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326A -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326A
KR20200094326A KR1020190011662A KR20190011662A KR20200094326A KR 20200094326 A KR20200094326 A KR 20200094326A KR 1020190011662 A KR1020190011662 A KR 1020190011662A KR 20190011662 A KR20190011662 A KR 20190011662A KR 20200094326 A KR20200094326 A KR 20200094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nductive
manufacturing
conductive material
conductiv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791B1 (ko
Inventor
신재형
김근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염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염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염색
Priority to KR102019001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7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 D06M11/5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with sulfur dioxide; with sulfurous acid or its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 D06M11/55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with sulfur trioxide; with sulfuric acid or thiosulfuric acid or their salts
    • D06M11/56Sulfates or thiosulfates other than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6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 D06M11/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f phosphorus; with hypophosphorous, phosphorous or phosphoric acids or their salts
    • D06M11/71Salts of phosphor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207Substituted carboxylic acids, e.g. by hydroxy or keto group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32Urea, thiourea or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s; Urea-inclusion compounds; Dicyanamides; Carbodiimides; Guanidines, e.g. dicyandi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일론원사의 표면에 도전성물질이 결합된 의류용 도전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일론원사의 표면 개질을 위한 개질공정시 2종 이상의 커플링제를 혼용하여 수행하여 도전성물질의 결합력을 강화함에 따라 개질공정 이전에 수행하는 나일론원사의 표면을 식각하는 애칭공정을 생략 가능함으로써 폐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나일론 재질의 소재원사를 정련제로 정련하여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정련된 상기 소재원사를 표면개질제에 투입하여 도선성물질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개질된 상기 소재원사를 상기 도전성물질을 포함한 도전성부여제에 투입하여 상기 도전성물질을 표면에 결합시켜 도전성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물질이 표면에 결합된 도전사를 기능성유제에 투입하여 유제 처리하는 단계; 유제 처리된 상기 도전사를 탈수 처리하는 단계; 및 탈수된 상기 도전사를 열풍으로 건조하여 상기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OR CLOTHES USING ENVIRONMENTAL PREPARATION PROCESS}
본 발명은 나일론원사의 표면에 도전성물질이 결합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일론원사의 표면 개질을 위한 개질공정시 2종 이상의 커플링제를 혼용하여 도전성물질의 결합력을 강화함에 따라 개질공정 이전에 수행하는 나일론원사의 표면을 식각하는 애칭공정을 생략 가능함으로써 폐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전사는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터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소재원사의 표면에 구리 등을 포함한 도전성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시켜 도전성물질을 통해 도전성을 부여한 섬유이다.
이러한 도전사는 일반 합성섬유나 일부 천연섬유와는 달리 섬유 간의 마찰이나 섬유와 피부 간의 마찰에도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도체 제조공장에 필요한 제전작업복과 제전장갑, 군용으로 이용되는 위장막, 동내의와 양말 등의 소재섬유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전사는 소재원사의 표면을 정련하는 정련공정, 정련된 소재원사의 표면을 식각하는 애칭공정, 식각된 소재원사의 표면을 개질하는 개질공정, 개질된 소재원사의 표면에 도전성물질을 결합시키는 도전처리공정, 소재원사의 표면에 전도성물질이 결합된 도전사를 유제 처리하는 유제처리공정, 유제 처리된 도전사를 탈수 및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애칭공정을 수행할 때 소재원사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식각하여 도전처리공정시 도전성물질이 소재원사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35% 또는 9%의 농도로 염산(HCL)을 희석하여 사용하는데, 유해화학물질인 염산(HCL, 염소 및 그 화합물)은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르면 이체 및 환경 피해를 유발하는 특정 대기 유기물질 35종 중의 하나에 속하여 사용 및 배출에 있어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대기, 수질, 토양 등을 포함하는 환경오염문제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가속화됨에 따라 염산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의 사용을 철저하게 규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반환경 제품을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유해화학물질의 규제 정책과 반환경 제품의 시장 배제 등에 부합될 수 있도록 애칭공정에 사용되는 인체 및 환경 피해를 유발하는 염산(HCL)용액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도전성물질을 소재원사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시켜 도전사를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9474호, 2013.09.06.