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295A -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295A
KR20200096295A KR1020207020237A KR20207020237A KR20200096295A KR 20200096295 A KR20200096295 A KR 20200096295A KR 1020207020237 A KR1020207020237 A KR 1020207020237A KR 20207020237 A KR20207020237 A KR 20207020237A KR 20200096295 A KR20200096295 A KR 20200096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region
sole structure
segments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460B1 (ko
Inventor
2세 피덴치오 캄포스
웨슬리 케이. 찬
자차리 엠. 엘더
엘리자베스 랑빈
리 디. 페이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2702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9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이,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을 구비한다. 밑창 구조물은 또한,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전족 영역 내의 안쪽 측부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의 바깥쪽 측부로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및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웹 영역을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는, 유체-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제1 장벽 층은 웹 영역 내부에서 제2 장벽 층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7년 12월 1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598,81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PCT 국제출원이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밑창 구조물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유체-충전 주머니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물들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필수적인 종래기술이 아닌 본 개시에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들은 통상적으로, 갑피 및 밑창 구조물을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물 상에서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며 그리고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당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는, 발 둘레에서의 갑피의 맞춤을 조절하기 위해, 끈들, 또는 스트랩들, 또는 다른 잠금구들(fasteners)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의 바닥 표면에 인접한, 갑피의 바닥 부분이, 밑창 구조물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물들은 일반적으로, 지표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 배열체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의 하나의 층은, 마모 저항성 및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바닥창은, 내구성 및 마모-저항성을 부과할 뿐만 아니라,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의 다른 층이, 바닥창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한다. 중창은,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며 그리고 부분적으로,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발을 완충하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중합체 발포체 재료로 형성된다. 중창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밑창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뿐만 아니라 지면-반력을 감쇠시키도록,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됨에 의해 발에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충전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들은 또한, 갑피의 바닥 부분에 인접한 공동(void)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안락함-향상 안창(comfort-enhancing insole) 또는 깔창 및,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중창과 안창 또는 깔창 사이에 배치되는, 판상물(strobel)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충전 주머니들을 사용하는 중창들은 일반적으로, 함께 밀봉되거나 접합되는 중합체 재료의 2개의 장벽 층으로 형성되는 주머니를 포함한다. 유체-충전 주머니들은, 공기와 같은 유체로 가압되며, 그리고, 체육 운동 도중과 같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될 때, 주머니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주머니 내부에 인장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머니들은, 발을 위한 균형 잡힌 지지 및, 주머니가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됨에 따른 응답성에 관련되는, 완충 특성에 관한 강조를 동반하여 설계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가,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을 제공한다. 밑창 구조물은,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을 구비한다. 밑창 구조물은 또한,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전족 영역 내의 안쪽 측부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의 바깥쪽 측부로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및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웹 영역을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는, 유체-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제1 장벽 층은 웹 영역 내부에서 제2 장벽 층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선택된 구성들에 대한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측방 사시도이고;
도 2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되는 갑피, 중창, 및 바닥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밑창 구조물의 주머니와 연관되는, 복수의 세그먼트의 기하 형상 및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밑창 구조물의 전족 영역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웹 영역(web area)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세그먼트들을 도시하는, 도 3의 4-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5는, 밑창 구조물의 전족 영역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웹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세그먼트들을 도시하는, 도 3의 5-5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6은, 밑창 구조물의 전족 영역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웹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세그먼트들을 도시하는, 도 3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7은, 밑창 구조물의 길이를 따라 세그먼트들에 부착되는 오버몰딩된 바닥창을 도시하는, 도 3의 7-7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8은 자체에 부착되는 바닥창을 구비하는 주머니의 제1 챔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자체에 부착되는 바닥창을 구비하는 주머니의 제2 챔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0은, 밑창 구조물의 주머니에 의해 한정되는 완충 지지 벡터들을 도시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하부 사시도이다.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이, 도면들 전체에 걸쳐 상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한다.
예시적 구성들이 지금부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 구성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도록,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완전하게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은, 본 개시의 구성들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인 구성요소들, 장치들, 및 방법들에 대한 예들로서 기술된다.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러한 예시적 구성들이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 및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및 예시적인 구성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구성들을 설명할 목적이며 그리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수형 관사들 "부정관사" 및 "정관사"는, 문맥이 분명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들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가지는"은, 포괄적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구체화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 단계들, 프로세스들, 및 작동들은, 실행의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예시되는 특정 순서에 따른 그들의 실행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놓이는, "에 맞물리는", "에 연결되는", "에 부착되는" 또는 "에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요소 또는 층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놓일 수, 에 맞물릴 수, 에 연결될 수, 에 부착될 수, 또는, 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개입하는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적으로" 놓이는, "에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또는 "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입하는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단어들은, (예를 들어, "사이에" 대 "직접적으로 사이에", "인접한" 대 "직접적으로 인접한", 등의) 유사한 형태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열거된 품목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들, 제1, 제2, 제3 등은, 다양한 요소들, 구성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 구성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제2" 및 다른 수치적 용어들과 같은 용어들은, 문맥에 의해 명백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순서 또는 순번을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들의 교시로부터 벗어남 없이,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가,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을 제공한다. 밑창 구조물은,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을 구비한다. 밑창 구조물은 또한,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전족 영역 내의 안쪽 측부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의 바깥쪽 측부로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및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웹 영역을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는, 유체-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제1 장벽 층은 웹 영역 내부에서 제2 장벽 층에 부착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뒤따르는 선택적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세그먼트는, 갑피를 향해 제1 세그먼트로부터 제3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진다.
일부 예에서, 챔버는, 뒤꿈치 영역 둘레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4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여기서, 챔버는, 상기 제2 세그먼트로부터 전족 영역의 안쪽 측부에서 바깥쪽 측부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5 세그먼트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1 세그먼트, 제2 세그먼트, 제4 세그먼트, 및 제5 세그먼트는, 지면-맞물림 표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웹 영역은, 지면-맞물림 표면으로부터 만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챔버는,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의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6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제6 세그먼트는, 갑피를 향해 제1 세그먼트로부터 제6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6 세그먼트는, 제3 세그먼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그리고 제3 세그먼트 및 제6 세그먼트는, 밑창 구조물의 종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된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목 영역(necked region)을 구비한다.
