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356A -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356A
KR20200092356A KR1020207018381A KR20207018381A KR20200092356A KR 20200092356 A KR20200092356 A KR 20200092356A KR 1020207018381 A KR1020207018381 A KR 1020207018381A KR 20207018381 A KR20207018381 A KR 20207018381A KR 20200092356 A KR20200092356 A KR 2020009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edle
ablation
measuring element
temperature measur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모리
유키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6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object to the sensitiv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89Thermal conductivity
    • A61B2018/00095Thermal conductivity high, i.e. heat condu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61B2018/00797Temperature measured by multiple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는, 체내의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됨과 함께,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가 공급되는 전극침(11)과, 이 전극침(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냉각용 액체 L이 흐르는 유로(110)와, 이 유로(110) 내에 배치된 제1 온도 측정 소자(온도 측정 소자(115a))와,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 전극침(11)의 선단 부근에 배치된 제2 온도 측정 소자(온도 측정 소자(115b))와, 전극침(11)의 기단측에 장착된 핸들(13)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본 발명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을 구비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환자 체내의 환부(예를 들어 암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기기의 하나로서, 그러한 환부에 대하여 어블레이션(소작)을 행하는, 어블레이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을 갖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와, 환부에 대한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907545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는,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됨과 함께,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전극침과, 이 전극침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냉각용 액체가 흐르는 유로와, 이 유로 내에 배치된 제1 온도 측정 소자와,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 전극침의 선단 부근에 배치된 제2 온도 측정 소자와, 전극침의 기단측에 장착된 핸들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냉각용 액체가 흐르는 유로 내에 배치된 제1 온도 측정 소자와, 전극침의 선단 부근에 배치된 제2 온도 측정 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침이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된 상태에서 상기 어블레이션이 행해질 때, 상기 제1 온도 측정 소자에 의해, 냉각용 액체 온도가 측정됨과 함께,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에 의해, 환부의 온도가 측정된다. 즉, 상기 어블레이션 시에, 냉각용 액체의 온도와 환부의 온도의 양쪽이, 동시에(병행하여) 측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배치 영역과 상기 유로를 격리시키는, 밀봉 부재를 더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배치 영역 부근에, 냉각용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 제2 온도 측정 소자에 의한 환부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를,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부근에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함과 함께, 이 영역 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배치 영역 부근에, 열전도재를 매립하여 밀봉하도록 하고,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부근과,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배치 영역을, 상기 열전도재에 의해 접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환부 부근과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사이의 온도차가 저감된다는 점에서, 이 제2 온도 측정 소자에 의한 환부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더 향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영역이 상기 전극침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영역 내에 공기가 고여 버릴 우려가 회피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에 의한 환부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측정 소자와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를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마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어블레이션 시에, 냉각용 액체의 온도와 환부의 온도의 양쪽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구비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극침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에서의 소작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 측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의 전극침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전극침 내부의 선단 부근의 영역이, 외부에 연통되어 있는 경우의 예)
2. 변형예(전극침 내부의 선단 부근의 영역이, 외부에 연통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예)
3. 그 밖의 변형예
<1. 실시 형태>
[어블레이션 시스템(5)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를 구비한 어블레이션 시스템(5)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에 있어서의 환부(90)를 치료할 때 사용되는 시스템이며, 그러한 환부(90)에 대하여 소정의 어블레이션(소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환부(90)로서는, 예를 들어 암(간암, 폐암, 유방암, 신장암, 갑상선암 등)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를 들 수 있다.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을 사용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대극판(4)도, 적절하게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는, 상기한 어블레이션 시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이며, 상세는 후술하지만, 전극침(11) 및 절연성 튜브(12)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전극침(11)은, 예를 들어 도 1 중의 화살표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에 있어서의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침이다. 또한, 이러한 전극침(1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액체 공급 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L이, 순환하여 흐르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절연성 튜브(12)는, 전극침(11)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전극 영역(후술하는 노출 영역 Ae)을 노출시키면서, 이 전극침(11)의 축 방향을 따라 전극침(11)의 주위를 피복하는 부재이다.
또한, 이러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의 상세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2, 도 3 참조).
