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968A -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 Google Patents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968A
KR20200092968A KR1020207015268A KR20207015268A KR20200092968A KR 20200092968 A KR20200092968 A KR 20200092968A KR 1020207015268 A KR1020207015268 A KR 1020207015268A KR 20207015268 A KR20207015268 A KR 20207015268A KR 20200092968 A KR20200092968 A KR 2020009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beams
intensity threshold
beam intensity
signa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랄 사디크
무함마드 나즈물 이슬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703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0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7Detection of non-compliance or faulty performance, e.g. response devi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 (UE)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UE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UE 는,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상호 참조들
본 특허출원은 Sadiq 등에 의해 "Determining Beam Candidates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Signal" 의 명칭으로 2018년 11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6/189,229호, 및 Sadiq 등에 의해 "Determining Beam Candidates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Signal" 의 명칭으로 2017년 1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592,392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이 출원들의 각각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 전부 참조로 명백히 통합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들 (예컨대,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중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롱 텀 에볼루션 (LTE) 시스템들, LTE-어드밴스드 (LTE-A) 시스템들, 또는 LTE-A Pro 시스템들과 같은 제 4 세대 (4G) 시스템들, 및 뉴 라디오 (NR) 시스템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제 5 세대 (5G)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확산-OFDM (DFT-S-OFDM) 과 같은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은, 다르게는 사용자 장비 (UE) 로서 공지될 수도 있는 다중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밀리미터파 (mmW) 주파수 범위들, 예컨대, 28 GHz, 40 GHz, 60 GHz 등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들 주파수들에서의 무선 통신물들은 증가된 신호 감쇠 (예컨대, 경로 손실) 와 연관될 수도 있으며, 이는 온도, 기압, 회절 등과 같은 다양한 팩터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빔포밍과 같은 신호 프로세싱 기법들이, 에너지를 코히어런트하게 결합하고 이들 주파수들에서의 경로 손실을 극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mmW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경로 손실의 증가된 양으로 인해, 기지국 및/또는 UE 로부터의 송신물들이 빔포밍될 수도 있다. 더욱이, 수신 디바이스는, 송신물들이 지향성 방식으로 수신되도록 안테나(들) 및/또는 안테나 어레이(들)를 구성하기 위해 빔포밍 기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다수의 레퍼런스 신호들 (RS들) 중으로부터 가장 강한 빔을 선택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빔 방향 (예컨대, 빔 식별 (ID)) 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양한 빔들 (예컨대, 빔포밍된 신호들) 을 사용하여 RS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UE 는 이들 RS들을 모니터링하여, 활성 빔들이 되기 위한 '양호한’ 후보 빔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후보 빔 세트를 유지하는 다른 용도들 중에는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들 빔들의 용도가 있다. BFR 신호는 통상적으로, (제어 채널의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과 같이) 특정 기준들이 충족될 때 트리거링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법들은, UE 가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RS들로부터 최상의 후보 빔들을 선택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다.
설명된 기법들은,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개선된 방법들,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설명된 기법들은,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후보 레퍼런스 신호 (RS) 빔을 선택할 때 사용자 장비 (UE) 가 사용하기 위한 기준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UE 는 빔 실패 조건에서 동작하고 있음, 예컨대, 활성 빔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준들이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하였음을 식별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 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RS 빔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RS 빔들은 동기화 신호 (SS) 빔들,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빔들, 채널 상태 정보 RS (CSI-RS) 빔들, 빔 정세 신호 빔들 등과 연관될 수도 있다. UE 는, 임계치가 만족될 경우 BFR 신호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후보들인 빔(들)을 일반적으로 정의하는 빔 강도 임계치 레벨로 구성될 수도 있다. UE 는 임의의 RS 빔들로부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 다음, RS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리소스들은 빔 방향, 빔 형상, 빔 식별자 (ID)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된 RS 빔들 중 어느 것도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않은 경우, UE 는 임의의 검출된 RS 빔을 선택할 수도 있고/있거나 최고 빔 강도를 갖는 검출된 RS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의 방법이 설명된다. 그 방법은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는 수단,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다른 장치가 설명된다. 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게 하고,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안테나와 같은 하드웨어가,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게 하고,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리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리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레퍼런스 신호 빔이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될 수도 있음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빔 강도 메트릭은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메트릭,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메트릭, 또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 (SINR), 또는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리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리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은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특징들, 수단들, 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2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들을 도시한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UE 를 포함한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8 내지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예시한다.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밀리미터파 (mmW) 주파수 범위들 (예컨대, 28 GHz, 40 GHz, 60 GHz 등) 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들 주파수들에서의 무선 통신물은 증가된 신호 감쇠 (예컨대, 경로 손실) 와 연관될 수도 있으며, 이는 온도, 기압, 회절 등과 같은 다양한 팩터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빔포밍 (예컨대, 지향성 송신) 과 같은 신호 프로세싱 기법들이, 신호 에너지를 코히어런트하게 결합하고 특정 빔 방향들에서의 경로 손실을 극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다수의 후보 빔들 중으로부터 가장 강한 빔을 선택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활성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mmW 시스템들에 있어서, 다양한 레퍼런스 신호들 (RS들) 은 특정 링크 버짓 (예컨대, 매체 상으로 통신할 경우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와 연관된 이득들 및 손실들의 어카운팅) 을 충족시키기 위해 빔포밍될 수도 있다. 특히, 빔포밍은 특정 방향으로 무선 신호들의 강도 또는 전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은 개별 안테나 포트들 및 신호들의 크기 및 위상을 적절히 가중함으로써 다양한 방향들에서 빔들을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들의 서브어레이들에 연결된 수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상이한 빔 ID들을 사용하여 다중의 방향들로 RS들을 송신하기 위해 빔포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비 (UE) 는 mmW 시스템들에 대한 활성 빔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후보 빔들을 식별하기 위해 RS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UE 는, UE 가 제어 채널의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이 임계치를 충족시키지 못함을 결정하는 경우와 같이 빔 실패 조건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 는 새로운 활성 빔을 식별하기 위해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시스템들은, UE 가 BFR 신호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빔을 선택하게 하는 기준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처음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UE 는 빔 실패 조건이 발생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 는,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예컨대, 특정 경로 손실 또는 송신 전력 조건을 충족시키는 검출된 RS 빔들로부터의 빔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다. 그 다음, UE 는, RS 빔들의 빔 방향들 중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RS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면, UE 는 RS 빔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RS 빔들 중 어느 것도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BFR 신호의 송신을 위해, UE 는 임의의 검출된 RS 빔을 선택할 수도 있고, 최고 빔 강도를 갖는 검출된 RS 빔을 선택할 수도 있는 등등이다. 이에 따라, UE 는 RS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 예컨대, 빔 방향 리소스들, 빔 형상 리소스들, 빔 타이밍 리소스들 등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추가로,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되는 장치 다이어그램들, 시스템 다이어그램들, 및 플로우차트들을 참조하여 예시 및 설명된다.
도 1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기지국들 (105), UE들 (115), 및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롱 텀 에볼루션 (LTE) 네트워크, LTE-어드밴스드 (LTE-A) 네트워크, LTE-A Pro 네트워크, 또는 뉴 라디오 (NR)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강화된 브로드밴드 통신, 초고 신뢰가능 (예컨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저 레이턴시 통신, 또는 저 비용 및 저 복잡도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들을 통해 UE들 (115)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105) 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무선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트랜시버, 노드 B, e노드B (eNB), 차세대 노드 B 또는 기가 노드 B (이들 중 어느 하나는 gNB 로서 지칭될 수도 있음), 홈 노드B, 홈 e노드B, 또는 기타 다른 적합한 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그것들로서 당업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5) (예컨대, 매크로 또는 소형 셀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115) 은 매크로 eNB들, 소형 셀 eNB들, gNB들, 중계기 기지국들 등을 포함한 다양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5) 및 네트워크 장비와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 (105) 은, 다양한 UE들 (115) 과의 통신이 지원되는 특정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과 연관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 (105) 은 통신 링크들 (125) 을 통해 개별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고, 기지국 (105) 과 UE (115) 사이의 통신 링크들 (125) 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에 도시된 통신 링크들 (125) 은 UE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으로의 업링크 송신들, 또는 기지국 (105) 으로부터 UE (115) 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송신들은 또한 순방향 링크 송신들로 지칭될 수도 있는 한편, 업링크 송신들은 또한 역방향 링크 송신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에 대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은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의 오직 일부분만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셀과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지국 (105) 은 매크로 셀, 소형 셀, 핫 스팟, 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들,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이동가능하고, 따라서, 이동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상이한 기술들과 연관된 상이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은 중첩할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술들과 연관된 중첩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은 동일한 기지국 (105) 에 의해 또는 상이한 기지국들 (105) 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예를 들어,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5) 이 다양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에 대해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이종의 LTE/LTE-A/LTE-A Pro 또는 NR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셀" 은 (예컨대, 캐리어 상으로) 기지국 (105) 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통신 엔티티를 지칭하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캐리어를 통해 동작하는 이웃한 셀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예컨대, 물리 셀 식별자 (PCID), 가상 셀 식별자 (VCID)) 와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캐리어는 다중의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상이한 셀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상이한 프로토콜 타입들 (예컨대, 머신 타입 통신 (MTC), 협대역 사물 인터넷 (NB-IoT), 강화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eMBB) 등등) 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용어 "셀" 은, 논리적 엔티티가 동작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의 일부 (예컨대, 섹터) 를 지칭할 수도 있다.
