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037A - 배터리 조립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조립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037A
KR20200094037A KR1020190011509A KR20190011509A KR20200094037A KR 20200094037 A KR20200094037 A KR 20200094037A KR 1020190011509 A KR1020190011509 A KR 1020190011509A KR 20190011509 A KR20190011509 A KR 20190011509A KR 20200094037 A KR20200094037 A KR 2020009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electrode
battery assembly
assembly module
pouch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140B1 (ko
Inventor
박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40B1/ko
Priority to DE202020100407.7U priority patent/DE202020100407U1/de
Priority to US16/776,223 priority patent/US11239517B2/en
Priority to CN202020150786.6U priority patent/CN212011050U/zh
Publication of KR2020009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0275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모듈은,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가 있는 상부 커버, 상부 커버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가 있는 하부 커버, 일측과 타측에 전극이 연결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복수의 파우치 셀, 복수의 파우치 셀을 수용하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및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 파우치 셀이 수용된 복수의 카트리지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코킹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층식 배터리 조립모듈에 구성된 코킹 파이프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조립과 동시에 셀탭과 전압센싱 버스바가 강하게 접촉되게 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삭제하며, 제품 내(內) 용접검사를 위한 불필요 공간이 삭제되며, 품질 강화 및 진동/충격 조건에서도 안정적 센싱이 가능하며, 부피, 제작 공정수, 공정 사이클 타임, 원가 절감 가능한 배터리 조립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조립모듈{BATTERY ASSEMBL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기술로서, 배터리 셀들이 적층 조립되어 차량의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조립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연료전지 자동차 그리고 전기 자동차는 구동을 위한 전기모터가 모두 설치된 것으로서, 전기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된다.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 운행 중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각 배터리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서브모듈로 구성되며, 각 서브모듈은 한 쌍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다.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셀 중에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외장부재로 사용하여 경량이면서 휘어짐이 가능한 파우치형(POUCHED TYPE) 고전압 배터리 셀이 관심을 받고 있다.
한 쌍의 고전압 배터리 셀은 상부 셀커버와 하부 셀커버 사이에 한 쌍의 고전압 배터리 셀이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셀커버는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면대면 접촉되는 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모듈은 각 배터리 셀에 전압 센싱을 위한 전압 센싱부가 연결된다.
기존의 전압 센싱부는, 배터리 모듈의 개별 셀 전압센싱의 종류에 따라 셀탭(Al, Cu) 및 전압센싱 버스바 3중 용접과, 셀탭(Al, Cu) 및 리셉터클 타입이 있다.
셀탭(Al, Cu) 및 전압센싱 버스바 3중 용접 타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은, 단위 셀 단위로 전압센싱이 필요하므로, 단위셀 전압센싱을 위해 직렬 연결되어 있는 각 셀의 양단(셀 탭)에 전압센싱 버스바가 레이저에 의한 용접이 이루어진다. 전압센싱 버스바는 두 가지의 셀탭(Al, Cu)과 3중 용접된다.
알루미늄(양극), 구리(음극), 구리(전압센싱 버스바)의 3중 용접은 양산라인에서 초기 용접조건 세팅이 매우 까다롭다. 또한, 용접조건의 세팅 후에도 조립제품의 치수 산포, 셀탭의 표면 상태, 셀탭의 각도 등에 의해 용접불량의 품질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상기의 버스바 3중 용접에서는 배터리 모듈 제작과정에서 품질 불량(약용접, 기공 등)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공정이며, 품질 확보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3중 용접을 위하여 먼저 3개의 모재들이 적절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기계 설비 및 제품 내(內) 공간 확보가 필요했다.
용접은 현재 접합기술 중 가장 신뢰받는 기술 중 하나이지만, 3중 용접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배터리 셀의 전압 센싱부에 대해서는 최대한 지양하는 추세이다.