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유해화학물질의 규제 정책과 반환경 제품의 시장 배제 등에 부합될 수 있도록 애칭공정에 사용되는 인체 및 환경 피해를 유발하는 염산(HCL)용액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도전성물질을 소재원사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시켜 도전사를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은 나일론 재질의 소재원사를 정련제로 정련하여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정련된 상기 소재원사를 표면개질제에 투입하여 도선성물질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개질된 상기 소재원사를 상기 도전성물질을 포함한 도전성부여제에 투입하여 상기 도전성물질을 표면에 결합시켜 도전성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물질이 표면에 결합된 도전사를 기능성유제에 투입하여 유제 처리하는 단계; 유제 처리된 상기 도전사를 탈수 처리하는 단계; 및 탈수된 상기 도전사를 열풍으로 건조하여 상기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에서
상기 표면개질제는 커플링제와 아세트산과 메르캅토에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콜과 우레아와 황산암모늄을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플링제는 메르캅탄실란과 아미노실란과 에폭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2종을 혼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부여제는 황산구리와 티오황산나트륨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2염기 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을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적어도 2종의 커플링제를 혼용하여 소재원사의 표면을 개질하고 소재원사를 일정온도로 온풍으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자연 냉각시키는 표면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염산(HCL)용액을 사용하는 애칭공정을 생략함에도 불구하고 소재원사에 도전성물질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염산(HCL)용액의 사용을 배제한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통해 내구성과 도전성이 우수한 양질의 도전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의 공정들을 차례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정전기 방지를 위해 착용하는 작업복 등을 포함하는 의류에 사용되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은 유해화학물질의 규제 정책과 반환경 제품의 시장 배제 등에 부합되도록 유해화학물질의 사용을 배제하는 친환경 기술로 도전사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소재원사에 결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공정 이후에 수행하는 애칭공정을 생략하고 정련공정 이후에 소재원사의 표면을 개질하는 표면개질공정을 수행하되, 표면개질공정을 수행할 때 적어도 2종의 커플링제를 조합하여 혼합한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애칭공정의 생략함에 따라 염산(HCL)용액의 사용을 배제하여 친환경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적어도 2종의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표면개질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소재원사에 도전성물질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련 단계(S10), 표면 개질 단계(S20), 표면 활성화 단계(S30), 도전성 부여 단계(S40), 유제 처리 단계(S50), 탈수 단계(S60) 및 건조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련 단계(S10)는 나일론 재질의 소재원사를 정련제로 정련하여 소재원사의 표면에 결합된 기름성성분과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즉, 소재원사를 55~65℃로 가열된 정련제 용액에 투입하여 20~40분 동안 정련할 수 있다. 이때 정련제 용액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2g/ℓ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면 개질 단계(S20)는 정련 단계(S10)에서 분순물이 제거된 소재원사를 표면개질제로 소재원사의 표면을 개질하는 공정이다.
즉, 애칭공정의 생략에 따라 소재원사를 표면개질제에 투입하여 표면개질제의 온도를 30℃에서 70~90℃로 점진적으로 승온시키면서 120~240분 동안 소재원사의 표면을 충분히 개질하여 도선성물질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핵심 전처리 공정이다.
이때 표면개질제는 커플링제,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촉매제, 커플링제의 겔화를 방지하는 겔화방지제, 소재원사와 도전성물질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본딩제, 본딩제의 작용을 보조하는 본딩보조제, 색상조정제를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촉매제로는 아세트산(acet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겔화방지제로는 메르캅토에탄올(mercaptoethanol)을 사용할 수 있다. 본딩제로는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을 사용할 수 있다. 본딩보조제로는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을 사용할 수 있다. 색상조정제로는 우레아(urea)를 사용할 수 있는데, 황산암모늄과의 혼합비율에 따라 도전사의 표면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제로는 메르캅탄실란(mercaptopropyltrimethoxy silane)과 아미노실란(aminopropyltrmethxy silane)과 에폭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pcy silasn)을 포함하는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커플링제는 애칭공정의 생략에 따라 소재원사와 도전성물질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메르캅탄실란과 아미노실란과 에폭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을 동일한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혼합비율은 조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데, 메르캅탄실란과 아미노실란만을 사용할 경우 1:1 내지 1:0.5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메르캅탄실란과 에폭시실란만을 사용할 경우 1: 0.5 내지 1:0.7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아미노실란과 에폭시실란을 모두 사용할 경우 1:0.5:0.5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면 활성화 단계(S30)는 표면 개질 단계(S20)를 통해 표면이 개질된 소재원사의 표면 개질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공정이다.
