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935A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935A
KR20200095935A KR1020190013937A KR20190013937A KR20200095935A KR 20200095935 A KR20200095935 A KR 20200095935A KR 1020190013937 A KR1020190013937 A KR 1020190013937A KR 20190013937 A KR20190013937 A KR 20190013937A KR 20200095935 A KR20200095935 A KR 20200095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addle
lower body
seat post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857B1 (ko
Inventor
김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벤
Priority to KR102019001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857B1/ko
Priority to US16/620,796 priority patent/US11319011B2/en
Priority to PCT/KR2019/007717 priority patent/WO2020159014A1/ko
Priority to JP2019561840A priority patent/JP6987403B2/ja
Priority to DE102019128945.9A priority patent/DE102019128945B4/de
Priority to TW109201207U priority patent/TWM596186U/zh
Publication of KR2020009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Sprin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는 탄성부재,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시트포스트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한다. 하부바디는 시트포스트와 고정 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부바디는 안장과 고정 결합되는 안장결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고, 하부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시트포스트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하부바디에 대해 안장각도가 변화되도록 회전축에 대해 회전한다. 탄성부재는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회전축은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안장결합부는 하부바디의 중심선의 전방 및 탄성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회전축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안장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APPARATUS OF CONTROLLING SADDLE ANGLE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2륜차의 일종인 교통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교통수단 이외에도 운동기구, 여가활동의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도 가진다.
위와 같은 자전거는 전형적으로,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앞바퀴 및 뒷바퀴, 상기 앞바퀴 및 상기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앞바퀴의 조향을 수행하는 핸들, 상기 핸들과 결합된 프레임 몸체, 상기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페달 및 상기 프레임 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안장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상기 안장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체형 및 운전 자세에 따라 상기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따라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경사진 지형에서 주행하는 경우 고정된 안장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불편하고 사고 위험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는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와 안장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포스트 및 상기 안장과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는 탄성부재,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시트포스트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시트포스트와 고정 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안장과 고정 결합되는 안장결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바디와 힌지(hinge)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시트포스트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하부바디에 대해 안장각도가 변화되도록 회전축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결합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의 전방 및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재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있거나 투명부재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계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들 중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하부바디는, 하부몸체부, 하단지지부 및 하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부는 상기 시트포스트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상부바디와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상부바디는, 상부몸체부, 고정캡 및 상부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은 상기 상부몸체부의 전방측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가 교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후방측에서 상기 하부바디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안장결합부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장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가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므로,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해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만으로 안장각도가 설정된 크기만큼 하방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오르막 혹은 내리막이 아니더라도 지형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경우,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간으로 안장각도가 변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바디로 구성하고, 하부바디는 자전거 차체에 고정시키고 상부바디는 안장에 고정시켜 상부바디가 하부바디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장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결합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의 전방 및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장각도 조절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할 경우, 탄성부재의 강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계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들 중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할 경우, 보다 다양한 각도로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서로 체형이 다르더라도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안장각도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체를 위해 고정캡을 설치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교체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는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SP)와 안장(SD)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포스트(SP) 및 상기 안장(SD)과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SD)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안장(SD)은 일부 안장바(bar)만을 나타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는 탄성부재(110), 하부바디(120) 및 상부바디(13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110)는 상기 시트포스트(SP)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중심축(CA)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탄성부재(110)는 외력의 인가 및 제거에 의해 소정의 변형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10)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외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탄성부재(110)는 코일 스프링을 일 예로 도시하지만, 탄성계수를 갖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 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탄성체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20)는 상기 시트포스트(SP)와 고정 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탄성부재(1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하부바디(120)는, 