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091A -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091A
KR20200095091A KR1020190012732A KR20190012732A KR20200095091A KR 20200095091 A KR20200095091 A KR 20200095091A KR 1020190012732 A KR1020190012732 A KR 1020190012732A KR 20190012732 A KR20190012732 A KR 20190012732A KR 20200095091 A KR20200095091 A KR 2020009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finger
vacuum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320B1 (ko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1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3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Landscapes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진공 차단 구조에 적합한 크래들 접속 구조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래들의 접속 시 높은 접촉 하중을 제공할 수 있어 사고전류 인입 시에도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스프링력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제공되므로 크래들 접속 시 균일한 접촉 하중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개선된 크래들 접속 구조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는 진공의 절연 내력을 이용해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단락이나 지락 등의 사고 시 사고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 보호기이다.
진공차단기는 전력 수송제어 및 전력계통의 보호 역할을 한다. 진공차단기는 차단용량이 크고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작은 설치 공간에도 거치할 수 있어 중전압에서부터 고전압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진공차단기는 크래들에 진공차단기 모듈을 삽입할 때 진공차단기 모듈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가 클립 접촉자 또는 튤립 접촉자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접촉 단자의 접촉 불량은 사고 전류의 인입 시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차단기에 있어 접촉 하중 및 접촉 면적을 높여주는 접촉 단자의 구조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진공차단기와 크래들의 접촉 단자 구조의 일 예가 한국특허등록 제10-1904350호(공고일 2018.10.05)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 특허에 개시된 진공차단기 조립체는 대차부와 절연 하우징, 차단기 모듈, 고정 브라켓, 외함으로 구성된다. 대차부는 크래들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절연 하우징은 대차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차단기 모듈은 절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차단기 모듈은 진공 인터럽터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 터미널과, 진공 인터럽터와 푸시 로드 사이에 결합된 하부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부 터미널 및 하부 터미널은 크래들에 구비된 모선 단자 및 부하 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모선 단자 및 부하 단자는 상부 터미널 및 하부 터미널의 단부에 형성된 클립형 접촉 터미널의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모선 단자 및 부하 단자는 상하 한 쌍으로 배치된 클립형 접촉 단자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압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차단기 조립체는 크래들의 모선 단자 및 부하 단자를 클립형 접촉 단자에 접촉하도록 유지하는 접압 스프링의 스프링력 내에서만 단자간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래들 접속 구조는 일반적으로 중소용량(25kA 이내)의 진공차단기에 적용되는 구조이다. 전술한 크래들 접속 구조를 대용량 진공차단기(31.5kA 이상)에 적용할 경우, 접압 스프링의 하중이 부족해 진공차단기의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대용량 진공차단기에는 별도의 크래들 접속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진공차단기의 용량 별로 각기 다른 크래들 접속 구조를 적용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 진공 차단 구조에 적합한 크래들 접속 구조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차단기의 용량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크래들 접속 구조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크래들에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모선 단자 또는 부하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터미널 어셈블리가 형성된 진공 인터럽터 모듈을 갖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본체와, 상기 터미널 본체의 연장된 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터미널 본체의 연장된 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면 상기 모선 단자 또는 상기 부하 단자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속부와, 상기 한 쌍의 접속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판(plate)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터미널 본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선 단자 또는 상기 부하 단자에 접촉되는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는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와 상기 모선 단자 또는 상기 부하 단자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단에 관통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제1 가이드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핀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부싱; 링 형상으로, 복수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서브 부싱; 및 상기 제1 가이드핀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타단에 관통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제2 가이드핀; 링 형상으로, 복수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서브 부싱; 및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상기 핑거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링;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 걸림부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 고정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양단이 상기 스프링 걸림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 및 상기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의 양단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터미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판(plate) 형상의 프론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터미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삽입홈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와 미리 설정된 만큼의 유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 모듈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하우징과,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로 구동력을 발생해 전달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며 모선 단자 및 부하 단자가 구비된 크래들을 갖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은 진공 인터럽터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면 상기 모선 단자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선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속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 및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면 상기 부하 단자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부하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속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크래들의 접속 시 높은 접촉 하중을 제공할 수 있어 사고전류 인입 시에도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스프링력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제공되므로 크래들 접속 시 균일한 접촉 하중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안정적인 크래들 접속 구조를 제공하므로 진공차단기의 용량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 인터럽터 모듈에 따른 상하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진공 인터럽터 모듈에 따른 