일부 양태에서, 밑창 구조물은, 제1 세그먼트, 제2 세그먼트, 및 제3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며 그리고 접촉 패드 및 복수의 톱니(serration)를 구비하는, 바닥창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가,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을 제공한다. 밑창 구조물은,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을 구비한다. 밑창 구조물은, 전족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와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제1 세그먼트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제1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 및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4 세그먼트를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는, 제1 챔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뒤따르는 선택적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1 챔버는,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제5 세그먼트로서, 제4 세그먼트는 제5 세그먼트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제5 세그먼트, 및 제4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6 세그먼트로서, 제5 세그먼트는 제2 세그먼트와 제3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제6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물은,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그리고 제2 세그먼트와 제6 세그먼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7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제2 챔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3 세그먼트 및 제7 세그먼트는, 제5 세그먼트와 제6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챔버는, 전족 영역 둘레에서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 상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 상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제8 유체-충전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5 세그먼트 및 제8 세그먼트는, 제2 세그먼트와 제3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1 챔버는, 제8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9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7 세그먼트와 제9 세그먼트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3 세그먼트와 제5 세그먼트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제3, 제5, 제6, 제7, 및 제9 유체-충전 세그먼트들은 각각,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은, 갑피(100), 갑피(100)에 부착되는 중창(200), 및 중창(200)과 지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닥창(300)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영역들은,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 뒤꿈치 영역(16)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족 영역(12)은, 발가락들 및 중족골들(metatarsal bones)을 발의 지골들(phalanx bones)과 연결하는 관절들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중족 영역(14)은,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16)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뒤쪽 부분들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류(10)는, 개별적으로 신발류(10)의 반대편에 놓이는 측부들에 대응하며 그리고 영역들(12, 14, 16)을 통해 연장되는, 바깥쪽 측부(18) 및 안쪽 측부(20)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00)는, 중창(200) 상에서의 지지를 위해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공동(102)을 한정하는, 내부 표면들을 구비한다. 갑피(100)는, 내부 공동(102)을 형성하기 위해 재봉되거나 또는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의 적당한 재료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시(mesh), 직물, 발포체, 가죽, 및 인조 가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들은, 내구성, 통기성, 마모-저항성, 유연성 및 안락함의 특성들을 부과하도록, 선택되고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갑피(100)는, 중창(200)에 대향하는 바닥 표면(106) 및 내부 공동(102)의 발 받침부(108)를 한정하는 반대편 상측 표면을 구비하는, 판상물(104)을 구비한다. 봉제선 또는 접착제가, 판상물(104)을 갑피(100)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받침부(108)는, 발의 바닥 표면(예를 들어, 발바닥)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갑피(100)는 또한, 신발류 물품(10)의 안락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의 발바닥 표면을 수용하도록 판상물(10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 내부에 상주할 수 있는, 안창(110) 또는 깔창과 같은 부가적인 층들을 통합할 수 있을 것이다. 뒤꿈치 영역(16) 내의 발목 개구부(112)가, 내부 공동(102)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부(112)는, 공동(102) 내부에 발을 고정하기 위해 발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102)으로부터 그리고 내부 공동(102)으로의 발의 진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잠금구(114)가, 발 둘레에서의 내부 공동(102)의 맞음새를 조절하기 위해 그리고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수용하기 위해, 갑피(100)를 따라 연장된다. 갑피(100)는, 잠금구들(114)을 수용하는, 아일렛들(eyelets)과 같은 구멍들(116) 및/또는 직물 루프 또는 메시 루프(mesh loop)와 같은 다른 상관 특징부들(other engagement features)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잠금구들(114)은, 끈들, 스트랩들, 코드들, 후크-앤-루프(hook-and-loop),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유형의 잠금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00)는, 내부 공동(102)과 잠금구들(114) 사이에서 연장되는, 텅 부분(118)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200)은, 위쪽 장벽 층(204)(이하, '위쪽 층(204)') 및 아래쪽 장벽 층(206)(이하, '아래쪽 층(206)')에 의해 한정되는, 주머니(202)를 포함한다. 위쪽 층(204) 및 아래쪽 층(206)은, 중창(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208) 및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웹 영역(210)을 형성하도록, 몰딩 또는 열성형 프로세스 도중에 복수의 불연속 개소에서 함께 결합되고 접합됨에 의해, 주머니(202)를 위한 장벽 층들을 한정한다.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은, 갑피(100) 근처에 배치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바닥창(300)의 지면-맞물림 표면(302)에 대해 만입된다.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은, 갑피(100)의 판상물(104)의 바닥 표면(106)에 대향하며 그리고 그에 부착(예를 들어, 결합 및 접합)된다. 부가적으로,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은, 발을 위한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위쪽 층(204)은, 몰딩 프로세스 또는 열성형 프로세스 도중에 하나 이상의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갑피(100)의 외측 둘레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둘레 에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주머니(202)의 아래쪽 층(206)은, 위쪽 층(204)에 대해 주머니(202)의 반대 측부에 배치된다. 아래쪽 층(206)은, 갑피(100)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플랜지부(208)를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의 외측 둘레 에지와 접합되는, 외측 둘레 에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쪽 층(204)과 같이, 아래쪽 층(206)은, 몰딩 또는 열성형 프로세스 도중에 위쪽 층(204)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쪽 층(204) 및 아래쪽 층(206)은, 아래쪽 층(206) 및 위쪽 층(204)이 함께 결합되고 접합될 때 플랜지부(208) 및/또는 웹 영역(210)이 형성되는 개소들에 대응하는, 함몰부들(depressions)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표면들 및 집히는 표면들(pinched surfaces)을 각각 한정하는, 개별적인 몰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착제 접합은,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을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과 아래쪽 층(206)을 결합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위쪽 층(204)과 아래쪽 층(206)은, 열적 접합에 의해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일부 예에서, 위쪽 층(204) 및 아래쪽 층(206)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성형 및 융합(melding)을 가능하게 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일부 예에서, 층들(204, 206)은, 그들의 개별적인 몰드들 사이에 위치되기 이전에 가열된다. 