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740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740A
KR20200091740A KR1020190008904A KR20190008904A KR20200091740A KR 20200091740 A KR20200091740 A KR 20200091740A KR 1020190008904 A KR1020190008904 A KR 1020190008904A KR 20190008904 A KR20190008904 A KR 20190008904A KR 20200091740 A KR20200091740 A KR 2020009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ing
wing portion
gear
cen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853B1 (ko
Inventor
김광일
장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to KR102019000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개 또는 접철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은,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를 회전시키는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가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본 발명의 힌지모듈이 적용된 휴대단말기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 OPENING AND CLOSING HINGE MODULE FOR FLEXIBLE DISPLAY }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개 또는 접철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은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즉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터치 입력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체가 서로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첩 부분이 곡률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힌지모듈이 현재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 개발된 힌지모듈에서는 접혀지는 힌지부분에서 두께가 두껍고,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18-0071900 공개특허 10-2017-002268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힌지모듈이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있어서, 센터브래킷과; 상기 센터브래킷의 안쪽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제1기어가 장착된 제1샤프트와; 상기 센터브래킷의 안쪽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가 장착된 제2샤프트와; 상기 일단이 상기 센터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된 제1날개부와; 일단이 상기 센터브래킷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된 제2날개부와; 상기 센터브래킷의 일단과 상기 제1날개부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3기어가 장착된 제3샤프트와; 상기 센터브래킷의 타단과 상기 제2날개부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가 장착된 제4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샤프트는 상기 제1날개부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4샤프트는 상기 제2날개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는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상기 센터브래킷에 대하여 접혀지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1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2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3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3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3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4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4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4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4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샤프트 내지 제4샤프트에는 한 쌍의 제1기어 내지 제4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 상기 센터브래킷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가 장착되는 상기 센터브래킷의 양측에는 원호 형상의 회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일단과 제2날개부의 일단에는 각각 원호 형상의 상기 회전안내부가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회전안내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회전안내홈은 상기 회전안내부를 따라 회전한다.
상기 회전안내홈의 양측에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회전안내부에 접하여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제1샤프트와 제3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와 제4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는 상기 정지턱이 상기 회전안내부의 외주면에 걸려 지지되되, 전개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는 각각 상기 제1샤프트와 제3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와 제4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센터브래킷의 상부에는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졌을 때 상기 정지턱에 접하여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정지턱이 상기 걸림턱에 접하였을 때의 각도는, 상기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를 연결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90도 미만의 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비교적 복잡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힌지모듈이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힌지모듈이 전개 또는 접혀지는 과정에서 정지될 수 있는 프리스탑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힌지모듈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힌지모듈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힌지모듈의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힌지모듈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선과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힌지모듈이 전개된 상태와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와, 다수개의 샤프트가 일렬로 배치된 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조도,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220)와 제2케이스(230)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220) 및 제2케이스(230)에 장착되는 것이다.
대면하는 상기 제1케이스(220)와 제2케이스(230)의 안쪽에 상기 디스플레이(210)가 장착되고, 상기 제1케이스(220)와 제2케이스(230)의 개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210)가 전개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접히게 된다.
본 발명의 개폐 힌지모듈(100)은 이러한 제1케이스(220)와 제2케이스(23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220)와 제2케이스(230)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1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브래킷(110)과, 제1샤프트(120)와, 제2샤프트(130)와,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와,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브래킷(110)은 힌지모듈(100)의 가운데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브래킷(110)은 상호 이격된 2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샤프트(120)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안쪽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제1기어(12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기어(1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샤프트(120)의 양측에서 상기 제1샤프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샤프트(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일예로 상기 제1기어(121)와 제1샤프트(120)가 키 결합을 통해 위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130)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안쪽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121)와 맞물리는 제2기어(13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1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샤프트(130)의 양측에서 상기 제2샤프트(13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샤프트(1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일예로 상기 제2기어(131)와 제2샤프트(130)가 키 결합을 통해 위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140)는 상기 일단이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케이스(2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날개부(140)의 회전시 상기 제1케이스(220)가 상기 센터브래킷(11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날개부(150)는 일단이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케이스(2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날개부(150)의 회전시 상기 제2케이스(230)가 상기 센터브래킷(11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샤프트(160)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일단과 상기 제1날개부(14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121)와 맞물리는 제3기어(16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기어(16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3샤프트(160)의 양측에서 상기 제3샤프트(16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샤프트(16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일예로 상기 제3기어(161)와 제3샤프트(160)가 키 결합을 통해 