상하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크래들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크래들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상하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크래들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 인터럽터 모듈에 따른 상하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진공 인터럽터 모듈에 따른 상하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크래들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크래들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 모듈의 상하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크래들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차단기(1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메커니즘 어셈블리(미도시)가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절연 하우징(200)과, 절연 하우징(200)에 수납되는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과, 본체(100) 및 절연 하우징(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차부(400)와, 대차부(400)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크래들(5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메커니즘 어셈블리가 장착된다. 메커니즘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복수의 링크 및 샤프트 등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로 전달된다. 본체(100)는 대차부(4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절연 하우징(200)이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200)은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을 수용한 상태로 대차부(400)의 상부에 장착된다. 절연 하우징(200)은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절연 하우징(200)에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이 수용되므로 절연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연 하우징(200)의 개방된 일측으로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의 일부가 노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은 접점을 구동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310)와, 푸시 로드 어셈블리(3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 로드(320)와, 커넥팅 로드(320)에 연결되며 내부에 접점을 구비한 진공 인터럽터(330)와, 진공 인터럽터(330)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 및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를 포함한다(진공 인터럽터 모듈을 절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를 차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함).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은 링크 어셈블리(360)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절연 하우징(200) 내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400)는 본체(100) 및 절연 하우징(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00) 및 절연 하우징(200)을 지지한다. 대차부(400)는 바퀴를 구비하며, 본체(100) 및 절연 하우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크래들(500)에 인입 또는 인출된다. 대차부(400)가 크래들(500)에 인입되면 크래들(500)에 구비된 단자가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의 터미널에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500)은 대차부(400)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510)과, 베이스 프레임(510)의 일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서포트 프레임(530) 상에 3상 모선과 연결되는 3개의 모선 단자(532)와, 모선 단자(532)와 이격 배치되고 부하와 연결되는 복수의 부하 단자(534)가 설치된다.
모선 단자(532)는 후술할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의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에 결합된다. 부하 단자(534)는 후술할 후술할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의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에 결합된다.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갖는다.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 및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에 접촉된 상태에서 통전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진공차단기(10)는 대차부(400)가 크래들(500)에 인입된 상태에서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가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에 결합된다. 진공 인터럽터(330)가 투입 상태가 되면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가 통전 상태가 된다. 진공 인터럽터(330)가 개방 상태가 되면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가 단전 상태가 된다.
진공차단기(10)가 사고 전류 차단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는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 및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되, 통전 또는 차단은 진공 인터럽터(330)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은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와 접촉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상부 터미널 어셈블리와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편의상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의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은 메커니즘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이 푸시 로드 어셈블리(310)의 푸시 로드(미도시)로 전달되고, 푸시 로드에 의해 커넥팅 로드(320)가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한다.
커넥팅 로드(320)에는 진공 인터럽터(330)의 가동 로드(미도시)가 연결된다. 가동 로드의 단부에는 가동 접점이 구비되어 커넥팅 로드(3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진공 인터럽터(330)는 절연체의 내부에 고정 접점(미도시)이 고정되며, 고정 접점에 전술한 가동 접점이 접촉 또는 분리된다.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된 상태를 '접점 투입' 상태라고 한다.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접점 개방' 상태라고 한다. 접점 개방 상태가 되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분리로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므로 사고 전류 발생 시 전류의 차단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사고 전류의 차단 기능이 진공차단기(10)의 기능이다.
사고 전류의 인입 시 접촉 단자의 접촉 불량에 의한 또 다른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은 크래들(500)의 접촉 단자인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접촉 유지 구조는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 및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에 적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는 진공 인터럽터(33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는 진공 인터럽터(330)와 푸시 로드 어셈블리(310)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 및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는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는 터미널 본체(3410)와, 터미널 본체(3410)의 일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3420)와,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속부(3430)와, 접속부(343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3440) 및 제2 가이드부(3450)와, 한 쌍의 접속부(3430)를 연결하는 스프링(3460) 및 스프링 고정핀(3470)과,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 볼트(3490)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는 한 쌍의 접속부(3430) 사이에 배치되는 프론트 플레이트(3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미널 본체(34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이다. 터미널 본체(3410)는 일자의 바 형태 또는 일부가 벤딩(bending)된 바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본체(3410)의 형상은 주변부와의 간섭이나 설계상의 이유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터미널 본체(3410)의 일부분은 수축 튜브(3414)로 둘러 쌓여있다.
