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09Y1 -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09Y1
KR200484409Y1 KR2020160001083U KR20160001083U KR200484409Y1 KR 200484409 Y1 KR200484409 Y1 KR 200484409Y1 KR 2020160001083 U KR2020160001083 U KR 2020160001083U KR 20160001083 U KR20160001083 U KR 20160001083U KR 200484409 Y1 KR200484409 Y1 KR 200484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guide
guide body
us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늑복
Original Assignee
연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늑복 filed Critical 연늑복
Priority to KR2020160001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5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5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stockings
    • A47G25/907Smooth and flexible temporary foot covers, e.g. sock-shaped

Abstract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는: 상측은 개구되어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부를 구비하며 일측은 양말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가이드몸체와, 가이드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양말의 외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부 및 사용자의 발이 가이드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말이 가이드몸체를 따라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에 신겨지도록 양말을 끌어당기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ASSIST DEVICE FOR WEAR SOCKS}
본 고안은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이 불편한 사람도 혼자 양말을 신을 수 있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내에서 활동을 하거나 외출 시 양말을 착용한다. 양말을 신기 위해서는 앉은 상태에서 발을 앞으로 내밀고 두손을 이용하여 양말을 몸쪽으로 당겨서 신는다.
그러나 허리가 아프거나 목디스크가 심한 환자와 배가 많이 나온 사람과 임산부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을 포함하여 허리를 굽히기 어려운 사람들은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팔을 내미는 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혼자 양말을 신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항상 주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99133호(2015.08.31 공개, 발명의 명칭: 양말)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이 불편한 사람도 혼자 양말을 신을 수 있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는: 상측은 개구되어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부를 구비하며 일측은 양말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가이드몸체와, 가이드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양말의 외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부 및 사용자의 발이 가이드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말이 가이드몸체를 따라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에 신겨지도록 양말을 끌어당기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몸체는, 상측은 안내홈부가 구비되며 하측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 및 제1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양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홈부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며, 안내홈부의 길이방향 양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는, 제1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 및 연장몸체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며 견인부에 걸려서 이동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부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일측에 갈고리 형상으로 설치되어 양말의 외측에 걸리며 몸체부의 이동으로 양말을 제1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부는,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구둣주걱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을 신을 때 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는, 양말의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이 양말의 내측으로 삽입됨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와 양말을 끌어 당기는 견인부를 사용하므로 몸이 불편한 사람도 혼자 양말을 신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의 일측이 양말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를 따라 사용자의 발 일측이 양말에 신겨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가 양말의 외측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양말을 끌어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가 양말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가 양말에서 분리된 후 양말이 견인부에 끌려서 사용자의 발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거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의 일측이 양말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를 따라 사용자의 발 일측이 양말에 신겨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가 양말의 외측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양말을 끌어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가 양말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가 양말에서 분리된 후 양말이 견인부에 끌려서 사용자의 발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거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1)는, 상측은 개구되어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부(14)를 구비하며 일측(이하 도 1기준 우측)은 양말(40)의 개구부(42)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50)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가이드몸체(10)와, 가이드몸체(10)의 타측(이하 도 1기준 좌측)으로 연장되어 양말(40)의 외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몸체(10)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부(20) 및 사용자의 발(50)이 가이드몸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말(40)이 가이드몸체(10)를 따라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50)에 신겨지도록 양말(40)을 끌어당기는 견인부(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10)는 가이드몸체(10)의 상측이 개구되어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부(14)를 구비하며, 가이드몸체(10)의 일측은 양말(40)의 개구부(42)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50)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몸체(10)는 제1몸체(12)와 제2몸체(18)를 포함한다.
