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10A - 양말 착용구 - Google Patents

양말 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10A
KR20200097910A KR1020190015311A KR20190015311A KR20200097910A KR 20200097910 A KR20200097910 A KR 20200097910A KR 1020190015311 A KR1020190015311 A KR 1020190015311A KR 20190015311 A KR20190015311 A KR 20190015311A KR 20200097910 A KR20200097910 A KR 2020009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s
shaft
grip
wear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열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910A/ko
Publication of KR2020009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5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stocking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관절 환자가 고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거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가 무릎을 굽히지 않고 본인 스스로가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양말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말 착용구{Socks wear implement}
본 발명은 양말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관절 환자가 고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거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가 무릎을 굽히지 않고 본인 스스로가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양말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실내에서 활동을 하거나 외출 시 양말을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양말을 신기 위해서는 앉은 상태에서 발을 앞으로 내밀고 두 손을 이용하여 양말을 당겨 신는다.
그러나, 고관절 환자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 및 관절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우 및 고도의 비만인 사람들 그리고 임신부들은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팔을 내미는 동작이 어렵고 대부분은 이러한 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양말을 신고 벗는데 매우 많은 어려움이 있고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말을 신고 벗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의 양말을 신고 벗는 동작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손 및 팔의 기능을 대신해 줄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 양말 착용을 도와주는 양말 착용구가 다수 소개되었으며, 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8045호(이하 문헌 1)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067호(이하 문헌 2)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문헌 1은 중공의 형상으로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지지관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 상기 각 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호 ‘X’자 형으로 교차하여 힌지로 고정되는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를 고정하는 힌지축과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힌지축이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 및 집게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은 집게부가 양쪽에서만 양말을 벌려주게 되므로, 착용 시 뒤꿈치가 양말의 개방부에 걸리는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쉽게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착용 과정에서 양말이 집게부에서 이탈하여 재차 집게부에 양말을 끼워서 다시 착용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등 착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헌 1은 양말을 착용할 때까지 레버를 당기고 있어야 하므로, 손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양말(30)의 개구홈(32)을 통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 및 상기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조절부(200);를 포함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로서,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성가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암(210)과, 각각의 상기 연결암(210)에서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연장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암(220)과,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파지암(220) 간의 이격간격과 대항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암(210)과 파지암(220)의 연결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경첩(230)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부(1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홈(32)에 진입되는 봉 형태의 진입봉(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2는 연결암(210)과 파지암(220)으로 이루어진 확장 조절부 한 쌍이 좌우 대칭으로 '〉'와 '〈' 형태로 이루어져 지렛대 원리도 동작하는 것으로, 양말을 한 쌍의 연결암(210) 측에 마련된 진입봉(110)에 걸어 놓고 벌리기 위해서는 한 쌍의 파지암(220)을 오므려야 하는데, 그 동작에 많은 힘이 가해져야 하므로, 악력이 약한 사람들은 사용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헌 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파지암(220)의 길이가 짧아 허리를 많이 숙이거나 무릎을 많이 구부려야 하므로, 문헌 1을 개발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얻어지는 효과 또한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욱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말 착용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양말 착용구와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8045호(명칭 : 양말 착용 기구 ; 출원일 : 2010년 04월 22일)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067호(명칭 : 양말 착용 보조장치 ; 출원일 : 2014년 07월 1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고관절 환자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 및 관절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우 및 고도의 비만인 사람들 그리고 임신부들이 고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거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가 무릎을 굽히지 않고 본인 스스로가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양말 착용구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 단에 그립(11a)이 마련된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 타측 단에서 