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221A - tilting chair - Google Patents
tilting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7221A KR20200097221A KR1020200015228A KR20200015228A KR20200097221A KR 20200097221 A KR20200097221 A KR 20200097221A KR 1020200015228 A KR1020200015228 A KR 1020200015228A KR 20200015228 A KR20200015228 A KR 20200015228A KR 20200097221 A KR20200097221 A KR 202000972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elastic member
- chair
- user
- bas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연동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시트 무빙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n ergonomically designed seat moving function to be interlocked according to a change in a posture of a user sitting on the chair.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의자에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자의 형태나 기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인체공학적인 설계요소들이 반영되고 있다. In general, modern people spend more time sitting in a chair, and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the shape or function of the chair on the human body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these chairs reflect ergonomic design elements to suit the user's convenience.
최근에는 의자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 의해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는 135ㅀ임이 증명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한 의자 즉, 시트를 틸팅 시킬 수 있는 의자들이 제안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의자의 좌판을 앞으로 기울이고, 의자의 앞부분에 넘어지지 않도록 무릎받침대(Knee Cushion)를 설치한 의자가 들이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다. Recently, scientists studying chairs have proven that the angle of the upper body and thighs is 135° without strain on the spine, and chairs that can tilt the seat have been proposed based on this.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ngle of the user's upper body and thighs, chairs with a knee cushion installed so that the seat plate of the chair is tilted forward and the front part of the chair does not fall over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닐링 체어(Kneeling Chair)는 인체공학 의자로 알려져 있으나 의자의 구조가 복잡해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kneeling chair is known as an ergonomic chair, but the structure of the chair is complicated and thus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period in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특히, 상기 의자에 사용자가 의자 좌판에 앉은 자세로 상체를 앞쪽으로 숙이게 되면, 사용자의 등이 등판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허리가 굽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되면 허리에 많은 통증과 피로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user bows his upper body forward in a seated position on the chair, the user's back falls from the back and the lower back is bent.If this posture continues for a long time, a lot of pain and fatigue accumulate in the lower back.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harm to the user's health may occu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58639호에는 좌판틸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좌판틸팅장치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탄성스프링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 설치되는 틸팅유닛; 하면에 상기 틸팅유닛의 개구를 폐쇄하는 곡면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틸팅유닛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유닛; 상기 틸팅유닛이 틸팅되도록 상기 곡면홈부에 대응되는 곡면요부를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지지유닛의 곡면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굴대; 상기 지지유닛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한다. Korean Patent No. 10-0758639 discloses a seat plate tilting device and a chair using the same. The seat plate tilting device includes: a base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springs are installed along an edge of an upper surface; A tilting unit having an opening penetrating a central portion and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through the elastic spring; A support unit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unit by forming a curved groove on a lower surface thereof to close the opening of the tilting unit; A mandrel dispos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curved groove portion of the support unit by forming a curved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groove portion so that the tilting unit tilts; It includes a cushion seat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유닛에 쿠션시트의 중앙부가 지지되고, 시트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쿠션시트의 회동각도에 따른 균일한 회동력을 제공할 수 없다. Since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shee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eet is supported by a spring, a uniform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ushion sheet cannot be provi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049호에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490호에는 시트가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되는 구조의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시트의 전방위 방향으로의 틸팅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하중분산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5049 discloses a chair with a tilting seat,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9490 discloses a chai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at moves horizontal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posted chai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provide a load distribution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because it is not allowed to tilt the seat in al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특히, 시트에 앉는 사용자가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거나, 뒤로 젖혀지는 자세 또는 옆으로 기우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 시트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자세만 변화되기 때문에 척추가 불안정하게 휘어지면서 신체적으로 무리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takes a forward bent posture, tilts backwards or tilts sideways, only the posture changes while the seat remains as it is, so the spine is bent unstable, causing physical stress. There is a downside to losing.
