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398A -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398A
KR20200097398A KR1020190014694A KR20190014694A KR20200097398A KR 20200097398 A KR20200097398 A KR 20200097398A KR 1020190014694 A KR1020190014694 A KR 1020190014694A KR 20190014694 A KR20190014694 A KR 20190014694A KR 20200097398 A KR20200097398 A KR 2020009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opening
pressure
ga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340B1 (ko
Inventor
한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1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3Flow or movement of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용기로부터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와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밸브를 하나의 밸브 유닛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단순해지고, 밸브 유닛을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보호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보호 가스가 수용된 밀폐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 배출관과,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가스 배출관을 이동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배출 가스 유량계와, 상기 가스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Pressurized type explosion-proof valve}
본 발명은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밀폐 용기로부터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와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밸브를 하나의 밸브 유닛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단순해지고, 밸브 유닛을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보호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가스, 중공업장비, 정유관련 공장 및 저장소등과 같은 현장에서는 수많은 위험물질을 여러 공정에서 취급함에 따라, 폭발로 인한 화재나 가스중독과 같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장의 폭발은 공장과 주위의 주택가로 화재가 번져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공장 내에 설치되는 케이스는 대부분 방폭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폭구조를 갖는 케이스는 종류에 따라서 내압방폭구조(Frame proof Type), 유입방폭구조(Oil Immersed Type), 압력방폭구조(Pressurized Type), 안전증방폭구조(Increased Safety Type), 특수방폭구조와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방폭구조가 사용된다.
상술한 방폭구조 중 압력방폭구조는 설비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유지하여 인화성 가스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인화성 가스에 의한 폭발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방폭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보호 가스를 수용하는 밀폐 용기(1000)와, 밀폐 용기의 내부로 보호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 밸브(2000),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3000), 밀폐 용기 내부의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4000) 및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한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을 때 밀폐 용기 내부의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밸브(50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압력방폭구조는 배출 밸브와 안전 밸브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밀폐 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7978호 (발명의 명칭: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공고일: 2014년 06월 17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폐 용기로부터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와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밸브를 하나의 밸브 유닛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단순해지고, 밸브 유닛을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보호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보호 가스가 수용된 밀폐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 배출관과,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가스 배출관을 이동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배출 가스 유량계와, 상기 가스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은 상기 가스 배출관의 내측부를 따라 돌출형성되되,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가스 이동 홀을 형성하는 돌출 구조부와, 일측 영역은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T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영역은 상기 가스 배출관을 관통하며 결합되되 상기 가스 배출관의 외부에 배치되고 단부에 밸브 헤드가 결합된 개폐 바아와, 상기 가스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개폐 바아의 일측 영역이 관통하고,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폐하는 개폐 패널과, 상기 개폐 바아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패널과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는 경우,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압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며, 상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개폐 패널이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상기 보호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기준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실시간 압력상황을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고,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수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방시켜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상기 보호 가스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패널은 상기 밸브 헤드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 바아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돌출 구조부와 접촉 및 이격되어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개폐하며, 상기 배출 가스 유량계는 상기 가스 배출관을 이동하여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상기 밀폐 용기의 퍼지량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와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보호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밸브를 하나의 밸브 유닛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둘째, 배출 밸브와 안전 밸브를 하나의 밸브 유닛으로 일체화 시킴으로써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컴팩트한 사이즈의 밸브 구현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셋째, 밸브 유닛을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보호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배출 가스 유량계를 통해 가스 배출관을 이동하여 배출되는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밀폐 용기의 퍼지량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가 닫혀있는(close) 상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의 배출관 개폐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배출관 개폐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압력 방폭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는 가스 배출관(100), 압력 측정부(300), 배출 가스 유량계(400), 배출관 개폐 유닛(도번부호 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배출관(100)은 내부에 보호 가스가 수용된 밀폐 용기(도 4의 1000 참조)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한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관(100)은 상기 보호 가스가 유입되는 보호 가스 유입부(111)와 상기 가스 배출관(100) 내부의 상기 보호 가스가 상기 가스 배출관(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보호 가스 배출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측정부(300)는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 배출 유닛을 개폐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 가스 유량계(400)는 상기 가스 배출관(100)을 이동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가스 배출관(100) 내부에는 오리피스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 가스 유량계(400)는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보호 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되는지에 대한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스 배출관(100)을 이동하여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가스 배출관(100)과 연결된 상기 밀폐 용기의 퍼지량을 측정하여, 상기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보호 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되는지에 대한 안정성을 시험한다.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은 상기 보호 가스가 상기 보호 가스 배출부(1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스 이동 홀(135)을 개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가스 배출관(100)을 개폐하며, 구체적으로 배출관 개폐 유닛은 돌출 구조부(130), 개폐 바아(220), 개폐 패널(230), 스프링(240), 실링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 구조부(130)는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내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가스 이동 홀(135)을 형성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 구조부(130)는 제1 돌출 구조부(131) 및 제2 돌출 구조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 구조부(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상부 프레임의 하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은 상기 가스 배출관(100)과 연결되고, 타부분은 상기 제1 돌출 구조부(131)의 일부분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상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 구조부(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하부 프레임의 상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은 상기 가스 배출관(100)과 연결되고, 타부분은 상기 제2 돌출 구조부(132)의 일부분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하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돌출 구조부(131)의 타부분과 상기 제2 돌출 구조부(132)의 타부분은 동일한 높이의 선상에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 이동 홀(135)은 상기 제1 돌출 구조부(131)의 타부분과 상기 제2 돌출 구조부(132)의 타부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 가스가 상기 돌출 구조부(13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구조부(130)의 상부, 즉 후술하는 상기 개폐 바아(220)와 접촉 및 이격되는 상부면에는 상기 실링부(210)가 배치된다.