UE들 (115)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전반에 걸쳐 산재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UE (115)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UE (115) 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가입자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 는 또한 유닛, 스테이션,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5) 는 또한, 셀룰러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또한,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만물 인터넷 (IoE) 디바이스, 또는 MTC 디바이스 등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이는 어플라이언스들, 차량들, 계측기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MTC 또는 IoT 디바이스들과 같은 일부 UE들 (115) 은 저비용 또는 저 복잡도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고, (예컨대, 머신-투-머신 (M2M) 통신을 통해) 머신들 간의 자동화된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M2M 통신 또는 MTC 는 디바이스들이 인간 개입 없이 서로 또는 기지국 (105) 과 통신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 기술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M2M 통신 또는 MTC 는, 정보를 측정하거나 캡처하고 그 정보를 중앙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중계하기 위한 센서들 또는 계측기들을 통합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중앙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정보를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인간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일부 UE들 (115) 은 정보를 수집하거나 머신들의 자동화된 거동을 인에이블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은 스마트 계측, 재고 모니터링, 수위 모니터링, 장비 모니터링, 헬스케어 모니터링, 야생생물 모니터링, 기상 및 지질학적 이벤트 모니터링, 차량 관리 및 추적, 원격 보안 감지, 물리적 액세스 제어, 및 트랜잭션 기반 비즈니스 청구를 포함한다.
일부 UE들 (115) 은 하프-듀플렉스 통신과 같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동작 모드들 (예컨대, 송신 및 수신 동시가 아닌 송신 또는 수신을 통한 일방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 을 채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하프-듀플렉스 통신은 감소된 피크 레이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UE들 (115) 에 대한 다른 전력 보존 기법들은, 활성 통신에 관여하지 않거나 또는 (예컨대, 협대역 통신에 따른) 제한된 대역폭 상으로 동작할 경우 전력 절약 "딥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들 (115) 은 크리티컬 기능들 (예컨대, 미션 크리티컬 기능들) 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이들 기능들에 대해 초고 신뢰가능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 (115) 는 또한, (예컨대, 피어-투-피어 (P2P) 또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 (D2D)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UE들 (115) 과 직접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D2D 통신을 활용하는 UE들 (115) 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은 기지국 (105) 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내에 있을 수도 있다. 그러한 그룹에서의 다른 UE들 (115) 은 기지국 (105) 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밖에 있을 수도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 (105) 으로부터의 송신물들을 수신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D2D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UE들 (115) 의 그룹들은 일 대 다 (1:M) 시스템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UE (115) 는 그룹에서의 모든 다른 UE (115) 로 송신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D2D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의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D2D 통신은 기지국 (105) 의 관여없이 UE들 (115) 사이에서 실행된다.
기지국들 (105) 은 코어 네트워크 (130) 와 그리고 서로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 (105) 은 백홀 링크들 (132) 을 통해 (예컨대, S1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130) 와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백홀 링크들 (134) 상으로 (예컨대, X2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적으로 (예컨대, 기지국들 (105)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컨대,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 (130) 는 사용자 인증, 액세스 인가, 추적, 인터넷 프로토콜 (IP) 접속성, 및 다른 액세스, 라우팅, 또는 이동성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 (130) 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적어도 하나의 서빙 게이트웨이 (S-GW), 및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게이트웨이 (P-GW)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진화된 패킷 코어 (EPC) 일 수도 있다. MME 는 EPC 와 연관된 기지국들 (105) 에 의해 서빙되는 UE들 (115) 에 대한 이동성, 인증, 및 베어러 관리와 같은 비-액세스 스트라텀 (예컨대, 제어 평면) 기능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사용자 IP 패킷들은 S-GW 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S-GW 자체는 P-GW 에 연결될 수도 있다. P-GW 는 IP 어드레스 할당뿐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P-GW 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IP 서비스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터 IP 서비스들은 인터넷, 인트라넷(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또는 패킷 스위칭 (PS) 스트리밍 서비스로의 액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일부는, 액세스 노드 제어기 (ANC) 의 일 예일 수도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와 같은 서브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는 다수의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송신 엔티티들을 통해 UE들 (115) 과 통신할 수도 있고, 그 다수의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송신 엔티티들은 무선 헤드, 스마트 무선 헤드, 또는 송신/수신 포인트 (TRP)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 있어서,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기지국 (105) 의 다양한 기능들은 다양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예컨대, 무선 헤드들 및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 에 걸쳐 분산되거나 또는 단일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컨대, 기지국 (105)) 에 통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통상적으로 300 MHz 내지 300 GHz 의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300 MHz 내지 3 GHz 의 영역은 울트라-고주파수 (UHF) 영역 또는 데시미터 대역으로서 공지되는데, 왜냐하면 파장들이 길이가 대략 1 데시미터로부터 1 미터까지의 범위에 이르기 때문이다. UHF파들은 빌딩들 및 환경적 특징부들에 의해 차단되거나 또는 재지향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파들은, 매크로 셀이 옥내에 위치된 UE들 (115) 에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하게 구조물들을 관통할 수도 있다. UHF파들의 송신은, 300 MHz 미만의 스펙트럼의 고주파수 (HF) 또는 초고주파수 (VHF) 부분의 더 작은 주파수들 및 더 긴 파들을 사용한 송신에 비해 더 작은 안테나들 및 더 짧은 범위 (예컨대, 100 km 미만) 와 연관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또한, 센티미터 대역으로서 또한 공지된 3 GHz 로부터 30 GHz 까지의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여 수퍼 고주파수 (SHF) 영역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SHF 영역은 5 GHz 산업용 과학용 및 의료용 (ISM) 대역들과 같은 대역들을 포함하며, 이는 다른 사용자들로부터의 간섭을 견딜 수 있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기회주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또한, 밀리미터 대역으로서 또한 공지된 (예컨대, 30 GHz 로부터 300 GHz 까지의) 스펙트럼의 극고주파수 (EHF) 영역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UE들 (115) 과 기지국들 (105) 사이의 밀리미터 파 (mmW)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고, 개별 디바이스들의 EHF 안테나들은 UHF 안테나들보다 훨씬 더 작고 더 근접하게 이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는 UE (115) 내의 안테나 어레이들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EHF 송신물들의 전파는 SHF 또는 UHF 송신물들보다 훨씬 더 큰 대기 감쇠 및 더 짧은 범위를 겪게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들을 사용하는 송신물들에 걸쳐 채용될 수도 있으며, 이들 주파수 영역들에 걸친 대역들의 지정된 사용은 국가 또는 규제 기관에 의해 상이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허가 및 비허가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들 양자 모두를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5 GHz ISM 대역과 같은 비허가 대역에서 허가 보조 액세스 (LAA), LTE 비허가 (LTE-U) 무선 액세스 기술, 또는 NR 기술을 채용할 수도 있다. 비허가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들에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들 (105) 및 UE들 (115) 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은 LBT (listen-before-talk) 절차들을 채용하여 주파수 채널이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클리어임을 보장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비허가 대역들에서의 동작들은 허가 대역 (예컨대, LAA) 에서 동작하는 CC들과 함께 CA 구성에 기초할 수도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동작들은 다운링크 송신들, 업링크 송신들, 피어-투-피어 송신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듀플렉싱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FDD), 시간 분할 듀플렉싱 (TDD), 또는 그 양자 모두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또는 UE (115) 에는 다중의 안테나들이 장비될 수도 있으며, 이 다중의 안테나들은 송신 다이버시티, 수신 다이버시티,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또는 빔포밍과 같은 기법들을 채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송신 디바이스 (예컨대, 기지국 (105)) 와 수신 디바이스 (예컨대, UE (115)) 사이의 송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송신 디바이스에는 다중의 안테나들이 장비되고 수신 디바이스들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이 장비된다. MIMO 통신은 상이한 공간 계층들을 통해 다중의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중경로 신호 전파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공간 멀티플렉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중의 신호들은, 예를 들어, 상이한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통해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다중의 신호들은 상이한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통해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다중의 신호들의 각각은 별도의 공간 스트림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예컨대, 동일한 코드워드) 또는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과 연관된 비트들을 운반할 수도 있다. 상이한 공간 계층들은 채널 측정 및 리포팅을 위해 사용된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MIMO 기법들은 다중의 공간 계층들이 동일한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단일 사용자 MIMO (SU-MIMO), 및 다중의 공간 계층들이 다중의 디바이스들로 송신되는 다중 사용자 MIMO (MU-MIMO) 를 포함한다.