위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샤프트(170)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타단과 상기 제2날개부(15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131)와 맞물리는 제4기어(17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4기어(17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4샤프트(170)의 양측에서 상기 제4샤프트(17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4샤프트(17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일예로 상기 제4기어(171)와 제4샤프트(170)가 키 결합을 통해 위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샤프트(160)는 상기 제1날개부(14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4샤프트(170)는 상기 제2날개부(150)와 함께 회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샤프트(160) 및 제1날개부(140)는 키 결합되고, 상기 제4샤프트(170)와 제2날개부(150)는 키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날개부(140)의 회전시 상기 제3샤프트(160) 및 제3기어(161)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날개부(150)의 회전시 상기 제4샤프트(170) 및 제4기어(17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는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상기 센터브래킷(110)에 대하여 접혀지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상기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가 상기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로보다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접혀졌을 때 힌지모듈(100)이 장착된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120) 내지 제4샤프트(170)에는 한 쌍의 상기 제1기어(121) 내지 제4기어(17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 상기 센터브래킷(110)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180)이 장착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스프링(180)이 상기 제1기어(121) 내지 제4기어(171)를 상기 센터브래킷(110)에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샤프트(120) 내지 제4샤프트(17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정지되었을 때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그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프리스탑(free stop)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가 장착되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양측에는 원호 형상의 회전안내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안내부(111)는 총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안내부(111)는 각각 상기 제1샤프트(120)와 제3샤프트(160)를 연결한 가상의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130)와 제4샤프트(170)를 연결한 가상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3샤프트(160)가 장착되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안내부(111)는 상기 제1샤프트(120)와 제3샤프트(160)를 연결한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4샤프트(170)가 장착되는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타단에 형성된 회전안내부(111)는 상기 제2샤프트(130)와 제4샤프트(170)를 연결한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날개부(140)의 일단과 제2날개부(150)의 일단에는 각각 원호 형상의 상기 회전안내부(111)가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회전안내홈(141,1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날개부(140)에는 2개의 회전안내홈(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날개부(150)에는 2개의 회전안내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의 회전시 상기 회전안내홈(141,151)은 상기 회전안내부(111)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안내홈(141,151)의 양측에는 상기 제1날개부(140) 및 제2날개부(150)의 회전시 상기 회전안내부(111)에 접하여 상기 제1날개부(140) 및 제2날개부(15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정지턱(142,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턱(142,152)은 상기 회전안내부(111) 1개당 2개씩 형성되어 있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날개부(140)에 형성된 정지턱(142)은 총 4개이고, 상기 제2날개부(150)에 형성된 정지턱(152)은 총 4개이다.
상기 정지턱(142,152)은 상기 회전안내홈(141,1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는 하부에 위치한 정지턱(142,152)이 상기 회전안내부(111)의 외주면에 걸려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이 없이 정지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이때, 전개된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는 각각 상기 제1샤프트(120)와 제3샤프트(160)를 연결한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130)와 제4샤프트(170)를 연결한 사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는 전개된 상태에서 하강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브래킷(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졌을 때, 하부에 위치한 정지턱(142,152)에 접하여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1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112)은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에 위치한 정지턱(142,152)이 상기 걸림턱(112)에 접하였을 때, 그 때의 각도는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를 연결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90도 미만의 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는 접혀진 상태에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가 전개된 상태 즉 도 2,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상기 제1샤프트(120)와 제3샤프트(160)를 연결한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130)와 제4샤프트(170)를 연결한 사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는 정지턱(142,152)이 상기 회전안내부(111)의 외주면에 걸려 회전됨이 없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날개부(140)가 결합된 상기 제1케이스(220)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날개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3샤프트(160) 및 제3기어(16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기어(161)의 회전력은 제1기어(121) 및 제2기어(131)를 거쳐 상기 제4기어(171)에 전달되고, 상기 제4기어(17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4샤프트(170) 및 제2날개부(15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2날개부(150)는 상기 제1날개부(14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도 5,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정지턱(142,152)이 걸림턱(112)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는 접혀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가 상기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가 접혀졌을 때 상기 제1날개부(140)와 제2날개부(150)가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를 연결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90도 미만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배치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모듈(100)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힌지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전개 및 접철이 용이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에는 상기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가 상기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본 발명의 힌지모듈(100)이 휴대단말기에 적용되어, 휴대단말기가 접철 및 전개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가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를 휴대단말기에 적용하여, 휴대단말기가 접철 및 전개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를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조 즉 제3샤프트(160)와 제4샤프트(170)를 제1샤프트(120) 및 제2샤프트(130)보다 상부에 위치한 구조보다, 힌지모듈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접었을 때 힌지부분의 두께가 크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힌지모듈(100)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가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힌지모듈(100)을 회전시키다가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180)에 의해 상기 기어(121,131,161,171)들이 상기 센터브래킷(110)에 가압 밀착되면서 마찰력에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제1날개부(140) 및 제2날개부(150)의 회전이 임의로 이루어지지 않고 그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접혀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를 전개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를 용이하게 접하거나 전개시킬 수 있고, 힌지부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개폐 힌지모듈,
110 : 센터브래킷, 111 : 회전안내부, 112 : 걸림턱,
120 : 제1샤프트, 121 : 제1기어,
130 : 제2샤프트, 131 : 제2기어,
140 : 제1날개부, 141 : 회전안내홈, 142 : 정지턱
150 : 제2날개부, 151 : 회전안내홈, 152 : 정지턱,
160 : 제3샤프트, 161 : 제3기어,
170 : 제4샤프트, 171 : 제4기어,
180 : 스프링,
21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20 : 제1케이스, 230 : 제2케이스.

