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990A -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990A
KR20200094990A KR1020190012502A KR20190012502A KR20200094990A KR 20200094990 A KR20200094990 A KR 20200094990A KR 1020190012502 A KR1020190012502 A KR 1020190012502A KR 20190012502 A KR20190012502 A KR 20190012502A KR 20200094990 A KR20200094990 A KR 2020009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polymer
biodegradable
extern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632B1 (ko
Inventor
홍석봉
Original Assignee
홍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봉 filed Critical 홍석봉
Priority to KR1020190012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6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피층에 이르기까지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크기로 형성되면서 내부는 오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입자 형태의 폴리머 외부입자;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 내에 다수 제공됨과 더불어 내부는 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입자 형태의 폴리머 내부입자;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 내의 물에 용해되면서 친수성의 화장료 파티클 혹은, 친수성의 치료제 파티클로 이루어진 친수성 활성성분;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친수성의 치료제를 진피층에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경피투과가 가능하면서도 진피층에의 도달시에는 생분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biodegradable micro/nano particles for transdermal}
본 발명은 생분해성 파티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친수성의 치료제를 진피층에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경피투과가 가능하면서도 진피층에의 도달시에는 생분해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각질층과 표피층 및 진피층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피부에 의해 체내의 제 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피부는 지속적인 외부 환경에의 노출이나 자극 등에 의해 급격히 노화되며, 이렇게 노화되는 피부는 그 기능이 점차적으로 저하됨과 더불어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점차 주름이 발생된다.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화장용 조성물이나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노화의 진행을 늦추도록 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화장품으로 기본적인 피부의 보호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피부에 흡수되면서 해당 피부의 진피층을 보호하거나 혹은, 피부의 표면에 코팅되면서 표피층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등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특히, 진피층의 보호를 위한 화장품은 진피층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흡수되어야만 하지만 이러한 화장품이 각질층과 표피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걸러짐에 따라 진피층에 흡수되는 양은 사실상 적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피부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는 다양한 나노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422763호, 등록특허 제10-0463167호, 등록특허 제10-0654841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나노입자를 이루도록 하는데에만 노력이 집중되었을 뿐 나노입자가 파괴되는 시간의 조절이 어려웠던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써 피부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나노입자가 파괴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됨에 따라 의약품과 같은 약품에는 적합한 반면, 피부 흡수가 빠르게 이루어져야만 하는 화장품으로의 적용은 사실상 어려웠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나노입자 내에 친지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치료제 혹은, 화장료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비타민 등과 같은 친수성 물질의 공급을 위한 용도로의 사용은 어려웠다.
즉, 공개특허 제10-2014-0041438호에서 제공되는 나노입자의 경우 해당 입자표면에 접합 또는, 결합되는 친수성 치료제와 입자 내부에 포함되는 친지성 치료제로 형성되었을 뿐 친수성의 치료제를 나노입자로 제공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422763호 등록특허 제10-0463167호 등록특허 제10-0654841호 공개특허 제10-2014-004143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친수성의 치료제를 진피층에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경피투과가 가능하면서도 진피층에의 도달시에는 생분해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는 진피층에 이르기까지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크기로 형성되면서 내부는 오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입자 형태의 폴리머 외부입자;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 내에 다수 제공됨과 더불어 내부는 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입자 형태의 폴리머 내부입자;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 내의 물에 용해되면서 친수성의 화장료 파티클 혹은, 친수성의 치료제 파티클로 이루어진 친수성 활성성분;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와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는 각각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의 공중합체 혹은,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친수성 활성성분은 아스코로브산(Ascorbic acid), EGF(Epidermal Growth Factor), FGC(Fibroblast Growth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한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는 세라마이드로 추가 코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염화메틸렌(Dichloromethane)이나 클로로폼(chloroform)으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을 용해시켜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친수성 활성성분이 용해되어 있는 물을 방울 단위로 상기 폴리머 용액에 떨어뜨리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폴리머 용액에 존재하는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를 초음파로 파쇄 및 분산시켜 미세하게 입자화하는 제3단계; 상기 폴리머 용액을 방울 단위로 PVA 용액에 떨어뜨리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폴리머 내부입자가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를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PVA 