공간 필터링, 지향성 송신, 또는 지향성 수신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빔포밍은,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사이의 공간 경로를 따라 안테나 빔 (예컨대,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을 성형화 또는 스티어링하기 위해 송신 디바이스 또는 수신 디바이스 (예컨대, 기지국 (105) 또는 UE (115)) 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신호 프로세싱 기법이다. 빔포밍은,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특정 배향들로 전파하는 신호들이 보강 간섭을 경험하는 한편 다른 신호들은 상쇄 간섭을 경험하도록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통해 통신된 신호들을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통해 통신된 신호들의 조정은 송신 디바이스 또는 수신 디바이스가 그 디바이스와 연관된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각각을 통해 운반되는 신호들에게 특정 진폭 및 위상 오프셋들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각각과 연관된 조정들은 (예컨대, 송신 디바이스 또는 수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어레이에 대하여 또는 일부 다른 배향에 대하여) 특정 배향과 연관된 빔포밍 가중치 세트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기지국 (105) 은 UE (115) 와의 지향성 통신을 위한 빔포밍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중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어레이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신호들 (예컨대, 동기화 신호들, 레퍼런스 신호들, 빔 선택 신호들, 또는 다른 제어 신호들) 은 상이한 방향들로 다수회 기지국 (105) 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으며, 이는 송신의 상이한 방향들과 연관된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 세트들에 따라 송신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빔 방향들로의 송신물들은 기지국 (105) 에 의한 후속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빔 방향을 (예컨대, 기지국 (105) 또는 UE (115) 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데이터 신호들과 같은 일부 신호들은 단일 빔 방향 (예컨대, UE (115) 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방향) 으로 기지국 (105) 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단일 빔 방향을 따른 송신물들과 연관된 빔 방향은 상이한 빔 방향들로 송신되었던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15) 는 상이한 방향들로 기지국 (105) 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UE (115) 는, 최고 신호 품질 또는 그렇지 않으면 용인가능한 신호 품질로 수신된 신호의 표시를 기지국 (105) 에 리포팅할 수도 있다. 비록 이들 기법들이 기지국 (105) 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방향들로 송신된 신호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UE (115) 는 (예컨대, UE (115) 에 의한 후속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빔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상이한 방향들로 다수회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또는 (예컨대, 수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단일 방향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유사한 기법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수신 디바이스 (예컨대, mmW 수신 디바이스의 일 예일 수도 있는 UE (115)) 는, 동기화 신호들, 레퍼런스 신호들, 빔 선택 신호들, 또는 다른 제어 신호들과 같은 다양한 신호들을 기지국 (105) 으로부터 수신할 경우 다중의 수신 빔들을 시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는 상이한 안테나 서브어레이들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상이한 안테나 서브어레이들에 따라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안테나 어레이의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에서 수신된 신호들에 적용된 상이한 수신 빔포밍 가중치 세트들에 따라 수신함으로써, 또는 안테나 어레이의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에서 수신된 신호들에 적용된 상이한 수신 빔포밍 가중치 세트들에 따라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다중의 수신 방향들을 시도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임의의 것은 상이한 수신 빔들 또는 수신 방향들에 따른 "리스닝" 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수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일 빔 방향을 따라 수신하기 위해 단일 수신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일 수신 빔은 상이한 수신 빔 방향들에 따른 리스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 빔 방향 (예컨대, 다중의 빔 방향들에 따른 리스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최고 신호 강도, 최고 신호 대 노이즈 비, 또는 그렇지 않으면 용인가능한 신호 품질을 갖도록 결정된 빔 방향) 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또는 UE (115) 의 안테나들은, MIMO 동작들, 또는 송신 또는 수신 빔포밍을 지원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어레이들은 안테나 타워와 같은 안테나 어셈블리에 병치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105) 과 연관된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어레이들은 다양한 지리적 위치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은, 기지국 (105) 이 UE (115) 와의 통신의 빔포밍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는 안테나 포트들의 다수의 행들 및 열들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를 가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UE (115) 는, 다양한 MIMO 또는 빔포밍 동작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계층화된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하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에 있어서, 베어러 또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에서의 통신은 IP 기반일 수도 있다. 무선 링크 제어 (RLC) 계층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어셈블리를 수행하여 논리 채널들 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은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들의 전송 채널들로의 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MAC 계층은 또한 MAC 계층에서의 재송신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을 이용하여, 링크 효율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제어 평면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프로토콜 계층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에 대한 무선 베어러들을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130) 또는 기지국 (105) 과 UE (115) 사이의 RRC 접속의 확립, 구성, 및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리 (PHY) 계층에서, 전송 채널들은 물리 채널들에 맵핑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들 (115) 및 기지국들 (105) 은,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재송신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HARQ 피드백은, 데이터가 통신 링크 (125) 상으로 정확하게 수신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기법이다. HARQ 는 (예컨대,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를 사용한) 에러 검출, 순방향 에러 정정 (FEC), 및 재송신 (예컨대, 자동 반복 요청 (ARQ)) 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HARQ 는 불량한 무선 조건들 (예컨대, 신호 대 노이즈 조건들) 에 있어서 MAC 계층에서의 스루풋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는 동일-슬롯 HARQ 피드백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그 디바이스는 슬롯 내 이전 심볼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특정 슬롯에서 HARQ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그 디바이스는 후속 슬롯에서 또는 일부 다른 시간 인터벌에 따라 HARQ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LTE 또는 NR 에서의 시간 인터벌들은 기본 시간 단위 (이는, 예를 들어, 샘플링 주기 Ts = 1/30,720,000 초를 지칭할 수도 있음) 의 배수로 나타낼 수도 있다. 통신 리소스의 시간 인터벌들은, 각각 10 밀리초 (ms) 의 지속기간을 갖는 무선 프레임들에 따라 조직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프레임 주기는 Tf = 307,200 Ts 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무선 프레임들은 0 내지 1023 의 범위에 이르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 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레임은 0 으로부터 9 까지로 넘버링된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 m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은, 각각 0.5 ms 의 지속기간을 갖는 2개의 슬롯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슬롯은 (예컨대, 각각의 심볼 주기에 프리펜딩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길이에 의존하여) 6 또는 7개의 변조 심볼 주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배제하면, 각각의 심볼 주기는 2048 샘플링 주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최소 스케줄링 단위일 수도 있으며, 송신 시간 인터벌 (TTI)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최소 스케줄링 단위는 서브프레임보다 더 짧을 수도 있거나, 또는 (예컨대, 단축된 TTI들 (sTTI들) 의 버스트들에서 또는 sTTI들을 사용하는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서)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있어서, 슬롯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다중의 미니-슬롯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일부 사례들에 있어서, 미니-슬롯의 심볼 또는 미니-슬롯이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은,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또는 동작의 주파수 대역에 의존하여 지속기간에 있어서 변할 수도 있다. 추가로,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중의 슬롯들 또는 미니-슬롯들이 함께 집성되고 UE (115) 와 기지국 (105)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슬롯 집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용어 "캐리어" 는 통신 링크 (125) 상으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정의된 물리 계층 구조를 갖는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리소스들의 세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 (125) 의 캐리어는, 주어진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물리 계층 채널들에 따라 동작되는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물리 계층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다른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도 있다. 캐리어는 미리정의된 주파수 채널 (예컨대, E-UTRA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 (EARFCN)) 과 연관될 수도 있고, UE들 (115) 에 의한 발견을 위해 채널 래스터에 따라 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캐리어들은 (예컨대, FDD 모드에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일 수도 있거나, (예컨대, TDD 모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물들을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캐리어 상으로 송신된 신호 파형들은 (예컨대, OFDM 또는 DFT-s-OFDM 과 같은 멀티-캐리어 변조 (MCM) 기법들을 사용하여) 다중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캐리어들의 조직 구조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 (예컨대, LTE, LTE-A, LTE-A Pro, NR 등) 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상으로의 통신은 TTI들 또는 슬롯들에 따라 조직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사용자 데이터 뿐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정보 또는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캐리어는 또한, 전용 포착 시그널링 (예컨대, 동기화 신호들 또는 시스템 정보 등) 및 캐리어에 대한 동작을 조정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예컨대, 캐리어 집성 구성에 있어서), 캐리어는 또한, 다른 캐리어들에 대한 동작들을 조정하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포착 시그널링을 가질 수도 있다.
