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540A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540A
KR20200092540A KR1020190009554A KR20190009554A KR20200092540A KR 20200092540 A KR20200092540 A KR 20200092540A KR 1020190009554 A KR1020190009554 A KR 1020190009554A KR 20190009554 A KR20190009554 A KR 20190009554A KR 20200092540 A KR20200092540 A KR 20200092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dairy product
dairy
ord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1986B1 (en
Inventor
장혜연
Original Assignee
장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연 filed Critical 장혜연
Priority to KR102019000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98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iry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including: an order receiving unit receiv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n a database; an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generating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on the database in a text form, capturing it, converting it into a text file or a data file, and then transmitting it to the outside by using a tethering function; a deliverer designating unit designating a deliverer from deliverer profile information on the database and designating a dairy product receiving password; a dairy product garage terminal receiving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and then displaying an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recording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earched in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and transmitting to the customer terminal a delivery start signal including the deliverer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iving password when the deliverer is sent; a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receiving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iry product garage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deliverer terminal of the deliverer designated by the deliverer designating unit; and a dairy product receiv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at the dairy product delivery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dairy product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order receiving unit when the received deliverer profile information and dairy product receiving password match the deliverer profile information and dairy product receiving password received from the deliverer designating unit after the delivery is completed and the deliverer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iving password are received from the deliverer terminal.

Description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Systems and methods for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본 발명은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객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을 주문하는 경우 유제품 배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유제품을 신속하게 배달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iry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delivering a dairy product desired by a customer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dairy delivery when a customer orders dairy products using a terminal.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item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writte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바쁜 현대인들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이 변해가고, 이로 인해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높아지게 되면서 유통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새로운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As the number of busy modern people increases, the consumer's life pattern changes, and as a result, the opportunity cost for time increases, and the consumer's new needs for distribution services are increasing.

실제로, 혼자서 육아와 집안일을 담당하는 육아맘, 맞벌이 부부, 및 1인 가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음식, 식료품 및 유제품의 배달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In fact, orders for food, food, and dairy products are increasing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share of single-parent families, single-parent coupl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who are in charge of raising and working alone.

특히,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마트(mart)에서 판매되는 유통기간이 존재하는 식품뿐만 아니라, 농장에서 바로 생산한 채소처럼 싱싱하고, 가정에서 방금 조리한 음식처럼 따끈따끈한 음식을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배달이 되기를 원하는 소비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not only foods with shelf-life that are sold in online and offline marts, but also fresh foods like vegetables produced directly on the farm, and hot foods such as foods just cooked at home at a time and place where consumers want. The number of consumers who want to be delivered is increasing.

그러나, 종래의 주문 및 배달 방식은, 판매업체가 상품을 직접 홍보하고, 주문이 들어오면 직접 배송하거나 전문배송업체에 배달을 요청하는 등 모든 업무를 판매업체가 관리한다. 이에 따라, 판매업체들은 상품 홍보 및 주문시 배달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order and delivery method, the seller manages all the tasks such as directly promoting the product by the seller, and when the order comes in, delivering it directly or requesting delivery from a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 Accordingly, sellers are complaining of many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product promotion and delivery when ordering.

특히, 배달전문 판매업체에서는 배달직원을 고용하여 상품을 배달을 하는데, 해당 배달직원이 갑자기 퇴사하거나, 새로운 배달직원의 채용이 늦어지거나, 배달 주문량이 적어 배달직원을 고용하기 적절치 않는 등 다양한 이유로 주문배달을 포기하는 판매업체도 있다. 아니면, 처음부터 매장에서만 판매하고 배달을 하지 않는 판매업체도 있다.In particular, delivery specialists deliver products by hiring delivery personnel, and orders are mad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when the delivery staff suddenly leaves the company, hiring new delivery staff is delayed, or the amount of delivery orders is insufficient to hire delivery personnel. Some vendors give up on delivery. Or, some vendors sell only from the beginning and don't deliver.

이와 같이, 판매업체에서 배달을 하지 않으면 소비자가 직접 판매업체로 방문해서 포장된 상품을 구매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소비자들은 상품 구매를 위해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판매업체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을 경우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상품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불만이 커질 수 있다.As such, if the seller does not deliver, the consumer has to go directly to the seller to purchase the packaged product, in which case the consumers have to spend considerable time to purchase the product.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eople using a vendor, it may occur that a desired product cannot be received at a desired time, and thus consumer complaints may increase.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최근에는 많은 판매점들이 배달음식 포탈사이트 및 배달 전문업체를 통해 홍보 및 배달을 대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들의 만족시키고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these consumers, in recent years, many retailers satisfy consumers in various ways, such as promoting and delivering through delivery food portal sites and delivery specialists.