(액체 공급 장치(2))
액체 공급 장치(2)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전극침(11)의 내부)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 L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냉각용 액체 L로서는, 예를 들어 멸균수나, 멸균된 생리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공급부(21)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2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한 액체 L을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 대하여 수시로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는,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1)의 내부의 사이(후술하는 소정의 유로(110) 내)를 액체 L이 순환하도록 하여,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기한 제어 신호 CTL2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이러한 액체 L의 공급 동작이 실행되거나, 정지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 공급부(21)는, 예를 들어 액체 펌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 장치(3))
전원 장치(3)는, 전극침(11)과 대극판(4)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RF; Radio Frequency)의 전력)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한 액체 공급 장치(2)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전원 장치(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 전원부(32), 제어부(33) 및 표시부(34)를 갖고 있다.
입력부(31)는, 각종 설정값이나, 후술하는 소정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신호(조작 신호 Sm)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조작 신호 Sm은, 전원 장치(3)의 조작자(예를 들어 기사 등)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부(31)로부터 입력 되도록 되어 있다. 단, 이들 각종 설정값이,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품의 출하 시 등에 미리 전원 장치(3) 내에서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부(31)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은, 후술하는 제어부(3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31)는, 예를 들어 소정의 다이얼이나 버튼,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32)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1에 따라, 상기한 전력 Pout를 전극침(11)과 대극판(4)의 사이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원부(32)는, 소정의 전원 회로(예를 들어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 Pout가 고주파 전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주파수는, 예를 들어 450kHz 내지 550kHz 정도(예를 들어 500kHz)이다.
제어부(33)는, 전원 장치(3)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우선,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전력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어부(33)에는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후술하는 온도 측정 소자(115a, 115b))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1, It2가 각각, 수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3)에는, 상기한 전원부(32)로부터, 임피던스값 Zm의 측정값이 수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3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부분(모니터)이다.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는 전술한 각종 설정값이나, 제어부(33)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파라미터,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정보 It1, It2 등을 들 수 있다. 단,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이들 정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정보를 대신, 혹은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표시부(34)는, 각종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극판(4))
대극판(4)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시에 환자(9)의 신체 표면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어블레이션 시에,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전극침(11)(전술한 전극 영역)과 이 대극판(4)의 사이에서, 고주파 통전이 이루어지도록(전력 Pout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1)과 대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m이 수시로 측정되고, 측정된 임피던스값 Zm이, 전원 장치(3) 내에 있어서 전원부(32)로부터 제어부(33)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의 상세 구성]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의 상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의 상세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측면도(Y-Z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극침(11)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내부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단면도(Y-Z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부호 P2로 나타낸 부분(전극침(11) 및 절연성 튜브(12)의 일부 영역)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 중의 하방에 있어서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극침(11))
전극침(11)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Z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으며, 이 Z축 방향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30mm 내지 350mm 정도이다. 또한, 전극침(11)은 그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절연성 튜브(1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선단측의 노출 영역 Ae(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전극 영역)와, 절연성 튜브(12)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영역(기단측의 피복 영역)을 갖고 있다. 이 전극침(11)의 노출 영역 Ae와 대극판(4)의 사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전극침(11)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니켈티타늄 합금, 티타늄 합금, 백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극침(11)의 선단측의 내부 구성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전극침(11)의 내부에는, 유로(110), 내부관(111), 영역(구멍)(112a, 112b), 열전도재(113), 밀봉 부재(114) 및 온도 측정 소자(115a, 115b)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110)는,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 전극침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냉각용 액체 L이 흐르는 유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 중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유로(110)에서는, 전극침(11)의 내부를 냉각용 액체 L이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유로(110)에는, 냉각용 액체 L에 대한 왕로로 되는 유로(전극침(11)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흐를 때의 유로)와, 귀로로 되는 유로(전극침(11)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흐를 때의 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내부관(111)은, 유로(110) 내에 있어서, 전극침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이 내부관(111)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용 액체 L에 대한, 상기한 왕로로 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영역(112a, 112b)은 각각,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침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112b)은,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최선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침(11)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외부와, 영역(112a)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영역(112a)은, 이 영역(112b)에 대하여 전극침(11)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영역(112b)에 연통되어 있다.