일본 등록특허 제 2686529호에는 좌부의 경사각도가 자유자재인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각각 신장, 압축 및 휨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개의 고무체로 구성되는 경사수단을 좌부의 하면과 다리부 상단 지지부 사이에 개재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고무체를 좌부의 중심을 전후좌우에서 둘러싸도록 또한 사용자가 앞으로 기운 자세로 앉았을 경우에 그 앞쪽으로 기움의 정도에 따라 중심이 전측의 고무체 보다 후방 및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 구성을 가진다. Japanese Patent No. 2686529 discloses a chair in which the tilt angle of the seat is freely. In the posted chair, an inclined mean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ubber bodie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of elongation, compression, and bend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the upper support of the leg, and the plurality of rubber bodies are placed around the center of the seat. It has a configuration such that the center is located in the rear and front of the front rubber body so as to surround it from the left and right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when the user sits in a forward tilted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좌부의 경사각도가 자유자재인 의자는 좌판과 고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수단이 복수개의 고무체가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의자는 고무체가 사용자의 기운자세로 앉은 경우에 따라 배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규격화 된 의자의 대량생산이 어렵고, 사용자에 따라 경사수단을 조정 및 제작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다. The chair having a fre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ubber bodies are arranged in which the inclined means installed between the seat plate and the high support part is arranged. A chair with such a configura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ubber body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itting position, so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standardized chairs, a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productivity because the inclined means must be adjust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user. .
일본 공개 특허 제 2007-007249호에는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No. 2007-007249 discloses a chair.
게시된 의자는 착좌면을 가지는 좌부체를 구비하는데, 이 좌부체가 하방에 배설된 지지체에 대해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 상기 좌부체는 이를 틸팅시키는 틸팅중심축의 주위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틸팅중심축에 대한 지름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좌부체와 결합되고 상기 좌부체를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틸팅 방향으로 캔틸레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가가진다. The posted chair is provided with a seating body having a seating surface, and the seating body is supported so as to be tiltable with respect to a support disposed below, and the seating body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tilting center axis for tilting it, and the tilting center axis While one end in the radial direction relative to the is coupled to the support,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ating body, and ha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cantilev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in a tilting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지지체가 지지된 착탈부재가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좌부체에 고정된 스토퍼가 착탈부재에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탄성력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chair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tachable member on which the support is supported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stopper fixed to the seat is supported by the detachable memb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astic force is limit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97호에는 좌판이 틸팅되는 학습용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는 좌판지지대와 좌판사이에는 사용자가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할 시에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포워딩 틸팅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워딩 틸팅수단은, 상기 좌판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된 하측 시트블록과 상기 좌판의 저면에 고정된 상측 시트블록이 힌지축에 의해 요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상측 시트블록과 하측 시트블록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삽입된다.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8997, a learning chair with a tilted seat is posted. The posted chair has a forwarding and tilting means installed between the seat support and the seat plate so that the seat plate is inclined forward when the user moves the center of gravity forward, and the forwarding tilting means is a lower sea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upport. The block and the upper seat block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re pivot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shaft, and a torsion spring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seat block and the lower seat block.
상술한 종래 학습용 의자는 상하측 시트블록이 좌판지지대와 좌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 틸팅 시킬 수 있으나 전방위 적으로 틸팅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earning chair has a problem in that the upper and lower seat block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late support and the seat plate, so that it can be tilted forward and backward, but cannot be tilted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사용자세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편중에 대응되게 시트가 틸팅되어 척추가 변화자세와 관계없이 곧게 유지될 수 있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eat is tilted corresponding to the user's position bias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change, the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that can keep the spine straight regardless of the change posi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착석 시 사용자 무릅상부의 대퇴부측에 작용하는 압력을 줄여 상체와 하체간의 혈행을 원할 하게하는 시트 무빙을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that can minimize the burden on the spine, and reduces the pressure acting on the femur side of the upper knee of the user when seated to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결합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상하부측 일부가 자유단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신축성과 탄성반발력의 조정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무빙을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et moving capable of improving the elasticity and elastic repulsion force and durability of the elastic member by allowing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flanges to be maintained as a free end. It is to provide a chair with a fun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ir having the seat mov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와;A seat on which a user can be seated;
상기 시트의 하부측에 상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가지는 하부본체와;A lower body having a base portion for supporting the sheet on a lower side of the sheet;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에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시트를 틸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빙유닛;를 구비하고,At least one moving unit coupl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seat to tilt the seat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of the lower body in response to eccentricity of a load applied to the sea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and
상기 무빙유닛은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시트에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결합플랜지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하부결합플랜지가 구비되며, The moving un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 upper coupling flang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heet, and a lower portion installed below the elastic member an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 coupling flange is provided,
상기 상,하부플렌지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탄성부재가 접합되는 면적보다 작은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which are smaller than an area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joined, ar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form a free e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결합플랜지와, 하부결합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자유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2자유단부를 구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coupling flange and the lower coupling flange, an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 first free end portion and a second free end portion formed under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베이스부재와 시트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무빙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시트의 틸팅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한 다. A stopper for limiting a tilting angle of a seat tilted by the moving unit is furth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or the seat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seat.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틸팅형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seat til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사용자의 사용자세 변화에 따른 편중에 대응되게 시트가 틸팅됨으로써 사용자의변화자세와 관계없이 척추가 곧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되며, 피로감 통증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First, with an ergonomic design, the seat is tilted in response to the user's change in user posture,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keeping the spine straight regardless of the user's changing posture, and reducing fatigue and pain.