즉, 상기 돌출 구조부(130)와 상기 개폐 패널(230)이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실링부(210)에 의하여 상기 돌출 구조부(130)와 상기 개폐 패널(230) 사이 공간으로 상기 보호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실링부(210)는 수지 재질로 구성된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바아(220)는 일측 영역이 상기 가스 배출관(100) 내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T자형으로 형성된 패널 안착부(221)로 형성되고, 타측 영역은 상기 가스 배출관(100)을 관통하며 결합되되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단부에 밸브 헤드(222)가 결합된다.
상기 개폐 바아(220)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바아(220)가 관통하여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영역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 바아(2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 바아(220)와 상기 가스 배출관(100)은 나사결합되며, 상기 개폐 바아(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기 가스 배출관(100)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배출관(100) 중 상기 개폐 바아(220)가 관통하는 영역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기 가스 배출관(100)과 동시에 관통하는 바아 관통부(14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바아 관통부(140) 중 상기 개폐 바아(220)가 관통하는 영역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 바아(2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바아 관통부(140)가 상기 가스 배출관(100)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기 바아 관통부(140)와 상기 가스 배출관(10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기 가스 배출관(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 바아(220)가 관리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부의 구동 제어 없이 나사 결합이 풀려 상하이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림 없이 수직으로만 이동하여 상기 개폐 바아(220)의 수평을 맞춤으로써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기 돌출 구조부(130)와 전체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보호 가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 패널(230)은 상기 가스 배출관(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개폐 바아(220)의 일측 영역이 관통한다. 즉, 상기 개폐 패널(230)은 상기 패널 안착부(221)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밸브 헤드(22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패널(230) 또한 상기 패널 안착부(221)에 의하여 상기 개폐 바아(220)와 같이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개폐 바아(22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가스 배출관(1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패널(230)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 바아(220)가 회전하여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승할 때에 상기 스프링(240)은 압축되고, 상기 개폐 바아(220)가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 패널(230)이 하강할 때에 상기 스프링(240)은 원래 상태로 되돌아온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배출관(100) 중 상기 스프링(240)의 일단과 연결되는 면에는 제1 스프링 가이드(15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폐 패널(230) 중 상기 스프링(240)의 타단과 연결되는 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 가이드(2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 가이드(150)와 상기 제2 스프링 가이드(231)는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하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240)이 휘거나 이탈 없이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승하는 이동 거리를 상기 제1 스프링 가이드(150)와 상기 제2 스프링 가이드(231)가 접촉함에 따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의 개폐를 제어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측정한 기준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개방시킨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측정한 압력이 정상범위에 있거나 또는 상기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의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은 구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기 돌출 구조부(130)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스 이동 홀(135)을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가스 배출된 내부의 보호 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의 개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측정한 기준 압력보다 높은 경우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개방 방식이 변경된다.
먼저,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 패널(230)만 이동하여 상기 가스 이동 홀(135)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보호 가스(G)를 배출시킨다.
즉,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압력이 상기 스프링(24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며, 상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240)이 압축되어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스 이동 홀(135)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가스 배출관(100) 내부의 상기 보호 가스(G)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은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고,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스 이동 홀(135)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실시간으로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기준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압력 상황을 알리는 알람부(도 4의 6000 참조)를 구동킨다.
상기 알람부의 구동을 통해 실시간 압력을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수동으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제어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가스 이동 홀(135)을 개방한다.
즉, 상기 밸브 헤드(222)가 회전하여 상기 개폐 바아(220)가 상승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패널 안착부(221)가 상승하여 상기 패널 안착부(221)에 안착된 상기 개폐 패널(230)을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 패널(230)이 상기 돌출 구조부(13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보호 가스(G)가 상기 보호 가스 배출부(112)로 배출되어 상기 밀폐 용기의 내부 압력을 낮추게 된다.