열전도재(113)는, 상기한 영역(112a, 112b) 내에 있어서, 적어도 후술하는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 부근에, 매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영역(112a, 112b) 중, 영역(112b)(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최선단 근방) 내에, 열전도재(113)가 매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역(112b)이 밀봉됨(영역(112b)에 대응하는 구멍 부분이 막아짐)과 함께,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근과, 후술하는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이, 열전도재(113)에 의해 접합되게 된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영역(112a, 112b)의 양쪽에, 열전도재(113)가 매립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열전도재(113)는, 예를 들어 땜납, 납땜재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1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 후술하는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이 예에서는 영역(112a, 112b)측의 영역)과, 유로(110)를 격리시키는 부재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밀봉 부재(114)는, 유로(110)를 흐르는 냉각용 액체 L이 영역(112a, 112b)측에 유입되는 것을, 밀봉(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 부재(114)는, 유로(110)의 선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혹은 땜납, 납땜재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온도 측정 소자(115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1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온도 측정 소자(115a)는, 전술한 왕로로 되는 유로를 구성하는, 내부관(1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 측정 소자(115a)는, 유로(110) 내를 흐르는 냉각용 액체 L의 온도를 측정하는 소자이며, 이 예에서는, 전극침(11) 내를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흐를 때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온도 측정 소자(115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 이 전극침(11)의 선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온도 측정 소자(115b)는, 전술한 영역(112b)(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최선단 근방)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 측정 소자(115b)는, 전술한 어블레이션 시에 있어서의 환부(90)의 온도(조직 온도)를 측정하는 소자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유로(110)에서부터 온도 측정 소자(115b)까지의 거리(영역(112a)의 Z축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온도 측정 소자(115b)가 냉각용 액체 L에 의해 식어져 버려,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의한 환부(90)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유로(110)에서부터 온도 측정 소자(115b)까지의 거리(영역(112a)의 Z축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어블레이션 시에 액체 L에 의한 냉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결과, 환부(90)가 급속하게 탄화되어, 어블레이션 범위가 작아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로(110)에서부터 온도 측정 소자(115b)까지의 거리(영역(112a)의 Z축 길이)는, 예를 들어 0mm 내지 1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1.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온도 측정 소자(115a, 115b)는 각각, 예를 들어 열전대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 소자(115a)로부터는, 전술한 온도 정보 It1(냉각용 액체 L의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이 출력되고, 온도 측정 소자(115b)로부터는, 전술한 온도 정보 It2(환부(9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 소자(115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온도 측정 소자」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온도 측정 소자(115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절연성 튜브(12))
절연성 튜브(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침(11)의 선단측(노출 영역 Ae)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면서, Z축 방향을 따라 전극침(11)의 주위를 피복하는 부재이다. 또한, 이 절연성 튜브(12)는, 후술하는 핸들(13)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따라, 예를 들어 도 2 중의 화살표 d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전극침(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침(11)의 노출 영역 Ae에 있어서의 Z축 방향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절연성 튜브(12)에 의해 조절 가능한, 전극침(11)의 노출 영역 Ae에 있어서의 Z축 방향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3mm 내지 50mm 정도이다. 또한, 이 절연성 튜브(12)는, 예를 들어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I(폴리이미드),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블록 아미드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핸들(13))
핸들(13)은,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의 사용 시에 조작자(의사)가 파지하는(쥐는) 부분이다. 이 핸들(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1)의 기단측에 장착된 핸들 본체(핸들 부재)(130)와, 조작부(131)를 주로 갖고 있다.
핸들 본체(130)는, 조작자가 실제로 쥐는 부분(파지부)에 상당하며, 핸들(13)에 있어서의 외장으로서도 기능하는 부분이다. 또한, 이 핸들 본체(130)는,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아크릴, 폴리올레핀, 폴리옥시메틸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131)는, 절연성 튜브(12)를 그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전극침(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작(슬라이드 조작) 시에 사용되는 부분이며, 핸들 본체(130)의 외측(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부(131)는, 예를 들어 전술한 핸들 본체(130)와 마찬가지의 재료(합성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131)는, 핸들(13)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핸들 본체(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조작부(131)에 대하여 이러한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짐으로써(예를 들어 도 2 중의 화살표 d1 참조), 절연성 튜브(12)가 Z축 방향을 따라, 전극침(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2 중의 화살표 d2 참조). 이에 의해, 전극침(11)의 노출 영역 Ae에 있어서의 Z축 방향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작 및 작용ㆍ효과]
(A. 기본 동작)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예를 들어 암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90)를 치료할 때, 그러한 환부(90)에 대하여 소정의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도 1 참조). 이러한 어블레이션에서는, 우선, 예를 들어 도 1 중의 화살표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의 환부(90)에 대하여,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전극침(11)이, 그 선단측(노출 영역 Ae측)으로부터 경피적으로 천자된다. 그리고, 이 전극침(11)과 대극판(4)의 사이에, 전원 장치(3)(전원부(32))로부터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 전력)가 공급됨으로써, 환부(90)에 대하여, 주울 발열에 의한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1)의 내부(전술한 유로(110) 내)의 사이를 냉각용 액체 L이 순환하도록,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로부터 전극침(11)에 대하여 액체 L이 공급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11)에 대한 냉각 동작(쿨링)이 행해지고, 그 결과, 환부(90)의 온도(조직 온도)의 과도한 상승이 억제되고, 조직의 탄화에 기인한, 전술한 임피던스값 Zm의 급격한 상승이 방지된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이러한 어블레이션의 실행 중에 있어서의 환부(90)의 온도(소작 온도)는, 통상 40 내지 100℃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로 된다. 여기서, 소작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환부(90)를 확실하게 열응고시킬 수 없다. 한편, 소작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의 탄화가 생겨, 임피던스값 Zm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전류가 흐르기 어렵게 되는 결과, 어블레이션 범위가 작아져 버릴 우려가 있다.