하부몸체부(122), 하단지지부(124) 및 하부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부(122)는 상기 시트포스트(SP)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C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부(122)는 자전거의 몸체에 해당하는 상기 시트포스트(SP)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시트포스트(SP)는 안장(SD)과 직접 결합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는 상기 시트포스트(SP) 및 상기 안장(SD)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포스트(SP) 및 상기 안장(SD)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부(122)는 하단부에서 상기 시트포스트(SP)와 나사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부(124)는 상기 하부몸체부(12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탄성부재(1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단지지부(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24a)를 활용하여 상기 탄성부재(110)의 하단이 상기 하부바디(120)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결합부(126)는 상기 하부몸체부(1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상부바디(130)와 결합된다.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상부바디(130)는 상기 안장(SD)과 고정 결합되는 안장결합부(13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안장(SD)은 주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시트(seat) 및 시트 아래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 형태를 갖는 2개의 안장바(bar)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상부바디(130)의 일 측에 형성된 하나의 안장바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상기 안장바가 통과하도록 전방 및 후방으로 오픈되어 있는 하우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안장바의 일부를 수용하며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32a)를 활용하여 상기 상부바디(130)의 몸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30)는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바디(120)와 힌지(hinge)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시트포스트(SP)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하부바디(120)에 대해 안장각도가 변화되도록 회전축(RA)에 대해 회전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상부바디(130)는, 상부몸체부(134), 고정캡(136) 및 상부결합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부(134)는 상기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상기 상부몸체부(134)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장(SD)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장(S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장바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안장바는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시트와 고정 결합되므로, 시트를 포함하는 상기 안장(SD)은 상기 상부바디(1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136)은 상기 상부몸체부(134)의 전방측에서 상기 탄성부재(110)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상부몸체부(134)에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10)가 교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몸체부(134)는 상기 고정캡(136) 및 상기 탄성부재(110)에 대응하여 전방측에 홀(hole)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136)에도 홀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캡(136)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단을 가압하면서 상기 상부몸체부(134)의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고정캡(136)을 회전시켜 탈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체중에 적합한 탄성부재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상부결합부(138)는 상기 상부몸체부(134)의 후방측에서 상기 하부바디(120)와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결합부(138) 및 상기 하부결합부(1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38a)를 활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성에 의해, 상기 안장(SD)과 일체로 고정된 상부바디(130)는 상기 시트포스트(SP)를 포함하는 자전거 차체와 일체로 고정된 하부바디(120)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장(SD)에 탑승자의 무게와 같은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10)는 변형 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장(SD)은 상기 회전축(RA)을 중심으로 상하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안장(SD)의 안장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0)의 탄성계수는 탑승자의 체중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높은 탄성계수의 탄성부재를 제공하고, 탑승자의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경우에는 낮은 탄성계수의 탄성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체중의 많고 적음에 따라 변형량이 체중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안장각도가 탑승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최대 15도 이내로 변화되도록 탄성계수의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110)는 탄성계수가 다른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자신에게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재(110)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있거나 투명부재로 덮여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재(110)는, 탄성계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들 중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중이 40kg 내지 50kg의 경우 노란색의 스프링, 체중이 45kg 내지 55kg의 경우 주황색의 스프링, 체중이 50kg 내지 60kg의 경우 빨간색의 스프링, 체중이 55kg 내지 65kg의 경우 보라색의 스프링, 체중이 60kg 내지 70kg의 경우 파란색의 스프링, 체중이 65kg 내지 75kg의 경우 곤색의 스프링, 체중이 70kg 내지 80kg의 경우 검정색의 스프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10)가 탄성계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들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탄성부재의 유형을 색깔로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에 맞는 탄성부재로 용이하게 파악하고 교체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자전거를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탄성부재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0)를 사용함에 의해, 사용자가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서 상체를 이동시켜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정도에 의해 특정한 안장각도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안장(SD)과 고정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110)가 하방으로 변형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안장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오르막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특히 사용자는 무게중심을 더욱 크게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10)에 작용하는 외력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110)의 변형은 더욱 증가하여 안장각도는 더욱 크게 변화될 수 있다. 다시 평지가 되면, 사용자는 무게중심을 정상으로 되돌리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복원되어 안장각도는 0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110)는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RA)은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선의 전방 및 상기 탄성부재(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R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그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째, 평지에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위치는 시트포스트의 중심축(CA)에 대응하여 위치하므로, 안장각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회전축(RA)은 상기 중심축(CA)의 후방에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평지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10)의 변형량이 0이고 안장각도도 0이 된다.