다른 예에서, 몰드는, 층들(204, 206)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주머니(20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몰딩 프로세스가, 위쪽 층(204) 및 아래쪽 층(206)이 개별적인 몰드 부분들과 접촉 상태로 당겨지도록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몰드 부분들 내부에 진공 포트들을 통합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공기와 같은 유체가, 압력 차가 층들(204, 206)이 그들의 개별적인 몰드 부분들의 표면들과 맞물리는 것을 야기하도록, 위쪽 층(204)과 아래쪽 층(206) 사이의 영역들 내로 주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00)은,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과 갑피(100) 사이에 배치되는, 중합체 발포체 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중창(200)의 선택적인 발포체 층은,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을 갑피(100)에 및/또는 판상물(104)의 바닥 표면(106)에 결합함에 의해,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을 갑피(100)에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중간 층으로서 기능한다. 그에 따라, 선택적인 발포체 층은 추가로, 그로 인해 중창(200) 및 바닥창(300)을 갑피(100)에 고정하도록, 아래쪽 층(206)을 바닥창(300)에 결합한다. 더불어, 신발류(10)의 발포체 층은 또한, 위쪽 층(204)이 갑피(100)의 둘레 표면들 상으로 연장되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신발류(10)의 늘어난 사용에 걸쳐 위쪽 층(204)이 갑피(100)로부터 탈착될 가능성을 감소시킴에 의해, 신발류(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주머니(202)는, 하나 이상의 챔버(212, 214)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챔버(212)가, 중족 영역(14)으로부터 전족 영역(12)의 발가락 부분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제2 챔버(214)가, 뒤꿈치 영역(16)을 통해 연장된다. 제2 챔버(214)는,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관(220c)에 의해 제1 챔버(212)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챔버들(212, 214)은 각각, 하나 이상의 도관(220a-220d)에 의해 서로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세그먼트(218a-218n)에 의해 한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래쪽 층(206)은, 복수의 세그먼트(218a-218n) 및 도관들(220a-220d)의 기하 구조(예를 들어, 두께, 폭 및 길이)를 한정한다. 아래쪽 층(206) 및 위쪽 층(204)은, 각 세그먼트(218a-218n) 및 도관(220a-220d)을 경계 결정하며 그리고 분리하는 웹 영역(210)의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주머니(202)의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복수의 불연속 영역에서 함께 결합 및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각 세그먼트(218a-218n) 및 도관(220a-220d)은, 위쪽 층(204) 및 아래쪽 층(206)이 함께 결합되지 않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개별적인 공동들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분리되는, 주머니(202)의 영역과 연관된다.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은, 세그먼트들(218a-218n) 내부에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세그먼트(218a-218n) 둘레에서 연장되도록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218a-218n)를 경계 결정하도록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웹 영역(210)의 구역들이, 세그먼트들(218a-218n) 및/또는 도관들(220a-220c)에 의해 전체적으로 경계 결정되는 가운데, 웹 영역(210)의 다른 구역들이,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중의 하나를 따르는 세그먼트들(218a-218n) 및/또는 도관들(220a-220d)과, 바깥쪽 측부(18) 또는 안쪽 측부(20) 중의 다른 하나를 따르는 플랜지부(208)의 조합에 의해, 경계 결정된다. 일부 구성에서, 웹 영역(210)의 구역들이, 중창(200)이 지표면을 따라 구를 때 신발류(10)의 휘어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굴곡 구역들을 한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웹 영역(210)의 부분은, 없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그먼트(218a-218n) 및 도관(220a-220d)은, 위쪽 층(204)과 아래쪽 층(206) 사이에서 중창(200)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께 및 실질적으로 튜브형의 단면 형상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각 세그먼트(218a-218n)의 두께는, 아래쪽 층(206)이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쪽 층(204)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는, 거리에 의해 한정된다.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적어도 2개는, 상이한 두께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뒤꿈치 영역(16)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218j-218m)가, 전족 영역(12) 또는 중족 영역(14)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218a-218i)와 연관되는 두께들보다, 더 큰 두께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200)의 두께가, 뒤꿈치 영역(16)에서 초기에 발생하며 그리고 중창(200)의 전족 영역(12)이 지표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구를 때 줄어드는, 더 큰 크기의 지면-반력을 흡수하기 위한 더 큰 정도의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뒤꿈치 영역(16)으로부터 전족 영역(12)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세그먼트들(218a-218n) 및 도관들(220a-220d)은 각각, 신발류(10)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압 유체(즉, 가스, 액체)로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의 챔버들(212, 214)의 복수의 세그먼트(218a-218n) 중의 제1 부분의 압축 가능성이, 응답-유형 완충을 제공하는 가운데, 챔버들(212, 214)의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제2 부분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부드러운-유형 완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머니(202)의 세그먼트들(218a-218n)은,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 신발류 물품(10)에 대한 점진적인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즉, 하중이 더 커지면, 세그먼트들(218a-218n)은 더 많이 압축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신발류(10)는 더 응답형으로 실행함).