도 4는, 이러한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90)에서의 소작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부(90)에 천자된 전극침(11)을 사용하여 상기한 어블레이션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당초의 럭비볼 형상(타원구형)의 열응고 영역 Ah1이, 점차 확산되어 감으로써, 거의 구형의 열응고 영역 Ah2가 얻어진다(도 3 중의 파선의 화살표를 참조). 이에 의해, 환부(90) 전체에 대한 등방적인 어블레이션이 행해지는 결과, 환부(90)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 도 5의 (A),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의 핸들(13)에 있어서, 조작부(131)에 대한 전술한 슬라이드 조작이, 사전에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31)에 대하여 Z축 방향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면(예를 들어 도 2, 도 5의 (B) 중의 화살표 d1 참조), 이 조작부(131)의 슬라이드 조작에 연동하여, 핸들 본체(130) 내의 슬라이드 기구(132)가 Z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을 행한다(도 5의 (A), 도 5의 (B) 참조). 그리고, 이 슬라이드 기구(132)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절연성 튜브(12)도 또한, Z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을 행한다(예를 들어 도 2, 도 5의 (B) 중의 화살표 d2 참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 5의 (A),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1)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노출 영역 Ae의 크기(Z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임의로 조정되고, 어블레이션 시의 어블레이션 범위(노출 영역 Ae에 대응하는 범위)도 임의로 조정되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간장에 있어서의 깊숙한 일부 영역에 작은 종양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출 영역 Ae(어블레이션 범위)를 작게 설정하여, 환부(90)까지 전극침(11)의 선단을 삽입하여 어블레이션을 행함으로써, 환부(90)만을 선택적으로 소작할 수 있다. 즉, 환부(90) 이외의 부분은 소작되지 않고, 원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큰 종양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출 영역 Ae(어블레이션 범위)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그 큰 종양을 통합하여(일괄하여) 소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부(131)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이나, 이 슬라이드 조작에 연동된 슬라이드 기구(132) 및 절연성 튜브(12)의 슬라이드 동작은 각각, 전극침(11)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단계적(단속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부(131), 슬라이드 기구(132) 및 절연성 튜브(12)가 각각 슬라이드할 때의 위치가, Z축 방향을 따른 소정의 거리마다, 가벼운 정도로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B. 비교예)
여기서, 비교예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구성의 것이 고려된다. 즉, 이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 있어서, 전극침(11)의 내부에, 1개(1종류)의 온도 측정 소자(냉각용 액체 L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자)만을 마련하도록 한 것에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한 경우, 전극침(11)이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된 상태에서 어블레이션이 행해질 때,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즉, 이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서는, 어블레이션 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용 액체 L의 온도만이 측정되고, 환부(90)의 온도(조직 온도)는 측정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이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시에는, 이러한 냉각용 액체 L의 온도와 환부(90)의 온도의 양쪽을 동시에(병행하여)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어블레이션의 실행 중에는 조직 온도를 파악할 수 없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한 경우,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의 실시가 곤란하게 되는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C. 본 실시 형태)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와는 달리, 전극침(11)의 내부에, 이하의 2종류의 온도 측정 소자(115a, 115b)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전극침(11)의 내부에는, 냉각용 액체 L이 흐르는 유로(110) 내에 배치된 온도 측정 소자(115a)와, 전극침(11)의 선단 부근에 배치된 온도 측정 소자(115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서는, 상기한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와는 달리,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전극침(11)이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된 상태에서 어블레이션이 행해질 때, 온도 측정 소자(115a)에 의해, 냉각용 액체 L의 온도가 측정됨과 함께,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의해, 환부(90)의 온도(조직 온도)가 측정된다. 즉, 상기한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시와는 달리,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에는, 냉각용 액체 L의 온도와 환부(90)의 온도의 양쪽을, 동시에(병행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용 액체 L의 온도에 추가하여 환부(90)의 온도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우선, 온도 측정 소자(115a)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1을 기초로, 예를 들어 냉각용 액체 L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 등을 알아차릴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냉각용 액체 L을 냉각함으로써, 전극침(11)에 대한 냉각 동작(쿨링)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2를 기초로, 환부(90)의 조직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였는지, 또는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았는지 등, 환부(90)의 소작 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력 Pout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적합한 소작 온도를 유지하면서 어블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환부(90)의 탄화에 기인한, 임피던스값 Zm의 급격한 상승이 방지되고, 환부(90)에 대하여 충분한 어블레이션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서는, 2종류의 온도 측정 소자(115a, 115b)를 전극침(11)의 내부에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전극침(11)을 사용한 어블레이션 시에, 냉각용 액체 L의 온도와 환부(90)의 온도의 양쪽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과 유로(110)를 격리시키는, 밀봉 