물리 채널들은 다양한 기법들에 따라 캐리어 상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물리 제어 채널 및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DM) 기법들,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FDM) 기법들, 또는 하이브리드 TDM-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물리 제어 채널에서 송신된 제어 정보는 상이한 제어 영역들 사이에서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예컨대, 공통 제어 영역 또는 공통 탐색 공간과 하나 이상의 UE 특정 제어 영역들 또는 UE 특정 탐색 공간들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캐리어는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폭과 연관될 수도 있으며, 일부 예들에 있어서, 캐리어 대역폭은 캐리어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시스템 대역폭" 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대역폭은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의 캐리어들에 대한 다수의 미리결정된 대역폭들 (예컨대, 1.4, 3, 5, 10, 15, 20, 40, 또는 80 MHz)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서빙된 UE (115) 는 캐리어 대역폭의 부분들 또는 전부 상으로 동작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일부 UE들 (115) 은 캐리어 내의 (예컨대, 협대역 프로토콜 타입의 "대역내" 전개) 미리정의된 부분 또는 범위 (예컨대, 서브캐리어들 또는 RB들의 세트) 와 연관되는 협대역 프로토콜 타입을 사용한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MCM 기법들을 채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는 하나의 심볼 주기 (예컨대, 하나의 변조 심볼의 지속기간) 및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여기서, 심볼 주기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역으로 관련된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의해 운반되는 비트들의 수는 변조 방식 (예컨대, 변조 방식의 차수) 에 의존할 수도 있다. 따라서, UE (115) 가 수신하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더 많고 변조 방식의 차수가 더 높을수록, UE (115) 에 대해 데이터 레이트가 더 높을 수도 있다. MIMO 시스템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리소스는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리소스, 시간 리소스, 및 공간 리소스 (예컨대, 공간 계층들) 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다중의 공간 계층들의 사용은 UE (115) 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디바이스들 (예컨대, 기지국들 (105) 또는 UE들 (115)) 은 특정 캐리어 대역폭 상으로의 통신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수도 있거나, 또는 캐리어 대역폭들의 세트 중 하나 상으로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1 초과의 상이한 캐리어 대역폭과 연관된 캐리어들을 통한 동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들 (105) 및/또는 UE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다중의 셀들 또는 캐리어들 상에서의 UE (115) 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캐리어 집성 (CA) 또는 멀티-캐리어 동작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5) 는 캐리어 집성 구성에 따라 다중의 다운링크 CC들 및 하나 이상의 업링크 CC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캐리어 집성은 FDD 및 TDD 컴포넌트 캐리어들 양자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강화된 컴포넌트 캐리어들 (eCC들) 을 활용할 수도 있다. eCC 는 더 넓은 캐리어 또는 주파수 채널 대역폭, 더 짧은 심볼 지속기간, 더 짧은 TTI 지속기간, 또는 수정된 제어 채널 구성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특징들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eCC 는 (예컨대, 다중의 서빙 셀들이 준최적 또는 비-이상적인 백홀 링크를 가질 경우) 캐리어 집성 구성 또는 이중 접속 구성과 연관될 수도 있다. eCC 는 또한, (예컨대, 1 초과의 오퍼레이터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도록 허용되는) 비허가 스펙트럼 또는 공유 스펙트럼에서의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넓은 캐리어 대역폭에 의해 특징지어진 eCC 는, 전체 캐리어 대역폭을 모니터링 가능하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예컨대,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제한된 캐리어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UE들 (115) 에 의해 활용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eCC 는 다른 CC들과는 상이한 심볼 지속기간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다른 CC들의 심볼 지속기간들과 비교할 때 감소된 심볼 지속기간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 짧은 심볼 지속기간은 인접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증가된 스페이싱과 연관될 수도 있다. eCC들을 활용하는 UE (115) 또는 기지국 (105) 과 같은 디바이스는 감소된 심볼 지속기간들 (예컨대, 16.67 마이크로 초) 에서 (예컨대, 20, 40, 60, 80 MHz 등의 주파수 채널 또는 캐리어 대역폭들에 따른) 광대역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eCC 에서의 TTI 는 하나 또는 다중의 심볼 주기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TTI 지속기간 (즉, TTI 에서의 심볼 주기들의 수) 은 가변적일 수도 있다.
NR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허가, 공유, 및 비허가 스펙트럼 대역들의 임의의 조합을 활용할 수도 있다. eCC 심볼 지속기간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유연성은 다중의 스펙트럼들에 걸친 eCC 의 사용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NR 공유 스펙트럼은, 특히, 리소스들의 (예컨대, 주파수에 걸친) 동적 수직 및 (예컨대, 시간에 걸친) 수평 공유를 통해, 스펙트럼 활용도 및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UE (11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UE (115) 는,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양태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은 기지국 (205) 및 UE (215)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의 예들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205) 은 기지국 (205) 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위치된 UE들에 복수의 RS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RS들은 RS 빔들 (210a-210d) 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각각의 RS 빔 (210) 은 연관된 빔 ID, 빔 방향, 빔 심볼들 등을 가질 수도 있다. RS들의 예들은 동기화 신호들 (예컨대,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 (PSS),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 (SSS) 등), 채널 성능 레퍼런스 신호들 (예컨대, 채널 상태 정보 레퍼런스 신호 (CSI-RS), 복조 레퍼런스 신호들 (DMRS들)), 브로드캐스트 빔들 (예컨대, 물리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빔들), 빔 정세 빔들, 또는 그러한 RS들의 임의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205) 은 UE (205) 가 용인가능한 빔을 수신하기 전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터리빙된 지향성 RS 빔들 (210) 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인터리빙된 RS 빔들 (210) 의 그룹들은 상이한 시간 주기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인터리빙된 지향성 RS 빔들 (210) 은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인터리빙된 RS 빔들 (210) 을 사용하지 않은 스위핑 패턴이 사용될 수도 있다.
UE (21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빔 실패 조건은, 활성 빔 (예컨대, 진행중인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빔) 과 연관된 메트릭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졌음을 UE (215) 가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215) 는 제어 채널의 추정된 BLER 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졌음을 결정할 수도 있고, 이는 빔 실패 조건을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UE (215) 는 시간 주기에 걸쳐 기지국 (205) 으로부터 송신된 RS 빔들 (210) 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UE (215) 는 특정 시간 주기 내에 검출된 임의의 RS 빔들 (210) 과 연관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검출된 RS 빔 (210) 에 대해, UE (215) 는 RSRP, RSRQ, SINR, 추정된 BLER 등과 같은 빔 강도 메트릭들을 결정 및/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 (215) 는, 예컨대, 임의의 빔 실패 조건이 식별되기 전에, BFR 신호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예컨대,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후보 빔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UE (215) 는,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RS 빔 (210) 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선택할 경우에 사용될 빔 강도 임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205) 은,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UE (215)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빔 강도 임계치는,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RS 빔 (210) 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선택할 경우 기준으로서 UE (215) 에 의해 사용가능할 수도 있다. BFR 신호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205) 및 UE (215) 가 새로운 활성 빔을 식별하기 위해 빔 복원 절차를 수행하게 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빔 강도 임계치는, 예컨대, 추정된 BLER 임계치와 같은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임계치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215) 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는 추정된 BLER 임계치와는 상이한 BFR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할 최상의 후보 빔을 선택할 경우 빔 강도 임계치 (예컨대, RSRP, RSRQ, SINR 등) 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광범위하게, 이는 BFR 신호의 송신에 적합할 수도 있는 임의의 후보 빔들을 식별하기 위해 UE (215) 를 지원할 수도 있고, 따라서, UE (215) 가 빔 실패 조건으로부터 복원할 수 있는 가능성들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빔 강도 임계치의 계산은,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임계치의 산출보다 UE (215) 에 대해 더 간단할 수도 있다.