다른 구현예에서, 중합체 발포체 및/또는 입자형 소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완충 재료(미도시)가,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가압 유체 대신에 또는 가압 유체에 부가하여,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봉입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완충 재료들은,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하나 이상에, 가압 유체로 충전된 세그먼트들(218a-218n)과 상이한 완충 속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완충 재료들은, 다소 응답성일 수 있으며, 또는 가압 유체보다 더 큰 충격 흡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버몰드 부분이, 가해지는 하중 하에 놓일 때 챔버들(212, 214)을 위해 증가된 내구성 및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해, 주머니(202)의 일부분 위에서 연장된다. 오버몰드 부분은, 아래쪽 층(206)과 위쪽 층(204) 사이의 분리 거리가 더 큰 곳에서 주머니(202)를 위해 증가된 내구성 및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뒤꿈치 영역(16)과 같은 주머니(202)의 특정 영역 내에 증가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아래쪽 층(206)에 부착됨에 의해,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또는 뒤꿈치 영역(16) 위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오버몰드 부분은, 아래쪽 층(206)에 접합되며 그리고, 아래쪽 층(206)과는 상이한 두께, 상이한 경도, 및 상이한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오버몰드 부분은,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 뒤꿈치 영역(16) 내에 상주하는 챔버들(212, 214)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아래쪽 층(206)의 영역들로만 제한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오버몰드 부분은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오버몰드 부분은, 복수의 세그먼트(218a-218n)를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00)은, 중창(200)에 부착되며, 그리고 중창(200)과 형상에 관해 합치한다. 일부 예에서, 바닥창(300)은, 지면-맞물림 표면(302) 및, 세그먼트들(218a-218n)을 한정하는 아래쪽 층(206)의 구역들에 부착되는, 반대편 내측 표면(306)을 구비한다. 따라서, 바닥창(300)은,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a-218l)의 형상에 합치하는 형상을 각각 한정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바닥창(300)은, 주머니(202)의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을 그로 인해 노출시키도록, 세그먼트들(218a-218l) 사이의 구역들에 존재하지 않는다. 바닥창(300)은, 일반적으로 마모-저항성 및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며 그리고, 내구성 및 마모-저항성을 부과할 뿐만 아니라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무가, 바닥창(30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지면-맞물림 표면(302)은, 지면-맞물림 표면(302)으로부터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접촉 패드(306) 및 톱니(308)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접촉 패드들(306)은 각각, 지면-맞물림 표면의 실질적으로 평면형 부분을 한정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a-218l)을 따라 간헐적으로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접촉 패드들(306) 중의 하나는, 접촉 패드들(306) 중의 하나의 제1 부분이 세그먼트들(218a-218l) 중의 제1 세그먼트를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접촉 패드들(306) 중의 하나의 제2 부분이 세그먼트들(218a-218l) 중의 제2 세그먼트를 따라 연장되도록, 세그먼트들(218a-218l) 중의 인접한 것들의 각각의 교차부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접촉 패드들(306)은, 중족 영역(14) 및 전족 영역(12) 내에 마찰력 및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유체-충전 세그먼트들(218a-218l)의 길이들을 따라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톱니들(308)은, 부가적인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창(300)의 지면-맞물림 표면(302)을 따라 균등하게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톱니들(308)은, 마찰력을 개선하기 위해 부드러운 지표면을 맞물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바닥창(300)은,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버몰드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창(300)은, 오버몰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주머니(202)의 아래쪽 층(206)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에서, 바닥창(300)은, 주머니(202)의 아래쪽 층(206)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아래쪽 층(206)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주머니(202)의 기하 구조 및 구성이, 신발류(10)의 하부 사시도들을 참조하여 도시된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주머니(202)는, 유체 네트워크를 한정하는 복수의 세그먼트(218a-218n) 및 도관들(220a-220d)을 구비하는, 제1 챔버(212) 및 제2 챔버(214)를 구비한다.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세그먼트들(218a-218n)과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들(218a-218n)은, 위쪽 층(204)과 아래쪽 층(206)이 가압 유체 및/또는 완충 재료를 봉입하기 위한 개별적인 공동들을 한정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고 분리되는, 중창(200)의 영역들 내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플랜지부(208) 및 웹 영역(210)은, 위쪽 층(204)과 아래쪽 층(206)이, 결합되고 접합되며, 그리고 그 내부에 가압 유체를 그로 인해 밀봉하도록 각 세그먼트(218a-218n)의 둘레를 경계 결정하고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주머니(202)의 영역들에 대응한다. 따라서, 세그먼트들(218a-218n)은, 중창(200)의 영역들(12, 14, 16) 중의 대응하는 영역들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웹 영역(210)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218a-218n)는, 웹 영역(210)의 대응하는 구역들을 경계 결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적어도 2개가,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연장되는 가운데, 적어도 2개의 다른 세그먼트(218a-218n)가, 중창(200)의 안쪽 측부(20)를 따라 연장된다. 더불어,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일부는,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18)와 중창(200)의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218a-218n)는,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중의 하나로부터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중의 다른 하나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중의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20)와 바깥쪽 측부(18) 사이의 개소에서 종결되는, 원위 단부(222)로 연장된다. 여기서, 원위 단부(들)(222)는, 갑피(100)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즉, 아래쪽 층(206)이,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을 향해 좁아짐에 따라, 세그먼트(218a-218n)의 두께가, 원위 단부(222)를 향한 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그먼트들(218a-218n)은, 주머니(202)를 위한 단일 압력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또는 도관들(220)을 통해, 서로 유체 소통 상태에 놓인다. 단일 압력 시스템은, 세그먼트들(218a-218n)이 특히 신발류(10)의 전진 러닝 이동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완충 뿐만 아니라,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 하에 놓일 때, 세그먼트들(218a-218n)을 통해 유체를 유도한다. 선택적으로,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하나 이상이, 다른 세그먼트들(218a-218n)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게 가압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세그먼트(218a-218n)가, 굽힘부(224) 또는 선회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그로 인해, 대응하는 굽힘부(224)에 의해 연결되는 각각의 세그먼트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굽힘부(224)는, 중창(200)의 둘레를 향해 연장되는 내부 반경과 연관된다. 일부 예에서, 각 굽힘부(224)의 반경은, 적어도 3 mm이다. 더불어, 각 굽힘부(224)는, 플랜지부(208)에 대해 개별적인 세그먼트(218a-218n)의 반대 측부에서, 중창(200)의 둘레에 가깝게 배치된다. 플랜지부(208)에 대해 세그먼트들(218a-218n)의 반대 측부에 굽힘부들(224)을 배치함에 의해, 세그먼트들(218a-218n)에 의한 붕괴가, 중창(200)에 가해지는 하중들 사이에서의 방향 전환들(directional shifts) 도중에 제한된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예에서, 제1 챔버(212)는, 전족 영역(12)으로부터 중족 영역(14) 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그먼트(218a-218h) 및 도관(220a-220b)을 구비한다. 제1 세그먼트(218a)가, 전족 영역(12) 내에서 안쪽 측부(20)를 따라 연장된다. 제2 세그먼트(218b)가, 제1 세그먼트(218a)의 제1 단부로부터 바깥쪽 측부(18)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제3 세그먼트(218c)가, 제1 세그먼트(218a)의 제2 단부로부터 바깥쪽 측부(18)를 향해 연장된다. 제2 세그먼트(218b) 및 제3 세그먼트(218c)는 각각,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원위 단부들(222b, 222c)에서 종결된다. 제2 세그먼트(218b)와 제3 세그먼트(218c)는, 안쪽 측부(20)로부터 바깥쪽 측부(18)로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발산한다.