제1몸체(12)의 상측은 안내홈부(14)가 구비되며, 제1몸체(12)의 하측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즉 제1몸체(12)의 하측에는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 볼록한 형상의 곡면부(16)가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몸체(10)가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을 할 때, 양말(40)과 가이드몸체(10)의 사이에 마찰력이 저감되어 가이드몸체(1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른 제1몸체(12)는 원통형의 파이프 일부를 절단하여 제1몸체(12)의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사출식 생산방법에 의해 제1몸체(12)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생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몸체(12)의 상측에는 가이드몸체(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 안내홈부(14)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발(50)이 안내홈부(14)를 따라 양말(40)의 내측으로 이동됨을 안내한다. 또한 안내홈부(14)를 구비한 가이드몸체(10)가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사용자의 발(50)이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부(14)에 사용자의 발(50)이 안착되며, 안내홈부(14)의 길이방향(D) 양측(도 1기준 좌우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안내홈부(14)의 타측을 통해서 사용자의 발(50)이 안내홈부(14)로 삽입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안내홈부(14)의 일측을 통해서 사용자의 발(50)이 안내홈부(14)에서 양말(4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안내홈부(14)의 일측이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50)이 안내홈부(14)의 타측을 통하여 안내홈부(14)로 안착된 후,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안내홈부(14)가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발(50)이 제1몸체(12)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2몸체(18)는 제1몸체(1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8)는 제1몸체(12)와 같이 상측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몸체(18)가 양말(4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몸체(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몸체(18)의 형상은 점차로 가늘어지게 형성된다. 즉 제1몸체(12)와 제2몸체(18)의 하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몸체(18)의 양측 높이는 제2몸체(18)의 일단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연장부(20)는 가이드몸체(10)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양말(40)의 외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몸체(10)와 함께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0)는, 제1몸체(12)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22)와, 연장몸체(22)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며 견인부(30)에 걸려서 이동되는 고리부재(24)를 포함한다.
연장몸체(22)의 하측은 가이드몸체(10)의 하측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몸체(10)가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된 경우, 연장부(20)의 연장몸체(22)는 양말(40)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장몸체(22) 또는 고리부재(24)를 잡고 양말(40)의 외측으로 당기므로 가이드몸체(10)를 양말(4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리부재(24)는 끈 형상으로 형성되며, 견인부(30)의 걸이부재(34)에 걸려서 연장몸체(2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고리부재(24)는 연장몸체(22)를 관통하며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다.
도 1과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30)는 사용자의 발(50)이 가이드몸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말(40)이 가이드몸체(10)를 따라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50)에 신겨지도록 양말(40)을 끌어당기는 기능을 하며, 이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견인부(3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30)는 몸체부(32)와 걸이부재(34)와 안내부(36)와 연결부재(38)를 포함한다.
몸체부(32)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된다. 몸체부(32)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몸체부(32)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몸체부(32)와 걸이부재(34)를 포함한 견인부(30)는 양말(40)을 끌어당기는 기능 외에도 지팡이와 구둣주걱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몸체부(32)는 원형바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앉거나 선 자세에서 양말(40)을 끌어당기기 용이한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몸체부(32)의 길이를 설정한다.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가 상이하므로 몸체부(32)의 길이는 가변이 가능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
걸이부재(34)는 몸체부(32)의 일측에 갈고리 형상으로 설치되어 양말(40)의 외측에 걸리며, 몸체부(32)의 이동으로 양말(40)을 제1몸체(12)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이부재(34)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32)의 일측에 고정된다.
안내부(36)는 몸체부(32)의 타측에 연결되며, 구둣주걱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을 신을 때 발의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부(36)는 곡면을 구비하며 몸체부(32)의 타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걸이부재(34)를 이용하여 양말(40)을 끌어당기는 동작으로 사용자의 발(50)에 양말(40)이 신겨진 이후, 안내부(36)를 사용해 사용자의 발(50)에 구두가 신겨지는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연결부재(38)는 끈 형상으로 형성되며, 견인부(30)의 몸체부(32)나 안내부(36)에 연결되어 몸체부(32) 또는 안내부(36)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재(38)는 몸체부(32)나 안내부(36)를 관통하며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안내부(60)는 탈거안내몸체(62)와 안내고리(64)와 조절부(67)와 고정부재(68)와 탄성암부재(69)를 포함한다.