그러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needs)를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바쁜 약속이 있어서 원하는 시간에 식사를 하여야 하는데, 음식을 주문할 때 정확한 도착시간이 정해지지 않아서 음식을 불안하게 기다려야 하거나, 또는 배달이 늦어질 경우 원하는 시간에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there are still unresolved problems to satisfy all the various needs of consumers. For example, if you have a busy appointment and need to eat at a desired time, when ordering food, the exact arrival time is not set, so you have to wait anxiously for food, or if delivery is late, you cannot eat at the desired time. Can be.

특히, 면이나 국 같은 음식은 판매업체에서 배달업체가 도착하기로 예정된 시간에 맞춰 포장해 놓았는데, 배달업체가 판매업체에 도착하기로 약속한 시간보다 늦어져 음식이 퍼지거나 식어서 먹을 수 없는 경우도 종종 발생된다.In particular, food such as noodles or soup was packaged at the time when the delivery company was scheduled to arrive at the seller, but it was delayed than the delivery company promised to arrive at the seller and food could not be spread or cooled down. Sometimes it happens.

또한, 유제품의 경우에도 배달시간을 맞추지 못하여 소비자의 불만족이 종종 발생하곤 한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dairy products, the delivery time is not met, and consumer dissatisfaction often occur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6307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6307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객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 배달을 간편하게 주문하고 판매자는 유제품 배달을 원하는 고객을 손쉽게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s to easily order dairy delivery using a terminal and sellers to easily attract customers who desire dairy delivery. It is aimed at.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특정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임의의 유제품을 선택하여 신속히 배달할 수 있게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customers to select any dairy product desired by a customer terminal and quickly deliver it.

본 발명은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delivery in accordance with delivery time from dairy order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even when the number of delivery is two or more times.

본 발명은 고객이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정해진 시간 이내에 유제품이 신속히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고 만족할 수 있게 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a customer to know and be satisfied that a dairy product has been quickly deliver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a customer terminal.

본 발명은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고객의 단말기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the customer's anxiety about unfamiliar visitors by transmitt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s terminal befor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to the customer, but also impersonates the delivery by impersonating the int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event the invasion of people who have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문수령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주문정보 변환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배달원 지정부;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 및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유제품 수신 판단부를 포함한다.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iry ord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nd storing it in a database; An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capturing it, converting it into a text file or a data file, and then transmitting it to the outside using a tethering function; A delivery person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delivery person from a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for specifying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fter receiving the text file or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display the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 which the order information of dairy products retrieved from the text file or data file is recorded, and the delivery person for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A dairy garage terminal that transmits a delivery departure signal including a profile information of a delivery agent and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 terminal upon departure; A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er that receives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dairy garag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a delivery person terminal of a delivery agent designated by a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nd when receiv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nd receiving the delivery agent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device terminal after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the received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re received. And a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 and transmits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to the order receiving unit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receive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match.

여기서,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이다.Here,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a customer name, a customer smartphone number, a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the delivery date, and payment information.

또한, 유제품 차고지 단말은 배달 일시보다 설정시간 전에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dairy garage terminal receives a text file or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before the set time before the delivery date.

또한, 주문수령부는 배달 횟수를 판단하고, 배달 횟수가 마지막인 경우 유제품 차고지 단말에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송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한다.In addition, the order receiving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deliveries, and when the number of deliveries is the last, transmits a text file or a data file to the dairy garage terminal, and then deletes the dairy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또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이다.In additio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is a delivery person number, a delivery person name, and a smartphone number.

또한,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는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를 생성하여 배달원 단말기에 송신한다.In addition,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generates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address of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은, 주문수령부가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주문정보 변환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배달원 지정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제3 단계; 유제품 차고지 단말이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테더링 기능을 통해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 단계;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유제품 차고지 단말이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5 단계;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가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제7 단계;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8 단계; 및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한다.A dairy delivery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by an order receiving unit,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nd storing it in a database; 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into a text file or a data file by capturing and order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A third step of designating a delivery agent from a delivery agent's pro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specifying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 fourth step in which the dairy garage terminal receives a text file or data file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and then displays an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 which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text file or data file is recorded; A fifth step, when the delivery person departs for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the dairy garage terminal sends a delivery start signal includ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 terminal; A sixth step in which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iry garag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of the delivery agent designated by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 seventh step in which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receive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When the delivery agent's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re received from the deliveryman terminal after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includes the delivery agent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nd the dairy product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n eighth step of determining if they match; And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s match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s receive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to the order receiving unit. It includes a ninth step of transmitting.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 배달을 간편하게 주문하고 판매자는 유제품 배달을 원하는 고객을 손쉽게 유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can easily order the delivery of dairy products using the terminal, and the seller can easily attract the customer who wants the delivery of dairy products.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단말기를 통해 특정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임의의 유제품을 선택하여 신속히 배달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nufacturer through a customer terminal, and enables any customer to select any dairy product and quickly deliver it.