제4 세그먼트(218d)가, 전족 영역(12) 내에서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된다. 제5 세그먼트(218e)가, 전족 영역(12) 내의 제4 세그먼트(218d)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20)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제6 세그먼트(218f)가, 중족 영역(14) 내의 제4 세그먼트(218d)의 반대편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20)를 향해 연장된다. 제5 세그먼트(218e) 및 제6 세그먼트(218f)는 각각,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원위 단부들(222e, 222f)에서 종결된다. 제5 세그먼트(218e)는, 제2 세그먼트(218b)와 제3 세그먼트(218c)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운데, 제3 세그먼트(218c)는, 제5 세그먼트(218e)와 제6 세그먼트(218f)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5 세그먼트(218e)는, 안쪽 측부(20)로부터 바깥쪽 측부(18)로의 방향으로, 제6 세그먼트(218f)로부터 발산한다. 또한, 제5 세그먼트(218e)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세그먼트(218c)와 인접하며 그리고 제3 세그먼트(218c)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제7 세그먼트(218g)가, 전족 영역(12)의 발가락 부분 둘레에서, 중창(200)의 안쪽 측부(20)의 제1 단부로부터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18)의 제2 단부로 연장된다. 제8 세그먼트(218h)가, 제7 세그먼트(218g)의 제2 단부로부터 바깥쪽 측부(18)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원위 단부(222h)에서 종결된다. 제8 세그먼트(218h)의 원위 단부(222h)는, 제2 세그먼트(218b)와 제5 세그먼트(218e)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챔버(214)는, 전족 영역(12)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안쪽 측부(20)로부터 바깥쪽 측부(18)를 향해 연장되는, 제9 세그먼트(218i)를 구비한다. 제9 세그먼트(218i)는, 안쪽 측부(20)와 바깥쪽 측부(18) 중간의 원위 단부(222i)에서 종결되며, 그리고 제1 챔버(212)의 제3 세그먼트(218c)와 제6 세그먼트(218f)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챔버(214)는, 전족 영역(12) 내의 안쪽 측부(20) 상의 제9 세그먼트(218i)로부터 뒤꿈치 영역(16) 내의 바깥쪽 측부(18)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뒤꿈치 영역(16)의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제10 세그먼트(218j)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제10 세그먼트(218j)의 제1 부분은, 중창(200)의 종방향 축(L)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중족 영역(14)을 가로지른다. 제11 세그먼트(218k)가, 뒤꿈치 영역(16)의 안쪽 측부(20)를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도관(220d)에 의해 제10 세그먼트(218j)의 제1 부분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한다. 제2 챔버(214)의 제12 세그먼트(218l)가, 뒤꿈치 영역(16) 둘레에서, 바깥쪽 측부(18) 상의 제10 세그먼트(218j)로부터 안쪽 측부(20) 상의 제11 세그먼트(218k)로 연장된다. 제12 세그먼트(218l)는, 제10 세그먼트(218j) 및 제11 세그먼트(218k) 각각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챔버(214)는, 종방향 축(L)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한 쌍의 정착 세그먼트(218m, 218n)를 더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정착 세그먼트(218m)가, 바깥쪽 측부(18)를 따르는 제10 세그먼트(218j) 및/또는 제12 세그먼트(218l)로부터 안쪽 측부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제10 세그먼트(218j)와 제11 세그먼트(218k) 사이의 원위 단부(222m)에서 종결된다. 유사하게, 제2 정착 세그먼트(218n)가, 안쪽 측부(20)를 따르는 제11 세그먼트(218k)로부터 바깥쪽 측부(18)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제10 세그먼트(218j)와 제11 세그먼트(218k) 사이의 원위 단부(222n)에서 종결된다. 제2 정착 세그먼트(218n) 및 제1 정착 세그먼트(218m)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L)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들(30p, 30q)을 따라 연장된다.
이상에 제공된 바와 같이, 제2 챔버(214)의 세그먼트들(218l-218o)은 각각, 완충 및 응답성에 대한 요구되는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압 유체로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하나 이상은, 가압 유체와 상이한 완충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완충 재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0 세그먼트(218j)는, 지표면에 의한 신발류(10)의 초기 충격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합체 발포체 완충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00)이 그 위에 형성되는 제1 챔버(212) 및 제2 챔버(214)의 세그먼트들(218a-218l)은, 접촉 패드들(306) 중간에 배치되는 목 영역들(226)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목 영역들(226)은, 지면-맞물림 표면(302)이 지표면으로부터 만입되도록 감소된 두께를 갖는, 세그먼트들(218a-218l)의 영역들을 한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들(212, 214)의 목 영역들(226)은, 톱니들(308)을 구비하며, 그리고 주머니(202)가 지표면 내로 압축될 때 지표면과의 2차적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은 각각, 대체로 바깥쪽 측부(18)로부터 안쪽 측부(20)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세그먼트(218c) 및 제5 세그먼트(218e)는, 종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운데, 제2 세그먼트(218b) 및 제8 세그먼트(218h)는, 종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은,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신발류(10)가 러닝 이동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바닥창(300)이 지표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구를 때, 연속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웹 영역(210)은, 웹 영역(210)이 전족 영역(12)으로부터 중족 영역(14)을 통해 연장되는 굴곡 구역을 한정하도록,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을 서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종방향 축(L)에 대한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의 가로지르는 배열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을 분리하는 웹 영역(210)은, 동시에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이 압축 하에 놓이는 동안에 발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가운데, 러닝 이동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발 앞부분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압축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들(222)은, 복합 테이퍼부(compound taper)를 구비하고,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 218m, 218n)의 두께(T) 및 폭 양자 모두가, 원위 단부(222)를 향한 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좁아진 원위 단부들(222)은, 전단력과 같은 부하가 자체에 가해질 때, 자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 218m, 218n)을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뿐만 아니라, 전체로서 주머니(202)를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챔버(212)는, 안쪽 측부(20)를 따라 제7 세그먼트(218g)의 제1 단부를 제1 세그먼트(218a)의 제1 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제1 도관(220a)을 구비한다. 제2 도관(220b)이,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제7 세그먼트(218g)의 제2 단부를 제4 세그먼트(218d)의 제1 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1 챔버(212)의 모든 세그먼트들(218a-218h)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유체 소통 상태에 놓인다. 마찬가지로, 제1 세그먼트(218a)의 제2 단부는, 그로 인해 제1 챔버(212)를 제2 챔버(214)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도록, 안쪽 측부(20)를 따라 제3 도관(220c)에 의해 제10 세그먼트(218j)의 제1 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도관(220d)은, 제11 세그먼트(218k)의 제1 단부를 안쪽 측부(20)에 인접한 제10 세그먼트(218j)의 중간 부분에 유동적으로 연결한다. 도관들(220)이, 도관들(220a-220c)에 대한 대안적인 또는 부가적인 배열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관들은,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주머니(202)의 영역들 내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안창(110), 갑피(100)의 판상물(104), 및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상에 설명된 적층형 구성으로 배열되는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과 함께, 전족 영역(12) 내의 중창(200)을 도시하는, 도 3의 4-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이상에 제공된 바와 같이, 아래쪽 층(206)의 둘레 에지들은, 갑피(100)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안쪽 측부(20) 및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플랜지부(208)를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의 둘레 에지들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주머니(202)의 아래쪽 층(206)은 또한, 갑피(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a, 218e)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a, 218e)을 분리하는 웹 영역(210)의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창(200)의 안쪽 측부(20)를 따라 연장되는 세그먼트(218a)는, 웹 영역(210) 및 안쪽 측부(20)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08)에 의해 경계 결정되는 가운데, 세그먼트(218d)로부터 바깥쪽 측부(18)에서 안쪽 측부(20)를 향해 연장되는 세그먼트(218e)는, 웹 영역(210) 및 바깥쪽 측부(18)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08)에 의해 경계 결정된다. 세그먼트(218e)의 원위 단부(222e)는, 갑피(100)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지며, 그리고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개소에 형성되는 웹 영역(210)에서 종결된다. 도 4의 절단선(도 3 참조)은, 제1 세그먼트(218a)의 목 영역들(226) 중의 하나를 통해 취해지고, 제1 세그먼트(218a)의 두께는 감소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218a)의 지면-맞물림 표면(302)은 지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바닥창(300)은, 세그먼트들(218a, 218d, 218e) 각각에 부착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a, 218d, 218e) 각각과 형상에 관해 합치한다. 일부 예에서, 접촉 패드(306)는, 지표면과의 증가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창(300)으로부터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세그먼트들(218a, 218d, 218e)의 개별적인 길이들을 따라, 연장된다.
