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84A -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84A
KR20200097984A KR1020190015501A KR20190015501A KR20200097984A KR 20200097984 A KR20200097984 A KR 20200097984A KR 1020190015501 A KR1020190015501 A KR 1020190015501A KR 20190015501 A KR20190015501 A KR 20190015501A KR 20200097984 A KR20200097984 A KR 20200097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hamber
region
buried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183B1 (ko
Inventor
송미희
Original Assignee
송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미희 filed Critical 송미희
Priority to KR102019001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 통로가 형성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하단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통로와 연통되는 손잡이부; 상기 니들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연장하여 상기 니들의 상단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매립실; 및 상기 니들 내에서 상기 매립실을 관통 고정하는 유도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구체적으로, 유도실을 이용하여 매립실을 고정하여 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인체의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시술방법 중에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봉합사를 피하에 삽입하고 피하 조직과 진피 조직을 서로 유착시킴에 따라 장력이 강화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들 유착된 부분을 당겨 위쪽에 고정하면 봉합사의 장력에 의해 늘어진 부분이 올라가 고정되는 원리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리프팅은 실을 진피, 피하지방층, 또는 SMAS(superficial muscular aponeurotic system)층에 넣어 주름을 개선하는 시술로, 최근에는 리프팅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피하 근육과 봉합사 간의 마찰이 증대하도록, 실의 굵기를 증가시키거나 실의 형태를 다양화한 봉합사가 개발되었으며, 2가닥 이상의 실을 한번에 시술하는 기술 또는 실을 꼬아 피부내 봉합사의 장력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굵은 봉합사를 니들에 삽입 시 실이 밀려 피부에 들어가지 않거나 실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굵은 봉합사가 피부 밖으로 나와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과 염증 후 색소침착 등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유도실을 이용하여 매립실을 고정하여 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 통로가 형성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하단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통로와 연통되는 손잡이부; 상기 니들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연장하여 상기 니들의 상단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매립실; 및 상기 니들 내에서 상기 매립실을 관통 고정하는 유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실은, 일 단부가 상기 매립실을 관통하되, 관통 영역을 중심으로 굴곡되어 고리부를 형성하고, 양 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립실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각각은 상기 니들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니들의 인체 삽입 시, 상기 매립실은 인체 내부로 완전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 영역은 상기 매립실의 제 1 영역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들의 삽입 시, 상기 유도실의 고리부는 상기 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는 상기 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니들의 제거 시,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유도실이 상기 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실의 상기 양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연장하되, 상기 고정 플러그의 결합 시, 상기 고정 플러그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서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립실은 상기 유도실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니들의 삽입 시 상기 매립실의 유동을 방지하여 인체 내측으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들의 외면 및 상기 매립실의 상기 제 2 영역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번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립실은 메쉬(mesh) 형태로 구성된 봉합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 통로가 형성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하단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통로와 연통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유도실의 일 단부가 매립실을 관통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유도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니들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유도실이 관통되는 상기 매립실의 제 1 영역을 상기 니들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제 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 2 영역을 상기 니들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 플러그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고정 플러그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유도실을 끼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실은, 일 단부가 상기 매립실을 관통하되, 관통 영역을 중심으로 굴곡되어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니들의 인체 삽입 시, 상기 유도실의 고리부는 상기 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는 