본 발명에 따르면,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umber of times of delivery is two or more, it is possible to deliver in accordance with the delivery time from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when the dairy product is delivered.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정해진 시간 이내에 유제품이 신속히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고 만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can be satisfied with knowing that the dairy product has been quickly deliver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고객의 단말기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nd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s terminal befor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to the customer is completed,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customer's anxiety about the unfamiliar visitor, but also impersonate the delivery to impure It can prevent intrusion by intentional peo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이 고객 단말기와 배달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배달출발신호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customer terminal and a delivery terminal network through a network.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of FIG. 1.
3 is a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file information list of a delivery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reen of a customer terminal when a delivery start signal is transmitted to a customer terminal when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is 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of a customer terminal when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a dairy product is transmitted to a customer terminal when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is 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dairy delivery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the invention being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at's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이 고객 단말기와 배달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기(10) 및 배달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기(10) 및 배달원 단말기(2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고객 단말기(10) 및 배달원 단말기(20)는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PDA 등일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글자 수에 제한이 있는 단문 메시지인 SMS(Short Message Service), 글자 수에 제한이 없는 장문 메시지인 LMS(Long Message Service),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인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실시간 송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customer terminal and a delivery terminal network through a network. Referring to FIG. 1,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is connected to a customer terminal 10 and a delivery terminal 20 through a network. Here, the network mean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interpreted to include all of the conventional Internet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may be combined by various conventional network combinations such as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the delivery terminal 20 and the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Be careful.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0 may be a smart phone, a PDA, or the lik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and a smart phone may be used. Here, the text message is a message transmit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a short message service (SMS) with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 long message service (LMS) with a long message with no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images, and images. ,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which is a text message to which various multimedia files such as music and videos can be attached, and instant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제품이란 우유를 가공하여 만든 식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공된 우유, 버터, 치즈, 분유, 연유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iry product means a word that refers to a product made by processing milk. For example, it may be processed milk, butter, cheese, powdered milk, condensed milk,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배달원 지정부(300),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of FIG. 1. 1 and 2,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includes an order receiving unit 100, an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200, a delivery person designation unit 300, a dairy garage terminal 400, and dairy product ordering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transmitter 500 and a dairy product receiving determination unit 600.

주문수령부(10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에는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문수령부(1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유제품 주문정보를 저장하면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해당 유제품 주문정보가 추가된다.The order receiving unit 100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30.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a customer name, a customer smartphone number, a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the delivery date, and payment information. The database 30 includes a list of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and whe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stores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30, the correspond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list.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고객 단말기(1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customer can us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dairy delivery application for the customer to the customer terminal 10. That is, the customer may be provided with a delivery service by accessing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through the execution of a dairy delivery application for the customer.

또한, 주문수령부(100)는 고객 단말기(10)으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로부터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저장하고,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과의 시간차를 카운팅하여 그 시간차(이하,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제1 설정시간은 2시간, 3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로부터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이 각각 2018년 12월10일 3시, 2018년 12월10일 4시30분이고 제1 설정시간이 2시간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시간차는 1시간 30분이므로, 주문수령부(100)는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라고 판단한다.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인 경우, 계획했던 시간 내에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stores the time when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the time when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and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By count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and the time when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me difference (hereinafter,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the first set time. The first set time may be 2 hours, 3 hour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ime whe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received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the time when the dairy product delivery determination information was received from the dairy product receiving determination unit 600 is December 10, 2018, 3 o'clock, 2018 Assume that on December 10th, 4:30 am, the first set time is 2 hours. At this time, since the time difference is 1 hour and 30 minutes,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the first set time. When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the first set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elivery of dairy products to the customer is completed within the planned time.

또한,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 주문수령부(100)는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일 때 고객 단말기(10)로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유제품을 배달하였다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고객이 유제품 배달 예상시간을 알고 있으므로 유제품을 배달하였다는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is one,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transmits a message that the dairy product has been delivered within the first set time to the customer terminal 10 when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the first set time. If the number of deliveries is two or more, the customer does not send a message stating that the product has been delivered because the customer knows the expected delivery time.

주문정보 변환부(200)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text file)(또는 데이터 파일(data file))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tethering function)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테더링 기능은 스마트폰처럼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빠른 통신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효과적이다. 이렇게 하여,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된다.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generates the order information of dairy products stored in the database 30 in a text form, captures it, converts it into a text file (or data file), and then tethers it. function). The tethering function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Internet to be connected to other devices using a device capable of Internet, such as a smartphone, and is effective in a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to realize a fast communication function. In this way, even when the number of times of delivery is two or more, it is possible to deliver in accordance with the delivery time from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0 when the dairy product is delivered.

또한, 주문정보 변환부(200)는 배달 횟수를 판단하고, 배달 횟수가 마지막인 경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에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송신한 후 데이터베이스(30)에서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한다.In addition, the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200 determines the number of deliveries, and when the number of deliveries is the last, transmits a text file or data file to the dairy notification terminal 400 and then delete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dairy from the database 30.

