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267A - 항공기 기내용 카트 - Google Patents

항공기 기내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267A
KR20200095267A KR1020190013148A KR20190013148A KR20200095267A KR 20200095267 A KR20200095267 A KR 20200095267A KR 1020190013148 A KR1020190013148 A KR 1020190013148A KR 20190013148 A KR20190013148 A KR 20190013148A KR 20200095267 A KR20200095267 A KR 2020009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cart
door
ho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961B1 (ko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이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현 filed Critical 이광현
Priority to KR102019001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9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07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od or beverage distribution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5Forms or constructions laminated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보관하면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며 비정상적인 개방여부를 손쉽게 살필 수 있도록 마련된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의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몸체를 이루는 카트프레임(11), 및 상기 카트프레임(11) 전면으로 여닫는 카트문(20)을 포함한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손잡이(23); 상기 잠금손잡이(23)와 일체로 되어 회동되고 관통홀인 문보안걸고리홀(28)이 형성된 문보안걸고리(27); 상기 잠금손잡이(23)의 문보안걸고리홀(28)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보안돌기홀(16)을 형성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보안돌기(15); 및 상기 보안돌기(15)의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27)의 문보안걸고리홀(28)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는 보안걸이(40)를 포함하며, 보안걸이(40)가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서 제거하고 잠금손잡이(23)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공기 기내용 카트{AVIATION TROLLEY CART}
본 발명은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보관하면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며 비정상적인 개방여부를 손쉽게 살필 수 있도록 마련된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를 탑승한 경우에는 기내식이 제공되며 이러한 기내식은 대부분 비행일정에 맞춰 미리 준비하게 된다. 대체로 비행 전날 기내식 전문회사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보관하면서 밀봉된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봉인된 상태는 승무원이 개방하는 것과 같이 정상 사용자가 봉인장치를 해제하면서 담겨진 기내식을 손님들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보관 판매하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봉인은 플라스틱으로 되거나 철사구조로 되어 있어 폐기물 발생 및 승무원의 안전사고,부피,중량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유사한 봉인장치로 재차 봉인하는 등 불법이나 비정상적인 봉인장치가 해제된 경우 이를 알기가 곤란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공개특허번호 제10-1988-0008224호(1988년 08월 30일 공개) 등록특허번호 제10-0243811호(2000년 02월 01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048493호(2011년 07월 11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0832120호(2008년 05월 27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34633호(2009년 04월 08일 공개)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77697호(2015년 07월 10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행일정에 앞서 사전에 준비된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안전한 보관을 위해 봉인된 상태에서 손쉽게 봉인 해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내식 제공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 봉인을 해제한 상태가 위조방지문양으로써 드러나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봉인 해제 및 개방의 경우 위급한 상황에 대한 대체를 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의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몸체를 이루는 카트프레임(11), 및 상기 카트프레임(11) 전면으로 여닫는 카트문(20)을 포함한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손잡이(23); 상기 잠금손잡이(23)와 일체로 되어 회동되고 관통홀인 문보안걸고리홀(28)이 형성된 문보안걸고리(27); 상기 잠금손잡이(23)의 문보안걸고리홀(28)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보안돌기홀(16)을 형성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보안돌기(15); 및 상기 보안돌기(15)의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27)의 문보안걸고리홀(28)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는 보안걸이(40)를 포함하며, 보안걸이(40)가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서 제거하고 잠금손잡이(23)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걸이(40)는 보안돌기홀(16)과 문보안걸고리홀(28)에 위치되는 보안걸이중앙부(41); 및 보안걸이중앙부(41) 양측에서 연장되어 굽어진 보안걸이가지부(42)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걸이(40)의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표면에 