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594A -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 Google Patents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594A
KR20200094594A KR1020190012310A KR20190012310A KR20200094594A KR 20200094594 A KR20200094594 A KR 20200094594A KR 1020190012310 A KR1020190012310 A KR 1020190012310A KR 20190012310 A KR20190012310 A KR 20190012310A KR 20200094594 A KR20200094594 A KR 2020009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unit
oxygen
control uni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803B1 (ko
Inventor
송재하
Original Assignee
송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하 filed Critical 송재하
Priority to KR102019001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24F2003/169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2005/0039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a cryogen, e.g. CO2 liquid or N2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냉기보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냉기보존 장치는 액화기체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이송관과 결합되어 냉기를 전달받는 것이며, 상기 이송관과 접촉하여 냉기를 전달받는 냉기보존부; 및 상기 냉기보존부로부터 냉기를 전달받아 주변 공기에 전달하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Apparatus for preserving cold temperature and cold air gener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내 공기의 상태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그리고 산소발생기에 의하여 조절되었다.
에어컨은 차갑게 냉각된 공기를 제공하는 장치이고, 공기청정기는 필터에 의하여 미세먼지 등의 원하지 않는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산소발생기는 실내에 산소자체를 발생시켜 공급하고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한편, 출원인은 액체산소가 냉각되었다는 점을 이용하여 에어컨과 산소발생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냉풍장치에 대하여 제안한 바 있다. 이는 한국 등록특허 제1614099호, 제1666183호 및 제16433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액체산소는 영하 약 183℃에 해당하는 끓는 점 이하, 어는 점 이상의 상태에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산소는 기화되면서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 높은 에너지 상태로 상전이하며(phase transtition) 이는 흡열반응이므로 주변의 온도를 떨어뜨린다. 또한, 기화된 산소기체 자체의 온도도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의 열을 더욱 흡수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액화산소는 기화되고 운반되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냉기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기화된 산소 자체는 산소를 공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냉기는 주변과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주변의 열을 빠르게 흡수한다. 이로 인하여 생성된 냉기가 일부는 냉풍에 쓰이고 일부는 소실되고 있어 냉기를 보존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성된 냉기를 장시간 보존하는 냉기보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기보존 장치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기보존 장치를 포함하는 냉풍장치는
본 발명은 생성된 냉기를 장시간 보존하여 냉풍공급에 장시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기보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기보존 장치와 이송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기보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를 이용한 냉풍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를 이용한 냉풍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냉풍장치(100)는 제1하우징(110), 개폐부(112), 공기유입부(114) 및 공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냉풍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외형을 형성한다.
개폐부(112)는 제1하우징(11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2)는 액화산소용기(200)를 냉풍장치(10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개방되고 액화산소용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폐쇄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114)는 제1하우징(110)의 중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114)는 냉풍장치(100)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외부 공기는 송풍기(180)가 냉풍장치(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 인하여 생기는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하여 유입될 수 있다.
공출부는 제1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출부는 공기유입부(114)로 들어와서 냉각되고 산소가 부가된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이다.
공기유입부(114)와 공출부 사이에는 공기청정을 위한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풍장치(100)는 제1하우징(110), 제1분리부(117), 제2분리부(118), 장착부(130), 조절부(132), 연결부(140), 제1이송관(150), 냉기보존 장치(160), 제2이송관(170), 산소토출부(172), 송풍기(180), 지지부(182), 제어부(190) 및 센서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풍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 내부는 제1분리부(117) 및 제2분리부(118)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은 주로 서로 다른 성질의 공기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분리부(117) 하부에는 액화산소용기(200), 장착부(130), 조절부(132), 연결부(140), 제1이송관(150)의 일부 및 제어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분리부(117)는 유입된 공기가 아래로 흐르지 않도록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를 폐쇄한다. 물론, 제1이송관(150) 등 유로와 전선 등 필요한 구성요소가 지나가는 통로는 유지된다.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 공간에는 제1이송관(150)의 일부, 냉기보존 장치(160), 연결부(140) 및 센서부(19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의 공간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 공간의 일측에는 공기유입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유입부(114)에는 필터(미도시)가 배치되어 원하지 않는 불순물이 걸러진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분리부(118)의 상부에는 제2이송관(170), 산소토출부(172), 송풍기(180) 및 지지부(18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분리부(118)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공기통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30)는 제1분리부(117)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며, 제1하우징(110) 바닥으로부터 액화산소용기(20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130)는 액화산소용기(200)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장착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산소가 모두 소모된 액화산소용기(200)를 액체산소가 충전된 액화산소용기(200)로 교체할 수 있다.