상기 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니들의 제거 시,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유도실이 상기 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들의 외면 및 상기 매립실의 상기 제 2 영역을 감싸도록 번들링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립실이 유도실 및 고정 플러그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인체 내부로 삽입 시 매립실이 밀리거나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여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 횟수와 시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술 시 피시술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실 및 유도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장치의 동작이 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실 및 유도실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100)는 니들(110), 손잡이부(120), 매립실(130), 유도실(140), 고정 플러그(150) 및 번들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110)은 인체(즉, 피부)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 단이 개방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 통로(112)가 형성될 수 있다. 니들(110)은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상단이 첨예한 형태로 형성되어 인체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삽입 통로(112) 내에는 매립실(130) 및 유도실(1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니들(110)의 외측으로 매립실(13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됨으로서, 니들(110)의 삽입 시, 매립실(130) 및 유도실(140)의 적어도 일부가 인체 내측으로 니들(110)과 함께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니들(110)의 재질은, 형태의 변형 없이 인체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니들(110)의 삽입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니들(110)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니들(110)의 삽입 통로(112)와 연통하는 중공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도실(140)이 삽입 통로로부터 중공을 통해 손잡이부(120) 하측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니들(110)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억지 끼움, 접착제, 가열 융착 등의 다양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매립실(130)은 피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피부의 주름 개선 및 안면 윤곽 개선을 위한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니들(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니들(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립실(130)은 제 1 영역(132)이 니들(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 2 영역(134)이 니들(110)의 외부에 배치되되, 제 1 영역(132)에서 연장하여 니들(110)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매립실(130)의 제 1 영역(132) 및 제 2 영역(134) 각각은 니들(11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니들(110)에 의해 매립실(130) 전체가 인체 내부로 완전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매립실(130)의 직경은, 삽입 위치의 상태, 예를 들어, 피부의 처짐 정도, 주름의 깊이나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주름이 크고 깊은 부위에는 큰 직경의 매립실(130)을 사용하고, 피부의 주름이 작고 얕은 부위에는 작은 직경의 매립실(130)을 사용할 수 있다.
매립실(130)은 실시예에 따라, 단일 가닥(single strand), 여러 가닥(multi stands) 또는 메쉬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의료용 봉합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도실(140)의 관통이 허용될 수 있으면, 그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도실(140)은 매립실(130)이 인체 내부로 삽입 배치되도록 보조하는 것으로서, 니들(110) 내부에서 매립실(130)을 고정할 수 있다. 유도실(140)은 매립실(130)의 제 1 영역(132)의 일 단을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 영역을 중심으로 굴곡되어 고리부(142)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도실(140)의 양 단부를 니들(110) 내부에 (삽입 통로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고리부(142)에 의해 관통 고정된 매립실(130)의 제 1 영역(132)을 니들(110) 내부로 견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실(140)의 고리부(142)는 니들(11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도실(140)의 양 단부는 하측으로 연장하여 손잡이부(120)의 하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유도실(140)은 단일 가닥, 여러 가닥 또는 메쉬 형태의 의료용 봉합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매립실(130)의 일 영역을 관통할 수 있으면 그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매립실(130)은 메쉬 봉합사이고, 유도실(140)은 메쉬홀에 관통 가능한 단일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봉합사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매립실(130)은 큰 직경의 단일 가닥 봉합사이고, 유도실(140)은 작은 직경의 단일 가닥 봉합사일 수 있다. 다만, 유도실(140)은 단일 가닥 봉합사가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매립실(130)을 용이하게 관통하고, 시술 시 인체 자극, 통증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립실(130) 및/또는 유도실(140)은 인체 내부에서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봉합사로 구성되어, 시술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인체 내부에서 생분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립실(130) 및/또는 유도실(140)은 시간이 경과되면 인체의 내부에서 분해되어 없어질 수 있다.