전방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1)의 개구부를 양측으로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부(12); 상기 확장부(12)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확장된 양말(1)의 개구부 양측을 파지/해제시키는 파지부(13); 상기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1)의 개구부를 후방으로 확장시키는 한편, 뒤꿈치를 양말(1) 내측으로 유도하는 착용유도부(14); 상기 파지부(13)에서 그립(11a) 부위로 연장되는 작동와이어(15a)와 상기 그립(11a) 또는 샤프트(11) 일측 단 부위에 마련되어 작동와이어(15a)를 끌어당기거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레버(15b)를 포함하는 작동부(1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확장부(12)는 샤프트(11)의 타측 단에 결합 마련되는 별도의 파이프일 수도 있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가 샤프트 타측 단에 연통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13)는 스프링(13b)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진 집게(13a)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는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지 동작하며,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해제되면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착용유도부(14)는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 하향 고정되는 고정부재(14a); 상기 고정부재(14a) 선단에 하향 고정되어 양말(1)의 뒤쪽을 확장시키면서 인입되어 뒤꿈치가 슬라이드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패드(14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패드(14b)는 선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플렉서블한 것으로, 선단은 양말(1)에 인입된 상태에서 뒤꿈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형체 변형되고, 양말(1) 착용 후 양말(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발목과 종아리 하단을 따라 형체 변형되면서 원상 회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작동부(15)는 그립(11a) 또는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형성되는 슬릿(11b)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작동레버(15b)를 포함하고, 작동와이어(15a) 일측 단은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 중 벌어지는 집게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작동레버(15b)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15)를 구성하는 작동레버(15b)가 당겨졌을 때 걸림 동작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 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하는 시건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시건부(16)는 그립(11a)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간(16a);상기 작동간(16a) 일측 단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6b); 상기 작동간(16a)을 작동레버(15b) 측으로 가압 작용시키는 스프링(16c); 상기 작동레버(15b)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16b)의 걸림 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홈(16d); 상기 작동간(16a) 타측 단에 마련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홈(16d)에 대해 걸림돌기(16b)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16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고관절 환자가 고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거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가 무릎을 굽히지 않고 본인 스스로가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11) 또는 샤프트(11)와 그립(11a)까지의 길이가 60~90cm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발에 양말(1)을 끼우고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장부(12)가 발의 뒤꿈치와 발목 뒷부분을 감싸도록 전방으로 만곡지게 이루어짐으로써, 벌어진 양말(1)에 발을 손쉽게 넣고, 착용 후에는 착용유도부(14)를 손쉽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지부(13)가 스프링(13b)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진 집게(13a)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가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지 동작하며,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해제되면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말(1)의 개구부를 쉽게 끼워 놓을 수 있고, 그러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의해 집게(13a)가 오므려지면서 양말(1)의 개구부가 쉽게 파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용유도부(14)를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 하향 고정함으로써,상기 한 쌍의 집게(13a)와 함께 양말(1)의 개구부를 삼각 형태로 벌려서 발이 수훨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용유도부(14) 선단이 양말(1)에 인입된 상태에서 뒤꿈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형체 변형되고, 양말(1) 착용 후 양말(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발목과 종아리 하단을 따라 형체 변형되면서 원상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양말(1)에 발을 넣을 때 착용유도부(14)를 따라 발뒤꿈치가 쉽게 인입되도록 하고, 착용 후에 착용유도부(14)를 양말(1)과 발뒤꿈치 사이에서 인출시킬 때 쉽게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동레버(15b)를 당겼을 때 작동레버(15b)에 마련된 걸림홈(16d)에 작동간(16a)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b)가 클러치 방식으로 걸림 동작하면서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작동간(16a)을 들어올렸을 때 상기 걸림돌기(16b)가 걸림홈(16d)에서 이탈하여 작동레버(15b)가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함으로써, 양말(1)을 착용할 때까지 작동레버(15b)를 당기는 것에 의해 손가락에 통증 내지 피로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과 양말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을 포함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구성하는 작동레버와 작동와이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와이어가 파지부의 집게를 오므려 양말의 개구부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레버를 당겼을 때 시건부를 구성하는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끼워져 작동레버의 당김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건부를 눌렀을 때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하여 작동레버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레버가 걸림 해제되어 작동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원위치로 귀환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와이어가 집게의 스프링 