둘째,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등을 위하여 시트의 전면측에 힙이 위치되는 경우, 대퇴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사용자의 하체측으로 혈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econd, when the user has a hip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 for computer work, etc.,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thigh to prevent blood circulation to the user's lower body.
셋째,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어 허리를 뒤로 젖히는 경우, 시트가 틸팅됨으로써 상체의 각도와 하체의 각도를 줄여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허리가 꺽이어 척추에 무리한 하중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rd, when the user leans back against the back, the seat is tilted to reduce the angl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and further, prevent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spine due to the bending of the back. I can.
넷째, 사용자가 시트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앉은 경우, 하중에 의해 시트가 틸팅됨으로써 힙에 대해 척추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when the user sits to th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seat, the seat is tilted by the load, thereby preventing the spine from bending with respect to the hip.
다섯째, 상부결합플랜지와 하부결합플랜지에 의해 지지된 탄성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제 1자유단부를 제공함으로써 압축되는 탄성부재가 원주방향으로만 팽창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 하부결합플랜지는 제 1,2자유단부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탄성부재의 신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fth,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by expanding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on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providing a first free en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upper coupling flange and the lower coupling flange, respectively. Since the flange suppor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ee end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트와 베이스부가 무빙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빙유닛의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시트와 베이스부가 무빙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의자의 시트 전면측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빙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의자의 시트 후면측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9는 시트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무빙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측단면도.
도 10는 시트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다른 실시예의 무빙유닛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측단면도.
도 11은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하중이 좌측 또는 후측으로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배면도,
도 12는 베이스부에 설치된 스토퍼부재에 의해 틸팅된 시트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의자에 사용자가 등으로 뒤로 젖히고 않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and the base of FIG. 1 are coupled by a moving uni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unit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and a base are coupled by a moving unit;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sits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 of anothe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ving unit shown in FIG. 6;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is se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of anothe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cut-away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ving unit when a user sits in the center of the seat and a load is applied to the seat vertically.
10 is a partially cut-away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 user sits in the center of the seat and a load is applied vertically to the seat.
11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ad of a user sitting on a seat is applied to the left or rear side;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lted sheet is supported by a stopper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tilted back to anothe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일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 moving function, and exemplary embodiments are shown in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본체와 무빙유닛에 의해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coupled by the lower body and the moving unit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10)는 하부본체(20)와 무빙유닛(30)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틸팅되는 시트(60)와, 상기 하부본체(20)에 지지되며 전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등받이부(70)를 구비한다. 1 and 2,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10)의 하부본체(20)는 무빙유닛(30)을 사이에 두고 시트(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4)와, 상기 지지부(24)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부(25)를 포함한다. The
상기 베이스부(21)의 상면은 무빙유닛(30)와 결합되는 결합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부(21)의 하면은 등받이부(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탄성바이어스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25)는 지지부(2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바퀴(26)가 장착된 지지프레임(27)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24)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시트(6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60)는 상면에 쿠션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상면은 복합곡율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60)의 전면측은 대퇴부와 접촉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등받이부(70)는 베이스부(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등받이프레임부(7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등받이시트부(73)와, 등받이프레임부(71)의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부(74)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무빙유닛(30)은 베이스부(21)와 시트(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60)에 사용자가 앉음으로서 시트(60)에 가하여지는 자중에 따라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oving
상기 무빙유닛(30)은 탄성부재(31)의 상면에 결합 또는 접합되어 시트(60)와 상부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결합플랜지(35)와, 탄성부재(31)의 하면에 결합또는 접합되며 베이스부(21)에 하부체결부재에 의해 하부결합플랜지(37)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21)에는 상기 하부결합플랜지(37)의 결합을 위한 인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oving