UE (215) 는 임의의 RS 빔 (210) 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광범위하게, UE (215) 가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RS 빔들 (210) 을 검출하면, UE (215) 는 이들 RS 빔들 (210) 중 임의의 하나에 대응하는 빔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215) 는, 어느 RS 빔들 (210) 이 임계치를 만족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RS 빔들 (210) 로부터의 빔 강도 메트릭들 (예컨대, RSRP, RSRQ, SINR, BLER 등) 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RS 빔들 (210-a 및 210-b) 은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한 빔 강도 메트릭들을 가질 수도 있고, RS 빔들 (210-c 및 210-d) 은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들을 가질 수도 있다. RS 빔들 (210-c 및 210-d) 사이에서, RS 빔 (210-c) 은 최고 빔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UE (215) 는 RS 빔들 (210) 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세트의 RS 빔들 (210) 중 1 초과의 RS 빔들 (예컨대, RS 빔들 (210-c 및 210-d)) 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응답 옵션으로서, UE (215) 는 1 초과의 RS 빔들 (210) 중 임의의 RS 빔 (예컨대, RS 빔들 (210-c 및 210-d) 중 어느 하나) 을 RS 빔 (210) 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응답 옵션으로서, UE (215) 는 1 초과의 RS 빔들 (210) 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RS 빔 (210) (예컨대, RS 빔 (210-c)) 을 RS 빔 (210) 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 (215) 는 RS 빔 (210) (예컨대, RS 빔 (210-c)) 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부 시나리오들에 있어서, UE (215) 는 임계치를 만족하는 어떠한 RS 빔들 (210) 도 검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215) 는 RS 빔들 (210-c 및 210-d) 이 송신되었을 때 튠-어웨이될 수도 있지만, RS 빔들 (210-a 및 210-b) 이 송신될 때 기지국 (205) 에 튜닝될 수도 있다. 이 사례에 있어서, UE (215) 는 임의의 검출된 RS 빔 (210) (예컨대, RS 빔 (210-a 또는 210-b)) 을 선택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거나, 또는 최고 빔 강도를 갖는 검출된 RS 빔 (210) (예컨대, RS 빔 (210-b)) 을 선택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이는 UE (215) 가 RS 빔들 (210) 의 세트 (예컨대, RS 빔들 (210-a 및 210-b)) 를 검출하는 것, 및 그 세트의 RS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응답 옵션으로서, UE (215) 는 검출된 RS 빔들 (210) 의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RS 빔 (210) 을 RS 빔 (210) 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응답 옵션으로서, UE (215) 는 RS 빔들 (210) 의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RS 빔 (210) 을 RS 빔 (210) 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UE (215) 는, 경로 손실 또는 송신 전력 조건을 만족하는 다수의 빔 방향들 (예컨대, RS 빔 (210)) 을 식별할 수도 있다. 그 다음, UE (215) 는, 용인가능한 빔 방향들 중 추가적인 기준들 (예컨대, 빔 강도 임계치) 을 만족하는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조건들은 시스템 설계에 의존하여 계위적 관계 또는 피어 관계 중 어느 하나에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빔 방향이 정의된 시간 슬롯과 연관되면, BFR 신호가 송신될 수도 있기 전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빔 방향이 선택될 수도 있다. 송신 전력은 선택된 빔 방향에 대한 경로 손실 및 타겟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빔 방향에 대한 경로 손실과 타겟 수신 전력의 합이 최대 송신 전력을 미리결정된 양 초과 만큼 초과하면, BFR 신호는 그 빔 방향을 사용하여 송신되지 않을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BFR 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이한 빔 방향이 선택될 수도 있거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들 양자 모두일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UE (215) 는 지향성 RS 빔들 (210) 을 수신하고, 송신 전력 조건에 기초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후보 빔 방향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BFR 신호 송신 전력 (
Figure pct00001
) 은 다음의 식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2
,
여기서,
Figure pct00003
는 인덱스 i 를 갖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정의되는 구성된 UE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004
은 다운링크 경로 손실 추정치이고 (예컨대, 주어진 빔과 연관된 빔포밍 레퍼런스 신호 (BRS) 의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UE (215) 에 의해 계산됨),
Figure pct00005
는 기지국 (205) 이 BFR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전력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파라미터이다. 전력 송신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시스템 정보 블록 (SIB) 송신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사용하여 기지국 (205) 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원하는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이면:
Figure pct00006
, 빔이 적합한 후보로서 식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빔 방향은, 그 방향에 대응하는 경로 손실이 다음을 만족하면 부적절하거나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7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상이한 파라미터들이 후보 빔 방향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송신 전력은 여전히 최대 송신 전력 (
Figure pct00008
) 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 (215) 는 다음의 식에 따라 전력 갭 파라미터 (
Figure pct00009
) 에 기초하여 적합한 빔 방향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0
이에 따라, 빔 방향은, 그 방향에 대응하는 경로 손실이 다음을 만족하면 부적절하거나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1
즉, UE (215) 는 타겟 수신 전력과 빔 방향에 대한 경로 손실의 합이 최대 송신 전력을 전력 갭 파라미터 미만 만큼 초과하면 빔 방향을 후보로서 식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UE (215) 는 다수의 후보 빔 방향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그 다음, UE (215) 는 빔 방향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 방향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빔 방향은, UE (215) 가 다음 이용가능한 송신 기회 동안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 (215) 는 후보 빔 방향들 (예컨대, 최저 경로 손실 또는 높은 신호 대 노이즈 비를 갖는 방향) 에 대한 채널 메트릭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최고 수신 빔 강도를 갖는 빔 방향이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빔 방향은 후보 빔들 중으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조건들은 시스템 설계에 의존하여 계위적 관계 또는 피어 관계 중 어느 하나에 있을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Figure pct00012
는 BFR 신호에 대한 초기 송신 전력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UE (215) 는 초기에,
Figure pct00013
를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지만, BFR 응답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후속 BFR 신호 송신들에서 송신 전력을 램프-업 (ramp up) 할 수도 있다. 즉,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Figure pct00014
는 최대 송신 전력 (
Figure pct00015
) 보다 작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UE (215) 는 초기에, 주어진 빔 방향 (I) 을 사용하여
Figure pct00016
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UE (215) 는
Figure pct00017
에서 송신하며, 여기서, 파라미터 (
Figure pct00018
) 는 전력 증가의 양을 나타낸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 (215) 는, 현재 선호된 빔이 상이하더라도 (예컨대, 빔 J) 빔 I 을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UE (215) 는 초기에, 빔 I 을 사용하여
Figure pct00019
에서 송신한다. 그 다음, 다음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UE (215) 는 현재 선호되는 빔 (빔 J) 을 사용하여 동일한 전력 레벨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또다른 예에 있어서, UE (215) 는 초기에, 빔 I 을 사용하여
Figure pct00020
에서 송신하고, 그 다음,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새로운 선호된 빔 J 을 사용하여
Figure pct00021
에서 송신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205) 은 구성 메시지에서 후보 빔들을 선택하기 위한 절차들, 송신 전력, 및 전력 램프-업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215) 는 일부 BFR 신호 재송신들에서 송신 전력을 램프-업하고, 다른 BFR 신호 재전송들에서 선호된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215) 가 초기에
Figure pct00022
전력에서 BFR 신호를 송신하면서 그 송신 시간 동안 빔 I 을 선택하고 이 송신이 실패하면, 다음 송신 기회에서, UE (215) 는 전력 레벨
Figure pct00023
을 사용하여 그리고 동일한 빔, 예컨대, 빔 I 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BFR 신호 송신이 실패하면, 다음 송신 기회에서, UE (215) 는 전력