둘째, 경사지에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위치는 시트포스트의 중심축(CA)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경사의 정도가 심할수록 무게중심이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안장각도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탄성부재(110)는 상기 중심축(CA)의 전방에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경사지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10)의 변형량이 발생하고, 경사가 급할수록 안장각도는 증가할 수 있다.
셋째, 안장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은 안장결합부(132)에 보다 집중적으로 가해지므로, 상기 상부바디(13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상기 중심축(CA)보다는 전방에 위치하면서, 예를 들면, 안장결합부(132)가 결합되는 위치인 결합부재(132a)의 위치가 중심축(CA)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10)보다는 상기 중심축(CA)에 가까이 위치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고정 및 회전을 위하여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상기 회전축(CA)보다 상방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10)는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RA)은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결합부(132)는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선의 전방 및 상기 탄성부재(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R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가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므로,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해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만으로 안장각도가 설정된 크기만큼 하방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오르막 혹은 내리막이 아니더라도 지형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경우,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간으로 안장각도가 변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바디로 구성하고, 하부바디는 자전거 차체에 고정시키고 상부바디는 안장에 고정시켜 상부바디가 하부바디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장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결합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의 전방 및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장각도 조절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할 경우, 탄성부재의 강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계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들 중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할 경우, 보다 다양한 각도로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서로 체형이 다르더라도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안장각도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체를 위해 고정캡을 설치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교체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110 : 탄성부재
120 : 하부바디 130 : 상부바디

Claims (5)

  1.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와 안장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포스트 및 상기 안장과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포스트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시트포스트와 고정 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바디; 및
    상기 안장과 고정 결합되는 안장결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바디와 힌지(hinge)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시트포스트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하부바디에 대해 안장각도가 변화되도록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상부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결합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중심선의 전방 및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있거나 투명부재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계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들 중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시트포스트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몸체부;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상부바디와 결합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는,
    상부몸체부;
    상기 상부몸체부의 전방측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가 교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고정캡; 및
    상기 상부몸체부의 후방측에서 상기 하부바디와 힌지 결합된 상부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결합부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장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KR1020190013937A 2019-02-01 2019-02-01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KR10217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37A KR102172857B1 (ko) 2019-02-01 2019-02-01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US16/620,796 US11319011B2 (en) 2019-02-01 2019-06-26 Apparatus of adjusting saddle angle for bicycle
PCT/KR2019/007717 WO2020159014A1 (ko) 2019-02-01 2019-06-26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JP2019561840A JP6987403B2 (ja) 2019-02-01 2019-06-26 自転車サドル角度調節装置