터미널 본체(3410)의 일단은 진공 인터럽터(330)의 상단 또는 커넥팅 로드(320)에 볼팅 결합 등으로 고정된다. 터미널 본체(3410)의 타단은 고정된 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되는 방향은 크래들(500)을 향하는 방향이다.
터미널 본체(3410)는 서포트 플레이트(3420)와 결합되는 부분이므로 체결 볼트(349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터미널 본체(3410)는 타단의 양측면에 복수의 체결 볼트(3490)가 삽입되는 복수의 볼트홀(3412)이 형성된다.
수축 튜브(3414)는 절연 재질로 만들어진다. 수축 튜브(3414)는 터미널 본체(3410)의 양단을 제외한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터미널 본체(3410)에 삽입될 수 있다. 해수의 염분 등 절연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악조건 하에서 진공차단기(10)가 사용될 때 3상 간의 절연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때, 필요에 따라 수축 튜브(3414)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축 튜브(3414)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또는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축 튜브(3414)가 설치되는 영역의 크기 역시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34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plate) 형상이다. 서포트 플레이트(3420)는 동일한 형상의 판재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터미널 본체(34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420)는 판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속부(3430)에 결합되어 접속부(3430)를 지지한다.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는 체결 볼트(3490)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홀(3422)과, 제1 가이드부(344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한 쌍의 핀홀(3424)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체결홀(3422)은 터미널 본체(3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일렬로 배치된다. 핀홀(3424)은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일렬로 배치된다. 체결홀(3422) 및 핀홀(3424)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체결홀(3422)에 체결 볼트(3490)가 삽입되어 서포트 플레이트(3420)가 터미널 본체(3410)에 고정된다. 핀홀(3424)에 후술할 제1 가이드부(3440)의 제1 가이드핀(3442)이 삽입되어 접속부(3430)가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된다.
접속부(3430)는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와, 핑거 플레이트(3432)의 일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3434)와, 제1 가이드핀(3442)이 삽입되는 제1 가이드홀(3436)과, 제2 가이드핀(3452)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홀(3438)을 포함한다. 접속부(34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터미널 본체(3410)의 일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핑거 플레이트(3432)는 터미널 본체(3410)의 단부와 크래들(500)의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를 연결하는 접촉 단자이다. 핑거 플레이트(3432)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판(plate) 형상으로, 복수 개로 구비된다. 각각의 핑거 플레이트(3432)는 길이 방향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3434)를 구비한다.
돌출부(3434) 중 하나는 터미널 본체(3410)의 단부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크래들(500)의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와 접촉된다. 접속부(3430)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므로, 도 4를 기준으로 상측 접속부(3430)의 돌출부(3434)는 아래를 향하게 된다. 반대로 하측 접속부(3430)의 돌출부(3434)는 위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측 접속부(3430)의 돌출부(3434)는 터미널 본체(3410)의 상면과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접속부(3430)의 돌출부(3434)는 터미널 본체(3410)의 하면과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핑거 플레이트(3432) 상에 돌출부(3434)가 돌출되므로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가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로 삽입될 때 돌출부(3434)를 상하로 밀게 된다.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에 의해 핑거 플레이트(3432)로부터 돌출된 만큼 돌출부(3434)가 밀리게 된다(도 8의 외측 화살표 참조).
그러나 상하로 배치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에 스프링(3460)이 결합되어 핑거 플레이트(343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핑거 플레이트(3432)를 당기므로 돌출부(3434)가 밀리더라도 돌출부(3434)가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핑거 플레이트(3432)와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의 접촉 상태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하로 마주보는 돌출부(3434) 사이의 간격은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홀(3436)은 제1 가이드부(3440)와의 결합을 위한 홀로,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의 판면 일측에 각각 관통된다. 제1 가이드홀(3436)은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상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홀(3436)을 관통하여 제1 가이드핀(3442)이 삽입된다.
제2 가이드홀(3438)은 제2 가이드부(3450)와의 결합을 위한 홀로,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의 판면 타측에 각각 관통된다. 제2 가이드홀(3438)은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상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홀(3438)을 관통하여 제2 가이드핀(3452)이 삽입된다.
