다.
플랜지연결부(250)는 제3 헤더탱크(210)에 연결되는 배관(211)을 지지할 수 있다. 배관(211)은 플랜지연결부(250)를 통해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매 이송 배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배관(211)은 냉매유입관 및 냉매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콘덴서(20)는 라디에이터(10)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덴서(20)는 라디에이터(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플랜지연결부(250)가 제1 후크부(310)에, 제3 헤더탱크(210)가 제2 후크부(320)에, 기액분리기(260)가 제3 후크부(330)에, 고정편(221)이 제4 후크부(340)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라디에이터(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후크부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플랜지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제1 후크부에 대한 플랜지연결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후크부(310)는 제1 수평부(311), 제1 수직부(313), 제1-1 스토퍼(315) 및 제1-2 스토퍼(3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부(311)는 제1 헤더탱크(110)의 상측 외주면에서 수평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수직부(313)는 제1 수평부(311)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헤더탱크(110)와 제1 수직부(313) 사이에는 플랜지연결부(25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 스토퍼(315)는 제1 수직부(313)의 상측 단부에서 제1 헤더탱크(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스토퍼(315)는 제1 헤더탱크(110)와 제1 수직부(31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플랜지연결부(2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1 스토퍼(315)는 내측면 상단에 경사부(315a)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315a)는 제1 헤더탱크(110)의 외주면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연결부(25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제1 수직부(313)는 경사부(315a)가 플랜지연결부(250)의 삽입 과정에서 가압되면 굽힘 변형될 수 있고, 플랜지연결부(250)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1-2 스토퍼(317)는 제1 헤더탱크(110)의 외주면에서 제1 수직부(313)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플랜지연결부(250)에 형성된 제1 삽입홈(250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연결부(250)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은 제1 수직부(313)에 의해 저지될 수 있고, 플랜지연결부(25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제1-1 스토퍼(315)에 의해 저지될 수 있으며, 플랜지연결부(250)의 좌우 방향의 움직임은 제1-2 스토퍼(317)에 의해 각각 저지될 수 있다.
제1-2 스토퍼(317)는 상하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수평부(311)와 제1-1 스토퍼(3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연결부(250)에 형성된 제1 삽입홈(250a)은 제1-2 스토퍼(317)가 상하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삽입홈(250a)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제2 후크부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 후크부에 대한 제3 헤더탱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후크부(320)는 제2 수평부(321), 제2 수직부(323) 및 제2 스토퍼(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부(321)는 제1 헤더탱크(110)의 하측 외주면에서 수평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수직부(323)는 제2 수평부(321)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 예를 들어 제1 헤더탱크(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헤더탱크(110)와 제2 수직부(323) 사이에는 제3 헤더탱크(21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헤더탱크(210)는 제2 수평부(321)의 상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헤더탱크(210)는 제2 수평부(32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연결부(250)는 제1 수평부(311) 상에 안착되는 반면, 제3 헤더탱크(210)와 제2 수평부(321)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조립이 가능할 수 있고, 조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제2 스토퍼(325)는 제2 수평부(321)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3 헤더탱크(21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삽입홈(210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헤더탱크(210)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은 제2 수직부(323)에 의해 저지될 수 있고, 제3 헤더탱크(210)의 좌우 방향의 움직임은 제2 스토퍼(325)에 의해 각각 저지될 수 있다.
제2 삽입홈(210a)은 좌우 방향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형상일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제3 후크부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제3 후크부에 대한 기액분리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제3 후크부에 대한 기액분리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3 후크부(330)는 제3 수평부(331), 제3 수직부(333) 및 한 쌍의 지지편(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평부(331)는 제2 헤더탱크(120)의 하측 외주면에서 수평 방향, 예를 들어 제2 헤더탱크(12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수직부(333)는 제3 수평부(331)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 예를 들어 제2 헤더탱크(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헤더탱크(120)와 제3 수직부(333) 사이에는 기액분리기(26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편(335)은 제2 헤더탱크(120)의 외주면에서 제3 수직부(333)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상호간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지편(335)은 제3 수직부(333)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편(335)은 제3 수직부(333)와 함께 기액분리기(26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3 수직부(333) 및 한 쌍의 지지편(335)은 기액분리기(26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기액분리기(26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기액분리기(260)를 안정적으로 3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분리기(260)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 및 좌우 방향의 움직임은 제3 수직부(333) 및 한 쌍의 지지편(335)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260)는 제3 수평부(3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편(221)은 제4 후크부(340)의 제4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반면, 기액분리기(260)와 제3 수평부(331)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조립이 가능할 수 있고, 조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액분리기(260)는 제3 수평부(331) 상에 안착될 수도 있다.
제3 수직부(333)는, ‘C’자 형으로 형성되는 절개부(333a), 및 절개부(333a)에 의해 형성되어 제2 헤더탱크(120)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33b)는 기액분리기(260)의 삽입 과정에서 가압되면 굽힘 변형될 수 있고, 탄성력에 의해 기액분리기(2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제3 수직부(333) 및 지지부(333b)는 내측면 상단에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분리기(26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라디에이터 2: 콘덴서
3: 브래킷 4: 고정편
10: 라디에이터 20: 콘덴서
110: 제1 헤더탱크 120: 제2 헤더탱크
130: 제1 튜브 140: 제1 방열 핀
210: 제3 헤더탱크 210a: 제2 삽입홈
211: 배관 220: 제4 헤더탱크
221: 고정편 230: 제2 튜브
240: 제2 방열 핀 250: 플랜지연결부
250a: 제1 삽입홈 260: 기액분리기
310: 제1 후크부 311: 제1 수평부
313: 제1 수직부 315: 제1-1 스토퍼
315a: 경사부 317: 제1-2 스토퍼
320: 제2 후크부 321: 제2 수평부
323: 제2 수직부 325: 제2 스토퍼
330: 제3 후크부 331: 제3 수평부
333: 제3 수직부 333a: 절개부
333b: 지지부 335: 지지편
340: 제4 후크부

