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969B1 - Back for chair - Google Patents
Back for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5969B1 KR101135969B1 KR1020090132098A KR20090132098A KR101135969B1 KR 101135969 B1 KR101135969 B1 KR 101135969B1 KR 1020090132098 A KR1020090132098 A KR 1020090132098A KR 20090132098 A KR20090132098 A KR 20090132098A KR 101135969 B1 KR101135969 B1 KR 101135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ervical spine
- waist
- chair
- sp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 및 경추부분의 전후 스트레칭은 물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척추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하여 지지하는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 상기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 상기 허리부 지지대의 길이방향 하부에는 의자의 시트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하는 제1 각도조정수단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경추부 지지대가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 각도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 지지하여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흉추부분과 경추부분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for a chair capable of rotating the upper and lower body as well as the front and rear stretching of the waist and cervical spine in a state of sitting on a chair, a waist support and a cervical spine support for splitting and supporting the waist and cervical spine of the spin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waist pedestals and cervical spine pedestal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each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and the first and lower joi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of the chair at the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support.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and the upper cervical spin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to be able to articu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user's waist and cervical spine are divided and supported, respectively, Supports comfortably and stretches the user's thoracic and cervical spines To the effect tha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의자용 등받이, 스트레칭, 허리부 받침대, 경추부 받침대, 각도조정 Chair back, stretching, lumbar support, cervical spine support, angle adjust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척추의 주요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for chai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back capable of comfortably supporting the main part of the spin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seated person, and capable of stretching exercise.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써, 형태, 용도, 구조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하고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은 신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hair is a tool for a person to sit on, and its type i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hape, use, and structure. The most basic configuration of a chair is a seat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body, and the seat support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Made of legs.
이러한 의자를 형태에 구분하면, 크게 등받이 의자와 팔걸이 의자로 구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 의자는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에 신체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가 설치된 것이고, 팔걸이 의자는 상기 등받이 의자의 좌, 우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걸칠 수 있는 팔걸이가 설치된 것이다.When the chair is divided into shapes, the chair is largely divided into a backrest chair and an armrest chair, and the backrest chair is provided with a backrest so as to support the back of the body in a basic chair configuration, and the armrest chair is a left and right chair of the backrest chair. Armres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ser's arm.
최근, 과학문명의 발달과 컴퓨터의 대중화에 따라 몸을 움직이지 않고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경우가 빈번해 짐에 따라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computers, the cases of sitting on a chair without moving the body become more frequent, and cases of complaining of back pain are increasing.
즉, 장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일정한 자세를 계속 취할 경우, 신체의 혈액순환장애와 허리근육이 약화되어 척추에 간접적인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if you sit in a chair for a long time and continue to take a certain position, blood circulation disorders and lower back muscles of the body is weakened, which causes indirect damage to the spine.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등받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1910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된 스파인백 등받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Accordingly, various functional backrest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n example, the spineback backrest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19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brief. .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인백 등받이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in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인백 등받이는 탄성력을 가진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구조로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쿠션부재(2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pin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인백 등받이는 지지프레임(100)에 대하여 다수의 쿠션부재(200)가 직립된 구조로 끼워짐에 따라, 작은 가압력에도 일정각도 이상으로 젖혀질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안착자의 척추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spin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인백 등받이의 경우, 사용자의 척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쿠션부재를 분할하고 있는 것으로, 단순히 지지효과의 향상만 기대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신체적 척추 사이즈 및 구조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은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pin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by dividing the cushion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user's spine, only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 effect can be expected, it is 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spine size and structure of the user There was no function to support it.
즉, 체격이 크거나 작은 사람의 신체적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쿠션부재의 높낮이조정과 각도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른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없는 문 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cushion member in response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a person with a large or small physiqu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경추로부터 요추까지 해당하는 척추의 각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조정과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용 등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comfortably support each part of the spine corresponding to the lumbar spine from the cervical spine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height adjustment and angle adjustment This is to provide a possible backrest for the chair.
또한,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스트레칭 운동이 용이한 의자용 등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back for easy stretching exercise in the front, rear or left, right direction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ir 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척추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하여 지지하는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Lumbar support and cervical spine support for dividing and supporting the lumbar and cervical spine of the spine respectively,
상기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A plurality of waist pedestals and cervical spine pedestal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each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umbar support and cervical spine support;
상기 허리부 지지대의 길이방향 하부에는 의자의 시트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하는 제1 각도조정수단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경추부 지지대가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 각도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한다.A first angl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ist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jointly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 of the chai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ans allows the cervical spine support to articu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configuration.