DE102019128945.9A DE102019128945B4 (de) 2019-02-01 2019-10-28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s sattelwinkels für ein fahrrad
TW109201207U TWM596186U (zh) 2019-02-01 2020-02-03 腳踏車座椅角度調整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37A KR102172857B1 (ko) 2019-02-01 2019-02-01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35A true KR20200095935A (ko) 2020-08-11
KR102172857B1 KR102172857B1 (ko) 2020-11-02

Family

ID=7161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937A KR102172857B1 (ko) 2019-02-01 2019-02-01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9011B2 (ko)
JP (1) JP6987403B2 (ko)
KR (1) KR102172857B1 (ko)
DE (1) DE102019128945B4 (ko)
TW (1) TWM596186U (ko)
WO (1) WO202015901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1272A1 (en) * 2001-04-16 2003-03-12 Montajes Mecanicos Lezo, S.L. Device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bicycle seats
US20100187870A1 (en) * 2008-11-17 2010-07-29 Mackenroth Joshua D Variable height and lateral position suspension seat post assembly
WO2016029787A1 (zh) * 2014-08-28 2016-03-03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折叠车辆鞍座调节装置
KR101599638B1 (ko) * 2014-10-24 2016-03-03 김인구 헬스형 승마자전거의 안장
US20170225732A1 (en) * 2016-02-04 2017-08-10 Kind Shock Hi-Tech Co., Ltd. Bicycle seat adjustment device
KR101912419B1 (ko) * 2015-04-24 2018-10-26 주식회사 크리벤 자전거 안장의 각도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9138C (de) 1935-02-08 Rudolf Ottenstein Dr Von einer als Winkelstrebe ausgebildeten Sattelstuetze getragener abgefederter Fahrzeugsattel
FR1127121A (fr) * 1955-05-26 1956-12-10 Selle de cyclomoteur
US5915784A (en) 1997-09-29 1999-06-29 Syncros Applied Technology Incorporated Adjustable seat assembly
JP4084400B2 (ja) 2006-06-02 2008-04-30 有限会社藤原ホイル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KR101044998B1 (ko) * 2009-08-07 2011-06-29 이호형 자전거안장
KR101042540B1 (ko) * 2009-09-18 2011-06-17 송정현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KR100954490B1 (ko) 2009-11-24 2010-04-22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US20120086246A1 (en) * 2010-10-07 2012-04-12 Armand Belliveau Twin-pad bicycle seat for long distance cycling
DE202017004421U1 (de) * 2017-08-23 2017-09-25 Iris-Sabine Langstädtler Sattellagervorrichtung
WO2019107582A1 (ko) 2017-11-28 2019-06-06 주식회사 크리벤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1272A1 (en) * 2001-04-16 2003-03-12 Montajes Mecanicos Lezo, S.L. Device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bicycle seats
US20100187870A1 (en) * 2008-11-17 2010-07-29 Mackenroth Joshua D Variable height and lateral position suspension seat post assembly
WO2016029787A1 (zh) * 2014-08-28 2016-03-03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折叠车辆鞍座调节装置
KR101599638B1 (ko) * 2014-10-24 2016-03-03 김인구 헬스형 승마자전거의 안장
KR101912419B1 (ko) * 2015-04-24 2018-10-26 주식회사 크리벤 자전거 안장의 각도조절장치
US20170225732A1 (en) * 2016-02-04 2017-08-10 Kind Shock Hi-Tech Co., Ltd. Bicycle seat adjus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4884A (ja) 2021-06-17
TWM596186U (zh) 2020-06-01
WO2020159014A1 (ko) 2020-08-06
US11319011B2 (en) 2022-05-03
DE102019128945A1 (de) 2020-08-06
JP6987403B2 (ja) 2022-01-05
US20210347426A1 (en) 2021-11-11
KR102172857B1 (ko) 2020-11-02
DE102019128945B4 (de)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8900A (en) Adjustable handlebar stem for a bicycle or similar vehicle
US6099010A (en) Bicycle with crank assembly suspension system
US10870458B2 (en) Adjustably sized bicycle frame
US4978167A (en) Bicycle saddle with body support
CA2627145C (en) Recumbent seat mechanism
US8002347B2 (en) Cycle seat with adjustable sides
US5324059A (en) Aerodynamic bicycle
EP1974776A2 (en) Recumbent seat mechanism
US5752711A (en) Bicycle
US7753388B2 (en) Front wheel drive recumbent bicycle
US20080202281A1 (en) Handlebar Extension
US20200148298A1 (en) Variable stem for human-powered vehicle
US5201243A (en) Handlebar assembly
CN108545138A (zh) 一种骑行姿态和行车方向易调整的自行车
KR102172857B1 (ko)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US3408090A (en) Bicycle having adjustable handlebar and seat
US7146877B2 (en) Handlebar shock absorbing system for bicycles
WO2004071857A2 (en) Adjustable vehicle
US20090108559A1 (en) Riding apparatus for disabled persons and kit for making same
CN110979538A (zh) 一种用于自行车的自平衡脚踏板
CN212267746U (zh) 一种用于自行车的自平衡脚踏板
EP1686054A1 (en) Handlebar shock absorbing system for bicycles
CN219989399U (zh) 一种在高空钢索上骑行用的自行车
EP4240643A1 (en) Steering linkage for bicycles
WO1999048748A1 (en) Bicycle s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