고정 플러그(150)는 손잡이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도실(140)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러그(150)의 상측 단부는 손잡이부(120)의 하측 단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유도실(140)의 양 단부가 손잡이부(120)의 하단 및 외측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고정 플러그(150)가 손잡이부(120)에 결합될 때, 손잡이부(120) 및 고정 플러그(150) 사이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러그(150)는 손잡이부(120)의 파지 영역을 확대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번들링(160)은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과 니들(110)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결합하여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을 니들(1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번들링(160)은 니들(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니들(110)이 인체에 삽입될 때, 번들링(160)은 니들(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매립실(30)의 제 2 영역(134)을 니들(110)의 외면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매립실(130)의 유동을 방지하여 실 밀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에서, 니들(110)을 인체 내부에 삽입하고자 할 때에, 니들(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을 힘(항력)이 삽입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영역(134)과 연결된 제 1 영역(132)이 유도실(140)에 의해 고정되고, 유도실(140)은 손잡이부(120) 및 고정 플러그(140)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매립실(130)에 대해 삽입 반대 방향으로 항력이 작용하더라도, 매립실(130)이 밀리거나 흐트러지지 않으면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니들(110), 손잡이부(120) 등을 제거하면, 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은 유도실(140)의 양 단부가 인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인체 외부로 노출된 유도실(140)을 가위 등을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된 유도실(140)의 일 단을 당겨 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 후 유도실(140) 등에 의한 부작용 및 시술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S510 단계에서, 유도실(140)이 매립실(130)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실(140)의 일 단부가 매립실(130)을 관통하되, 관통 영역을 중심으로 굴곡되어 고리부(1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립실(130)은 메쉬 형태로 구비된 의료용 봉합사이고, 유도실(140)은 매립실(130)에 대한 관통이 용이한 단일 가닥 또는 복수 가닥의 의료용 봉합사일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유도실(140)을 니들(11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실(140)의 양 단부를 니들(110) 내부로, 즉 삽입 통로를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실(140)의 고리부(142)는 유도실(140)의 양 단부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하되 니들(110)의 삽입 통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고리부(142)에 의해 매립실(130)의 제 1 영역(132)이 견인되어 삽입 통로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은 니들(1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영역(132) 및 제 2 영역(134)이 니들(11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니들(110)의 삽입 시 매립실(130)을 인체 내부로 완전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도실(140)의 양 단부는 고리부(142)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20) 보다 하단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손잡이부(120)에 고정 플러그(150)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20)의 하단에 고정 플러그(15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20)의 하단으로 연장 배치된 유도실(140)의 양 단부가 손잡이부(120)와 고정 플러그(150) 사이에서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도실(140), 나아가 유도실(140)에 의해 관통된 매립실(130)이 밀리거나 흐트러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니들(110)에 번들링(160)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의해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 및 니들(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번들링(160)이 결합할 수 있다. 번들링(160)은 니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을 니들(110)에 밀착시키고, 제 2 영역(134)이 보다 팽팽하게 유도실(140)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가 인체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의 (b)는 니들, 손잡이부 및 고정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의 (c)는 유도실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니들(110)을 삽입시킬 수 있다(S610 단계). S610 단계는, 니들(110)의 첨예한 선단을 이용하여 인체 내측의(특히 피부 내측의) 표적 위치까지 니들(110)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니들(110)의 삽입을 통해 니들(110)에 배치되는 매립실(130) 및 유도실(140)이 인체 내측으로 견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립실(130)은 제 1 영역(132)이 유도실(140)에 의하여 관통되어 니들(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영역(134)이 니들(1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 이때, 손잡이부(120) 및 고정 플러그(150) 사이에서 양 단부가 끼움 고정된 유도실(140)에 의해 매립실(130)이 고정됨으로써, 니들(110)의 삽입 시에 제 2 영역(134)에 작용하는 항력에도 불구하고 매립실(130)이 흐트러지거나 밀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매립실(130)의 제 2 영역(134)은 니들(110)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번들링(160)에 의해 니들(11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매립실(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고정 플러그(150), 니들(110) 및 손잡이부(120)를 제거할 수 있다(S620 단계). S620 단계는, 표적 위치까지 니들(110)을 삽입한 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먼저 고정 플러그(150)를 제거하고, 이후에 니들(110) 및 손잡이부(120)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고정 플러그(150)를 제거함으로써, 손잡이부(120)와 고정 플러그(150)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있던 유도실(14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니들(110) 및 손잡이부(120)를 제거함으로써, 매립실(130) 및 유도실(140)만이 인체에 잔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립실(130)은 전체가 인체 내측으로 삽입되고, 유도실(140)은 일부가 인체 내측으로 삽입되되, 양 단부는 인체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620 단계에서는, 니들(110) 외면에 결합된 번들링(160)이 니들(110)과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의 (c)를 참조하면, 인체 외부로 노출된 유도실(140)을 제거할 수 있다(S630 단계). 예를 들어, 유도실(140)을 가위 등을 이용하여 노출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유도실(140)의 적어도 일 단을 당겨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110: 니들