탈거안내몸체(6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탈거안내몸체(62)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부재로 구분될 수 있다. 탈거안내몸체(62)는 조절부(67)를 중심으로 연결되며, 일측의 탈거안내몸체(62)가 타측의 탈거안내몸체(6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탈거안내몸체(6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탈거안내몸체(62)의 일측에는 끈 형상의 안내고리(64)가 설치되어 탈거안내부(6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절부(67)는 힌지브라켓(65)과 레버부재(66)를 포함하며, 힌지브라켓(65)이 2개로 나누어진 탈거안내몸체(62)의 이음부 부위에 설치된다. 힌지브라켓(65)에는 레버부재(6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부재(66)의 회전으로 타측에 위치한 탈거안내몸체(62)의 이동이 구속되거나 허용된다.
탈거안내몸체(62)의 타측에 고정된 고정부재(68)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성형되며, 고정부재(68)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탄성암부재(69)는 사용자의 발에 신겨진 양말을 벗을때 사용한다. 즉,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발에서 양말을 혼자 벗을 때, 조절부(67)를 통해 탈거안내몸체(62)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탄성을 갖는 탄성암부재(69)가 사용자의 발 외측에 신겨진 양말에 탄성적으로 접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탈거안내몸체(62)를 이동하면, 이에 따라 탄성암부재(69)가 양말을 사용자의 발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혼자서도 양말을 벗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40)의 개구부(42)를 통해 가이드몸체(10)의 제2몸체(18)가 삽입되므로, 제1몸체(12)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발(50)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부(14)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연장부(20)와 가이드몸체(10)의 상측에 사용자의 발(50)이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50) 가운데 일측(도 3기준 우측)이 양말(40)의 개구부(42)로 삽입된다. 이때 연장부(20)와 가이드몸체(10)와 양말(40)은 바닥에 놓이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50)이 가이드몸체(10)와 연장부(20)의 상측에 안착되며, 가이드몸체(10)와 사용자의 발(50)의 일부가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견인부(30)를 파지하여 양말(40)을 사용자의 발(50) 외측으로 견인한다. 이때 사용자는 견인부(30)의 몸체부(32)나 안내부(36) 등을 파지하여 걸이부재(34)를 이동시키며, 걸이부재(34)가 양말(40)의 외측에 걸려서 양말(40)을 연장부(2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견인부(30)를 지팡이 삼아 일어선 이후, 걸이부재(34)를 이용하여 양말(40)을 단수 또는 복수로 당기면 양말(40)이 사용자의 발(50)에 신겨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40)이 사용자의 발(50)을 따라 이동되어 뒤꿈치에 도달하면 견인부(30)를 사용하여 연장부(20)의 고리부재(24)를 잡아당긴다. 따라서 연장부(20)와 함께 가이드몸체(10)의 제1몸체(12)와 제2몸체(18)가 양말(4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가이드몸체(10)와 연장부(20)가 양말(40)의 외측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30)를 이동시켜 양말(40)을 사용자의 발목 위로 끌어당겨 사용자의 발(50)에 양말(40)이 신겨지도록 하다.
한편 사용자가 구두를 신을 경우, 견인부(30)의 안내부(36)가 하측을 향하게 견인부(30)를 이동시킨 후, 안내부(36)의 구둣주걱 형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50)이 구두를 신는 동작을 안내한다.