Figure pct00024
을 사용하여 송신하면서 새로운 선호된 빔, 예컨대, 빔 J 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 2 BFR 신호 송신이 실패하면, 다음 송신 기회에서, UE (215) 는 전력 레벨
Figure pct00025
을 사용하여 송신하면서 이전에 선호된 빔 J 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 3 BFR 신호 송신이 실패하면, 다음 송신 기회에서, UE (215) 는 또다른 선호된 빔, 예컨대, 빔
Figure pct00026
으로
Figure pct00027
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인터리빙된 스위핑이 사용되는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 (205) 은 UE (215) 에 브로드캐스팅될 RS 에 대한 빔 방향들의 제 1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 (205) 은 인터리빙된 스위핑을 사용하여 빔포밍에 의해 이러한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 (205) 은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주기에 걸쳐 제 1 복수의 RS 빔들 (210) 을 그리고 서브프레임의 제 2 심볼 주기에 걸쳐 제 2 복수의 RS 빔들 (210) 을 송신할 수도 있다. 제 1 복수의 RS 빔들 (210) 에 대해, 기지국 (205) 은 빔들의 제 1 세트 (예컨대, 빔들 (210-a 및 210-c)) 에서 RS 빔들 (210) 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빔들의 제 1 세트는 방향들의 제 1 세트의 부분에 대응한다. 제 2 심볼 주기 동안, 기지국 (205) 은 빔들의 제 2 세트 (예컨대, 빔들 (210-b 및 210-d)) 에서 제 2 복수의 RS 빔들 (210) 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빔들의 제 2 세트는 빔 방향들의 제 2 세트의 부분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빔 방향들의 제 2 세트는 방향들의 제 1 세트와 인터리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 (210-b) 은 빔 (210-a) 과 빔 (210-c) 사이에 공간적으로 있을 수도 있고, 빔 (210-c) 은 빔 (210-b) 과 빔 (210-d) 사이에 공간적으로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빔들의 제 1 세트는 인터리빙된 빔들의 2개 세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빔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은 더 넓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더 멀리 확산될 수도 있다. 도 2 에 있어서, 빔들의 제 1 세트는 2개의 빔들, 즉, RS 빔들 (210-a 및 210-c) 을 포함할 수도 있고, 빔들의 제 2 세트는 2개의 빔들, 즉, RS 빔들 (210-b 및 210-d)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더 많은 빔들이 빔들의 제 1 및 제 2 세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빔들의 3 이상의 세트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205) 은 빔포밍을 위해 8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빔들의 제 1 세트는 8개의 RS 빔들 (210)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빔들의 제 1 세트는, 8개의 RS 빔들 (210) 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는 빔들의 제 2 세트와 공간적으로 인터리빙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빔들 (210-a 및 210-c) 의 각각은 빔들 (210-b 및 210d) 의 각각과 교번할 수도 있어서, RS 빔들의 제 1 세트 (210-a 및 210-c) 의 제 1 빔이 제 1 각도에서 배향될 수도 있고 빔들의 제 2 세트 (210-b 및 210-d) 의 제 1 빔이 빔들의 제 1 세트 (210-a 및 210-c) 의 제 1 빔에 인접한 제 2 각도에서 배향될 수도 있고, 그 후, 다음 방사 각도에서, 빔들의 제 2 세트 (210-b 및 210-d) 의 제 1 빔에 인접한 제 3 각도에서 배향되는 빔들의 제 1 세트 (210-a 및 210-c) 의 제 2 빔이 뒤따르고, 그 후, 다음 방사 각도에서, 빔들의 제 1 세트 (210-a 및 210-c) 의 제 2 빔에 인접한 제 4 각도에서 배향되는 빔들의 제 2 세트 (210-b 및 210-d) 의 제 2 빔이 뒤따르는 등등일 수도 있다. 그와 같이, 빔들의 제 1 세트는, 기지국 (205) 의 수직 축 주위의 빔들의 제 2 세트의 각도 확산과 대략 동일한 기지국 (205) 의 수직 축 주위의 각도 확산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들의 제 1 세트 및 빔들의 제 2 세트의 각각은 대략 30°내지 90°범위의 각도 확산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각도 확산은 대략 45°일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빔들의 제 1 세트 및 빔들의 제 2 세트는, 예컨대, 엄격히 교번하지는 않는 다른 배열들 또는 패턴들에 따라 인터리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들 중 2개 (210-a 및 210-c) 이후에 빔들 중 2개 (210-b 및 210-d) 가 뒤따르고 그 후에 빔들의 2개 (210-a 및 210-c) 가 뒤따르고 그 후에 빔들 중 2개 (210-b 및 210-d) 가 뒤따르는 등등일 수도 있다.
다른 예들은 기지국 (205) 의 수직 축 주위의 각도 방향으로 뿐 아니라 수직 빔포밍이 사용될 수도 있는 수직 방향으로 빔들의 제 1 세트의 빔들을 빔들의 제 2 세트의 빔들과 인터리빙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S 빔 (210-d) 은 수직 기지국 (205) 축 주위의 제 1 각도 방향으로 RS 빔 (210-b) 위에 (예컨대, RS 빔 (210-b) 보다 수직으로 더 높게 지향되도록) 배향될 수도 있는 한편 RS 빔 (210-c) 은 제 1 각도 방향에 인접한 수직 기지국 (205) 축 주위의 제 2 각도 방향으로 빔 (210-a) 위에 배향될 수도 있다. 빔들의 2 초과의 세트들 (예컨대, 빔들의 3 이상의 세트들) 은 다른 패턴들에 따라 공간 인터리빙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UE (215) 는 기지국 (205) 으로부터 수신된 RS 빔들 (210) 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UE (215) 는 방향들의 제 1 세트로 제 1 복수의 RS 빔들 (210) (예컨대, 빔들 (210-a 및 210-c)) 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 1 복수의 RS 빔들 (210) 의 수신 전력은 방향들의 제 1 세트에 대응하는 낮은 이득으로 인해 약할 수도 있다. UE (215) 는 여전히 RS 빔들 (210-a 및 210-c) 을 디코딩 가능할 수도 있고, 후속하여, (예컨대, BFR 신호에 대해) 기지국 (205) 으로 송신할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 가능할 수도 있다. UE (215) 는 부가적으로, 방향들의 제 2 세트로 제 2 복수의 RS들 (예컨대, 빔들 (210-b 및 210-d)) 을 수신할 수도 있다. 방향들의 제 2 세트로 수신된 RS들은 방향들의 제 1 세트로 수신된 RS들과 관련하여 더 강한 수신 전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방향들의 제 2 세트에 대응하는 더 높은 이득으로 기인할 수도 있다. 그 다음, UE (215) 는 BFR 신호 송신을 위해 제 2 심볼 주기 동안 리소스들을 할당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후속하여, UE (215) 는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BFR 신호는 제 2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된 RS들의 방향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205) 은 UE (215) 로부터의 방향들의 제 1 세트로 빔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UE (215) 로부터의 방향의 제 2 세트로 빔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빔 방향들의 제 2 세트는 빔 방향들의 제 1 세트와 공간적으로 인터리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은, 기지국 (205) 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에 대한 안테나 파라미터들 (예컨대, 위상 및 진폭) 을 변경하여, 기지국 (205) 으로 송신할 빔포밍을 또한 구현하였을 수도 있는 UE들로부터의 특정 시간 및 주파수에서 신호들을 리스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215) 는 빔 복원 절차의 부분일 수도 있는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방향들의 제 1 세트로의 빔들 및 방향들의 제 2 세트로의 빔들의 송신과 유사하게, UE (215) 는, 빔들이 (예컨대, 교번함으로써 또는 다른 패턴에 따라) 기지국 (205) 의 수직 축 주위의 각도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인터리빙되는 그러한 방향들에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빔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는 또한 (예컨대, 교번으로 또는 다른 패턴에 따라) 수직으로 인터리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215) 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 (205) 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RS 빔들 (210) 을 수신하였을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 동안 BFR 신호 또는 다른 시그널링을 기지국 (205) 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 (205) 은 제 1 심볼 주기에서 빔들의 제 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모니터링하고, 제 2 심볼 주기에서 빔들의 제 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심볼 주기들은 서브프레임 (예컨대, 송신을 위한 동기화 서브프레임,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랜덤 액세스 서브프레임) 에서 인접한 심볼 주기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들의 제 1 세트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들의 제 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제 2 심볼에 바로 인접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빔들의 제 1 세트는 서브프레임의 제 1 및 제 2 심볼들 양자 모두에서 RS 빔들 (210) 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한편, RS 빔들 (210) 의 제 2 세트는 서브프레임의 제 3 및 제 4 심볼 양자 모두에서 RS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어서, 예를 들어, 조건들이 열악할 경우 UE (215) 에 의한 성공적인 디코딩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프로세스 (3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프로세스 (300) 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200) 의 양태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300) 는 기지국 (305) 및 UE (310)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의 예들일 수도 있다.