즉, 표면 개질된 소재원사를 상대적으로 낮은 30~40℃의 온풍으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자연 냉각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2회 반복 수행하여 표면 개질 상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소재원사의 표면이 가열과 냉각의 반복에 따른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면서 소재원사의 표면 개질 상태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이후에 수행하는 도전성 부여 단계(S40)에서 도전성물질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전성 부여 단계(S40)는 표면 개질 단계(S20)와 표면 활성화 단계(S30)를 통해 표면이 개질되고 활성화된 소재원사를 도전성물질이 포함된 도전성부여제에 투입하여 소재원사의 표면에 도전성물질을 결합시켜 도전성을 부여하는 공정이다.
즉, 소재원사를 도전성부여제에 투입하여 40~70℃에서 200~400분 동안 처리하여 도전성물질을 소재원사의 표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소재원사는 도전성물질이 표면에 결합된 도전사로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전성부여제는 도전성물질로서 구리화합물인 황산구리(copper sulfate), 환원제인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와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 안정제인 2염기 인산나트륨(dibasic sodium phosphate), pH조정제인 구연산(citric acid)을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성유제 처리 단계(S50)는 도전성 부여 단계(S40)를 통해 도전성물질이 표면에 결합된 도전사를 기능성유제로 유제 처리하는 공정이다.
즉, 도전사를 기능성유제에 투입하여 도전사가 0.35~1.00중량%의 유지분을 갖도록 처리하여 섬유로서의 특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도전성물질의 탈락 방지를 위해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기능성유제로는 촉감개선제, 발수제, 발유제, 기모향상제, 방청제, 유연평활제, 대전방지제, 코팅제, 및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도전사의 사용용도에 대응되도록 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도전사는 기능성유제의 선택 사용에 따라 해사성, 제편성, 제직성, 촉감, 기모성, 기능보호, 발수성, 발유성, 방청성 등의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수 단계(S60)는 기능성유제 처리 단계(S50)를 통해 유제 처리된 도전사를 탈수기를 통해 탈수 처리하는 공정이다.
이때 도전사의 함수율이 25~35%가 되도록 탈수 처리할 수 있다. 즉, 과도한 탈수시 유지분 보유율을 저하시켜 섬유로서의 특성을 훼손하고 미흡한 탈수시 유지분 보유율을 과상승시켜 전도성의 저하 및 후처리공정의 작업애로로 작용하므로 상기 함수율을 갖도록 탈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건조 단계(S70)는 탈수 단계(S60)를 통해 탈수 처리된 도전사를 열풍 건조하여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는 공정이다.
[실시예 1]
50데니어의 나일론원사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g/ℓ로 정련하였다. 그리고 나일론원사를 메르캅탄실란과 아미노실란을 1:1의 중량비(5~30g/ℓ)로 혼합한 커플링제와 아세트산 1~5g/ℓ와 메르캅토에탄올 5~15g/ℓ와 이소프로필알콜 10~40g/ℓ와 우레아 10~40g/ℓ과 황산암모늄 10~30g/ℓ를 물에 용해시켜 1:15의 액비로 조성한 표면개질제로 30℃에서 80℃까지 30분간격으로 10℃정도로 승온시키면서 150분동안 표면 개질한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런 다음 나일론원사를 30분 동안 40℃로 가열한 후 자연 냉각시키는 표면 활성화 공정을 2회에 걸쳐서 수행하였다. 그리고 황산구리와 티오황산나트륨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2염기 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을 혼합 조성한 도전성부여제로 도전 처리한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리고 도전 처리된 도전사를 기능성 유제로 처리하고 탈수한 후 열풍으로 건조하여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2]
70데니어의 나일론원사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g/ℓ로 정련하였다. 그리고 나일론원사를 메르캅탄실란 5~30g/ℓ와 아미노실란 5~20g/ℓ와 에폭시실란 5~15g/ℓ를 혼합한 커플링제와 아세트산 1~5g/ℓ와 메르캅토에탄올 5~15g/ℓ와 이소프로필알콜 10~40g/ℓ와 우레아 10~40g/ℓ과 황산암모늄 10~30g/ℓ를 물에 용해시켜 1:15의 액비로 조성한 표면개질제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표면 개질한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런 다음 나일론원사를 30분동안 40℃로 가열한 후 자연 냉각시키는 표면 활성화 공정을 2회에 걸쳐서 수행하였다. 그리고 황산구리와 티오황산나트륨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2염기 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을 혼합 조성한 도전성부여제로 도전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도선 처리된 도전사를 기능성 유제로 처리하고 탈수한 후 열풍 건조하여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1]