상기 상부결합플랜지(3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의 상면과 접합되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 1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플랜지(37)에는 상기 탄성부재(31)하면과 접합되는 면적보다 작은 제 2관통공(37a)이 형성된다. 상기 상, 하부결합플랜지(35)(37)에 형성되는 제 1,2관통공(35a)(37a)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결합플랜지(37)와의 결합지지력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상부결합플랜지(35)의 제1관통공(35a)의 형성부위와 상기 하부결합플랜지(37)의 제2관통공(37a)의 형성부위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측과 하부측이 일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부(37b)가 형성되어 탄성변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부결합플랜지부(35)(36)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21)와 시트(60)의 사이에 무빙유닛(30)의 설치 시 이들의 사이의 간격을 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side of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35a) of the upper coupling flange (35) and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37a) of the lower coupling flange (37),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그리고 상기 상,하부결합플랜지(35)(37)의 가장자리측에는 탄성부재(31)의 변형 시 상호 첩촉되어 탄성변형을 제어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topper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edge side of the upper and
상기 탄성부재(31)는 상기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공(35a)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자유단부(33)와, 상기 본체부(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공(37a)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2자유단부(3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자유단부(33)(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2)의 수직 중심선과 동축선 상에 형성되거나 중심선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선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경우,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 의한 탄상부재(31)를 본체부(32)와 접합되는 면적 즉, 지지면적을 다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하부결합플랜지(35)(37)와 접합 면적이 넓은 방향이 접합면적이 좁은 방향보다 탄성력을 크게 받게되어 전후, 좌우방향으로의 틸팅력을 조정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1)는 고무소재 또는 합성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질고무소재와 경질고무소재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연질고무소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시트(60)의 전, 후방향으로의 탄성력 차이가 발생되거나 좌우방향의 탄성력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를 이루는 경질고무소재와 연질고무소재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거나 수직방향으로 배열하여 시트(60)에 가하여지는 하중에 의한 반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1)는 시트(6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하중에 의한 반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1)의 시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반력 즉,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의 형상의 관통공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1)에 무징유닛(3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25)를 형성하고, 무빙유닛(30)을 장착공의 하부에서 삽입한 후 하부결합플랜지(27)를 상기 베이스부(21)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21)과 시트(60) 하면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후술하는 시트(60)의 틸팅을 제한하기 위한 스터퍼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a mounting
또한 의자의 하부본체(20)를 이루는 베이스부(21)의 상면에는 탄성부재(31)의 하면측이 지지되는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8)는 베이스부(21)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부(21)에 인입되어 형성된 경우, 탄성부재(31)의 하부측은 베이스부(21)에 인입형성된 지지부(38)에 본딩된다. 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도 2,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1) 또는 시트(60)의 적어도 일측에는 무빙유닛(30)에는 베이스부(21)에 대해 시트(60)의 틸팅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유닛(80)이 더 구비된다. And, as shown in FIGS. 2, 5 and 12, at least one side of the
상기 스토퍼유닛(80)은 상기 하부본체(20)의 베이스부(21)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스토퍼부재가 시트(60)가 베이스부(21) 또는 시트(60)의 하면에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상기 스토퍼유닛(80)이 베이스부(21)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무빙유닛(30)이 설치되는 인입부(22)의 전면측으로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전면스토퍼부(81)와 인입부(22)측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좌,우측스토퍼부(82)(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측스토퍼부(82)(83)에는 상술한 팔걸이부가 고정된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스토퍼유닛(80)이 스토퍼부재(85)로 이루어진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0)의 하면 또는 베이스부(21)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스토퍼부재(85)들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And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1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60)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 시트(60)에 사용자가 앉음으로서 변화되는 하중분포에 따라 무빙유닛(30)에 의해 지지된 시트(60)가 틸팅된다. I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가 독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 등을 위하여 시트의 전면에 앉은 경우, 시트(60)의 전면에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 하중에 의해 베이스부(21)와 시트(60)의 하면에 설치된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 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따라서 상기 시트(60)은 상기 탄성부재(31)를 축으로 하여 전면측으로 회동되고,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힙과 장단지 측의 각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하중이 힙 또는 장단지측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힙과 장단지의 특정부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서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의 혈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의 자세가 특히, 사용자의 척추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러한 과정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유닛(30)의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31)는 상기 본체부(32)가 반경방향을 압축팽창되는데, 시트(60) 전면측의 본체부(32)가 시트(60)의 후면측 본체부(33) 보다 압축팽창량이 크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는 제1,2관통공(35a)(37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자유단부(33)와 제 2자유단부(34)가 형성된 본체부(32)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압축력에 의해 제1,2관통공(35a)(37a)의 외측으로 자유롭게 팽창된다.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7, the