용액에 존재하는 상기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를 초음파로 파쇄 및 분산시켜 미세하게 입자화하는 제5단계; 상기 파쇄 및 분산된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가 함유된 PVA 용액을 물에 넣어 안정화시키고,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제6단계; 상기 유기용매가 증발된 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입자화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를 침전시키고 이렇게 침전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를 물에 분산시켜 씻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7단계; 상기 각 폴리머 외부입자를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완성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는 친지성 물질뿐 아니라 친수성 물질인 아스코로브산(Ascorbic acid), EGF(Epidermal Growth Factor), FGC(Fibroblast Growth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혹은, 치료제 활성성분도 마이크로 혹은, 나노 크기의 입자로 제공함에 따라 경피투과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피부에 제공하는 성분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는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로 각각의 외부입자 및 내부입자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흡수시 빠른 생분해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방법은 각 입자들에 대한 원활한 형성이 가능함과 더불어 더블 에멀젼(double-emulsion)(W/O/W) 방식을 통한 다중 입자 구조를 정확히 이룰 수 있으면서도 경피투과가 가능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사이즈의 크기를 정확히 형성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를 설명하기 위해 구조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 과정별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를 설명하기 위해 구조화하여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는 크게 폴리머 외부입자(100)와, 폴리머 내부입자(200)와, 친수성 활성성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마이크로/나노 입자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외피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폴리머 외부입자(100)는 진피층에 이르기까지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크기로 형성되면서 내부는 유기용매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폴리머 외부입자(100)는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의 공중합체 혹은,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라틱 산)(PLA)의 중합체로만 외피를 형성함에 따라 해당 폴리머 외부입자(100)가 생분해되는 시간의 조절이 어려웠고, 통상 생분해가 시작되는 시기까지가 수시간 이상 소요됨을 고려할 때 화장료와 같이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어야 하는 용도로의 사용에는 부적합하였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가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 및/혹은, 폴리(라틱 산)(PLA)에 폴리카프로락톤(PCL)을 추가로 혼합한 공중합체로 제공하여 상기 폴리카프로락톤(PCL)에 의해 폴리머 외부입자(100)의 생분해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폴리카프로락톤(PCL)은 상기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에 대한 전위차를 불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의 생분해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 내에는 유기용매가 채워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용매에는 친지성의 활성성분이 용해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친지성의 활성성분은 진세노사이드 알지3(Ginsenoside Rg3)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유기용매는 염화메틸렌(Dichloromethane)이나 클로로폼(chlorofor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200)는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 내에 다수로 제공되면서 친수성의 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폴리머 내부입자(200)의 내부에는 후술될 친수성 활성성분(300)이 용해된 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200)가 생분해되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친수성 활성성분(300)이 곧장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200)는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의 공중합체 혹은,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해당 폴리머 내부입자(200)가 경피투과가 이루어졌을 경우 생분해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친수성 활성성분(300)은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200) 내의 물에 용해되면서 피부에 흡수되도록 제공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친수성 활성성분(300)은 친수성의 화장료 파티클 혹은, 친수성의 치료제 파티클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친수성 활성성분(300)이 아스코로브산(Ascorbic acid), EGF(Epidermal Growth Factor), FGC(Fibroblast Growth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한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종래의 화장료용 혹은, 치료제용 나노입자들은 화장료나 치료제 성분이 친지성의 물질만 제공하도록 이루어졌었던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친수성의 물질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를 세라마이드로 추가 코팅하여 형성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가 피부 각질층 성분과 가까운 세라마이드로 추가 코팅하여 형성함으로써 피부 흡수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각 과정별로 첨부된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용액(10)을 준비(S100)한다.
이와 같은 폴리머 용액(10)은 염화메틸렌(Dichloromethane)이나 클로로폼(chloroform)으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이때, 상기 폴리머 용액(10)에는 폴리(라틱 산)(PLA)이 추가로 혼합되어 공중합체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200)를 형성(S200)한다.
이러한 폴리머 내부입자(200)는 상기 제조된 폴리머 용액(10)에 친수성 활성성분이 용해되어 있는 물(20)을 방울 단위로 상기 폴리머 용액(10)에 떨어뜨리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 친수성 활성성분(300)이 용해된 물(20)은 상기 폴리머 용액(100)에 방울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오일 성분으로 이루어진 폴리머 용액(10)에는 비용해되면서 표면장력에 의해 구형을 이루는 폴리머 내부입자(200)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폴리머 내부입자(200)들을 미세하게 입자화(S300)한다.