315 에서, 기지국 (305) 은 RS 빔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UE (310) 는 수신할 수도 있음). RS 빔들은 SS 빔들, PBCH 블록들, CSI-RS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320 에서, UE (310)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빔 실패 조건은 정의된 기준들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트리거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식별될 수도 있다. 하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이는 제어 채널의 추정된 BLER 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325 에서, UE (310) 는 임의의 RS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이는 RS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는 것, 및 그 세트의 RS 빔들 중 1 초과의 RS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310) 는 1 초과의 RS 빔들 중 임의의 RS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UE (310) 는 1 초과의 RS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RS 빔을 RS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이는 UE (310) 가 RS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는 것, 및 그 세트의 RS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310) 는 검출된 RS 빔들의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RS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UE (310) 는 RS 빔들의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RS 빔을 RS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UE (310) 는 (예컨대, 기지국 (305) 으로부터)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330 에서, UE (310) 는 RS 빔, 예컨대, 임계치를 만족하는 RS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 (305) 은 수신할 수도 있음).
도 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무선 디바이스 (405) 의 블록 다이어그램 (400) 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 (405)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405) 는 수신기 (410), 통신 관리기 (415), 및 송신기 (42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405) 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수신기 (410) 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과 연관된 패킷들,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정보 (예컨대,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들, 및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 등) 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는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다. 수신기 (410) 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트랜시버 (73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수신기 (410) 는 단일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의 세트를 활용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415) 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 (7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415) 및/또는 그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통신 관리기 (415) 및/또는 그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415) 및/또는 그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는, 기능들의 부분들이 하나 이상의 물리적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통신 관리기 (415) 및/또는 그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별도의 및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통신 관리기 (415) 및/또는 그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는 I/O 컴포넌트, 트랜시버, 네트워크 서버,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41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고,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 (420) 는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송신기 (420) 는 트랜시버 모듈에 있어서 수신기 (410) 와 병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420) 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트랜시버 (73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송신기 (420) 는 단일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의 세트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무선 디바이스 (505) 의 블록 다이어그램 (500) 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 (505) 는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 (405) 또는 UE (1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505) 는 수신기 (510), 통신 관리기 (515), 및 송신기 (52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505) 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수신기 (510) 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과 연관된 패킷들,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정보 (예컨대,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들, 및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 등) 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는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다. 수신기 (510) 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트랜시버 (73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수신기 (510) 는 단일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의 세트를 활용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515) 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 (7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515) 는 또한, 빔 실패 조건 관리기 (525), RS 빔 후보 관리기 (530), 및 BFR 신호 관리기 (53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빔 실패 조건 관리기 (52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RS 빔 후보 관리기 (530)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레퍼런스 신호 빔이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빔 강도 메트릭은 RSRP 메트릭, 또는 RSRQ 메트릭, 또는 SINR, 또는 추정된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BFR 신호 관리기 (535) 는, 결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 (520) 는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송신기 (520) 는 트랜시버 모듈에 있어서 수신기 (510) 와 병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520) 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트랜시버 (73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송신기 (520) 는 단일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의 세트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통신 관리기 (615) 의 블록 다이어그램 (600) 을 도시한다. 통신 관리기 (615) 는 도 4, 도 5, 및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 (415), 통신 관리기 (515), 또는 통신 관리기 (715)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통신 관리기 (615) 는 빔 실패 조건 관리기 (620), RS 빔 후보 관리기 (625), BFR 신호 관리기 (630), RS 빔 세트 관리기 (635), 및 구성 관리기 (64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모듈들의 각각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빔 실패 조건 관리기 (620)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RS 빔 후보 관리기 (625)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레퍼런스 신호 빔이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빔 강도 메트릭은 RSRP 메트릭, 또는 RSRQ 메트릭, 또는 SINR, 또는 추정된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BFR 신호 관리기 (630) 는, 결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RS 빔 세트 관리기 (635) 는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며,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며, 그리고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구성 관리기 (640) 는,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705) 를 포함한 시스템 (700) 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디바이스 (705) 는, 예컨대,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 (405), 무선 디바이스 (505), 또는 UE (115) 의 컴포넌트들의 일 예일 수도 있거나 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705) 는 통신 관리기 (715), 프로세서 (720), 메모리 (725), 소프트웨어 (730), 트랜시버 (735), 안테나 (740), 및 I/O 제어기 (745) 를 포함하여, 통신물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버스들 (예컨대, 버스 (710)) 을 통해 전자 통신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705) 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5)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720) 는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DSP,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 제어기, ASIC, FPGA,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컴포넌트,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프로세서 (720) 는 메모리 제어기를 사용하여 메모리 어레이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기는 프로세서 (720) 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720) 는 다양한 기능들 (예컨대,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들 또는 태스크들) 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 (725)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725) 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730) 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메모리 (725) 는, 다른 것들 중에서, 주변기기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과의 상호작용과 같이 기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는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 (BIOS)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730) 는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730) 는 시스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730) 는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컴퓨터로 하여금 (예컨대, 컴파일되고 실행될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735)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735) 는 무선 트랜시버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무선 트랜시버와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735) 는 또한,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들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기 위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는 단일의 안테나 (74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다중의 무선 송신물들을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 가능할 수도 있는 1 초과의 안테나 (740) 를 가질 수도 있다.
I/O 제어기 (745) 는 디바이스 (705) 에 대한 입력 및 출력 신호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I/O 제어기 (745) 는 또한, 디바이스 (705) 에 통합되지 않은 주변기기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I/O 제어기 (745) 는 외부 주변기기에 대한 물리적 커넥션 또는 포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I/O 제어기 (745) 는 iOS®, ANDROID®, MS-DOS®, MS-WINDOWS®, OS/2®, UNIX®, LINUX®, 또는 다른 공지된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I/O 제어기 (745) 는 모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를 나타내거나 그들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I/O 제어기 (745) 는 프로세서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사용자는 I/O 제어기 (745) 를 통해 또는 I/O 제어기 (745) 에 의해 제어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통해 디바이스 (705) 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8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80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800) 의 동작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115) 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805 에서, UE (11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80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80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빔 실패 조건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810 에서,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81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810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후보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815 에서, UE (115) 는,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안테나와 같은 하드웨어가,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81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81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BFR 신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9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90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900) 의 동작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115) 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905 에서, UE (11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90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90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빔 실패 조건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910 에서,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91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910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후보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915 에서,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91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91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세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920 에서, UE (115) 는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92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920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세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925 에서, UE (115) 는,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안테나와 같은 하드웨어가,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92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92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BFR 신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FR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1000) 을 예시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100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000) 의 동작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115)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115) 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1005 에서, UE (115) 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할 수도 있다. 100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100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빔 실패 조건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1010 에서,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101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1010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후보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1015 에서,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세트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101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101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세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1020 에서, UE (115) 는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1020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1020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RS 빔 세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1025 에서, UE (115) 는,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안테나와 같은 하드웨어가,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BFR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25 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 있어서, 1025 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BFR 신호 관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가능한 구현들을 기술하며 그 동작들 및 단계들은 재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도 있고 다른 구현들이 가능함이 주목되어야 한다. 