배달원 지정부(300)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한다. 데이터베이스(30)에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배달원으로 홍길동(1번 배달원), 이동근(2번 배달원), 김철수(3번 배달원), 이수호(4번 배달원), 박경수(5번 배달원)의 5명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홍길동이 배달원으로 지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234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은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배달원 중에서 배달원 번호가 빠른 사람부터 순서대로 지정할 수 있다.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는 랜덤방식으로 4자리로 지정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 지정방식은 각각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designates a delivery person from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stored in the database 30 and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he database 30 includes a list of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Suppose that there are five people: Hong Gil-dong (delivery number 1), Dong-geun Lee (delivery number 2), Chul-soo Kim (delivery number 3), Soo-ho Lee (delivery number 4), and Park Gyeong-su (delivery number 5). At this time, Hong Gil-dong, which has been waiting for delivery, may be designated as a delivery agent, and for example, 1234 may be designated as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he delivery method designation method may be designated in order from a delivery person who has the fastest delivery number to the waiting person.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can be designated as 4 digits in a random manner. The delivery method designation method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designation method are not limited to each.

판매업체가 고용하는 배달원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배달원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배달원 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A delivery agent employed by a vendor can us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for a delivery person on a delivery terminal. That is, the delivery agent may access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through execution of th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for the delivery agent to receive delivery service.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주문정보 변환부(100)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킨다. 특히,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배달 일시보다 제2 설정시간 전에 주문정보 변환부(100)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다. 제2 설정시간은 1시간, 2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문정보 관리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의 유제품 주문정보를 포함한다.After receiving the text file or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00,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 which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s searched in the text file or data file is recorded. In particular,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receives a text file or a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00 before the second set time before the delivery date. The second set time may be 1 hour, 2 hour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cludes the customer name, customer smartphone number,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corresponding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delivery date, and dairy order information of paym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또한,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10)에 송신한다.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 유제품 주문정보에 배달완료 예약시간이 입력되었을 때,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배달완료 예약시간보다 제3 설정시간 이전에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있다. 제3 설정시간은 1시간, 2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transmits a delivery departure signal includ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 terminal 10 when the delivery person departs for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dairy order information. When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is one, when the delivery completion reservation time is input in the dairy order information,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transmits the delivery departure signal to the customer terminal 10 before the third set time before the delivery completion reservation time. Can. The third set time may be 1 hour, 2 hour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배달완료 예약시간은 년, 월, 일, 시 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개인적인 사정상 유제품을 1일 전에 미리 주문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고객은 2018년 12월 10일 4시에 유제품을 주문하지만 배달완료 예약시간을 2018년 12월 11일 6시로 입력하는 것이 일 예이다.Delivery completion reservation time can be entered in year, month, day and hour. For example, a customer may order dairy products one day in advance for personal reasons. For example, a customer orders dairy products at 4 o'clock on December 10, 2018, but it is an example to enter a reservation time for delivery completion at 6 o'clock on December 11, 2018.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300)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20)로 송신한다. 이때,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map image)를 생성하여 배달원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맵 이미지는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이 가능하므로, 배달원이 고객 주소의 맵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고객 주소에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00 receives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0 of the delivery agent designated by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At this time,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er 500 may generate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address of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delivery agent terminal 20. Since the map image can be zoomed in or zoomed out, the delivery agent can easily enlarge or reduce the map image of the customer's address to easily visit the customer address.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고객 단말기(10)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Before the delivery of dairy products to the customer is completed,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00 transmit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 to the customer terminal 10, so that the customer's anxiety about unfamiliar visitors can be prevented. Delivery can be disguised to prevent intrusion by people with unintended intentions.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일 수 있다.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receive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may be a delivery number, a delivery name, and a smartphone number.

또한,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2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100)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receives the delivery agent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0 after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the received delivery agent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re designated as a delivery person. If it matche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received from the 300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it is determined that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is transmitted to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전술한 바와 같은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고객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 배달을 간편하게 주문하고 판매자는 유제품 배달을 원하는 고객을 손쉽게 유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s described above, a customer can easily order dairy delivery using a terminal, and the seller can easily attract a customer who desires dairy delivery.

또한,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특정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임의의 유제품을 선택하여 신속히 배달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서울우유, 비락우유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우유 중에서 고객이 원하는 우유를 선택하여 주문하면 주문된 유제품을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간편하게 배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er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nufacturer through a customer terminal, so that a customer can select any dairy product and deliver it quickly. For example, if you select and order the milk you want from various types of milk, such as Seoul Milk or Virak Milk, you can easily deliver the ordered milk products at the specified time.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배달원 지정부(300),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데스크톱(desktop)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PDA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단말일 수 있다.Order receiving unit 100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dairy garage terminal 400, dairy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500 and dairy products The reception determining unit 600 may be a desktop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또한,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배달원 지정부(300),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and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00 constituting the aforementioned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ing unit 600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 mean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interpreted to include all of the conventional Internet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may be combined by various conventional network combinations, such as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또한,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및 배달원 지정부(300)는 마켓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유제품 차고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and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market,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00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may be installed in the dairy garage.