접착되는 보안봉인라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상에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보안봉인라벨(50)에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필름부(51); 상기 필름부(5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상에 접착되게 하는 점착층(52); 및 상기 필름부(51)와 점착층(52) 사이에 글자인쇄부(55)를 포함하며, 점착층(52)에 의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으로부터 필름부(51)가 분리된 경우 글자인쇄부(55)의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51)와 점착층(52) 사이에 위치되는 부착방지층을 포함하며,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으로부터 필름부(51)가 분리된 경우, 부착방지층에 의하여,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에 필름부(51)가 접착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층은 경화수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일측 모서리부분이 카트문(20)에 접착되지 않은 부분인 보안봉인라벨파지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걸이(40) 일측에 형성된 구멍인 보안걸이홀(43)에 연결되는 긴 길이의 보안걸이라인(44); 및 상기 카트문(20)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안걸이라인(44)의 타측끝단을 고정시키는 보안라인라벨(45)을 구비하며, 상기 보안라인라벨(45)에 의해 고정되게 연결되는 보안걸이라인(44)에 의하여, 보안걸이(4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라인라벨(45)은, 상기 카트문(20)에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잠금손잡이(23)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관통홀인 문고정걸고리홀(26)이 형성된 문고정걸고리(25); 및 상기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잠금고정돌기홀(14)을 형성하고 상기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잠금고정돌기(13)를 포함하고, 상기 문고정걸고리(25)가 잠금고정돌기(13) 측으로 위치되도록 잠금손잡이(23)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과, 잠금고정돌기(13)의 잠금고정돌기홀(14)을 관통하는 잠금장치(19)에 의하여, 잠금손잡이(23)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비행일정에 앞서 사전에 준비된 기내식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하면서, 기내식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안전한 보관을 위해 봉인된 상태에서 손쉽게 봉인 해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내식 항공판매용 물품 등의 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한번 봉인을 해제한 상태가 위조방지문양으로써 드러나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봉인 해제 및 개방의 경우 위급한 상황에 대한 대체를 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봉인 해제 과정에서 복잡한 도구나 작업과정이 아니라 손쉽게 보안봉인 및 잠금의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회전되는 잠금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연결봉에 의해 카트문이 잠금작동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카트문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예시도로, 카트문의 닫혀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예시도로, 카트문이 닫혀지고 돌기로 잠금손잡이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예시도로, 잠금손잡이와 돌기가 체결되어 잠금상태를 이루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예시도로, 잠금손잡이와 돌기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봉인홀에 보안걸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예시도로, 잠금손잡이와 돌기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봉인홀에 결합된 보안걸이 및 카트문 전면으로 보안봉인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예시도로, 잠금손잡이와 돌기가 위치된 부분에 대한 상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상세 확대도로, 잠금손잡이와 돌기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봉인홀에 결합된 보안걸이 및 카트문 전면으로 보안봉인라벨이 부착된 상태에서, 보안봉인라벨의 일측인 보안봉인라벨파지부 일측이 들떠 잡아뜯기가 편리하게 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카트 본체의 돌기가 카트문의 관통홀을 통해 잠금손잡이와 고정되어 잠금되는 장치의 상세 확대도로, 잠금손잡이와 돌기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봉인홀에 결합된 보안걸이 및 카트문 전면으로 보안봉인라벨이 부착된 상태에서, 보안봉인라벨의 일측인 보안봉인라벨파지부 일측이 들떠 잡아뜯어 보안봉인라벨이 카트문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보안걸이 및 카트문에 부착되어 봉인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보안봉인라벨에 대한 단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 등에서와 같이, 내부의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몸체를 이루는 카트프레임(11), 및 상기 카트프레임(11) 전면으로 여닫는 카트문(20)을 포함한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도 2에서처럼 내부의 적재공간 내에 기내식을 넣어 보관하게 되며 이후 잠금장치, 봉인장치 등에 의해 기내식을 안전하게 보관하게 된다. 