도 5는, 안창(110), 갑피(100)의 판상물(104), 및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상에 설명된 적층형 구성으로 배열되는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과 함께, 전족 영역(12) 내의 중창(200)을 도시하는, 도 3의 5-5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아래쪽 층(206)의 둘레 에지들은, 갑피(100)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안쪽 측부(20) 및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플랜지부(208)를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의 둘레 에지들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주머니(202)의 아래쪽 층(206)은 또한, 갑피(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d, 218i)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d, 218i)을 분리하는 웹 영역(210)의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연장되는 세그먼트(218d)는, 웹 영역(210) 및 바깥쪽 측부(18)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08)에 의해 경계 결정되는 가운데, 세그먼트(218j)로부터 안쪽 측부(20)에서 바깥쪽 측부(18)를 향해 연장되는 세그먼트(218i)는, 웹 영역(210) 및 안쪽 측부(20)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08)에 의해 경계 결정된다. 세그먼트(218f)의 원위 단부(222i)는, 갑피(100)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지며, 그리고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개소에 형성되는 웹 영역(210)에서 종결된다. 도 5의 5-5 절단선(도 3 참조)은, 제4 세그먼트(218d)의 목 영역들(226) 중의 하나를 통해 취해지고, 제4 세그먼트(218d)의 두께는 감소되며, 그리고 제4 세그먼트(218d)의 지면-맞물림 표면(302)은 지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바닥창(300)은, 세그먼트들(218d, 218i, 218j) 각각에 부착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d, 218i, 218j) 각각과 형상에 관해 합치한다. 일부 예에서, 접촉 패드(306)는, 지표면과의 증가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창(300)으로부터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세그먼트들(218d, 218i, 218j)의 개별적인 길이들을 따라, 연장된다.
도 6은, 안창(110), 판상물(104), 및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상에 설명된 적층형 구성으로 배열되는 주머니(202)의 위쪽 층(204)과 함께, 뒤꿈치 영역(16) 내의 중창(200)을 도시하는, 도 3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아래쪽 층(206)의 둘레 에지들은, 갑피(100)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안쪽 측부(20) 및 바깥쪽 측부(18)를 따라 플랜지부(208)를 형성하기 위해 위쪽 층(204)의 둘레 에지들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의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쪽 층(206)은, 제2 챔버(214)의 바깥쪽 측부(18)를 따르는 제10 세그먼트(218j), 안쪽 측부(20)를 따르는 제11 세그먼트(218k), 및 제1 정착 세그먼트(218m)를 한정하기 위해,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쪽 층(204)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한다. 도 6의 6-6 절단선(도 3 참조)은, 제10 세그먼트(218j)의 목 영역들(226) 중의 하나를 통해 취해지고, 제10 세그먼트(218j)의 두께는 감소되며, 그리고 제10 세그먼트(218j)의 지면-맞물림 표면(302)은 지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7은, 뒤꿈치 영역(16), 중족 영역(14), 및 전족 영역(12)을 통해 연장되는 중창(200) 및 바닥창(300)을 도시하는, 도 3의 7-7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의 신발류(10)를 참조하여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바닥창(300)은, 챔버들(212, 214)이 뒤꿈치 영역(16), 중족 영역(14), 및 전족 영역(12)에서 주머니(202)를 위한 증가된 내구성 및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해 갑피(100)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는 구역들에서, 아래쪽 층(206)의 부분들에 부착된다. 더불어,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j, 218l-n)은,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웹 영역(210)은, 도 7의 도면에 관련하여,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j, 218l-n)을 분리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j, 218l-n)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세그먼트들(218a-218i)은, 전족 영역(12)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16) 및/또는 중족 영역(14) 내의 세그먼트들(218j-218l)보다 더 작은 두께와 연관된다.
도 8은, 서로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중창(200)의 전족 영역(12) 내부에 배치되는, 세그먼트들(218a, 218b, 218d, 218e, 218g, 218h)의 하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세그먼트들(218b, 218e, 218h)은,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개소에서 종결되는 원위 단부들(222b, 222e, 222h)로 연장된다. 원위 단부들(222b, 222e, 222h)은, 갑피(100)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세그먼트들(218b, 218e, 218h)의 원위 단부(222b, 222e, 222h)에 의한 좁아짐은, 가해지는 하중 하에 놓일 때, 세그먼트들(218b, 218e, 218h)을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서로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중창(200)의 뒤꿈치 영역(16) 내부에 배치되는, 세그먼트들(218j-218n)의 하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세그먼트들(218m, 218n)은,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제10 세그먼트(218j)와 제11 세그먼트(218k) 사이의 개소에서 종결되는 원위 단부들(222m, 222n)로 연장된다. 원위 단부들(222m, 222n)은, 갑피(100)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세그먼트들(218m, 218n)의 원위 단부(222m, 222n)에 의한 좁아짐은, 가해지는 하중 하에 놓일 때, 세그먼트들(218j, 218k)을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세그먼트들(218a-218l)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완충 지지 벡터(30a-30l)를 도시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10)의 하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세그먼트들(218a-218l) 각각의 종방향 축이, 완충 지지 벡터들(30a-30l) 중의 개별적인 벡터들을 한정한다. 완충 지지 벡터에 평행한 방향들과 연관되는 가해지는 하중들은, 그러한 구역들에서 발을 위한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붕괴 없이,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세그먼트가, 그들의 형상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야기한다. 다른 한편, 완충 지지 벡터에 횡단하는 방향들과 연관되는 가해지는 하중들은, 가해지는 하중과 연관되는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그러한 구역들에서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세그먼트가 압축 및 붕괴되는 것을 야기한다. 종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a, 30d, 30k, 30j2)은, 중창(200)의 종방향 축(L)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가운데, 횡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은, 중창(200)의 종방향 축(L)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예를 들어, 횡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은, 중창(200)의 종방향 축(L)에 대한 수직으로부터 15도(15°) 이내의 각도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7 세그먼트, 제10 세그먼트, 및 제12 세그먼트(218g, 218j, 218l)는 각각, 복합 완충 지지 벡터들(30g1,2, 30j1, 30l1,2)을 한정하며, 그로 인해 각진 및/또는 만곡된 세그먼트들(218g, 218j, 218l)은, 중창(200)의 종방향 및 횡방향 양자 모두를 따라 어느 정도의 응답형 지지를 제공한다.