한편, 셀탭(Al, Cu) 및 리셉터클 타입으로는, 엘지화학의 특허출원 제110-2014-0026422호에 ‘리셉터클 구조의 전압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3중 용접을 회피하기 위하여 먼저 용접되어 있는 Cu, Al 셀텝에 집게형(리셉터클이라 함) 단자를 조립함으로써 3중 용접을 회피 가능하지만, 리셉터클 구조 자체가 진동에 취약하고, 조립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리셉터클 타입 전압센싱 버스바에서는, 리셉터클 단자가 진동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일부 차종의 배터리에 적용 된 이후 양산 적용 이력이 거의 없으며, 리셉터클을 셀탭에 조립하는 조립성이 좋지 않아 제작불량의 가능성이 컸다.
본 발명은 기존 배터리 조립모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3중용접, 리셉터클 등 전압센싱 방법과 달리 용접 공정을 삭제하며, 제품 내(內) 용접검사를 위한 불필요 공간이 삭제되며, 품질 강화 및 진동/충격 조건에서도 안정적 센싱이 가능하며, 부피, 제작 공정수, 공정 사이클 타임, 원가 절감 가능한 배터리 조립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조립모듈은,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가 있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가 있는 하부 커버; 일측과 타측에 전극이 연결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복수의 파우치 셀;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서 교대로 상하 방향을 따라 암수 결합되어 적층되며, 상기 파우치 셀을 수용하도록 상호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소의 체결 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중 일부를 상하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체결되는 복수의 코킹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 셀은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제2 카트리지가 각각 삽입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우치 셀은 상하 방향을 따라 극성이 상호 다른 일측 전극과 타측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면서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와 전극 연결부에 접촉되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셀의 일측과 타측 전극은 각각 상방과 하방의 반대로 절곡된 형상이며, 하나의 파우치 셀의 일측 전극과 다른 파우치 셀의 타측 전극은 상기 전극센싱 버스바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면서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파우치 셀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가 암수 결합되는 고정 홈부가 테두리부에 마련된 제1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제1 사각 프레임의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 측에 연결되며, 상기 코킹 파이프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부싱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파우치 셀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고정 홈부에 삽입되는 제2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사각 프레임에서 상기 파우치 셀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각 프레임과 상기 제2 사각 프레임의 대응하는 테두리부에는, 암수 결합되면서 길이 방향의 슬립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굴절 구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제2 카트리지는 상하 방향으로 굴절 구간부가 연결되며, 상기 굴절 구간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연결되는 연결 후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각 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버스 홀더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의 접촉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접촉 돌기에 대응하여 가압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트리지의 부싱 홀부의 측부에는 나사 체결용 나사 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부에는 벌집 형상의 벌집 홈부가 마련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파우치 셀의 상면부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부에는 상기 파우치 셀의 저면부가 수용되되, 상기 상부 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중 하나에는 전원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센싱 버스바에 연결되는 센싱 라인; 및 상기 센싱 라인에 연결되는 배터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일측에 전압센싱을 위한 전압센싱 버스바가 마련되는 제1 카트리지; 및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에 대응하여 일측에 가압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전극 연결부가 마련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킹 파이프의 체결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가압됨으로써 하나의 파우치 셀의 한쪽 전극과 다른 파우치 셀의 한쪽 전극이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전압센싱 버스바와 접촉되며, 하나의 파우치 셀의 다른 한쪽 전극이 상기 전극 연결부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의 3중용접, 리셉터클 등 전압센싱 방법과는 달리 적층식 배터리 조립모듈에 구성된 코킹 파이프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조립과 동시에 셀탭과 전압센싱 버스바가 강하게 접촉되게 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삭제하며, 제품 내(內) 용접검사를 위한 불필요 공간이 삭제되며, 품질 강화 및 진동/충격 조건에서도 안정적 센싱이 가능하며, 부피, 제작 공정수, 공정 사이클 타임, 원가 절감 가능한 배터리 조립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모듈의 입체도,
도 2는 도 1의 상부 커버 분해도,
도 3은 도 2의 복수의 카트리지와 파우치 셀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도 5는 도 2의 파우치 셀,
도 6은 도 2의 제2 카트리지와 가압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모듈(100)은,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101)가 있는 상부 커버(110), 상부 커버(110)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101)가 있는 하부 커버(120), 일측과 타측에 전극(131, 132)이 연결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복수의 파우치 셀(130), 복수의 파우치 셀(130)을 수용하면서 적층되는 복수의 카트리지(140), 및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 사이에 파우치 셀(130)이 수용된 복수의 카트리지(14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코킹 파이프(17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는 사각 형상의 판재로서, 양측에 한 쌍의 체결 홀부(101)가 형성된다. 체결 홀부(101)에는 코킹 파이프(170)의 코킹 가공에 의한 체결 시에 접촉 지지할 수 있는 금속 링(120)이 배치된다.