112: 삽입 통로 120: 손잡이부
130: 매립실 132: 제 1 영역
134: 제 2 영역 140: 유도실
142: 고리부 150: 고정 플러그
160: 번들링

Claims (12)

  1.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로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 통로가 형성되는 니들;
    상기 니들의 하단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통로와 연통되는 손잡이부;
    상기 니들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연장하여 상기 니들의 상단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매립실; 및
    상기 니들 내에서 상기 매립실을 관통 고정하는 유도실을 포함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실은, 일 단부가 상기 매립실을 관통하되, 관통 영역을 중심으로 굴곡되어 고리부를 형성하고, 양 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고정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실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각각은 상기 니들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니들의 인체 삽입 시, 상기 매립실은 인체 내부로 완전 삽입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은 상기 매립실의 제 1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삽입 시, 상기 유도실의 고리부는 상기 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는 상기 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니들의 제거 시,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유도실이 상기 인체로부터 제거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실의 상기 양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연장하되, 상기 고정 플러그의 결합 시, 상기 고정 플러그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서 끼움 고정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실은 상기 유도실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니들의 삽입 시 매립실의 유동을 방지하여 인체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외면 및 상기 매립실의 상기 제 2 영역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번들링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실은 메쉬(mesh) 형태로 구성된 봉합사인,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10.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 통로가 형성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하단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통로와 연통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도실의 일 단부가 매립실을 관통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유도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니들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유도실이 관통되는 상기 매립실의 제 1 영역을 상기 니들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제 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 2 영역을 상기 니들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 플러그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고정 플러그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유도실을 끼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실은, 일 단부가 상기 매립실을 관통하되, 관통 영역을 중심으로 굴곡되어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니들의 인체 삽입 시, 상기 유도실의 고리부는 상기 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는 상기 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니들의 제거 시, 상기 유도실의 양 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유도실이 상기 인체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외면 및 상기 매립실의 상기 제 2 영역을 감싸도록 번들링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15501A 2019-02-11 2019-02-11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01A KR102212183B1 (ko) 2019-02-11 2019-02-11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01A KR102212183B1 (ko) 2019-02-11 2019-02-11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84A true KR20200097984A (ko) 2020-08-20
KR102212183B1 KR102212183B1 (ko) 2021-02-03

Family

ID=7224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01A KR102212183B1 (ko) 2019-02-11 2019-02-11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225A (ko) * 2006-06-19 2007-12-24 김동준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KR101309474B1 (ko) * 2011-10-05 2013-09-23 김근식 실 삽입기
KR20150084641A (ko) * 2014-01-12 2015-07-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7003836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봉합사 삽입을 위한 피부 시술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225A (ko) * 2006-06-19 2007-12-24 김동준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KR101309474B1 (ko) * 2011-10-05 2013-09-23 김근식 실 삽입기
KR20150084641A (ko) * 2014-01-12 2015-07-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7003836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봉합사 삽입을 위한 피부 시술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183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309B1 (ko)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WO2013122339A1 (ko) 의료용 메쉬 구조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WO2015105269A1 (ko) 실 삽입기
RU2650199C1 (ru) Канюля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нитей
CN103492013B (zh) 引导护套
CN203634235U (zh) 左心耳封堵器
KR102212183B1 (ko) 의료용 봉합사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997297B (zh) 治疗子宫脱垂用的医用材料
JP6654312B2 (ja) 分岐点が設けられたリフティング用手術器具
KR20140092096A (ko) 복합 공간 성형 리프팅 수술용 바늘
KR20150078294A (ko) 매선도구
KR101534061B1 (ko) 폭경비가 다른 개구를 구비한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KR20130119182A (ko) 매선 시술용 로프
CN108143469B (zh) 一种穿刺鞘管
KR101344643B1 (ko) 매선용 도구
KR20160056683A (ko) 매선 시술용 니들
KR101746738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140120720A (ko) 매선용 도구
KR20160016225A (ko) 생체 삽입 또는 봉합용 자입 도구
CN207654422U (zh) 一种用于松筋治疗的动筋针
JP5315534B2 (ja) 施術具
CN210019795U (zh) 美容提拉线及引导器具
KR20230123204A (ko) 리프팅 시술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 방법
JP2004121634A (ja) 頬部脂肪牽引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