장착부(130)와 액화산소용기(200)는 함께 산소공급부를 구성할 수 있다.
산소공급부는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부(132)는 장착부(1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132)는 장착부(130)와 연결되어 액화산소용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32)는 산소의 배출여부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조절부(132)는 이를 위하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조절부(132)는 액화산소용기(200)에 이미 설치된 조절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연결부(140)는 액화산소용기(200)에 형성된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액화산소용기(200) 및 제1이송관(150)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관 혹은 연결통로 간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즉, 연결부(140)는 액화산소용기(200)에 형성된 제1관과 이와 다른 성질을 가진 제2관 간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제1분리부(117) 하부에 배치된 연결부(140)로부터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140)에 이르는 산소의 이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으로 흐르는 액체 혹은 기체산소는 냉기보존 장치(160)와 접하여 냉기보존 장치(160)에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이송관(150)은 냉기보존 장치(160)로부터 열을 전도 받음으로써 냉기보존 장치(16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1이송관(150)에 흐르는 산소는 냉기보존 장치(160)에 도달할 때까지 액체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경에 따라 일부가 기체로 상전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화산소용기(200)로부터 냉기보존 장치(160)까지의 산소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관들은 그 길이를 가능한 짧게 하거나 단열재질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냉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냉기보존 장치(160)는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기보존 장치(160)는 냉기보존부(162) 및 방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보존부(162)는 이송관과 접촉하여 냉기를 전달받고 이를 보존할 수 있다.
냉기보존부(162)는 보존된 냉기를 지속적으로 방열부(165)에 제공할 수 있다.
냉기보존부(16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냉기보존부(162)는 제2하우징(163) 및 보냉물질(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163)은 보냉물질(164)이 내재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163)은 보냉물질(164)을 보호하면서 보냉물질(164)이 액체인 경우에 외부로 새지 않도록 실링(sealing)할 수 있다.
보냉물질(164)은 제2하우징(16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냉물질(164)은 제1이송관(15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보냉물질(164)이 액체인 경우 냉기보존부(162)와 접촉하는 이송관은 보냉물질(164) 속에 담겨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이송관(150)의 적어도 일부는 보냉물질(164)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보냉물질(164)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보냉물질(164)은 보냉액일 수 있다. 보냉물질(164)은 열용량이 비교적 높은 재질의 고체일 수도 있다.
보냉물질(164)이 보냉액일 경우에 보냉물질(164)은 제1이송관(150)으로부터 냉기를 전달받아 고체로 상전이할 수 있다. 액체가 고체로 상전이 된 경우에 그 고체가 다시 액체로 상전이하는 데에는 많은 열량이 소모되므로 보냉물질(164)은 냉기를 많이 그리고 장시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물체가 냉기를 전달받는 다는 것은 열에너지를 다른 물체에 전달하여 온도가 낮아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어떤 물체가 냉기를 보존한다는 것은 열적으로 낮은 에너지 상태가 지속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보냉물질(164)과 최대한 많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제1이송관(150)은 우측 입출구(166)를 관통하여 제2하우징(163) 내부 부피를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채운 후 좌측 입출구(166)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처럼 제1이송관(150)은 제2하우징(163)의 부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2하우징(163) 내에서 복수의 곡선 및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을 흐르는 액화산소는 보냉물질(164)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을 흐르는 액화산소는 보냉물질(164)을 충분히 냉각시킨 후 모두 기화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복수개의 냉기보존부(162)와 냉기를 교환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이송관(150)은 제1입출구(166-1)에 들어가서 제2입출구(166-2)로 나올 수 있도록 연장되어 가장 우측의 보냉물질(164)과 냉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다시 제3입출구(166-3)로 들어가서 제4입출구(166-4)로 나올 수 있도록 연장되어 우측에서 두 번째 보냉물질(164)과 냉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다시 제5입출구(166-5)로 들어가서 제6입출구(166-6)로 나올 수 있도록 연장되어 우측에서 세 번째 보냉물질(164)과 냉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다시 제7입출구(166-7)로 들어가서 제8입출구(166-8)로 나올 수 있도록 연장되어 우측에서 네 번째 보냉물질(164)과 냉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이송관(150)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로 분기되어 복수의 냉기보존부(162)와 냉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제1이송관(150)은 제1-1이송관(150-1), 제1-2이송관(150-2), 제1-3이송관(150-3) 및 제1-4이송관(150-4)으로 분기되어 각각 입출구(166)로 들어가며, 다른 편 입출구(166)로 나올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1이송관(150-1)은 다른편 입출구(166)에서 제1-5이송관(150-5)으로, 제1-2이송관(150-2)은 다른편 입출구(166)에서 제1-6이송관(150-6)으로, 제1-3이송관(150-3)은 다른편 입출구(166)에서 제1-7이송관(150-7)으로, 그리고 제1-4이송관(150-4)은 다른편 입출구(166)에서 제1-8이송관(150-8)으로 각각 연장되며, 다시 제1이송관(150)으로 합쳐질 수 있다.