이와 같은 미세 입자화 과정은, 상기 폴리머 용액(10)에 존재하는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200)를 초음파로 파쇄 및 분산시킴으로써 미세하게 입자화시키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미세 입자화 작업은 원하는 시간 동안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각 폴리머 내부입자(200)가 원하는 크기에 이를 때까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100)를 형성(S400)한다.
이와 같은 폴리머 외부입자(100)는 폴리머 용액(10)을 PVA 용액(30)에 제공하여 형성한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폴리머 용액(10)은 미세 입자화된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200)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머 용액(10)을 사용하며, 이러한 폴리머 용액(10)을 방울 단위로 상기 PVA 용액(30)에 떨어뜨림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교반함으로써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10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형성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는 그의 내부에 오일(폴리머 용액)과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200)가 포함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들을 미세하게 입자화(S500)한다.
이와 같은 미세 입자화 과정은, 상기 PVA 용액(30)에 존재하는 상기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100)를 초음파로 파쇄 및 분산시킴으로써 미세하게 입자화시키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안정화 과정을 수행(S600)한다.
이와 같은 안정화 과정은 상기 PVA 용액(30)을 물(40)에 희석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PVA 용액(30)은 상기 파쇄 및 분산된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100)가 함유된 PVA 용액(30)이며, 대략 20배 이상의 물(40)에 희석시킴으로써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가 안정화되어 더욱 단단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안정화 과정시에는 해당 희석 물(40)을 지속적으로 교반함으로써 상기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들 표면에 잔존하는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작업도 함께 수행한다. 이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용매가 증발된 물을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수행(S700)한다.
이와 같은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 상기 입자화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를 침전시킨다. 이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상기 원심분리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를 세척용 물(50)에 분산시켜 씻어내는 과정을 복수번 반복하는 세척 과정을 수행(S800)한다. 이는, 첨부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첨부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폴리머 외부입자(100)를 동결 건조(S900)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완성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는 친지성 물질뿐 아니라 친수성 물질인 아스코로브산(Ascorbic acid), EGF(Epidermal Growth Factor), FGC(Fibroblast Growth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혹은, 치료제 활성성분도 마이크로 혹은, 나노 크기의 입자로 제공함에 따라 경피투과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피부에 제공하는 성분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는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로 각각의 외부입자 및 내부입자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흡수시 빠른 생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방법은 각 입자들에 대한 원활한 형성이 가능함과 더불어 더블 에멀젼(double-emulsion)(W/O/W) 방식을 통한 다중 입자 구조를 정확히 이룰 수 있으면서도 경피투과가 가능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사이즈의 크기를 정확히 형성할 수 있게 된다.
10. 폴리머 용액 20. 용매용 물
30. PVA용액 40. 희석용 물
50. 세척용 몰 100. 폴리머 외부입자
200. 폴리머 내부입자 300. 친수성 활성성분

Claims (5)

  1. 진피층에 이르기까지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크기로 형성되면서 내부는 오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입자 형태의 폴리머 외부입자;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 내에 다수 제공됨과 더불어 내부는 물로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입자 형태의 폴리머 내부입자;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 내의 물에 용해되면서 친수성의 화장료 파티클 혹은, 친수성의 치료제 파티클로 이루어진 친수성 활성성분;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와 상기 폴리머 내부입자는 각각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의 공중합체 혹은,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라틱 산)(PLA)의 공중합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활성성분은 아스코로브산(Ascorbic acid), EGF(Epidermal Growth Factor), FGC(Fibroblast Growth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한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외부입자는 세라마이드로 추가 코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5. 염화메틸렌(Dichloromethane)이나 클로로폼(chloroform)으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폴리(라틱 코 글리콜)산(PLGA)과 폴리카프로락톤(PCL)을 용해시켜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친수성 활성성분이 용해되어 있는 물을 방울 단위로 상기 폴리머 용액에 떨어뜨리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폴리머 용액에 존재하는 다수의 폴리머 내부입자를 초음파로 파쇄 및 분산시켜 미세하게 입자화하는 제3단계;
    상기 폴리머 용액을 방울 단위로 PVA 용액에 떨어뜨리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폴리머 내부입자가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를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PVA 용액에 존재하는 상기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를 초음파로 파쇄 및 분산시켜 미세하게 입자화하는 제5단계;
    상기 파쇄 및 분산된 다수의 폴리머 외부입자가 함유된 PVA 용액을 물에 넣어 안정화시키고,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제6단계;
    상기 유기용매가 증발된 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입자화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를 침전시키고 이렇게 침전된 각 폴리머 외부입자를 물에 분산시켜 씻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7단계;
    상기 각 폴리머 외부입자를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완성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의 제조 방법.