팽창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양말 착용구(1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에 그립(11a)이 마련된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 타측 단에서 전방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1)의 개구부를 양측으로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부(12); 상기 확장부(12)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확장된 양말(1)의 개구부 양측을 파지/해제시키는 파지부(13); 상기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1)의 개구부를 후방으로 확장시키는 한편, 뒤꿈치를 양말(1) 내측으로 유도하는 착용유도부(14); 상기 파지부(13)에서 그립(11a) 부위로 연장되는 작동와이어(15a)와 상기 그립(11a) 또는 샤프트(11) 일측 단 부위에 마련되어 작동와이어(15a)를 끌어당기거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레버(15b)를 포함하는 작동부(1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샤프트(11)는 인입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해제 동작을 유도하는 파이프인 것일 수 있고, 길이가 신장 단축되는 다단의 샤프트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으며, 길이가 신장되는 구조에서는 작동와이어(15a)를 늘이거나 당겨서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작동레버(15b) 측면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Boa dial)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11a)은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러버 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 탄성과 마찰력(그립력)을 갖는 손잡이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확장부(12)는 샤프트(11)의 타측 단과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연장 마련되는 파이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12)는 샤프트(11)의 타측 단에 결합 마련되는 별도의 파이프일 수도 있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가 샤프트 타측 단에 연통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13)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3b)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진 집게(13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는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지 동작하며,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해제되면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착용유도부(14)는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 하향 고정되는 고정부재(14a); 상기 고정부재(14a) 선단에 하향 고정되어 양말(1)의 뒤쪽을 확장시키면서 인입되어 뒤꿈치가 슬라이드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패드(14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4a)는 높이가 가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14b)는 선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플렉서블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14b) 선단은 양말(1)에 인입된 상태에서 뒤꿈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형체 변형되고, 양말(1) 착용 후 양말(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발목과 종아리 하단을 따라 형체 변형되면서 원상 회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작동부(15)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11a) 또는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형성되는 슬릿(11b)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작동레버(15b)가 그립(11a)과 함께 권총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와이어(15a)는 강선 철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와이어(15a) 일측 단은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 중 벌어지는 집게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작동레버(15b)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15b) 일측 단은 그립(11a)에 형성되는 일직선 슬릿(11b)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작동와이어(15a)와 연결되고, 타측 단은 슬릿(11b) 외측에 노출되어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는 부위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15)를 구성하는 작동레버(15b)가 당겨졌을 때 걸림 동작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 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하는 시건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건부(16)는 그립(11a)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간(16a);상기 작동간(16a) 일측 단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6b); 상기 작동간(16a)을 작동레버(15b) 측으로 가압 작용시키는 스프링(16c); 상기 작동레버(15b)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16b)의 걸림 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홈(16d); 상기 작동간(16a) 타측 단에 마련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홈(16d)에 대해 걸림돌기(16b)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16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홈(16d)은 작동레버(15b) 일측 단에 다열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일측 단에 그립(11a)이 마련된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 타측 단에서 전방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1)의 개구부를 양측으로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부(12); 상기 확장부(12)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확장된 양말(1)의 개구부 양측을 파지/해제시키는 파지부(13); 상기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1)의 개구부를 후방으로 확장시키는 한편, 뒤꿈치를 양말(1) 내측으로 유도하는 착용유도부(14); 상기 파지부(13)에서 그립(11a) 부위로 연장되는 작동와이어(15a)와 상기 그립(11a) 부위에 마련되어 작동와이어(15a)를 끌어당기거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레버(15b)를 포함하는 작동부(15);를 포함하여서 된 양말 착용구(10)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관절 환자가 고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거나 하지 마비와 반신 마비를 포함하여 무릎이 굽혀지지 않는 환자가 무릎을 굽히지 않고 본인 스스로가 양말(1)을 신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중 상기 샤프트(11)는 인입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해제 동작을 유도하는 파이프이고, 상기 그립(11a)은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러버 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 탄성과 마찰력(그립력)을 갖는 손잡이이다.