이후 비행 시에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잠금 및 봉인을 해제한 이후 기내식을 손님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잠금 및 봉인을 해제하기 위해 별도의 절단기와 같은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친 후에라야 기내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손쉽게 봉인 및 잠금을 해제한 다음에 기내식을 제공할 수 있어서 손쉽게 기내식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적용함에 있어서, 기내식을 내부 적재공간에 위치시킨 후, 전방의 카트문(20)을 닫고, 잠금장치로 잠금하게 된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이 캐비넷이나 강화유리문의 잠금장치와 같은 연장봉을 이용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고, 도 2 이후의 도면들에서와 같이, 카트 프레임(11)에 고정된 돌기가 카트문(20)에 형성된 관통홀을 지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잠금손잡이(23)와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는 등 돌기와 잠금의 작동관계는 실시되는 상태에나 상황에 따라 알맞게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잠금손잡이(23)의 회동되어 연장봉에 연동에 의한 잠금작동이나 돌기와 잠금손잡이의 체결에 의한 잠금작동인 경우에 모두 적용가능한 구성으로써, 잠금손잡이 및 돌기(잠금고정돌기(13), 보안돌기(15) 등) 등이 마련된 것으로써, 이후에서는 돌기가 카트프레임(11)에 고정된 예를 주로 설명하며, 이에 의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의 구성들에 응용되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카트프레임(11)에 잠금고정돌기(13)와 보안돌기(15)가 고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10)는, 카트프레임(11) 및 본체 전면으로 여닫는 문인 카트문(20)이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손잡이(23)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잠금손잡이(23)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관통홀인 문고정걸고리홀(26)이 형성된 문고정걸고리(25)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문(20) 일측에 마련된 잠금손잡이(23)가 도면의 오른쪽에 위치된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카트문(20)에 대해 회동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잠금손잡이(23)의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막대 형태로 돌출되어 문고정걸고리(25)가 형성됨을 보인 예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실시 양태에 더하여 카트문(20) 및 회동축의 위치나 회동 방향 및 대응 구성인 잠금고정돌기(13)의 위치 등에 따라서 문고정걸고리(25)가 잠금손잡이(23)에서의 위치나 막대 형태의 방향 및 형상 등은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고정걸고리(25) 등과 대응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잠금고정돌기홀(14)을 형성하고 상기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잠금고정돌기(13)를 포함하며, 이러한 잠금고정돌기(13)는 도 2 등에서와 같이 카트문(20)에 형성된 문고정돌기관통홀(21)을 관통하여 카트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문고정걸고리(25)가 잠금고정돌기(13) 측으로 위치되도록 잠금손잡이(23)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과, 잠금고정돌기(13)의 잠금고정돌기홀(14)을 관통하는 잠금장치(19)에 의하여, 잠금손잡이(23)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도면의 예시에서는 잠금장치(19)를 일반적인 자물쇠 형태를 보인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잠금손잡이(23)에는, 상기 잠금손잡이(23)와 일체로 되어 회동되고 관통홀인 문보안걸고리홀(28)이 형성된 문보안걸고리(27)가 마련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문고정걸고리(25)의 경우에서처럼, 도면의 예에서는 문보안걸고리(27)가 잠금손잡이(23)의 끝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태를 이루는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 양태에 더하여 카트문(20) 및 회동축의 위치나 회동 방향 및 대응 구성인 보안돌기(15)의 위치 등에 따라서 문보안걸고리(27)가 잠금손잡이(23)에서의 위치나 막대 형태의 방향 및 형상 등은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보안걸고리(27) 등의 대응구성으로써, 상기 잠금손잡이(23)의 문보안걸고리홀(28)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보안돌기홀(16)을 형성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보안돌기(15)가 마련된다. 이러한 보안돌기(15) 또한 카트문(20)에 형성된 문보안돌기관통홀(22)을 지나 카트문(20)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보안돌기(15)의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27)의 문보안걸고리홀(28)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는 보안걸이(40)를 포함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 3 내지 도 5 등에서와 같이 보안걸이(40)가 보안돌기홀(16)이나 문보안걸고리홀(28)에서 빠져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카트문(20)의 잠금상태를 이루어 보안봉인상태를 이루고자 할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 보안걸이(40)가 삽입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처럼 보안걸이(40)가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 끼워진 결합상태를 이루고 이후 라벨에 의한 봉인 작업 이후에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10) 내부에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이 담겨져 봉인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
이후 카트가 기내에 위치되고 비행 일정에 맞춰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보안걸이(40)가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서 제거하여 봉인상태를 해제시키면서 잠금도 해제시킴으로써 잠금손잡이(23)를 회전시켜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손님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보안걸이(40)는, 보안돌기홀(16)과 문보안걸고리홀(28)에 위치되는 보안걸이중앙부(41)와, 이러한 보안걸이중앙부(41) 양측에서 연장되어 굽어진 보안걸이가지부(42)로 이루어진다. 즉 중간의 보안걸이중앙부(41)는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 등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카트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보안걸이중앙부(41) 양측에서 아래로 굽어진 양측의 보안걸이가지부(42)는 아래로 내려간 형태를 보인다.