상부 커버(110)의 상면부에는 벌집 형상의 벌집 홈부(105)가 마련된다. 상부 커버(110)의 저면부는 배터리 조립모듈(100)의 가장 상위에 있는 파우치 셀(130)의 상면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커버(120)의 상면부는 배터리 조립모듈(100)의 가장 하위에 있는 파우치 셀(130)의 저면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커버(120) 상에는 차례 대로 복수의 카트리지(140)에 파우치 셀(130)이 수용되면서 적층 배치되며, 최종적으로 상부 커버(1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코킹 파이프(170)가 삽입되어 코팅 처리됨으로써 배터리 조립모듈(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코킹 파이프(170)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에 대응하는 복수개소의 체결 홀부(101)에 삽입되어 복수의 카트리지(140) 중 일부를 상하로 관통함으로써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에 체결되는 코킹 처리에 의해 체결된다.
도시된 코킹 파이프(17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넓게 코킹 처리된 것으로서, 코킹 처리 되기 전에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체결 홀부(101)에 삽입 가능한 좁은 반경 형상을 갖는다. 하부 커버(120)의 체결 홀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 커버(110)의 체결 홀부(101)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의 복수의 카트리지(140)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 사이에서 교대로 상하 방향을 따라 암수 결합되어 적층되며, 파우치 셀(130)을 수용하도록 상호 다른 형상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셀과 복수의 카트리지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파우치 셀(130)은 파우치 셀(130)의 일측 적색 전극(131)이 양극이라면 타측 청색 전극(132)은 음극이 된다.
이러한 파우치 셀(130)의 일측과 타측 전극(131, 132)은 각각 상방과 하방의 반대로 절곡된 형상이다. 하나의 파우치 셀(130)의 일측 전극(131)과 다른 파우치 셀(130)의 타측 전극(132)은 전극센싱 버스바(151)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면서 상호 접촉되며, 코킹 파이프(170)에 의한 체결력을 받는 후술되는 가압부(161)에 의해 전극센싱 버스바(151)에 견고하게 접촉된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카트리지(140)는 일측에 전압센싱을 위한 전압센싱 버스바(151)가 마련되는 제1 카트리지(150)와, 전압센싱 버스바(151)에 대응하여 일측에 가압부(161)가 마련되며 타측에 전극 연결부(163)가 마련된 제2 카트리지(160)를 포함한다.
