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368A -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368A
KR20200098368A KR1020190069975A KR20190069975A KR20200098368A KR 20200098368 A KR20200098368 A KR 20200098368A KR 1020190069975 A KR1020190069975 A KR 1020190069975A KR 20190069975 A KR20190069975 A KR 20190069975A KR 20200098368 A KR20200098368 A KR 20200098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detection unit
warning device
objec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390B1 (ko
Inventor
임광희
함윤영
이창노
우용득
고주안
박상빈
최현로
김세영
송대붕
임동호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9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차 등의 차량의 시동시나 출발을 위한 저속 주행시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를 초음파 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화물차 등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더불어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 감지시 브레이크를 통해 화물차 등의 차량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Dead - Zone Warning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 at Vehicle Departure}
본 발명은 화물차 등의 차량의 시동시나 출발을 위한 저속 주행시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를 초음파 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화물차 등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더불어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 감지시 브레이크를 통해 화물차 등의 차량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도로 교통공단에서 실시한 교통사고 통계 조사서에 따르면 매년 끊임없이 화물 자동차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고, 교통사고 중 화물 자동차의 사각지대로 인하여 발생한 교통사고의 비율이 43%이다.
특히, 현재 화물차의 주변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나 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시동을 걸고 출발을 하기 전에 직접 차량에서 내려 주변을 둘러보고 출발을 하거나, 사이드미러, 백미러를 통해 간단히 확인 후 출발을 한다.
한편, 차량의 출발과정 중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차의 출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출발방지방치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25843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25843의 경우, 차량의 후드패널이 닫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려고 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동으로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차의 출발을 방지하는 방식으로서, 차량의 후드패널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직첩 차량에서 내리거나 사이드미러, 백미러를 통해 간단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이 없는지의 여부를 여전히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화물차 등의 차량의 시동시나 출발을 위한 저속 주행시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를 초음파 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화물차 등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더불어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 감지시 브레이크를 통해 화물차 등의 차량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25843
본 발명은 화물차 등의 차량의 시동시나 출발을 위한 저속 주행시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를 초음파 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화물차 등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더불어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 감지시 브레이크를 통해 화물차 등의 차량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와; 상기 차량 주변의 물체 유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물체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물체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물체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물체감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물체감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물체감지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물체감지부를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물체감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후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물차 등의 차량의 시동시나 출발을 위한 저속 주행시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를 초음파 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화물차 등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더불어 화물차 등의 차량 주변의 물체 감지시 브레이크를 통해 화물차 등의 차량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시동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속도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회전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전후이동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물체감지부(10), 알림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물체감지부(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차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3)의 전측, 후측,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3) 주변의 보행자 또는 볼라드, 가로등 지주, 중앙분리대·차선규제봉 등의 도로시설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부(1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감지거리가 2cm ~ 4m 이상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초음파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이룰 수 있는 초음파센서는 센서나 부품을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고 컴퓨터를 통해 만든 프로그램의 설정들을 적용시킬 수 있는 아두이노(arduino)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알림부(20)는 상기 차량(3) 주변 외부의 물체 유무를 상기 차량(3)의 운전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알림부(2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차량(3)의 내부의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경보음 출력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발광부재와 경보음 출력부재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물체감지부(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20)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3)에는 상기 차량(3)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시동감지부(40)의 감지신호 및 상기 물체감지부(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시동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3)의 출발을 위해 상기 차량(3)의 시동이 ON상태임을 상기 시동감지부(40)가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체감지부(10)가 상기 차량(3) 주변의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20)의 발광부재는 전원공급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 및 상기 알림부(20)의 경보음 출력부재는 전원공급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저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발하기 위한 상기 차량(3)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3)과 물체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상기 차량(3)을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알림부(20)의 발광부재는 상기 차량(3)과 물체 사이의 거리값에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이룰 수 있는 초음파센서가 상기 차량(3) 주변의 물체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이룰 수 있는 초음파센서가 측정한 상기 차량(3)과 물체 사이의 거리측정값이 상기 제어부(30)에 설정된 기준거리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부(20)의 발광부재는 황색빛을 발광할 수 있고,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이룰 수 있는 초음파센서가 측정한 상기 차량(3)과 물체 사이의 거리측정값이 상기 제어부(30)에 설정된 기준거리값 미만인 경우, 상기 알림부(20)의 발광부재는 적색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차량(3)의 내부에 대시보드에는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이룰 수 있는 초음파센서가 측정한 상기 차량(3)과 물체 사이의 거리측정값을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하는 LED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 디스플레이부 등의 디스플레이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속도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3)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속도감지부(50)의 감지신호 및 상기 물체감지부(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속도감지부(50)가 감지한 상기 차량(3)의 주행속도값과 상기 제어부(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속도감지부(50)가 감지한 상기 차량(3)의 주행속도값이 상기 제어부(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값 미만 및 상기 물체감지부(10)가 상기 차량(3) 주변의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20)의 발광부재는 전원공급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 및 상기 알림부(20)의 경보음 출력부재는 전원공급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저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정차 하기 위한 상기 차량(3)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3)과 물체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상기 차량(3)을 더욱 안전하게 주정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알림부(20)의 발광부재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3)과 물체 사이의 거리값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회전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3)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1개의 상기 물체감지부(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량(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의 상기 물체감지부(10)가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물체감지부(10)가 상기 차량(3)의 전측방향 또는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물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물체감지부(10)와 결합되어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상기 차량(3)이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3)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는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관통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31)에 회전판(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5)의 외면에 상기 물체감지부(1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차량(3)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0)를 이룰 수 있는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판(5)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차량(3)의 내부 바닥면 일측과 내부 바닥면 타측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체감지부(10)가 상기 차량(3)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5)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부(10)가 상기 회전부(60)에 의해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 중에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물체감지부(10)가 물체를 감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6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전후이동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물체감지부(10)의 전후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전후이동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3)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는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32)이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32)에 상기 회전판(5)이 상기 가이드슬릿(32)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7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크게, 전후이동판(710), 리드스크류(720) 및 구동모터(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710)은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차량(3)의 내부 일측 바닥면과 내부 타측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상부에 상기 회전부(6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720)는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전후이동판(710), 상기 회전부(60) 및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상기 차량(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물체감지부(10)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30)는 상기 리드스크류(720)의 전측 또는 후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차량(3)의 내부 일측 바닥면 및 내부 타측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72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70)는 다른예로, 상기 전후이동판(710), 상기 리드스크류(720) 및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전후이동판(710)이 중심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차량(3)의 내부 일측 바닥면과 내부 타측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어 상기 전후이동판(710)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량(3)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3)의 운전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전후버튼을 터치하여 상기 물체감지부(10)를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물차 등의 상기 차량(3)의 시동시나 출발을 위한 저속 주행시 화물차 등의 차량(3) 주변의 물체를 초음파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물체감지부(10)를 통해 이를 화물차 등의 차량(3)의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더불어 화물차 등의 차량(3) 주변의 물체 감지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통해 화물차 등의 차량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물체감지부, 20; 알림부,
30; 제어부.