이에 상기 보안걸이(40)의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표면에 접착되는 보안봉인라벨(5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보안봉인라벨(50)이 보안걸이가지부(42)와 카트문(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전체 보안걸이(40)가 카트문(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보안걸이(40)는 보안봉인라벨(50)에 의해서 카트문(20) 및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 등과 일체인 상태를 유지한 것이므로, 결국 카트문(20)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임을 보이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항공기 기내용 카트(10) 내의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이 안전하게 보관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상에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보안봉인라벨(50)에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것이다. 즉 도 10에서처럼 보안걸이(40) 및 카트문(20)으로부터 보안봉인라벨(50)이 떼어지게 되면, 보안봉인라벨(50)에는 위조방지문양(예 : 'OPENED VOID MOT' 등)이 표시됨으로써, 이렇게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된 보안봉인라벨(50)을 다시 카트문(20)에 붙인다고 해도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기 때문에 봉인이 해제된 것임을 알 수 있어, 내부에 보관중인 기내식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어, 폐기를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고,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재 점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기초 메인 층을 이루는 필름부(51), 그리고 상기 필름부(5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상에 접착되게 하는 점착층(52)과, 이형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름부(51)와 점착층(52) 사이에 글자인쇄부(55)를 포함하며, 이에 점착층(52)에 의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으로부터 필름부(51)가 분리된 경우 글자인쇄부(55)의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기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필름부(51)와 점착층(52) 사이에 위치되는 부착방지층을 포함하며, 그리하여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으로부터 필름부(51)가 분리된 경우, 부착방지층에 의하여,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에 필름부(51)가 접착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번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에서 보안봉인라벨(50)을 떼어낸다면 다시는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이 방지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보안봉인라벨(50)을 떼어낸 경우라면 비정상 봉인해제로써 비정상에 대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부착방지층에 대한 예로써, 부착방지층은 경화수지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한 부착방지층은 메인층인 필름부와 점착층 사이에 위치된 것으로,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에서 보안봉인라벨(50)을 뜯을 경우 점착층과 필름부가 분리되면서 점착층 상의 부착방지층이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경화되는 공기 경화기술이 적용된 것이다.
즉 이러한 공기 경화(air hardening, 空氣硬化) 기술은, 경화수지부의 경화제가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 탄산화, 건조 등으로 인하여 경화(硬化)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순간접착제와 같은 경화수지제가 주로 이용될 수 있고 기타 공기나 산소 등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제가 이용되는 기술로써, 이러한 공기경화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 적용될 것이고, 이에 따른 경화 성분들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의 성분들을 이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일측 모서리부분이 카트문(20)에 접착되지 않은 부분인 보안봉인라벨파지부(58)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도 9에서처럼 보안봉인라벨파지부(58)를 살짝 드러낸 다음에 손쉽게 잡아 뜯을 수 있다.
또한,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전사 또는 비전사 봉인라벨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기 보안걸이(40) 일측에 형성된 구멍인 보안걸이홀(43)에 연결되는 긴 길이의 보안걸이라인(44)을 구비한 것이고, 또한 상기 카트문(20)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안걸이라인(44)의 타측끝단을 고정시키는 보안라인라벨(45)을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보안라인라벨(45)에 의해 고정되게 연결되는 보안걸이라인(44)에 의하여, 보안걸이(4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보안라인라벨(45)에도 상기 카트문(20)에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는 것이다.
그리하여 보안걸이(4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보안라인라벨(45)에 고정된 보안걸이라인(44)에 의해 보안걸이(40)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갖기 때문에, 문보안걸고리홀(28) 및 보안돌기홀(16)에 보안걸이(40)를 쉽게 끼워 넣을 수 있을 것이고, 기내식을 꺼낼 경우 보안봉인을 해제하는 과정에서도, 문보안걸고리홀(28) 및 보안돌기홀(16)로부터 보안걸이(40)를 빼내기만 하고 그대로 놓아도 보안걸이(40)가 보안걸이라인(44) 및 보안라인라벨(45) 등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어 언제든지 손쉽게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기내용 카트(10)는, 도 2에서처럼 카트문(20)을 개방하여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내부에 보관하게 되며, 이후 카트문(20)을 닫는다.