부재(114)를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 부근(영역(112a, 112b)측의 영역)에 냉각용 액체 L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의한 환부(90)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측정 소자(115b)가,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영역(112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영역(112b) 내에 있어서, 적어도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 부근(영역(112b) 내)에, 열전도재(113)가 매립되어 밀봉되어 있음과 함께, 전극침(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선단 부근과,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이, 이 열전도재(113)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환부(90) 부근과 온도 측정 소자(115b)의 사이의 온도차가 저감된다는 점에서, 이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의한 환부(90)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영역(112b)(온도 측정 소자(115b)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전극침(11)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 영역(112b) 내에 공기 등이 고여 버릴 우려(공기 고임의 발생)가 회피되기 때문에,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의한 환부(90)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변형예>
계속해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변형예에 관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어블레이션 디바이스(1A))의 전극침(11A)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내부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단면도(Y-Z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A)는,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에 있어서, 전극침(11) 대신에 전극침(11A)을 마련한 것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구성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전극침(11)(도 3 참조)에서는, 온도 측정 소자(115b)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영역(112b))이, 전극침(11)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전극침(11A)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측정 소자(115b)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영역(112a))이, 전극침(11A)의 외부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전극침(11A)에서는, 외부에 연통되는 영역(112b)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전극침(11A) 내에서 닫힌 공동으로서의 영역(112a) 내에, 온도 측정 소자(115b)가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온도 측정 소자(115b)는, 환부(90)의 온도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침(11A)의 선단 부근(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영역(112a) 내의 최선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이 영역(112a) 내에 있어서, 적어도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 부근(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영역(112a) 내의 전체 영역)에, 열전도재(113)가 매립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전극침(11A)의 내부에 있어서 온도 측정 소자(115b)의 배치 영역(영역(112a) 내)과 유로(110)를 격리시키는, 밀봉 부재(1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A)(전극침(11A))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전극침(11))와 마찬가지로, 이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유로(110)에서부터 온도 측정 소자(115b)까지의 거리(영역(112a)의 Z축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온도 측정 소자(115b)가 냉각용 액체 L에 의해 식어져 버려, 온도 측정 소자(115b)에 의한 환부(90)의 온도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유로(110)에서부터 온도 측정 소자(115b)까지의 거리(영역(112a)의 Z축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어블레이션 시에 액체 L에 의한 냉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결과, 환부(90)가 급속하게 탄화하여, 어블레이션 범위가 작아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변형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A)에 있어서도, 2종류의 온도 측정 소자(115a, 115b)를 전극침(11A)의 내부에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어블레이션 디바이스(1A)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전술한 비교예의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그 밖의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설명한 각 부재의 재료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는, 열전도재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등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모든 부재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추가로 다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종 파라미터의 값이나 범위, 대소 관계 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나 범위, 대소 관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전극침이나 절연성 튜브, 핸들 등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들 각 부재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침이,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모노폴라형이 아니라, 바이폴라형이어도 된다. 또한, 절연성 튜브가, 전극침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온도 측정 소자의 개수나 종류, 배치 위치 등도,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밀봉 부재나 열전도재에 대해서는,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의 블록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블록을 반드시 전부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추가로 다른 블록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어블레이션 시스템(5) 전체로서도,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장치에 추가하여, 다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11)과 대극판(4)의 사이에서 고주파 통전이 이루어지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를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라디오파나 마이크로파 등의 다른 전자파를 사용한 어블레이션을 행하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여도 된다.