50데니어의 나일론원사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g/ℓ로 정련하였다. 그리고 나일론원사를 농도 35%의 염산(HCL)을 희석한 용액으로 55℃에서 30분 동안 애칭한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런 다음 나일론원사를 메르캅탄실란 5~30g/ℓ을 커플링제로 하고 아세트산 1~5g/ℓ와 메르캅토에탄올 5~15g/ℓ와 이소프로필알콜 10~40g/ℓ와 우레아 10~40g/ℓ과 황산암모늄 10~30g/ℓ를 물에 용해시켜 1:15의 액비로 조성한 표면개질제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표면 개질한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리고 황산구리와 티오황산나트륨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2염기 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을 혼합 조성한 도전성부여제로 도전 처리한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런 다음 도전 처리된 도전사를 기능성 유제로 처리하고 탈수한 후 열풍으로 건조하여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2]
70데니어의 나일론원사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g/ℓ로 정련하였다. 그리고 나일론원사를 농도 35%의 염산(HCL)을 희석한 용액으로 55℃에서 30분 동안 애칭한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런 다음 나일론원사를 메르캅탄실란 5~30g/ℓ을 커플링제로 하고 아세트산 1~5g/ℓ와 메르캅토에탄올 5~15g/ℓ와 이소프로필알콜 10~40g/ℓ와 우레아 10~40g/ℓ과 황산암모늄 10~30g/ℓ를 물에 용해시켜 1:15의 액비로 조성한 표면개질제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표면 개질한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리고 황산구리와 티오황산나트륨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2염기 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을 혼합 조성한 도전성부여제로 도전 처리하고 충분히 수세하였다. 그런 다음 도전 처리된 도전사를 기능성 유제로 처리하고 탈수한 후 열풍으로 건조하여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에 의해 각각 제조된 도전사에 대한 번수, 금속함량, 비저항, 마찰견뢰도의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단, 번수는 KS K ISO 2060: 1994 방식으로 측정하였고, 금속함량은 시료를 산분해한 후 ICP-OES(유도 결합 플라즈마-광학 발광 분광기)로 측정하였으며, 비저항은 ACL 800 MEGOHMMETER를 사용하여 적용전압 10V와 온도 20±2℃와 습도 40±2%R.H 조건에서 측정하였고, 마찰견뢰도는 KS K 0650: 2011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따른 측정결과에 따르면, 염산(HCL)용액을 사용하는 애칭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실시예 1, 2에 의해 제조된 도전사의 번수, 금속함량, 비저항, 마찰견뢰도를 염산(HCL)용액을 사용하는 애칭공정을 수행한 비교예 1, 2에 의해 제조된 도전사의 번수, 금속항량, 비저항, 마찰견뢰도와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2에 의해 제조된 도전사는 비교예 1, 2에 의해 제조된 도전사와 대등한 내구성과 도전성과 대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은 적어도 2종의 커플링제를 혼용하여 소재원사의 표면을 개질하고 소재원사를 일정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자연 냉각시키는 표면 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염산(HCL)용액을 사용하는 애칭공정을 생략함에도 불구하고 소재원사에 도전성물질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염산(HCL)용액의 사용을 배제한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통해 내구성과 도전성이 우수한 양질의 도전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S10: 정련 단계
S20: 표면 개질 단계
S30: 표면 활성화 단계
S40: 전도성 부여 단계
S50: 기능성유제 처리 단계
S60: 탈수 단계
S70: 건조 단계

Claims (4)

  1. 나일론 재질의 소재원사를 정련제로 정련하여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정련된 상기 소재원사를 표면개질제에 투입하여 도선성물질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개질된 상기 소재원사를 상기 도전성물질을 포함한 도전성부여제에 투입하여 상기 도전성물질을 표면에 결합시켜 도전성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물질이 표면에 결합된 도전사를 기능성유제에 투입하여 유제 처리하는 단계; 및
    유제 처리된 상기 도전사를 탈수 처리하는 단계; 및
    탈수된 상기 도전사를 열풍으로 건조하여 상기 도전사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에서
    상기 표면개질제는 커플링제와 아세트산과 메르캅토에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콜과 우레아와 황산암모늄을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메르캅탄실란과 아미노실란과 에폭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2종을 혼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부여제는
    황산구리와 티오황산나트륨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2염기 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을 물에 용해시켜 조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KR1020190011662A 2019-01-30 2019-01-30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KR10216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62A KR102161791B1 (ko) 2019-01-30 2019-01-30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62A KR102161791B1 (ko) 2019-01-30 2019-01-30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326A true KR20200094326A (ko) 2020-08-07