다음으로 도 4에서처럼 잠금손잡이(23)를 회전시켜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이, 잠금고정돌기(13)의 잠금고정돌기홀(14)과 나란하게 한 후, 잠금장치(19)로 체결함으로써 항공기 기내용 카트(10)를 잠감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서처럼, 이상의 상태에서 잠금손잡이(23)의 회동에 의해서 서로 정렬된 상태를 이루는 보안돌기(15)의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27)의 문보안걸고리홀(28)을 통해, 보안걸이(40)를 삽입하여 보안걸이(40)의 중앙 부분인 보안걸이중앙부(41)가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안걸이중앙부(41) 양측인 보안걸이가지부(42)는 하향으로 내려진 상태에 있으며, 이에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의 전방면에 보안봉인라벨(50)을 접착시킴으로써 보안봉인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써 항공기 기내용 카트(10)는 잠금상태 및 보안봉인 상태를 이루며, 이에 기내에 탑재하는 과정 및 비행 일정에 맞게 기내식을 손님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도 9에서처럼 보안봉인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보안봉인라벨(50)의 일측인 보안봉인라벨파지부(58)를 들어올린 후 손으로 잡아 떼어내게 되면, 도 10에서처럼 보안봉인라벨(50)에는 위조방지문양(예, 'OPENED VOID MOT' 등)이 표시되어 봉인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로써 보안걸이(40)는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로부터 빼낼 수 있고, 이후 잠금장치(19)를 해제하고 카트문(20)을 개방하여, 보관중이던 기내식 또는 항공판매용 물품 등을 손님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중에 보안봉인라벨(50)은 금속 등에는 위조방지문양이 나타나지 않도록 글자인쇄부의 구성을 이루게 함으로써, 보안봉인이 해제되어 사용이 다한 보안봉인라벨(50)에는 위조방지문양이 나타나지만, 대응대상인 카트문(2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을 갖기 때문에 아무런 표시가 없게 된다. 따라서 다음번 다시 항공기 기내용 카트(10)를 사용하더라도 이전에 부착하였던 보안봉인라벨(50)에 의한 흔적이 남지 않아 재사용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카트 11 : 카트프레임
13 : 잠금고정돌기 14 : 보안돌기
20 : 카트문 23 : 잠금손잡이
25 : 문고정걸고리 27 : 문보안걸고리
40 : 보안걸이 45 : 보안라인라벨
50 : 보안봉인라벨

Claims (8)

  1. 내부의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의 몸체를 이루는 카트프레임(11), 및 상기 카트프레임(11) 전면으로 여닫는 카트문(20)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손잡이(23);
    상기 잠금손잡이(23)와 일체로 되어 회동되고 관통홀인 문보안걸고리홀(28)이 형성된 문보안걸고리(27);
    상기 잠금손잡이(23)의 문보안걸고리홀(28)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보안돌기홀(16)을 형성하고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보안돌기(15); 및
    상기 보안돌기(15)의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27)의 문보안걸고리홀(28)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는 보안걸이(40)를 포함하며,
    보안걸이(40)가 보안돌기홀(16) 및 문보안걸고리홀(28)에서 제거하고 잠금손잡이(23)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보안걸이(40)는 보안돌기홀(16)과 문보안걸고리홀(28)에 위치되는 보안걸이중앙부(41); 및
    보안걸이중앙부(41) 양측에서 연장되어 굽어진 보안걸이가지부(42)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걸이(40)의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표면에 접착되는 보안봉인라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상에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보안봉인라벨(50)에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필름부(51);
    상기 필름부(5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 상에 접착되게 하는 점착층(52); 및
    상기 필름부(51)와 점착층(52) 사이에 글자인쇄부(55)를 포함하며,
    점착층(52)에 의해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으로부터 필름부(51)가 분리된 경우 글자인쇄부(55)의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51)와 점착층(52) 사이에 위치되는 부착방지층을 포함하며,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으로부터 필름부(51)가 분리된 경우, 부착방지층에 의하여, 보안걸이가지부(42) 및 카트문(20)에 필름부(51)가 접착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층은 경화수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봉인라벨(50)은,
    일측 모서리부분이 카트문(20)에 접착되지 않은 부분인 보안봉인라벨파지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걸이(40) 일측에 형성된 구멍인 보안걸이홀(43)에 연결되는 긴 길이의 보안걸이라인(44); 및
    상기 카트문(20)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안걸이라인(44)의 타측끝단을 고정시키는 보안라인라벨(45)을 구비하며,
    상기 보안라인라벨(45)에 의해 고정되게 연결되는 보안걸이라인(44)에 의하여, 보안걸이(4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라인라벨(45)은,
    상기 카트문(20)에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위조방지문양이 표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문(20)에 대해 잠금손잡이회동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잠금손잡이(23)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관통홀인 문고정걸고리홀(26)이 형성된 문고정걸고리(25); 및
    상기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과 대응되는 관통홀인 잠금고정돌기홀(14)을 형성하고 상기 항공기 기내용 카트에 고정된 돌기인 잠금고정돌기(13)를 포함하고,
    상기 문고정걸고리(25)가 잠금고정돌기(13) 측으로 위치되도록 잠금손잡이(23)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문고정걸고리(25)의 문고정걸고리홀(26)과, 잠금고정돌기(13)의 잠금고정돌기홀(14)을 관통하는 잠금장치(19)에 의하여, 잠금손잡이(23)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기내용 카트.