따라서 상기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 본체부(32)의 전면측이 상부결합플랜지(35)와 하부결합플랜지(37)에 의한 과도한 압축으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32)의 상하부에 형성된 제 1,2자유단부(33)(34)는 본체부(32)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32)의 원주방향으로의 압축팽창이 극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탄성부재에 크랙, 찢어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due to excessive compression in the front side of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힙을 등받이 측으로 밀착시켜 앉은 경우, 사용자의 하중이 시트(60)의 후방측에 작용하게 되므로 시트(60)은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가 탄성변형 됨으로써 후방이 전면보다 낮아지도록 틸팅된다. 따라서 시트(60)에 앉은 사용자의 힙은 등방지부(70) 측으로 밀착되고, 사용자의 허리는 등받이부에 밀착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허리 즉, 사용자의 척추가 등받이부 측으로 밀착되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0)는 전면에 앉은 것과 같은 작용으로 보호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sits with the hip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the user's load acts on the rear side of the
그리고 사용자가 시트의 중앙부에 앉아 하중이 시트(60)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결합플랜지(35)(37)와 접합되는 본체부(32)의 상, 하부측 가장자리 즉, 제1,2관통공(35a)(37a)과 대응되는 본체부(32)의 제1,2자유단부(33)(34)를 제외한 영역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32)의 가장자리부위가 가압되면서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가압팽창되고, 본체부(32)의 내부 중심방향으로 압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32)의 상하부영역은 상기 제1,2자유단부측으로 압축 팽창됨으로써 탄성부재 본체부(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d when the user sits in the center of the seat and the load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0)에 앉은 사용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몸을 기울이는 경우, 시트(60)가 시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에 사용자가 몸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척추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21)의 양측에는 전후측에는 스토퍼부재(8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60)가 과도하게 좌,후측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를 되로 젖히고 앉은 경우, 사용자의 하중이 히트의 전면측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무빙유닛(30)의 탄성부재(31)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시트는 전면이 낮아지고 후면측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으로써 젖혀진 등받이부(70)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상체와 하체의 접힘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하중이 힙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sits with his back reclined, the user's load acts on the front side of the hit, so that the
이상에서 설명된 시트 틸팅형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자세 변화에 따른 편중에 대응되게 시트가 틸팅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자세 변경이 안정적으로 이루짐과 아울러 척추가 변화자세와 관계없이 곧게 유지되어 신체적 무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60)과 베이스부(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무빙유닛의 탄성부재가 특정부위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at tilting chair described above, by supporting the seat to be tilted in response to the user's user posture change, the posture change is stably achieved, and the spine is maintained straight regardless of the change posture, resulting in physical strain. It provides an advantage to suppress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of the mov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20: 하부본체 21: 베이스부
30: 무빙유닛
31: 탄성부재 32:본체부
33: 제1자유단부 34: 제 2자유단부
35: 상부결합플랜지 35a: 제 1관통공
37: 하부결합플랜지 37a: 제 2관통공
71: 등받이부20: lower body 21: base portion
30: moving unit
31: elastic member 32: main body
33: first free end 34: second free end
35:
37:
71: backrest
Claims (4)
상기 시트의 하부측에 상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가지는 하부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에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시트를 틸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빙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시트에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결합플랜지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하부결합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플렌지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제 1,2자유단부가 형성되고, 일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탄성부재가 접합되는 면적보다 작은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A seat on which a user can be seated;
A lower body having a base portion for supporting the sheet on a lower side of the sheet;
At least one moving unit coupl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seat to tilt the seat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of the lower body in response to eccentricity of the load applied to the sea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and
The moving un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 upper coupling flang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heet, and a lower portion installed under the elastic member an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 coupling flange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first and second fre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member are formed, and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which are smaller than the area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joined, ar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forms a free end. A chair with a seat moving function to do.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결합플랜지와, 하부결합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자유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 2자유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coupling flange and the lower coupling flange, and a first free end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free end portion formed under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베이스부재와 시트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무빙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시트의 틸팅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유닛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The method of claim 1,
A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unit for limiting a tilting angle of a seat tilted by the moving unit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or the seat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seat.