KR102161791B1 KR102161791B1 (ko) 2020-10-05

Family

ID=7204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662A KR102161791B1 (ko) 2019-01-30 2019-01-30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311B1 (ko) * 2020-12-14 2021-06-15 김근소 전도성 및 산화방지성이 우수한 섬유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152A (ja) * 2006-03-10 2007-09-20 Seiko Epson Corp 捺染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用の前処理剤、前処理剤によって処理した布帛、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KR20120115031A (ko) * 2011-04-08 2012-10-17 이상문 기능성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26164B1 (ko) * 2012-06-14 2013-01-24 주식회사 우주염색 나일론 섬유의 전도성 부여방법
KR20130099474A (ko)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동양 황화구리 피막을 갖는 도전성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도전성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152A (ja) * 2006-03-10 2007-09-20 Seiko Epson Corp 捺染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用の前処理剤、前処理剤によって処理した布帛、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KR20120115031A (ko) * 2011-04-08 2012-10-17 이상문 기능성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9474A (ko)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동양 황화구리 피막을 갖는 도전성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도전성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226164B1 (ko) * 2012-06-14 2013-01-24 주식회사 우주염색 나일론 섬유의 전도성 부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311B1 (ko) * 2020-12-14 2021-06-15 김근소 전도성 및 산화방지성이 우수한 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791B1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uiyan et al. Cationization of cotton fiber by chitosan and its dyeing with reactive dye without salt
Freddi et al. Degumming of silk fabric with several proteases
KR101226164B1 (ko) 나일론 섬유의 전도성 부여방법
KR100292986B1 (ko) 천연염료의염색방법
JP2008514824A (ja) 黄麻を脱ゴム化する方法
CN112647285B (zh) 一种防静电高强度涤纶面料的制备工艺
KR100677834B1 (ko) 직편물에 세탁내구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가공방법
KR20200094326A (ko) 친환경 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의류용 도전사 제조방법
CN109281155B (zh) 一种改性抗菌功能纤维及其制备方法
CN106460307B (zh) 改进纱线或织布的化学和/或物理性质的方法
Khajeh Mehrizi et al. The coloration of polyester fabric with Prangos ferulacea natural dye: new approaches toward a cleaner production
JP5506265B2 (ja) 繊維用処理剤、抗菌抗かび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及び抗菌抗かび性繊維製品
Aniş et al. Sericin removal from silk fibers with eco-friendly alternative methods
KR100861715B1 (ko) 물세탁이 가능한 실크 소재의 유연제 처리방법
Kantouch et al. A novel application of ionic liquid in improvement of the felting resistance of wool
Li et al. Multi-functional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UV absorber and N-halamine
KR101167860B1 (ko) 나일론 섬유처리용 황산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나일론 섬유의 제조방법
KR20190121500A (ko) 항균성, 소취성 및 발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단 가공방법
Sharma et al. Effect of enzymatic treatment on wool fabric
KR101573643B1 (ko) 대전방지성 및 심색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편물의 제조방법
Dorugade et al. Influence of softener on physical properties of polyester/cotton blended fabrics.
Huang et al. Study of the pretreatment and disperse dyeing process for the PLA/cotton blended fabric: high physical resistance and dyeing performance
JP7416525B2 (ja) セルロース製品用の環境に優しい染色プロセス
JP2013036132A (ja) アラミド繊維基材の染色方法
BR0108172A (pt) Composição para cuidado com tecidos, método para tratamento de tecidos, e, uso de um polìmero anfotérico capaz de auto-reticular e/ou de reagir com celul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