걷기 또는 러닝 이동과 같은, 전진 이동 도중에, 중창(200)에 가해지는 하중은,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a, 218d, 218k, 218j)이 전단력 하에 놓이는 것을 야기하도록, 그로 인해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a, 218d, 218k, 218j)이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예를 들어, 압축되지 않는 것) 및, 바닥창이 뒤꿈치 영역(16) 및 중족 영역(14)을 통해 지표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구를 때,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종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a, 30d, 30k, 30j2)과 평행한 방향과 연관된다. 세그먼트들(218a, 218d, 218k, 218j) 사이에서 연장되는 웹 영역(210)은, 점진적인 응답-유형 완충을 제공하는 가운데 발에 의한 진동을 그로 인해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 놓일 때, 비틀림력이 세그먼트들(218a, 218d, 218k, 218j) 상에 작용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시프팅 또는 커팅 이동과 같은, 측방 이동 도중에, 중창(2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종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a, 30d, 30k, 30j2)을 가로지르며 그리고 대체로 수직인 방향과 연관된다. 따라서, 벡터들(30a, 30k) 중의 하나를 한정하는 세그먼트들(218a, 218k)은, 가해지는 하중이 중창(200)의 안쪽 측부(20)를 향한 방향일 때, 발의 안쪽 측부를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압축될 것인 가운데, 다른 벡터들(30d, 30j)을 한정하는 세그먼트들(218d, 218j)은, 가해지는 하중이 중창(200)의 바깥쪽 측부(18)를 향한 방향일 때 발의 바깥쪽 측부를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압축될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횡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이, 중족 영역(14) 및 전족 영역(12)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200)의 종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걷기 또는 러닝 이동과 같은, 전진 이동 도중에, 중창(200)에 가해지는 하중은, 횡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연관된다. 그에 따라,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 중의 개별적인 벡터들을 한정하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은 연속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의 밀어 내기를 통해 발의 중족골 구역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압축되고 붕괴된다. 가해지는 하중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의 길이의 방향에 대한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의 방향은, 세그먼트들이 어떻게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압축될 것인지를 지시한다.
시프팅 또는 커팅 이동과 같은, 측방 이동 도중에, 중창(200)에 가해지는 하중은,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이 전단력 하에 놓이는 것을 야기하도록, 그로 인해 개별적인 세그먼트들(218b, 218c, 218e, 218f, 218h, 218i)이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예를 들어, 압축되지 않거나 약간 압축되는 것) 및, 측방 이동 실행 시 신발류(10)에 응답하는 발의 중족골 구역을 위한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횡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과 대체로 평행한 또는 단지 약간 가로지르는 방향과 연관된다.
이상에 제공된 바와 같이, 중창(200)은 추가로, 각각 어느 정도의 종방향 완충 및 응답성 그리고 횡방향 완충 및 응답성 양자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로 인해 횡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b, 30c, 30e, 30f, 30h, 30i) 및 종방향 완충 지지 벡터들(30a, 30d, 30k, 30j2)을 보완하는, 일련의 복합 완충 지지 벡터들(30g1,2, 30j1, 30l1,2)을 한정한다.
챔버들(212, 214)과 연관되는 세그먼트들(218a-218n)은, 동시에 신발류(10)의 사용 도중에 지면-반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생하는 발의 진동을 감쇠시킴에 의해 발을 위한 증가된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하는 가운데, 통상적인 중창이 제공하는 기능성 및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걷기 또는 러닝 이동과 같은, 전진 이동 도중에 중창(2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일부가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압축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는 가운데, 다른 세그먼트들(218a-218n)은, 지면-반력의 초기 충격에 응답하는 신발류(10)에 대한 발 진동을 감쇠시키는 안정성 및 지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들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세그먼트들(218a-218n) 중의 하나 이상은, 응답-유형 완충의 격리된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중창(200)의 상이한 영역들(12, 14, 16) 내부에서 웹 영역(210)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뒤꿈치 영역(16) 내부의 세그먼트들(218j-218l)은, 세그먼트들(218j-218l)이 연속적으로 압축되며 그리고 그로 인해 뒤꿈치 영역(16) 내에 점진적인 응답-유형 완충을 제공함에 따라 트램펄린 효과를 생성함에 의해, 뒤꿈치 영역(16) 둘레를 따르는 세그먼트들(218j-218l)이 지면-반력의 초기 충격을 흡수하도록 야기함에 의해, 뒤꿈치 영역(16) 내에 응답-유형 완충을 제공하도록, 웹 영역(210)의 개별적인 부분을 경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중창(200)을 따르는 세그먼트들(218a-218n)의 기하 구조 및 위치 설정은, 바닥창(300)이 지표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뒤꿈치 영역(16)으로부터 전족 영역(12)으로 구름에 따른 전진 이동 도중에, 뿐만 아니라 바닥창(300)이 지표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중의 하나로부터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중의 다른 하나로 구름에 따른 측방 이동 도중에, 바닥창(300)과 지표면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뒤따르는 항목들은, 이상에 설명된 신발류 물품을 위한 예시적 구성을 제공한다.
항목 1: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로서, 밑창 구조물은,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 및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는,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전족 영역 내의 안쪽 측부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의 바깥쪽 측부로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웹 영역을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장벽 층은 상기 웹 영역 내부에서 상기 제2 장벽 층에 부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그먼트는, 갑피를 향해 상기 제1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3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3: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뒤꿈치 영역 둘레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4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4: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2 세그먼트로부터 전족 영역의 안쪽 측부에서 바깥쪽 측부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5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 상기 제2 세그먼트, 상기 제4 세그먼트, 및 상기 제5 세그먼트는, 지면-맞물림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6: 항목 5에 있어서, 상기 웹 영역은, 상기 지면-맞물림 표면으로부터 만입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7: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의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6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상기 제6 세그먼트는, 갑피를 향해 상기 제1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6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9: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제6 세그먼트는, 상기 제3 세그먼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6 세그먼트는, 밑창 구조물의 종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0: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목 영역(necked region)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1: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 상기 제2 세그먼트, 및 상기 제3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며 그리고 접촉 패드 및 복수의 톱니(serration)를 구비하는, 바닥창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2: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로서, 밑창 구조물은,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 및 제1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전족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와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 및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4 세그먼트를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제5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4 세그먼트는 제5 세그먼트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제5 세그먼트, 및 상기 제4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6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5 세그먼트는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상기 제3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제6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밑창 구조물은,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그리고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상기 제6 세그먼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7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제2 챔버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7 세그먼트는, 상기 제5 세그먼트와 상기 제6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6: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전족 영역 둘레에서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 상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 상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제8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7: 항목 16에 있어서, 상기 제5 세그먼트 및 상기 제8 세그먼트는,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제3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18: 항목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8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9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20: 항목 18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그먼트와 상기 제5 세그먼트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밑창 구조물.