제1 가이드부(3440)는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를 연결하여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부(3440)는 제1 가이드핀(3442)과, 핑거 플레이트(3432)와 서포트 플레이트(3420)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부싱(3444)과,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서브 부싱(3446)과, 제1 가이드핀(3442)의 고정을 위한 한 쌍의 제1 링(3448)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핀(3442)은 터미널 본체(3410)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축이다. 제1 가이드핀(3442)은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및 제1 서브 부싱(3446)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제1 가이드핀(3442)의 일단은 터미널 본체(3410) 일측의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핀홀(3424)에 관통 삽입된다. 제1 가이드핀(3442)의 타단은 터미널 본체(3410) 타측의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핀홀(3424)에 관통 삽입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관통 삽입된 양단은 각각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가이드핀(3442)의 양단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홈에 제1 링(3448)이 각각 삽입된다.
제1 가이드 부싱(3444)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양측 서포트 플레이트(3420)와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에 삽입된다. 제1 가이드 부싱(3444)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중공에 제1 가이드핀(3442)이 관통 삽입된다.
제1 서브 부싱(3446)은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부재이다. 제1 서브 부싱(3446)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한 개 또는 두 개의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1 서브 부싱(3446)은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서브 부싱(3446)의 두께는 핑거 플레이트(3432)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링(3448)은 'E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링(3448)은 제1 가이드핀(3442)이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링(3448)은 핀홀(34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링(3448)이 제1 가이드핀(3442)을 고정하나, 이는 제1 가이드핀(3442)의 회전까지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링(3448)이 결합되더라도 제1 가이드핀(3442)은 핀홀(342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450)는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를 연결하여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제2 가이드부(3450)는 제2 가이드핀(3452)과,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서브 부싱(3454)과, 제2 가이드핀(3452)의 고정을 위한 한 쌍의 제2 링(3456)을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3450)는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제1 부싱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가이드핀(3452)은 핑거 플레이트(3432)를 모두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축이다. 제2 가이드핀(3452)은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삽입되는 제2 서브 부싱(3454)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핀(3452)은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및 제2 서브 부싱(3454)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제2 가이드핀(3452)은 핑거 플레이트(3432)를 관통하며, 양단이 가장 외측에 구비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제2 가이드핀(3452)의 일단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맨 끝의 핑거 플레이트(3432)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우측 ?? 끝의 핑거 플레이트(3432)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가이드핀(3452)의 양단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홈에 제2 링(3456)이 각각 삽입된다.
제2 서브 부싱(3454)은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부재이다. 제2 서브 부싱(3454)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한 개 또는 두 개의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단, 제2 서브 부싱(3454)은 제1 서브 부싱(3446)과 동일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에 삽입된다. 제2 서브 부싱(3454)은 핑거 플레이트(343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서브 부싱(3454)의 두께는 핑거 플레이트(3432)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링(3456)은 'E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링(3456)은 제2 가이드핀(3452)이 핑거 플레이트(34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링(3456)은 제2 가이드홀(343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접속부(3430) 사이에는 복수의 스프링(346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3460)은 스프링 고정핀(3470)에 의해 양단이 각각 핑거 플레이트(3432)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3460)은 위아래로 마주보는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스프링(3460)은 코일 스프링으로,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고리 형상으로 휘어진 핀 걸림부(3462)를 구비한다. 핀 걸림부(346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bending)된다. 핀 걸림부(3462)가 스프링 고정핀(3470)에 걸려 스프링(3460)의 양단이 고정된다.
스프링(3460)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도 8의 화살표 방향이다. 스프링(3460)은 도 8을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된 핑거 플레이트(34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스프링(3460)이 병렬로 배치되어 총 6개의 스프링(3460)이 설치된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스프링(3460)의 개수는 필요한 스프링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프링 고정핀(3470)은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짧은 축으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핀(3470)은 제1 서브 부싱(3446) 및 제2 서브 부싱(3454)이 삽입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서브 부싱(3446) 및 제2 서브 부싱(3454)에 의해 확보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에 스프링 고정핀(3470)이 삽입되어 스프링(3460)이 설치될 공간을 확보한다. 스프링 고정핀(3470)에 스프링(3460)의 핀 걸림부(3462)가 걸림 유지되어 스프링(3460)이 장착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은 프론트 플레이트(348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플레이트(3480)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판면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프론트 플레이트(3480)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3420)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plate)이다. 프론트 플레이트(3480)는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를 정렬하고,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플레이트(3480)는 서포트 플레이트(3420)를 향하는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삽입부(3480a)와, 도 5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접속부(3430)의 핑거 플레이트(3432)를 향하는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480b)을 구비한다.