KR1020190013148A 2019-01-31 2019-01-31 항공기 기내용 카트 KR10215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48A KR102153961B1 (ko) 2019-01-31 2019-01-31 항공기 기내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48A KR102153961B1 (ko) 2019-01-31 2019-01-31 항공기 기내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267A true KR20200095267A (ko) 2020-08-10
KR102153961B1 KR102153961B1 (ko) 2020-09-09

Family

ID=7204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148A KR102153961B1 (ko) 2019-01-31 2019-01-31 항공기 기내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9715A (en) * 2022-06-13 2023-12-20 Security Seal Tech Limited Electronic security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8224A (ko) 1985-10-24 1988-08-30 다까미야 다다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한 라벨
KR100243811B1 (ko) 1995-11-21 2000-02-01 세이다로 요시무라 유리섬유 프리폼의 제조방법
KR100832120B1 (ko) 2006-11-23 2008-05-27 남정호 강화유리 도어록
KR20090034633A (ko) 2007-10-04 2009-04-08 박영태 캐비닛용 도어락
US20110025006A1 (en) * 2008-03-28 2011-02-03 Aerocat B.V. Trolley
KR101048493B1 (ko) 2008-12-12 2011-07-11 이도익 양면인쇄를 이용한 위조방지 테이프 제조방법과 그 테이프
KR200477697Y1 (ko) 2010-10-25 2015-07-10 아이스브릿지 오와이 냉각장치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기내 서비스 카트
US20180346122A1 (en) * 2015-10-30 2018-12-06 Tower Cold Chain Solutions Limited In-flight service cart and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for an in-flight service car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8224A (ko) 1985-10-24 1988-08-30 다까미야 다다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한 라벨
KR100243811B1 (ko) 1995-11-21 2000-02-01 세이다로 요시무라 유리섬유 프리폼의 제조방법
KR100832120B1 (ko) 2006-11-23 2008-05-27 남정호 강화유리 도어록
KR20090034633A (ko) 2007-10-04 2009-04-08 박영태 캐비닛용 도어락
US20110025006A1 (en) * 2008-03-28 2011-02-03 Aerocat B.V. Trolley
KR101048493B1 (ko) 2008-12-12 2011-07-11 이도익 양면인쇄를 이용한 위조방지 테이프 제조방법과 그 테이프
KR200477697Y1 (ko) 2010-10-25 2015-07-10 아이스브릿지 오와이 냉각장치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기내 서비스 카트
US20180346122A1 (en) * 2015-10-30 2018-12-06 Tower Cold Chain Solutions Limited In-flight service cart and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for an in-flight service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961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6108B2 (en) Secure unattended delivery apparatus
US6331022B1 (en) Cargo seal
CN107430718B (zh) 用于辨识航班行李件的方法和系统
US9986823B2 (en) Portable container system
EP1105604B1 (en) Secure home delivery method
US7516843B2 (en) Padlock display package
KR102153961B1 (ko) 항공기 기내용 카트
JP2013184720A (ja) 宅配便用商品運搬箱
US7063362B1 (en) Seal assembly for a cargo container
US6536815B1 (en) Tamper evident cargo seal
WO2006096908A1 (en) Tamper indicating device
US8052180B1 (en) Tamper evident cargo seal
CN103384628B (zh) 航空手推车抽屉
US200501564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curity and tamper control
CN201002860Y (zh) 一种集装箱门扣接装置
US7490838B2 (en) Locking flange for airline carts
JP2003335298A (ja) 救命胴衣収容具
US20050193783A1 (en) Security device, security system including the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method using the security system
WO2006123952A1 (en) Security seals for baggage
WO1998032351A1 (en) Durable luggage container
US11851270B2 (en) Latch for air cargo container doors
US426582A (en) Combined baggage check and seal
US388818A (en) Lewis a
GB2500782A (en) Bag or pouch with label closure
JPH0385218A (ja) スーツケースの開蓋盗難防止のための封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