KR1020190012502A 2019-01-31 2019-01-31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02A KR102206632B1 (ko) 2019-01-31 2019-01-31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02A KR102206632B1 (ko) 2019-01-31 2019-01-31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990A true KR20200094990A (ko) 2020-08-10
KR102206632B1 KR102206632B1 (ko) 2021-01-22

Family

ID=7204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502A KR102206632B1 (ko) 2019-01-31 2019-01-31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63B1 (ko) 2002-01-17 2004-03-12 주식회사 태평양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KR100463167B1 (ko) 2001-04-13 2004-12-23 주식회사 태평양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경피흡수제 및 이를 함유한외용제 조성물
KR100654841B1 (ko) 2005-06-27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20006722A (ko) * 2010-07-13 2012-01-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1438A (ko) 2011-01-24 2014-04-04 이슘 리서치 디벨롭먼트 컴퍼니 오브 더 히브루 유니버시티 오브 예루살렘, 엘티디. 약물의 진피 및 전신 전달을 위한 나노입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67B1 (ko) 2001-04-13 2004-12-23 주식회사 태평양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경피흡수제 및 이를 함유한외용제 조성물
KR100422763B1 (ko) 2002-01-17 2004-03-12 주식회사 태평양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KR100654841B1 (ko) 2005-06-27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20006722A (ko) * 2010-07-13 2012-01-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1438A (ko) 2011-01-24 2014-04-04 이슘 리서치 디벨롭먼트 컴퍼니 오브 더 히브루 유니버시티 오브 예루살렘, 엘티디. 약물의 진피 및 전신 전달을 위한 나노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632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mani et al. Advances in drug delivery via electrospun and electrosprayed nanomaterials
Hou et al. A nanofiber-based drug depot with high drug loading for sustained release
DE60217121T2 (de) Medikament enthaltender klebstoff
Irani et al. The sustained delivery of temozolomide from electrospun PCL-Diol-b-PU/gold nanocompsite nanofibers to treat glioblastoma tumors
CN104321375B (zh) 高分子超薄膜和多孔高分子超薄膜
Priyadarshini et al. PLGA nanoparticles as chlorhexidine-delivery carrier to resin-dentin adhesive interface
Huang et al. Surface charge switchable and pH-responsive chitosan/polymer core-shell composite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
US20170224849A1 (en) Microcapsules and uses thereof
KR20070104408A (ko) 피부백선증, 특히 손발톱 진균증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Hsu et al. Development of pH-sensitive pectinate/alginate microspheres for colon drug delivery
Pandey et al. Biodegradable polymers for potential delivery systems for therapeutics
CN109998997A (zh) 一种利用膜乳化法制备聚酯类有机高分子微球的方法
Nanda et al. Nanocosmetics: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toxicity
Yourdkhani et al. Encapsulation of grape seed extract in polylactide microcapsules for sustained bioactivity and time-dependent release in dental material applications
Lima et al. Design advances in particulate system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Garjani et al. Morphological and physicochemical evaluation of the propranolol HCl–Eudragit® RS100 electrosprayed nanoformulations
Elkalla et al. Core-shell micro/nanocapsules: from encapsulation to applications
Ito et al. Facile technique for preparing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monodisperse poly (lactide-co-glycolide)(PLGA) particles having silica nanoparticles on the surface
KR102206632B1 (ko)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Amna et al. Nanotechnology in drug delivery systems: Ways to boost bioavailability of drugs
US20180250231A1 (en) Polymeric microspheres with spontaneous pore-closing functionality and methods for preparign the same
Atik et al. Particle morpholog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electrosprayed propolis
JP2016189845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
CN107405313A (zh) 难溶性药物传递用的可溶性微针
Chander et al. Role of chitosan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