파우치 셀(130)은 제1 카트리지(150)의 상부와 하부에 제2 카트리지(160)가 각각 삽입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카트리지(150)의 상부와 하부에서 제1 카트리지(150)와 제2 카트리지(16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150)와 제2 카트리지(160)는 코킹 파이프(170)가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에 체결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코킹 파이프(170)에 의한 체결 압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제1 카트리지(150)와 제2 카트리지(160)는 파우치 셀(130)이 수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제1 카트리지(150)와 제2 카트리지(160)는 코킹 파이프(170)의 체결에 의해 가압부(161)가 가압됨으로써 하나의 파우치 셀(130)의 한쪽 전극(131)과 다른 파우치 셀(130)의 한쪽 전극(132)이 제1 카트리지(150)의 전압센싱 버스바(151)와 접촉되며, 상하로 배치된 하나의 파우치 셀(130)과 다른 하나의 파우치 셀(130) 전극(131, 132)들이 전극 연결부(163)에 접촉되어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 셀(130)에서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제1 카트리지(150)의 전압센싱 버스바(151)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를 체결하는 체결력를 받는 가압부(161)에 의해 파우치 셀(130)의 전극(131, 132)에 자연스럽게 접촉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는, 기존의 용접이나 리셉터클 구조와 작업 관계에서 벗어난 연결 구조와 작업 상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모듈(100)은, 복수의 파우치 셀(130)의 전극(131, 132)이 상하 및 좌우 교대로 직렬로 연결된 양상이다. 이러한 파우치 셀(130)의 직렬 연결은 상하 방향을 따라 극성이 상호 다른 일측 전극(131)과 타측 전극(132)이 교대로 배치되면서 전압센싱 버스바(151)와 전극 연결부(163)에 접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전압센싱 버스바(15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의 접촉 돌기(152)가 마련되며, 가압부(161)의 하부에는 접촉 돌기(152)에 대응하여 가압 돌기(16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161)의 가압 돌기(162)와 전극(131, 132) 및 접촉부의 접촉 돌기(152)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접촉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제1 카트리지(150)는, 파우치 셀(130)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제2 카트리지(160)가 암수 결합되는 고정 홈부(156)가 테두리부에 마련된 제1 사각 프레임(155)과, 제1 사각 프레임(155)의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 측에 연결되며, 코킹 파이프(170)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부싱 홀부(157)를 포함한다.
제1 사각 프레임(155)은 상면부와 저면부에 파우치 셀(130)의 배치 수용이 가능한 형상이며, 제2 사각 프레임(165)이 테두리부를 따라 암수 결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제1 사각 프레임(155)의 측부에는 전압센싱 버스바(15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버스 홀더부(158)가 마련된다.
상기에서 도 6을 더 참조하면, 제2 카트리지(160)는 파우치 셀(130)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부의 고정 홈부(156)에 삽입되는 제2 사각 프레임(165)과, 제2 사각 프레임(165)에서 파우치 셀(130)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 바(166)를 포함한다.
제2 사각 프레임(165)은 제2 카트리지(160)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수용되는 각각의 파우치 셀(130)을 지지 바(166)에 의해 분리한다.
지지 바(166)는 제2 사각 프레임(165)의 너비 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 바(166)는 제2 사각 프레임(165)의 얇은 테두리부를 지지함으로써 파우치 셀(130)의 수용을 유지할 수 있는 인장, 압축 및 비틀림 강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각 프레임(155)과 제2 사각 프레임(165)의 대응하는 테두리부에는, 암수 결합되면서 길이 방향의 슬립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굴절 구간부(168)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사각 프레임(155)의 굴절 구간부(168)에 제2 사각 프레임(165)의 굴절 구간부(168)가 대응하여 삽입 배치되어 테두리부의 상하 방향으로는 분리가 가능하지만,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슬립 이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모듈(100)은, 복수의 제1 카트리지(150)와 제2 카트리지(160)는 상하 방향으로 굴절 구간부(168)가 연결되며, 굴절 구간부(168)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에 연결되는 연결 후크부재(17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후크부재(175)는 코킹 파이프(170)에 의해 모서리부가 체결된 배터리 조립모듈(100)의 측벽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에 대해 체결됨으로써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측벽 적층 구조를 견고하게 만든다.