상기 하부본체의 베이스부는 상기 하부플랜지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측으로 전면측으로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전면스토퍼부와 인입부측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시트 보다 짧은 길이로 좌,우스토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of the lower body has an inlet portion formed so that the lower flange portion can be fixed, and a front stopper portion extending to the front side toward the inlet portion to a shorter length than the sheet and to both sides from the inlet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re shorter than the seat. A chair having a seat mov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opper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233 | 2019-02-07 | ||
KR20190014233 | 2019-02-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221A true KR20200097221A (en) | 2020-08-18 |
KR102273459B1 KR102273459B1 (en) | 2021-07-06 |
Family
ID=7229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5228A KR102273459B1 (en) | 2019-02-07 | 2020-02-07 | tilting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459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86529A (en) | 1950-04-05 | 1954-08-17 | Lanninger Karl Ludwig | Movable pipe line |
JP2686529B2 (en) * | 1987-07-16 | 1997-12-08 | 敬弼 高藤 | Chair with freely adjustable seat tilt angle |
KR20070007249A (en) | 2004-05-07 | 2007-01-15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
JP2007007249A (en) * | 2005-07-01 | 2007-01-18 | Houtoku:Kk | Chair |
KR100758639B1 (en) | 2006-12-28 | 2007-09-13 | 윤경호 | Titing seat plate and chair having it |
KR200438997Y1 (en) | 2007-02-14 | 2008-03-17 | 주식회사 퍼시스 | study chair with a tilting seat |
KR101009490B1 (en) | 2010-04-28 | 2011-01-21 | 주식회사 토치 | A chair comprised seat plate moving structure |
KR101915049B1 (en) | 2018-04-05 | 2018-11-06 | 허남요 | The chair that have a tilting base |
-
2020
- 2020-02-07 KR KR1020200015228A patent/KR1022734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86529A (en) | 1950-04-05 | 1954-08-17 | Lanninger Karl Ludwig | Movable pipe line |
JP2686529B2 (en) * | 1987-07-16 | 1997-12-08 | 敬弼 高藤 | Chair with freely adjustable seat tilt angle |
KR20070007249A (en) | 2004-05-07 | 2007-01-15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
JP2007007249A (en) * | 2005-07-01 | 2007-01-18 | Houtoku:Kk | Chair |
KR100758639B1 (en) | 2006-12-28 | 2007-09-13 | 윤경호 | Titing seat plate and chair having it |
KR200438997Y1 (en) | 2007-02-14 | 2008-03-17 | 주식회사 퍼시스 | study chair with a tilting seat |
KR101009490B1 (en) | 2010-04-28 | 2011-01-21 | 주식회사 토치 | A chair comprised seat plate moving structure |
KR101915049B1 (en) | 2018-04-05 | 2018-11-06 | 허남요 | The chair that have a tilting b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459B1 (en) | 2021-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401306B1 (en) | Seats | |
US4529247A (en) | One-piece shell chair | |
US5411316A (en) | Single piece chair shell | |
US8177299B2 (en) | Chair more comfortable when seated in optimum posture while reclining | |
JPH0470004B2 (en) | ||
WO2002032267A1 (en) | Chair | |
US11910932B2 (en) | Motion chair | |
KR101135969B1 (en) | Back for chair | |
CN112826263B (en) | Chair structure | |
JP4729687B2 (en) | Chair with tilting mechanism of seat | |
KR102138836B1 (en) |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 |
KR200422122Y1 (en) | Backplate for chair | |
KR100942429B1 (en) | Seat board of roller type and functional chair using the same | |
KR102273459B1 (en) | tilting chair | |
KR101198578B1 (en) |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Function for Conversion of Use with Posture Reform | |
KR102032781B1 (en) | Reclining chair | |
JP2013123453A (en) | Curvature changing mechanism of body support structure for chair | |
CN110638241A (en) | Comfortable seat | |
JP6777281B2 (en) | Chair | |
KR102506195B1 (en)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
KR102527958B1 (en) | A chair with a backrest to which a self-tilting intermittent structure is applied | |
WO2021141073A1 (en) | Chair, seat portion, and backrest | |
JP7440880B2 (en) | Chair | |
KR20220143534A (en) |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 |
KR20240116081A (en) |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