특히, 상기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의 양측면에는 보조 받침대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auxiliary support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아울러, 상기 보조 받침대 각각은 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In addition, each of the auxiliary pedestal is a chair back, characterized in that rotate in the later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보조 받침대는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후 다시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연결구와, 상기 탄성연결구의 외주를 감싸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pedestal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elastic connector capable of restoring elasticity again after being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and an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connector.
또한, 상기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는 각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ist pedestal and the cervical spine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upport frame.
여기서, 상기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 각각은,Here, each of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상기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에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와,A slide member fitted to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쿠션부재와,A cushion memb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e member;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lide member.
한편, 상기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는 각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그 중심부가 절개되어 등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ist pedestal and the cervical spine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is cut and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upport.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외주연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center from both ends of the outer periphery.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하여 지지하는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 및 상기 허리부 지지대와 경추부 지지대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 지지하여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aist support and cervical spine support that is divided and supported by each of the waist and cervical spine of the spine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By installing the lumbar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the user's waist and cervical spine are divided and supported, respectively,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support.
또한, 상기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체격이 크거나 작은 사람의 신체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바른 자세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are slidab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correct posture can be stably maintained for a long time by actively responding to physical conditions of a large or small person.
또한, 상기 허리부 지지대에는 제1 각도조정수단과 제2 각도조정수단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마다 앉는 자세에 의한 척추굽힘 정도에 따라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사각에 의한 자세변화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이 여러모드로 가능하고, 흉추부분과 경추부분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waist suppor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pine by the user's sitting position, thereby providing more comfortable supporting force. In addition, the stretch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posture change by various inclination angle is possible in several mod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stretching exercise for the thoracic and cervical spine.
아울러, 상기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에는 보조 받침대가 형성됨으로써, 측방향으로의 스트레칭 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is formed in the waist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the stretching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1000)는, 척추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하여 지지하는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의 하부에는 의자 시트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하는 제1 각도조정수단(500)과 그 타측에는 상기 경추부 지지대(200)가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 각도조정수단(600)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backrest for the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는 의자 시트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외력에 대하여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단면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또한,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의 길이방향 하부와 상부에는 상기 의자부 시트와 경추부 지지대(200)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힌지부(110,1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즉, 하부의 힌지부(110)는 의자부 시트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 하게 고정되고, 상기 상부의 힌지부(120)는 후술할 경추부 지지대(200)가 상기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아울러, 상기 경추부 지지대(200)는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 및 흉추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전술한 허리부 지지대(100)와 동일한 형태와 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경추부 지지대(200)의 일면에는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의 상부 힌지부(120)와 연결되는 결합힌지부(21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경추부 지지대(200)의 상부는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의 상부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The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는 각각 사용자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여기서,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는 사각형상의 패널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형 또는 다양한 각주를 가지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는 각각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부분과 경추부분을 탄력적으로 접하여 지탱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는 2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경추부 받침대(400)는 3개로 구성하여 사용자 척추의 흉추을 포함한 경추부분을 지지하게 된다.Here, the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는 각 지지대(100,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5, the
구체적으로,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 각각은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에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쿠션부재(3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3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each of the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는 상기 각 지지대(100,200)에 외주형상에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쿠션부재(320)는 유연성과 신축성이 좋은 메모리폼, 라텍스, 스폰지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320)는 사각형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척추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쿠션부재(320)는 척추의 경추, 흉주 및 요추 부분을 보다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내측을 향하여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30)는 슬라이드부재(3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가압용 나사볼트를 채택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를 이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공지된 다양한 고정부재가 채택 될 수 있다.Here, the