또한,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아이폰,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윈도폰 7 운영체제상에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may be operated on an iPhone, Android, BlackBerry, and Windows Phone 7 operating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3 is a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list may include a customer name, a customer smartphone number, a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corresponding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delivery date, and payment information.

고객이 AAA인 경우, "AAA, 010-1234-5678,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 , oo 요구르트, 3개, 30회, 매일 8시, 30,000원"이라는 유제품 주문정보가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이름은 AAA이고, 고객 스마트폰 번호는 010-1234-5678이며, 고객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이며, 유제품 이름은 oo 요구르트이며, 유제품의 수량은 3개, 배달 횟수는 30회이며, 배달 일시는 매일 8시이며, 결제정보는 30,000원이다.When the customer is AAA, dairy order information such as "AAA, 010-1234-5678, ooo, oo yogurt, oo yogurt, 3 times, 30 times, 8 o'clock, 30,000 won per day" is stored in the dairy order information list. Here, the customer name is AAA, the customer smartphone number is 010-1234-5678, the customer address is ooo Yeoksam-dong, Gangnam-gu, Seoul, the dairy product name is oo yogurt, the quantity of dairy products is 3, the number of delivery is 30 times, Delivery date is 8 o'clock every day and payment information is 30,000 won.

고객이 BBB인 경우, "BBB, 010-2345-6789,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 , oo 유기농 우유, 2개, 60회, 매일 9시, 35,000원"이라는 유제품 주문정보가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이름은 BBB이고, 고객 스마트폰 번호는 010-2345-6789이며, 고객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이며, 유제품 이름은 oo 유기농 우유이며, 유제품의 수량은 2개, 배달 횟수는 60회이며, 배달 일시는 매일 9시이며, 결제정보는 35,000원이다.If the customer is a BBB, the dairy order information "BBB, 010-2345-6789, ooo, oo organic milk in Gangnam-gu, Seoul, 2 times, 60 times, 9:00, 35,000 won per day" is stored in the dairy order information list. . Here, the customer's name is BBB, the customer's smartphone number is 010-2345-6789, the customer's address is ooo, Yeoksam-dong, Gangnam-gu, Seoul, the dairy product name is oo organic milk, the quantity of dairy products is 2, and the number of deliveries is 60 , Delivery date is 9:00 every day, payment information is 35,000 won.

고객이 CCC인 경우, "CCC, 010-3456-7890,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 , oo 고칼슘 우유, 2개, 30회, 매일 9시, 300,000원"이라는 유제품 주문정보가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이름은 CCC이고, 고객 스마트폰 번호는 010-3456-7890이며, 고객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이며, 유제품 이름은 oo 고칼슘 우유이며, 유제품의 수량은 2개, 배달 횟수는 30회이며, 배달 일시는 매일 9시이며, 결제정보는 90,000원이다.If the customer is a CCC, dairy order information, "CCC, 010-3456-7890, ooo, oo, high calcium milk, 2 times, 30 times a day, 9:00, 300,000 won per day" is stored in the dairy order information list. . Here, the customer name is CCC, the customer smartphone number is 010-3456-7890, the customer address is ooo, Yeoksam-dong, Gangnam-gu, Seoul, the dairy product name is oo high calcium milk, the quantity of dairy products is 2, the number of delivery is 30 times , Delivery date is 9:00 every day, payment information is 90,000 won.

이와 같이, 고객은 단말기에 원하는 유제품 주문정보를 입력하여 유제품이 원하는 시간에 배달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the customer may input desired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o that the dairy product is delivered at the desired tim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4 is a profile information list of a delivery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list of profile information of a delivery person may include a delivery person number, a delivery person name, and a smartphone number.

배달원이 홍길동인 경우, "1번, 홍길동, 010-6789-0123"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1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홍길동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6789-0123이다.When the delivery person is Hong Gil-do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1, Hong Gil-dong, 010-6789-0123" is sto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list of the delivery person. Here, the delivery number is 1, the delivery name is Hong Gil-dong, and the smartphone number is 010-6789-0123.

배달원이 이동근인 경우, "2번, 이동근, 010-7890-1234"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2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이동근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7890-1234이다.When the delivery agent is a mobile worker,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2, Lee Dong-geun, 010-7890-1234" is sto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list of the delivery person. Here, the delivery number is 2, the delivery name is Donggeun Lee, and the smartphone number is 010-7890-1234.