프론트 플레이트(3480)는 삽입부(3480a)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핀(3482)에 의해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된다. 삽입부(3480a)가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형성된 관통홀(3426)에 삽입된 후 고정핀(3482)이 삽입부(3480a)를 관통하여 삽입되면 프론트 플레이트(3480)가 서포트 플레이트(3420)에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삽입부(3480a)에도 관통홀이 형성된다.
도 5를 기준으로 프론트 플레이트(3480)의 상단은 상측 접속부(3430)의 핑거 플레이트(3432)를 향하고, 프론트 플레이트(3480)의 하단 측에 형성된 가이드홈(3480b)이 하측 접속부(3430)의 핑거 플레이트(343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핑거 플레이트(3432)에는 프론트 플레이트(3480)를 향하는 일측에 홈(3432a)이 형성된다. 이 홈에 프론트 플레이트(3480)의 상단 및 가이드홈(3480b)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420)의 관통홀(3426)과, 핑거 플레이트(3432)에 형성된 홈(3432a)은 프론트 플레이트(3480)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프론트 플레이트(3480)가 서포트 플레이트(3420)와의 결합 시 미리 설정된 만큼의 유격을 갖도록 한다.
프론트 플레이트(3480)와 서포트 플레이트(3420)가 유격 없이 맞물려 결합하게 되면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핑거 플레이트(3432)는 복수 개가 한 몸처럼 움직이나 하나의 고정된 구성은 아니므로 원활한 정렬을 위해 약간의 유격이 필요하다.
또한, 모선 단자(532) 또는 부하 단자(534)가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로 진입할 때 단자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3434)를 밀면서 진입하므로 핑거 플레이트(3432)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핑거 플레이트(3432)의 위치가 약간씩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핑거 플레이트(3432)의 정렬을 위해 홈(3432a)이 프론트 플레이트(3480)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핑거 플레이트(3432)의 정렬을 좀더 쉽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포트 플레이트(3420)와 프론트 플레이트(3480)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분리함으로써 접속부(3430)의 구동에 필요한 유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 모듈(300)에 있어서, 터미널과 크래들(500)의 단자가 접속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400)가 크래들(500)로 인입될 때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는 모선 단자(532)의 위치에,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는 부하 단자(53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대차부(400)가 크래들(500)에 가까워지면서,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는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340) 및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350)의 핑거 플레이트(3432)에 가까워진다. 접속부(3430)가 도 8을 기준으로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핑거 플레이트(3432) 역시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400)가 크래들(500)에 완전히 인입됨에 따라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가 핑거 플레이트(3432)의 돌출부(3434)에 접촉하면서 스프링(346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에 의해 돌출부(3434)가 상하로 밀리면서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가 핑거 플레이트(3432)의 사이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상하로 배치된 핑거 플레이트(3432)는 스프링(3460)의 복원력을 받고 있으므로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에 가까워지려는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돌출부(3434)는 모선 단자(532) 및 부하 단자(534)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스프링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을 '접(촉)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접압은 스프링(3460)의 개수, 스프링(3460)의 두께 등을 가변하여 스프링 상수를 변경함으로써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공차단기(10)의 용량이 커지면 그에 맞게 접압이 상승할 수 있도록 스프링(3460)을 교체함으로써 진공차단기(10)의 용량에 맞는 스프링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진공차단기의 용량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접촉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3460)의 설계 변경을 통해 크래들의 접속 시 높은 접촉 하중을 제공할 수 있어 사고전류 인입 시에도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3432)가 스프링(34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스프링력을 받으므로 크래들 접속 시 균일한 접촉 하중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진공차단기 100: 본체
200: 절연 하우징 300: 진공 인터럽터 모듈
310: 푸시 로드 어셈블리 330: 진공 인터럽터
340: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 3410: 터미널 본체
3420: 서포트 플레이트 3430: 접속부
3432: 핑거 플레이트 3434: 돌출부
3440: 제1 가이드부 3450: 제2 가이드부
3460: 스프링 3470: 스프링 고정핀
3480: 프론트 플레이트 400: 대차부
500: 크래들 532: 모선 단자
534: 부하 단자

Claims (12)

  1. 크래들에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모선 단자 또는 부하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터미널 어셈블리가 형성된 진공 인터럽터 모듈을 갖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본체와, 상기 터미널 본체의 연장된 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터미널 본체의 연장된 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면 상기 모선 단자 또는 상기 부하 단자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속부와, 상기 한 쌍의 접속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판(plate)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터미널 본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선 단자 또는 상기 부하 단자에 접촉되는 복수의 핑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는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와 상기 모선 단자 또는 상기 부하 단자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단에 관통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제1 가이드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핀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부싱;
    링 형상으로, 복수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서브 부싱; 및
    상기 제1 가이드핀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링;
    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타단에 관통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제2 가이드핀;
    링 형상으로, 복수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서브 부싱; 및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상기 핑거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링;
    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 어셈블리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 걸림부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단이 상기 스프링 걸림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진공차단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 및 상기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의 양단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터미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판(plate) 형상의 프론트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터미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진공차단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삽입홈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와 미리 설정된 만큼의 유격을 갖는
    진공차단기.