이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부재(330)가 결합되는 관통공(311)이 형성된다.Subsequently, a
이러한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는 사용자의 경추로부터 요추까지 해당하는 척추의 각부분을 등분하여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높낮이조정이 가능하므로 체격이 크거나 작은 사람의 신체적 조건에 대응하여 바른 자세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특히,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의 양측면에는 사용자의 스트레칭 운동을 위하여 측방향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 받침대(450)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In particular, both side surfaces of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받침대(450)는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후 다시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연결구(451)와, 상기 탄성연결구(451)의 외주를 감싸는 탄성부재(45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탄성부재(452)는 외주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이러한 상기 보조 받침대(450)는 사용자가 척추를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에 기댄 상태에서 스트레칭 운동을 하고자 좌우방향으로 상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상체의 힘을 전달받은 보조 받침대(450)가 허리부 받침 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를 용이하게 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도 7참조).When the user rotates the upp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erform a stretching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leans the spine on the
더나아가, 상기 보조 받침대(450)는 아래쪽(요추)에서 윗쪽(경추)으로 갈수로 측방향으로의 회전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각을 규제하는 것이 좋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의자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인체 구조상 좌우회전 스트레칭 할 때에 허리부분보다 어께의 회전이 더 많이 이루어진다는 인체공학적 특징을 수용하여 요추부쪽 보다 경추부쪽이 상대적으로 많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seat rotates the upp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cervical spin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umbar spine by accommodating the ergonomic feature that the shoulder is rotated more than the waist when stretching left and righ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This is to allow a lot of rotation.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재(320)가 탄성연결구(451)의 탄성 회전각을 간섭할 수 있도록 그 결합부측에 경사면(321)을 다양하게 설정하면 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the
물론, 상기 쿠션부재(320)와 탄성연결구(451)의 회전각 조정은 별도의 스토퍼 등의 구성품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of the
또한, 상기 탄성부재(452)는 외주연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웃한 탄성부재(452) 사이 공간으로 팔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452)는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도 2와 도 8a ~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각도조정수단(500)과 제2 각도조정수단(600)은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힌지부(110,12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각도조정수단(500)은 의자 시트에 대하여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에서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2 각도조정수단(600)은 상기 경추부 지지대(200)를 전후방향으로 관절운동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8A to 8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600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제1 각도조정수단(500)과 제2 각도조정수단(600)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구성을 채택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각도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Here, although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600 adopt a configuration using bolts and nu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to enable a general angle adjustment. .
도 8a ~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각도조정수단(500)과 제2 각도조정수단(600)은 사용자마다 앉는 자세에 의한 척추의 굽은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가장 편안한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할 때 스트레칭의 범위가 허리부분 보다 흉추와 경추부분이 더 많은 각도록 누어질 수 있다는 인체의 특성을 수용하여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흉추와 경추부분이 허리부분 보다 더 많이 누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8A to 8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600 direct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ser direc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pine by the sitting posture for each us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djust, the thoracic and cervical vertebrae can accommodate and respond to the human body's characteristics that when stretching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a chair, the range of stretching can be squeezed more thorax and cervical spine than the waist. It provides a function that allows the part to be laid down more than the waist part.
이러한 상기 제1 각도조정수단(500)과 제2 각도조정수단(600)은 다양한 경사각을 제공하므로, 그에 따른 자세변화에서 여러모드로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600 provide various inclination angl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retching motion can be performed in various modes in posture chang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는 각 지지대(100,200)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그 중심부가 절개되어 등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즉, 등분된 구조의 각 받침대(300,400)는 좌,우측방향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시 보다 원할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each pedestal (300,400) of the divided structure can provide a more smooth rotational force during the stretching movement for the left, right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1000)는 척추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하여 지지하는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 및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와 경추부 지지대(200)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 지지하여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hair bac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또한,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체격이 크거나 작은 사람의 신체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바른 자세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허리부 지지대(100)에는 제1 각도조정수단(500)과 제2 각도조정수단(600)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마다 앉는 자세에 의한 척추의 굽은 정도에 따라 등받이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편안한 안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사각에 의해 자세변화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이 여러모드로 가능하고, 흉추부분과 경추부분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6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아울러, 상기 허리부 받침대(300)와 경추부 받침대(400)에는 보조 받침대(450)가 형성됨으로써, 측방향으로의 스트레칭 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인백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in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FIG. 2.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도 5는 도 2의 허리부 받침대와 경추부 받침대의 슬라이드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lide movement of the lumbar suppo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of FIG. 2.
도 6은 도 2의 보조 받침대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pedestal of FIG.
도 7은 도 6의 보조 받침대의 회전작용을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7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pedestal of Figure 6 viewed from the bottom.