배달원이 김철수인 경우, "3번, 김철수, 010-8901-2345"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3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김철수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8901-2345이다.When the delivery person is Kim Cheol-soo,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3, Kim Cheol-soo, 010-8901-2345" is sto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list of the delivery person. Here, the delivery number is 3, the delivery name is Cheolsoo Kim, and the smartphone number is 010-8901-2345.

배달원이 이수호인 경우, "4번, 이수호, 010-9012-3456"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4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이수호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9012-3456이다.When the delivery person is Lee Soo-ho,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4, Lee Soo-ho, 010-9012-3456" is sto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list of the delivery person. Here, the delivery number is 4, the delivery name is Sooho Lee, and the smartphone number is 010-9012-3456.

배달원이 박경수인 경우, "5번, 박경수, 010-0123-4567"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5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박경수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0123-4567이다.When the delivery person is Park Kyung-soo,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5, Park Kyung-soo, 010-0123-4567" is sto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list of the delivery person. Here, the delivery number is 5, the name of the delivery person is Kyungsoo Park, and the smartphone number is 010-0123-4567.

배달원이 다른 배달을 나간 이유 등으로 배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delivery person cannot deliver due to reasons such as a different delivery, the delivery agent may be deleted from the profile information list of the delivery pers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배달출발신호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AA 고객님,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ooo 요구르트 3개가 배달을 위해 출발하였습니다. 1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입니다."라는 메시지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5 is a screen of a customer terminal when a delivery start signal is transmitted to a customer terminal when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is 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essage "AAA customer, 3 ooo yogurt you ordered has been departed for delivery. It is expected to arrive within 1 hour."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주문한 유제품이 배달될 예정이라는 것을 미리 알 수 있게 된다.The customer will know in advance that the ordered dairy product will be delivere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우유의 배달완료정보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AA 고객님,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ooo 우유 2개의 배달이 완료되었습니다. 우유 배달시간은 50분이 소요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6 is a screen of a customer terminal when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milk is transmitted to a customer terminal when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is 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message “AAA customer, the delivery of the two ooo milks you ordered has been completed. The milk delivery time took 50 minutes.”.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우유 배달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customer can check how long the milk delivery time took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은 S100 내지 S900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dairy delivery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and 7, the method for delivering dairy products may include steps S100 to S900.

먼저,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으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S100).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에는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문수령부(1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유제품 주문정보를 저장하면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해당 유제품 주문정보가 추가된다.First,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30 (S100).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a customer name, a customer smartphone number, a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the delivery date, and payment information. The database 30 includes a list of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and whe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stores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30, the correspond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list.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고객 단말기(1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customer can us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dairy delivery application for the customer to the customer terminal 10. That is, the customer may be provided with a delivery service by accessing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through the execution of a dairy delivery application for the customer.

S100 이후, 주문정보 변환부(2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또는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다(S200). 이렇게 하여,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된다.After S100,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generates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0 in a text form, and then captures it and converts it into a text file (or data file) (S200). In this way, even when the number of times of delivery is two or more, it is possible to deliver in accordance with the delivery time from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0 when the dairy product is delivered.

S200 이후, 배달원 지정부(3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한다(S300). 데이터베이스(30)에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배달원으로 홍길동(1번 배달원), 이동근(2번 배달원), 김철수(3번 배달원), 이수호(4번 배달원), 박경수(5번 배달원)의 5명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홍길동이 배달원으로 지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234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은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배달원 중에서 배달원 번호가 빠른 사람부터 순서대로 지정할 수 있다.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는 랜덤방식으로 4자리로 지정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 지정방식은 각각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fter S200,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designates a delivery person from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stored in the database 30 and specifies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S300). The database 30 includes a list of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Suppose that there are five people: Hong Gil-dong (delivery number 1), Dong-geun Lee (delivery number 2), Chul-soo Kim (delivery number 3), Soo-ho Lee (delivery number 4), and Park Gyeong-su (delivery number 5). At this time, Hong Gil-dong, which has been waiting for delivery, may be designated as a delivery agent, and for example, 1234 may be designated as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he delivery method designation method may be designated in order from a delivery person who has the fastest delivery number to the waiting person.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can be designated as 4 digits in a random manner. The delivery method designation method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designation method are not limited to each.

배달원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배달원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배달원 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delivery person can us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for the delivery person to the delivery terminal. That is, the delivery agent may access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1000 through execution of th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for the delivery agent to receive delivery service.

S300 이후,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이 주문정보 변환부(200)로부터 테더링 기능(tethering function)을 통해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킨다(S400). 주문정보 관리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의 유제품 주문정보를 포함한다.After S300, after receiving the text file or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200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record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retrieved from the text file or data file. The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s displayed (S400). The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cludes the customer name, customer smartphone number,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corresponding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times, delivery date, and dairy order information of paym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400 이후,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이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에 송신한다(S500).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고객 단말기(10)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After S400, when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departs for delivery of dairy products corresponding to dairy order information, a delivery departure signal including a delivery agent profile information and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is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S500). Before the delivery of dairy products to the customer is completed,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00 transmit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 to the customer terminal 10, so that the customer's anxiety about unfamiliar visitors can be prevented. Delivery can be disguised to prevent intrusion by people with unintended intentions.