추가로, 방법들 중 2개 이상의 방법들로부터의 양태들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IS-2000 릴리스들은 일반적으로, CDMA2000 1X, 1X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IS-856 (TIA-856) 은 일반적으로, CDMA2000 1xEV-DO, 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 (HRPD) 등으로서 지칭된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진화된 UTRA (E-UTRA),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의 부분이다. LTE, LTE-A, 및 LTE-A Pro 는 E-UTRA 를 사용한 UMTS 의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LTE-A Pro, NR, 및 GSM 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 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상기 언급된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 뿐 아니라 다른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LTE, LTE-A, LTE-A Pro, 또는 NR 시스템의 양태들이 예시의 목적들로 설명될 수도 있고 LTE, LTE-A, LTE-A Pro, 또는 NR 용어가 설명의 대부분에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LTE, LTE-A, LTE-A Pro, 또는 NR 어플리케이션들을 넘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컨대, 반경이 수 킬로미터) 을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로의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 (115) 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소형 셀은, 매크로 셀과 비교하였을 때, 저-전력공급식 기지국 (105) 과 연관될 수도 있으며, 소형 셀은 매크로 셀들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예컨대, 허가, 비허가 등)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소형 셀들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피코 셀들, 펨토 셀들, 및 마이크로 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예를 들어,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제공자로의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 (115) 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작은 지리적 영역 (예컨대, 홈) 을 커버할 수도 있고,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 (115) (예컨대, CSG (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 (115), 홈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115) 등) 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 는 매크로 eNB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소형 셀에 대한 eNB 는 소형 셀 eNB, 피코 eNB, 펨토 eNB, 또는 홈 eNB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는 하나 또는 다중의 (예컨대, 2개, 3개, 4개 등)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또한, 하나 또는 다중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통신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또는 시스템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기지국들 (105) 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 (105) 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대략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식 동작에 대해, 기지국들 (105) 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 (105) 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중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은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본성에 기인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부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 (CD) 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수록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비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소프트웨어가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예컨대,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중 하나 이상" 과 같은 어구에 의해 시작되는 아이템들의 리스트) 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 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 (예컨대, A 와 B 와 C) 를 의미하도록 하는 포괄적인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어구 "~ 에 기초한" 은 조건들의 폐쇄된 세트에 대한 참조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조건 A 에 기초한" 것으로서 기술된 예시적인 단계는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조건 A 및 조건 B 양자 모두에 기초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어구 "~ 에 기초한" 은 어구 "~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과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들에 있어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 간을 구별하는 대쉬 및 제 2 라벨을 참조 라벨 다음에 오게 함으로써 구별될 수도 있다. 단지 제 1 참조 라벨만이 명세서에서 사용된다면, 그 설명은, 제 2 참조 라벨, 또는 다른 후속 참조 라벨과 무관하게 동일한 제 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에 적용가능하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은 예시적인 구성들을 설명하며,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예들 모두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시적인" 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고, "다른 예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법들의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기법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일부 사례들에 있어서, 널리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설명된 예들의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변동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Claims (32)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강도 메트릭은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메트릭,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메트릭, 또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 (SINR), 또는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게 하고;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장치로 하여금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게 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장치로 하여금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게 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됨을 결정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강도 메트릭은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메트릭,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메트릭, 또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 (SINR), 또는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장치로 하여금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게 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장치로 하여금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게 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는 수단;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는 수단; 및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됨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강도 메트릭은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메트릭,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메트릭, 또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 (SINR), 또는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빔 실패 조건을 식별하고;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원 (BFR) 신호를 송신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고; 그리고
    검출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상기 세트 중으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표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하는 빔 강도 메트릭으로 수신됨을 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강도 메트릭은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메트릭,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메트릭, 또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 (SINR), 또는 추정된 블록 에러율 (BLER),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레퍼런스 신호 빔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들 중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이 상기 빔 강도 임계치를 만족함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1 초과의 레퍼런스 신호 빔들로부터 최고 빔 강도를 갖는 레퍼런스 신호 빔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 빔으로서 선택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15268A 2017-11-29 2018-11-14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KR20200092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5921A KR102569073B1 (ko) 2017-11-29 2018-11-14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2392P 2017-11-29 2017-11-29
US62/592,392 2017-11-29
US16/189,229 US11212860B2 (en) 2017-11-29 2018-11-13 Determining beam candidates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signal
US16/189,229 2018-11-13
PCT/US2018/061053 WO2019108395A1 (en) 2017-11-29 2018-11-14 Determining beam candidates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sig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921A Division KR102569073B1 (ko) 2017-11-29 2018-11-14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968A true KR20200092968A (ko) 2020-08-04

Family

ID=666337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68A KR20200092968A (ko) 2017-11-29 2018-11-14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KR1020227035921A KR102569073B1 (ko) 2017-11-29 2018-11-14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921A KR102569073B1 (ko) 2017-11-29 2018-11-14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12860B2 (ko)
EP (1) EP3718222A1 (ko)
JP (1) JP7184892B2 (ko)
KR (2) KR20200092968A (ko)
CN (1) CN111386660A (ko)
BR (1) BR112020010390A2 (ko)
CL (1) CL2020001354A1 (ko)
SG (1) SG11202003679QA (ko)
TW (1) TWI766125B (ko)
WO (1) WO20191083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161A (ko) 2021-07-12 2024-01-30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의 점등 회로,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의 점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6827B2 (en) * 2018-01-05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beam recovery on secondary cell
US11044675B2 (en) * 2018-02-13 2021-06-22 Idac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daptive up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10470073B1 (en) * 2018-12-06 2019-11-05 Sprint Spectrum L.P. Use of block error rate as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MU-MIMO service
US11018750B2 (en) * 2019-01-03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US11638255B2 (en) * 2019-06-21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updating beams in periodic transmissions
US11723010B2 (en) * 2019-06-27 2023-08-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user equipment beam selection based on service demands
KR20210123835A (ko) * 2020-04-06 2021-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반한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09477B2 (en) 2020-05-27 2024-02-20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beam reconfiguration
WO2022086778A1 (en) * 2020-10-23 2022-04-28 Mediatek Inc. Method for beam failure reporting procedure
CN112308038B (zh) * 2020-11-25 2022-09-27 哈尔滨工业大学 基于课堂式生成对抗网络模型的机械设备故障信号识别方法
CN116996997A (zh) * 2022-04-24 2023-11-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波束信息传输方法、直通链路传输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0432B2 (en) * 2009-06-22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nding reference signals from multiple cells
WO2016086144A1 (en) * 2014-11-26 2016-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itial access in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s
CN107079459A (zh) * 2015-08-11 2017-08-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从波束故障中恢复
WO2017048311A1 (en) * 2015-09-15 2017-03-23 Intel IP Corporation Beam interpolation in massive mimo systems
CN108702180A (zh) 2016-03-03 2018-10-23 Idac控股公司 用于波束成形系统内的波束控制的方法及设备
US10069555B2 (en) * 2016-04-13 2018-09-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KR102185482B1 (ko) * 2016-06-17 2020-12-03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US10390235B2 (en) * 2016-07-18 2019-08-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ap design using discovery signal measurements
CN110024299B (zh) * 2016-09-28 2022-04-05 Idac控股公司 用于波束管理的系统和方法
WO2018082017A1 (en) * 2016-11-04 2018-05-11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ocedure in nr system with beamforming
CN110731055A (zh) * 2017-03-23 2020-01-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8206082A1 (en) * 2017-05-09 2018-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e beam switching to backup beams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779350B2 (en) * 2017-08-10 2020-09-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161A (ko) 2021-07-12 2024-01-30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의 점등 회로,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의 점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86660A (zh) 2020-07-07
BR112020010390A2 (pt) 2020-11-24
US20190166645A1 (en) 2019-05-30
JP7184892B2 (ja) 2022-12-06
EP3718222A1 (en) 2020-10-07
KR20220146673A (ko) 2022-11-01
US11212860B2 (en) 2021-12-28
KR102569073B1 (ko) 2023-08-21
TW201931893A (zh) 2019-08-01
SG11202003679QA (en) 2020-06-29
TWI766125B (zh) 2022-06-01
WO2019108395A1 (en) 2019-06-06
JP2021505007A (ja) 2021-02-15
CL2020001354A1 (es)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2202B2 (en) Resources for channel measurements
KR102569073B1 (ko) 빔 실패 복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후보들의 결정
US11490344B2 (en) Stagger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in frequency sub-bands for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s
KR20200044804A (ko) 진보된 허여 표시자로의 접속형 불연속 수신을 위한 빔 관리
US11510193B2 (en) Techniques for establishing a beam pair link
CN112703797A (zh) 传输配置指示符状态与物理小区身份的关联
WO2019067297A1 (en) TECHNICAL LISTENING BEFORE DIRECTIONAL SPEECH WITH SINGLE ASYNCHRONOUS BEAM
CN111066276B (zh) 用于选择子载波间隔以用于信号检测的技术
WO2019192523A1 (en) Radio link monitoring reference signal resource reconfiguration
WO2019136587A1 (en) Beam recovery in a multiple bandwidth part environment
KR20200035965A (ko) 프로시저-기반 업링크 전력 제어
WO2020117900A1 (en) Synchronization signal measurement for beam detection
WO2020237213A1 (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for beam failure detection
WO2020154043A1 (en) Beam-based detection for interference mitigation
EP3818643A1 (en) Techniques to order beams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10681583B2 (en) Cell quality measurement reporting for cells with mismatched beam numbers
EP3949119A1 (en) Adaptive gain control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11595896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micro-sleep operation in shared spect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