상기 샤프트(11) 또는 샤프트(11)와 그립(11a)까지의 길이는 실시예적으로 60~90cm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리되어야만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발에 양말을 끼우고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확장부(12)는 실시예적으로 샤프트(11)의 타측 단과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연장 마련되는 파이프로서, 발의 뒤꿈치와 발목 뒷부분을 감싸도록 전방으로 만곡진 것이 바람직한데, 그리되어야만 벌어진 양말(1)에 발을 손쉽게 넣고, 착용 후에는 착용유도부(14)를 손쉽게 인출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13)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3b)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진 집게(13a)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는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지 동작하며, 상기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해제되면 스프링(13b)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게(13a)가 벌어진 상태로 있어야만 양말(1)의 개구부를 끼워 놓을 수 있고, 그러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15a)의 당김 동작에 의해 집게(13a)가 오므려지면서 양말(1)의 개구부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착용유도부(14)는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 하향 고정되는 고정부재(14a); 상기 고정부재(14a) 선단에 하향 고정되어 양말(1)의 뒤쪽을 확장시키면서 인입되어 뒤꿈치가 슬라이드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패드(14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선단이 양말(1)에 인입된 상태에서 뒤꿈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형체 변형되고, 양말(1) 착용 후 양말(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발목과 종아리 하단을 따라 형체 변형되면서 원상 회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착용유도부(14)가 샤프트(11) 타측 단 후방에 하향 고정되어야만 상기 한 쌍의 집게(13a)와 함께 양말(1)의 개구부를 삼각 형태로 벌려서 발이 수훨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작동부(15)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11a) 또는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형성되는 슬릿(11b)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작동레버(15b)가 그립(11a)과 함께 권총 형태를 갖는 것을 실시예로 하며, 상기 작동와이어(15a) 일측 단은 상기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 중 벌어지는 집게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작동레버(15b)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작동레버(15b) 일측 단은 그립(11a)에 형성되는 일직선 슬릿(11b)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작동와이어(15a)와 연결되고, 타측 단은 슬릿(11b) 외측에 노출되어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는 부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되어야만 상기 그립(11a)을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로 작동레버(15b)를 당기거나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15)를 구성하는 작동레버(15b)가 당겨졌을 때 걸림 동작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 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하는 시건부(16)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시건부(16)는 그립(11a)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간(16a);상기 작동간(16a) 일측 단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6b); 상기 작동간(16a)을 작동레버(15b) 측으로 가압 작용시키는 스프링(16c); 상기 작동레버(15b)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16b)의 걸림 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홈(16d); 상기 작동간(16a) 타측 단에 마련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홈(16d)에 대해 걸림돌기(16b)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16e);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작동레버(15b)를 당겼을 때 작동레버(15b)에 마련된 걸림홈(16d)에 작동간(16a)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b)가 클러치 방식으로 걸림 동작하면서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작동간(16a)을 들어올렸을 때 상기 걸림돌기(16b)가 걸림홈(16d)에서 이탈하여 작동레버(15b)가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한다.
상기와 관련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샤프트(11)의 타측 단에서 전방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하향 연장된 한 쌍의 확장부(12) 각각에 마련된 집게(13a)를 양말(1)의 개구부 양측에 걸어서 위치시킴과 동시에 착용유도부(14)의 패드(14b)를 양말(1) 개구부 후방으로 인입시키면, 양말(1)의 개구부가 삼각 형태로 벌어지게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1)의 일측 단에 마련된 그립(11a)을 잡고 작동레버(15b)를 당기게 되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와이어(15a)가 벌어진 집게(13a)를 끌어당겨 오므려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집게(13a)가 양말(1)의 개구부 양측을 파지하게 된다.
이때, 끌어 당겨진 상기 작동레버(15b)는 손가락을 놓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기도 하나,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건부(16)를 구성하는 작동간(16a)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b)가 작동레버(15b)에 형성된 걸림홈(16b)에 걸리면서 끌어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기도 하며, 이러한 실시예가 사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하여 벌어진 양말(1)에 착용자의 발을 집어넣으면서 상기 그립(11a)을 상방으로 끌어당기면 양말(1)이 끌어 올려지면서 발에 착용되며, 이때, 상기 착용유도부(14)의 패드(14b)가 뒤꿈치의 인입을 유도하여 착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양말(1)을 착용한 후에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건부(16)의 해제돌기(16e)를 누르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6d)이 걸림돌기(16b)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레버(15b)가 원위치로 귀환하게 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를 구성하는 집게(13a)가 스프링(13b)에 의해 벌어지면서 파지하였던 양말(1)을 놓게 되며, 상기 스프링(13b)에 의해 벌어지는 집게(13a)에 의해 작동와이어(15a)가 끌어 당겨지면서 작동레버(15b) 역시 끌어 당겨져 원위치로 귀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15b)를 당겼을 때 작동레버(15b)에 마련된 걸림홈(16d)에 작동간(16a)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b)가 클러치 방식으로 걸림 동작하면서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작동간(16a)을 들어올렸을 때 상기 걸림돌기(16b)가 걸림홈(16d)에서 이탈하여 작동레버(15b)가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함으로써, 양말(1)을 착용할 때까지 작동레버(15b)를 당기는 것에 의해 손가락에 통증 내지 피로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양말 착용구