따라서 허리가 아파서 허리를 구부리기 어려운 경우, 목디스크가 있어서 고개를 숙이기 어려운 경우, 배가 많이 나오거나 임신을 해서 허리를 숙이기 어려운 경우 및 장애인을 포함하여 몸이 불편하여 혼자 양말(40)을 신기 어려울 때 본 고안에 따른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1)가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양말(40)의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50)이 양말(40)의 내측으로 삽입됨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10)와 양말(40)을 끌어 당기는 견인부(30)를 사용하므로 몸이 불편한 사람도 혼자 양말(40)을 신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10: 가이드몸체 12: 제1몸체
14: 안내홈부 16: 곡면부
18: 제2몸체 20: 연장부
22: 연장몸체 24: 고리부재
30: 견인부 32: 몸체부
34: 걸이부재 36: 안내부
38: 연결부재 40: 양말
42: 개구부 50: 사용자의 발
60: 탈거안내부 62: 탈거안내몸체
64: 안내고리 65: 힌지브라켓
66: 레버부재 67: 조절부
68: 고정부재 69: 탄성암부재
D: 길이방향

Claims (6)

  1. 상측은 개구되어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부를 구비하며, 일측은 양말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말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부;
    상기 사용자의 발이 상기 가이드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양말이 상기 가이드몸체를 따라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에 신겨지도록 상기 양말을 끌어당기는 견인부; 및
    탈거안내몸체; 조절부; 고정부재; 및 탄성암부재를 포함하는 탈거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안내몸체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탈거안내몸체가 타측의 탈거안내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탈거안내몸체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조절부는 힌지브라켓 및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브라켓은 2개로 나누어진 상기 탈거안내몸체의 이음부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으로 타측에 위치한 상기 탈거안내몸체의 이동이 구속되거나 허용되며,
    상기 탈거안내몸체의 타측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성형되고, 상기 고정부재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상기 탄성암부재는 사용자의 발에 신겨진 양말을 벗을 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측은 상기 안내홈부가 구비되며 하측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에 상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며, 상기 안내홈부의 길이방향 양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몸체; 및
    상기 연장몸체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견인부에 걸려서 이동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갈고리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양말의 외측에 걸리며, 상기 몸체부의 이동으로 상기 양말을 상기 제1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구둣주걱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을 신을 때 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KR2020160001083U 2016-02-29 2016-02-29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KR200484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83U KR200484409Y1 (ko) 2016-02-29 2016-02-29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83U KR200484409Y1 (ko) 2016-02-29 2016-02-29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09Y1 true KR200484409Y1 (ko) 2017-09-05

Family

ID=6057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083U KR200484409Y1 (ko) 2016-02-29 2016-02-29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0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239A (ja) * 2005-07-25 2007-02-08 Kosai Reinetsu:Kk 下半身下着や靴下等の装着補助具
JP2008264445A (ja) * 2007-04-18 2008-11-06 Rabokosuta:Kk 靴下着脱自助具
JP3149391U (ja) * 2009-01-09 2009-03-26 利弘 尾張 靴下装着補助具
JP2009119225A (ja) * 2007-11-15 2009-06-04 Yuko Tamegai 靴下脱着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239A (ja) * 2005-07-25 2007-02-08 Kosai Reinetsu:Kk 下半身下着や靴下等の装着補助具
JP2008264445A (ja) * 2007-04-18 2008-11-06 Rabokosuta:Kk 靴下着脱自助具
JP2009119225A (ja) * 2007-11-15 2009-06-04 Yuko Tamegai 靴下脱着具
JP3149391U (ja) * 2009-01-09 2009-03-26 利弘 尾張 靴下装着補助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761A (en) Anti-embolism stocking aid
US20070119882A1 (en) Apparatus for donning and/or doffing a compression garment and related methods
GB2517399A (en) The press-on footwear
US9386875B2 (en) Combination shoe horn and sock donning and doffing apparatus
US10441001B1 (en) Pelvic retainer and body clamp
US20220240625A1 (en) Easy-to-wear functional shoe
IES63642B2 (en) A stocking aid
RU182940U1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ьзования обувью
JP3195071U (ja) 靴べら機能付き靴
US20120228343A1 (en) Sock hand
KR200484409Y1 (ko) 양말 착용을 위한 보조장치
JP3451084B1 (ja) 靴装着用器具
JP3158045U (ja) ズボン類着脱器具
JP5545934B2 (ja) 弾性着衣の着用補助具
EP13494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ff a therapeutic elastic sock
KR200462924Y1 (ko) 발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양말 신는 기구
JP3149391U (ja) 靴下装着補助具
KR20170004211U (ko) 부츠 벗기는 기구
JP3198858U (ja) 靴装着補助具
KR102230304B1 (ko) 양말 착용구
CN215228045U (zh) 一种蛇咬伤患者的四肢多功能保护套
JP3074825U (ja) 靴下の装着用補助具
KR102134677B1 (ko) 양말신기 보조장치
JP7012067B2 (ja) オットマン
JP5583482B2 (ja) ベビー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