항목 21: 항목 18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제5, 제6, 제7, 및 제9 유체-충전 세그먼트는 각각,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총망라하거나 또는 본 개시를 제한할 의도가 아니다. 특정 구성의 개별적인 요소들 및 특징부들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특정 구성을 제한하지 않는 대신, 적용 가능한 경우, 상호교체 가능하며,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것이 또한 많은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동은, 본 개시로부터 벗어난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그리고 모든 그러한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로서: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 및
    챔버로서,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전족 영역 내의 안쪽 측부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의 바깥쪽 측부로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웹 영역을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장벽 층은 상기 웹 영역 내부에서 상기 제2 장벽 층에 부착되는 것인, 챔버
    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그먼트는, 갑피를 향해 상기 제1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3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뒤꿈치 영역 둘레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4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2 세그먼트로부터 전족 영역의 안쪽 측부에서 바깥쪽 측부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5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 상기 제2 세그먼트, 상기 제4 세그먼트, 및 상기 제5 세그먼트는, 지면-맞물림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웹 영역은, 상기 지면-맞물림 표면으로부터 만입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 내의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제6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세그먼트는, 갑피를 향해 상기 제1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6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세그먼트는, 상기 제3 세그먼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6 세그먼트는, 밑창 구조물의 종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목 영역(necked region)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 상기 제2 세그먼트, 및 상기 제3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며 그리고 접촉 패드 및 복수의 톱니(serration)를 구비하는, 바닥창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2.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로서:
    뒤꿈치 영역;
    전족 영역;
    뒤꿈치 영역과 전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족 영역; 및
    제1 챔버로서, 전족 영역 내부에서 밑창 구조물의 안쪽 측부와 밑창 구조물의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 및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4 세그먼트를 한정하도록, 제2 장벽 층과 협력하는 제1 장벽 층을 구비하는 것인, 제1 챔버
    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제5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4 세그먼트는 제5 세그먼트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제5 세그먼트, 및 상기 제4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6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5 세그먼트는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상기 제3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제6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물은,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그리고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상기 제6 세그먼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7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제2 챔버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7 세그먼트는, 상기 제5 세그먼트와 상기 제6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전족 영역 둘레에서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 상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다른 하나 상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제8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세그먼트 및 상기 제8 세그먼트는,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제3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8 세그먼트의 제2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중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제9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세그먼트와 상기 제9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밑창 구조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그먼트와 상기 제5 세그먼트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밑창 구조물.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제5, 제6, 제7, 및 제9 세그먼트는 각각,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것인, 밑창 구조물.
KR1020207020237A 2017-12-14 2018-12-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KR102417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2554A KR102658979B1 (ko) 2017-12-14 2018-12-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8811P 2017-12-14 2017-12-14
US62/598,811 2017-12-14
PCT/US2018/065075 WO2019118535A1 (en) 2017-12-14 2018-12-12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54A Division KR102658979B1 (ko) 2017-12-14 2018-12-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295A true KR20200096295A (ko) 2020-08-11
KR102417460B1 KR102417460B1 (ko) 2022-07-06

Family

ID=652371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54A KR102658979B1 (ko) 2017-12-14 2018-12-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KR1020207020237A KR102417460B1 (ko) 2017-12-14 2018-12-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54A KR102658979B1 (ko) 2017-12-14 2018-12-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28961B2 (ko)
EP (1) EP3723535A1 (ko)
JP (2) JP7186778B2 (ko)
KR (2) KR102658979B1 (ko)
CN (2) CN111683555B (ko)
TW (2) TWI831053B (ko)
WO (1) WO2019118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9574B (zh) 2019-03-01 2023-01-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中足可撓性的鞋類物件
USD1004930S1 (en) 2021-07-15 2023-11-21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Shoe sole
US11564446B1 (en) 2021-07-20 2023-01-31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Outsoles having traction inser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943A1 (en) *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17160946A1 (en) *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176A (en) *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598645A (en) * 1992-01-02 1997-02-04 Adidas Ab Shoe sole, in particular for sports shoes, with inflatable tube elements
US5595004A (en) * 1994-03-30 1997-01-21 Nike, Inc. Shoe sole including a peripherally-disposed cushioning bladder
US7451555B1 (en) * 1999-09-10 2008-11-18 Nikola Lakic Methods of making adjustable air cushion insoles and resulting products
US6402879B1 (en) * 2000-03-16 2002-06-11 Nike, Inc. Method of making bladder with inverted edge seam
US6571490B2 (en) *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CN100515254C (zh) * 2004-05-24 2009-07-22 胡润富 一种弹力鞋内垫的减震方法和装置
US9420848B2 (en) * 2013-02-21 2016-08-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hamber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 system
US9750307B2 (en) * 2013-02-21 2017-09-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fluid-filled chamber and an outsole, the sole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US9510646B2 (en) * 2012-07-17 2016-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US10631593B2 (en) 2012-08-21 2020-04-28 Levi J. Patton Fluid-filled chamber with a stabilization structure
US10178891B2 (en) * 2013-03-22 2019-01-15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10463106B2 (en) * 2014-02-13 2019-11-05 Nike, Inc.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687044B2 (en) * 2014-07-24 2017-06-27 Nike, Inc.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WO2016144649A1 (en) * 2015-03-09 2016-09-15 Nike Innovate C.V. A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fluid-filled chamber and an outso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US10070691B2 (en) * 2015-11-03 2018-09-1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ladder element having a cushioning component with a single central opening and a cushioning component with multiple connecting fea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905194B2 (en) * 2015-11-03 2021-02-0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laterally extending tub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 structure
CN108778028B (zh) * 2016-03-15 2021-07-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类物品以及制造鞋类物品的方法
TWI737946B (zh) * 2017-12-14 2021-09-0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943A1 (en) *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17160946A1 (en) *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76285A (zh) 2022-03-15
TWI831053B (zh) 2024-02-01
KR20220099581A (ko) 2022-07-13
TWI744570B (zh) 2021-11-01
CN111683555B (zh) 2021-12-10
EP3723535A1 (en) 2020-10-21
CN111683555A (zh) 2020-09-18
JP2022179541A (ja) 2022-12-02
US11528961B2 (en) 2022-12-20
TW201927185A (zh) 2019-07-16
US20210169174A1 (en) 2021-06-10
JP2021506385A (ja) 2021-02-22
US20230097094A1 (en) 2023-03-30
KR102658979B1 (ko) 2024-04-18
WO2019118535A1 (en) 2019-06-20
KR102417460B1 (ko) 2022-07-06
TW202200040A (zh) 2022-01-01
JP7186778B2 (ja)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6903A1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658980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KR102427968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JP2022179541A (ja) 履物用品のためのソール構造
KR102426891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