Claims (7)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에 있어서,
    센터브래킷과;
    상기 센터브래킷의 안쪽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제1기어가 장착된 제1샤프트와;
    상기 센터브래킷의 안쪽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가 장착된 제2샤프트와;
    상기 일단이 상기 센터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된 제1날개부와;
    일단이 상기 센터브래킷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된 제2날개부와;
    상기 센터브래킷의 일단과 상기 제1날개부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3기어가 장착된 제3샤프트와;
    상기 센터브래킷의 타단과 상기 제2날개부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가 장착된 제4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샤프트는 상기 제1날개부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4샤프트는 상기 제2날개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는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상기 센터브래킷에 대하여 접혀지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1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2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3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3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3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4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4샤프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4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4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샤프트 내지 제4샤프트에는 한 쌍의 제1기어 내지 제4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 상기 센터브래킷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가 장착되는 상기 센터브래킷의 양측에는 원호 형상의 회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일단과 제2날개부의 일단에는 각각 원호 형상의 상기 회전안내부가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회전안내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회전안내홈은 상기 회전안내부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홈의 양측에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회전안내부에 접하여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제1샤프트와 제3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와 제4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는 상기 정지턱이 상기 회전안내부의 외주면에 걸려 지지되되,
    전개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는 각각 상기 제1샤프트와 제3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과 상기 제2샤프트와 제4샤프트를 연결한 사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센터브래킷의 상부에는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졌을 때 상기 정지턱에 접하여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정지턱이 상기 걸림턱에 접하였을 때의 각도는, 상기 제3샤프트와 제4샤프트를 연결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90도 미만의 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KR1020190008904A 2019-01-23 2019-0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KR10217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04A KR102174853B1 (ko) 2019-01-23 2019-0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04A KR102174853B1 (ko) 2019-01-23 2019-0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740A true KR20200091740A (ko) 2020-07-31
KR102174853B1 KR102174853B1 (ko) 2020-11-05

Family

ID=7183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904A KR102174853B1 (ko) 2019-01-23 2019-0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8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933A (ko) * 2019-02-19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텐트 구조물이 배치된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US11889007B2 (en) 2021-01-29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86257B2 (en) 2021-01-29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40839B2 (en) 2021-03-31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including compound gear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22A (ko) * 2021-01-29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85A (ko) 2015-08-21 2017-03-02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US9677308B1 (en) * 2016-08-18 2017-06-13 Lianhong Art Co., Ltd. Hinge having movable shaft
KR20180010557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5818A (ko) * 2016-09-01 2018-03-09 켐 홍콩 유한회사 다축 힌지 및 이 다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101912751B1 (ko) * 2017-02-13 2018-10-31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85A (ko) 2015-08-21 2017-03-02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KR20180010557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77308B1 (en) * 2016-08-18 2017-06-13 Lianhong Art Co., Ltd. Hinge having movable shaft
KR20180025818A (ko) * 2016-09-01 2018-03-09 켐 홍콩 유한회사 다축 힌지 및 이 다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101912751B1 (ko) * 2017-02-13 2018-10-31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933A (ko) * 2019-02-19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텐트 구조물이 배치된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US11353932B2 (en) 2019-02-19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including detent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US11360526B2 (en) 2019-02-19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including detent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US11726532B2 (en) 2019-02-19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including detent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US11889007B2 (en) 2021-01-29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86257B2 (en) 2021-01-29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40839B2 (en) 2021-03-31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including compound gear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853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174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WO2019134696A1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WO2019134695A1 (zh) 一种半自动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WO2019134693A1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US9714533B2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2152040B1 (ko)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TWI598022B (zh) 電子裝置及其樞軸機構
KR102256305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KR101779012B1 (ko)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KR20150037383A (ko) 접철식 기기
CN113534893B (zh) 折叠式电子装置
WO2023216870A1 (zh) 阻尼机构、铰链装置以及可折叠电子设备
KR102257326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노트북
CN113719525A (zh) 一种旋转铰链、折叠机壳和电子设备
TWI749408B (zh) 雙軸式樞軸機構與包含其之電子裝置
TWM614166U (zh) 雙軸同步式鉸鏈
TWI522780B (zh) 可攜式電子裝置
KR102485965B1 (ko) 슬립형 폴더블 휴대단말기
TWM575953U (zh) Bending mechanism and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TWI435687B (zh) 滑蓋裝置
KR20130015143A (ko)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
CN103677280B (zh) 键盘组件和电子设备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US202400280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lignment method thereof
US10296048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ual displays and a hin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