더불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부(33)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어블레이션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 등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어블레이션의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예시한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회로)로 행해지도록 해도 되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소프트웨어로 행해지도록 한 경우, 그 소프트웨어는, 각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군으로 구성된다. 각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에 미리 내장되어 사용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이제까지 설명한 각종 예를,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시키도록 해도 된다.

Claims (2)

  1.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됨과 함께,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전극침과,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냉각용 액체가 흐르는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된 제1 온도 측정 소자와,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전극침의 선단 부근에 배치된 제2 온도 측정 소자와,
    상기 전극침의 기단측에 장착된 핸들
    을 구비한,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가,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부근에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영역 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배치 영역 부근에, 열전도재가 매립되어 밀봉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전극침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부근과, 상기 제2 온도 측정 소자의 배치 영역이, 상기 열전도재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KR1020207018381A 2018-03-27 2018-09-28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KR20200092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9920A JP2019170466A (ja) 2018-03-27 2018-03-27 アブレーションデバイス
JPJP-P-2018-059920 2018-03-27
PCT/JP2018/036227 WO2019187238A1 (ja) 2018-03-27 2018-09-28 アブレーションデバイ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356A true KR20200092356A (ko) 2020-08-03

Family

ID=6806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381A KR20200092356A (ko) 2018-03-27 2018-09-28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9170466A (ko)
KR (1) KR20200092356A (ko)
CN (1) CN111511304A (ko)
TW (1) TWI702028B (ko)
WO (1) WO201918723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45B2 (ja) 1979-03-22 1984-02-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消耗電極式ア−ク溶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5212A2 (en) * 1993-08-11 1995-02-23 Electro-Catheter Corporation Improved ablation electrode
JPH0779991A (ja) * 1993-08-20 1995-03-28 Ep Technol Inc 組織のインピーダンスをモニタしながら組織を切除する装置及び方法
US5735846A (en) * 1994-06-27 1998-04-07 Ep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blating body tissue using predicted maximum tissue temperature
US5907545A (en) * 1996-01-16 1999-05-25 Canon Kk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230926B1 (ko) * 2010-12-03 2013-02-07 신경민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장치
KR101248959B1 (ko) * 2011-05-12 2013-04-01 신경민 플렉시블관이 구비되는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45B2 (ja) 1979-03-22 1984-02-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消耗電極式ア−ク溶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70466A (ja) 2019-10-10
WO2019187238A1 (ja) 2019-10-03
TW201941745A (zh) 2019-11-01
TWI702028B (zh) 2020-08-21
CN111511304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333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mote temperature monitoring in fluid enhanced ablation therapy
JP6236441B2 (ja) マイクロ波焼灼システムのためのマイクロ波温度測定
US20170215940A1 (en) Control and delivery of electric fields via an electrode array
KR20060123207A (ko) 특히, 절제 및 이와 유사한 기술을 위한, 카테터 및 그사용 방법
US20120029498A1 (en) Bipolar Radio Frequency Ablation Instrument
EP2394598B1 (en) Energy applicator temperature monitoring for assessing ablation size
CN110944590B (zh) 消融系统
JP2021533925A (ja) 高周波インピーダンス検知を伴うマイクロ波アブレーションプローブ
US20080058705A1 (en) Arrangement for Therapy of Tumours
US110901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issue temperature
CN109350222A (zh) 一种基于喉返神经探测的甲状腺肿瘤射频消融装置
KR20200092356A (ko) 어블레이션 디바이스
JP5055500B2 (ja) 治療用アンテナプローブとその使用方法及び電磁治療システム
US201800083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icrowave tissue ablation process
US20210212763A1 (en) Microwave ablation systems and methods having adjustable ablation parameters and modes of operation
TWI693920B (zh) 消融裝置
CN113573773A (zh) 单极rf皮下脂肪处理系统和方法
US117592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 ablation score and for pre-ablation testing
CN220158373U (zh) 一种消融针结构
Chen et al. Modeling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yroid gland tissue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ablation using thermotherapy needle
US20190125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blating tissue
Xie et al. The application and progress of interventional MRI in the ablation of breast tumors.
JP2008514271A (ja) 腫瘍の治療のための機構
Lopresto et al. Treatment planning in Microwave Thermal Ablation: clinical gaps and recent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