Claims (16)

  1. 서로 마주보는 제1 헤더탱크 및 제2 헤더탱크, 및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상측 및 하측과 상기 제2 헤더탱크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및
    서로 마주보는 제3 헤더탱크 및 제4 헤더탱크, 상기 제3 헤더탱크에 결합되는 플랜지연결부, 및 상기 제4 헤더탱크에 결합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플랜지연결부, 상기 제3 헤더탱크 및 상기 기액분리기의 각각이 복수의 상기 후크부의 각각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라디에이터와 결합되는 쿨링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후크부, 상기 제1 헤더탱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헤더탱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3 후크부를 포함하는 쿨링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연결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상기 제1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쿨링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1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헤더탱크를 향해 돌출된 제1-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스토퍼는 내측면 상단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쿨링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1-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연결부는 상기 제1-2 스토퍼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을 포함하는 쿨링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스토퍼는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1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쿨링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2 스토퍼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형상인 쿨링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제1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상기 제2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쿨링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2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쿨링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2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쿨링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헤더탱크는 상기 제2 스토퍼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쿨링모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후크부는, 상기 제2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제3 수평부, 상기 제3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2 헤더탱크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3 수직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제2 헤더탱크와 상기 제3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의 외주면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3 수직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는 쿨링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제3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쿨링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직부는, ‘C’자 형으로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2 헤더탱크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쿨링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제2 헤더탱크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4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제4 헤더탱크에서 돌출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4 후크부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쿨링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연결부는 상기 제3 헤더탱크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지하는 쿨링모듈.
KR1020200014831A 2019-02-11 2020-02-07 쿨링모듈 KR20200098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4,765 US12065020B2 (en) 2019-02-11 2020-02-10 Cooling module
PCT/KR2020/001810 WO2020166903A1 (ko) 2019-02-11 2020-02-10 쿨링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5607 2019-02-11
KR1020190015607 2019-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414A true KR20200098414A (ko) 2020-08-20

Family

ID=7224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831A KR20200098414A (ko) 2019-02-11 2020-02-07 쿨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4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79B1 (ko) 2014-09-01 2017-08-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79B1 (ko) 2014-09-01 2017-08-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931B2 (en) Radiator and condenser assembly
US10865693B2 (en) Cooling module
US20070074860A1 (en) Heat exchanger
KR101304864B1 (ko) 쿨링모듈
US9863651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8155739A (ja) 車両用エアガイド
US988465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vehicle heat exchanger
US12065020B2 (en) Cooling module
KR20200098414A (ko) 쿨링모듈
KR10197519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7126020A (ja) ラジエータコアサポート
US11701961B2 (en) Assembly
US10502504B2 (en) Heat exchanger and coupling method of connecting part thereof
JP6060147B2 (ja) 特に自動車用の熱交換器用コレクターボックスおよびその熱交換器
KR102167510B1 (ko) 차량용 응축기
CN110576721A (zh) 一种散热器和冷凝器组件
KR102434232B1 (ko) 열교환기
KR102702910B1 (ko) 열응력 분산을 위한 유량 배분 헤더 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JP6406026B2 (ja) 凝縮器
US20240317041A1 (en) Vehicle cooling module
KR20160054671A (ko) 축냉기 어셈블리
WO2019111574A1 (ja) ラジエータ
KR20220095283A (ko) 열교환기
KR20240087175A (ko) 열교환기
KR20130007719A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