Claims (15)

  1. 일측 단에 그립이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타측 단에서 전방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의 개구부를 양측으로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부;
    상기 확장부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확장된 양말의 개구부 양측을 파지/해제시키는 파지부;
    상기 샤프트 타측 단 후방에서 하향 연장 마련되어, 양말의 개구부를 후방으로 확장시키는 한편, 뒤꿈치를 양말 내측으로 유도하는 착용유도부;
    상기 파지부에서 그립 부위로 연장되는 작동와이어와 상기 그립 또는 샤프트 일측 단 부위에 마련되어 작동와이어를 끌어당기거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인입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작동와이어의 당김 해제 동작을 유도하는 파이프이거나, 길이가 신장 단축되는 다단의 샤프트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신장되는 구조에서는 작동와이어를 늘이거나 당겨서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작동레버 측면에 신축다이얼이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샤프트의 타측 단과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연장 마련되는 파이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샤프트의 타측 단에 결합 마련되는 별도의 파이프이거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가 샤프트 타측 단에 연통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스프링에 의해 선단부가 벌어진 집게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구성하는 집게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작동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지 동작하며, 상기 작동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해제되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도부는 샤프트 타측 단 후방에 하향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선단에 하향 고정되어 양말의 뒤쪽을 확장시키면서 인입되어 뒤꿈치가 슬라이드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선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플렉서블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드 선단은 양말에 인입된 상태에서 뒤꿈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형체 변형되고, 양말 착용 후 양말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발목과 종아리 하단을 따라 형체 변형되면서 원상 회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그립 또는 샤프트의 일측 단에 형성되는 슬릿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와이어 일측 단은 상기 파지부를 구성하는 집게 중 벌어지는 집게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작동레버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 일측 단은 그립에 형성되는 일직선 슬릿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작동와이어와 연결되고, 타측 단은 슬릿 외측에 노출되어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부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구성하는 작동레버가 당겨졌을 때 걸림 동작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 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귀환하도록 하는 시건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건부는 그립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간;상기 작동간 일측 단에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작동간을 작동레버 측으로 가압 작용시키는 스프링;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 부위를 제공하는 걸림홈;
    상기 작동간 타측 단에 마련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홈에 대해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구.
KR1020190015311A 2019-02-11 2019-02-11 양말 착용구 KR2020009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11A KR20200097910A (ko) 2019-02-11 2019-02-11 양말 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11A KR20200097910A (ko) 2019-02-11 2019-02-11 양말 착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79A Division KR102230304B1 (ko) 2020-10-13 2020-10-13 양말 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10A true KR20200097910A (ko) 2020-08-20

Family

ID=7229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11A KR20200097910A (ko) 2019-02-11 2019-02-11 양말 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9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9769B2 (ja) 膣用鉗子
US7216787B2 (en) Device for fitting a support stocking on a person and for taking off the same
EP3706702B1 (en) Hand exoskeleton device
US5706988A (en) Stocking aid device
EP3685692A1 (en) Pelvic retainer and body clamp
KR20180012956A (ko)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KR102230304B1 (ko) 양말 착용구
NZ540912A (en) An hand orthosis including a hand part, a thumb part and a forearm part, with a flexible connection which draws a user's thumb toward their index finger when the wrist is extended
KR20200097910A (ko) 양말 착용구
KR100567588B1 (ko) 포경 교정구
JP3451084B1 (ja) 靴装着用器具
KR101089806B1 (ko) 양말 착용 기구
JP2007244790A (ja) 下半身用衣類装着補助具
US20080277432A1 (en) Assist device for doffing stockings
CN208864740U (zh) 一种辅助踝关节功能锻炼的拉力带
KR200462924Y1 (ko) 발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양말 신는 기구
CN218606068U (zh) 一种辅助穿袜装置
JP5048880B1 (ja) 弾性靴下類の装着補助具ユニット及びその保持器
JP2014217417A (ja) 足部用弾性着衣の装着補助具
RU27791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рагментации каловой пробки в дистальной части прямой кишки человека
JP6037274B2 (ja) 靴下の脱離用補助具
JP2019076682A (ja) 自立式足麻痺部膝の曲げ伸しリハビリ機具
JP2001262410A (ja) 介護服
JP2004337234A (ja) ソックス着用具
KR200484409Y1 (ko)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