S500 이후,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300)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20)로 송신한다(S600). 이때,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map image)를 생성하여 배달원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맵 이미지는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이 가능하므로, 배달원이 고객 주소의 맵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고객 주소에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After S500,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00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iry garage terminal 400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0 of the delivery agent designated by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S600). At this time,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er 500 may generate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address of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delivery agent terminal 20. Since the map image can be zoomed in or zoomed out, the delivery agent can easily enlarge or reduce the map image of the customer's address to easily visit the customer address.

S600 이후,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한다(S700).After S600,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receive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S700).

S700 이후,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2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800). After S700, when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 are received from the delivery device terminal 20,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receiving the dairy product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matches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S800).

S800 이후,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100)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한다(S900).After S800,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s match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 receive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300,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determines that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is transmitted to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S900).

또한, S900 이후에도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로부터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과의 시간차를 카운팅하여 그 시간차(이하,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문수령부(100)가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일 때 고객 스마트폰(10)으로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유제품을 배달하였다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주문수령부(100)는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서 배달이 완료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한다. 이렇게 하여, 고객은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유제품이 신속히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고 만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after S900, the time difference is calculated by count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10 and the time when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600 receives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Determining whether (hereinafter, time difference) is within the first set time, and when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is within the first set time, the dairy product is delivered to the customer smartphone 10 within the first set time. Of cours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ssage. At this time, the order receiving unit 100 deletes the delivery order information of the finished dairy product from the order list of dairy products. In this way, the customer can be satisfied knowing that the dairy product has been delivered quickly within the first set time.

전술한 S100 내지 S900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며,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과 관련한 모든 사항도 또한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forementioned S100 to S900,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6 above, and of course, all matters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may also be added.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하여, 현재에는 판매업체가 직접 상품을 홍보하거나 영업사원이 나서 홍보하는 과정에서 허위행위가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사원들의 갑질로 인하여 영업사원들이 부당하게 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판매업체에서는 영업사원들이 거짓으로 고객을 유치하는 일이 증가함으로써 폐업률이 증가하고, 허위로 영업하는 영업사원들때문에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불신이 늘어남으로써 고객과 판매업체는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With regard to the above-described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false acts are increasing in the process in which a seller directly promotes a product or promotes a salesperson, and salespersons are unfairly making money due to the sudden change of salesmen. This is a demand. In sellers, customers and sellers are complaining of many difficulties as the number of salespersons who falsely attract customers increases and the rate of closings increases. .

이에 따라, 경쟁하는 판매업체들끼리 직접 어플을 통하여 실제의 내용만으로 홍보를하여 고객들에게 믿음을 주고, 허위로 고객을 유치하는 영업사원들때문에 발생하는 노예계약과 위약금 자체를 최소한으로 줄여 여러 우유를 먹어보며 자유롭게 배달신청 및 중단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competing sellers directly promote the app with only the actual content through the application to give trust to customers and reduce the amount of milk by reducing the slave contracts and penalty charges caused by salespeople who falsely attract customers. You can freely apply for delivery and stop by eating.