제1 카트리지(150)의 부싱 홀부(157)의 측부에는 나사 체결용 나사 홀부(17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홀부(177)는 배터리 조립모듈(100)의 설치 고정이나 상호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카트리지(140) 중 하나인 상부에 배치된 제2 카트리지(160)에는 전원 단자(18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단자(181)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위한 케이블 연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처리 전원 모듈은, 상기의 전압센싱 버스바(151)에 연결되는 센싱 라인(182)과 센싱 라인(182)에 연결되는 배터리 제어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185)는 전압센싱 버스바(151)에 연결되어 각각의 파우치 셀(130)의 전원을 체크하여 수집하여 외부의 통합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외부 명령에 의해 각각의 파우치 셀(130)의 전압을 평균적으로 통합 제어하여 파우치 셀(130)의 수명을 연장하거나 교체 및 점검시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100: 배터리 조립모듈
110: 상부 커버 111: 체결 홀부
112: 금속 링 115: 벌집 홈부
120: 하부 커버 130: 파우치 셀
131, 132: 전극 140: 복수의 카트리지
150: 제1 카트리지 151: 전압센싱 버스바
152: 접촉 돌기 155: 제1 사각 프레임
156: 고정 홈부 157: 부싱 홀부
158: 버스 홀더부 160: 제2 카트리지
161: 가압부 162: 가압 돌기
163: 전극 연결부 165: 제2 사각 프레임
166: 지지 바 168: 굴절 구간부
170: 코킹 파이프 175: 연결 후크부재
177: 나사 홀부 181: 전원 단자
182: 센싱 라인 185: 배터리 제어부

Claims (12)

  1.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가 있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복수개소에 체결 홀부가 있는 하부 커버;
    일측과 타측에 전극이 연결되며 전기를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복수의 파우치 셀;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서 교대로 상하 방향을 따라 암수 결합되어 적층되며, 상기 파우치 셀을 수용하도록 상호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소의 체결 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중 일부를 상하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체결되는 복수의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셀은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제2 카트리지가 각각 삽입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사이에 수용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우치 셀은 상하 방향을 따라 극성이 상호 다른 일측 전극과 타측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면서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와 전극 연결부에 접촉되어 직렬로 연결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셀의 일측과 타측 전극은 각각 상방과 하방의 반대로 절곡된 형상이며,
    하나의 파우치 셀의 일측 전극과 다른 파우치 셀의 타측 전극은 상기 전극센싱 버스바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면서 상호 접촉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파우치 셀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가 암수 결합되는 고정 홈부가 테두리부에 마련된 제1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제1 사각 프레임의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 측에 연결되며, 상기 코킹 파이프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부싱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파우치 셀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고정 홈부에 삽입되는 제2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사각 프레임에서 상기 파우치 셀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 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각 프레임과 상기 제2 사각 프레임의 대응하는 테두리부에는, 암수 결합되면서 길이 방향의 슬립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굴절 구간부가 마련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제2 카트리지는 상하 방향으로 굴절 구간부가 연결되며,
    상기 굴절 구간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연결되는 연결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모듈.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각 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버스 홀더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의 접촉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접촉 돌기에 대응하여 가압 돌기가 마련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의 부싱 홀부의 측부에는 나사 체결용 나사 홀부가 마련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부에는 벌집 형상의 벌집 홈부가 마련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파우치 셀의 상면부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부에는 상기 파우치 셀의 저면부가 수용되되,
    상기 상부 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중 하나에는 전원 단자가 구비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센싱 버스바에 연결되는 센싱 라인; 및
    상기 센싱 라인에 연결되는 배터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일측에 전압센싱을 위한 전압센싱 버스바가 마련되는 제1 카트리지; 및
    상기 전압센싱 버스바에 대응하여 일측에 가압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전극 연결부가 마련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킹 파이프의 체결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가압됨으로써 하나의 파우치 셀의 한쪽 전극과 다른 파우치 셀의 한쪽 전극이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전압센싱 버스바와 접촉되며, 하나의 파우치 셀의 다른 한쪽 전극이 상기 전극 연결부에 접촉되는 배터리 조립모듈.