Claims (7)

  1.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와;
    상기 차량 주변의 물체 유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물체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물체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물체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물체감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물체감지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부를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물체감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후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KR1020190069975A 2019-02-11 2019-06-13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KR102213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5583 2019-02-11
KR1020190015583 2019-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68A true KR20200098368A (ko) 2020-08-20
KR102213390B1 KR102213390B1 (ko) 2021-02-08

Family

ID=7229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975A KR102213390B1 (ko) 2019-02-11 2019-06-13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4826A (zh) * 2021-12-16 2022-01-21 深圳佑驾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盲区的车辆控制方法及其系统、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060A (ja) * 1994-10-21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KR19980025843A (ko) 1996-10-05 1998-07-15 신국현 함박꽃나무에서 분리한 항생물질
JP5370334B2 (ja) * 2010-10-25 2013-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システム
KR20170122143A (ko) * 2016-04-26 2017-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속차량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4134A (ko) * 2016-02-10 2018-09-19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차량의 사각지대를 줄이는 시스템
KR20190012370A (ko) * 2017-07-27 2019-02-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선 변경 지원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060A (ja) * 1994-10-21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KR19980025843A (ko) 1996-10-05 1998-07-15 신국현 함박꽃나무에서 분리한 항생물질
JP5370334B2 (ja) * 2010-10-25 2013-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システム
KR20180104134A (ko) * 2016-02-10 2018-09-19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차량의 사각지대를 줄이는 시스템
KR20170122143A (ko) * 2016-04-26 2017-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속차량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12370A (ko) * 2017-07-27 2019-02-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선 변경 지원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4826A (zh) * 2021-12-16 2022-01-21 深圳佑驾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盲区的车辆控制方法及其系统、车辆
CN113954826B (zh) * 2021-12-16 2022-04-05 深圳佑驾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盲区的车辆控制方法及其系统、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390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192B2 (en) Blind spot warning apparatus, assembly and method
US6211778B1 (en) Vehicle safety sensor
TWI537157B (zh) 車用警示裝置及方法
US6606027B1 (en) Vehicle safety sensor system
US8816841B2 (en) Warning system
US20050012603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passability of a vehicle
US20050285725A1 (en) Back up feature for moving vehicles
KR101886325B1 (ko) 주차장 교차로의 진입차량 경고 시스템
WO2014072730A1 (en) Road safety apparatus
KR102356084B1 (ko)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US8779938B2 (en) Road traffic control system
KR102213390B1 (ko)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KR101535761B1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US7315235B1 (en) First war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459084B1 (ko) 주정차 금지 알림장치
KR100644813B1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KR20160015914A (ko)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KR20140126047A (ko) 건설장비용 안전장치
KR20130126491A (ko)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2194A (ko) 도로 중앙분리대 사고 방지설비
KR101612890B1 (ko) 도로의 전방 주행 차량 정보 제공시스템
KR20230013436A (ko) 스마트 레이저 신호등
KR20180076878A (ko) 차량 측면용 안전시스템
KR100743259B1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알림장치
TW201945224A (zh) 車門防撞警示方法與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