방열부(165)는 냉기보존부(162)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165)는 핀(pin) 형상의 막대가 복수개로 열을 지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된 방열부(165)는 냉기보존부(162)의 냉기를 주변 공기로 전달할 수 있다.
송풍기(180)가 동작되면 외부의 공기가 냉기보존 장치(160)로 연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어 냉기보존부(162)의 냉기를 지속적으로 냉풍장치(100)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2이송관(170)은 제1분리부(117)와 제2분리부(118)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140)로부터 제2분리부(118) 상부에 이르는 산소 이동 경로를 정의한다.
제2이송관(170)은 산소토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토출부(172)는 제2이송관(170)까지 이송된 산소가 토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산소토출부(17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공(173)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공(173)은 제2이송관(170)에 주기적인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거리는 복수의 토출공(173)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것이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된 것의 의미일 수 있다.
제1이송관(150) 및 제2이송관(170)은 산소공급부와 산소토출부(172) 사이의 산소 이동 경로를 함께 정의한다. 액화산소용기(200)로부터 토출된 산소는 제1이송관(150) 및 제2이송관(170)을 이동하며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상전이 될 수 있으며 그 대부분은 제1이송관(150)과 냉기보존 장치(160)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상전이 될 것이다.
송풍기(180)는 제2분리부(11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80)는 냉기보존 장치(160)와 간섭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냉풍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기(180)는 냉풍장치(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 인한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공기유입부(114)를 통하여 유입시킨다. 유입된 공기는 냉기보존 장치(160)와 냉기를 교환하여 차가워지고, 이후 공기통로부(116)를 통하여 상승한 후 산소토출부(172)로부터 배출된 산소와 섞여 냉풍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기(180)는 제2분리부(118)에 지지부(182)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82)는 송풍기(180)를 제2분리부(118) 상에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분리부(118)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조절부(132), 송풍기(180) 및 센서부(1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제1하우징(110) 외부로 배치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입력 버튼,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부(192)는 냉기보존 장치(16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92)는 냉기보존부(162) 또는 방열부(165)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부(192)는 냉기보존 장치(16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센서부(192)가 감지한 온도에 대응하여 조절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100)를 이용하면 효율적인 냉풍동작이 가능한 바 이하 그에 관한 자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100)를 이용한 냉풍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1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동작 신호는 사용자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제1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전원버튼, 동작 버튼 등의 입력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S62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산소가 공급되도록 조절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S6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경과된 시간(t1)이 기설정된 제1시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 큰 경우 S640단계로 진행하고, 크지 않은 경우 S630단계를 되풀이한다.
기설정된 제1시간은 보냉물질(164)이 보냉액인 경우에 보냉액이 모두 어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S64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산소 공급이 중단되도록 조절부(132)를 제어한다.
S65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S640단계 이후 경과된 시간(t2)이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보다 작은 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은 경우 S620단계로 되돌아가고, 작지 않은 경우 S650단계를 되풀이한다.
제2시간은 보냉액이 더 이상 방열부(165)에 냉기를 전달하지 못할 정도로 녹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보냉액이 완전히 얼때까지 액화산소용기(200)에 저장된 액화산소를 냉기보존 장치(160)를 통과하는 제1이송관(150)으로 배출시킨 후 보냉액이 어느 정도 녹을 때까지 그 배출을 중단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풍장치(100)를 이용한 냉풍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1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동작 신호는 사용자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제1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전원버튼, 동작 버튼 등의 입력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S72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산소가 공급되도록 조절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S730단계에서, 센서부(192)는 냉기보존 장치(160)의 온도(T1)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S74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감지된 냉기보존 장치(160)의 온도(T1)가 기설정된 제1온도보다 낮은 지 여부를 판단한다. 낮은 경우 S750단계로 진행하고, 낮지 않은 경우 S730단계로 되돌아간다.
기설정된 제1온도는 송풍기(180)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는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일 수 있다.
S75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산소 공급이 중단되도록 조절부(132)를 제어한다.