  12. 진공 인터럽터 모듈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하우징과,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로 구동력을 발생해 전달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며 모선 단자 및 부하 단자가 구비된 크래들을 갖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 모듈은
    진공 인터럽터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면 상기 모선 단자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선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속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부 터미널 어셈블리; 및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면 상기 부하 단자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부하 단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속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 터미널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KR1020190012732A 2019-01-31 2019-01-31 진공차단기 KR10217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32A KR102173320B1 (ko) 2019-01-31 2019-01-31 진공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32A KR102173320B1 (ko) 2019-01-31 2019-01-31 진공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91A true KR20200095091A (ko) 2020-08-10
KR102173320B1 KR102173320B1 (ko) 2020-11-03

Family

ID=7204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732A KR102173320B1 (ko) 2019-01-31 2019-01-31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4721A (zh) * 2021-08-02 2021-11-02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高压线束连接器
CN116798801A (zh) * 2023-07-27 2023-09-22 吉徽电气集团有限公司 真空断路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65A (ko) * 2021-03-31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6985B2 (ja) * 2008-06-18 2013-03-21 株式会社日立エレクトリックシステムズ 導電端子装置を備えた回路遮断器
CN204257565U (zh) * 2014-10-21 2015-04-08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万能式断路器抽屉座及其桥形触头
CN205177736U (zh) * 2015-11-12 2016-04-20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抽屉式断路器母排电连接结构
KR101904350B1 (ko) * 2017-03-22 2018-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6985B2 (ja) * 2008-06-18 2013-03-21 株式会社日立エレクトリックシステムズ 導電端子装置を備えた回路遮断器
CN204257565U (zh) * 2014-10-21 2015-04-08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万能式断路器抽屉座及其桥形触头
CN205177736U (zh) * 2015-11-12 2016-04-20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抽屉式断路器母排电连接结构
KR101904350B1 (ko) * 2017-03-22 2018-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4721A (zh) * 2021-08-02 2021-11-02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高压线束连接器
CN113594721B (zh) * 2021-08-02 2024-04-09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高压线束连接器
CN116798801A (zh) * 2023-07-27 2023-09-22 吉徽电气集团有限公司 真空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320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320B1 (ko) 진공차단기
CN107086164B (zh) 旁路开关
US6139347A (en) Fixing terminal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module for a plug-in circuit breaker
US10276314B2 (en) Switching and protection device for high-voltage wiring system
US3427419A (en) Disconnecting contact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US8779875B2 (en) Receptacle type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e protection
KR100625225B1 (ko) 개폐 장치
US20180019074A1 (en) Vibration-limiting device for an apparatus comprising a switchgear and a switching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and apparatus comprising said vibration-limiting device
RU2496175C1 (ru) Клеммы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и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с такими клеммами
US10224169B2 (en) High voltage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NZ203182A (en) Busbar connector:eddy current effect increases contact fingers pressure
CN109427505B (zh) 动力断开杆
US6989501B2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KR101048992B1 (ko)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KR100455436B1 (ko) 나이프 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EP0574903B1 (en) UHV breaker provided with resistances
US4331375A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CN1227698C (zh) 差动电气保护设备
KR102190065B1 (ko) 바이패스 스위치
CA1238358A (en) Drawout switchgear having improved disconnect contacts
TWI798927B (zh) 開關器及氣體絕緣開關裝置
EP4145479B1 (en) An accessory device for a medium voltage vacuum contactor
KR102190066B1 (ko) 바이패스 스위치
JP3097198B2 (ja) 直線切形の断路器及びこれを使用する開閉装置
EP0603762B1 (en) Contac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