도 8a ~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8A to 8D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back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ck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허리부 지지대100: waist support
200 : 경추부 지지대200: cervical spine support
300 : 허리부 받침대300: waist support
400 : 경추부 받침대400: cervical spine support
450 : 보조 받침대450: auxiliary pedestal
500 : 제1 각도조정수단500: first angle adjusting means
600 : 제2 각도조정수단600: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2098A KR101135969B1 (en) | 2009-12-28 | 2009-12-28 | Back for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2098A KR101135969B1 (en) | 2009-12-28 | 2009-12-28 | Back for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5605A KR20110075605A (en) | 2011-07-06 |
KR101135969B1 true KR101135969B1 (en) | 2012-04-18 |
Family
ID=4491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20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5969B1 (en) | 2009-12-28 | 2009-12-28 | Back for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596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5673B1 (en) * | 2013-06-14 | 2013-12-30 | 장계훈 | Chair for protecting vertebral column |
KR20160091025A (en) * | 2015-01-23 | 2016-08-02 | (주)넥스트메디텍 | Back support of module ty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6253A (en) | 2015-02-04 | 2016-08-16 | 주식회사 메드릭스 | Segmental Motion Spine Health Chair |
KR101647461B1 (en) | 2015-02-04 | 2016-08-11 | 주식회사 메드릭스 | Saddle type Spine Health Chair |
CN108991806A (en) * | 2017-06-06 | 2018-12-14 | 王景发 | A kind of ab lounge |
KR102134924B1 (en) * | 2018-08-10 | 2020-07-17 | 양동현 | Spine Customized Chai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1074U (en) * | 1990-02-28 | 1991-11-14 | ||
KR20000066379A (en) * | 1999-04-16 | 2000-11-15 | 정중희 | Chair equipped with back supports |
KR20090019100A (en) * | 2007-08-20 | 2009-02-25 | 박진한 | Spine Bag Backrest |
KR20090041458A (en) * | 2007-10-24 | 2009-04-29 | 김소연 | Chiropractic Furniture |
-
2009
- 2009-12-28 KR KR1020090132098A patent/KR10113596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1074U (en) * | 1990-02-28 | 1991-11-14 | ||
KR20000066379A (en) * | 1999-04-16 | 2000-11-15 | 정중희 | Chair equipped with back supports |
KR20090019100A (en) * | 2007-08-20 | 2009-02-25 | 박진한 | Spine Bag Backrest |
KR20090041458A (en) * | 2007-10-24 | 2009-04-29 | 김소연 | Chiropractic Furnitur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5673B1 (en) * | 2013-06-14 | 2013-12-30 | 장계훈 | Chair for protecting vertebral column |
KR20160091025A (en) * | 2015-01-23 | 2016-08-02 | (주)넥스트메디텍 | Back support of module type |
KR101663807B1 (en) | 2015-01-23 | 2016-10-10 | (주)넥스트메디텍 | Back support of module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5605A (en) | 2011-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95586B2 (en) | Functional chair | |
US6910736B2 (en) |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 |
US7607738B2 (en) | Contoured seat and method | |
US9352675B2 (en) | Bi-level headrest, body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user's cranium | |
JP6700487B2 (en) | Chair for lower back that can be deformed with changes in posture | |
US11337525B1 (en) | Reclining seatback support device | |
EP2802241B1 (en) |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 |
KR101135969B1 (en) | Back for chair | |
US9913541B2 (en) | Adjustable seating assembly | |
JP2017221667A (en) | Adjustable back support for seating surface | |
JP2011527927A (en) | Posture calibration chair | |
US11166564B2 (en) |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 |
KR102138836B1 (en) |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 |
KR20210040530A (en) | Backrest tilting chair | |
KR100355031B1 (en) | Multi-functional chair | |
KR102506194B1 (en)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
KR101071058B1 (en) | Folding supporter device for chair | |
KR100981057B1 (en) | Combined connection structure of chairs for body | |
JP2006296960A (en) | Chair having massage function | |
KR100722991B1 (en) | Chair with backrest | |
JP3249162U (en) | chair | |
JP3249163U (en) | chair | |
CN218484111U (en) | Seat with improved comfort of headrest | |
KR102634836B1 (en) |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 |
KR102359635B1 (en) | Lumbar support seat angle adjus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