이후,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과 같거나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린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수동으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제어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의 내부 압력이 기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관리자가 상기 밸브 헤드(222)를 상기 개폐 바아(22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 패널(230)을 상기 돌출 구조부(130)와 접촉시켜 상기 보호 가스가 상기 보호 가스 배출부(112)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밀폐 용기 내부 압력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LED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출 밸브와 안전밸브를 하나의 밸브 유닛, 즉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와 같이 하나의 밸브 유닛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단순해지며, 이에 따라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컴팩트한 사이즈의 밸브 구현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관리자가 수동으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밀폐 용기의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가스 배출관
111: 보호 가스 유입부
112: 보호 가스 배출부
120: 오리피스부
130: 돌출 구조부
131: 제1 돌출 구조부
132: 제2 돌출 구조부
135: 가스 이동 홀
140: 바아 관통부
150: 제1 스프링 가이드
210: 실링부
220: 개폐 바아
221: 패널 안착부
222: 밸브 헤드
230: 개폐 패널
231: 제2 스프링 가이드
240: 스프링
300: 압력 측정부
400: 배출 가스 유량계

Claims (5)

  1. 내부에 보호 가스가 수용된 밀폐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 배출관;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상기 가스 배출관을 이동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배출 가스 유량계; 및
    상기 가스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은,
    상기 가스 배출관의 내측부를 따라 돌출형성되되, 상기 보호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가스 이동 홀을 형성하는 돌출 구조부;
    일측 영역은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T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영역은 상기 가스 배출관을 관통하며 결합되되 상기 가스 배출관의 외부에 배치되고 단부에 밸브 헤드가 결합된 개폐 바아;
    상기 가스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개폐 바아의 일측 영역이 관통하고,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폐하는 개폐 패널; 및
    상기 개폐 바아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패널과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는 경우,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압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며, 상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개폐 패널이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상기 보호 가스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기준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실시간 압력상황을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고,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이 수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방시켜 상기 가스 배출관 내부의 상기 보호 가스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밀폐 용기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패널은 상기 밸브 헤드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 바아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돌출 구조부와 접촉 및 이격되어 상기 가스 이동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 개폐 유닛을 개폐하며,
    상기 배출 가스 유량계는 상기 가스 배출관을 이동하여 배출되는 상기 보호 가스의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상기 밀폐 용기의 퍼지량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KR1020190014694A 2019-02-08 2019-02-08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KR10215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694A KR102154340B1 (ko) 2019-02-08 2019-02-08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694A KR102154340B1 (ko) 2019-02-08 2019-02-08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398A true KR20200097398A (ko) 2020-08-19
KR102154340B1 KR102154340B1 (ko) 2020-09-09

Family

ID=722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694A KR102154340B1 (ko) 2019-02-08 2019-02-08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90A1 (ko) 2019-08-22 2021-02-25 브렉소젠 주식회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083B2 (ja) * 1993-08-23 1998-05-06 伸五 横田 自掃作動式可変定流量調節リフト弁装置
JP2772159B2 (ja) * 1990-06-01 1998-07-02 バル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型プロセス制御弁
KR101407978B1 (ko) 2013-02-08 2014-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KR101551474B1 (ko) * 2014-11-24 2015-09-09 주식회사 썬프리시즌 수동밸브 기능이 구비된 안전밸브
KR101680617B1 (ko) * 2016-07-14 2016-11-29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안전방출밸브와 이것이 구비된 점화요인 차단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159B2 (ja) * 1990-06-01 1998-07-02 バル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型プロセス制御弁
JP2748083B2 (ja) * 1993-08-23 1998-05-06 伸五 横田 自掃作動式可変定流量調節リフト弁装置
KR101407978B1 (ko) 2013-02-08 2014-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KR101551474B1 (ko) * 2014-11-24 2015-09-09 주식회사 썬프리시즌 수동밸브 기능이 구비된 안전밸브
KR101680617B1 (ko) * 2016-07-14 2016-11-29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안전방출밸브와 이것이 구비된 점화요인 차단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90A1 (ko) 2019-08-22 2021-02-25 브렉소젠 주식회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340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802B2 (en) Self-modulating inert gas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154340B1 (ko) 압력 방폭 구조용 방폭 밸브
US6019126A (en) Remote function verification of low pressure and vacuum relief devices
US4838356A (en) Fire extinguisher foam chamber with remote maintenance and testing for oil tanks
US20130284465A1 (en) Integrated panel for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253400B1 (ko) 자동 소화 장치
US20080060701A1 (en) Earthquake safety valve for shutting off overflowing gas
ITRM20000200A1 (it) Armatura di valvola per contenitore a pressione.
US6425211B1 (en) Self-closing fire rated floor door
US4817657A (en) Inertially activated shut-off valve
US542024A (en) mcilhenny
KR101779184B1 (ko) 부탄가스 폭발 시각화장치
JP2001153261A (ja) 薬液用エアオペレイトバルブ
KR20190062074A (ko) 가스폭발 재현을 위한 실험장치
KR20080048810A (ko) 2유체 소화 분무장치의 수직형 개폐밸브
US4979528A (en) Gas actuated valve system
US6109287A (en) Resettable earthquake gas line valve
US7591276B2 (en) Expansion valve block with coordinated high- and low-pressure circuit control means
KR102131028B1 (ko) 액체보관용기
US4920999A (en) Air actuated valve system with seismic controller
US228315A (en) John collins
US5482074A (en) Safety cut-off device for piping systems and the like
DE667694C (de) Membrangasdruckregler
KR20190130343A (ko) 소화 설비용 부력식 유수검지장치
US1364340A (en) Sprinkl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