KR1020190011509A 2019-01-29 2019-01-29 배터리 조립모듈 KR10262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09A KR102622140B1 (ko) 2019-01-29 2019-01-29 배터리 조립모듈
DE202020100407.7U DE202020100407U1 (de) 2019-01-29 2020-01-27 Batteriezusammenbaumodul
US16/776,223 US11239517B2 (en) 2019-01-29 2020-01-29 Battery assembly module
CN202020150786.6U CN212011050U (zh) 2019-01-29 2020-02-03 电池组装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09A KR102622140B1 (ko) 2019-01-29 2019-01-29 배터리 조립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037A true KR20200094037A (ko) 2020-08-06
KR102622140B1 KR102622140B1 (ko) 2024-01-09

Family

ID=6964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09A KR102622140B1 (ko) 2019-01-29 2019-01-29 배터리 조립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39517B2 (ko)
KR (1) KR102622140B1 (ko)
CN (1) CN212011050U (ko)
DE (1) DE202020100407U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59B1 (ko) * 2023-04-03 2023-05-18 (주)협화산업 배터리셀 카트리지의 케이블 모듈 조립 장치
US11745798B2 (en) 2021-05-17 2023-09-05 Hyundai Motor Company Skateboard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4302A1 (en) * 2019-09-29 2021-06-17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Cell frame set and energy storage device package including cell frame set
CN112072028B (zh) * 2020-09-08 2022-09-20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导向口且能放置极耳断裂的软包支架
KR20240030364A (ko) * 2022-08-30 2024-03-0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82A (ko) * 2010-04-06 2011-10-12 (주)브이이엔에스 배터리모듈
KR20160068446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70072202A (ko) * 2015-10-07 2017-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5787B1 (en) * 2009-10-28 2017-05-31 Yazaki Corporation Bus bar for connecting battery poles, and battery voltage-monitoring device using same
KR101805757B1 (ko) * 2013-08-23 2017-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면에 bms의 통신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841663B1 (ko) 2014-03-0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셉터클 구조의 전압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6068551A1 (ko) * 2014-10-29 2016-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위 전지 팩
US10903473B2 (en) * 2018-11-01 2021-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rminal and busbar attachment method and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82A (ko) * 2010-04-06 2011-10-12 (주)브이이엔에스 배터리모듈
KR20160068446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70072202A (ko) * 2015-10-07 2017-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5798B2 (en) 2021-05-17 2023-09-05 Hyundai Motor Company Skateboard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
KR102533959B1 (ko) * 2023-04-03 2023-05-18 (주)협화산업 배터리셀 카트리지의 케이블 모듈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39517B2 (en) 2022-02-01
CN212011050U (zh) 2020-11-24
US20200243811A1 (en) 2020-07-30
KR102622140B1 (ko) 2024-01-09
DE202020100407U1 (de)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4037A (ko) 배터리 조립모듈
JP6088185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5255621B2 (ja) バッテリ・パック、自動車、バッテリ・パックの補強方法、及びバッテリ・パックの形成方法
US739360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EP3905370B1 (en) Battery pack and automobile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EP2808921B1 (en) Battery module
US7892669B2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EP2808922A1 (en) Battery module
EP2658008B1 (en) Battery Module
KR101252935B1 (ko) 배터리 모듈
KR101883915B1 (ko)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9012063B2 (en) Battery module
EP3255703B1 (en) Battery pack
EP2450980B1 (en) Battery module
US11949126B2 (en) Non-welding typ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using same
KR201300235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CN113937400B (zh) 架体、支架、电池模组以及储能电源
KR20150069733A (ko) 배터리 모듈
US9379366B2 (en) Battery module
EP2490277B1 (en) Battery Module
KR20150109078A (ko) 배터리 모듈
CN114256544A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150091754A (ko) 배터리 모듈
CN111316464A (zh) 电化学电池单元组、能量储存模块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