S760단계에서, 센서부(192)는 다시 냉기보존 장치(160)의 온도(T2)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S77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냉기보존 장치(160)의 온도(T2)가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보다 높은 지 여부를 판단한다. 높은 경우 S720단계로 되돌아가고, 높지 않은 경우 S760단계로 되돌아간다.
제2온도는 송풍기(180)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충분히 냉각될 수 없을 정도의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시간 또는 온도를 변수로 하여 산소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시간 및 온도를 모두 변수로 하여 산소 공급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시간 및 온도를 변수로 하면서 산소의 배출양을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냉풍방법에 의하면 냉풍장치(100)는 냉기를 보다 장시간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냉풍장치
110: 제1하우징
112: 개폐부
114: 공기유입부
116: 공기통로부
117: 제1분리부
118: 제2분리부
120: 공기토출부
130: 장착부
132: 조절부
140: 연결부
150: 제1이송관
160: 냉기보존장치
162: 냉기보존부
163: 제2하우징
164: 보냉물질
165: 방열부
166: 입출구
170: 제2이송관
172: 산소토출부
173: 토출공
180: 송풍기
182: 지지부
190: 제어부
192: 센서부
200: 액화산소용기

Claims (7)

  1. 액화기체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이송관과 결합되어 냉기를 전달받아 보존하는 냉기보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과 접촉하여 냉기를 전달받는 냉기보존부; 및
    상기 냉기보존부로부터 냉기를 전달받아 주변 공기에 전달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보존부는,
    상기 이송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보냉물질; 및
    상기 보냉물질이 내재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하우징의 부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복수의 곡선 및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
  4. 액화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상기 산소가 토출되는 산소토출부;
    상기 산소공급부와 상기 산소토출부 사이의 산소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결합되어 냉기를 전달받고 보존하는 냉기보존 장치;
    상기 냉기보존 장치와 간섭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보존 장치는,
    상기 이송관과 접촉하여 냉기를 전달받는 냉기보존부; 및
    상기 냉기보존부로부터 냉기를 전달받아 주변 공기에 전달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의 산소 배출여부를 결정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산소를 배출하도록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동안 산소를 배출하지 않도록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의 산소 배출여부를 결정하는 조절부;
    상기 냉기보존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에 대응하는 정도로 낮아질 때까지 산소를 배출하도록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가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 대응하는 정도로 다시 높아질 때까지 산소를 배출하지 않도록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보존 장치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KR1020190012310A 2019-01-30 2019-01-30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KR10227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310A KR102271803B1 (ko) 2019-01-30 2019-01-30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310A KR102271803B1 (ko) 2019-01-30 2019-01-30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594A true KR20200094594A (ko) 2020-08-07
KR102271803B1 KR102271803B1 (ko) 2021-07-01

Family

ID=7205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310A KR102271803B1 (ko) 2019-01-30 2019-01-30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162Y1 (ko) * 2005-02-28 2005-12-19 임성황 냉매저장탱크 액체공기 대기 방출을 통한 냉방장치.
KR200405646Y1 (ko) * 2005-10-10 2006-01-10 임성황 액체냉매 대기방출을 통한 생산냉기 활용 중앙냉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162Y1 (ko) * 2005-02-28 2005-12-19 임성황 냉매저장탱크 액체공기 대기 방출을 통한 냉방장치.
KR200405646Y1 (ko) * 2005-10-10 2006-01-10 임성황 액체냉매 대기방출을 통한 생산냉기 활용 중앙냉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03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284B1 (ko) 냉장고
KR101523251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152049B1 (ko) 냉각 장치
KR20100057216A (ko) 냉장고
BRPI0621352B1 (pt) Refrigerador e método de operar um refrigerador
KR102282294B1 (ko) 산소공급 냉풍장치
KR20200094594A (ko)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US20180299183A1 (en) Refrigeration System and Heating Assembly
KR20170115386A (ko) 냉장고
KR100412412B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 냉기 공급구조
JPH08247618A (ja) 冷蔵庫
JP2006132820A (ja) 冷蔵庫
EP1580503A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carbonator of a refrigerator
US20230392848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06437U (ko) 냉장고
JP2004212022A (ja) 冷蔵庫
KR101081382B1 (ko) 석션파이프와 모세관 어셈블리
US20090235687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KR102296708B1 (ko) 산소공급 장치의 소음저감 구조
KR20080112715A (ko) 냉장고
JP2018004121A (ja) 冷蔵庫
KR2023005501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375031Y1 (ko) 쌀 냉장 장치
JP2020133917A (ja) 冷蔵庫
KR1012126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