우선적으로 시행할 시스템은 단말기의 어플 실행을 통한 고객들의 유제품 선택을 통해 해당 관할 판매업체에 전달되면, 그 판매업체의 이름과 대표자 이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판매업체에서 담당할 수 있다. 추후로는 배달의 민족처럼 해당 판매업체에 대한 평가도 시행할 수 있다.The system to be preferentially implemented is delivered to the relevant jurisdiction through the selection of dairy products by custom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name and representative name of the seller can be known and can be handled by the seller. Subsequently, like the ethnicity of delivery, an evaluation of the vendor may be conducted.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o help understanding,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can be obtain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고객 단말기 20 : 배달원 단말기
30 : 데이터베이스 100 : 주문수령부
200 : 주문정보 변환부 300 : 배달원 지정부
400 : 유제품 차고지 단말 500 :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
600 : 유제품 수신 판단부 1000 :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10: customer terminal 20: delivery terminal
30: database 100: order receiving unit
200: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300: Delivery person designation unit
400: Dairy garage terminal 500: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er
600: dairy product reception judgment unit 1000: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Claims (7)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문수령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주문정보 변환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배달원 지정부;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배달원이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 및
상기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상기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상기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상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상기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상기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유제품 수신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An orde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nd stores it in a database;
An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n capturing it, converting it into a text file or a data file, and transmitting it to the outside using a tethering function;
A delivery person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delivery person from a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for specifying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fter receiving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display an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 which order information for dairy products retrieved from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is recorded, and a delivery person corresponds to the dairy order information. A dairy garage terminal for sending a delivery start signal including a profile information of a delivery person and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 terminal when departing for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A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receiv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iry garage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a delivery person terminal of a delivery agent designated by the delivery person designation unit; And
When receiv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nd receiv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terminal terminal after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the received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When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matche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receive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it is determined that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transmits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 to the order receiving unit.
Dairy products delivery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iry order information, customer name, customer smartphone number, customer address, at least one dairy product name, the quantity of the dairy product, the number of delivery, delivery date and pay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은 상기 배달 일시보다 설정시간 전에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dairy delivery terminal receives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before the set time before the delivery date and time, th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는 상기 배달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배달 횟수가 마지막인 경우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에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송신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deliveries, and when the number of deliveries is final, after transmitting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to the dairy terminal, the dairy product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database Dairy delivery servi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Dairy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is a delivery number, a delivery name and a smart phone nu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는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generates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address of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agent terminal.
주문수령부가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배달원 지정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제3 단계;
유제품 차고지 단말이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테더링 기능을 통해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 단계;
배달원이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이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5 단계;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가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상기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제7 단계;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상기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8 단계; 및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상기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제9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the order receiving unit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stores it in a database;
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order information conversion unit into a text file or a data file by capturing and ordering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 third step of designating a delivery agent from a delivery agent's pro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specifying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fter receiving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from the order information converting unit, the dairy garage terminal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window in which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dairy products retrieved from the text file or the data file is recorded. The fourth step;
A fifth step of when the delivery person departs for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dairy order information, the dairy garage terminal sends a delivery start signal including the delivery agent profile information and a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to the customer terminal;
A sixth step in which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receives the dairy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dairy garag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of the delivery agent designated by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 seventh step in which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receive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When the delivery agent's profile informati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re received from the delivery terminal after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are received by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and the dairy product profile password and the dairy product reception password. Eight steps to determine whether it matches; And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 match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gent and the password for receiving the dairy product received from the delivery agent designation unit, the dairy product recep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is completed and the delivery of the dairy product to the order receiving unit is completed. The ninth step of sending information
Dairy product delivery service method comprising a.
KR1020190009554A 2019-01-25 2019-01-25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KR102241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554A KR102241986B1 (en) 2019-01-25 2019-01-25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554A KR102241986B1 (en) 2019-01-25 2019-01-25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40A true KR20200092540A (en) 2020-08-04
KR102241986B1 KR102241986B1 (en) 2021-04-19

Family

ID=7204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554A KR102241986B1 (en) 2019-01-25 2019-01-25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98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136A (en) * 2008-06-05 2008-06-26 이진범 How to issue and set up secure number for home-delivery
KR101177862B1 (en) * 2010-12-07 2012-08-28 (주)와토시스 Apparatus for providing delivery order servi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KR101567138B1 (en) * 2013-09-13 2015-11-10 김정우 Ordering system and method
KR20160137459A (en) * 2016-11-08 2016-11-30 송석주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membership periodic delivery service of cosmetic products
KR101826307B1 (en) 2017-01-25 2018-02-06 진정식 System for providing mediation service between store and delivery agency
KR101905144B1 (en) * 2018-06-04 2018-10-08 고창신 Market linkage courier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136A (en) * 2008-06-05 2008-06-26 이진범 How to issue and set up secure number for home-delivery
KR101177862B1 (en) * 2010-12-07 2012-08-28 (주)와토시스 Apparatus for providing delivery order servi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KR101567138B1 (en) * 2013-09-13 2015-11-10 김정우 Ordering system and method
KR20160137459A (en) * 2016-11-08 2016-11-30 송석주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membership periodic delivery service of cosmetic products
KR101826307B1 (en) 2017-01-25 2018-02-06 진정식 System for providing mediation service between store and delivery agency
KR101905144B1 (en) * 2018-06-04 2018-10-08 고창신 Market linkage couri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986B1 (en)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23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ke-out order analytics
US98053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ke-out order management
US10304065B2 (en) Determining advertising conversion
US200802819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 networks
US117851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WO2016035699A1 (en) Reservation system
US20200090248A1 (en) Network computing system for determining interest levels for consumable items
JP2014186470A (en) Manufacturing-product order acceptance system
US10586250B1 (en) Incentivized crowd-source pricing
WO2008121962A1 (en) Determining advertising conversion
US20130006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display of time sensitive information
US20170178192A1 (en) Delivery system of event information of store/business opening day, anniversary day and store/business closing day
JP7107644B2 (en) Setting device, setting method and setting program
CA2834875C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ke-out order management
US20230177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US20150262258A1 (en) System and method publishing ad hoc offer messages and anonymous geographic proximity and category searches
KR1020977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using smartphone
KR1022419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JP570251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9642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6015714A (en) Information supply system and information supply method
JP67012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display program
KR20160101740A (e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real time matching service between consumer and store
KR20170017535A (en) Proper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676657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us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